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627B1 -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 Google Patents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627B1
KR102058627B1 KR1020180123271A KR20180123271A KR102058627B1 KR 102058627 B1 KR102058627 B1 KR 102058627B1 KR 1020180123271 A KR1020180123271 A KR 1020180123271A KR 20180123271 A KR20180123271 A KR 20180123271A KR 102058627 B1 KR102058627 B1 KR 10205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speaker
sound wave
upper opening
dr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섭
Original Assignee
정에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에녹 filed Critical 정에녹
Priority to KR102018012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6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04R1/285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or has invented a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experiences and know-how accumulated through speake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experiences for several ye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aker can surprisingly block ceiling reflected sound, and accordingly, an effect that a speaker installed on ceiling in a room does not give a sense of fatigue to audience could be obta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aker having ceiling reflected sound reduction function includes: an enclosure which has an upper opening on an upper portion; one or more driver units which are mount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receive an electric signal to generate sound wave; and one or more waveguides which are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and have an exi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wherein the upper opening is installed in an interval within the length of the enclosure from ceiling, an introduction part of one or more waveguides receives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one or more driver units, the received sound wave is outputted to the upper opening through the one or more waveguides, the sound wave outputted from the upper opening destructively interferes with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one or more driver units at one or more points where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one or more driver units is reflected on a structure having a speaker installed and a neighboring structure such that reflected sound by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one or more driver units is reduced.

Description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갖는 스피커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Speaker with ceiling reflection reduction function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본 발명은 천장 반사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having a function of reducing ceiling reflections.

본 발명은 음파가 출력되는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공연장과 같은 밀폐장소에서 흔히 문제가 되는 것이 천장 반사음이다. 천장 반사음은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파가 천장에서 수직으로 반사되어 발생하는 반사음을 말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to which sound waves are output. A common problem in confined spaces such as concert halls is ceiling reflections. Ceiling reflection sound refers to the reflection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reflected vertically from the ceiling.

스피커에서 나온 소리는 청중의 귀로 바로 들어가기도 하지만 공연장을 이루는 천장에 부딪혀 반사된 후 청중의 귀로 들어가기도 하고, 이 때 반사되면서 생긴 소리의 위상 지연 등의 효과로 왜곡(comb-filtering), 에코(echo), 플러터 에코(flutter echo), 크립(creep) 등의 다양한 음향적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The sound from the speaker goes directly to the audience's ears, but it hits the ceiling of the theater and is reflected and then enters the audience's ears. It can cause various acoustic defects such as echo, flutter echo, and creep.

이를 억제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은 천장에 흡읍면, 반사면 등의 특수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공연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천장 및 특수구조물의 형상 설계, 분석 및 설치 비용이 크게 증가하며, 이러한 설계를 적용하기 곤란한 소규모 공연장이나 이러한 설계의 고려없이 만들어진 공간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The existing technology for suppressing this has been to install special structures such as intake and reflecting surfaces on the ceiling. However, as the size of the venue increases, the cost of designing, analyzing, and installing the ceiling and special structures greatly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small venue that is difficult to apply such a design or a space made without considering such a desig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이나 천장에 별도의 특수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스피커의 소리를 유지하고 천장 반사음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구비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speaker having a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sound of the speaker and minimizes the reflection of the ceiling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pecial structure on the wall or ceiling. There is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는,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 상기 인클로저 내부에 설치되고 출구가 상기 상부 개구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도파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과 상기 도파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한 상기 음파를 수신하는 도파관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 수신된 상기 음파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개구부로 출력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출력된 상기 음파는 출력 직후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와 상쇄 간섭을 함으로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에 의한 천장 반사음을 저감할 수 있다.Speaker having a ceiling reflection sound re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closure having an upper opening is formed on the top, one or more driver unit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to generate sound waves, the enclosure At least one waveguide installed therein and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a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connecting the rear waveguide of the driver unit and the waveguide and receiving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driver uni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being received Sound waves pass throug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and are output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upper opening portion interfere with the sound waves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immediately after output, thereby generating the sound waves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Ceiling reflections by It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는, 스피커의 소리를 유지하면서도 천장에 의해 반사되어 발생하는 불필요한 반사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unnecessary reflection sound generated by the ceiling while maintaining the sound of the sp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및 각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스피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제조방법에 따른 저면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제조방법에 따른 상면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제조방법에 따른 도파관 형성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제조방법에 따른 개구부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스피커 중공부 및 스피커 중공부 내부에 형성된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에서 음파가 인클로저 내부의 도파관에서 진행하여 상부 개구부로 나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사음 저감 기능을 갖는 스피커에 의해 천장 반사음이 저감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1 shows a speaker and each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tacked structure of a speaker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llustrates a bottom plat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shows a top plat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E illustrate a waveguide plat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f shows an opening plat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peaker hollow part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speaker hollow part of the spea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wave proceeds from the waveguide inside the enclosure to the upper opening in the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ceiling reflection sound by a speaker having a reflection sound re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자는 수년간의 스피커 설계 및 제작 경험을 통해 쌓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경험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스피커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놀랍게도 천장 반사음을 차단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실내의 천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 청중들에게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inventor has invented the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xperience accumulated through years of speaker design and manufacturing experience.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able to surprisingly block the reflection of the ceiling, and thus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not feeling fatigue to the audience when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질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 발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용어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term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뜻을 가진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it has a clearly different meaning in the context.

