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475B1 -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 Google Patents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475B1
KR102058475B1 KR1020180052691A KR20180052691A KR102058475B1 KR 102058475 B1 KR102058475 B1 KR 102058475B1 KR 1020180052691 A KR1020180052691 A KR 1020180052691A KR 20180052691 A KR20180052691 A KR 20180052691A KR 102058475 B1 KR102058475 B1 KR 10205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insulating layer
strain sensor
strain
sen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461A (ko
Inventor
강태준
이선곤
홍광욱
박홍근
전제경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acts for gauges actuating one or more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소켓과; 상기 제1 및 제2소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Strain Gauge And Socket For Prosthesi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형률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물 내부에 삽입 제조함으로써, 설계자유도가 개선되는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변형률 센서는, 전기식 변형률 센서와 기계식 변형률 센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기식 변형률 센서는 대상물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형 정도를 측정하는 소자이고, 기계식 변형률 센서는 대상물의 변형에 따른 기계적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형 정도를 측정하는 소자이다.
이러한 변형률 센서는 대상물에 부착되어 변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변형률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변형률 센서(3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대상물(20)의 표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응력(stress) 등에 의하여 대상물(20)의 부피 및 형상이 변형될 경우, 대상물(20) 표면의 특정 방향의 길이가 변형된다.
이에 따라 대상물(20)에 부착된 변형률 센서(30)도 특정 방향에 길이가 변형되고, 변형률 센서(30)의 저항이 변형되며,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대상물(20)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변형률 센서(30)는 대상물(2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대상물(20)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접착제의 종류와 대상물(20)의 표면 상태에 따라 3시간에서 2일의 건조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 결과 변형률 센서(30)의 장착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부착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형률 센서(30)의 부착 상태가 달라지는데, 변형률 센서(30)의 부착 상태에 따라 측정 정밀도가 좌우되므로, 부착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 정밀도가 불균일 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변형률 센서(30)를 대상물(20) 표면의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변형률 측정 위치에 대한 제한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변형률 센서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대상물 내부에 삽입 제조함으로써, 대상물의 형상, 변형률 센서의 물질 및 변형률 센서의 위치에 따른 제한이 감소되어 설계자유도가 개선되는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변형률 센서 및 대상물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 되어 공정시간이 감소되는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소켓과; 상기 제1 및 제2소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배치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켓과 상기 제1절연층은 제1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배선은 제2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켓과 상기 제2절연층은 제3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락틱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이고, 상기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소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3D 프린터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지용 소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제1 내지 제3변형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변형률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변형률을 측정하는 의지용 소켓과; 상기 의지용 소켓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변형률을 분석하여 인체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지용 소켓은,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소켓과; 상기 제1 및 제2소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감각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배치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켓과 상기 제1절연층은 제1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배선은 제2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켓과 상기 제2절연층은 제3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형률 센서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대상물 내부에 삽입 제조함으로써, 대상물의 형상, 변형률 센서의 물질 및 변형률 센서의 위치에 따른 제한이 감소되어 설계자유도가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변형률 센서 및 대상물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 되어 공정시간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변형률 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의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되는 폴리락틱산의 물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되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폴리락틱산의 물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포함하는 감각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130)는 제1절연층(132), 센싱전극(134), 제2절연층(136)을 포함한다.
제1절연층(132) 상부에는 센싱전극(134)이 형성되고, 센싱전극(134) 상부에는 제2절연층(136)이 형성된다.
센싱전극(134)은 제1 및 제2절연층(132, 136)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절연층(132, 136)은 센싱전극(134)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센싱전극(134)은, 지그재그 바(bar) 형상의 센싱부와, 센싱부 양단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절연층(132, 136)은 각각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센싱전극(134)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130)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3D 프린터는, 다양한 물질의 필라멘트를 고온의 노즐을 통하여 압출하고, 압출된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설계된 구조물을 1층씩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1열가소성 수지로 제1절연층(132)을 형성하고,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열가소성 수지로 제1절연층(132) 상부에 센싱전극(134)을 형성하고, 제3열가소성 수지로 센싱전극(134) 상부에 제2절연층(136)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절연층(132), 센싱전극(134), 제2절연층(136)은 각각 동일물질을 다수회 적층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일 수 있는데,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가 동일 물질인 경우 제1 및 제2절연층(1323, 136)은 연속되는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염화비닐리덴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하나일 수 있고,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graphene)일 수 있다.
