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137B1 - A frame connecting hub - Google Patents

A frame connecting hu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37B1
KR102058137B1 KR1020180108372A KR20180108372A KR102058137B1 KR 102058137 B1 KR102058137 B1 KR 102058137B1 KR 1020180108372 A KR1020180108372 A KR 1020180108372A KR 20180108372 A KR20180108372 A KR 20180108372A KR 102058137 B1 KR102058137 B1 KR 10205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frame
fastening
hub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범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치케이디 글로벌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8010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rame connection hub which is inserted into a middle portion between frames to be coupled so as to couple the frames to each other by using a coupling mean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rame connection hub, thereby allowing one worker to easily couple at least two frames in parallel without help of other people. The frame connection hub is fixed to an arbitrary frame to be used to be coupled to a frame connection hub fixed to another frame. The frame connection hub comprises a hub body and a coupling means.

Description

프레임 연결허브 {A frame connecting hub} Frame connecting hub {A frame connecting hub}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허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프레임에 삽입한 상태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복수의 프레임을 간단하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연결허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linking hub,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linking hub which allows a simple and quick joining of a plurality of frames by concatenating with each other while being inserted into each frame to be connected.

프레임(또는 폴)은 일정한 형태 및 크기로 제조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이들을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편리하다. 그러나 2개의 프레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병렬로 결합하는 것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가져야 한다. 이때에는 끈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이들을 결합하였을 때 2개의 프레임의 결합이 풀리거나 두 개의 프레임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단단하게 묶어야 한다. Since frames (or poles) are manufactured and sold in a uniform shape and size, it is convenient to combine th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the length. However, joining two frames in parallel rather tha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uld have a separate fixing means. In this case, when combining them with a coupling means such as a string, the two frames should be loosened or tightly tied to prevent the two frames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병렬 방향의 두 개의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끈을 준비함과 아울러 단단하게 묶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아울러 끈을 이용하여 2개의 프레임을 묶는다는 것이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서는 다른 작업자의 도움 없이 달성될 수 없다는 점에서 불편하다. In order to combine the two frames in the parallel direction, it is inconvenient to prepare a separate string and to bind it tightly.In addition, to tie the two frames using the string is achieved without the help of other worker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Inconvenient in that it can not be.

2개의 프레임을 결합수단으로 묶을 때 작업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합수단의 종류에 따라 결합에 필요한 동작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도구(드라이버, 망치, 펜치 (pincers))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When the two frames are combined with the joining means, the work is not easy, and the operation required for the joining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joining means, and in some cases, separate tools (drivers, hammers, and pincers) are used. It was inconvenient because it should be.

등록실용신안 20-0344232호(2004년 2월 27일)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44232 (February 27, 20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결합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중간에 각각 삽입한 후 표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한 사람의 작업자가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쉽게 그리고 짧은 시간 안에 병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연결허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each in the middle of the fram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coupling means formed on the surface, one worker easily and at least two frames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and It is to provide a frame connection hub that can be combined in parallel in a short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는, 임의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타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 연결허브와 서로 결합하는데 사용하며, 허브바디 및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used to couple to the frame connection hub fixed to any frame and fixed to another frame, and includes a hub body and coupling means.

상기 허브바디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중앙부에는 프레임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허브바디의 홀을 둘러싸는 가장자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쌍으로 구비한다. The hub body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frame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 coupling means has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surrounding the hole of the hub body in pairs.

