KR102060557B1 - Marker for building site - Google Patents

Marker for building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557B1
KR102060557B1 KR1020180078220A KR20180078220A KR102060557B1 KR 102060557 B1 KR102060557 B1 KR 102060557B1 KR 1020180078220 A KR1020180078220 A KR 1020180078220A KR 20180078220 A KR20180078220 A KR 20180078220A KR 102060557 B1 KR102060557 B1 KR 10206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construction site
magnet
cover
recogn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훈
강태선
박인하
박정서
이준성
최성인
황인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B63B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2017/0093

Abstract

A marker for a construction sit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for a construction site comprises: a guide module having a magnetic sheet on a lower surface portion, and forming an accommodation unit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recognition uni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and having an augmented reality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and a cover unit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unit in the accommodation unit and covering the accommodation unit. The guide module may be attached to a block surface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site of a marine plant.

Description

공사현장용 마커{Marker for building site}Marker for construction site {Marker for building site}

본 발명은 공사현장용 마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site marker.

최근 해양플랜트의 공사현장에서는 마커(marker)를 이용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 접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작업자가 특정 구역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AR 기법으로 상응하는 3D 모델 이미지, 설계 도면 등을 열람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현재의 AR 기술은 마커를 기준좌표로 삼아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공사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마커 제작이 필수적이다. In recent years, construction of offshore plants has been actively incorporat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using markers. This is to allow the operator to view and utilize the corresponding 3D model image, design drawing, etc. using AR technique using smart devices in a specific area. The current AR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s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current user using the marker as the reference coordinate. For this, it is essential to manufacture markers that can be used at construction sites.

마커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눈에 잘 띄고, 한번 부착한 이후에는 잘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 특성 때문에 바닥에 붙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거친 작업환경의 특성으로 인해 사람, 수레 등의 이동과 물체 낙하 등으로 인한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Markers are generally attached to the floor because they are visible to people and do not move well once attached.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harsh working environment, it must have durability against impacts due to the movement of people, carts, etc. and falling objects.

도 1에는 현재 공사현장에서 AR 기술 적용을 위해 부착되는 마커가 예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marker attached for applying AR technology at a current construction site.

도 1의 (a)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마커이며, (b)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마커이다. 1 (a) is a marker made of a metal material, (b) is a marker made of a plastic material.

이 중 금속마커는 햇빛에 의한 반사로 인하여 스마트폰에 의한 패턴감지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플라스틱마커는 미끄러짐에 취약하고 외부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Among them, the metal marker has a problem in that the pattern detection ability by the smartphone is degraded due to reflection by sunlight, and the plastic marker has a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slipping and weak to external impact.

한국등록특허 제10-1450133호 (증강현실기반 지하매설물의 단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5013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oss-sectional information of augmented reality-based underground burial)

본 발명은 금속마커와 플라스틱마커의 단점을 보완하여 햇빛에 의한 반사가 적어 패턴감지가 용이하며, 외부충격에 강한 공사현장용 마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ker for the construction site, which is easy to detect the pattern due to less reflection by sunlight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metal marker and the plastic marker.

본 발명은 마커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패턴이 인쇄된 인쇄용지의 교체가 쉬우며, 덮개 손상시 덮개부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공사현장용 마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ker for construction sites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marker, easy to replace the printing paper with the pattern is printed, and can replace only the cover part when the cover is damaged.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면부에 자석 시트가 부착되고,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가이드 모듈;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면에 증강현실용 패턴이 형성된 인식부; 및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인식부 상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모듈이 해양플랜트의 공사현장에 마련된 블록 표면에 부착되는 공사현장용 마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modul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guide module having an upper surface is opened receiving portion; A recognition uni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and having an augmented reality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ver part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part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covering the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guide module is attached to a block surface provid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offshore plant.

상기 수용부 내에서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자석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는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A first magnet part installed adjacent to each vertex in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magnet par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part, wherein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may have an attractive force.

상기 제1 자석부의 상하 극성과 상기 제2 자석부의 상하 극성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vertical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part may be identically disposed.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 그립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립홈의 깊이는 상기 덮개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first grip groove formed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the depth of the first grip groove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portion.

상기 제1 그립홈에 형성되며, 상기 하면부까지 관통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drain hole formed in the first grip groove and penetrating to the lower surfac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인식부의 측면에는 제2 그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grip groove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recognition unit.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인식부의 패턴이 보여질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 par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the pattern of the recognition part can be see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마커와 플라스틱마커의 단점을 보완하여 햇빛에 의한 반사가 적어 패턴감지가 용이하며, 외부충격에 강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marker and the plastic mark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due to the less reflection by sunlight is easy to detect the pattern, there is a strong effect on the external impact.

