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881B1 -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881B1
KR102058881B1 KR1020180147528A KR20180147528A KR102058881B1 KR 102058881 B1 KR102058881 B1 KR 102058881B1 KR 1020180147528 A KR1020180147528 A KR 1020180147528A KR 20180147528 A KR20180147528 A KR 20180147528A KR 102058881 B1 KR102058881 B1 KR 10205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olidified
sheet
mats
solidified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태
윤지섭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8014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8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olidified mat which can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solidified mat including an upper cloth sheet to absorb water, a lower waterproof sheet coming in contact with a construction surface, and a cement layer having cement powd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loth sheet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and solidified by reacting with water absorbed by the upper cloth sheet comprises: a step of preparing the solidified mats rolled in a roll shape; a step of laying a plurality of solidified mats to sequentially unroll the solidified mats on a flattened construction surface to cover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a step of connecting overlapping portions between solidified mats adjacent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plurality of laid solidified mats. The solidified mat includes an extension sheet protruding from an edge of one sid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more outwards than an edge of one side of the upper cloth sheet by a prescribed width. The step of laying the solidified mats forms an overlapping portion where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the solidified mat is placed and overlap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of another adjacent solidified mat.

Description

고화매트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본 발명은 고화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에 대한 접합연결작업을 고화매트의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해서 서로 동일한 소재를 갖는 시트들간의 접합연결작업으로 전환하여 고화매트 시공후 전체적인 시공면에 대한 평탄도를 보장하면서 접합강도를 높여 접합불량에 기인하는 고화매트의 겹침부위가 벌어지는 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화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olidified mat, more specifically, a joint connection operation for overlapping areas between adjacent mats of the mating operation of the joint connection between the sheets having the same material to each other by a simple structural change of the solidified m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mat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construction defects in which overlapping portions of a solid mat are spread due to poor bonding while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while ensuring the flatness of the entire construction surfac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olid mat.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토지조성, 도로공사, 매립지 조정공사 등의 경우, 성토사면 및 절취사면이 필연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사면의 표층보호를 위한 다양한 공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사면표면 처리공법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large-scale land construction, road construction, landfill adjustment, etc., incline and cut slopes are inevitably formed, and various methods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se slopes are used. It is a construction method.

이는 공장에서 제조된 습식 콘크리트를 차량으로 운반하여 포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거푸집 등으로 형태를 잡고 타설 및 경화시켜 콘크리트 보호층을 조성하는 것이다. This is to form a concrete protective layer by forming, pouring and hardening the form of a formwork, etc. in the position to be transported by the wet concrete manufactured in the factory to the vehicle.

급경사의 절취사면에서는 뿜어 붙이기 기술인 숏크리트공법이 적용되며, 숏크리트 공법은 표층이 불안정한 사면의 표면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표층의 안정화를 유도하는 공법으로서 단기간의 효과가 뚜렷하다는 장점 때문에 흔히 시공 적용되어 왔다.The shotcrete method, which is a spray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e cutting slope of steep slopes, and the shotcrete method is a method that induces stabilization of the surface layer by covering the surface of the unstable slope surface with concrete and has been frequently applied because of its advantages.

그러나 숏크리트 공법은 굴착된 면에 액체를 뿜어서 붙이는 작업으로 시설이 과다하게 사용되며, 사전 준비작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펌프를 이용하여 타설하기 때문에 작업시 소음이 발생과 노즐 끝단을 작업자가 잡고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분사시 인체에 해로운 입자를 작업자가 흡입하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However, the shotcrete method uses excessive amounts of equipment by spraying liquid onto the excavated surface, and requires a lot of time for preliminary work, and also uses a pump to place noise, and the end of the nozzle Since the operation is carried out by the holding the safety problem that the operator inhale the particles harmful to the human body occurred during the injection.

