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26B1 -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 Google Patents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826B1
KR102059826B1 KR1020180043163A KR20180043163A KR102059826B1 KR 102059826 B1 KR102059826 B1 KR 102059826B1 KR 1020180043163 A KR1020180043163 A KR 1020180043163A KR 20180043163 A KR20180043163 A KR 20180043163A KR 102059826 B1 KR102059826 B1 KR 10205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plate
clamp
brack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9783A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to KR102018004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826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02Cla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상기 브라켓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과,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그 전면에 형성된 걸이부; 그 중앙부에 형성된 홈; 및 그 후면에 상기 클램핑장치가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 후단에는 상기 클램핑장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oor hinge device having a mounting plat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unting plate fixed to the wall of the cabinet, a bracket bod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a door plate fixed to the door of the cabinet, a hinge portion for hingeably connecting the bracket body and the door plate, and In the door hinge device having a clamping device for coupling the bracket body to the mounting plate,
The bracket body includes an outer bracket connected to the door plate and an inner bracket inserted into the outer bracket and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The mounting plate, the hook portion formed on the front;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member on the rear surface of which the clamping device is releasably fixed.
Th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 is formed obliquely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clamping device.

Description

개선된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Door hinge device with improved mounting plate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본 발명은 개선된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운팅플레이트와 브라켓본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마운팅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 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inge device having an improved mounting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bracket body, and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late. A door hinge device having an improved mounting plate.

도 1은 종래 도어 힌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 힌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or hing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oor hinge.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힌지장치는 본체(1), 상기 본체(1)에 장착되며 수납장 벽체에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4) 및 상기 본체(1)에 연결되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2, the door hing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the mounting plate (4) mounted to the main body 1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wall and the main body (1) and installed in the door It consists of a door plate 5.

상기 도어힌지장치의 본체(1)는 하부에 걸고리(7)와 끼움돌기(8)가 형성되고, 후단에 클램프(9)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1 of the door hinge device has a hook 7 and a fitting protrusion 8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lamp 9 is provided at a rear end thereof.

상기 본체(1)는 외측브라켓(2)와 상기 외측브라켓(2)의 내부에 중첩되어 삽입되는 내측브라켓(3)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1 includes an outer bracket 2 and an inner bracket 3 inserted into and overlapped with the outer bracket 2.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는 대략 십자형태로 된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중첩되고, 4군데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통공(6)이 형성되며, 하부판(12)과 상부판(11)은 가이드핀(15) 및 볼트(14)로 결합된다.The mounting plate 4 overlaps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having a substantially cross shape, and has four through holes 6 for fastening bolts, and the lower plate 12 and the upper plate ( 11 is coupled to the guide pin 15 and the bolt (14).

즉, 상기 가이드핀(15)는 하부판(12)에 형성되어 상부판(11)의 장공을 통과해 결합되고, 상기 볼트(14)는 상부판(11)의 홈(도시되지 않았음)에 끼워져 하부판(12)에 결합된다.That is, the guide pin 15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12 to be coupled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upper plate 11, the bolt 1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not shown) of the upper plate 11 It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2.

상기 클램프(9)는 마운팅플레이트(4)의 상부판(11) 후면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8)이 클램프(9)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지나서, 내측브라켓(3)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짐으로써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8)을 기준으로 판스프링(19)이 U자형태로 구부러져서 설치될 수 있다.The clamp 9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or detach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mounting plate 4,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ivot shaft 18 is clamped 9. Passing through holes formed in both side portions of the, it is mounted by being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inner bracket (3). In addition, the leaf spring 19 may be bent in a U shape based on the rotation shaft 18.

따라서, 상기 클램프(9)는 상기 회동축(18)과 판스프링(19)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의 상부판(11) 후면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lamp 9 may be fixed to or detach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mounting plate 4 by the operation of the pivot shaft 18 and the leaf spring 19.

이때, 판스프링(19)은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힘을 많이 제공하여 작동시킬 때에는 판스프링이 완전히 접혀져서 판스프링의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복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f spring 19 is formed in a U-shape, when frequently used or providing a lot of force to operate when the leaf spring is completely folded can not function as a leaf spring, or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resilience is significantly reduced. have.

