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596B1 -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596B1
KR102059596B1 KR1020130142704A KR20130142704A KR102059596B1 KR 102059596 B1 KR102059596 B1 KR 102059596B1 KR 1020130142704 A KR1020130142704 A KR 1020130142704A KR 20130142704 A KR20130142704 A KR 20130142704A KR 102059596 B1 KR102059596 B1 KR 10205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nfc
vdm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9290A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596B1/en
Publication of KR2015005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제 2 단말기(또는 제 1 단말기)에서 통신모듈(예; NFC, WiFi)을 통해 제 1 단말기(또는 제 2 단말기)로 통화 수발신을 제어함은 물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2 단말기 또는 제 1 단말기로 통화상태를 이동시키는 호 전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최근 생활과 업무에 있어서 점점 더 사용이 보편화 및 집중화되고 있는 제 2 단말기(스마트폰)와 제 1 단말기(VoIP인터넷전화기)를 연동하여 보다 나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제 1,2 단말기들이 각각 가지는 장점을 공유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대중화된 제 1 단말기의 사용성을 더 높이고 극대화하여 더 유용하고 간편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of heterogeneous terminal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module (eg, NFC, WiFi) in a second terminal (or first terminal). Call control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call, as well as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in the state of receiving or talking with the other terminal to move the call state to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enable call transfer control, and accordingly, it is linked with the second terminal (smartphone) and the first terminal (VoIP internet phone), which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daily life and work. While providing value to the user, while sharing the advantag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usability of the first terminal has been popularized for a long time. The more useful and convenient services to increase maximum will allow a user to enjoy.

Description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Device for controlling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of heterogeneous terminals with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본 발명은 가정과 사무실 환경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VoIP, 이하 '제 1 단말기' 이라함)와 장소 제약이 없는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폰, 이하 '제 2 단말기' 이라함)와 같이 서로 다른 통신환경을 가지는 제 1,2 단말기들의 통화 송수신과 통화상태를 이동시키는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단말기(또는 제 1 단말기)에서 통신모듈(예; NFC, WiFi)을 통해 제 1 단말기(또는 제 2 단말기)로 통화 발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 1 단말기 및/또는 제 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1 단말기에서 제 2 단말기로, 또는 제 2 단말기에서 제 1 단말기로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이동(호 전환)시켜 다른 단말기와의 수발신이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telephone terminal (VoI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erminal") used in home and office environment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smart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terminal") with no place restri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and moving a call state of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eg, NFC, WiFi) in a second terminal (or first terminal). In addition to allowing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to control call origination, the first terminal and / or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while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with the other terminal, Or a call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a call state is transferred (call switched) from a second terminal to a first terminal so that an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a call can be made with another terminal. God relates to call the mobile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많은 가정과 사무실 환경에서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01-0000599 호(공개일 2001.01.05)에서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의 제 1 단말기(VoIP)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 1 단말기는 통상 개인이 사용하는 제 2 단말기(스마트폰)와는 연동되어 있지 않는다.In general, many home and office environments use a wired or wireless first terminal (VoIP), as in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00599 (published Jan. 05, 2001), which is typically a first terminal. It is not linked with the second terminal (smartphone) used by an individual.

이에따라, 업무와 일상의 편리함이 점점 더 제 2 단말기로 집중되고 있는 요즘 제 2 단말기와 제 1 단말기가 서로 연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여러가지의 문제점을 노출할 수 밖에 없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are not interworked with each other, where convenience of work and daily life are increasingly concentrated on the second terminal, various problems are exposed.

즉, 사용자의 연락처는 대부분이 제 2 단말기에 집중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현실에서, 제 2 단말기는 통상 사양이 떨어지는 제 1 단말기보다 쉽고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인 바, 제 1 단말기에서 제 2 단말기의 연락처에 대한 공유 또는 제 1 단말기의 송수화기 사용을 위하여, 제 1 단말기를 통해 통화 발신을 시도할 때 해당 번호가 제 2 단말기의 연락처에 저장되어 있으면 제 2 단말기의 연락처에서 해당 번호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결과를 토대로 제 1 단말기에서 다이얼링을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at is, in the reality that most of the user's contact information is centrally stored and managed in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provides an easier and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than the first terminal, which usually has a low specification. In order to share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r to use the handset of the first terminal, if the number is stored i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when attempting to make a call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e number is retrieved from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dialing directly in the first terminal based on the searched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단말기(또는 제 1 단말기)에서 통신모듈(예; NFC, WiFi)을 통해 제 1 단말기(또는 제 2 단말기)로 통화 발신을 제어함은 물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수발신이나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2 단말기 또는 제 1 단말기로 수발신이나 통화상태를 이동시키는 호 전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근 생활과 업무에 있어서 점점 더 사용이 보편화 및 집중화되고 있는 제 2 단말기(스마트폰)와 제 1 단말기(VoIP인터넷전화기)를 연동하여 보다 나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제 1,2 단말기들이 각각 가지는 장점을 공유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대중화된 제 1 단말기의 사용성을 더 높이고 극대화하여 더 유용하고 간편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call is sent from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NFC, WiFi) Of course,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configured to enable the call transfer control to move the incoming or outgoing or call state to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in the state of incoming or outgoing calls with other terminals, By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smartphone) and the first terminal (VoIP Internet phone), which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business, while providing convenience and value to user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share the advantages of each of them to increase and maximize the usability of the first terminal, which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reel to which the object to provide a call transmission and call each other motion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other terminal.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는, 송수신 기능의 제 1 NFC가 탑재되고, TCP/UDP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면서 인터넷망으로 통화 수발신이 이루어지는 제 1 단말기; 송수신 기능의 제 2 NFC가 탑재되고 이동통신망으로 통화 수발신이 이루어지는 제 2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에는 상기 제 1 단말기와 TCP/UDP 통신을 연결하고, 제 1 단말기로의 통화 발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에서 그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를 제 2 단말기 또는 제 1 단말기로 이동시키는 VoIP 장치 매니저(VoIP Device Manager, 이하 'VDM' 이라함) 어플리케이션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includes a first NFC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includes an interface for TCP / UDP communication while receiving and receiving a call over the Internet. A first terminal made of; A second terminal equipped with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receiving and receiving call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CP / UDP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in a call or outgoing state, the call or call out state. The VoIP device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VDM) application for moving to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또한,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단말기에서의 전화 발신을 위해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상기 제 2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주소록 처리부;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VoIP 서비스망을 이용하여 통화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oIP 처리부;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에서 그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를 제 2 단말기 또는 제 1 단말기로 이동시키는 통화이동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VDM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process a phone number of an address book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s contact each other to make a call from the first terminal; A VoIP processing unit which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making a call by using a VoIP service network of the first terminal in a second terminal; A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for moving the call or incoming / outgoing state from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while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in a call or outgoing state with another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에는 VDM의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제 1,2 단말기가 연동되도록 TCP 연결관리와 TCP/UDP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연결부와, VDM의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상기 제 2 단말기에 자체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 서비스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DM applic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TCP connection management and TCP / UDP communica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teroperate whil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of the VDM, and a second VoIP service for the second terminal whil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of the VDM.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VoIP service processing unit to provide.