또한, 저류조, 수로, 인공호수 등에서도 사면 마감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에서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양생을 시키기 위한 거푸집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되는데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 및 타설 작업시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작업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lacing concrete to finish the slope in storage tanks, waterways, artificial lakes, etc., molds for curing and preventing the leakage of concrete are additionally used.There is a problem that concrete pouring cannot be performed without installing the formwork.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such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liminary preparation work and the placing work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excessive workforc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장수화 콘크리트 매트인 고화매트가 적용되는데, 건조 시멘트 혼합분말을 담지한 복합매트 형태로 현장에 포설된 후 단순한 물의 분사 및 살포로 침투되는 물과 속경성 시멘트간의 수화반응시킴으로써 시멘트혼합물이 경화되면 간편하게 콘크리트 보호층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olidified mat, which is an on-site hydrated concrete mat, is applied, and is installed on the site in the form of a composite mat supporting dry cement mixed powder, and then, by simply hydrating a reaction between water and fast-hardening cement which is penetrated by simple water spraying and spraying. When the cement mixture is cured, the concrete protective layer can be easily formed.

이러한 고화매트를 사면이나 수로의 바닥면과 같은 평탄한 시공면에 포설하여 시공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틈새로 인한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화매트의 양측테두리를 상호 겹쳐서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화매트의 겹쳐지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상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시공후 고화매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외관이 평활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게 시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When installing the solidified mat on a flat construction surface such as a slope or the bottom of a waterway,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the both sides of the solidified mat in order to prevent leakage due to gaps between adjacent mats Since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solidified mat is relatively protruded upward, the overall appearance made by the solidified mat after the construction is not smooth and a problem is constructed unevenly.

또한,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을 서로 겹쳐지는 접합부에 접합재를 도포하여 접합하게 되는데, 상기 고화매트의 상부층은 수분흡수가 용이한 부직포와 같은 천시트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상기 고화매트의 하부측은 방수를 위해서 방수시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천시트와 방수시트간의 접합강도 및 접착력이 불량하여 시공후 겹침부위가 벌어지는 시공불량을 초래하였다. In addition, by bonding the bonding material to the bonding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djacent mats, the upper layer of the solidified mat is made of a cloth sheet, such as a non-woven fabric that can easily absorb moisture, while the lower side of the solidified mat for waterproofing Since it is made of a waterproof sheet, the bonding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cloth sheet and the waterproof sheet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re poor, resulting in a construction failure in which overlapping areas are opened after construction.

