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729B1 - Grating module - Google Patents

Grat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729B1
KR102059729B1 KR1020170160789A KR20170160789A KR102059729B1 KR 102059729 B1 KR102059729 B1 KR 102059729B1 KR 1020170160789 A KR1020170160789 A KR 1020170160789A KR 20170160789 A KR20170160789 A KR 20170160789A KR 102059729 B1 KR102059729 B1 KR 10205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water
grating
block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1914A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17016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729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된 오물수거부와, 상기 오물수거부 상부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 외부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이격된 부위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물침투블럭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a partition wall provided cross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 sewage collecting part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s the inner space part is detachably installed and the grating part and the partition wall installed to close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te collecting part; The water penetrating block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par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wall and the partition wall,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is formed so that water penetrates inward from the outside and flows to the part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part. It provides a grating module.

Description

그레이팅 모듈{Grating module}Grating module

본 발명은 배수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그레이팅 및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module having a slope grating and a slope grating.

일반적으로 도로 양측부에는 배수로가 도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배수로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집수부가 설치된다.In general, drainage passages are installed along both sides of the road, and the drainage passage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집수부의 상측 개방부에는 빗물 등에 의해 함께 쓸려오는 주위의 나뭇잎이나 비닐지 등의 비교적 큰 협잡물의 유입을 막고, 차량이나 통행인이 집수부로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한 그레이팅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is provided with a grating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relatively large contaminants such as leaves or vinyl paper, which are swept together by rainwater, and preventing the vehicle or a pedestrian from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unit.

이와 같은 그레이팅은 일반적으로,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고, 주철제로 만들어 지며,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구조를 하고 있다.Such gratings are generally installed on roads, residential complexes, subways, etc., made of cast iron, and have a plurality of rectangular lattice structures.

한편,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기상이후가 발생하고 있는데, 국내의 경우에 있어서도, 종전과는 달리 매년 장마기간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은 물론 장마와는 상관 없이도 불규칙적으로 국지성 호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global warming has caused weather after the weather. In Korea, the rainy season is irregular every year, unlike in the past, and local rain is often irregular regardless of the rainy season. Doing.

이와 같은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기후가 온대에서 아열대로 바뀌고 있음과 동시에 앞으로도 한반도는 북쪽에서 찬공기가 남하, 기층이 불안정해져 국지성 호우 형태의 많은 비가 내리는 경향을 자주 보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Due to such anomalous weather, our climate is changing from temperate to subtropical, and in the future, the Korean Peninsula forecasts that the cold air will be in the south and the base will be unstable, so that many rains in the form of local torrential rain will frequently fall.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그레이팅(1)은, 도 1에서와 같이, 협잡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리브(2) 및 배수홀(3)이 구비된 격자 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테두리부(4) 내측에 구비된 형태를 이룬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grating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the outer edge portion 4 is made of a rectangular rectangular grid structure having ribs 2 and drainage holes (3) for preventing the entry of contaminants Formed form provided on the inside.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잦아지고 있는 한번에 많은 양의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큰 흐름을 일으키는 빗물이 도로변을 따라 빠른 속도로 흐르게 되는데 관성력에 의하여 평면 형태로만 되어 있는 종래의 그레이팅(1)은 그대로 빗물이 지나쳐 실제적으로 상기 집수부(7)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배수는 많지가 않았다. 이는 곧 배수효율의 저하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서 저수지의 침수나 도로침수 등을 불러오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로서 배수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였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heavy rains falling in recent times, a large amount of heavy rain falls at a time, as shown in FIG. 2, the rainwater causing a large flow flows along the roadside at a high speed. In the conventional grating 1, as the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drainage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art 7 is not much. This means that the drainage efficiency is lowered, and thus, the flooding of the reservoir and the flooding of roads are called.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technology related to grating that can dramatically improve drainage performance as a new form.

한국등록특허 제10-0771999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7199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집중호우 등 많은 비가 한꺼번에 내리는 경우에도 배수효율이 종전 대비 획기적으로 개선되도록 구성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ting configured such that the drainage efficiency is drastically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even when a lot of rain such as a heavy rain falls at once.

둘째, 본 발명은 배수홀의 배치 및 집수구조를 개선하여 배수효율을 증대시킨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module having a grating which improves the drainage efficiency by improving the arrangement of the drainage hole and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된 오물수거부와, 상기 오물수거부 상부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 외부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이격된 부위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물침투블럭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모듈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a partition wall provided to cross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n the upper side toward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nd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detached from the partition wall and is formed to have an internal spac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waste collecting portion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and installed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waste collecting portion. The grating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th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at a predetermined state and the water penetrat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It provides a grating module comprising a water penetrating block formed to flow.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바닥유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ottom passag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flow path portion for allowing water to flow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오물수거부와의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상기 물침투블럭과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 물이 직접 유동하도록 하는 중앙유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entral flow path for direct flow of water from the space port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ste coll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penetrating block.

