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047B1 -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047B1
KR102059047B1 KR1020130083359A KR20130083359A KR102059047B1 KR 102059047 B1 KR102059047 B1 KR 102059047B1 KR 1020130083359 A KR1020130083359 A KR 1020130083359A KR 20130083359 A KR20130083359 A KR 20130083359A KR 102059047 B1 KR102059047 B1 KR 10205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heat exchanger
unit
pump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201A (ko
Inventor
황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0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3Temperatures near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에는, 제 1 냉매가 압축되는 제 1 압축기, 외기와 열교환 하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냉매를 감압하는 실외 팽창장치가 구비되는 제 1 냉매 순환부;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제 2 압축기가 포함되는 제 2 냉매 순환부;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가 통과하며, 상기 제 1,2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중간 열교환기; 상기 제 2 냉매가 공급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실내기; 및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에 제공되며,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heat pump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히트 펌프의 열을 실내공간의 냉방, 난방 또는 급탕등에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1)에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는 냉매 순환부(2)와, 상기 냉매 순환부(2)를 순환하는 냉매를 냉각하기 위하여 물이 순환되는 냉각탑(3)과, 상기 냉매 순환부(2)를 순환하는 냉매를 가열하기 위하여 물이 순환되는 보일러(4) 및 상기 냉매 순환부(2)와 연결되어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5)가 포함된다.
상기 냉매 순환부(2)에는,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매 열교환기(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에는, 다수의 수배관(6,7)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수배관(6,7)에는, 상기 냉각탑(3)과 수냉매 열교환기의 사이에 제공되어 물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수배관(6) 및 상기 보일러(4)와 수냉매 열교환기의 사이에 제공되어 물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수배관(7)이 포함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수배관(6) 및 제 2 수배관(7)에는, 물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워터 펌프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하면, 냉매의 가열 또는 냉각을 위한 냉각탑 또는 보일러, 그리고 수배관 및 펌프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설비 구축을 위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배관이 제공됨으로써 외기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상기 수배관 또는 수냉매 열교환기가 동파되어 누수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6061호(2011.05.26.)에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신뢰성이 개선된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에는, 제 1 냉매가 압축되는 제 1 압축기, 외기와 열교환 하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냉매를 감압하는 실외 팽창장치가 구비되는 제 1 냉매 순환부;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제 2 압축기가 포함되는 제 2 냉매 순환부;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가 통과하며, 상기 제 1,2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중간 열교환기; 상기 제 2 냉매가 공급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실내기; 및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에 제공되며,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에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중간 열교환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 중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온도 감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에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온도 감지부; 및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설정온도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의 운전부하의 크기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설정온도의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기준온도 값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를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제 1 냉매가 흡입되는 제 1 압축기 및 제 2 냉매가 흡입되는 제 2 압축기가 운전되어, 제 1 냉매와 제 2 냉매가 중간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되는 단계;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와의 차이값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정격운전 또는 부분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정격운전 또는 부분운전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룰 조절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정격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정격운전에서,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는 증대되고,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기준온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정격운전에서,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기준온도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정격운전에서,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기준온도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실외 팽창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정격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정격운전에서, 상기 실외 팽창장치의 개도는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탑 또는 보일러와 같은 설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설비구축을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배관 및 펌프와 같은 구성을 제거하여, 배관 누수 또는 겨울철 동파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의 운전 부하율에 따라, 중간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의 기준온도 또는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냉매 순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운전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운전시, 부하율에 따른 중간 열교환기의 기준냉매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운전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운전시, 부하율에 따른 중간 열교환기의 기준냉매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이라고도 함)에는, 냉매가 순환하는 제 1 냉매 순환부(100)와,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냉매와 다른 냉매가 순환하는 제 2 냉매 순환부(200) 및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냉매와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간 열교환기(300)가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냉매를 "제 1 냉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를 순환하는 냉매를 "제 2 냉매"라 이름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에는,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열원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400) 및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열원을 이용하여 온수공급을 수행하는 급탕부(5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는, 제 1 냉매를 압축하는 제 1 압축기(110)와, 상기 제 1 압축기(110)에 압축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 1 유동 전환부(120)와,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냉매의 열교환이 수행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130)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로 실외 공기를 불어주는 실외 팬(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는, 제 1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실외 팽창장치(14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에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도 조절 가능한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EE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는, 제 1 냉매가 통과하며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의 제 2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중간 열교환기(30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는, 상기 제 1 압축기(110), 유동 전환부(120), 실외 열교환기(130), 실외 팽창장치(140) 및 중간 열교환기(300)를 연결하여 제 1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냉매배관(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는, 제 2 냉매를 압축하는 제 2 압축기(210)와, 상기 제 2 압축기(210)에 압축된 제 2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 2 유동 전환부(220) 및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간 열교환기(3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입구측에 제공되어 제 2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부(26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팽창부(260)에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도 조절 가능한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EEV)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는, 상기 제 2 압축기(210)와, 상기 제 2 유동 전환부(220) 및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연결하여, 제 2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냉매배관(2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는,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 및 제 2 냉매 순환부(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각각 구성하는 열교환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에는,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와 