본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comprises" or "consists of" as used herein are intended to refer to the exist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 반사음 저감을 위한 스피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100)는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옆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그에 맞게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도록 각 구성요소의 배치가 조절될 수 있다. Figure 1 show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peaker for reducing the ceiling reflection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the 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premise that the location of each compon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installing on the ceiling, for example, when installed on the side wall,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can be adjusted to achieve the technical effect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스피커(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스피커의 인클로저가 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클로저가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것은 제조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 외의 다른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피커의 형상은 직육면체 외의 다양한 입체형상 또는 그들이 조합의 형태가 될 수 있다.The speaker 100 has a shape close to a cuboid as a whole, because the speaker enclosure mainly has a shape of a cube. However, the enclosure may have a hexahedron shape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nd may have other shape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speaker may be in the form of various solid shapes other than a cuboid or a combination thereof.

스피커의 정면에는 2개의 드라이버 유닛(101a, 101b)이 존재한다. 드라이버 유닛은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피커 콘에 유선으로 전선이 연결되어, 전선에서 전달된 전기신호에 따라 스피커 콘이 진동하고, 그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원하는 소리가 재구성되어 재생된다.There are two driver units 101a and 101b in front of the speaker. The driver unit receives electric signals and generates sound waves, and wires are connected to the speaker cones in a wired manner, the speaker cones vibrate according to the electric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wires, and the desired soun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vibrations. Is reconstructed and played.

도 1에서는 드라이버 유닛이 두 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1개 또는 3개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드라이버 유닛의 개수에 따라 스피커의 소리가 커버하는 공간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드라이버 유닛이 1개일 때에 비해 2개일 때에는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을 비스듬하게(평행하지 않게) 배치함으로서 소리의 지향각을 더 넓게 혹은 좁게 할 수 있다.Although only two driver units are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one, three or more driver uni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driver units, the spatial area covered by the sound of the speaker may vary.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driver units compared with one, by arranging each driver unit obliquely (not parallel), the directivity angle of a sound can be made wider or narrower.

도 1에서는 스피커 드라이버 유닛의 프레임만 도시되어 있을 뿐 스피커 콘의 모습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피커 콘은 다양한 형상과 재질을 가질 수 있다.In FIG. 1, only the frame of the speaker driver unit is illustrated, and the shape of the speaker cone is omit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cone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또한 도 1에서 스피커의 인클로저 내부에서 드라이버 유닛은 정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고 약 15도 가량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보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스피커가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었을 때 음파가 주로 아래쪽(즉, 청중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스피커는 옆 벽면의 중간 등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당업자라면 스피커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Also, in Fig. 1, inside the speaker's enclosure, the driver unit is not arranged parallel to the front, but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at an angle of about 15 degrees, which means that the sound wave is mainly downward (i.e., when the speaker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ceiling). To the audien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ide wall and the lik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properly adjust the angle of the driver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peaker is installed.

또한 도 1에서는 드라이버 유닛이 정면 하단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정면 하단 뿐 아니라 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드라이버 유닛이 배치된 방향과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이 배치된 각도에 따라 해당 스피커의 소리가 확산되는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는 스피커가 사용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드라이버 유닛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1, the driver unit is illustrated as being located at the front lower end, but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as well as the front lower e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unit is arrang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plurality of driver units are arrang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f the speaker may be varied. I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드라이버 유닛(101a, 101b) 앞에는 드라이버 유닛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스피커 그릴(102a, 102b)이 있다. 도 1에서 스피커 그릴은 스피커의 정면에도 있지만, 인클로저의 저면 부분에도 2개의 긴 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한 음파가 인클로저 저면에서 막히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front of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are speaker grills 102a and 102b which serve to protect the driver unit. In FIG. 1, although the speaker grille is also in front of the speaker, two long grooves ar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enclosure so that sound waves generated from the driver unit are not blocked at the bottom of the enclosure.

스피커(100)의 상부 개구부(103)는 후술할 스피커 내부의 도파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피커 내부의 음파 일부를 도파관 도입부와 도파관에 보내어 상부 개구부로 나오게 한다. 도 1에서 상부 개구부(103)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뚫려 있어 넓은 지향각을 가지며, 상부 개구부를 빠져나온 음파가 상부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수평한 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형태를 갖게 된다.The upper opening 103 of the speaker 100 is connected to the waveguide inside the speak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nds a portion of the sound wave inside the speaker to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to come out of the upper opening. In FIG. 1, the upper opening 103 is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us has a wide direction angle, and the sound waves exiting the upper opening spread wid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ope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100)는 스피커를 천장 또는 벽에 고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구성, 외부 전기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전선 연결을 위한 여러가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후면 함몰부(104)는 손잡이 형태로 스피커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후면 함몰부(104)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고리 등에 걸어 스피커를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전선을 연결할 때에 전선 보관을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 좌우측면에 형성된 측면 함몰부(105a, 105b)는 맞물리는 형상의 돌출부를 사용하여 브라켓 등으로 또는 직접 벽 등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과 브라켓 삽입용 구멍(107a, 107b)을 사용하여 스피커(100)를 고정할 수도 있다.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for fixing the speaker to the ceiling or wall, various configurations for connecting the wire for receiving an external electric signal. The rear depression 104 can be used to hold the speaker by lifting the speaker in the shape of a handle or by hooks made to the shape of the rear depression 104 to be used as a space for wire storage. Can be. The side depressions 105a and 105b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eaker may be used to be fixed to the wall or the like directly using a bracket or the like by using the engaging protrusion. In addition, the speaker 100 may be fixed using the bracket and the bracket insertion holes 107a and 107b.