또한, 상기 그레이팅부와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상부폐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레이팅부 상부면과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면과 상기 상부폐쇄부 상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폐쇄부는 상기 구획벽과 기 설정된 이격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ting portion and the upper clos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across the top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is further provided,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and the upper closed portion is configured in parallel, the upper The closing part may achie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구획벽은 양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구획벽과 제2구획벽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sid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경사 그레이팅 및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radient grating and the slope grating drain modul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의 그레이팅 모듈에 의하면 받침부 내부에 형성되는 바닥유로부 및 제 1 이격공간, 구획벽과 오물수거부 및 물침투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이격공간, 구획벽에 형성되는 중앙유로부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분산되어, 비가 많이 내려 유량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유체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gra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flow path portion and the first separ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the second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dirt collection unit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the central flow path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The flow of fluid is dispersed by the portion, and even if the rain drops so much that the flow rate can be smoothly drained.

둘째, 본 발명의 그레이팅 모듈에 의하면 각 구성요소들을 배수구에 차례로 삽입하여 조립 또는 모듈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gra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or modularized by inserting each component in the drain in or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셋째, 본 발명의 그레이팅 모듈에 의하면, 도로의 블록부측으로 지지블록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블록부 측으로도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빗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지지블록부 측으로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당량의 빗물 배수 유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ird, according to the gra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lock portion is provided on the block portion side of the road, and the drainage is also made to the support block portion side so that a larger amount of rainwater can be trea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xpect a significant amount of rainwater drainage induction effect by forming the grating inclined toward the support block.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을 타나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따른 그레이팅이 적용된 배수모듈을 통하여 집중호우 시 빗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지지블록부가 더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ratin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raining rainwater during a heavy rain through the drainage module to which the grating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modu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t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porti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irs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결합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은 배수구(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오물수거부(150), 그레이팅부(180), 물침투블럭(170), 받침부(110) 및 구획벽(1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g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rain 10,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the grating unit 180,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the support 110, and the partition wall 130.

오물수거부(150)는 비교적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는 부분으로서, 오물이 수집되는 내부공간부(152)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부(150)의 각 면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를 통해 오물수거부(150)로 유입된 오물은 부피가 큰 이물질은 오물수거부(150) 내에 남아있고, 흙, 먼지와 같은 입자가 작은 이물질과 유체는 배출홀(153)을 통하여 오물수거부(1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부(150)에는 손잡이(155)가 형성되어 오물수거부(150)의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is a portion in which a relatively bulky waste is collected, and an inner space portion 152 through which waste is collected is formed, and may have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153 through which fluid is discharged may be formed at each surface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That is,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through the opening remains in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in a bulky volume, and foreign matter and fluid having small particles such as soil and dust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3.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handle 155 is formed in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so that the separation and cleaning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may be facilitated.

그레이팅부(180)는 오물수거부(150)의 개구부를 덮는 것으로서, 그레이팅부(180)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부 내에 복수의 리브가 격자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레이팅부(180)는 오물수거부(150)의 상단에 마련되어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grating part 180 covers the opening of the dirt collecting part 150, and the grating part 18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ib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in a rectangular edge part. The grating unit 18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to prevent the inflow of contaminants.

물침투블럭(170)은 유체나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수거되는 부분으로, 오물수거부(150)와는 달리 개구된 면은 존재하지 않되, 모든 면에는 침투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침투홀(175)은 배출홀(153)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에 형성된 침투홀(175)을 통해 유체와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물침투블럭(170)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면에 형성된 침투홀(175)을 통해 유체와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침투블럭(170)은 배수구(10)에 오물수거부(150)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is a portion in which foreign matters having small fluids or particles are collected, and unlike the dirt collection unit 150, there is no open surface, but penetration holes 175 may be formed on all surfaces. The penetration hole 175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scharge hole 153. Therefore, foreign matter and small particles are introduced into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17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and the fluid and particles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175 formed on the remaining surface. Small foreign mat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in the drain 10, i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오물수거부(150)의 상부의 그레이팅부(180)와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물수거부(150)의 상단부는 물침투블럭(17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며, 오물수거부(150)의 상부에 그레이팅부(180)를 설치하면 그레이팅부(180)와 물침투블럭(170)의 높이가 같아질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이팅부(180)와 물침투블럭(170) 사이에는 상부폐쇄부(185)가 더 마련되며, 그레이팅부(180), 상부폐쇄부(185),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레이팅부(180), 상부폐쇄부(185),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그레이팅부(180)와 상부폐쇄부(18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18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may be located on the same height.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of the waste collecting unit 150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and when the grating unit 18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te collecting unit 150, the grating unit 180 and the water penetrating unit The height of the block 170 can be the same. In addition, an upper closure part 185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grating part 180 and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grating part 180, the upper closure part 185, and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are the same. May be located on a height.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part 180, the upper closing part 185,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may form a plane. Here, the grating portion 180 and the upper closure portion 185 may be integrally formed.

