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456B1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9456B1 KR102059456B1 KR1020170173356A KR20170173356A KR102059456B1 KR 102059456 B1 KR102059456 B1 KR 102059456B1 KR 1020170173356 A KR1020170173356 A KR 1020170173356A KR 20170173356 A KR20170173356 A KR 20170173356A KR 102059456 B1 KR102059456 B1 KR 102059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block
- chair
- guide
- shaft
- backre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탄성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방향 및 거리를 변화시켜 등받이 틸팅시 강도가 조절되도록, 등받이부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링크구조로 연결된 바가 가압축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축이 안내블럭을 따라 주행하면서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등받이에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되, 상기 안내블럭은 조절부에 의해 안내블럭의 기울기가 가변됨에 따라 탄성부재의 압축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등받이에 변화된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여, 탄성부재의 초기압축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기울임 강도조절에 필요한 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탄성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방향 및 거리를 변화시켜 등받이 틸팅시 강도가 조절되도록 한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그리고 좌판과 등받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자는 등받이와 좌판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좌판의 하측에는 다리가 결합된 구조이고, 좌판 및 등받이는 스폰지 등의 쿠션부재가 내장된 외피에 의해 싸여 있으며, 사용자가 스트레칭 등을 하기 위해 등을 뒤로 젖히면 등받이가 뒤로 기울어지게(틸팅) 되는 구조가 많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책상과 함께 업무와 학업에 매진하는 데에 이용된다. 최근에 의자는 사용자의 체형 및 사용 환경을 바탕으로 좌판의 높낮이, 좌판의 경사, 등받이의 각도 및 탄성력, 팔걸이 높낮이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한 자세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의자들은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기울어지게 되어 있거나, 등받이와 좌판이 분리되어 기울어지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등받이가 기울어지는 의자를 이용하여 등을 제치고 펴서 적당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추간 연골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이완하고 혈액 및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등받이를 기댈 때, 등받이는 탄성부재의 정지 상태로부터 탄성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해 기울어지며, 탄성부재를 압축하거나 인장시킨다.
이때,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탄성부재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높을수록, 그 저항력이 크며, 사용자의 무게가 탄성부재 저항력에 의해 균형을 이루는 평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등받이는 기울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는 사용자 무게가 주어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이 범위 밖, 사용자가 매우 가볍거나 무거운 경우, 등받이를 너무 많이 기울어지거나 너무 적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10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상부에 지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힌지부가 형성된 좌판프레임; 상기 좌판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지지축; 상기 좌판 프레임의 힌지부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 에는 상기 지지축의 물리적 이동공간이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고 스프링 탄성체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체;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안쪽 공간 중심에 위치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나사축이 통과되며, 상기 스프링 탄성체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체; 상기 결합부를 통과한 나사축의 일단에 형성된 베벨기어; 및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탄성부재를 직접 압축하여 탄성부재의 초기압축력을 조절한다. 즉, 탄성부재를 압축시 사용자가 직접 다수의 회전을 통해 압축해야 하기에 조작력이 크게 필요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사용자 자신에게 적합한 세기를 맞추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자의 탄성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방향 및 거리를 변화시켜 등받이 틸팅시 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찰되는 구성을 보호 및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등받이부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링크구조로 연결된 바가 가압축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축이 안내블럭을 따라 주행하면서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등받이에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되, 상기 안내블럭은 조절부에 의해 안내블럭의 기울기가 가변됨에 따라 탄성부재의 압축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등받이에 변화된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는 기능이 포함된 것을 그 기술적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리부가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하부에 배치된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부의 후방에 고정되어 탄력을 제공받으면서 기울어지는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어 틸팅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구동부와 연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와 힌지 연결되어 작동부와 연동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과 베이스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와, 상기 가압축이 주행하는 이동면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기울기에 의해 가압축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의 기울기를 가이드하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안내부와, 상기 안내블럭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길이를 갖는 바형태의 등판부재 상측에는 베이스부의 측면 상부에 설치한 중심공에 끼움결합되는 중심핀이 설치되고 하측에는 베이스부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회동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축이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축을 감싸는 작동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압축을 감싸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축은, 중앙에 굴림 회전하는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지지축을 