연결되어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4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실내기(400)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410)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의 입구측에 제공되어 냉매를 감압시키는 실내 팽창장치(420) 및 상기 제 2 냉매 배관(250)과 연결되며 냉매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로 가이드 하는 실내 배관(45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내 팽창장치(420)에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도 조절 가능한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EE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서 순환되는 제 2 냉매 중 적어도 일부의 냉매는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에서 열교환 되고,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에는,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와 연결되어 온수 공급을 위한 급탕을 수행하는 급탕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급탕부(500)에는,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서 순환되는 제 2 냉매 중 적어도 일부의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매 열교환기(510) 및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어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로 냉매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밸브장치(52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밸브장치(520)에는,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팽창 밸브(EEV)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탕부(500)에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급탕 냉매배관(550) 및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로 물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급탕 수배관(5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급탕 냉매배관(550)은 상기 제 2 냉매 배관(250)에 연결된다.
상기 급탕 수배관(550)의 물은 상기 급탕 냉매배관(550)의 냉매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에서 가열된 물은 수요처(미도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탕부(500)는 상기 실내기(40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를 순환하는 냉매는 상기 실내기(400) 또는 급탕부(500)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를 순환하는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에서 열교환 되며 실내 공기는 냉각되어 실내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장치(520)는 오프되어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급탕부(500)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반면에,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난방 및 급탕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를 순환하는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기(400) 및 급탕부(500)로 분지되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실내기(400) 및 급탕부(500)로 분지되어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장치(520)는 온 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팽창장치(420)는 적절한 개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로 유입된 제 2 냉매는 실내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로 유입된 제 2 냉매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급탕운전만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팽창장치(420)는 닫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급탕부(500)로 유동하며,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에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난방운전만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밸브장치(520)는 오프되어,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급탕부(500)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서,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동 전환부(120)를 거쳐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에서 감압된 후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제 2 냉매 순환부(200)의 제 2 냉매와 열교환 하는 과정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동 전환부(120)를 거쳐 상기 제 1 압축기(11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서, 상기 제 2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동 전환부(220)를 거쳐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응축된다.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된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장치(420)에서 감압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에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급탕부(500)의 밸브장치(520)는 오프되어, 제 2 냉매가 상기 급탕부(500)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실내기(4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유동 전환부(220)를 거쳐 상기 제 2 압축기(21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난방 및 급탕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서,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동 전환부(120)를 거쳐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에서 감압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증발된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동 전환부(120)를 거쳐 상기 제 1 압축기(11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에서, 상기 제 2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동 전환부(220)를 거쳐 상기 실내기(400) 및 급탕부(500)로 분지되어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밸브장치(520)가 온 작동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된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41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하여 응축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실내 공기는 가열되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탕부(500)로 유입된 제 2 냉매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510)에서 물과 열교환 되며, 이 과정에서 물은 가열되어 수요처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400)와 급탕부(500)를 통과한 제 2 냉매는 합지되며, 합지된 제 2 냉매는 상기 팽창부(260)로 유동하여 감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260)를 통과한 제 2 냉매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냉매로부터 흡열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동 전환부(220)를 거쳐 상기 제 2 압축기(21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난방운전만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의 유동모습은 급탕 및 난방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를 순환하는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되며, 상기 급탕부(500)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 상기 밸브장치(520)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급탕운전만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의 유동모습은 급탕 및 난방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를 순환하는 제 2 냉매는 상기 급탕부(500)로 유입되며, 상기 실내기(400)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 상기 실내 팽창장치(420)는 닫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냉매 순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운전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6은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운전시, 부하율에 따른 중간 열교환기의 기준냉매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냉매 순환부(100)에는, 다수의 온도감지부(135,310,320)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온도감지부(135,310,320)에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온도 감지부(135)와,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온도감지부(310) 및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온도감지부(3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일측"이라 함은, 냉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흡입측 또는 토출측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타측"이라 함은, 상기 "일측"의 반대측으로서 이해된다. 즉, 상기 일측이 흡입측이라면, 상기 타측은 토출측일 수 있고, 상기 일측이 토출측이라면 상기 타측은 흡입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냉방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 1 온도감지부(310)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온도감지부(320)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난방 또는 급탕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제 1 온도감지부(310)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토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온도감지부(320)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흡입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135)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은 설정온도 값과 비교되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의 운전부하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온도감지부(310) 또는 제 2 온도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은 시스템의 운전부하에 따라, 정격운전 또는 부분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는, 상기 다수의 온도감지부(135,310,320)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 제 1 유동전환부(120), 실외팬(132) 또는 실외 팽창장치(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밥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압축기(110) 및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의 제 2 압축기(210)가 기동된다. 상기 제 1,2 압축기(110,210)의 운전에 따라, 상기 제 1,2 냉매 순환부(100,200)에서는 독립된 냉동 사이클이 구동될 수 있다(S11,S12).