또한, 클램프(9)의 관통홀에 회동축(18)을 관통시켜서 최종적으로 내측브라켓(3)의 삽입홀에 회동축을 삽입하는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작업시간을 많이 소요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8 penetrates the through hole of the clamp 9 to finally insert the rotation shaft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inner bracket 3, which is quite inconvenient and takes a lot of work time.

또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의 상부판(11)과 하부판(12)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가이드핀(15)와 볼트(14)가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가이드핀(15)와 볼트(14)의 부품을 준비해야 하고 그들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들이 항상 필요한 상황이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uple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of the mounting plate 4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must have a guide pin 15 and the bolt (14). That is, the parts of the guide pin 15 and the bolt 14 should be prepared and workers were always required to assemble them.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4579호 (2011.03.17)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24579 (2011.03.17)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373호 (2013.04.30)2.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61373 (2013.04.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클램핑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oor hinge device having an improved mounting plate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durability and facilitat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lamping device to improve workability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hinge device having an improved mounting plate that can greatly improve workabil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는,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상기 브라켓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hinge device having a moun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late fixed to the cabinet wall, a bracket bod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a door plate fixed to the door of the storage cabinet In the door hinge device comprising a hinge portion for hingeably connecting the bracket body and the door plate, and a clamping device for coupling the bracket body to the mounting plate,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과,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을 포함하고,The bracket body includes an outer bracket connected to the door plate and an inner bracket inserted into the outer bracket and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그 전면에 형성된 걸이부; 그 중앙부에 형성된 홈; 및 그 후면에 상기 클램핑장치가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The mounting plate, the hook portion formed on the front;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member on the rear surface of which the clamping device is releasably fixed.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 후단에는 상기 클램핑장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 is formed obliquely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clamping device.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상부판과 하부판을 중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 날개부의 테두리를 압착한 압착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the state overlapping the upp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rough the compression coupling portion that crimps the edge of the wing portion.

상기 내측브라켓은 그 후단 상부면에 후방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지지부로부터 하단 양측에는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걸림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The inner bracket has a rear support portion at its rear end upper surface, and a hook recess having a part partially open from the rear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both lower ends thereof.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걸림요부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클램프;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mping device includes a clamp rotatably seated on the engaging recess; And a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rear support part and mounted to the clamp.

상기 클램프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클램프를 눌러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작동부의 하부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걸림구; 상기 클램프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요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축; 및 상기 클램프가 상기 내측브라켓의 후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mp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o seat the coil spring; An actuating part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to press and actuate the clamp; A hook catching hol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eating part and the operating part to be integrally form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of the mounting plate; A catch shaf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amp and inserted into the catch recess; And a stopper to stop the clamp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bracket.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후방지지부와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면에 위치하는 상부탄성부; 상기 상부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지지부에 접하는 중앙탄성부; 및 상기 중앙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하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il spring may include an upper elastic part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art and the outer bracket; A central elastic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lastic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rear support part; And a lower elastic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ral elastic part and seated on a seating part of the clamp.

상기 클램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탄성부, 상기 중앙탄성부 및 상기 하부탄성부를 일체로 형성하고,The upper elastic part, the central elastic part, and the lower elastic part are integrally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clamp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상부탄성부와 상기 중앙탄성부는 U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후방지지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lastic portion and the central elastic portion forms a U-shape and is fitted to the rear support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팅플레이트에 도어 힌지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하는 도어 힌지의 클램핑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lamping device of the door hinge used when mounting or detaching the door hinge on the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the clamping device ha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팅플레이트의 부품수를 줄여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workabil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of the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팅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운팅플레이트와 브라켓본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late ha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bracket body.

도 1은 종래 도어 힌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도어 힌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도어 힌지에서 클램핑구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종래 도어 힌지를 후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가 설치된 도어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장치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마운팅플레이트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를 마운팅플레이트에 장착하는 동작을 구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or hing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oor hinge.
3 is a photograph showing a clamping structure in a conventional door hinge.
4 is a photograph taken from the rear of the conventional door hing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hinge is installed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mounting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mounting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pecifies that the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ly understoo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xaggerated or simplified part of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and clarity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가 설치된 도어 힌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장치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마운팅플레이트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hinge with a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a mounting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의 클램핑장치는, 크게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30),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20),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25), 상기 브라켓본체(20)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6), 및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상기 브라켓 본체(20)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clamping device of the door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30 is largely fixed to the wall of the cabinet, the bracket body 20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30 ), A door plate 25 fixed to the door of the cabinet, a hinge portion 26 to hingeably connect the bracket body 20 and the door plate, and the bracket body 20 to the mounting plate 30. It includes a clamping device 130 for coupling.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와 상기 브라켓본체(20)가 결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브라켓본체(20)의 하부에 걸고리(41)와 끼움돌기(43)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클램핑장치(13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전면에는 걸이부(4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홈(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130)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후단에는 고정부재(49)가 형성되어 있다. Looking at how the mounting plate 30 and the bracket body 20 are coupled, the hook 41 and the fitting protrusion 43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20, the clamping device ( 130) is installed. And, correspondingly, a hook portion 45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0, a groove 47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the mounting plate 30 corresponds to the clamp 130.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49 is formed.