폴리락틱산과 그래핀을 포함하는 폴리락틱산의 물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의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되는 폴리락틱산의 물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되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폴리락틱산의 물성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130)의 센싱전극(134)이 제2열가소성 수지인 폴리락틱산을 포함할 경우, 폴리락틱산의 센싱전극(134)의 변형률은 응력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후크의 법칙(Hooke's Law)를 만족하고, 변형률 센서(130)는 대상물의 변형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락틱산의 센싱전극(134)은 3D 프린터로 형성되는 3층구조(n=3)를 갖는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130)의 센싱전극(134)이 제2열가소성 수지인 폴리락틱산과 도전성 물질인 그래핀을 포함할 경우, 전류 및 전압에 의하여 산출되는 폴리락틱산과 그래핀의 센싱전극(134)의 저항은 수백옴(ohm) 내지 수천옴(ohm)이 되고, 변형률 센서(130)는 대상물의 변형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락틱산과 그래핀의 센싱전극(134)은 3D 프린터로 형성되는 1층구조(n=1), 2층구조(n=2), 3층구조(n=3)를 갖고, 층수가 증가할수록 센싱전극(134)의 저항은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130)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1열가소성 수지의 제1절연층(132), 제2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 물질의 센싱전극(134), 제3열가소성 수지의 제2절연층(136)으로 형성되며, 그 결과 자유곡면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고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변형률 센서(130)를 다양한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는데, 변형률 센서(130)를 의지용 소켓에 적용하는 경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포함하는 감각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각전달 시스템(210)은 의지용 소켓(220),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의지용 소켓(220)은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 다수의 노드(240)를 포함한다.
의지용 소켓(220)은, 의수 또는 의족과 같은 의지와 인체를 연결해주는 반타원구 형상의 장치로서, 인체의 부피에 기인한 압력에 의하여 의지 및 의지용 소켓(220)이 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의지용 소켓(220)은 내부의 제1소켓(222)과 외부의 제2소켓(224)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의지용 소켓(220)의 내부인 제1 및 제2소켓(222, 224) 사이에는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와 다수의 노드(24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률 센서(230)를 의지용 소켓(220)의 내면에 부착할 경우 인체 적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변형률 센서(230)를 의지용 소켓(220)의 외면에 부착할 경우 의지와 의지용 소켓(220) 사이의 밀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감각전달 시스템(210)에서는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를 의지용 소켓(220)의 내부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이 다수의 방향에 따른 의지용 소켓(220)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가 하나의 노드(240)에 연결되고, 다수의 노드(240)가 각각 제어부(250)에 연결되어 측정된 변형률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변형률 센서(230)가, 제1 내지 제3방향(X1 내지 X3)에 따른 변형률을 측정하고, 하나의 노드(240)에 연결되어 제어부(250)로 측정된 변형률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변형률 센서(230)와 하나의 노드(240)를 하나의 센싱유닛으로 표현할 경우, 다수의 센싱유닛이 의지용 소켓(220) 내부에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 및 다수의 노드(240)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220)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1열가소성 수지로 의지용 소켓(220)의 제1소켓(222)과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 각각의 제1절연층(도 2의 132)을 형성하고,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열가소성 수지로 제1소켓(222) 및 제1절연층(132) 외측(상부)에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 각각의 센싱전극(도 2의 134)을 형성하고, 제3열가소성 수지로 센싱전극(134) 외측(상부)에 의지용 소켓(220)의 제2소켓(224)과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 각각의 제2절연층(도 2의 136)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노드(240)는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와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소켓(222) 및 제1절연층(132), 센싱전극(134), 제2소켓(224) 및 제2절연층(136)은 각각 동일물질을 다수회 적층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일 수 있고,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graphene)일 수 있다.