그리고, 외기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히트펌프 시스템(10) 또는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운전 부하율(또는 운전부하)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부하율(또는 운전부하)은 상기 외기온도와 실내공간의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공간의 설정온도는, 실내기를 통하여 입력된 실내공간의 희망온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요구되는 운전 부하가 큰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이면 운전 부하가 작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S13,S14).
상기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요구되는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큰 것으로 인식되어,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는 정격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정격운전은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능력 대비, 최대 능력의 운전이 가능한 상태의 운전으로서 이해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가 정격운전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출구측 제 1 냉매온도, 즉 상기 제 2 온도감지부(320)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대한 기준온도 값이 A℃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A℃를 "제 1 기준온도"라 이름한다.
상기 제 1 기준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것으로 이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인 제 1 냉매와 상기 제 1 냉매보다 고온인 제 2 냉매의 열교환량이 증대될 수 있다(S15,S16).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압축기(110)의 운전부하 또는 운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운전되는 회전수를 (R1)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1은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R1은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운전 가능한 최대 회전수일 수도 있고, 상기 최대 회전수로부터 설정값 만큼 작은 회전수일 수 있다. R1을 "제 1 설정 회전수"라 이름한다.
정리하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는 정격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S17).
그리고, 히트펌프 시스템(10)의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서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B(kg/h)로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C1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C1은 상대적으로 높은 개도로서 이해된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냉매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C1을 "제 1 개도"라 이름한다(S18,S19).
이와 같이, 시스템의 냉방운전에서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큰 것으로 인식되어 시스템의 정격운전을 수행한다. 정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출구온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대하고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증가하여 제 1 냉매의 순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S14 단계에서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작은 것으로 인식되어 시스템의 부분운전을 수행한다(S20).
시스템의 부분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열교환기(300)의 출구측 제 1 냉매온도, 즉 상기 제 2 온도감지부(320)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대한 기준온도 값이 (A+a)℃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A+a)℃를 "제 2 기준온도"라 이름한다. 상기 제 2 기준온도는 상기 제 1 기준온도보다 높은 값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 1 냉매와 상기 제 1 냉매보다 고온인 제 2 냉매의 열교환량은, 정격운전에 대비하여 감소될 수 있다(S120,S21).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압축기(110)의 운전부하 또는 운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운전되는 회전수를 (R2)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2은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를 나타내며, 상기 R1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상기 R2를 "제 2 설정 회전수"라 이름한다.
정리하면,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작은 경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는 부분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S22).
그리고, 히트펌프 시스템(10)의 능력을 다소 낮추기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서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B-b(kg/h)로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C2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C2는 C1보다 낮은 개도로서 이해된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냉매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C2를 "제 2 개도"라 이름한다(S23,S24).
이와 같이, 시스템의 냉방운전에서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작은 것으로 인식되어 시스템의 부분운전을 수행한다. 부분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출구온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도록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하고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감소하여 제 1 냉매의 순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히트펌프 시스템(10)의 냉방운전의 경우, 일례로 외기온도가 높은 하절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스템의 부하율과 냉매 온도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가로축은 하루(24시간) 중의 시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하루 중 오후 2시(14:00)에 외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14시에 외기온도가 가장 높으므로, 상기 14시에 소정의 설정온도와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설정온도는 일정한 값, 예를 들어 24℃인 것으로 본다.