감싸는 지지홈이 형성된 제2보조구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축을 감싸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보조구를 마련하며 상기 제1보조구와 제2보조구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내블럭은, 일측에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되,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면을 감싸면서 걸림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교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블럭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내면과 대응된 형상으로 안내홈이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과 연통되게 인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안내블럭과 힌지 결합되는 이동부재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 형성된 회전부재의 일측에 종동수단이 설치된 조절수단과, 상기 종동수단에 치합되는 주동수단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조작바의 끝단에 조작레버가 설치된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는 의자의 탄성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방향 및 거리를 변화시켜 등받이 틸팅시 강도가 조절되도록, 등받이부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힌지 연결된 다단의 바가 가압축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축이 안내블럭을 따라 주행하면서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등받이에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되, 상기 안내블럭은 조절부에 의해 안내블럭의 기울기가 가변됨에 따라 탄성부재의 압축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등받이에 변화된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여, 탄성부재의 초기압축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기울임 강도조절에 필요한 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는 마찰되는 구성을 보호 및 교체가능하도록, 일측에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되,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면을 감싸면서 걸림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교체부재를 더 포함하여,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베이스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안내블럭의 기울기와 탄성부재의 압축변화율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인 베이스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안내블럭의 기울기와 탄성부재의 압축변화율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베이스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의 안내블럭의 기울기와 탄성부재의 압축변화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1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다리부 10가 고정되는 베이스부 110가 하부에 배치된 좌판부 20와, 상기 좌판부 20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부 110의 후방에 고정되어 탄력을 제공받으면서 기울어지는 등받이부 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베이스부 110, 구동부 120, 작동부 130, 가압축 140, 탄성제공부 150, 안내부 160, 조절부 17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베이스부 110의 내부에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가 수납된다. 나아가, 조작수단 177이 지나가는 조작공 117이 측면 전방에 관통되어 있다.
더불어, 베이스부 110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덮개 119를 덮어 마감한다.
즉, 등받이부 30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힌지 연결된 다단의 바가 가압축 140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축 140이 안내블럭 161을 따라 주행하면서 탄성부재 159를 압축시켜 등받이에 기울임 강도를 제공한다.
여기서, 안내블럭 161은 조절부 170에 의해 안내블럭 161의 기울기가 가변됨에 따라 탄성부재 159의 압축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등받이에 변화된 기울임 강도를 제공한다.
이때, 구동부 120는 등받이부 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동한다. 또한, 길이를 갖는 바형태로 등판부재 121 상측에는 베이스부 110의 측면 상부에 설치한 중심공 111에 끼움결합되는 중심핀 123이 설치된다.
더불어, 구동부 120의 하측에는 베이스부 11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회동홈 113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핀 125이 설치된다. 즉, 등받이부 30가 틸팅시 중심핀 123을 중심으로 구동부 120의 작동핀 125이 회동한다.
특히, 회동홈 113에는 구동부 12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축 131이 베이스부 110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작동축 131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작동축 131에 작동핀 125이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회동홈 113은 중심공 111을 중심으로 하는 곡선형상으로 관통되어 있다. 즉, 작동축 131의 회동각을 제한한다.
나아가, 작동부 130는 상기 구동부 120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구동부 120와 연동한다. 이러한, 작동부 130는 블럭형상으로 상기 작동축 131을 감싸는 작동홈 133이 하부면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작동부 130의 상부면에는 가압축 140을 감싸는 가압홈 135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작동홈 133과 가압홈 135홈은 회동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관통될 수도 있다.
더불어, 가압축 140은 상기 작동부 130의 가압홈 135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가압축 140의 중간에는 굴림 회전하는 롤러 141가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 141는 안내블럭 161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롤러 141는 베어링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닌 것으로 마찰력이 낮은 부시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탄성제공부 150는 상기 가압축 140과 베이스부 110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부 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 110에 설치되는 지지축 115을 감싸는 지지홈 157이 형성된 제2보조구 155가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축 115은 베이스부 110의 전방 내부에 고정된다.
나아가, 가압축 140을 감싸는 걸림홈 153이 형성된 제1보조구 151를 마련한다. 더불어, 제1보조구 151와 제2보조구 155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159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재 159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실린더, 탄성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작동부 130와 탄성제공부 150는 적어도 1이상이 필요한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안내부 160는 안내블럭 161과 안내부재 167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안내블럭 161은 상기 가압축 140이 주행하는 이동면 163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기울기에 의해 가압축 140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킨다.