따라서, 상기 브라켓본체(20)의 걸고리(41)를 상기 걸이부(45)에 걸은 상태에서 브라켓본체(20)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끼움돌기(43)가 상기 홈(47)에 삽입되어 위치가 결정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클램핑장치(130)가 상기 고정부재(49)에 걸림으로써, 상기 브라켓본체(20)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bracket body 20 is pressed downward while the hook 41 of the bracket body 20 is hooked to the hook part 45, the fitting protrusion 43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7 so that the position thereof is fixed. When the clamping device 130 is finally fixed to the fixing member 49, the bracket body 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30.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본체(20)는 도어플레이트(25)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21)과, 상기 외측브라켓(21)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23)을 구비한다.In more detail, the bracket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outer bracket 21 connected to the door plate 25, the inner bracket 21 is disposed inside and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30. It is provided with an inner bracket (23).

상기 내측브라켓(23)은 하부에 걸고리(41)와 끼움돌기(4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측브라켓(23)은 그 후단 상부면에 후방지지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지지부(22)로부터 하단 양측에는 걸림요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요부(210)는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걸림요부(210)에는 축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The inner bracket 23 has a hook 41 and a fitting protrusion 42 at the bottom. In addition, the inner bracket 23 is provided with a rear support portion 220 on the rear end upper surface, and the engaging recess 2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from the rear support portion 22. The hook recess 210 is formed by partially opening the hook recess 210, and a shaft is inserted into the hook recess 210.

상기 클램핑장치(130)는 크게 상기 걸림요부(210)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클램프(110)와, 상기 후방지지부(220)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110)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120)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클램프(110)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클램프(11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lamping device 130 includes a clamp 110 that is largely rotatably seated on the engaging recess 210, and a coil spring 120 inserted into the rear support part 220 and mounted to the clamp 110. do. The coil spring 120 serves to allow the clamp 11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lamp 110 is fixed or detached from the mounting plate 20.

상기 클램프(110)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을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15), 상기 클램프(110)를 눌러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부(115)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부(113), 상기 안착부(115)와 상기 작동부(113)의 하부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고정부재(49)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걸림구(111), 상기 클램프(11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요부(21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축(117) 및 상기 클램프(110)가 상기 내측브라켓(23)의 후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119)를 포함한다.The clamp 110 is an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115 to press the clamp 110, the seating portion 115 formed on the upper portion for seating the coil spring 120 Hook 113 is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113, the seating portion 115 and the operating unit 113 is formed integral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49 of the mounting plate 30. ), Which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lamp 110 to allow the locking shaft 117 and the clamp 110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recess 210 and to stop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bracket 23. And a stopper 119.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후방지지부(220)와 상기 외측브라켓(21)의 내면에 위치하는 상부탄성부(121), 상기 상부탄성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지지부(220)에 접하는 중앙탄성부(123) 및 상기 중앙탄성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110)의 안착부(115)에 안착되는 하부탄성부(12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lastic portion 121 and the upper elastic portion 121 loca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220 and the outer bracket 21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 It includes a central elastic portion 123 in contact with the 220 and the lower elastic portion 125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ral elastic portion 123 and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5 of the clamp 110.