또한 드라이버 유닛(101a, 101b)에 연결된 전선을 스피커(100)의 인클로저 외부로 연결하는 포트홀(108)이 존재한다. 전선과 포트홀(108)의 구체적인 모습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there is a port hole 108 that connects the wires connected to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to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of the speaker 100. The specific shape of the wire and the port hole 108 is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100)는 전술한 것 외의 변형된 구성을 가지거나 위 구성 중 필수적이지 않은 일부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odified configuration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or may omit some components that are not essential amo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10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평면판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스피커를 도시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스피커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할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스피커를 다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The 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2 illustrates a speaker manufactured by a method of vertically stacking a plurality of flat plates in order to expla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in FIG. 2,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envision various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ther methods.

도 2의 스피커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저면판(201) 위에 수직 방향으로 도파관 형성판(202, 203, 204, 205)을 쌓는다. 도파관 형성판(202, 203, 204, 205)은 각각의 판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쌓였을 때 그 내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파관 도입부, 도파관 등을 형성하게 된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speaker of FIG. 2, waveguide forming plates 202, 203, 204, and 205 are first stacked on the bottom plate 201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waveguide forming plates 202, 203, 204, and 205 has a different shape, and when stacked, forms a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 waveguide,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파관 형성판을 쌓으면 도파관 도입부, 도파관 외에도 스피커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의 중공부는 스피커의 인클로저 내부에 형성되는데, 드라이버 유닛에서 나온 소리를 강화하는 울림통의 역할을 한다. 다만 설계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의 후면에서 스피커 중공부 없이 바로 도파관 도입부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피커 중공부를 이루는 인클로저의 내측면은 별다른 굴곡이 없는 평면일 수도 있으나, 인위적으로 굴곡이나 돌기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When the waveguide forming plate is stacked, a speaker hollow part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waveguide introduction part and the waveguide. The hollow part of the speaker is formed inside the speaker's enclosure, which acts as a ring for reinforcing the sound from the driver unit.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the waveguide introduction par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river unit without the speaker hollow part.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constituting the hollow part of the speaker may be a plane without any bends, but artificially bends or protrusions may be arranged.

이후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101a, 101b)과 스피커 그릴(102a, 102b)을 설치한 뒤, 중간판(206)을 쌓는다. 드라이버 유닛(101a, 101b)과 스피커 그릴(102a, 102b)은 후술할 상면판(208)까지 조립한 이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중간판은 드라이버 유닛(101a, 101b), 스피커 그릴(102a, 102b), 스피커 중공부의 윗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 개구부(103)의 바닥판이 된다.Thereafter, after installing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of the speaker and the speaker grills 102a and 102b, the intermediate plate 206 is stacked.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and the speaker grills 102a and 102b may be installed after assembling the top plate 208 to be described later. The intermediate plate forms the top plate of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the speaker grills 102a and 102b, and the speaker hollow portion, and becomes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opening 103.

이후 중간판(206) 위에 개구부판(207)을 쌓고, 개구부판(207) 위에 상면판(208)을 설치한다. 상부 개구부(103)는 중간판(206)을 바닥판, 상면판(208)을 윗판으로 하여 개구부판(207)에 의해 형성된다.Thereafter, the opening plate 207 is stacked on the intermediate plate 206, and the top plate 208 is installed on the opening plate 207. The upper opening 103 is formed by the opening plate 207 with the intermediate plate 206 as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208 as the top plate.

이로서 스피커(100)가 완성된다. 이후 전술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스피커를 천장이나 벽면 등에 고정할 수 있다.This completes the speaker 100. Then, the speaker may be fixed to the ceiling or the wall using the above-described fixing means.

스피커(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판(201~208)은 임의의 재질일 수 있는데, 예컨대 스피커 제작에 흔히 쓰이는 자작나무 또는 자작나무 합판일 수 있다. 각각의 판은 동일한 재질일 수도 있지만 불필요한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판마다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저면판(201), 중간판(206), 상면판(208)은 도파관 형성판(202~205) 및 개구부판(207)과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Each plate 201 to 208 constituting the speaker 100 may be any material, for example, may be birch or birch plywood commonly used in speaker production. Each plate may be the same material, but different plates may be used to suppress unnecessary vibration. For example, the bottom plate 201, the intermediate plate 206, and the top plate 208 may use materials different from the waveguide forming plates 202 to 205 and the opening plate 207.

또한 각각의 판은 임의의 길이, 폭과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특히 두께는 음파가 통과하는 도파관 도입부 및 도파관의 길이가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면판(201), 중간판(206), 상면판(208)의 두께는 9mm, 도파관 형성판(202~205), 개구부판(207)은 24mm일 수 있다.Each plate can also have any length, width and thickness, in particular the thicknes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uch th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and the length of the waveguide through which sound waves pass perform the functions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201, the intermediate plate 206, and the top plate 208 may have a thickness of 9 mm, the waveguide forming plates 202-205, and the opening plate 207 of 24 mm.

각각의 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각각의 판을 적층함으로서 형성되는 도파관은 그 용적이 작으면 스피커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스피커의 불필요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데 바람직한 반면, 그 용적이 크면 도파관을 통과하는 음파의 양이 증가하면서 반사음 저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적을 갖는 도파관의 크기 및 단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Waveguides formed by forming holes in each plate and stacking each plate are desirable for their small weight to make the speaker heavy and to reduce unnecessary vibrations of the speaker, while large volumes of sound wave passing through the waveguide As the amount is increased, the reflection redu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onsider these features to determine the size and cross-sectional area of a waveguide having an appropriate volume.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의 저면판(201)과 상면판(208)을,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도 2의 도파관 형성판 (202), (203), (204), (205)을, 도 4e는 도 2의 중간판(206)을, 도 4f는 도 2의 개구부판(207)을 도시한 것이다. 3A and 3B show the bottom plate 201 and the top plate 208 of FIG. 2, respectively, and FIGS. 4A to 4D show the waveguide forming plates 202, 203, 204, and 205 of FIG. 2, respectively. 4E illustrates the intermediate plate 206 of FIG. 2, and FIG. 4F illustrates the opening plate 207 of FIG. 2.