이때, 이동면 163과 가압축 140의 마찰력을 감소시기키 위해 이동면 163에 롤러 141가 밀착되어 구름회전함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안내블럭 161은 일측에 고정돌기 161a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 161b가 돌출된다. 이러한, 안내블럭 161의 하부에는 교체부재 165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체부재 165는 고정돌기 161a에 걸림고정되는 고정구 165a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면 163을 감싸면서 걸림돌기 161b에 걸림고정되는 거치홈 165b이 형성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는 마찰되는 구성을 보호 및 교체가능하도록, 일측에 고정돌기 161a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 161b가 돌출되되, 상기 고정돌기 161a에 걸림고정되는 고정구 165a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면 163을 감싸면서 걸림돌기 161b에 걸림고정되는 거치홈 165b이 형성된 교체부재 165를 더 포함하여,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여기서, 안내블럭 161의 상부면에는 이동부재 173가 삽입되고 조절축 162a 측면을 관통하는 조절홈 162이 형성된다.
나아가, 안내부재 167는 안내블럭 161이 내부에 수납되고 베이스부 110에 설치되어 안내블럭 161과 상기 안내블럭 161의 기울기를 가이드한다. 특히, 상기 안내블럭 161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내면 164과 대응된 형상으로 안내홈 167a이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 167a은 안내면 164과 면접촉 하도록 안내면 164의 중심과 일치한 형상이다. 나아가, 안내면 164과 안내홈 167a의 중심은 가압축 140의 중심과 가깝게 배치하여, 안내블럭 161의 기울기가 조절되어도 가압축 140의 위치변화는 최소화되어 탄성부재 159의 초기압 역시 최소한으로 변화 되도록 한다.
더불어, 안내홈 167a과 연통되게 인입공 167b이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공 167b에는 이동부재 173가 삽입되어 이동한다. 이때, 인입공 167b의 측면에는 회전부재 17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안착홈 167c이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절부 170는 안내블럭 16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때, 조절부 170는 안내블럭 161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길이가 조절되는 어떠한 구조든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의 조절부 170는 조절수단 171과 조작수단 17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절수단 171은 상기 안내블럭 161과 힌지 결합되는 이동부재 173에 숫나사 173a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 173a와 체결되는 암나사 175a 형성된 회전부재 175의 일측에 종동수단 175b이 설치된다.
또한, 조작수단 177은 상기 종동수단 175b에 치합되는 주동수단 177a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조작바 177b의 끝단에 조작레버 179가 설치된다.
여기서, 주동수단 177a과 종동수단 175b은 베벨기어가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주동수단 177a과 종동수단 175b의 회전방향을 바꿔줄 수 있는 동력전달방식 모두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탄성제공부 150와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1,2는 5° 내지 45°이다. 이때, 조절각도가 5°이하일 경우 탄성력이 너무 커져서 틸팅동작이 어렵고, 45°이상일 경우 작동범위가 커져 베이스부 110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안내블럭 161의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등받이부 30의 기울임 각 θ3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한다. 이때, θ3은 24°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6과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 30가 기울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탄성제공부 150와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1이다. 그리고 탄성제공부 150의 초기 거리는 D이다.
이때, 등받이부 30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구동부 120가 연동하여 중심핀 123을 기준으로 작동핀 125이 θ3 만큼 회동한다.
또한, 작동핀 125이 끼움결합된 작동축 131이 동일한 궤도로 회동한다. 이때, 회동홈 113은 θ3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나아가, 작동축 131에 힌지 결합된 작동부 130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작동하는 작동부 130는 가압축 140을 가압하게 된다.
특히, 가압축 140에 설치된 롤러 141가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1의 경사각을 따라 주행한다.
이러한, 가압축 140은 탄성제공부 150를 가압하는데 지지축 115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탄성부재 159가 S1만큼 압축된다. 이때,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은 s1이다.
한편, 도 7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 179를 동작시키면 조작바 177b와 주동수단 117a가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된 주동수단 117a과 일체로 연결된 회전부재 175가 회전한다.