다른 일면에 따라,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 방법은, 제 1,2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시,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VDM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처리부를 활성화시켜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제 2 단말기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의 제 1 NFC에 접촉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처리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VDM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단말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활성화된 VDM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연결부와 제 1 단말기가 TCP 또는 UDP로 연결시 VDM 어플리케이션의 VoIP 처리부가 활성화되어 TCP 또는 UDP를 통해 통화 발신 다이얼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처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제 1 단말기에서 TCP 또는 UDP를 통해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TCP 또는 UDP를 통해 제 2 단말기의 VDM 어플리케이션에 전송처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VDM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수신시, 상기 VoIP 처리부는 제 2 단말기의 화면상에 통화 발신 성공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단말기는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받은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may include a user activating an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of a VDM applica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connected via Wi-Fi. Selecting a telephone number to be dialed and then contacting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and processing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d an AAR or a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onnecting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network step;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f the VDM application activated from the second step and the first terminal are connected by TCP or UDP, the VoIP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is activated to dial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for call origination and authentication through TCP or UDP.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to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CP or UDP when the first terminal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the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CP or UDP. step; When the VDM application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from the fourth step, the VoIP processing unit displays a call origination success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is a telephone number receiv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 fifth step of attempting to originate; Including to proceed.

또 다른 일면에 따라,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 제어방법은, 제 1,2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VDM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처리부를 활성화시켜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제 2 단말기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의 제 1 NFC에 접촉시키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면서, 상기 제 1,2 NFC의 두번째 접촉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 2 단말기의 화면 터치를 유도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화면 터치시, VDM 어플리케이션의 VoIP 처리부가 활성화되어 통화 발신 다이얼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제 1,2 NFC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처리하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3 단계로부터 제 1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제 1,2 NFC를 통해 제 2 단말기의 VDM 어플리케이션에 전송처리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로부터 VDM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수신시, 상기 VoIP 처리부는 제 2 단말기의 화면상에 통화 발신 성공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단말기는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받은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method for controlling call origination of heterogeneous terminal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may include enabling a user to activate an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of a VDM application in the second terminal i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not connected through Wi-Fi. An eleventh step of contacting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after selecting a telephone number to call;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 contacts,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nd processes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d an AAR or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y the user by the second contact of the first and second NFC. A twelfth step of inducing a touch;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from the twelfth step, the VoIP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is activated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all origination dial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for authent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s. A thirteenth step of processing; A fourteenth step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to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 when the first terminal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the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When the VDM application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from step 14, the VoIP processing unit displays a call origination success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is a telephone number receiv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 fifteenth step of attempting to originate; Including to proceed.

또 다른 일면에 따라,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이동 제어방법은, 제 1,2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에서 통화 이동을 요청시, 제 2 단말기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의 제 1 NFC에 접촉시키는 제 21 단계;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처리하여, VDM 어플리케이션의 통화이동 처리부를 활성화시키는 제 22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활성화된 통화이동 처리부와 제 1 단말기가 TCP 또는 UDP로 연결시 VDM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처리부를 활성화시켜 TCP 또는 UDP를 통해 통화 이동 요청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처리하는 제 23 단계; 상기 제 23 단계로부터 제 1 단말기에서 TCP 또는 UDP를 통해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TCP 또는 UDP를 통해 VDM 어플리케이션의 통화이동 처리부에 전송처리하는 제 24 단계; 상기 제 24 단계로부터 통화이동 처리부가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수신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는 제 2 단말기의 화면상에 통화 이동 요청의 성공을 표시하고,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는 각각 제 2 단말기 또는 제 1 단말기로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가 이동 처리되는 제 2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in which a first terminal or a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Fi, and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in an incoming or outgoing call. A twenty-first step of contacting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when the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requests the call movement; A twenty-second step of activating a call transfer processor of a VDM application by transmitting and processing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d an AAR or a MIME type to a second terminal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 contacts each other; The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for call movement request and authentication through TCP or UDP by activating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when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and the first terminal activated from the second step connect with TCP or UDP. A twenty-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first terminal; A twenty-fourth step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to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through TCP or UDP when the first terminal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the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CP or UDP; step; When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from the twenty-fourth step,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displays the success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and is the first terminal that is incoming or outgoing or talking with the other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comprises: a twenty-fifth step in which incoming / outgoing or call state is transferred to a second terminal or a first terminal, respectively; Including to proceed.

또 다른 일면에 따라,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이동 제어방법은, 제 1,2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에서 통화 이동을 요청시, 제 2 단말기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의 제 1 NFC에 접촉시키는 제 31 단계;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면서, 상기 제 1,2 NFC의 두번째 접촉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 2 단말기의 화면 터치를 유도하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2 단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화면 터치시, VDM 어플리케이션의 통화이동 처리부가 활성화되어 통화 이동 요청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제 1,2 NFC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처리하는 제 33 단계; 상기 제 33 단계로부터 제 1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제 1,2 NFC를 통해 제 2 단말기의 VDM 어플리케이션에 전송처리하는 제 34 단계; 상기 제 34 단계로부터 VDM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수신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는 제 2 단말기의 화면상에 통화 이동 성공을 표시하고,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는 각각 제 2 단말기 또는 제 1 단말기로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가 이동처리되는 제 3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not connected by Wi-Fi and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in or out of a call. A 31 step of contacting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requests the call move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 contacts,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nd processes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d an AAR or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y the user by the second contact of the first and second NFC. A thirty-second step of inducing a touch; When the screen is touched by the user from step 32, the call movement processor of the VDM application is activated to send a message including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for call movement request and authent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first and second NFC. A thirty-third step of transmitting; A thirty-fourth step of transmitting and process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to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 when the first terminal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the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When the VDM application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from step 34,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displays the call movement success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and either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that is in or out of or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terminal. The terminal comprises a thirty-fifth step in which incoming / outgoing or call status is transferred to a second terminal or a first terminal, respectively; Including to proceed.