받침부(110)에는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이 놓일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10)에는 배수로와 연결되어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배수로로 흐를 수 있는 제 1 이격공간(117)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부(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와,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의 양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에는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배수로로 흐를 수 있는 제 1 이격공간(117)이 형성되며, 한 쌍의 연결부재에는 제 1 이격공간(117) 및 배수로와 연통되는 바닥유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에 놓인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제 1 이격공간(117) 및 바닥유로부(112)를 통해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The soil collecting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may be placed on the supporting unit 110. In addition, the suppo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eparation space 117 connected to the drainage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waste collecting part 150 and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may flow into the drainage path. In more detail, the support 11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nd a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directly supporting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a pair It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member 113 of. Between the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a first separation space 117 through whic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wast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flows to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and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The bottom flow path 112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eparation space 117 and the drainage passage. As a result,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dirt collecting part 15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placed on the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may have a small amount of foreign matter, such as the first separation space 117 and the bottom flow path part 112. You can go to the drain through.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에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구획벽(1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벽(130)은 측면 지지부재(113) 상에 놓인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부폐쇄부(185)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구획벽(130)은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와는 접하되, 오물수거부(150), 물침투블럭(170) 및 상부폐쇄부(185)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2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구획벽(130)과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 사이에 형성된 제 2 이격공간은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이동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벽(130)의 중앙부에는 구획벽(130)을 관통하는 중앙유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유로부(135)는 제 2 이격공간의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켜 유량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벽(130)은 바닥과도 이격되어 바닥유로부(112)가 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오물수거부의 배출홀 및 물침투블럭의 침투홀을 통해 배출된 유체는 제 1 이격공간(117), 제 2 이격공간, 중앙유로부(135), 바닥유로부(112)로 분산되어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비가 많이 내려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도 배수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A partition wall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to cross the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placed on the side support member 113, and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closure part 185. However, the partition wall 130 i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dirt collection unit 150,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and the upper closing portion 185 by a second distance space The second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30,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may be a flow path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having a small amount of fluid and particles moves. In addition, a central flow path part 135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130 may b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30. The central channel 135 may disperse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econd separation space to prevent concentration of the flow rate.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secure a space that becomes the bottom flow path part 112. As a result,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and the penetration hole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is dispersed into the first separation space 117, the second separation space, the central flow passage 135, and the bottom flow passage 112. Can move to drains. Thus, even if the amount of fluid is drastically increased due to a lot of rain, the drainage efficiency may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g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의 설치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stallation of the g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 the following order.

먼저, 배수구(10)에 받침부(110)를 삽입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배수구(10)에 삽입 전 측면 지지부재(113)와 연결부재가 조립된 상태로 배수구(10)에 삽입될 수 있다. 구획벽(130)은 배수구(10)에 받침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받침부(110)를 배수구(10)에 삽입하기 전에 측면 지지부재(113)와 연결부재 조립 시 구획벽(130)을 함께 조립한 상태로 받침부(110)가 배수구(10)에 삽입될 수도 있다.First, the suppor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drain 10. The suppor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drain 1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member 113 and the connection member are assembled before insertion into the drain 10. The partition wall 1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13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drain 10. Alternatively, the support 110 is inserted into the drain 10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130 is assembled together when the side support member 113 and the connection member are assembled before the support 110 is inserted into the drain 10. May be