또한, 마커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패턴이 인쇄된 인쇄용지의 교체가 쉬우며, 덮개 손상시 덮개부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detach the marker, it is easy to replace the printing paper with the pattern printed,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cover in case of damage to the cov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도 1은 현재 공사현장에서 AR 기술 적용을 위해 부착되는 마커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의 각 구성의 평면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 marker attached for applying AR technology at the current construction site,
2 is an assembly view of a construction site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의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의 각 구성의 평면도이다. 2 is an assembly view of a construction site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each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according.

도 2 내지 도 4에는 공사현장용 마커(100), 가이드 모듈(110), 수용부(112), 하면부(114), 제1 자석부(116), 제1 그립홈(118), 배수홀(119), 인식부(120), 패턴(122), 제2 그립홈(124), 덮개부(130), 제2 자석부(132)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는 가이드 모듈(110)의 평면도, (b)는 가이드 모듈(110)의 배면도, (c)는 덮개부(130)의 평면도, (d)는 인식부(120)의 평면도이다. 2 to 4,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100, the guide module 110, the receiving part 112, the lower surface part 114, the first magnet part 116, the first grip groove 118, and the drainage hole ( 119, the recognizer 120, the pattern 122, the second grip groove 124, the cover 130, and the second magnet 132 are illustrated. 4 (a) is a plan view of the guide module 110, (b) is a rear view of the guide module 110, (c) is a plan view of the cover 130, (d) is a recognition of the 120 Top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100)는 가이드 모듈(110)와 인식부(120)가 분리 가능한 복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module 110 and the recognition unit 120 can be separated.

본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100)는 작업자에게 설치 위치에 대한 AR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패턴이 인쇄되는 인식부(120)와, 인식부(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모듈(110)를 포함한다.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ecognition unit 120 and a guide module 110 for fixing the recognition unit 120 to which a pattern is printed to provide an AR technology for an installation position to an operator. Include.

가이드 모듈(110)은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112)이 형성된 몸체를 가진다. 수용부(112)은 인식부(12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인식부(120)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비례하는 형상, 즉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수용부(112)은 인식부(120)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일정 %(예컨대, 1~2%)만큼 확장된 크기를 가진다. The guide module 110 has a body in which a receiving part 112 having an upper surface is formed. The accommodating part 112 is a part into which the recognition part 120 is inserted,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the same as or proportional to the shape of the recognition part 120, that is,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The receiver 112 may have a siz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recognizer 120 or extended by a predetermined percentage (eg, 1 to 2%).

가이드 모듈(110)의 하면부(114)는 자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다. 예컨대, 하면부(114)는 시트(sheet) 형상의 자석일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portion 114 of the guide module 1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portion 114 may be a sheet-shaped magnet.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의 공사현장에 설치된 각종 블록들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사현장에서 가이드 모듈(110)는 하면부(114)의 자력에 의해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마커의 부착이 요구되는 블록 표면에 손쉽게 부착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various block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offshore plant is made of steel. In such a construction site, the guide module 110 may be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ock that requires the attachment of a marker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lower surface 114.

가이드 모듈(110)의 상면에 마련된 수용부(112) 내에는 제1 자석부(1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자석부(116)는 수용부(112) 내에서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수용부(112)의 표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부(112)에는 자석 고정용 홈이 음각 형성되고, 자석 고정용 홈 내에 자석이 설치됨으로써, 제1 자석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part 116 may b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odule 110. The first magnet part 116 may be installed in th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2 adjacent to each vertex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To this end, the accommodating part 112 is intaglio formed in the recess, and the magnet is installed in the magnet fixing groove, thereby providing the first magnet part 116.

수용부(112)의 둘레에는 제1 그립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홈(118)은 수용부(112)의 4개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덮개부(130)까지 설치된 이후 덮개부(13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 제1 그립홈(118) 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덮개부(130)에 대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first grip groove 118 may be formed around the accommodation portion 112. The first grip groove 118 may be intaglio formed on a pair of sid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sides of the accommodation part 112. After the operator installs the cover 130, the operator may insert a finger into the first grip groove 118 to facilitate the gripping of the cover 130 when the cover 130 is removed.

제1 그립홈(118)의 깊이는 후술할 덮개부(130)의 두께보다 작다. 따라서, 덮개부(130)가 설치된 이후에는 내부의 인식부(120)가 제1 그립홈(118)을 통해서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이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depth of the first grip groove 118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after the cover part 130 is installed, the internal recognition part 1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through the first grip groove 118, so that rain water does not flow in, thereby preventing damage.

또한, 제1 그립홈(118)에는 가이드 모듈(110)의 하면부(114)까지 관통되는 배수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홈(118) 내에 빗물이 고인 경우 배수홀(119)을 통해 가이드 모듈(110)의 하면부(114)로 배출됨으로써, 수용부(112) 내에 인식부(120)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rip groove 118 may have a drain hole 119 penetrating to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guide module 110. When rainwater accumulates in the first grip groove 118, the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114 of the guide module 110 through the drainage hole 119 so that rainwater flows into the recognition portion 120 in the receiving portion 112. Can be prevented.

