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81B1 - Glass - Google Patents

G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881B1
KR102059881B1 KR1020180087127A KR20180087127A KR102059881B1 KR 102059881 B1 KR102059881 B1 KR 102059881B1 KR 1020180087127 A KR1020180087127 A KR 1020180087127A KR 20180087127 A KR20180087127 A KR 20180087127A KR 102059881 B1 KR102059881 B1 KR 10205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ine glass
upper body
cross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용
김경중
정세윤
Original Assignee
부여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여군 filed Critical 부여군
Priority to KR102018008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8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which can be manufactured in the size of a normal glass and can maintain the position by a weight to avoid spills. The glass can also be easily gripped when being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includes: an upper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a lower end; and a lower body in which an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and a cross section of an outer side is formed in an oval shape. The lower body includes: a bottom unit having a plane of a predetermined width in order for the bottom of the bottom unit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 side unit connected to the bottom unit and having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relatively thicker than the bottom unit; and an upper end unit connected to the side unit a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body.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order for a part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 V-shaped cross section or a U-shaped cross s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Description

술잔{Glass}Wine Glass {Glass}

본 발명은 술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주 등의 술을 담아 취식하는 데에 사용되면서 자중에 의해 자세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술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b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blet configured to maintain a posture by self-weight while being used to drink alcohol such as shochu.

술잔은 술을 따라 마시는 그릇으로, 술잔의 생김새와 크기는 술의 종류에 따라, 시대에 따라, 그리고 나라에 따라 모두 다르다. 한국에서는 상고시대부터 양조법이 발달하여 사람들이 술을 마신 기록이 있다.A wine glass is a container for drinking along the way, and the appearance and size of the wine glas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lcohol, the age, and the country. In Korea, brewing has been developed since ancient times, and there are records of people drinking alcohol.

또한, 음식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음주문화도 변화되었고, 이에 따라 술잔의 형상과 모양도 다양하게 생산되어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food culture, the drinking culture ha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shape and shape of the wine glass are produced in various ways and used according to the tastes of consumers.

상기와 같은 술잔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1756호의 오뚜기형 소주잔(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소주잔은 오뚝이처럼 흔들리면서도 내용물이 쉽게 쏟아지지 않도록 무게 중심이 잡힌 소주잔인 것에 특징이 있다.As a related art of the above-mentioned wine glass, there is disclosed a ottoman type shochu gla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tent document') of JP 2008-0001756. The shochu glas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shochu cup with a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easily poured while shaking like a bulge.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소주잔은 오뚝이처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소주잔 밑의 무게를 무겁게 형성하게 되고, 이를 위해 소주잔의 내측 바닥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그 결과 일반적인 소주잔 용량에 대응되는 양의 소주가 담기기 위해 소주잔이 전체적으로 크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soju cup of the patent document is to form a relatively heavy weight under the shochu cup in order to maintain the posture like a stepping stone, for this purpose the inner bottom of the shochu glass is formed relatively high, as a result of the amount of shochu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shochu cup capac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ochu glass must be made large in order to contain it.

더욱이 최근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술을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음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특허문헌의 소주잔은 잔의 바닥 높이가 일반적인 잔과 다르기 때문에 잔에 담긴 술의 양을 가늠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Moreover, recently, many types of alcohol are mixed and drink at a predetermined ratio. However, the soju cup of the patent documen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amount of alcohol in the glass because the bottom height of the glass is different from that of a general glass. .

따라서 자중에 의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술잔에 있어서 일반적인 술잔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쉽게 엎어지지 않도록 자중에 의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파지가 용이한 술잔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wine glass that can maintain the posture by its own weight and can be easily held, even though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size of a general wine glass to maintain the posture by its own weight.

KR 10-2010-0129384 A (2010. 12. 09.)KR 10-2010-0129384 A (2010. 12. 09.) KR 20-2008-0001756 A (2008. 06. 12.)KR 20-2008-0001756 A (2008. 06. 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술잔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반적인 술잔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쉽게 엎어지지 않도록 자중에 의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시 파지가 용이한 술잔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ine glass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the size of a general wine glass, but can maintain the posture by its own weight so that it does not easily fal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sy-to-grip wine gla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술잔은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본체 및; 상단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외측면의 단면 모양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저면이 바닥면과 면접하도록 소정 폭의 평면을 가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상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과 상기 하부본체의 상기 상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외측면 둘레를 따라 "V" 또는 "U"자 단면 모양이 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in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upper bod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narrowed toward the bottom;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and including a lower main body having an elliptical shape in cross-sectio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lower main body comprises: a bottom having a fla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uch that the bottom is interviewed with the bottom surface;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relatively thicker cross-sectional thickness than the bottom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body is connected to each other "V" or "U" shaped cross s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 concave groove is formed so as to have a shap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부본체 및 상기 하부본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는 단면 모양이 반원 모양을 가지도록 돌출되고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protrud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nd a protrusion having a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상부본체의 높이 대비 상기 하부본체의 높이가 4 : 3의 비율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body to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to the ratio of 4: 3.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가 중앙 부분으로 향하여 단면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상부본체의 단면 두께 대비 상기 측면부의 단면 두께가 1 : 2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oncave so that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 s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ide portion is 1: 2 or more compared with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upper body. Being another featur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 하부본체가 도자기, 목재, 금속, 합성수지, 유리,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is made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ceramics, wood, metal, synthetic resin, glass, stone.