상기 제1체결부는, 제1삽입홈,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홈은 상기 허브바디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 저면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돌기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 저면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 제2체결돌기가 형성된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insertion groove, a first protrusion member, and a second protrusion member.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ub body. The first protrus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and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제2체결부는, 제2삽입홈 및 돌출댐을 포함한다. 상기 제2삽입홈은 상기 제1체결부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댐은 상기 제2삽입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허브바디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는 제3체결돌기가 형성된다,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 protrusion da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e protruding dam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along an edg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 third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상기 제2돌기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돌기 각각은 상기 허브바디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1체결부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3체결돌기는 상기 허브바디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The first protrusion member and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side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s an angle with a surface of the hub body. The first fastening portion protrudes in an outward direc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s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hub body.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는, 한 사람의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의 도움 없이 복수의 프레임을 서로 병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e operator can combine a plurality of frame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out the help of another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부재번호를 표시한 테이블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의 좌측 상단은 프레임 연결허브의 측면도, 좌측 하단은 프레임 연결허브의 평면도, 우측 상단은 프레임 연결허브의 측면도를 A 방향으로 자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2개의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를 텐트를 치는 사용하는 프레임을 연결하는 실시 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실제의 텐트 및 실제의 프레임 연결허브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프레임 연결허브의 연결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다양한 연결 예를 설명한다.
1 is a table showing the member number of the frame connecting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of a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eft side of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frame connecting hub, the lower left is a plan view of the frame connecting hub, the upper righ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ng hub cut side view of the frame connecting hub.
4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two frames.
Figure 5 is a view of an embodiment for connecting the frame using the frame connecting hub according to the invention hitting the tent.
FIG. 6 is a photograph of an implementation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using an actual tent and an actual frame connection hub.
7 illustrates a connection example of five frame connection hub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various connection examples of the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부재번호를 표시한 테이블이다. 1 is a table showing the member number of the frame connecting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를 촬영한 사진이다. 2 is a photograph of a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3 shows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ng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의 좌측 상단은 프레임 연결허브의 측면도, 좌측 하단은 프레임 연결허브의 평면도, 우측 상단은 프레임 연결허브의 측면도를 A 방향으로 자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단면도이다. The upper left side of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hub, the lower left is a plan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hub, the upper righ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hub cut side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hub.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100)는 크게 허브바디(110)와 결합수단(1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to 3, the frame connection h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hub body 110 and a coupling means 120.

허브바디(110)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홀(111)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외면에는 사용가이드(112)가 형성되어 있고, 홀(111)의 내면에는 홀(111)에 삽입되는 프레임을 일정한 힘으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보조돌기(113)가 홀(11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Hub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with a hole 111 penetrating the center portion, the use guide 11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11 is fixed to the frame inserted into the hole 111 Auxiliary protrusions 113 used to fix by force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111.

여기서 삼각형의 형태로 표시된 사용가이드(1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100)를 프레임에 삽입시킬 때, 예를 들면, 상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Here, the usage guide 112 in the form of a triangle is to be able to distinguish, for example, when the frame connecting h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frame.

도 2 및 도 3에는 허브바디(110)가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허브바디(110)의 외면이 원형이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되는 프레임의 단면의 형태에 따라 홀(111)의 형태도 원형이 될 수도 있고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2 and 3, the hub body 110 is shown as having a hexahedron shape,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mbodiments having various forms will be possible.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body 110 may be circular as well as may have a polygonal shape of triangle or mor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used, the shape of the hole 111 may also be circular or may have a polygonal shape of triangle or more.

결합수단(120)은 허브바디(110)의 홀(111)을 둘러싸는 가장자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121) 및 제2체결부(125)를 쌍으로 구비한다. 도 3의 배면도를 참조하면, 결합수단(120)은 허브바디(110)의 4곳의 외면에 각각 설치(130, 140, 150)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upling means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surrounding the hole 111 of the hub body (110). Referring to the rear view of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means 120 may be provided with an embodiment in which 130, 140, and 15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four outer surfaces of the hub body 110.

결합수단(120)을 구성하는 제1체결부(121) 및 제2체결부(125)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5 constituting the coupling means 120 is as follows.

제1체결부(121)는 허브바디(1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124), 제1돌기부재(122) 및 제2돌기부재(123)로 구현할 수 있다. 제1돌기부재(122)는 제1삽입홈(124)의 저면에서 허브바디(110)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 제1체결돌기(12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돌기부재(123)는 제1삽입홈(124) 저면에서 허브바디(110)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 제2체결돌기(123-1)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may be implemented as a first insertion groove 124, a first protrusion member 122, and a second protrusion member 12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body 110. The first protrusion member 122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4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110,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2-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123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4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110,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3-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제2체결부(125)는, 제1체결부(1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126)과 제2삽입홈(126)의 가장자리를 따라 허브바디(110)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는 제3체결돌기(127-1, 127-2)가 형성된 돌출댐(127)을 포함한다. The second fastening part 125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110 along the edges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6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6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protrusion dams 127 including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s 127-1 and 127-2 are formed.

제1돌기부재(122) 및 제2돌기부재(123)는 제1삽입홈(124)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체결돌기(122-1)와 제2체결돌기(123-1) 각각은 허브바디(110)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1체결부(121)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3체결돌기(127-1, 127-2)는 허브바디(110)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2삽입홈(126)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The first protrusion member 122 and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123 face each other inside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4 and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2-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re formed. Each of 123-1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hub body 110.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s 127-1 and 127-2 protrude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6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hub body 110.