또한 도면 4a 내지 도면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에서 음파의 일부가 도파관 도입부 및 도파관을 따라 진행하다가 상부 개구부로 나가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 4a 내지 도면 4f를 이용하여 도파관 도입부, 도파관, 상부 개구부에서의 음파의 전체적인 경로(이하, '도파로'라고 함)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제1 도파관, 제2 도파관 및 제3 도파관으로 구성되어 있다.4A to 4F illustrate a portion of sound waves traveling throug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and exiting to the upper opening i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verall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veguide) of sound waves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the waveguide, and the upper open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F. In this embodiment, the waveguide is composed of a first waveguide, a second waveguide, and a third waveguide.

먼저 도 4a에서, 드라이버 유닛(101a, 101b)에서 생성된 음파는 스피커 콘의 전방과 후방에서 모두 발생하며, 전방의 음파가 스피커 그릴(102a, 102b)을 통과하여 스피커가 설치된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반면 후방의 음파는 스피커 중공부(401a, 401b)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 음파의 일부가 스피커 중공부(401a, 401b) 옆에 뚫려 있는 도파관 도입부(402a, 402b)의 입구로 들어가게 된다. First, in FIG. 4A,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are generated at both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speaker cone, and the front sound waves pass through the speaker grilles 102a and 102b and spread to the space where the speaker is installed. The rear sound waves travel in the direction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s 401a and 401b. At this time, a part of the sound wave enters the inlets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s 402a and 402b which are opened next to the speaker hollow portions 401a and 401b.

도 4a에서 도파관 도입부(402a, 402b)의 입구는 드라이버 유닛에서 나온 음파가 스피커 중공부(401a, 401b)로 진입하는 초입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도파관 도입부(402a, 402b)의 입구는 스피커 중공부와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있으면서, 스피커 중공부의 중심부에 비해 드라이버 유닛에 가까운 위치의 인클로저 벽면에 형성된다.In FIG. 4A, the inlets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s 402a and 402b are located at the entrances at which sound waves from the driver unit enter the speaker hollow portions 401a and 401b. In other words, the inlets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s 402a and 402b are formed on the enclosure wall surface positioned between the speaker hollow portion and the driver unit, closer to the driver unit than the center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

따라서, 도파관 도입부에 진입하는 음파의 대부분은 스피커 중공부에서 반사된 음파가 아니라 드라이브 유닛에서 나온 직후의 음파이다. 스피커 중공부는 도파관 도입부의 일부를 이루지 않고, 도파관 도입부는 길고 단면적이 좁으며 입구 또한 스피커 중공부에 비해 매우 작은 면적만을 차지한다. 스피커 중공부와 도파관 도입부가 공간적으로 분리된 이러한 구조 때문에, 도파관 도입부 및 이에 진입한 음파의 분석은 스피커 중공부의 구조와 형상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Therefore, most of the sound waves entering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re not the sound waves reflected from the speaker hollow portion but the sound waves immediately after coming out of the drive unit. The speaker hollow does not form part of the waveguide inlet, the waveguide inlet has a long, narrow cross-sectional area and the inlet also occupies only a very small area compared to the speaker hollow. Because of this spatial separation of the speaker hollow and waveguide inlet, it appears that the analysis of the waveguide inlet and the sound waves entering it is almost unaffected by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loudspeaker hollow.

도파관 도입부로 들어간 음파는 도파관 통로를 따라 진행하다가 제1 도파관 입구(403a, 403b)에 이른다. 제1 도파관 입구(403a, 403b)는 도파관 도입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약간 앞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파관 도입부의 말단에는 도파관 도입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추가확장부(403e, 403f)가 위치한다. 추가확장부는 도파관 도입부의 말단에서 역류되는 음파(403c, 403d)를 되돌려 제1 도파관 입구(403a, 403b)에 진입하는 음파의 양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Sound waves entering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travel along the waveguide passageway to the first waveguide inlets 403a and 403b. The first waveguide inlets 403a and 403b are not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waveguide inlet, but rather slightly ahead, and further extensions 403e and 403f ext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aveguide inlet. . The additional extension serves to increase the amount of sound waves entering the first waveguide inlets 403a and 403b by returning the sound waves 403c and 403d flowing back at the end of the waveguide in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파관 도입부(402a, 402b)가 평면 방향으로 확장된 반면, 제1 도파관은 그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도파관 입구에서 시작하여 수직으로 상승하는 도파관이며, 도 4a의 제1 도파관 입구(403a, 403b)에서 도 4b의 제1 도파관 내부(404a, 404b)로, 다시 도 4c의 제1 도파관 내부(405a, 405b)로 진행하여 도 4d의 제1 도파관 출구(406a, 406b)에 이른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s 402a, 402b extend in the planar direction, while the first waveguide is a waveguide that rises vertically starting at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extension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waveguide inlet, From the first waveguide inlet 403a, 403b of 4a to the first waveguide interior 404a, 404b of FIG. 4b, and back to the first waveguide interior 405a, 405b of FIG. 4c, the first waveguide outlet of FIG. 4d ( 406a, 406b).