이때, 암나사 175a에 치합되어 있는 숫나사 173a가 리드 이동하게 되어 이동부재 173가 직선운동을 한다. 나아가, 이동부재 173를 관통하는 조절축 162a이 이동하면 조절축 162a에 힌지 결합된 안내블럭 161이 움직인다.
아울러, 안내블럭 161의 안내면 164은 안내부재 167의 안내홈 167a을 타고 회동한다. 그리하여, 이동면 163의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등받이부 30가 기울어지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탄성제공부 150와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2이다. 그리고 탄성제공부 150의 초기 거리는 D이다.
이때, 등받이부 30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구동부 120가 연동하여 중심핀 123을 기준으로 작동핀 125이 θ3 만큼 회동한다.
또한, 작동핀 125이 끼움결합된 작동축 131이 동일한 궤도로 회동한다. 이때, 회동홈 113은 θ3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나아가, 작동축 131에 힌지 결합된 작동부 130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작동하는 작동부 130는 가압축 140을 가압하게 된다.
특히, 가압축 140에 설치된 롤러 141가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2의 경사각을 따라 주행한다.
이러한, 가압축 140은 탄성제공부 150를 가압하는데 지지축 115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탄성부재 159가 S2만큼 압축된다. 이때,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은 s2이다.
특히,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블럭 161의 조절각도 θ와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 s은 반비례로 변화한다. 즉, 조절각도 θ1과 같이 커지면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 s1은 감소하고 조절각도 θ2와 같이 작아지면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 s2은 증가한다.
한편,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를 제공한다.
[식 1]
1.3 ≤s2/s1≤1.7
여기서,
s1: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1경우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
s2: 이동면 163의 조절각도 θ2경우 탄성부재 159의 압축량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00는 의자의 탄성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탄성부재 159가 압축되는 방향 및 거리를 변화시켜 등받이 틸팅시 강도가 조절되도록, 등받이부 30가 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면 힌지 연결된 다단의 바가 가압축 140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축 140이 안내블럭 161을 따라 주행하면서 탄성부재 159를 압축시켜 등받이에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되, 상기 안내블럭 161은 조절부 170에 의해 안내블럭 161의 기울기가 가변됨에 따라 탄성부재 159의 압축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등받이에 변화된 기울임 강도를 제공하여, 탄성부재의 초기압축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기울임 강도조절에 필요한 힘이 줄어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의자 10 : 다리부
20 : 좌판부 30 : 등받이부
100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10 : 베이스부 111 : 중심공
113 : 회동홈 115 : 지지축
120 : 구동부 121 : 등판부재
123 : 중심핀 125 : 작동핀
130 : 작동부 131 : 작동축
133 : 작동홈 135 : 가압홈
140 : 가압축 141 : 롤러
150 : 탄성제공부 151 : 제1보조구
153 : 걸림홈 155 : 제2보조구
157 : 지지홈 159 : 탄성부재
160 : 안내부 161 : 안내블럭
161a : 고정돌기 161b : 걸림돌기
163 : 이동면 164 : 안내면
165 : 교체부재 165a : 고정구
165b : 거치홈 167 : 안내부재
167a : 안내홈 167b : 인입공
170 : 조절부 171 : 조절수단
173 : 이동부재 173a : 숫나사
175 : 회전부재 175a : 암나사
175b : 종동수단
177 : 조작수단 177a : 주동수단
177b : 조작바 179 : 조작레버
1 : 의자 10 : 다리부
20 : 좌판부 30 : 등받이부
100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110 : 베이스부 111 : 중심공
113 : 회동홈 115 : 지지축
120 : 구동부 121 : 등판부재
123 : 중심핀 125 : 작동핀
130 : 작동부 131 : 작동축
133 : 작동홈 135 : 가압홈
140 : 가압축 141 : 롤러
150 : 탄성제공부 151 : 제1보조구
153 : 걸림홈 155 : 제2보조구
157 : 지지홈 159 : 탄성부재
160 : 안내부 161 : 안내블럭
161a : 고정돌기 161b : 걸림돌기
163 : 이동면 164 : 안내면
165 : 교체부재 165a : 고정구
165b : 거치홈 167 : 안내부재
167a : 안내홈 167b : 인입공
170 : 조절부 171 : 조절수단
173 : 이동부재 173a : 숫나사
175 : 회전부재 175a : 암나사
175b : 종동수단
177 : 조작수단 177a : 주동수단
177b : 조작바 179 : 조작레버
Claims (9)
- 다리부가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하부에 배치된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부의 후방에 고정되어 탄력을 제공받으면서 기울어지는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어 틸팅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구동부와 연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와 힌지 연결되어 작동부와 연동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과 베이스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와,
상기 가압축이 주행하는 이동면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기울기에 의해 가압축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의 기울기를 가이드하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안내부와,