한편,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시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NFC 송수신 동작모드 제어는, 제 1 단말기의 제 1 NFC가 NFC 라이트 모드로 동작하여 NFC 송수신 가능상태가 될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 1 NFC에 제 2 단말기의 제 2 NFC가 접촉하여 송수신 상태로 전환시, VDM 어플리케이션의 VoIP 처리부 또는 통화이동 처리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Voip 서비스 준비 완료의 메세지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의 VDM 어플리케이션과 TCP/UDP 통신이 되지 않으면, NFC 메세지로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을 수행하도록 일정시간동안 NFC 리드모드로 동작한 후 라이트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하면서 NFC 송수신 가능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NFC 송수신이 가능하면 NFC 메세지를 통해 통화 발신 또는 이동 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 명령을 수행하면서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한 후 NFC 라이트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의 VDM 어플리케이션과 TCP/UDP 통신으로 통화 발신 또는 이동 명령을 수신하면 TCP 또는 UDP를 통해 해당 메세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한 후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한 후 NFC 라이트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NFC 리드모드에 대한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한 후 NFC 라이트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mode control of the terminal using the Internet network when the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of the heterogeneous terminal with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until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operates in the NFC light mode until th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ssible state Waiting; When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contacts the first NFC to switch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transmitting a message of a Voip service ready to activate a VoIP processing unit or a call moving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If the TCP / UDP communication with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possibl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while operating in the NFC lead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the call transmission and the call movement with the NFC message and the light mode. Waiting to be in a state; If th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from the above step, after receiving a call originating or moving command through an NFC message, performing a corresponding command and ending the timer in the NFC lead mode and operating in the NFC light mode; When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or movement command with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CP / UDP communication, afte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via TCP or UDP, the timer in the NFC lead mode ends and then NFC Operating in a light mode; When the timer reaches the set time for the NFC lead mode, ending the timer in the NFC lead mode and operating in the NFC light mode; It will include.

또한, 상기 제 1,2 단말기가 TCP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는 수신받은 NFC 메세지에 포함된 제 1 단말기의 고유IP를 이용하여 UDP 메세지로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의 요청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처리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do not have a TCP connection, the second terminal uses the unique IP of the first terminal included in the received NFC message to request a call and a call movement as a UDP message. Transmission processing to the first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제 2 단말기와 인터넷망(VoIP)을 사용하는 제 1 단말기가 통신모듈(예; NFC, WiFi)을 통해 상호간에 통화를 위한 수발신, 그리고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통화상태를 전환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최근 생활과 업무에 있어서 점점 더 사용이 보편화 및 집중화되고 있는 제 2 단말기와 제 1 단말기를 연동하여 보다 나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제 1,2 단말기들이 각각 가지는 장점을 공유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대중화된 제 1 단말기의 사용성을 더 높이고 극대화하여 더 유용하고 간편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irst terminal using an internet network (VoIP)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eg, NFC, WiFi). It is configured to switch the call state, thereby providing users with better convenience and value by interwork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which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everyday life and work. By sharing the advan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user can expect a more useful and simpler service by increasing and maximizing the usability of the first terminal which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와 VDM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WiFi로 연결되는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가 NFC를 통해 통화 발신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WiFi로 연결되지 않은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가 NFC로 통화 발신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WiFi로 연결되는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가 NFC를 통해 통화 이동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WiFi로 연결되지 않은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가 NFC로 통화 이동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와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이 제어시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에 대한 NFC 송수신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흐름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and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quipped with a VDM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n which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connected to WiFi and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call origination through NFC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for controlling a call origination by NFC between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and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are not connected to WiFi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n which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connected to WiFi and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call movement through NF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n which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not connected to WiFi and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call movement by NFC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controlling an NFC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mode for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when a call origination or call movement with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와 VDM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irst terminal of an internet network and a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quipped with a VDM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환경이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는, 인터넷망(VoIP)을 이용하는 제 1 단말기(10)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제 2 단말기(20)에 있어, 상기 제 2 단말기(20)가 제 1 단말기(10)의 인터넷망을 통해 통화 발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 1 단말기(10)가 상대 단말기(미도시)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제 2 단말기(20)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 2 단말기(20)가 상대 단말기(미도시)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제 1 단말기(1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 1 단말기(10)에는 송수신 기능의 제 1 NFC(미도시)가 탑재되고 TCP(Tra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l)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단말기(20)에는 송수신 기능의 제 2 NFC(미도시)를 구성함은 물론, VoIP 장치 매니저(VoIP Device Manager, 이하 'VDM' 이라함) 어플리케이션(30)을 탑재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0 using an Internet network (VoIP)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second terminal 20, the second terminal 20 allows the first terminal 10 to attempt to make a cal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while the first terminal 10 is a counterpart terminal (not shown). Move the incoming / outgoing call or the call state to the second terminal 20 while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is in or outgoing or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not shown).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that can be moved to the first terminal 10, the first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a first NFC (not shown)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nd TCP (Trasmission Control Protocol) / UDP (User Datagram Protocl) communic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face (not shown), and the second terminal 20 configures a second NFC (not shown)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s well as a VoIP device manager (VoIP Device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VDM'). ) Is configured to mount the application (30).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30)은 상기 제 1 단말기(10)와 TCP/UDP 통신을 연결하고, 제 1 단말기(10)로의 통화 발신,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가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에서 그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를 제 2 단말기(20) 또는 제 1 단말기(10)로 이동(Call Forward)시키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주소록 처리부(31), VoIP 처리부(VoIP Call Activity)(32), 통화이동 처리부(Call Move Activity)(33)가 구성됨은 물론, 이에 더하여 통신연결부(Connection Service)(34)와 VoIP 서비스 처리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VDM application 30 connects the TCP / UDP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 and make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calls or receives a call.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all or incoming and outgoing state from the state to the second terminal 20 or the first terminal 10 (Call Forward),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1, VoIP processing unit (VoIP Call Activity) ( 32), as well as a call move activity 33 is configured,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service (Connection Service) 34 and the VoIP service processing unit (35).