받침부(110) 및 구획벽(130)의 삽입이 완료되면, 구획벽(130)의 양 측에 각각 오물수거부(150)와 물침투블럭(17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부(150)의 상부에 그레이팅부(180)를 설치하고, 구획벽(130)의 상부에 구획벽(130)과 이격되도록 상부폐쇄부(185)를 설치할 수 있다. 그레이팅부(180)와 상부폐쇄부(185)의 설치 순서는 어떤 것이 먼저 실시되어도 무방하다.When the insertion of the supporting unit 110 and the partition wall 130 is completed, the dirt collection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3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grating part 18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waste collection part 150, and the upper closing part 185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 130 at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30. The installation order of the grating portion 180 and the upper closure portion 185 may be any fir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uid of the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에 의하면 우수, 오수와 같은 유체와 낙엽,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은 배구수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로 유입되는데, 특히 입자가 큰 이물질인 낙엽, 쓰레기 등은 그레이팅부(180)를 통하여 오물수거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입자가 작은 이물질인 흙, 먼지 등은 침투홀(175)을 통하여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우수, 오수와 같은 유체는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 어디든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ating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eign matters such as fluid, such as rainwater and sewage, and fallen leaves, garbage, and soil are introduced into the grating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installed in volleyball water. , Garbage, etc.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through the grating unit 180. In addition, dirt, dust, and the like, which are small particl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175. In addition, fluids such as rainwater and sewage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on block 170.

유체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오물수거부(150)에 수집된 유체 및 이물질 중 유체는 오물수거부(150)의 하부에 위치한 배출홀(153)을 통하여 오물수거부(150) 외부로 배출되고, 오물수거부(150)에는 이물질만 남을 수 있다. 그리고,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된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물침투블럭(170)의 하부에 위치한 침투홀(175)을 통하여 물침투블럭(1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체가 받침부(110) 내의 제 1 이격공간(117) 및 바닥유로부(112)를 통하여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55)를 이용하여 배수구(10)로부터 오물수거부(150)를 분리하여 오물수거부(150)에 남은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the fluid is not large, the fluid collected in the waste collecting unit 150 and the fluid among the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te collecting unit 15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3 located below the waste collecting unit 150. , Dirt collection unit 150 may remain only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and the foreign matter having a small particl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175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The fluid may move to the drainage path through the first space 117 and the bottom flow path 112 in the support 110. In addition, the dirt collection unit 150 may be separated from the drain 10 using the handle 155 to clean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dirt collection unit 150.

그러나, 비가 많이 내려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는 오물수거부(150)에 수집된 유체 및 이물질 중 유체는 오물수거부(150)의 모든 면에 위치한 배출홀(153)을 통하여 오물수거부(150) 외부로 배출되고,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된 유체 및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물침투블럭(170)의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위치한 침투홀(175)을 통하여 물침투블럭(1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물수거부(150) 및 물침투블럭(170)의 외부로 배출된 유체는 제 1 이격공간(117), 제 2 이격공간, 중앙유로부(135), 바닥유로부(112)를 통하여 배수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비가 많이 내려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도 배수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mount of fluid is drastically increased due to a lot of rain, the fluid collected in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and the fluid among the foreign matters are collect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3 located on all sides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 150)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ntroduced to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is a small particle foreign matter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175 located on all surfaces except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and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is a drainage path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space 117, the second separation space, the central flow passage 135, the bottom flow passage 112 I can move it. Thus, even if the amount of fluid is drastically increased due to a lot of rain, the drainage efficiency may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지지블록부가 더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porti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에는 지지블록부(1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배수구(10)는 도로의 가변에 위치하며, 빗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의 가변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약간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블록부(197)는 도로의 가변 측에 위치하며,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로 가변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린 유체를 가로막아 오물수거부(150) 또는 물침투블럭(17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상당량의 유체 배수 유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grating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block portion 197. In general, the drain 10 of the road is located in the variable of the road,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the rain water may be formed inclined downward slightly toward the outside of the variable portion. The support block portion 197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located on the variable side of the road,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top to block the fluid flowing down the slope of the variable road flows into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or water penetrating block 170 It can be done. Thereby, a considerable amount of fluid drainage in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g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하,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t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모듈(100)은 오물수거부(150), 그레이팅부(180), 물침투블럭(170), 받침부(110) 및 구획벽(2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g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 collection unit 150, a grating unit 180, a water penetration block 170, a support unit 110, and a partition wall. 230.

여기서, 오물수거부(150), 그레이팅부(180), 물침투블럭(170) 및 받침부(1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 collection unit 150, the grating unit 180, the water penetrating block 170 and the support unit 11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의 구획벽(230)은 제 1 구획벽, 제 2 구획벽(230)으로 분리되며, 제 1 구획벽과 제 2 구획벽(230)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 1 구획벽과 제 2 구획벽(230) 사이에 제 3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이격공간은 제 1 이격공간(117), 제 2 이격공간, 중앙유로부(135) 및 바닥유로부(112)와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에 유량이 집중되는 경우 이를 분산할 수 있다.However, the partition wall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230,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third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walls 230. The third spaced spac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d space 117, the second spaced space, the central flow path part 135, and the bottom flow path part 112 so that the flow rate is concentrated in one flow path.