따라서, 시스템의 운전부하는 14시에 가장 높고(L3 %), 08시(L1 %) 및 20시(L2 %)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은 14시에 정격운전, 08시 및 20시에는 부분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L3는 100, L1은 25, L2는 50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운전부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온도는 14시에 가장 낮고(T1℃), 20시에는 T2℃, 08시에는 T3℃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T3>T2>T1가 성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제 1 냉매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4시에는 냉매가 B (kg/h)로 유동할 수 있고, 08시에는 B-b1 (kg/h)로 유동하며, 14시에는 B-b2(kg/h)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b1 > b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방운전시 운전부하에 따라 중간 열교환기의 출구온도 및 냉매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운전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운전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6은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운전시, 부하율에 따른 중간 열교환기의 기준냉매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히트펌프 시스템(10)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압축기(110) 및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200)의 제 2 압축기(210)가 기동된다. 상기 제 1,2 압축기(110,210)의 운전에 따라, 상기 제 1,2 냉매 순환부(100,200)에서는 독립된 냉동 사이클이 구동될 수 있다(S31,S32).
그리고, 외기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히트펌프 시스템(10)의 운전 부하율(또는 운전부하)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부하율(또는 운전부하)은 상기 외기온도와 실내공간의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공간의 설정온도는, 실내기를 통하여 입력된 실내공간의 희망온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요구되는 운전 부하가 큰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이면 운전 부하가 작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S33,S34).
상기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요구되는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큰 것으로 인식되어,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는 정격운전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가 정격운전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의 출구측 제 1 냉매온도, 즉 상기 제 1 온도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대한 기준온도 값이 D℃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D℃를 "제 3 기준온도"라 이름한다.
상기 제 3 기준온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것으로 이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 1 냉매와 상기 제 1 냉매보다 저온인 제 2 냉매의 열교환량이 증대될 수 있다(S35,S36).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압축기(110)의 운전부하 또는 운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운전되는 회전수를 (R3)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3는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R3은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운전 가능한 최대 회전수일 수도 있고, 상기 최대 회전수로부터 설정값 만큼 작은 회전수일 수 있다. R3를 "제 3 설정 회전수"라 이름한다.
정리하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는 정격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S37).
그리고, 히트펌프 시스템(10)의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서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F(kg/h)로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C3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C3는 상대적으로 높은 개도로서 이해된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냉매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C3를 "제 3 개도"라 이름한다(S38,S39).
이와 같이, 시스템의 난방운전에서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큰 것으로 인식되어 시스템의 정격운전을 수행한다. 정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출구온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증대하고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증가하여 제 1 냉매의 순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S34 단계에서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작은 것으로 인식되어 시스템의 부분운전을 수행한다(S40).
시스템의 부분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열교환기(300)의 출구측 제 1 냉매온도, 즉 상기 제 1 온도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대한 기준온도 값이 (D-d)℃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D-d)℃를 "제 4 기준온도"라 이름한다. 상기 제 4 기준온도는 상기 제 3 기준온도보다 낮은 값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인 제 1 냉매와 상기 제 1 냉매보다 저온인 제 2 냉매의 열교환량은, 정격운전에 대비하여 감소될 수 있다(S41).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제 1 압축기(110)의 운전부하 또는 운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압축기(110)에서 운전되는 회전수를 (R4)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4은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를 나타내며, 상기 R3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상기 R4를 "제 4 설정 회전수"라 이름한다.
정리하면,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작은 경우,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는 부분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S42).
그리고, 히트펌프 시스템(10)의 능력을 다소 낮추기 위하여,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에서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F-f(kg/h)로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C4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C4는 C3보다 낮은 개도로서 이해된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100)의 냉매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C4를 "제 4 개도"라 이름한다(S43,S44).
이와 같이, 시스템의 난방운전에서 외기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시스템의 운전부하가 작은 것으로 인식되어 시스템의 부분운전을 수행한다. 부분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출구온도가 다소 낮아질 수 있도록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를 감소하고 실외 팽창장치(140)의 개도를 감소하여 제 1 냉매의 순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히트펌프 시스템(10)의 난방운전의 경우, 일례로 외기온도가 낮은 동절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스템의 부하율과 냉매 온도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가로축은 하루(24시간) 중의 시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하루 중 오전 8시(08:00)에 외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08시에 외기온도가 가장 낮으므로, 상기 08시에 소정의 설정온도와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설정온도는 일정한 값, 예를 들어 21℃인 것으로 본다.