수직으로 상승하던 제1 도파관은 제1 도파관 출구(406a, 406b)에서 종료하고, 제1 도파관 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도파관 입구(407a, 407b)로 음파가 진입한다. 제2 도파관은 수직으로 하강하는 도파관이며, 음파는 도 4d의 제2 도파관 입구(407a, 407b)에서 도 4c의 제2 도파관 내부(408a, 408b)로, 다시 도 4b의 제2 도파관 내부(409a, 409b)로 진행하여 도 4a의 제2 도파관 출구(410a, 410b)에 이른다.The first waveguide that has risen vertically terminates at the first waveguide outlets 406a and 406b and the sound wave enters the second waveguide inlet 407a and 407b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waveguide outlet. The second waveguide is a waveguide that descends vertically, and the sound wave is from the second waveguide inlet 407a, 407b of FIG. 4D to the second waveguide interior 408a, 408b of FIG. 4C, and again inside the second waveguide 409a of FIG. 4B. 409b to the second waveguide outlets 410a and 410b of FIG. 4a.

제2 도파관은 제1 도파관처럼 수직으로 형성된 도파관이나 음파가 아래에서 위 방향이 아닌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제2 도파관은 도 4d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면적이 제1 도파관보다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단면적이 커지면 확성기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도파관을 통과하는 음파가 강화된다.The second waveguide differs in that the waveguide or sound wave formed vertically like the first waveguide trave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rather than the top to the bottom. In addition, the second waveguide has a difference in that its cross-sectional area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waveguide, as can be seen in FIG. 4D. As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larger, sound waves passing through the waveguide are reinforced, similar to the principle of a loudspeaker.

도 4a에서 제2 도파관 출구(410a, 410b)를 나온 음파는 연결된 제3 도파관 입구(411a, 411b)로 진입하여, 도 4b의 제3 도파관 내부(412a, 412b)를 지나 도 4c의 제3 도파관 내부(413a, 413b)로, 다시 도 4d의 제3 도파관 내부(414a, 414b)로, 다시 도 4e의 제3 도파관 내부(415a, 415b)로 진행하여 도 4f의 제3 도파관 출구(416a, 416b)에 이른다.In FIG. 4A, sound waves exiting the second waveguide outlets 410a and 410b enter the connected third waveguide inlets 411a and 411b, passing through the third waveguide interiors 412a and 412b of FIG. 4b, and the third waveguide of FIG. 4c. To the interior 413a, 413b, back to the third waveguide interior 414a, 414b of FIG. 4D, back to the third waveguide interior 415a, 415b of FIG. 4E, and to the third waveguide outlet 416a, 416b of FIG. 4F. )

제3 도파관은 제1, 제2 도파관처럼 수직으로 형성된 도파관이며 음파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진행한다. 또한 단면적이 제2 도파관보다 커서 음파가 강화된다.The third waveguide is a waveguide formed vertically like the first and second waveguides, and the sound waves travel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waveguide, so that the sound wave is enhanced.