(특허문헌 1) KR10-2012-0132745 A (Patent Document 1) KR10-2012-0132745 A

특허문헌 1에는 제1고화매트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고, 격자 형태로 설치된 제1고화매트 사이를 복개할 수 있도록 제2고화매트를 설치하며, 각각의 제2고화매트를 제1고화매트 사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제2고화매트의 전 둘레가 제1고화매트 위에 접합됨과 아울러 이웃한 제2고화매트와 연접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에 겹쳐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화매트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a first solidified mat is provided in a lattice form, and a second solidified mat is provided to cover between the first solidified mats provided in a lattice form, and each second solidified ma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olidified mat.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solidified mat is bonded to the first solidified mat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solidified mat, the solidification that can minimize the overlap between the adjacent mat mat The mat construction method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고화매트의 겹침부위에 대한 접합이 소재가 서로 다른 이종재질들간의 접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후 접합불량에 의하여 고화매트가 들뜨거나 벌어지는 시공불량을 완벽하게 해결하기 곤란하였다. However, because of the construction method, the joining of overlapping parts of the solidified mat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s made by joining dissimilar materials with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 construction mat is lifted or opened due to the joint failure after construct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에 대한 접합연결작업을 고화매트의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해서 서로 동일한 소재를 갖는 시트들간의 접합연결작업으로 전환하여 고화매트 시공후 전체적인 시공면에 대한 평탄도를 보장하면서 접합강도를 높여 접합불량에 기인하는 고화매트의 겹침부위가 벌어지는 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화매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joining operation for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adjacent mats of solidification between the sheets having the same material to each other by a simple structural change of the mat To provide a solid mat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the construction failure of overlapping part of the solidified mat due to the poor bonding by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by ensuring the flatness of the entire construction surfac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olidified mat do.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물이 흡수되는 상부천시트와, 시공면에 접하는 하부방수시트 및 상기 상부천시트와 하부방수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상부천시트를 통해 흡수된 수분과 반응하여 고화되는 시멘트분말이 개재되는 시멘트층을 포함하는 고화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화매트가 롤형태로 말려진 고화매트를 준비하는 단계 ; 상기 고화매트를 평탄화된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펼쳐서 상기 시공면을 덮도록 복수개의 고화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를 연결하여 포설된 복수개의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매트는 상기 하부방수시트 일측테두리로부터 상기 상부천시트의 일측테두리보다 외측으로 일정폭 만큼 돌출된 연장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매트를 포설하는 단계는 상기 고화매트의 연장시트의 상부면에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하부방수시트가 올려져 접해지는 겹침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고화매트의 연장시트 상부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연장시트와 대응하는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를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외부노출되는 연장시트의 상부면이나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드의 하부방수시트의 하부면에 일정량의 접합재를 도포하여 상기 접합재를 매개로 상기 겹침부위를 접합연결하면서 상기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와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타측테두리가 서로 맞닿아지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이후, 상기 겹침부위와 대응하는 고화매트의 상부면과 외접하여 롤링되는 가압롤러에 의해서 상기 연장시트와 하부방수시트와의 사이에 개재된 접합재가 고르게 펼쳐지도록 겹침부위를 가압하는 단계와, 외부노출되는 상부천시트에 수분이 함침되도록 물을 살포하여 분사공급한 다음 작업자가 고화매트의 표면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엄지테스트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상부천시트에 흡수된 물의 포화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매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abric sheet is water is absorbed, the lower waterproof sheet in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upper sheet between the upper sheet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Claims [1]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olidification mat comprising a cement layer interposed between cement powder solidified by reacting with water absorbed through a bucheon sheet, the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solidification mat in which the solidification mat is rolled; Laying out a plurality of solidifying mats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surface by sequentially spreading the solidification mat on a flattened construction surface;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installed mats by connecting overlapping portions of adjacent mats to each other, wherein the mat is fixed width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one side edg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to an outer side than one side edge of the upper cloth sheet. And a protruding extension sheet, and the step of laying the solidification mat may form an overlapping portion where the bottom waterproof sheet of another solidification mat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of the solidification mat is lifted up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idification mat. The connecting step may include lifting one edge of another extension mat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sheet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op surface or the other adjacent edge of the extension sheet to be exposed. A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onding materia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the solidified mad to the overlapping portion via the bonding material And connecting the other edges of the other mats of mats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the joints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fter connecting the mats of the mats,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of the mats. Pressing the overlapped portion so that the bond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extension sheet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is spread evenly by a pressure roller rolled outside the surface, and sprays water so that moisture is impregnated in the exposed top fabric sheet. And then supplying a spray and then performing a thumb test to press the surface of the solidified mat with a thumb to check the saturation state of the water absorbed by the upper fabric sheet. to prov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겹침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시트의 하부면에 노출되는 단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거나 상기 겹침부위를 관통하는 하부단이 시공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앵커핀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connecting the solidified mat,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end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through the overlapping portion or the lower end penetrating the overlapp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surface to a certain depth It may be made by a plurality of anchor pins that are fixed.

바람직하게,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과 대응하는 시공면에 상기 고화매트의 폭방향으로 일정깊이의 고정홈을 함몰형성하는 단계 ;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이 바닥면에 배치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는 매트고정용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고화매트를 위치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before or after the step of connecting the solidified mat, the step of forming a fixed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idified mat on the construction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Positioning the solidified mat by the load of the mat fixing weigh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시공면과 접하는 하부방수시트의 일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시트를 형성하는 고화매트의 간단한 구조변경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에 대한 접합연결작업을 서로 동일한 소재를 갖는 시트들간의 접합연결작업으로 전환함으로써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에 기인하는 돌출높이를 하부방수시트의 두께크기로 최소화하고, 접합불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화매트 시공후 전체적인 시공면에 대한 평탄도를 안정적으로 보장하면서 접합불량에 기인하는 겹침부위의 들뜸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By the simple structure change of the solidified mat forming the extension sheet extending outward from one side edg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in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joint connection work for the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adjacent mats between the sheets having the same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caused by the overlapping parts between the solidified mats by the thickness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and to prevent the poor bonding, so that the flatness of the entire construction surface after the solidified mat is stable. It can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prevent the lifting of the overlapped part due to the poor bonding,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고화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서 평탄화된 시공면에 첫번째 고화매드를 포설하는 공정을 도시한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서 고화매트를 포설하여 겹침부위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서 겹침부위를 접합재로서 연결하는 공정을 도시한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서 가압롤러를 이용한 가압공정을 도시한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서 겹침부위를 앵커핀으로서 연결하는 공정을 도시한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 와 도 7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에서 고화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을 앵커용 중량물로서 고정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idified mat applied to the solidified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onfiguration diagram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laying the first solidified mat on the flattened construction surface in the solidified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the overlapping portion by laying the solidification mat in the solidification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the overlapping portion as a bonding material in the solidification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ing process using a pressure roller in the solidified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the overlapping portion as an anchor pin in the solidification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of fixing one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as the weight for anchor in the solidified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structural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화매트 시공방법은 고화매트(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화매트(1)를 포설하는 단계 및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lidification ma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reparing a solidification mat 1, laying the solidification mat 1, and connecting the solidification mat.