가이드 모듈(110) 내에는 인식부(120)가 먼저 삽입되고, 이후 덮개부(130)가 인식부(120) 상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The recognition unit 120 is first inserted into the guide module 110, and then the cover unit 130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serted onto the recognition unit 120.

인식부(1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패턴(122)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용지일 수 있다. Recognition unit 120 i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upper surface may be a printing paper on which the pattern 122 for augmented reality is printed.

인식부(120)는 햇빛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prevent reflection by sunlight.

인식부(120)의 측면에는 제2 그립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인식부(120)가 가이드 모듈(110)의 수용부(112) 내에 삽입 설치된 이후 유지보수, 교체 등을 위해 해당 인식부(120)를 빼내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2 그립홈(124) 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인식부(120)에 대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second grip groove 124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ognition unit 120. When the recognition unit 120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112 of the guide module 110 and the user wants to pull out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unit 120 for maintenance or replacement, the operator has a finger in the second grip groove 124. It is possible to easily grip the recognition unit 120 by inserting.

덮개부(130)는 인식부(120)가 삽입된 이후 최종적으로 가이드 모듈(110)의 수용부(112) 내에 삽입되어, 패턴(122)의 훼손을 방지하는 등 인식부(120)를 보호하는 덮개로서 기능한다. The cover unit 130 is final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2 of the guide module 110 after the recognition unit 120 is inserted, thereby protecting the recognition unit 120 such as preventing damage to the pattern 122. It functions as a cover.

덮개부(130)를 덮었을 때 덮개부(130)의 상면과 가이드 모듈(110)의 몸체 테두리면이 동일한 높이를 가져 하나의 평면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12)의 두께는 인식부(120)의 두께와 덮개부(130)의 두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수용부(112) 내에 인식부(120)와 덮개부(130)가 완전히 삽입되면서 덮개부(130)의 상면이 수용부(112)를 형성하는 몸체 테두리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When the cover 130 is cover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30 and the body border surface of the guide module 110 may have the same height so as to be one plan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accommodating part 112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recognition part 120 and the thickness of the cover part 130. That is, the recognition unit 120 and the cover 13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2,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30 may be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dy border surface forming the receiving portion 112. .

덮개부(130)의 하면에는 제2 자석부(13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자석부(132)는 제1 자석부(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자석부(132)는 덮개부(130)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gnet part 132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 The second magnet part 1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part 116. That is, the second magnet part 132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vertex of the cover part 130.

제2 자석부(132)는 제1 자석부(116)와 인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길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자석부(116)의 상측 극성과 제2 자석부(132)의 하측 극성은 서로 반대 극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석부(116)의 상측 극성이 N극인 경우 제2 자석부(132)의 하측 극성은 S극이 되도록 한다. The second magnet part 132 needs to be attra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magnet part 116 and attraction. To this end, the upper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part 116 and the lower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part 132 may be opposite polarities. For example, when the upper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part 116 is N pole, the lower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part 132 is S pole.

이는 또한 제1 자석부(116)의 상하 극성과 제2 자석부(132)의 상하 극성이 동일하게 설치됨을 나타낸다. This also indicates that the vertical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part 116 and the vertical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part 132 are the same.

제2 자석부(132)와 제1 자석부(116) 사이의 자력으로 인해 덮개부(130)가 가이드 모듈(110) 내에 삽입 설치된 이후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에 대해서는 덮개부(13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함으로써 덮개부(130)를 가이드 모듈(1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해 낼 수도 있다. Due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 132 and the first magnet 116, the cover 1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module 110, the cover 130 is separated for the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Can be prevented. And if necessary, the operator may easily detach the cover 130 from the guide module 11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덮개부(130)는 하부에 놓여지는 인식부(120)의 패턴(122)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30)는 강화 투명 PC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투명성과 함께 강성도 확보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cover part 1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attern 122 of the recognition part 120 placed below is visible. For example, the cover part 130 may be prevented from damage by securing rigidity together with transparency by using a reinforced transparent PC material.

본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마커(100)는 마커 설치가 요구되는 블록 표면에 가이드 모듈(110)을 부착시키고, 가이드 모듈(110) 내에 인식부(120)와 덮개부(130)를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함으로써 손쉽게 마커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In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module 11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ock requiring the marker installation, and the recognition unit 120 and the cover unit 130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module 110. By installing, you can easily complete the marker installation.

또한, 패턴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덮개부(130)를 분리하고 인식부(120)를 빼내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마커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placement of the pattern is required, the marker replacement may be easily performed through a simple process of removing the cover unit 130 and removing the recognition unit 120.