본 발명에 따른 술잔은 바닥부와 측면부 및 상단부를 포함하여 하부본체가 형성되고, 이러한 하부본체는 상부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무게 중심이 하부본체 쪽에 위치되게 되며, 이에 의해 바닥에 술잔을 안정적으로 내려놓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술잔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중에 의해 당초의 위치로 자세가 유지되도록 복원되게 되면서 술잔이 쉽게 엎어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The win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body, including a bottom part, a side part, and an upper part, and the lower body is formed relatively heavy than the upper body,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naturally located on the lower body side. The glass can be stably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even when the glass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glass is restored to maintain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own weight, thereby preventing the glass from easily falling over.

또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경계 부분을 따라 "V"자 또는 "U"자 모양의 홈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본체가 상확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면서 사용자가 술잔을 파지할 때에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V" or "U" shaped groove is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so that when the user grips the glass, It does not slip easily and can be gripped stably.

이에 더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경계로 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쉽게 섞어 마실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mix and drink different types of drink wit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s a bounda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술잔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의 바닥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술잔에 내용물이 담긴채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술잔에 내용물이 담긴채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예를 보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n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ross section of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ow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used while the contents are contained in th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contents are contained in th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술잔에 있어서 일반적인 술잔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쉽게 엎어지지 않도록 자중에 의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시 파지가 용이한 술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술잔(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 및 하부본체(2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e glass that can be produced in the size of a common wine glass to maintain the posture by its own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by its own weight so that it does not easily fall, and also easy to grip when used, such a The wine glas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body 10 and a lower body 20 as shown in FIGS. 1 and 2.

상부본체(10)는 사용자가 술잔(1)에 담긴 술(이하 '음료'라고 한다)을 마시고자 할 때 사용자가 입에 대고 마실 수 있도록 술잔(1)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성이다.The upper body 1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wine glass 1 so that the user can drink in the mouth when the user wants to drink alcoh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verage') contained in the wine glass 1.

이러한 상부본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하부본체(20)와 연결되는 상부본체(10)의 하부지름(D1)이 상부지름(D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상확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본체(10)의 내외측면은 소정 곡률(R)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3 and 4, the upper body 10 has a lower diameter D1 of the upper body 10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body 2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upper diameter D2.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lower sid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pper body 10 is formed to be curv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술잔(1)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상부본체(10)의 상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중지와 약지를 이용하여 상부본체(10)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파지되게 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서 술잔(1)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 잔에 담긴 술 등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grips the wine glass 1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pper body 10 using the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in the state to surround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 by using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is to be gripped, thereby allowing the drinking glass 1 to drink beverages such as liquor in the glass while stably gripping without slipping easily from the user's hand.

이때 상부본체(10)의 외측면(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3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30)에 의해 사용자가 술잔(1)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 protrusion 30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body 10 may be formed, and the protrusion 30 allows the user to hold the wine glass 1 more stably.

여기서 돌출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을 따라 단면 모양이 반원 모양을 가지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반구 형상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된다.Here, the protrusions 30 ar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as shown in FIGS. 3 and 4,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30 a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surface. It consists of.

하부본체(20)는 상부본체(10)의 하단과 연결되면서 술잔(1)이 바닥에 안착될 때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고, 다소 기울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당초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lower main body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main body 10 to be stably seated when the wine glass 1 is seated on the floor,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original posture due to its own weight even when a slight inclination occurs. .

이러한 하부본체(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바닥면과 면접하도록 소정 폭의 평면(21A)을 가지는 바닥부(21)와, 상기 바닥부(21)와 연결되면서 바닥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측면부(22) 및 상기 측면부(22)와 연결되면서 상부본체(10)의 하단과 연결되는 상단부(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wer body 20 has a bottom portion 21 having a flat surface 21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terview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1. A side portion 22 having a thicker cross-sectional thickness than the portion 21 is formed and an upper portion 23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2.