상기 고화매트(1)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정길이의 고화매트가 롤형태로 말려진 롤형 고화매트를 준비하는 것이다.The step of preparing the solidified mat 1 is to prepare a roll-shaped solidified mat of a fixed length of the fixed mat is rolled.

이러한 고화매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흡수되어 함침되는 부직포와 같은 천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천시트(10)를 포함하고, 시공면에 접하여 방수기능을 수행하도록 박막필름과 같은 하부방수시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천시트(10)와 하부방수시트(50)와의 사이에 상기 상부천시트(10)를 통해 흡수된 수분과 반응하여 고화되는 일정량의 시멘트분말이 개재되는 일정두께의 시멘트층(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olidified mat 1 includes an upper cloth sheet 10 made of a cloth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in which water is absorbed and impregnated, and a thin film to contact the construction surface to perform a waterproof function. It includes the same lower waterproof sheet 50, a predetermined amount of cement powder is solidified by reacting with the moisture absorbed through the upper fabric sheet 10 between the upper fabric sheet 10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It includes a cement layer 30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terposed.

상기 상부천시트(10)와 시멘트층(30)사이에는 외부노출되는 상부천시트가 외력에 의해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자형 지오그리드(20)를 배치하고, 상기 시멘트층과 하부방수시트(50)와의 사이에는 접착제(45)에 의해서 하부방수시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부천시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Between the upper fabric sheet 10 and the cement layer 30 is disposed a grid type geogrid 20 to prevent the externally exposed upper fabric sheet is push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cement layer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In between may include a lower cloth sheet 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by the adhesive (45).

상기 고화매트(1)는 상기 하부방수시트 일측테두리로부터 상기 상부천시트의 일측테두리보다 외측으로 일정폭(W) 만큼 돌출되어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하부면인 하부방수시트(50)와 겹침부위(P)를 형성하는 연장시트(55)를 포함한다. The solidified mat 1 protrudes outwardly from one side edg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one side edge of the upper cloth sheet by a predetermined width (W) and overlaps with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which is a lower surface of another solidified mat adjacent thereto. And an extension sheet 55 forming (P).

즉, 상기 고화매트(1)는 수분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천시트(10)를 통하여 침투되는 물과 접촉하여 경화되는 3차원 연성 시멘트 직물이며, 이러한 고화매트(1)는 수화작용을 위해 물이 침투하는 직물로 구성된 상부천시트와, 시공이후에 지반시공면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방수역할을 하는 PVC박막으로 구성된 하부방수시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That is, the solidified mat (1) is a three-dimensional soft cement fabric that is cured in contact with the water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cloth sheet (10)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water absorption, the solidified mat (1) for the hydration It includes a top cloth sheet composed of a fabric that penetrates water, and a bottom waterproof sheet composed of a PVC thin film that plays a waterproof role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he ground construction surface after construction.

상기 고화매트(1)를 포설하는 단계는 도 2a 와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시트(55)를 일측테두리에 구비하는 고화매트(1)를 평탄화된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펼쳐서 상기 시공면을 덮도록 포설하는 것이다. In the step of laying the solidified mat 1,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olidified mat 1 having the extension sheet 55 on one side edge is sequentially spread on a flattened construction surface. It is laid to cover the surface.