도 4f를 보면, 제3 도파관 출구(416a, 416b)를 나온 음파는 상부 개구부(103)를 통해 스피커 바깥으로 나가게 되는데, 상부 개구부(103)가 바깥으로 가면서 넓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음파도 스피커 바깥으로 나가면서 확산하게 된다(417). 결과적으로 도파관을 통과한 음파는 상부 개구부(103)를 통과하여 넓은 수평 지향각을 따라 수직 지향각을 상쇄시킨다.Referring to FIG. 4F, the sound waves exiting the third waveguide outlets 416a and 416b go out of the speaker through the upper opening 103. Since the upper opening 103 extends outward, the sound waves also extend out of the speaker. It will spread out as it goes (417). As a result, the sound wave passing through the waveguide passes through the upper opening 103 to cancel the vertical directivity angle along the wide horizontal directivity ang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의 스피커 중공부(401a, 401b) 및 그 내부에 형성된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는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각 도파관 형성판(202, 203, 204, 205)에 의한 스피커 중공부의 크기가 비교되어 있다. 도파관 도입부, 도파관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었다. 도파관 형성판 (202)에서 스피커 중공부의 넓이는 실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은데, 바로 위에 있는 도파관 형성판 (203)(점선으로 표현됨)에서는 그 넓이가 좁아진다. 그 위의 도파관 형성판 (204)은 스피커 중공부의 넓이가 다시 넓어졌다가, 그 위의 도파관 형성판 (205)(일점쇄선으로 표현됨)에서는 도파관 형성판 (203) 보다도 넓이가 더 좁아진다. 위와 같이 스피커 중공부의 수직 방향을 따른 넓이가 변화하면서, 스피커 중공부를 이루는 인클로저의 내표면에는 요철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중공부에 형성된 이러한 요철 또는 돌기는 스피커 중공부에 진입한 음파의 난반사를 유도하는 확산판의 역할을 하며, 스피커 중공부로 진입한 음파의 일부가 난반사를 거쳐 도파관 도입부(402a, 402b)로 유입되도록 유도함으로서, 도파관 도입부에 유입되는 음파의 양을 증가시키고 본 발명의 천장 반사음 저감 성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scribing speaker hollow parts 401a and 401b of a speaker and protrusions formed therei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compares the size of the speaker hollow by the waveguide forming plates 202, 203, 204, and 205 shown in FIGS. 4A to 4D. Waveguide introduction, waveguide and the like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width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 in the waveguide forming plate 202 is the same as that represented by the solid line, but in the waveguide forming plate 203 (expressed by the dotted line) directly above, the area becomes narrow. The width of the waveguide forming plate 204 thereon is widened again, and the width of the waveguide forming plate 205 there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waveguide forming plate 203 in the waveguide forming plate 205 (represented by a dashed line). As the area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 changes as described above, an uneven surface or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forming the speaker hollow portion. Such irregularities or protrusions formed in the hollow part of the speaker serve as a diffuser plate for inducing diffuse reflection of sound waves entering the hollow part of the speaker, and part of the sound wave entering the hollow part of the speaker flows into the waveguide introduction parts 402a and 402b through the diffused reflection. By inducing it, it seems to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amount of sound waves introduced into the waveguide inlet and enhancing the ceiling reflection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4d 및 도 5에 의해 표현된 스피커 중공부의 요철 또는 돌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는 원하는 음향 특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설계 가능하다.The unevenness or protrusion of the hollow part of the speaker represented by FIGS. 4A to 4D and 5 is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sign various shapes to induce desired acoustic characteristic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100)에서 도파로의 진행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f에서 설명된 제1 도파관, 제2 도파관, 제3 도파관은 도 5에서 음파(500)가 도파관 도입부(402a, 402b)(도 5의 단면도 상에 미도시)에 진입하여 각각 상승, 하강, 다시 상승하는 구간에 대응된다. 음파(500)가 이 도파관을 거쳐 상부 개구부(103)를 통과하면 드라이버 유닛(101a, 101b)에서 바로 나온 음파에 비해 위상 지연을 가지게 되고, 이 위상 지연을 이용하여 반사음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veguide in the 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waveguide, the second waveguide, and the third waveguide described in FIGS. 4A to 4F, the sound wave 500 enters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s 402a and 402b (not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in FIG. 5, respectively, It corresponds to the section of falling and rising again. When the sound wave 500 passes through the waveguide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opening 103, the sound wave 500 has a phase delay compared to the sound waves directly emitted from the driver units 101a and 101b, and it is believed that the reflection delay can be realized by using the phase delay.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사음 저감 기능을 갖는 스피커(100)에 의해 천장 반사음이 저감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에서 스피커는 천장에 고정된 옆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의 전면으로 바로 나온 음파(점선으로 표시)는 여러 방향으로 방출되는데, 그 중 천장 방향, 즉 위쪽 방향으로 방출된 음파(701)는 통상 천장에 도달하여 반사됨으로서 천장 반사음을 유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에서, 드라이버 유닛 후면에서 발생하여 상부 개구부로 나온 음파(직선으로 표시)(702)는 편의상 내부 구조가 생략된 도파관 입구 및 도파관을 거쳐 상부 개구부(103)를 통해 스피커의 상부로 나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위상이 반전되어 윗쪽 방향으로 방출된 음파(701)와 반대 위상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상부 개구부에서 출력된 음파(702)는 출력 직후 윗쪽 방향으로 방출된 음파(701)와 상쇄 간섭을 일으키고, 음파 (701)가 천장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천장 반사음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달리 말하면, 상부 개구부(103)는 음파의 위상을 반전시켜 스피커의 수직지향각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ceiling reflection sound by a speaker 100 having a reflection sound re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speaker is represented by a side fixed to the ceiling. Sound waves (indicated by dashed lines) that come straight to the front of the driver unit are emitted in various directions, among which sound waves 701 emitted in the ceiling direction, that is, upward direction, typically reach and reflect the ceiling, causing a ceiling reflection. I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s (shown in a straight line) 702 generated from the rear of the driver unit and exiting the upper opening are, for convenience, through the upper opening 103 through the upper opening 103 and the waveguide inlet and the waveguide, where the internal structure is omitted. It appears that in this process, the phase is reversed to have a phase opposite to the sound wave 701 emitted upward. Therefore, the sound wave 702 outputted from the upper opening causes destructive interference with the sound wave 701 emitted in the upward direction immediately after the output, and the sound wave 701 does not reach the ceiling. In other words, the upper opening 103 seems to invert the phase of the sound wave to control the vertical angle of the speaker.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반사음 저감 방법만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 only the reflection sound reduction method of the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various application methods us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00: 스피커 101a, 101b: 드라이버 유닛
102a, 102b: 스피커 그릴 103: 상부 개구부
104: 후면 함몰부 105a, 105b: 측면 함몰부
107a, 107b: 브라켓 삽입용 구멍 108: 포트홀
201: 저면판 202, 203, 204, 205: 도파관 형성판
206: 중간판 207: 개구부판
208: 상면판
401a, 402b: 스피커 중공부(中空部) 402a, 402b: 도파관 도입부
403a, 403b: 제1 도파관 입구 404a, 404b, 405a, 405b: 제1 도파관 내부
406a, 406b: 제1 도파관 출구 407a, 407b: 제2 도파관 입구
408a, 408b, 409a, 409b: 제2 도파관 내부
410a, 410b: 제2 도파관 출구 411a, 411b: 제3 도파관 입구
412a, 412b, 413a, 413b, 414a, 414b, 415a, 415b: 제3 도파관 내부
416a, 416b: 제3 도파관 출구
417: 도파관을 빠져나온 음파가 확산되는 방향
500: 스피커 내부에서 음파가 도파관을 통해 진행하는 방향
701: 위쪽 방향으로 방출된 음파 702: 상부 개구부로 나온 음파
100: speaker 101a, 101b: driver unit
102a and 102b: speaker grille 103: upper opening
104: rear depression 105a, 105b: side depression
107a, 107b: Bracket insertion hole 108: Port hole
201: bottom plate 202, 203, 204, 205: waveguide forming plate
206: intermediate plate 207: opening plate
208: top plate
401a and 402b: Speaker hollow part 402a and 402b: Waveguide introduction part
403a, 403b: first waveguide inlet 404a, 404b, 405a, 405b: inside the first waveguide
406a, 406b: first waveguide outlet 407a, 407b: second waveguide inlet
408a, 408b, 409a, 409b: inside the second waveguide
410a, 410b: second waveguide outlet 411a, 411b: third waveguide inlet
412a, 412b, 413a, 413b, 414a, 414b, 415a, 415b: inside the third waveguide
416a, 416b: third waveguide exit
417: direction in which sound waves exit the waveguide
500: Direction of sound waves traveling through the waveguide inside the speaker
701: sound waves emitted upwards 702: sound waves emitted from the upper opening