도 3에 도시된 우측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돌기부재(122), 제2돌기부재(123) 및 돌출댐(127)의 돌출방향은 허브바디(110)의 외면과 거의 수직방향이지만, 제1체결돌기(122-1), 제2체결돌기(123-1) 및 제3체결돌기(127-1, 127-2)는 제1돌기부재(122), 제2돌기부재(123) 및 돌출댐(127)의 돌출방향과 거의 수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right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3,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first protrusion member 122,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123, and the protruding dam 127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body 110.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2-1,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3-1,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s 127-1 and 127-2 are provided with the first protrusion member 122,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123, and the protrus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dam 127.

도 4는 2개의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4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two frames.

도 4a는 각각 프레임 연결허브가 설치된 2개의 프레임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도 4a의 B-B'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two frames in which a frame connection hub is installe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G. 4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4A.

도 4를 참조하면, 사용가이드(112)를 일치시킨 2개의 프레임 연결허브(100-1, 100-2)를 2개의 프레임(310, 320)에 각각 삽입시킨 후, 좌측의 프레임 연결허브(110-1)의 결합수단과 우측의 프레임 연결허브(110-2)의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2개의 프레임(310, 320)을 병렬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fter inserting the two frame connection hubs 100-1 and 100-2 with the use guides 112 into the two frames 310 and 320, respectively, the frame connection hub 110 on the left side is inserted. It can be seen that the two frames 310 and 320 can be coupled in parallel by combining the coupling means of -1) and the coupling means of the frame connection hub 110-2 on the right side with each other.

특히, 하나의 프레임 연결허브에 설치된 제1체결부(121)는 결합하는 프레임 연결허브에 설치된 제2체결부(122)와 결합하고, 반대로 하나의 프레임 연결허브에 설치된 제2체결부(122)는 결합하는 프레임 연결허브에 설치된 제1체결부(121)에 각각 결합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installed on one frame connection hub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installed on the frame connection hub to be coupled thereto, and on the contrary,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installed on one frame connection hub. It can be seen that each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installed in the frame connection hub to be coupled.

이때, 하나의 프레임 연결허브에 형성된 제1체결돌기(122-1) 및 제2체결돌기(123-1)는 결합하고자 하는 타 프레임 연결허브에 형성된 제3체결돌기(127-1, 127-2)의 위치 및 형태에 의해 결합할 때 가한 힘의 방향과 반대되는 일정한 힘 이상의 힘을 2개의 프레임 연결허브에 가하지 않는 한, 이미 결합되어 있던 2개의 프레임 연결허브의 결합을 분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122-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3-1 formed in one frame connecting hub are connected to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s 127-1 and 127-2 formed in the other frame connecting hub. By combining the position and form of),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coupling of two frame coupling hubs that are already joined, unless a force over two forces is applied to the two frame coupling hubs that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It can be seen that.

도 2 ~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결합한 제1체결돌기(122-1)와 제2체결돌기(123-1) 및 제3체결돌기(127-1, 127-2)가 간극 없이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이들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2 to 4,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2-1,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3-1,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s 127-1 and 127-2 coupled to each other are coupled without a gap. Although a certain space is shown to exist,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such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를 텐트를 치는 사용하는 프레임을 연결하는 실시 예의 도면이다. 5 is a view of an embodiment for connecting a frame using a frame connecting hub according to the invention hitting a tent.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실제의 텐트 및 실제의 프레임 연결허브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FIG. 6 is a photograph of an implement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using an actual tent and an actual frame connection hub.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2개의 텐트(510, 520)를 치는데 사용하는 2개의 프레임(511, 512)을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100)를 이용하여 결합한 실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5 and 6, an embodiment in which two frames 511 and 512 used to strike two tents 510 and 520 may be combined using the frame connection h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프레임 연결허브의 연결 예를 설명한다. 7 illustrates a connection example of five frame connection hub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중간에 위치하는 하나의 프레임 연결허브가 4개의 프레임 연결허브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7, one frame connection hub positioned in the middle is coupled to four frame connection hub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의 다양한 연결 예를 설명한다. 8 illustrates various connection examples of the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허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를 연결하는 방식, 3개를 일렬로 연결하는 방식, "ㄷ"자 형식으로 연결하는 방식, 9개를 메트릭스 형태로 연결하는 방식 및 메트릭스 형태의 연결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프레임 연결허브를 제거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rame connec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thod of connecting five, a method of connecting three in a line, a method of connecting in a "c" shape, and nine 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ethod of connecting in a matrix form and a method of removing a frame connection hub located at the center from a matrix-type connection.