상기 주소록 처리부(31)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의 전화 발신을 위해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상기 제 2 단말기(20)에 저장된 주소록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 1 단말기(10)로 전송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1 receives the phone number of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20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 contacts the first terminal 10 to make a call from the first terminal 10. It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transmission.

즉, 상기 주소록 처리부(31)는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30)의 주소록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화면에는 제 1 단말기(10)로 발신할 전화번호가 표시됨은 물론, 제 1,2 NFC의 접촉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1 provides the address book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DM application 30, and the phone number to be sent to the first terminal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NFC. It is intended to include components of the user interface that induce contact.

즉, 제 2 단말기(20)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 또는 애플사의 iOS 운영체계가 탑재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안도로이드 또는 iOS는 상기 주소록 처리부(31)에 대하여 두대의 NFC 호환기기(본 발명에서는 제 1,2 단말기)가 서로 통신하는 NFC의 P2P 모드에서 메세지의 송수신 여부와 어떤 메세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주소록 처리부(31)의 활성화로부터 제 2 단말기(20)의 화면상에 보여지는 상태(이하 '포그라운드 상태' 이라함)에서 제 2 단말기(20)를 제 1 단말기(10)에 NFC 접촉시, 상기 제 1 단말기(10)는 NFC P2P를 통해 NDEF(NFC Data Exchange Format)의 메세지를 제 2 단말기(2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세지에는 AAR(Android Application Record) 또는 통화 발신에 관련한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타입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second terminal 20 may be equipped with Google's Android operating system or Apple's iOS operating system, the Android or iOS is two NFC-compatible device for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1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2P mode of NFC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to send or receive a message and which message to send.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20 from the activation of the address book processor 31. When the second terminal 20 is in NF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10 in a losing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reground state'), the first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NFC Data Exchange Format (NDEF) through NFC P2P.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 which includes an AAR (Android Application Record) or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type related to call origination.

상기 VoIP 처리부(32)는 상기 제 2 단말기(20)에서 상기 제 1 단말기(10)의 VoIP 서비스망을 이용하여 통화 발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VoIP processing unit 32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UI) that allows the second terminal 20 to make a call using the VoIP service network of the first terminal 10.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33)는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에서 그 통화 또는 수발신 상태를 제 2 단말기(20) 또는 제 1 단말기(10)로 이동(Call Forward)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When the first and second NFCs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NFCs, the call movement processor 33 sets the call or incoming / outgoing state in a call or incoming / outgoing stat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20) or the first terminal 10 to be configured to move (Call Forward).

상기 통신연결부(34)는 VDM 어플리케이션(30)의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제 1,2 단말기(10)(20)가 연동되도록 TCP 연결관리와 TCP/UDP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4 operates in the background of the VDM application 30 and performs TCP connection management and TCP / UDP communica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interoperate.

상기 VoIP 서비스 처리부(35)는 VDM 어플리케이션(30)의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단말기(10)를 거쳐 인터넷망(VoIP)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단말기(20)를 통해 자체적으로 Vo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VoIP service processing unit 35 operates in the background of the VDM application 30, and does not use an Internet network (VoIP) via the first terminal 10, but instead uses the VoIP service itself through the second terminal 20. The service is configured to be available.

한편, 첨부된 도 2는 상기와 같이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탑재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가 통화 발신을 시도할 때 그 통화 발신이 와이파이(WiFi)로 연결된 제 1 단말기(10)의 인터넷망(VoIP)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발신의 제어 흐름도인 제 1 내지 제 5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ttached when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quipped with the VDM application 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 originating the first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call (WiFi) The first to fifth steps, which are control flowcharts of call origination, are performed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VoIP).

상기 제 1 단계는 제 1,2 단말기(10)(20)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말기(20)에서 사용자가 VDM 어플리케이션(30)의 주소록 처리부(31)를 활성화시켜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①),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10)의 제 1 NFC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②).In the first step, the user activates the address book processor 31 of the VDM application 30 in the second terminal 20 whil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are connected by Wi-Fi. After selecting the telephone number to be dialed (①),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i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10 (②).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10)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20)로 전송처리하여 인터넷망(VoIP)을 통한 통화 발신의 서비스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③), 상기 제 2 단말기(20)의 VDM 어플리케이션(30)과 제 1 단말기(10)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second step,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1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d an AAR or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20, thereby making a cal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VoIP). In the state of preparing the service for the call (③), the VDM application 30 of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first terminal 10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다음으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활성화된 VDM 어플리케이션(30)의 통신연결부(34)와 제 1 단말기(10)가 TCP 또는 UDP로 연결시 VDM 어플리케이션(30)의 VoIP 처리부(32)가 활성화되어 TCP 또는 UDP를 통해 통화 발신 다이얼(④)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처리하도록 한 것이다.Next, the third step is the VoIP processing unit 32 of the VDM application 30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4 and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VDM application 30 activated from the second step are connected by TCP or UDP. ) Is activated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all origination dial (④)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20 for authent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CP or UDP.

여기서, 상기 제 1,2 단말기(10)(20)가 TCP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20)는 수신받은 NFC 메세지에 포함된 제 1 단말기(10)의 고유IP를 이용하여 UDP 메세지로 통화 발신의 요청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Here,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do not have a TCP connection, the second terminal 20 uses the unique IP of the first terminal 10 included in the received NFC message. The request message of the call origin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 as a UDP message.

다음으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 TCP 또는 UDP를 통해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⑤)를 TCP 또는 UDP를 통해 제 2 단말기(20)의 VDM 어플리케이션(30)에 전송처리하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fourth step, when the first terminal 10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a message including a telephone number through TCP or UDP,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a response signal ⑤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via TCP or UDP. Transmission processing is performed to the VDM application 30 of the terminal 20.