Claims (12)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인클로저(enclosure);
상기 인클로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
상기 인클로저 내부에 설치되고 출구가 상기 상부 개구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도파관; 및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과 상기 도파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한 상기 음파를 수신하는 도파관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 수신된 상기 음파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개구부로 출력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출력된 상기 음파는 출력 직후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와 상쇄 간섭을 함으로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에 의한 천장 반사음을 저감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An enclosure having an upper opening formed thereon;
At least one driver unit mounted at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o generate sound waves;
One or more waveguides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and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And
And a waveguide introduction unit connecting the rear side of the driver unit and the waveguide and receiving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driver unit.
The sound wave received in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is output throug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upper opening reduces the ceiling reflection sound due to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by canceling interference with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immediately after the out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연결된 추가확장부가 배치되며,
스피커 중공부를 형성하는 상기 인클로저의 내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 중공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입구는 상기 스피커 중공부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스피커 중공부의 중심부에 비해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가까운 위치의 인클로저 벽면에 형성된,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point where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meet, the waveguide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extends,
At the point where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meet, an additional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is disposed,
One or more speaker hollow projections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forming the speaker hollow,
And an inlet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peaker hollow portion and the driver unit on an enclosure wall surface closer to the driver unit compared to the center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도파관의 상기 출구에서 상기 상부 개구부의 끝부분 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upper opening increases from the outlet of the waveguide toward the end of the upper open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의 단면적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서 상기 도파관의 출구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increases along the exit direction of the waveguide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서 상기 인클로저의 상부쪽으로 형성되는 제1 도파관;
상기 제1 도파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하부쪽으로 형성되는 제2 도파관;
상기 제2 도파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상부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와 연결되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aveguide is,
A first waveguide formed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toward an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A second wavegui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waveguide and formed toward a lower side of the enclosure;
And a third wavegui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waveguide and formed toward an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and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로서,
상기 스피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판;
상기 저면판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나 이상의 도파관 도입부 및 하나 이상의 도파관의 일부분이 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도파관 형성판;
상기 하나 이상의 도파관 형성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부 개구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파관의 일부분이 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구부판;
상기 개구부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의 윗면을 형성하는 상면판;
상기 저면판과 상기 하나 이상의 도파관 형성판, 상기 중간판에 의해 고정되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과 상기 도파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한 상기 음파를 수신하고,
상기 도파관은 출구가 상기 상부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 수신된 상기 음파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개구부로 출력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출력된 상기 음파는 출력 직후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와 상쇄 간섭을 함으로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에 의한 천장 반사음을 저감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A speaker with a ceiling reflection sound reduction function,
A bottom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At least one waveguide forming plat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at least one hole formed as part of at least one waveguide;
An intermediate plat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t least one waveguide forming plate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of an upper opening, and having at least one hole formed as part of the waveguide;
An opening plat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forming the upper opening;
An upper plat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plate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One or more driver units fixed by the bottom plate, the at least one waveguide forming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and receiving electric signals to generate sound waves;
The waveguide introduction unit connects the waveguide with the rear of the driver unit, and receives the sound wave generated from the driver unit,
The waveguide has an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The sound wave received in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is output throug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upper opening reduces the ceiling reflection sound due to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by canceling interference with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immediately after the outpu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파관 형성판에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이 만나는 지점에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연결된 추가확장부가 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 및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에 스피커 중공부가 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피커 중공부가 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파관 형성판의 각각의 도파관 형성판마다 그 크기가 다를 수 있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입구는 상기 스피커 중공부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스피커 중공부의 중심부에 비해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가까운 위치의 인클로저 벽면에 형성된,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6,
The at least one waveguide forming plate includes at least one hol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t the point where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meet and a further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a speaker hollow portion at the rear of the driver unit. One or more holes are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meet, the waveguide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extends,
The one or more holes to be the speaker hollow may have a different size for each waveguide forming plate of the one or more waveguide forming plates,
And an inlet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peaker hollow portion and the driver unit on an enclosure wall surface closer to the driver unit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 than the center of the speaker hollow portion.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도파관의 상기 출구에서 상기 상부 개구부의 끝부분 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nd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upper opening increases from the outlet of the waveguide toward the end of the upper open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의 단면적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서 상기 도파관의 출구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increases along the exit direction of the waveguide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서 인클로저의 상부쪽으로 형성되는 제1 도파관;
상기 제1 도파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하부쪽으로 형성되는 제2 도파관; 및
상기 제2 도파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상부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와 연결되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하는, 천장 반사음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9,
The waveguide is,
A first waveguide formed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toward an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A second wavegui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waveguide and formed toward a lower side of the enclosure; And
And a third wavegui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waveguide and formed toward an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and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스피커의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이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S1);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과 하나 이상의 도파관을 연결하는 도파관 도입부에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도파관으로 송신하는 단계(S2);
상기 스피커 내부에 설치되고 출구가 상부 개구부와 연결된 상기 도파관에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개구부로 송신하는 단계(S3);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상기 도파관을 통과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S3); 및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출력된 상기 음파가 출력 직후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와 상쇄 간섭을 함으로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파에 의한 천장 반사음을 저감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천장 반사음을 저감하는 방법.
At least one driver unit of the speaker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to generate sound waves (S1);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generated by the driver unit at a waveguide introduction unit connecting at least one waveguide to the rear of the driver unit and transmitting it to the waveguide (S2);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from the waveguide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and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S3);
Receiving and outputt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passing through the waveguide at the upper opening (S3); And
Reducing the ceiling reflection sound due to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by canceling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upper opening with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immediately after output (S4). How to reduce ceiling reflectio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천장 반사음을 저감하는 방법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에 수신되지 않은 상기 음파의 일부를 인클로저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의 스피커 중공부에서 수신하는 단계(S5); 및
상기 스피커 중공부를 형성하는 상기 인클로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된 영역인 스피커 중공부 돌기에 의하여, 상기 도파관 도입부가 상기 스피커 중공부에 수신된 상기 음파의 일부를 더 수신하는 단계(S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후방과 하나 이상의 도파관을 연결하는 도파관 도입부에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도파관으로 송신하는 단계(S2)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이 만나는 지점에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연결된 추가확장부에서 역류되는 상기 음파의 일부를 상기 도파관으로 송신하는 단계(S2-1);를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입구는 상기 스피커 중공부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중공부의 중심부에 비해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가까운 위치의 인클로저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파관 도입부와 상기 도파관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 도입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피커 내부에 설치되고 출구가 상부 개구부와 연결된 상기 도파관에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개구부로 송신하는 단계(S3)는, 상기 도파관 도입부의 말단과 연결되며 인클로저의 상부쪽으로 형성되는 더 넓은 단면적의 제1 도파관에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제2 도파관으로 전달하는 단계(S3-1); 상기 제1 도파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하부쪽으로 형성되는 더 넓은 단면적의 상기 제2 도파관에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제3 도파관으로 전달하는 단계(S3-2); 및 상기 제2 도파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상부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구부와 연결되는 더 넓은 단면적의 상기 제3 도파관에서 상기 음파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개구부로 전달하는 단계(S3-3);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천장 반사음을 저감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Reducing the ceiling reflection of the speaker,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not received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t a speaker hollow portion at the rear of the driver unit in an enclosure (S5); And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received by the waveguide introduction part further by the speaker hollow part protrusion, which is a plurality of protruding area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forming the speaker hollow part (S6); More,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driver unit to the waveguide at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connecting the rear of the driver unit and one or more waveguides (S2), the waveguide at the point where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meets And transmitting (S2-1) a portion of the sound wave flow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portion and flowing back from the additional expa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to the waveguide (S2-1). The waveguide is formed in an enclosure wall surface closer to the driver unit than the center of the hollow portion between the driver unit, and at the point where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and the waveguide meet, the waveguide cros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veguide introduction portion extends. Prolonged,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from the waveguide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and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S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aveguide inlet and is form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enclosure.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at a first waveguid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and transferring the portion of the sound wave to a second waveguide (S3-1); Receiving (S3-2)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from the second waveguid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waveguide and formed toward the bottom of the enclosure to a third waveguide; And receiving a portion of the sound wave from the third waveguid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waveguide and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to the upper opening (S3-3). Including;).
KR1020180123271A 2018-10-16 2018-10-16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KR102058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71A KR102058627B1 (en) 2018-10-16 2018-10-16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71A KR102058627B1 (en) 2018-10-16 2018-10-16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627B1 true KR102058627B1 (en) 2019-12-23