여기서 바닥부(21)의 평면(21A)은 술잔(1)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바닥과 면 접촉되도록 하여 술잔(1)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Here, the plane 21A of the bottom portion 2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when no external force acts on the glass 1 so that the glass 1 can be used stably.

이때 하부본체(20)의 외측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의 지름이 상하 방향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모양의 외측면호(A)를 따라 형성되고, 하부본체(20)의 내측면은 상하 방향의 지름이 좌우 방향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 모양의 내측면호(B)를 따라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arc (A) of the elliptic shap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lower body 20 The inner surface of is formed along the elliptical inner surface arc (B)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ly longer than the diame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에 의해 바닥부(21)는 중앙 부분으로 향하여 단면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측면부(22)는 바닥(21)에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다가 다시 상단부(23)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단부(21)는 상부본체(10)의 하단과 "V" 또는 "U"자 단면 모양이 되도록 연결되어 상부본체(10)와 하부본체(20)의 경계 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게 된다.As a result, the bottom portion 21 is formed to be concave so that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cent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22 is gradually formed thick at the bottom 21 and then directed to the upper portion 23 again. As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he upper part 2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to have a “V” or “U” cross-sectional shape, and thus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A concave groove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하부본체(20)의 외측면에도 상부본체(10)와 같은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술잔(1)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30 such as the upper body 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wine glass 1 more stably.

그리고 측면부(22)는 상부본체(10)의 단면 두께(T1) 대비 측면부(22)의 단면 두께(T2)가 1 : 2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측면부(22)에 의해 하부본체(20)의 무게가 상부본체(10)보다 무게가 무거워지면서 자연스럽게 무게 중심이 술잔(1)의 아래쪽에 위치되게 된다.And the side portion 22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T2) of the side portion 22 relative to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T1) of the upper body 10 is 1: 2 or more, the lower body 20 by this side portion 22 As the weight of the weight is heavier than the upper body 10, the center of gravity is naturally positioned below the wine glass (1).

또한, 술잔(1)의 전체높이(H) 중에서 상부본체(10)의 높이(H1) 대비 하부본체(20)의 높이(H2)가 4 : 3의 비율이 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본체(10)의 높이(H1)가 하부본체(20)의 높이(H2)에 비해 4 : 3을 초과하여 형성되게 되면 사용자에 따라 더 많은 양의 음료가 술잔(1)에 담기게 되면서 술잔(1)이 소정 폭 기울어지게 되면 자중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이와 반대로 상부본체(10)의 높이(H1)가 하부본체(20)의 높이(H2)에 비해 4 : 3 미만으로 형성되게 되면 술잔(1)에 담기는 음료의 양이 감소되면서 사용자가 마신 술의 양을 술잔(1)을 이용하여 가늠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2) of the lower body 20 to the height (H1) of the upper body 10 of the total height (H) of the wine glass (1) is formed so that the ratio of 4: 3, which is the upper body (10) If the height (H1) of the lower body 20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4: 3 compared to the height (H2) of the lower body 20, the amount of beverage is put in the wine glass (1), depending on the user, the wine glass (1) When the predetermined width is inclined, it is difficult to restore the position due to its own weight. On the contrary, the height H1 of the upper body 10 is less than 4: 3 relative to the height H2 of the lower body 20. When the amount of the drink in the wine glass (1) is reduced, there is a difficulty in estimating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by the user using the wine glass (1).

상기와 같은 하부본체(20)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술잔(1)에 음료가 담기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상부본체(10)에 비해 하부본체(20)의 무게가 더 무겁게 되면서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술잔(1)의 바닥이 깊게 형성되게 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술잔(1)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기존의 술잔과 비교하여 비슷한 용량의 음료를 담을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hape of the lower body 20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no drink is contained in the wine glass 1, the weight of the lower body 20 is naturally heavier than the upper body 10, and thus it is stably seated on the floor. It can be used, and also the bottom of the wine glass (1) is formed deep can be compared to the existing wine glass having a similar size to the size of the wine gla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old a drink of a similar capacity.

그리고 술잔(1)에 음료가 담길 때에는 상부본체(10)에 비해 하부본체(20) 쪽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음료가 담기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술잔(1)의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술잔(1)이 다소 기울어지더라도 하부본체(20)의 바닥부(21)와 측면부(22)가 이루는 타원 모양의 외측면호(A)가 바닥과 접촉되어 지지되게 되면서 술잔(1)이 일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져 엎어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And when the drink is contained in the wine glass (1) is a relatively larger amount of the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lower body 20 side than the upper body 1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ine glass (1) is naturally located at the bottom, Even if the wine glass 1 is slightly inclined, the elliptical outer surface arc A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21 and the side portion 22 of the lower body 20 is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wine glass (1). Excessive tilting on one side prevents the fall.