여기서, 일정길이의 고화매트가 롤형태로 말려진 롤형 고화매트를 시공면을 덮도록 포설하는 작업은 상기 롤헝 고화매트의 중심에 구비되는 중심바(12)를 기준으로 풀림방향으로 구름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천시트(10)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층으로 하고, 상기 하부방수시트(50)를 시공면에 접하는 하부층으로 하여 고화매트를 펼치면서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ork of laying the roll-type solidified mat rolled in a roll shape to cover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fixed length of the fixed mat is rolling by rolling in the unwinding direction relative to the center bar 1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lled solidified mat. It is preferable to lay the upper fabric sheet 10 as an upper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spread the solidified mat with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as a lower layer in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surface.

즉, 상기 고화매트를 시공면에 포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화매트(1)의 일측테두리의 하부방수시트로부터 일정폭 연장된 연장시트(55)의 상부면에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1)의 하부방수시트(50)의 하부면이 올려져 접해짐으로써 일측 고화매트의 연장시트와 타측 고화매트의 하부방수시트가 상하 적층되어 중첩되는 겹침부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ocess of laying the solidified mat on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olidified mat 1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55 extend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one side edge of the solidified mat 1. As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50 is raised and contacted, the extension sheet of one solidification mat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the other solidification mat are stacked up and down to form an overlapped portion.

이러한 겹침부위(P)는 상기 고화매트(1)의 폭방향으로 상기 고화매트의 설치갯수(N)의 N-1 갯수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is overlapping portion (P) is formed repeate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idified mat (1) to the number N-1 of the installation number (N) of the solidified mat.

이때, 상기 고화매트(1)의 일측테두리는 다른 고화매트의 타측테두리와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맞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른 고화매트의 타측테두리는 겹침부위를 형성하는 연장시트의 두께에 의해서 상기 겹침부위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돌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edge of the solidified mat (1) is preferably opposed to the other edge of the other mat mat so as not to generate a gap, the other edge of the other mat mat by the thickness of the extension sheet forming the overlapping portion It may protrud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ed portion.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도 3a 와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포설되는 고화매트(1)들간의 겹침부위(P)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포설된 복수개의 고화매트(1)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Connecting the solidified mat is a plurality of laid by integrally connecting the overlapping portion (P) between the solidified mats (1) which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as shown in Figure 3a and 3b The solidification mat 1 is connected to each other.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1)들사이를 연결하는 공정은 도 4a 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process of connecting between the solidified mats 1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performed using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as shown in Figs. 4a and 4b.

즉, 상기 고화매트(1)의 연장시트(55)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1)의 하부방수시트(50)가 중첩되어 겹침부위(P)를 형성하고 상기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와 다른 고화매트의 타측테두리가 서로 맞닿아지도록 포설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연장시트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겹침부위(P)를 형성하는 연장시트(55)의 상부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That is, the extension sheet 55 of the solidified mat 1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of the other solidified mat 1 adjacent to each other overlap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P, which is different from one side edge of the solidified mat.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edges of the mat of mats are lai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extension sheet 55 for forming an overlapping portion P by lifting an edge of one side of another mat of mating mat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sheet.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o the outside.

이어서, 외부노출되는 연장시트(55)의 상부면이나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1)의 하부방수시트(50)의 하부면에 일정량의 접합재를 도포한 다음, 상기 연장시트의 상부면에 상기 다른 고화매트의 하부방수시트의 하부면이 접하도록 들어올려진 고화매트를 그대로 원복시키면, 상기 접합재를 매개로 하여 겹침부위(P)를 접합연결하는 것이다. Subsequently,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ond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sheet 55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of the other solidified mat 1 adjacent thereto, and then the other surface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sheet. When the solidified mat lifted up as it is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the solidified ma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verlapping portion P is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onding material.

이때, 상기 접합재는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nding material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pplying a liquid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placed with an adhesive tape such as a double-sided tape.

한편, 상기 겹침부위(P)를 접합재(B)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공정 이후에는 도 5a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연장시트(55)와 하부방수시트간의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가압롤러(70)를 이용하여 겹침부위를 가압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ep of connecting the overlapping portion (P) using the bonding material (B), as shown in Figure 5a 5b,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xtension sheet 55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made of the same material It is possible to add a step of pressing the overlapping portion by using the pressure roller 70 to be able to.