Family

ID=6905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71A KR102058627B1 (en) 2018-10-16 2018-10-16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6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849B1 (en) * 2004-05-24 2005-01-24 김한승 Public-address system for a lecture
KR101201073B1 (en) * 2011-11-29 2012-11-14 정명용 Speaker apparatus having bass reflect port, driver horn and back loaded horn
KR101820896B1 (en) * 2017-01-20 2018-01-22 송인관 Speaker for Audio with Speaker Unit Mounted on Enclos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849B1 (en) * 2004-05-24 2005-01-24 김한승 Public-address system for a lecture
KR101201073B1 (en) * 2011-11-29 2012-11-14 정명용 Speaker apparatus having bass reflect port, driver horn and back loaded horn
KR101820896B1 (en) * 2017-01-20 2018-01-22 송인관 Speaker for Audio with Speaker Unit Mounted on Enclo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5917B2 (en) Acoustic radiation structure and acoustic room
US9503807B2 (en) Acoustic horn arrangement
JPH02272131A (en) Sound-absorbing panel
JP5113471B2 (en) Speaker system
US8422712B2 (en) Horn-loaded acoustic source with custom amplitude distribution
KR102058627B1 (en) Speaker with reduced reflection sound from ceiling
JP6782911B2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US5975236A (en) Speaker assembly
US4365688A (en) Speaker cabinet
US4512434A (en) Aerodynamic bass-reflex enclosure
JP7456753B2 (en) Sound absorbers, sound absorber adjustment methods, ceiling structures, and buildings
FI110896B (en) Sound active damping construction
JP6824821B2 (en) speaker
US6571909B1 (en) Loudspeaker enclosure
US10087624B2 (en) Drywall construction for resonance sound absorption
JP2002070211A (en) System for improving reverberation time
JPWO2006123460A1 (en) Speaker box and speaker device
JP2020165200A (en) Opening structure for ventilation
JP2007017759A (en) Soundproof panel
JP4630400B2 (en) Phase reversal speaker system
JP5272628B2 (en) Flat speaker and interior panel
JP6662712B2 (en) Sound absorbing panel
CN200969665Y (en) Integrated loudspeaker box
JP2022141297A (en) Acoustic chamber
US1894376A (en) Loud speaker and like ho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