따라서, 시스템의 운전부하는 08시에 가장 높고(L6 %), 14시(L4 %) 및 20시(L5 %)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은 08시에 정격운전, 14시 및 20시에는 부분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L6는 100, L4는 25, L5는 50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운전부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압축기(110)의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간 열교환기(300)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온도는 08시에 가장 높고(T6℃), 20시에는 T5℃, 14시에는 T4℃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T6>T5>T4가 성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냉매 순환부(100)를 순환하는 제 1 냉매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8시에는 냉매가 F (kg/h)로 유동할 수 있고, 14시에는 F-f1 (kg/h)로 유동하며, 20시에는 F-f2(kg/h)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f1 > f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 시스템은 난방운전시 운전부하에 따라 중간 열교환기의 출구온도 및 냉매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운전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10 : 히트펌프 시스템 100 : 제 1 냉매 순환부
110 : 제 1 압축기 120 : 제 1 유동 전환부
130 : 실외 열교환기 135 : 실외 온도감지부
140 : 실외 팽창장치 200 : 제 2 냉매 순환부
210 : 제 2 압축기 300 : 중간 열교환기
310 : 제 1 온도감지부 320 : 제 2 온도감지부
400 : 실내기 500 : 급탕부

Claims (14)

  1. 제 1 냉매가 압축되는 제 1 압축기, 외기와 열교환 하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냉매를 감압하는 실외 팽창장치가 구비되는 제 1 냉매 순환부;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제 2 압축기가 포함되는 제 2 냉매 순환부;
    상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가 통과하며, 상기 제 1,2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중간 열교환기;
    상기 제 2 냉매가 공급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실내기; 및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에 제공되며,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에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온도 감지부; 및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설정온도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제 1 냉매 순환부의 운전부하의 크기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냉방 운전시,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설정온도의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기준온도 값을 낮추고,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를 증대하고,
    상기 제어부는 난방 운전시,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설정온도의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기준온도 값을 높이고,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를 증대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는,
    상기 중간 열교환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중간 열교환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 중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온도 감지부가 포함되는 히트펌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설정온도의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실외 팽창장치의 개도를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의 제 2 냉매가 유입되어 물과 열교환 되는 수냉매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급탕부가 더 포함되는 히트펌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매 순환부의 제 2 냉매는 상기 실내기와 급탕부에 분지되어 유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0. 제 1 냉매가 흡입되는 제 1 압축기 및 제 2 냉매가 흡입되는 제 2 압축기가 운전되어, 제 1 냉매와 제 2 냉매가 중간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되는 단계;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와의 차이값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정격운전 또는 부분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정격운전 또는 부분운전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정격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기준온도 값을 낮추고,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를 증대하고,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중간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제 1 냉매의 기준온도 값을 높이고, 상기 제 1 압축기의 회전수를 증대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실외 팽창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정격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정격운전에서, 상기 실외 팽창장치의 개도는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30083359A 2013-07-16 2013-07-16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5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59A KR102059047B1 (ko) 2013-07-16 2013-07-16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59A KR102059047B1 (ko) 2013-07-16 2013-07-16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01A KR20150009201A (ko) 2015-01-26
KR102059047B1 true KR102059047B1 (ko) 2019-12-24

Family

ID=5257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359A KR102059047B1 (ko) 2013-07-16 2013-07-16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833B1 (ko) * 2015-01-28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급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5191A (ko) 2019-10-16 2021-04-26 제이씨텍(주)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08582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및 그 제어방법
KR102410386B1 (ko) 2021-06-04 2022-06-22 (주)후로스 히트펌프 열교환 장치가 적용된 ai cop센서를 포함하는 수열 에너지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2177A (ja) * 2010-08-23 2012-03-01 Hitachi Appliances Inc ヒートポンプ式温水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713A (ja) * 1995-01-13 1996-07-23 Daikin Ind Ltd 二元冷凍装置
JPH10148409A (ja) * 1996-11-19 1998-06-02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KR20110056061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2177A (ja) * 2010-08-23 2012-03-01 Hitachi Appliances Inc ヒートポンプ式温水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01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9529B2 (ja) 熱源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JP6479162B2 (ja) 空気調和装置
JP4651627B2 (ja) 冷凍空調装置
JP4931848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用室外機
JP5132708B2 (ja) 冷凍空調装置
JP2008232508A (ja) 給湯器
JP4375171B2 (ja) 冷凍装置
JP6296203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6067178B2 (ja) 熱源側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2011112333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KR102059047B1 (ko)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3204B1 (ko) 냉장 냉동 복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228954A2 (en) Cooling apparatus
WO2016001958A1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12270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871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175430A (ja) 空気調和機
KR20080008768A (ko) 브라인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JP2013117360A (ja) 空気調和装置及び方法
KR102104818B1 (ko) 칠러
JP6968769B2 (ja) 複合熱源ヒートポンプ装置
KR20110001992A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에제거방법
KR10127081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0128858A (ja) 空気調和機
JP5956839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