또한, 덮개부(130)가 손상된 경우에는 덮개부(130)만을 교체하면 충분하므로, 마커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ver 130 is damaged, it is sufficient to replace only the cover 130,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marker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100: 공사현장용 마커 110: 가이드 모듈
112: 수용부 114: 하면부
116: 제1 자석부 118: 제1 그립홈
119: 배수홀 120: 인식부
122: 패턴 124: 제2 그립홈
130: 덮개부 132: 제2 자석부
100: construction site marker 110: guide module
112: receiving portion 114: lower surface portion
116: first magnet portion 118: first grip groove
119: drain hole 120: recognition unit
122: pattern 124: second grip groove
130: cover portion 132: second magnet portion

Claims (7)

하면부에 자석 시트가 부착되고,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가이드 모듈;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면에 증강현실용 패턴이 형성된 인식부; 및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인식부 상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모듈이 해양플랜트의 공사현장에 마련된 블록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 그립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립홈의 깊이는 상기 덮개부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1 그립홈에 형성되며, 상기 하면부까지 관통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공사현장용 마커.
A guide module having a magnet sheet attached to a lower surface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recognition uni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and having an augmented reality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recognition unit i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receiving portion,
The guide module is attached to the block surface provid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offshore plant,
Further comprising a first grip groove formed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The depth of the first grip groove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portion,
The construction site markers formed in the first grip groove, further comprising a drainage hole penetrating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서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자석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는 인력이 작용되는 공사현장용 마커.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magnet part installed adjacent to each vertex in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magnet par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part;
Marker for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is applied to the attraction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부의 상하 극성과 상기 제2 자석부의 상하 극성은 동일하게 배치되는 공사현장용 마커.
The method of claim 2,
Up and down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up and down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portion is the same for the construction site mar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의 측면에는 제2 그립홈이 형성된 공사현장용 마커.
The method of claim 1,
Marker for the construction site, the second grip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인식부의 패턴이 보여질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공사현장용 마커.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part construction site mark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be seen the pattern of the recognition unit.
KR1020180078220A 2018-07-05 2018-07-05 Marker for building site KR10206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20A KR102060557B1 (en) 2018-07-05 2018-07-05 Marker for building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20A KR102060557B1 (en) 2018-07-05 2018-07-05 Marker for building s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557B1 true KR102060557B1 (en) 2019-12-30

Family

ID=6910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20A KR102060557B1 (en) 2018-07-05 2018-07-05 Marker for building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675A (en) * 2003-02-10 2004-09-02 Gary L Vollers Method for producing flowerpot
KR101602358B1 (en) * 2015-11-24 2016-03-22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Updated image data system by GIS based new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675A (en) * 2003-02-10 2004-09-02 Gary L Vollers Method for producing flowerpot
KR101602358B1 (en) * 2015-11-24 2016-03-22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Updated image data system by GIS based new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04922A3 (en) Image and part recognition technology
EP1449688A3 (en) Surface vehicle vertical trajectory planning
WO2004044728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les utilizing a concept of weight so as to visually represent the files in terms of whether the weight thereof is heavy or light
EP1862972A8 (en) Vehicle-use image processing system, vehicle-use image processing method, vehicle-use image processing program, vehicle, and method of formulating vehicle-use image processing system
DE50208716D1 (en) DEVICE FOR IMAGE DETECTION OF OBJECTS, PERSONS OR THE LIKE IN THE ENVIRONMENT OF A VEHICLE
DE602005003108D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 TRAFFIC IMPACT PICTURE
KR102060557B1 (en) Marker for building site
EP1418550A3 (en) Card equipped with password input keys
EP1975850A3 (en) Runway segmentation using verticles detection
DE502005002358D1 (en) DEVICE FOR LOCKING A COVER OF A BAY COVER AND BAY COVER
US20140311056A1 (en) Grave marker assembly
KR100984002B1 (en) power line cable block
KR200494231Y1 (en) Road surface metal sign structure for multipurpose information guidance
FR2886437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AN AIRCRAFT IN RELATION TO A AIRPORT FACILITY
JP2015031121A (en) Specific information display of manhole cover
KR102022374B1 (en) Safety induction panel for boundary stone mounting
KR102161075B1 (en) System for forming attraction force to label sheet by using bilateral magnetization
EP1731328A3 (en) Multilayer information page
EP1324296A3 (en) Method for allocating advertising space & system therefor
CN205508260U (en) Two -dimensional code show board
CN209328476U (en) Magnetic publicity board
CN204370339U (en) A kind of municipal manhole well OM outer marker board
KR101038545B1 (en) Grating made of resin
CN208309647U (en) A kind of manhole cover protection board
CN214666867U (en) Engineering survey mark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