상기 안내블럭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로 구성하되,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블럭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내면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안내면과 대응된 원호형상의 안내홈이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과 연통되게 인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블럭의 상부면에는 이동부재가 삽입되고 조절축이 측면을 관통하는 조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다리부가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하부에 배치된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부의 후방에 고정되어 탄력을 제공받으면서 기울어지는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어 틸팅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구동부와 연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와 힌지 연결되어 작동부와 연동하는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과 베이스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와,
상기 가압축이 주행하는 이동면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기울기에 의해 가압축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의 기울기를 가이드하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안내부와,
상기 안내블럭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로 구성하되,
상기 안내블럭은,
일측에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되,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면을 감싸면서 걸림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교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길이를 갖는 바형태의 등판부재 상측에는 베이스부의 측면 상부에 설치한 중심공에 끼움결합되는 중심핀이 설치되고 하측에는 베이스부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회동홈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축이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축을 감싸는 작동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압축을 감싸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축은,
중앙에 굴림 회전하는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지지축을 감싸는 지지홈이 형성된 제2보조구가 마련되고 상기 가압축을 감싸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보조구를 마련하며 상기 제1보조구와 제2보조구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안내블럭과 힌지 결합되는 이동부재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 형성된 회전부재의 일측에 종동수단이 설치된 조절수단과,
상기 종동수단에 치합되는 주동수단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조작바의 끝단에 조작레버가 설치된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356A KR102059456B1 (ko) | 2017-12-15 | 2017-12-15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356A KR102059456B1 (ko) | 2017-12-15 | 2017-12-15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707A KR20190072707A (ko) | 2019-06-26 |
KR102059456B1 true KR102059456B1 (ko) | 2019-12-27 |
Family
ID=6710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3356A KR102059456B1 (ko) | 2017-12-15 | 2017-12-15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94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1830B1 (ko) * | 2021-10-14 | 2021-12-22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033B1 (ko) * | 2017-10-17 | 2019-02-25 | 장근대 | 의자의 틸팅 레인지용 조절장치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356A patent/KR1020594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033B1 (ko) * | 2017-10-17 | 2019-02-25 | 장근대 | 의자의 틸팅 레인지용 조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707A (ko) | 2019-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00002C (en) |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 |
CN102151021B (zh) | 靠背可前后移动的椅子 | |
EP1865810B1 (en) | Synchronisation mechanism for chairs or armchairs | |
US6796611B2 (en) | Synchronizing mechanism for office chairs | |
KR101575774B1 (ko) |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 |
US20140306502A1 (en) | Lounge Chair | |
KR101468703B1 (ko) | 의자용 등받이 | |
KR102059456B1 (ko) | 의자의 기울임 강도 조절장치 | |
KR101691858B1 (ko) | 의자 어셈블리 | |
CN110123602A (zh) | 一种按摩椅 | |
KR100826296B1 (ko) | 의자의 시트백 틸팅장치 | |
CN101716033A (zh) | 一种靠背可调式座椅 | |
KR101056745B1 (ko) |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 |
CN207613488U (zh) | 一种具有头枕电动调节装置的座椅 | |
KR20130005991U (ko) |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 |
KR101009491B1 (ko) |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 |
CN215229834U (zh) | 一种全身按摩机 | |
JP7398801B2 (ja) | マッサージ機 | |
KR101465039B1 (ko) |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 |
KR101576968B1 (ko) |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 |
CN209694576U (zh) | 一种就坐自适应可调节椅座结构 | |
US20200046120A1 (en) | Synchronous chair mechanism and chair having same | |
KR200482304Y1 (ko) | 의자용 등받이 | |
KR101589156B1 (ko) |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 |
KR102104759B1 (ko) | 요추전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식 의자용 좌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