상기 상부탄성부(121)와 상기 중앙탄성부(123)는 U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후방지지부(220)에 끼워지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탄성부(121), 상기 중앙탄성부(123) 및 상기 하부탄성부(125)는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클램프(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part 121 and the central elastic part 123 may have a U shape and may be fitted to the rear support part 220. The upper elastic part 121, the central elastic part 123, and the lower elastic part 125 may be integrally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clamp 110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고정부재(49)의 상부면 후단에는 비스듬히 모따기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따기부(49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램프(110)의 후크걸림구(111)가 가압되어 상기 고정부재(49)에 결합될 때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an oblique chamfer 49a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49 of the mounting plate 30. Since the chamfer 49a is formed, the hook catching holes 111 of the clamp 110 are easily pressed when they ar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49.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는 대략 T자 형태로 된 상부판(31)과 하부판(32)이 중첩되고, 결합볼트(미도시)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31)의 날개부 양측에는 각각 수평장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32)의 날개부 양측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장공(34)의 타원형 상하폭은 상기 결합볼트(미도시)의 헤드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헤드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8 and 9, the mounting plate 30 overlaps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having an approximately T-shape, and fastens a coupling bolt (not shown). Horizontal long holes 34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wings of the upper plate 31, and through holes 3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wings of the lower plate 32.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oval width of the horizontal long hole 34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head portion of the coupling bolt (not shown).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을 겹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장공(34)과 관통공(33)을 지나서 수납장의 벽체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coupling bolt is screwed to the wall of the cabinet through the horizontal long hole 34 and the through hole 33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overlap.

이때,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을 중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31) 날개부의 테두리를 압착한 압착결합부(35)를 통해서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볼트나 가이드핀이 필요없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overlap,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through the crimping coupling portion 35 that crimped the edge of the wing of the upper plate 31. Can be combined. By having such a structu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bolt or guide pin for coupling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도어 힌지의 클램핑장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 of the clamping device of the door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내측브라켓(23)의 후방에 설치된 클램핑장치(130)를 통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장착할 때, 먼저 내측브라켓(23)의 걸고리(41)를 상기 걸이부(45)에 걸고 내측브라켓(23)의 끼움돌기(43)를 상기 홈(47)에 삽입한다.When mounting to the mounting plate 30 through the clamping device 13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inner bracket 23, first hook the hook 41 of the inner bracket 23 to the hook portion 45 and the inner bracket ( The fitting protrusion 43 of 23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7.

그 상태에서, 상기 내측브라켓(23)의 후방을 계속해서 누르면 상기 클램프(110)의 후크걸림구(111)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고정부재(49)의 모따기부(49a)에 접촉하기 시작하고, 최종적으로는 후크걸림구(111)가 고정부재(49)에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후크걸림구(111)의 걸림동작이 계속될 수 있는 것이다.In such a state, the hook latching opening 111 of the clamp 110 contacts the chamfer 49a of the fixing member 49 of the mounting plate 30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rear of the inner bracket 23. At first, the hook catching hole 111 may be completely fixed to the fixing member 49 and the catching operation of the hook catching hole 111 may be continued by the tension of the coil spring 120. will be.

이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10)의 작동부(113)를 상부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상기 클램프(110)의 후크걸림구(111)가 상기 고정부재(49)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ng portion 113 of the clamp 110 is pressed upward, the hook catching hole 111 of the clamp 110 can be released from the fixing member 49.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equivalent threading As the examples may be chang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브라켓 본체 21: 외측브라켓
23: 내측브라켓 25: 도어플레이트
26: 힌지부 30: 마운팅플레이트
31: 상부판 32: 하부판
41: 걸고리 43: 끼움돌기
45: 걸이부 47: 홈
49: 고정부재 49a: 모따기부
110: 클램프
111: 후크걸림구 113: 작동부
115: 안착부 117: 걸림축
119: 스톱퍼 120: 코일스프링
121: 상부탄성부 123: 중앙탄성부
125: 하부탄성부 130: 클램핑장치
210: 걸림요부 220: 후방지지부
20: bracket body 21: outer bracket
23: inner bracket 25: door plate
26: hinge portion 30: mounting plate
31: upper plate 32: lower plate
41: Hook 43: Fitting
45: hanger 47: home
49: holding member 49a: chamfer
110: clamp
111: hook catching hole 113: operating part
115: seating portion 117: locking shaft
119: stopper 120: coil spring
121: upper elastic portion 123: central elastic portion
125: lower elastic portion 130: clamping device
210: hook recess 220: rear support