의지용 소켓(220)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인체 적합성 물질로 제조해야 하는데, 감각전달 시스템(210)에서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체 적합성 물질로 의지용 소켓(220)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변형률 측정을 위한 저항 산출을 위하여 휘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와 같은 센싱회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센싱회로는 노드(240) 또는 제어부(25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노드(240)와 제어부(2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측정된 변형률을 분석하여 인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감각전달 시스템(210)은, 의지용 소켓(220)의 변형률로부터 인체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체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는 오전에 비해 오후에 수축될 수 있고, 인체가 수축되면 의지 및 의지용 소켓(220)이 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부상 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각전달 시스템(210)은, 의지용 소켓(220)의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를 통하여 의지용 소켓(220)의 변형률을 측정하고 인체의 변화를 검출하고, 인체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의지 및 의지용 소켓(220)의 분리 위험을 전달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각전달 시스템(210)에서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의지용 소켓(220)을 제1열가소성 수지의 제1소켓(222) 및 제1절연층(132), 제2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 물질의 센싱전극(134), 제3열가소성 수지의 제2소켓(224) 및 제2절연층(136)으로 제조함으로써, 의지용 소켓(220) 및 변형률 센서(230)의 형상, 변형률 센서(230)의 물질 및 변형률 센서(230)의 위치에 따른 제한이 감소되고, 그 결과 자유곡면 등의 다양한 형상에 대한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변형률 센서(230) 및 의지용 소켓(220)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 되고 공정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변형률 센서(230)를 의지용 소켓(220)의 내부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인체 적합성 및 의지와 의지용 소켓(220) 사이의 밀착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체 적합성 물질로 의지용 소켓(22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30, 230: 변형률 센서 210: 감각전달 시스템
220: 의지용 소켓 240: 노드

Claims (9)

  1.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소켓과;
    상기 제1 및 제2소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배치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켓과 상기 제1절연층은 제1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은 제2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켓과 상기 제2절연층은 제3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켓, 상기 제1절연층, 상기 센싱전극, 상기 제2소켓, 상기 제2절연층은, 각각 3D 프린터를 통하여 동일물질을 다수회 적층한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의지용 소켓.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락틱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이고,
    상기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인 의지용 소켓.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더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제1 내지 제3변형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변형률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연결되는 의지용 소켓.
  8. 변형률을 측정하는 의지용 소켓과;
    상기 의지용 소켓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변형률을 분석하여 인체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의지용 소켓은,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소켓과;
    상기 제1 및 제2소켓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률 센서는,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배치되는 센싱전극과;
    상기 센싱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켓과 상기 제1절연층은 제1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은 제2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켓과 상기 제2절연층은 제3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켓, 상기 제1절연층, 상기 센싱전극, 상기 제2소켓, 상기 제2절연층은, 각각 3D 프린터를 통하여 동일물질을 다수회 적층한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감각전달 시스템.
  9. 삭제
KR1020180052691A 2018-05-08 2018-05-08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KR10205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691A KR102058475B1 (ko) 2018-05-08 2018-05-08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691A KR102058475B1 (ko) 2018-05-08 2018-05-08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61A KR20190128461A (ko) 2019-11-18
KR102058475B1 true KR102058475B1 (ko) 2019-12-23

Family

ID=6872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691A KR102058475B1 (ko) 2018-05-08 2018-05-08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4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10B1 (ko) * 2015-09-14 2017-01-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10B1 (ko) * 2015-09-14 2017-01-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61A (ko)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214B1 (ko) 비정질 금속을 이용한 유연한 압력 센서와, 압력 및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는 유연한 이중모드 센서
EP0161895B1 (en) Sensor array
KR101685803B1 (ko) 근접 검출이 가능한 필름 타입의 촉각 센서
US6316846B1 (en) Cord switch and pressure sensor
US10666252B2 (en) Capacitive sensor
JP2013545104A (ja) 圧力感知ホース
JP6645256B2 (ja) ステアリング用スイッチ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190289951A1 (en)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insole including same
WO2020041221A1 (en) Customized robotic grippers with feedback sensors
KR102058475B1 (ko) 변형률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JP2018119906A (ja) 複合検知センサ及びセンサ用ケーブル
KR20190033259A (ko) 전도성 필름과 전도성 다공체 폼시트를 이용한 다층구조 압력센서
KR102090055B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CN113203355A (zh) 一种柔性应变传感器及其制作方法
KR102029002B1 (ko) 온도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CN114502936A (zh) 载荷传感器
CN215899652U (zh) 一种用于磁感应断层成像的柔性电磁传感器
KR102417498B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US7779706B2 (en) Cable-type load sensor
KR101990196B1 (ko) 스트레인 및 압력 동시측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3492B1 (ko) 다채널 정전용량 압력 센서
WO2022091496A1 (ja) 荷重センサ
JP6743527B2 (ja) ラインセンサ
KR102053938B1 (ko) 전도성 복합소재를 이용한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7380456B2 (ja) 検知装置及び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