이러한 가압공정은 상기 겹침부위(P)와 대응하는 고화매트의 상부면과 외접하여 일방향으로 구름회전되면서 롤링되는 가압롤러(70)를 이용하여 상기 겹침부위(P)에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연장시트(55)와 하부방수시트(50)와의 사이에 개재된 접합재의 층두께가 균일해지도록 고르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일정시간 경과후 접합재에 의한 접합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is pressurizing process is to extend the sheet by transferring the pressing force to the overlapping portion (P) by using the pressure roller 70 is rolled while rolling rolling in one direc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lidified mat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P) Bonding strength by the bonding material can be further increas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spreading evenly so that the layer thickness of the bond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55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50 becomes uniform.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1)들사이를 연결하는 공정은 도 6a 와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핀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process of connecting between the solidified mats 1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performed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n anchor pin as shown in Figure 6a and 6b.

즉, 상기 고화매트(1)의 연장시트(55)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1)의 하부연장시트(50)가 중첩되어 겹침부위(P)를 형성하고 상기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와 다른 고화매트의 타측테두리가 서로 맞닿아지도록 포설된 상태에서, 앵커핀(80)의 단부가 상기 겹침부위를 형성하는 다른 고화매트 및 연장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시트의 하부면에 노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앵커핀의 단부에 체결부재(82)를 체결함으로써 앵커핀을 매개로 하여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P)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That is, the extension sheet 55 of the solidified mat 1 and the lower extension sheet 50 of the other solidified mat 1 adjacent to each other overlap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P, which is different from one side edge of the solidified mat.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edges of the solidified mat ar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nd of the anchor pin 80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sheet through the other solidified mat and the extension sheet forming the overlapping portion,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82 to the end of the anchor pin is to connect the overlapping portion (P) between the solidified mats adjacent to each other via the anchor pin.

이때, 상기 앵커핀(80)은 상기 겹침부위의 연장시트 하부면으로 노출되는 단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앵커핀의 하부단이 상기 겹침부위를 관통하여 시공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chor pin 80 is shown and described as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end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of the overlapping por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pplying a liquid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 end of the anchor pin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construction surface by penetrating the overlapping portion.

또한, 상기 앵커핀(80)은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력 ㄷ 자형으로 절곡된 앵커핀을 채용하여 선택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chor pin 80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made of a straight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selectively constructed by employing an anchor pin bent in a strong c-shape.

한편, 일정각도 경사진 사면이나 수로의 하상바닥면을 덮도록 시공되는 고화매트(1)는 도 7a 와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면 또는 수로의 각 천단부에 일단 또는 양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각각 위치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lidified mat (1) constructed to cover the slope of the slop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as shown in Figs. 7A and 7B,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lope or the water channel at each end Each position can be fixed so as not to flow down.

즉, 상기 고화매트(1)의 일단 또는 양단과 대응하는 시공면의 천단부에는 상기 고화매트의 폭방향으로 일정깊이의 고정홈(92)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일부 또는 양단 일부를 상기 고정홈(92)의 바닥면에 배치한 다음,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이 바닥면에 배치되는 고정홈(92)으로 매트고정용 중량물(90)을 대응삽입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매트고정용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서 고화매트(1)의 일단 또는 양단을 사면이나 수로의 각 천단부에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1 is recessed to form a fixing groove 92 of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idified mat, and at least one portion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92, and then by mating the mat fixing weight 90 into the fixing groove 92,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olid ma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the m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olidification mat 1 can be firmly fixed to each end of the slope or channel by the load of the fixing heavy object.

이러한 매트고정용 중량물(90)을 시공하는 공정은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를 서로 연결하는 공정 이전이나 이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at-fixing weight 90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mats of the solidified mat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한 고화매트 시공방법에 의해서 시공면에 고화매트를 포설하여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를 연결한 다음, 외부노출되는 상부천시트에 수분이 함침되도록 물을 살포하여 분사공급한다.By installing the solidified mat on the construction surface by the above-described solidified mat construction method, connecting overlapping portions between adjacent solidified mats, and spraying water by spraying water so that water is impregnated into the upper cloth sheet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시공면의 경사도가 큰 경우 자중에 의해서 함침된 물이 상부천시트의 하부단으로 편중되기 때문에 상부천시트에 물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this case, when the inclination of the construction surface is large, it is very important to impregnate the top fabric sheet evenly because the water impregnated by its own weight is biased to the lower end of the top fabric sheet.