다음으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통화 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VoIP 처리부(32)는 제 2 단말기(20)의 화면상에 통화 발신 성공을 표시하고(⑥), 상기 제 1 단말기(10)는 인터넷망(VoIP)을 통해 제 2 단말기(20)로부터 수신받은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⑦)하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fifth step, when the VDM application 3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the VoIP processing unit 32 displays the call origination success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20. (⑥), the first terminal 10 is to try to make a call (⑦) to the telephone number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hrough the Internet (VoIP).

즉, 첨부된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제 2 단말기(20)가 주소록에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할 때 그 발신을 이동통신망이 아닌 와아파이(WiFi)로 연결된 제 1 단말기(10)의 인터넷망(VoIP)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신에 따른 통화를 제 1 단말기(10)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통신요금을 절감하고, 오래전부터 대중화된 제 1 단말기(10)의 사용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ttached FIG. 2, when the second terminal 2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tempts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phone number stored in an address book, the call is not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VoIP) of the first terminal 10 connected by (WiFi),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call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call, thereby reducing the communication fee, long ago From the first terminal 10 popularized to further increase the usability.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상기와 같이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탑재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가 통화 발신을 시도할 때 그 통화 발신이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지 않은 제 1 단말기(10)의 인터넷망(VoIP)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발신의 제어 흐름도인 제 11 내지 제 15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ttach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hen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quipped with the VDM application 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 originating the Wi-Fi ( 11 through 15 are flowcharts of a call transmission control to be perform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VoIP) of the first terminal 10 that is not connected to WiFi.

상기 제 11 단계는 상기 제 1,2 단말기(10)(20)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말기(20)에서 사용자가 VDM 어플리케이션(30)의 주소록 처리부(31)를 활성화(①)시켜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10)의 제 1 NFC에 접촉(②)시키도록 한 것이다.In the eleventh step,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Fi,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1 of the VDM application 30 is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second terminal 20. After selecting the telephone number to be activated (①) to make a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to contact (②)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10.

다음으로, 상기 제 12 단계는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10)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20)로 전송처리하여 인터넷망(VoIP)을 통한 통화 발신의 서비스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③), 상기 제 1,2 NFC의 두번째 접촉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 2 단말기(20)의 화면 터치를 유도하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twelfth step,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1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 AAR, or a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20 to process the Internet network (VoIP). In the state of completing the service preparation of the call transmission through (③), the second touch of the first and second NFC to induce the screen touch of the second terminal 20 by the user.

다음으로, 상기 제 13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 터치시, VDM 어플리케이션(30)의 VoIP 처리부(32)가 활성화되어 통화 발신 다이얼(④)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제 1,2 NFC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처리하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thirteenth step,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he VoIP processing unit 32 of the VDM application 30 is activated to include a call origination dial ④ and a 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20 for authentication.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

다음으로, 상기 제 1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제 1,2 NFC를 통해 제 2 단말기(20)의 VDM 어플리케이션(30)에 전송처리하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fourteenth step, if the first terminal 10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a message including a phone number, the VDM of the second terminal 2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of a call origination di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s. It is to transmit to the application (30).

다음으로, 상기 제 15 단계는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통화 발신 다이얼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VoIP 처리부(32)가 제 2 단말기(20)의 화면상에 통화 발신 성공을 표시(⑤)하고, 상기 제 1 단말기(10)는 인터넷망(VoIP)을 통해 제 2 단말기(20)로부터 수신받은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⑥)하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fifteenth step, when the VDM application 3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origination dial, the VoIP processing unit 32 displays the call origination success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20 ( ⑤), and the first terminal 10 attempts to call (⑥) the telephone number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VoIP).

즉, 첨부된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제 2 단말기(20)가 주소록에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할 때 그 발신을 이동통신망이 아닌 와아파이(WiFi)로 연결되지 않은 제 1 단말기(10)의 인터넷망(VoIP)을 통해 제 1,2 NFC의 접촉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신에 따른 통화를 제 1 단말기(10)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통신요금을 절감하고, 오래전부터 대중화된 제 1 단말기(10)의 사용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3, when the second terminal 2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tempts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phone number stored in the address book, the call is not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making only the first and second NFC contacts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VoIP) of the first terminal 10 that is not connected to (WiFi),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call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Accordingly, it is to reduce the communication fee, and to further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first terminal 10 popularized for a long time.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상기와 같이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탑재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 또는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10)가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이동시킬 때 그 통화 이동이 와이파이(WiFi)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 또는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1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이동의 제어 흐름도인 제 21 내지 제 25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4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n which the VDM application 30 is mounted or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Internet network are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the call state is moved while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is in progress, the call transfer is made to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by Wi-Fi or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Internet network. The twenty first to twenty-fifth steps, which are the control flowcharts of the movement, are shown.

상기 제 21 단계는 제 1,2 단말기(10)(20)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에서 통화 이동을 요청시,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10)의 제 1 NFC에 접촉(①)시키도록 한 것이다.In the twenty-first step,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are connected by Wi-Fi, and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is in a state of receiving or making a call. 10) or when the call movement is requested by the second terminal 20,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contacts (①)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10.

즉,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10)가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하고 있거나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제 2 단말기로(2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가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하고 있거나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제 1 단말기로(10)로 이동시키도록 요청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Internet network can transmit or receive the call or the call state with the other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20 in the state of receiv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terminal, 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econd terminal 20 is requesting to move the incoming / outgoing call or the call stat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10 while the caller is in or out of the call.

다음으로, 상기 제 22 단계는 상기 제 1,2 NFC의 접촉시 제 1 단말기(10)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20)로 전송처리하여 통화 이동의 서비스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②), VDM 어플리케이션(30)의 통화이동 처리부(33)를 활성화(③)시키도록 한 것이다.Next, in the twenty-second step,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 contacts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1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d an AAR or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20 to prepare for service of a call movement. In the state of completing (②),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33 of the VDM application 30 is activated (③).