한편, 상기와 같은 술잔(1)의 상, 하부본체(10, 20)는 도자기, 목재, 금속, 합성수지, 유리, 석재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심미감을 가지는 술잔(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ower body (10, 20) of the wine glass 1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ceramics, wood, metal, synthetic resin, glass, stone, thereby having a variety of aesthetics to the user (1) can be provide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술잔을 이하에서는 사용예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ine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 use example.

일반적으로 술잔(1)에 음료를 채울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70~80%를 채우게 되는데, 이에 의해 술잔(1)에 음료를 채우더라도 하부본체(10)의 무게가 상부본체(20)의 무게보다 무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바닥부(21)의 평면(21A)과 바닥이 서로 면 접촉되는 바닥 접촉점(CP)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VL)이 술잔(1)의 가상의 중심선(도시하지 않음)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되면서 술잔(1)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wine glass (1), as shown in Figure 7 is approximately 70 to 80%, thereby filling the beverage in the wine glass 1, the weight of the lower body 10 is the upper body ( 20, the virtual vertical line VL connecting the plane 21A of the bottom portion 21 and the bottom contact point CP where the bottom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vertically connected. The posture of the wine glass 1 is stably maintained while being positioned in line with the virtual center line (not shown) of 1).

그리고 술잔(1)이 일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되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접촉점(CP)이 하부본체(20)의 바닥부(21)에서 측면부(22) 쪽으로 점차 이동되는데, 이때 바닥 접촉점(CP)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VL)을 기준으로 술잔(1)에 담긴 음료의 용량에 따른 무게의 이동을 비교하여 보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술잔(1)이 기울어지더라도 가상의 수직선(VL)을 기준으로 양측에 담기는 음료의 용량에는 큰 차이가 없이 유지되게 되고, 그 결과 상부본체(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하부본체(20)의 자중에 의해 술잔(1)이 기울어지는 반대쪽으로 술잔(1)의 기울어짐을 상쇄시키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면서 술잔(1)이 기울어지는 방향을 따라 그대로 엎어지지 않고 다시 당초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When the wine glass 1 is inclined at an angle to one side,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bottom contact point CP is gradually moved from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lower body 20 toward the side portion 22. At this time, when comparing the movemen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wine glass 1 with respect to the virtual vertical line (VL) connecting the bottom contact point (CP) vertically as shown in FIGS. Even if 1) is inclined,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d on both sides of the virtual vertical line VL is maintain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as a result, the lower body 20 that is heavier than the upper body 10 is heavy. Due to the weight of the wine glass (1)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ination of the wine glass (1) to offset the inclination of the wine glass 1 will act more largely so that the wine glass (1) does not fall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ation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본체가 상부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무게 중심이 하부본체 쪽에 위치되게 되고, 이에 의해 바닥에 술잔을 안정적으로 내려놓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술잔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중에 의해 당초의 위치로 자세가 유지되도록 복원되게 되면서 술잔이 쉽게 엎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경계 부분을 따라 "V"자 또는 "U"자 모양의 홈이 형성되면서 상부본체가 상확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술잔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경계로 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쉽게 섞어 마실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is formed relatively heavier than the upper body,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naturally located on the lower body side, whereby the glass can be stably lowered to the bottom and the glass is at a predetermined angle. Even if inclined, it is restored to maintain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glass is prevented from spilling easily. Also, a "V" or "U" shaped groove is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s it is formed, the upper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ing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glass more stably, a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ix and drink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arou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with reference to the figures and the design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s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extremely obvious that the simple substitution of a structur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chang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the various shapes predictable is within the scope of change for easy implement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see.

1: 술잔 10: 상부본체
20: 하부본체 21: 바닥부
21A: 평면 22: 측면부
23: 상단부 30: 돌출부
A: 하부외측면호 B: 하부내측면호
CP: 바닥 접촉점 D1: 상부본체의 하부지름
D2: 상부본체의 상부지름 T1: 상부본체의 단면 두께
T2: 측면부의 단면 두께 H: 전체높이
H1: 상부본체의 높이 H2: 하부본체의 높이
R: 곡면 VL: 가상의 수직선
1: wine glass 10: upper body
20: lower body 21: bottom
21A: Flat 22: Side section
23: upper part 30: protrusion
A: Lower inner side arc B: Lower inner side arc
CP: Bottom contact point D1: Lower diameter of the upper body
D2: upper diameter of the upper body T1: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upper body
T2: Cross section thickness of side part H: Overall height
H1: Height of the upper body H2: Height of the lower body
R: Surface VL: Virtual vertical line