상부천시트에 물이 포화상태로 흡수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고화매트의 표면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 엄지테스트 ' 작업을 수행하여 상부천시트에 흡수되는 물의 포화상태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하면서 물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In order to check the water absorbed in the upper fabric sheet in a saturated state, the operator presses the surface of the solidified mat with a thumb and performs a 'thumb test' to easily saturate the water absorbed in the upper fabric sheet. The water supply can be carried out while checking.

그리고, 상기 상부천시트에 흡수된 물이 시멘트층의 속경형 시멘트분말과 수화반응이 이루어지게 되면,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시멘트층은 경화되어 강도발현이 가능한 콘크리트층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When the water absorbed by the upper fabric sheet is subjected to the hydration reaction with the fast-diameter cement powder of the cement layer, the cement layer is cured and converted into a concrete layer capable of expressing strength after a certain ti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상부천시트
20 : 지오그리드
30 : 시멘트층
50 : 하부방수시트
55 : 연장시트
70 : 가압롤러
80 : 앵커핀
90 : 매트고정용 중량물
10: top cloth sheet
20: geogrid
30: cement layer
50: lower waterproof sheet
55: extension sheet
70: pressure roller
80: anchor pin
90: heavy weight for mat fixing

Claims (5)

물이 흡수되는 상부천시트와, 시공면에 접하는 하부방수시트 및 상기 상부천시트와 하부방수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상부천시트를 통해 흡수된 수분과 반응하여 고화되는 시멘트분말이 개재되는 시멘트층을 포함하는 고화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화매트가 롤형태로 말려진 고화매트를 준비하는 단계 ;
상기 고화매트를 평탄화된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펼쳐서 상기 시공면을 덮도록 복수개의 고화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
서로 인접하는 고화매트들간의 겹침부위를 연결하여 포설된 복수개의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매트는 상기 하부방수시트 일측테두리로부터 상기 상부천시트의 일측테두리보다 외측으로 일정폭 만큼 돌출된 연장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매트를 포설하는 단계는 상기 고화매트의 연장시트의 상부면에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하부방수시트가 올려져 접해지는 겹침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고화매트의 연장시트 상부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연장시트와 대응하는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를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외부노출되는 연장시트의 상부면이나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하부방수시트의 하부면에 일정량의 접합재를 도포하여 상기 접합재를 매개로 상기 겹침부위를 접합연결하면서 상기 고화매트의 일측테두리와 인접하는 다른 고화매트의 타측테두리가 서로 맞닿아지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이후,
상기 겹침부위와 대응하는 고화매트의 상부면과 외접하여 롤링되는 가압롤러에 의해서 상기 연장시트와 하부방수시트와의 사이에 개재된 접합재가 고르게 펼쳐지도록 겹침부위를 가압하는 단계와,
외부노출되는 상부천시트에 수분이 함침되도록 물을 살포하여 분사공급한 다음 작업자가 고화매트의 표면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엄지테스트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상부천시트에 흡수된 물의 포화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겹침부위를 관통하는 하부단이 시공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앵커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고화매트를 연결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과 대응하는 시공면의 천단부에 상기 고화매트의 폭방향으로 일정깊이의 고정홈을 함몰형성하는 단계 ;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일부 또는 양단 일부를 상기 고정홈의 바닥면에 배치한 다음 상기 고정홈에 매트고정용 중량물을 대응삽입하여 매트고정용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고화매트의 일단 또는 양단부를 천단부에 위치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매트 시공방법.
Cement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fabric sheet to absorb water, the lower waterproof sheet in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cement powder is solidified by reacting with the moisture absorbed through the upper fabric sheet between the upper fabric sheet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olid mat comprising a,
Preparing a solidified mat in which the solidified mat is rolled;
Arranging a plurality of solidifying mats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surface by sequentially spreading the solidification mat on a flattened construction surfac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nstalled mats by connecting overlapping portions of the adjacent mats to each other,
The solidified mat includes an extension shee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ne side edg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by a predetermined width than the one side edge of the upper fabric sheet,
The step of laying the solidified mat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where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another solidified mat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of the solidified mat is raised and contacted,
The connecting of the solidified mat may include lifting one edge of another solidified mat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sheet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sheet of the solidified m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bonding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heet is extended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waterproof sheet of the other solidified mat adjacent to the one side border of the solidified mat while joining the overlapping portion through the bonding material Connecting the other edges of the other ma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connecting the solidified mat,
Pressurizing the overlapping portion so that the bond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extension sheet and the lower waterproof sheet is spread evenly by a pressure roller rolled outwardly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olidification mat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After spraying and spraying water so that water is impregnated to the exposed top fabric sheet, the worker presses the surface of the solidified mat with a thumb to perform a thumb test to check the saturation state of the water absorbed by the top fabric sheet. Including the steps of:
The step of connecting the solidified mat, the lower end penetrating the overlapping portion is made of a plurality of anchor pins are inserted into a fixed depth to the construction surface,
Before or after the step of connecting the solidified mat, recessing a fix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idified mat at a top end of a construction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olidified ma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and then the mat fixing weight is inserted correspondingly into the fixing groove so that one or both ends of the fixing mat are loaded by the mat fixing weight. Solid ma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o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7528A 2018-11-26 2018-11-26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KR1020588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28A KR102058881B1 (en) 2018-11-26 2018-11-26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28A KR102058881B1 (en) 2018-11-26 2018-11-26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881B1 true KR102058881B1 (en) 2019-12-24