다음으로, 상기 제 23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통화이동 처리부(33)와 제 1 단말기(10)가 TCP 또는 UDP로 연결시 VDM 어플리케이션(30)의 주소록 처리부(31)를 활성화시켜 TCP 또는 UDP를 통해 통화 이동 요청(④)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처리하는 것이다.Next, in the twenty-third step, when the activated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33 and the first terminal 10 connect to each other via TCP or UDP,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1 of the VDM application 30 is activa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CP or UDP. The message including the call movement request ④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20 for authent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

여기서, 상기 제 1,2 단말기(10)(20)가 TCP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20)는 수신받은 NFC 메세지에 포함된 제 1 단말기(10)의 고유IP를 이용하여 UDP 메세지로 통화 이동의 요청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Here,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do not have a TCP connection, the second terminal 20 uses the unique IP of the first terminal 10 included in the received NFC message. The request message of the call movem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 as a UDP message.

다음으로, 상기 제 2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 TCP 또는 UDP를 통해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⑤)를 TCP 또는 UDP를 통해 VDM 어플리케이션(30)의 통화이동 처리부(33)에 전송처리하는 것이다.Next, in the twenty-fourth step, if the first terminal 10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a message including a telephone number through TCP or UDP, the VDM application transmits a response signal (⑤) of a call movement request through TCP or UDP. Transfer processing is carried out to the call transfer processing section 33 at (30).

다음으로, 상기 제 25 단계는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33)가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33)는 제 2 단말기(20)의 화면상에 통화 이동 요청의 성공(⑥)을 표시하고,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의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각각 제 2 단말기(20) 또는 제 1 단말기(10)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⑦).Next, in the 25th step,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33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and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33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20. Display success (6) and move the incoming / outgoing or call state of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that is outgoing or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20 or the first terminal 10, respectively. (⑦).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이는 상기와 같이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탑재된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 또는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10)가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이동시킬 때 그 통화 이동이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지 않은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 또는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10)로 제 1,2 NFC의 접촉으로부터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이동의 제어 흐름도인 제 31 내지 제 35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5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VDM application 30 is mounted or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Internet networ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the call state is moved while the call is in or out of the call, the first call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Internet network. FIG. 31 shows the thirty first to thirty-fifth steps of the control of call movement to be made from the contact of the NFC.

상기 제 31 단계는 상기 제 1,2 단말기(10)(20)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를 제 1 단말기(10)의 제 1 NFC에 접촉(①)시켜, 제 1 단말기(10)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제 2 단말기(20)로 전송처리하여 상기 제 1 단말기(10)가 통화 이동의 서비스 준비(②)를 완료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31st step,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Fi,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changed. By contacting (①), the first terminal 10 transmits and processes the message including the unique IP and the AAR or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0 prepares for the service of the call movement. ②) to complete.

상기 제 32 단계는 상기 제 1,2 단말기(10)(20)가 와이파이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제 1,2 NFC의 두번째 접촉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 2 단말기(20)의 화면 터치를 유도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thirty-second step, sinc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 and 20 are not connected to Wi-Fi, the second and second terminals 20 and 20 may be touched to induce a touch of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20 by the user. It is.

상기 제 33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 터치시 VDM 어플리케이션(30)의 통화 이동 처리부(33)를 활성화(③)시켜 통화 이동 요청과 인증을 위한 제 2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제 1,2 NFC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10)에 전송처리한 후,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에서 통화 이동을 요청(④)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33rd step,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he call movement processor 33 of the VDM application 30 is activated (③) to remove a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20 for call movement request and authentication. 1,2 After the transfer process to the first terminal 10 via NFC,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10) while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is outgoing or busy In (20), the call movement is requested (④).

상기 제 34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제 1,2 NFC를 통해 제 2 단말기(20)의 VDM 어플리케이션(30)에 전송처리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thirty-fourth step, when the first terminal 10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a message including a phone number, the VDM application 30 of the second terminal 2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s. To be processed.

상기 제 35 단계는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30)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33)가 제 2 단말기(20)의 화면상에 통화 이동 성공을 표시(⑤)하고, 상대 단말기와 수발신 또는 통화중인 제 1 단말기(10) 또는 제 2 단말기(20)의 수발신 또는 통화상태를 각각 제 2 단말기(20) 또는 제 1 단말기(10)로 이동처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⑥).In the step 35, the call movement processor 33 displays the call movement success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20 while the VDM application 3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⑤). 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or call state of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in the incoming or outgoing call or the other terminal can be moved to the second terminal 20 or the first terminal 10, respectively. (⑥).

즉,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이동 제어에서, 상기 제 2 단말기(20)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통화 이동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20)의 호 접속은 종료되지만, 상기 제 2 단말기(20)와 통화중인 상대 단말기는 통화가 끊김없이 자동으로 제 1 단말기(10)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ll movement control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call movement request while the second terminal 20 is busy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 is performed. Is terminated, but the counterpart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0 without disconnection of the call.

반면, 상기 제 2 단말기(20)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수신 상태에서 통화 이동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20)의 호 접속은 종료되지만 상대 단말기는 자동으로 제 1 단말기(10)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20 is terminated when the second terminal 20 receives a call movement request with the other terminal, the other terminal automatically calls the first terminal 10. The connection is made.

또한, 상기 제 1 단말기(10)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통화 이동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호 접속은 종료되지만, 상기 제 1 단말기(10)와 통화중인 상대 단말기는 통화가 끊김없이 자동으로 제 2 단말기(20)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call movement request while the first terminal 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is terminated, but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 The call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0 without disconnection.

반면, 상기 제 1 단말기(10)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수신 상태에서 통화 이동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10)의 호 접속은 종료되지만, 상대 단말기는 자동으로 제 2 단말기(20)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erminal 10 receives a call movement request in a call reception stat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is terminated, but the counterpart terminal is automatically connected with the second terminal 20. Call connection can be made.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제 1 단말기(10)는 제 2 단말기(20)로 통화 이동하고, 제 2 단말기(20)는 제 1 단말기(10)로 통화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2 단말기(20)에서 제 1 단말기(10)로 통화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이는 인터넷망(VoIP)의 사용으로부터 통신요금을 절감하고, 오래전부터 대중화된 제 1 단말기(10)의 사용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Here,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0 moves the call to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20 moves the call to the first terminal 10.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ll movement is preferably made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o the first terminal 10, which reduces the communication fee from the use of the Internet network (VoIP), and has been popularized for a long time. This i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terminal 10.