Claims (6)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상기 브라켓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과,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그 전면에 형성된 걸이부; 그 중앙부에 형성된 홈; 및 그 후면에 상기 클램핑장치가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 후단에는 상기 클램핑장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모따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브라켓은 그 후단 상부면에 후방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지지부로부터 하단 양측에는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걸림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걸림요부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클램프;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
A mounting plate fixed to the wall of the cabinet, a bracket bod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a door plate fixed to the door of the cabinet, a hinge portion for hingeably connecting the bracket body and the door plate, and the mounting plate. In the door hinge device having a clamping device for coupling the bracket body,
The bracket body includes an outer bracket connected to the door plate and an inner bracket inserted into the outer bracket and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The mounting plate, the hook portion formed on the front;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member on the rear surface of which the clamping device is releasably fixed.
An oblique chamfer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clamping device.
The inner bracket has a rear support portion at its rear end upper surface, and a hook recess having a part partially open from the rear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both lower ends thereof.
The clamping device,
A clamp seated rotatably on the catch recess; And
And a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rear support part and mounted to the cla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T자 형태로 된 상부판과 하부판을 중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 날개부의 테두리를 압착한 압착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the state of overlapping the T-shape,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rough a crimping coupling portion squeezed the edge of the upper plate wing portion Door hinge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클램프를 눌러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작동부의 하부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걸림구;
상기 클램프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요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축; 및
상기 클램프가 상기 내측브라켓의 후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amp is,
A sea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o seat the coil spring;
An actuating part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to press and actuate the clamp;
A hook catching hol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eating part and the operating part to be integrally form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of the mounting plate;
A catch shaf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amp and inserted into the catch recess; And
And a stopper to allow the clamp to stop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bracket.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후방지지부와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면에 위치하는 상부탄성부;
상기 상부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지지부에 접하는 중앙탄성부; 및
상기 중앙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하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coil spring is,
An upper elastic part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art and the outer bracket;
A central elastic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lastic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rear support part; And
And a lower elastic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ral elastic part and seated on a seating part of the clamp.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탄성부, 상기 중앙탄성부 및 상기 하부탄성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탄성부와 상기 중앙탄성부는 U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후방지지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어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lastic part, the central elastic part, and the lower elastic part are integrally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clamp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upper elastic portion and the central elastic portion is a U-shaped door hinge device having a mount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itted to the rear support.
KR1020180043163A 2018-04-13 2018-04-13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KR102059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63A KR102059826B1 (en) 2018-04-13 2018-04-13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63A KR102059826B1 (en) 2018-04-13 2018-04-13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83A KR20190119783A (en) 2019-10-23
KR102059826B1 true KR102059826B1 (en) 2019-12-27

Family

ID=6846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63A KR102059826B1 (en) 2018-04-13 2018-04-13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82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449Y1 (en) * 1999-03-19 2000-07-01 하봉갑 H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498B2 (en) * 1995-06-21 2000-07-3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Hinge
KR200174041Y1 (en) * 1998-03-26 2000-03-02 김태환 Structure of a door hinge
KR101024579B1 (en) 2009-03-16 2011-03-31 (주)문주하드웨어 Mounting Plate for Door Hinge
KR101261373B1 (en) 2012-04-30 2013-05-06 (주)문주하드웨어 Damper hinge apparatus of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449Y1 (en) * 1999-03-19 2000-07-01 하봉갑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83A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669A (en) Connection device of a computer connection
US6594861B2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080250604A1 (en) Elastic device of a hinge
US9723931B2 (en) Sleeve for installing hinge
KR102059826B1 (en) Door hinge device having improved mounting plate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US20090264005A1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down indicator preventing overstressing
KR101862063B1 (en) Clamping device of door hinge
KR20200009557A (en) Hinge device for door
JP2007128789A5 (en)
EP0326481B1 (en) Clip-shaped unit and assembly making use thereof
CN112908182B (en) Corner structure of screen device
US7985934B2 (en) Clothes dryer
JPH09280217A (en) Fixture
JP3763949B2 (en) Slide hinge
CN215409633U (en) Buckle assembly and control panel
JP2009256984A (en) Supporting structure of folding door
CN218509220U (en) Pressing fixing device for door handle of switch box suitable for different box door plate thicknesses
KR101741434B1 (en) Windshield Wiper Blade
JP2000120259A (en) Access hole device for ceiling
KR102598170B1 (en) Opeining control device for a hinged door
JP2011003295A (en) Terminal block
CN210798650U (en) Fast-assembling connector, transfer line, coupling assembling and door and window structure
KR920006095Y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door
KR20200009546A (en) Fine position adjustable hinge device f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