Family

ID=6902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528A KR102058881B1 (en) 2018-11-26 2018-11-26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8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77B1 (en) * 2020-02-05 2020-11-10 (주)콘텍이엔지 Composition for free form crete comprising mineral fiber and free form crete hav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36A (en) * 1993-02-25 1994-09-06 Hitachi Cable Ltd Joint part of water barrier sheet
KR100444907B1 (en) * 2003-10-09 2004-08-21 주식회사 대흥산업 Complex waterproof structure using waterproof sheet and a waterproofing method
KR20090004328U (en) * 2009-03-19 2009-05-08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Geosynthetic clay mat and construction method continuous liner
KR101758023B1 (en) * 2016-07-20 2017-07-13 한국수자원공사 Concrete Mat And Geomembrane Sealing System D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36A (en) * 1993-02-25 1994-09-06 Hitachi Cable Ltd Joint part of water barrier sheet
KR100444907B1 (en) * 2003-10-09 2004-08-21 주식회사 대흥산업 Complex waterproof structure using waterproof sheet and a waterproofing method
KR20090004328U (en) * 2009-03-19 2009-05-08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Geosynthetic clay mat and construction method continuous liner
KR101758023B1 (en) * 2016-07-20 2017-07-13 한국수자원공사 Concrete Mat And Geomembrane Sealing System D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77B1 (en) * 2020-02-05 2020-11-10 (주)콘텍이엔지 Composition for free form crete comprising mineral fiber and free form cret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221B2 (en) Fireproof seamless foam panel roofing system
KR100885944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crete surfac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KR102058881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irming matt
CN105544617A (en) Integr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basement soleplate and waterproof roll as well as waterproof structure
CN211312492U (en) Prestressed pipe pile head waterproof structure and pipe pile head
KR200405387Y1 (en) Waterproof sheet using glass fiber of meshand
KR101547085B1 (en) Joiner for waterproofing sheet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24306B1 (en) Matt Connecting Device and the Firming Matt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144168A (en) Roof construction and method of laying roll roofing
CA2572908A1 (en) Waterproofing membrane
JP4589344B2 (en) Seat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KR102145228B1 (en)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Urethane Coating Material
CN211646998U (en) Waterproof and drainage integrated plate
KR102094106B1 (en) Combined waterproofing method with property of air permeability
KR100878342B1 (en) Non-exposure typ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KR102271040B1 (en) Reinforcement mat of on-site hydration type using tufting connection threa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CN113653103A (en) Construction method for polymer pre-laid anti-sticking waterproof coiled material
KR101923550B1 (en) Polyurethane waterproof sheet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for construction the same
KR20090107178A (en) Waterproof structure for tunnel
KR101014384B1 (en) Method for waterproofing concrete structure using waterproof sheet
KR100689886B1 (en) Waterproof protection sheet and adhesion waterproofing method therein
JP6004553B1 (en) Vacuum dewatering method for concrete surface layer
CN111042174A (en)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bottom plate of underground structure
CN211421423U (en) Basement waterproof structure
CN215888305U (en) Waterproof board connecting structure for bearing platform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