한편, 첨부된 도 6은 인터넷망의 제 1 단말기(10)와 이동통신망의 제 2 단말기(20)가 통화 발신, 그리고 통화 이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단말기(10)의 NFC 송수신 동작모드에 대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6 shows the first terminal 10 using the Internet network when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tend to perform a call transmission and a call movement. The control flow chart for th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mode of FIG.

즉,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제 1 NFC는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가 언제 접촉할 지 알 수 없으므로, 우선 NFC 라이트 모드(write mode)로 동작하여 NFC 송수신 가능상태가 될때까지 대기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10 does not know when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wil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NFC may operate in the NFC write mode to enabl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ll wait until.

다음의 단계로서,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 1 NFC에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가 접촉시, 상기 제 1 NFC는 대기상태에서 송수신 상태로 전환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는 VDM 어플리케이션(30)의 VoIP 처리부(32) 또는 통화이동 처리부(3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Voip 서비스 준비 완료의 메세지를 상기 제 1,2 NFC를 통해 제 2 단말기(20)에 전송처리할 수 있는 거이다.As a next step, when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NFC in the standby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NFC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 In the 10), the Voip service ready message for activating the VoIP processing unit 32 or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33 of the VDM application 3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FCs. I can.

다음의 단계로서, 상기 제 1 단말기(10)가 제 2 단말기(20)의 VDM 어플리케이션(30)과 TCP/UDP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는 NFC 메세지로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1 NFC를 일정시간동안 NFC 리드모드(read mode)로 동작시킨 후 라이트모드(write mode)로 동작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하면서 NFC 송수신 가능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시키는 것이다.As a next step, when the first terminal 10 does not have TCP / UDP communication with the VDM application 30 of the second terminal 20, the first terminal 10 calls and calls with an NFC message. After the first NFC is operated in the NFC read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the movement, the timer waits until the NFC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becomes possible while setting a timer for operating in the write mode.

다음의 단계로서, 상기 제 1 NFC가 NFC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는 NFC 메세지를 통해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의 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 명령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 1 NFC에 대한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시킨 후 상기 제 1 NFC를 NFC 라이트모드(write mode)로 동작 제어하는 것이다.As a next step, when the first NFC is switched to the state capable of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first terminal 10 receives the command of call transmission or call movement through an NFC message and then performs the corresponding command while performing the first command. After terminating the timer of the NFC lead mode for NFC, the first NFC is to control the operation in the NFC write mode (write mode).

다음의 단계로서, 상기 제 2 단말기(20)의 VDM 어플리케이션(30)과 TCP/UDP 통신으로 통화 발신 또는 이동 명령을 수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10)에서는 TCP 또는 UDP를 통해 해당 메세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 2 단말기(20)에 전송한 후 상기 제 1 NFC에 대한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제 1 NFC를 NFC 라이트모드(write mode)로 동작 제어하는 것이다.As a next step, when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all origination or movement command in the TCP / UDP communication with the VDM application 30 of the second terminal 20, the first terminal 10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via TCP or UDP After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second terminal 20 to terminate the timer of the NFC read mode for the first NFC, the first NFC to control the operation in the NFC write mode (write mode).

다음의 단계로서, 상기 제 1 NFC의 NFC 리드모드(read mode)에 대한 타이머 설정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1 NFC에 대한 NFC 리드모드(read mode)의 타이머를 종료시킨 후, 상기 제 1 NFC를 NFC 라이트모드(write mode)로 동작 제어하는 것이다.As a next step, when the timer setting time for the NFC read mode of the first NFC is reached, the timer of the NFC read mode for the first NFC is terminated and then the first NFC is to control operation in the NFC write mode (write mode).

그러면, 상기 제 1 단말기(10)의 제 1 NFC는 제 2 단말기(20)의 제 2 NFC와 1회 또는 2회의 접촉을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20)에 메세지를 전송처리하면서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10 transmits or sends a call to the second terminal 20 through one or two contact with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20. You can do the m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different terminal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is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to describe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제 1 단말기 20; 제 2 단말기
30; VDM 어플리케이션 31; 주소록 처리부
32; VoIP 처리부 33; 통화 이동 처리부
34; 통신연결부 35; VoIP 서비스 처리부
10; A first terminal 20; 2nd terminal
30; VDM application 31;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32; A VoIP processing unit 33; Call movement processor
34;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35; VoIP service processing unit

Claims (6)