본 실시예에서 그레이팅 모듈(100)의 설치와,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모듈(100)을 통한 배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nstallation of the grating module 100 and the drainage process through the grating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배수구 100: 그레이팅 모듈
110: 받침부 112: 바닥유로부
113: 측면 지지부재 117: 제 1 이격공간
130: 구획벽 135: 중앙유로부
150: 오물수거부 152: 내부공간부
153: 배출홀 155: 손잡이
170: 물침투블럭 175: 침투홀
180: 그레이팅부 185: 상부폐쇄부
197: 지지블록부 230: 제 1, 2 구획벽
235: 중앙유로부
10: drain port 100: grating module
110: base portion 112: bottom flow path
113: side support member 117: first separation space
130: partition wall 135: central flow path
150: garbage collection 152: internal space
153: discharge hole 155: handle
170: water penetration block 175: penetration hole
180: grating portion 185: upper closure portion
197: support block portion 230: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235: Central Eurozone

Claims (5)

판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된 오물수거부;
상기 오물수거부 상부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상부에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구획벽과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 외부로부터 물이 내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이격된 부위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물침투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바닥유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오물수거부와의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상기 물침투블럭과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로 물이 직접 유동하도록 하는 중앙유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레이팅부와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상부폐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레이팅부 상부면과 상기 물침투블럭 상부면과 상기 상부폐쇄부 상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폐쇄부는 상기 구획벽과 기 설정된 이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그레이팅 모듈.
Plate-shaped support;
A partition wall provided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removable space is installed on the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relative to the partition wall and detach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A waste collection unit provided;
A grating part installe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waste collecting part; And
Water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at an upper sid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nd the water is formed so that water penetrates inward from the outside to flow to a spaced por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Infiltration block,
The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bottom flow path for allowing water to flow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herein,
The partition wall further includes a central flow path portion for allowing water to flow directly from the spac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waste collection portion to the spac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penetration block.
The grating portion and the upper clos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is further provided,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penetrating block and the upper closing portion is configured in parallel, the upper closing portion Grating module to achieve a predetermined spaced state with the partition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양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구획벽과 제2구획벽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wall is separated into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disposed to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Grating module.
KR1020170160789A 2017-11-28 2017-11-28 Grating module KR102059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89A KR102059729B1 (en) 2017-11-28 2017-11-28 Gra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89A KR102059729B1 (en) 2017-11-28 2017-11-28 Gratin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14A KR20190061914A (en) 2019-06-05
KR102059729B1 true KR102059729B1 (en) 2019-12-26

Family

ID=6684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789A KR102059729B1 (en) 2017-11-28 2017-11-28 Grat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7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869A1 (en) * 2003-05-12 2004-11-18 Mcclure Stewart D. Stormdrain curb-inlet multi-stage filtration-unit
KR101217390B1 (en) * 2010-06-21 2012-12-31 (주)이앤씨 Purifier for manho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99B1 (en) 2004-05-20 2007-10-31 김상돈 Gra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869A1 (en) * 2003-05-12 2004-11-18 Mcclure Stewart D. Stormdrain curb-inlet multi-stage filtration-unit
KR101217390B1 (en) * 2010-06-21 2012-12-31 (주)이앤씨 Purifier for manh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14A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055B1 (en) Rain receptacle
KR100935102B1 (en) Offensive odor and counterflow cutoff of drain
KR100976852B1 (en) Drain box
KR101102576B1 (en) Collect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for manhole
KR20090007395U (en) Mounting structure of Filter for grate
KR101400081B1 (en) Drain module having slope grating
KR101215995B1 (en) Drain system for rainwater and polluted water
US20130292315A1 (e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626502B1 (en) Drain System for road having plug-prevent function
KR102301318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KR102059729B1 (en) Grating module
KR101639377B1 (en) Rainwater storage structure of Low Impact Development
KR102026939B1 (en) Grating structure
KR20090017869A (en) Road boundary block with sluice gate
KR101627561B1 (en) Multi-function gully hole cover)
KR100623426B1 (en) Box structure installed at road
KR101865202B1 (en) Pretreatment apparatuse of rainwater drainage facility
JP2006322148A (en) Underground storage permeation facility of rainwater
KR20090108277A (en) Waste trap
KR101356964B1 (en) Catchment well for road
KR20090008698A (en) Multipurpose bucket
KR100951061B1 (en) Street inlet of side ditch on the street of a city
KR200239951Y1 (en) Rainfall support lid and support frame
KR200327756Y1 (en) Draining structure of a road
KR20060070948A (en)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