Claims (5)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본체(10) 및;
상단이 상기 상부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외측면의 단면 모양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부본체(20);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20)는,
저면이 바닥면과 면접하도록 소정 폭의 평면(21A)을 가지는 바닥부(21);
상기 바닥부(21)와 연결되면서 상기 바닥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측면부(22);
상기 측면부(22)와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본체(10)의 하단과 연결되는 상단부(23);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본체(10)의 하단과 상기 하부본체(20)의 상기 상단부(23)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외측면 둘레를 따라 "V" 또는 "U"자 단면 모양이 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20)는,
외측면이 좌우측 방향의 지름이 상하 방향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모양의 외측면호(A)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하 방향의 지름이 좌우 방향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 모양의 내측면호(B)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21)는,
중앙 부분으로 향하여 단면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
An upper body 10 formed of a cylindrical shape narrowing toward the lower end;
A lower main body 20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upper main body 10 and having an elliptical shape in cross-sectio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Including,
The lower body 20,
A bottom portion 21 having a flat surface 21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 side portion 22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1 and having a relatively thicker cross-sectional thickness than the bottom portion 21;
An upper end 23 connected to the side part 22 a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main body 10;
Includes,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and the upper end portion 23 of the lower body 20 is a concave groove so that the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hape of "V" or "U" cross-s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circumference Is formed,
The lower body 20,
The outer surface is formed along an elliptical outer side arc (A) in which the diame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longer than the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 an ellips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diame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arc (B) of,
The bottom portion 21,
A wine gl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concave so as to gradually become thinner in cross-section thickness toward the centra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0) 및 상기 하부본체(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는 단면 모양이 반원 모양을 가지도록 돌출되고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돌출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ine glas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is protruded to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rotrusion having a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0)와 상기 하부본체(20)는,
상기 상부본체(10)의 높이 대비 상기 하부본체(20)의 높이가 4 : 3의 비율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Wine gl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body 20 to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10 is configured to a ratio of 4: 3.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본체(10, 20)는,
도자기, 목재, 금속, 합성수지, 유리,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and 20 are
Wine glas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ceramics, wood, metal, synthetic resin, glass, stone.
KR1020180087127A 2018-07-26 2018-07-26 Glass KR1020598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127A KR102059881B1 (en) 2018-07-26 2018-07-26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127A KR102059881B1 (en) 2018-07-26 2018-07-26 G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881B1 true KR102059881B1 (en) 2019-12-27

Family

ID=6906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127A KR102059881B1 (en) 2018-07-26 2018-07-26 Gla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8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756U (en) 2006-12-08 2008-06-12 정백석 Korean Style Tumbler Sake Glass
KR20100129384A (en) 2009-06-01 2010-12-09 박옥연 A wine glass
KR20130003642U (en) * 2011-12-12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one-time cup having ring type protru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756U (en) 2006-12-08 2008-06-12 정백석 Korean Style Tumbler Sake Glass
KR20100129384A (en) 2009-06-01 2010-12-09 박옥연 A wine glass
KR20130003642U (en) * 2011-12-12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one-time cup having ring type protru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방울잔",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830 /30828703/1, 201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952A (en) One-handed party and utility plate
US5219419A (en) Stackable mug
US5183169A (en) Reusable bottle handle
EP2001751B1 (en) Plastic bottle having a gripping portion
US7207538B2 (en) Plastic beverage bottle holder
US8690006B1 (en)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US2121165A (en) Mixing bowl
US8985379B1 (en) Food plate and beverage container holder
US20120000915A1 (en) Food plate with beverag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KR102059881B1 (en) Glass
US20060049194A1 (en) Free moving system for stable, manual support food and drink items
US20040244596A1 (en) Cookie dipper
US20140312067A1 (en) Stackable Liquid Pitcher
US11950718B2 (en) Serving pitcher with integrated cup holder
US20140339116A1 (en) Multipurpose Stemware Holder Tray Having A Universal Thumb Grip
US20150327703A1 (en) Tip-Resistant Cup With Handle
US2586199A (en) Handle for vessels
CN116322384A (en) Drinking glass with embedded penetration chamber for cigars
US20200399009A1 (en) Substantially horizontal liquid vessel
JP4959853B1 (en) Drinking container
US20090065510A1 (en) Plate for Eating While Standing Up
US20160088959A1 (en) Capillary beverage cup
KR200415585Y1 (en) Paper cup with inclined curling
CN219506749U (en) Funnel and oak barrel assembly convenient for wine filling
US11026526B2 (en) Adjustable bowl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