송수신 기능의 제 1 NFC가 탑재되고, TCP/UDP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면서 인터넷망으로 통화 수발신이 이루어지는 제 1 단말기; 송수신 기능의 제 2 NFC가 탑재되고 이동통신망으로 통화 수발신이 이루어지는 제 2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제 1 단말기와 TCP/UDP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단말기의 VoIP 서비스망을 이용하여 통화 수발신이 이루어지도록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용 VoIP 처리부를 포함하는 VoIP 장치 매니저(VDM)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되,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은, VDM의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기가 연동되도록 TCP 연결 관리와 TCP/UDP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연결부; 상기 통신연결부의 통신 수행시, 상기 제 1 단말기에서의 전화 발신와 통화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NFC의 접촉시 상기 제 2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주소록 처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NFC의 접촉시, 상기 제 1 단말기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통화중인 상태를 상기 제 1 단말기에서 상기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로 이동시키는 통화이동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장치.
A first terminal equipped with a first NFC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including an interface for TCP / UDP communication and receiving and receiving a call over the Internet network; A second terminal equipped with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receiving and receiving call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VoIP processing unit (VDM)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VoIP) processing unit which is mounted in the second terminal and performs TCP / UDP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so that call reception can be made using the VoIP service network of the first terminal. ) application; Including,
The VDM applica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TCP connection management and TCP / UDP communica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teroperate whil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of the VDM; The address book which transmits and process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performs the communication and the call movement in the first terminal. Processing unit; And whe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NFC is in contact,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in a state of being in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and the busy state is chang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A call movement processor for moving to the first terminal;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device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및 제 2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통화 발신이 상기 제 2 단말기에 탑재된 VDM 어플리케이션의 VoIP 처리부가 활성화되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인터넷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 제어방법에, 인터넷망의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통화상태를 상기 제 2 단말기로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의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대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통화상태를 상기 제 1 단말기로로 이동시키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이동 제어방법을 포함하되,
상기 통화 이동 제어방법은,
(a) 통화상태인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가 와이파이(WiFi)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통화 이동을 요청시 상기 제 2 단말기의 제 2 NFC를 상기 제 1 단말기의 제 1 NFC에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NFC가 접촉시, 상기 제 1 단말기가 고유IP와 AAR 또는 MIME 타입을 포함한 메세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에 탑재된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의 통화이동 처리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활성화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와 상기 제 1 단말기가 TCP 또는 UDP로 연결시,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처리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TCP 또는 UDP를 통해 통화 이동 요청과 인증을 위한 상기 제 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로부터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 처리되는 메세지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에서 TCP 또는 UDP를 통해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세지의 수신과 인증에 성공하면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TCP 또는 UDP를 통해 활성화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에 전송 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로부터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가 통화 이동 요청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상에 통화 이동 요청의 성공을 표시하고, 상대 단말기와 통화상태인 상기 제 1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제 2 단말기로 이동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제 1 단말기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 방법.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connected by Wi-Fi, the call processing of the second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ctivated and the VoIP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mounted on the second terminal is activated to connect to the Internet network of the first terminal. In a method for controlling call origination of heterogeneous terminal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e call stat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moved to the second terminal while the first terminal of the Internet network is busy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movement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in a state of talk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and moves a call stat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a) Whe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in a call state is connected by Wi-Fi, whe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requests a call movement,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is assigned to the first terminal. Contacting the first NFC of the terminal;
(b) when the first and second NFCs are contacted from step (a),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 unique IP, an AAR or a MIME type to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Activating a call movement processor of the mounted VDM application;
(c) when the call movement processing unit activated in step (b)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 with TCP or UDP, activate the address book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for call movement request and authentication through the TCP or UDP; Transmitting the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d) In response to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step (c) to the first terminal, if the first terminal successfully receives and authenticates a message including a telephone number through TCP or UDP,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Or transmitting processing to the call transfer processor activated through UDP; And,
(e) the call movement processor displays the success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while the call movement processor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all movement request from step (d). Moving a call state of the first terminal in a call state to a second terminal or moving a call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to a first terminal;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further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NFC 송수신 동작모드 제어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상기 제 1 NFC가 NFC 라이트 모드로 동작하여 NFC 송수신 가능상태가 될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 1 NFC에 상기 제 2 단말기의 상기 제 2 NFC가 접촉하여 송수신 상태로 전환시,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VoIP 처리부 또는 상기 통화이동 처리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VoIP 서비스 준비 완료의 메세지를 상기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의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과 TCP/UDP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NFC 메세지로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을 수행하도록 일정시간동안 NFC 리드모드로 동작한 후 라이트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하면서 NFC 송수신 가능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NFC 송수신이 가능하면 NFC 메세지를 통해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 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 명령을 수행하면서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한 후 NFC 라이트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의 상기 VDM 어플리케이션과 TCP/UDP 통신으로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 명령을 수신하면 TCP 또는 UDP를 통해 해당 메세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제 2 단말기에 전송한 후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한 후 NFC 라이트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NFC 리드모드에 대한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NFC 리드모드의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NFC 라이트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mode control of the first terminal,
Waiting for the first NFC of the first terminal to operate in an NFC light mode and become an NFC transmit / receive state;
When the second NFC of the second terminal contacts the first NFC to switch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a VoIP service ready message for activating the VoIP processing unit or the call transfer processing unit of the VDM application. Transmitting to;
If the TCP / UDP communication with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made, the NFC is operated while operating in a NFC lead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a call transmission or a call movement with an NFC message, and then setting a timer for operating in a light mode. Waiting until it becomes a transmit / receive state;
If th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from the above step,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or call movement command through an NFC message and ending the timer of the NFC lead mode while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command, operating in the NFC light mode;
Upon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or call movement command with the VDM appl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CP / UDP communication, the timer for NFC read mode is terminated afte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CP or UDP. After operating in the NFC light mode; And,
When the timer reaches the set time for the NFC lead mode, ending the timer in the NFC lead mode and operating in the NFC light mode; Call originat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기가 TCP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는 수신받은 NFC 메세지에 포함된 상기 제 1 단말기의 고유IP를 이용하여 UDP 메세지로 통화 발신 또는 통화 이동의 요청메세지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환경이 서로 다른 이종 단말기의 통화 발신과 통화 이동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do not have a TCP connection, the second terminal uses the unique IP of the first terminal included in the received NFC message to request a call or a call movement in a UDP message. Call transmission and call movement control method of a heterogeneous terminal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processing to the first terminal.
KR1020130142704A 2013-11-22 2013-11-22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KR102059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704A KR102059596B1 (en) 2013-11-22 2013-11-22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704A KR102059596B1 (en) 2013-11-22 2013-11-22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90A KR20150059290A (en) 2015-06-01
KR102059596B1 true KR102059596B1 (en) 2019-12-26

Family

ID=5349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704A KR102059596B1 (en) 2013-11-22 2013-11-22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59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90A (en)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159B1 (en) How SmartWatch and WiChat Platform talk, devices and smart watch
US20150350723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Home Terminal, and Home Server
WO201901542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95357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121902A (en)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of connection setup
US20150119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297415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CN108781217B (en)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method, server and terminal
CN103379304A (en) Video conversation switching method and system
CN103118178B (en)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system mobile terminal being accessed fixed telephone network
JP2013153438A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over internet between mobile terminal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12312494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345811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KR102059596B1 (en) A method for dialing and call forwarding of VoIP devic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
TWI542186B (en) Portable voice routing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cessing telephony voice communication
CN105120525A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10368210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ervice roaming network
CN106506318A (en) A kind of information method for subscribing of group
KR100668658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262003B2 (en) Smartphone adapter
KR100975865B1 (en)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using gateway server and phone number
US20230309191A1 (en) Emergency cal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09245970A (en) Message forwarding method, equipment and system
CN101394675A (en) Call implementing method and terminal
US20160182740A1 (en) Portable Device with Visual Signal Notic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