도 4에서는 2개의 프레임 연결허브를 결합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고, 도 7 및 도 8에는 복수의 프레임 연결허브를 결합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는데, 이들을 참조하면, 서로 결합하는 프레임 연결허브의 개수를 다르게 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양한 개수의 프레임 연결허브가 결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mbining two frame connection hubs, and FIGS. 7 and 8 illustrate an embodiment of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 connection hubs. Referring to these, the number of frame connection hubs coupled to each other is shown. As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difficult to do differently, an example in which various numbers of frame connection hubs are combined is not describ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허브바디
111: 홀 112: 사용가이드
113: 보조돌기
120: 결합수단
121: 제1체결부 125: 제2체결부
110: herb body
111: Hole 112: Usage Guide
113: auxiliary protrusion
120: coupling means
121: first fastener 125: second fastener

Claims (7)

임의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타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 연결허브와 서로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프레임 연결허브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중앙부에는 프레임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허브바디; 및
상기 허브바디의 홀을 둘러싸는 가장자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쌍으로 구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허브바디의 외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 저면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 제1돌기부재; 및
상기 제1삽입홈 저면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 제2체결돌기가 형성된 제2돌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허브바디의 외부로 돌출하며, 돌출하는 부분의 끝단에는 제3체결돌기가 형성된 돌출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상기 제2돌기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돌기 각각은 상기 허브바디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1체결부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3체결돌기는 상기 허브바디의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허브바디의 외형은 다각형이고,
상기 결합수단은 다각형인 상기 허브바디의 일 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허브.
Frame linking hub fixed to an arbitrary frame and used to join the frame linking hub fixed to another frame.
A hub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hole through the frame; And
Coupling means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surrounding the hole of the hub body in pair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ub body;
A first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b body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dam formed with a third fastening protrusion,
The first protrusion member and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side the first insertion groove,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s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part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hub body.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s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hub body,
The outer shape of the hub body is a polygon,
The coupling means is a frame connecting hu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ub body of the polygon.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홀의 진행방향의 수직 단면의 형태는,
다각형 중 하나인 프레임 연결허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ole of the hub body
Frame linking hub, one of the polygons.
제1항에서,
하나의 프레임 연결허브에 형성된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는 결합하고자 하는 타 프레임 연결허브에 형성된 제3체결돌기에 각각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연결허브.
In claim 1,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frame connecting hub respectively have a form of coupling to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frame connecting hub to be coupled.
제1항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외면에는,
상기 프레임 연결허브의 사용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허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body,
Frame connection hub, the use guide of the frame connection hub is installed.
제1항에서, 상기 허브바디의 홀의 내면에는,
홀의 진행방향으로 보조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허브.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of the hub body,
Frame connection hub in which at least one auxiliary projection is form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hole.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텐트에 사용되는 프레임인 프레임 연결허브.
In claim 1,
The frame is a frame connecting hub that is a frame used in the tent.
KR1020180108372A 2018-09-11 2018-09-11 A frame connecting hub KR102058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372A KR102058137B1 (en) 2018-09-11 2018-09-11 A frame connecting h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372A KR102058137B1 (en) 2018-09-11 2018-09-11 A frame connecting hu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137B1 true KR102058137B1 (en) 2019-12-23

Family

ID=6905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372A KR102058137B1 (en) 2018-09-11 2018-09-11 A frame connecting hu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3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288B1 (en) * 2010-10-29 2011-10-06 이장원 Pipe connector for having detachable band
US20150159777A1 (en) * 2011-05-03 2015-06-11 Russell W. White Tube Interconn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288B1 (en) * 2010-10-29 2011-10-06 이장원 Pipe connector for having detachable band
US20150159777A1 (en) * 2011-05-03 2015-06-11 Russell W. White Tube Interconn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0922T3 (en) CABLE CHANNEL COUPLER.
US9829022B2 (en) Universal joint system
KR102058137B1 (en) A frame connecting hub
JP2007009631A (en) Bucket
US2596181A (en) Wood fastener
SE0002899D0 (en) Splice device for mutual joining of panel elements
JP3487184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tunnel support material
JP6489356B2 (en) Shield segment joint structure
CN106488716A (en) Sling
JP6781454B2 (en) Scaffolding board connector and scaffolding board connecting structure
JP2005188722A (en) Drift pin
JP6244095B2 (en) Door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20040045245A1 (en) Wall repair clip
US1619947A (en) Method of mounting lathing structures for plaster walls
US20070235629A1 (en) Concrete Tie With Reusable Wedge
JP2015148327A (en) Decorative cover and protection cover arrangement structure
TWM487190U (en) Tool hanging card
JP2538501Y2 (en) Joinery panel frame
JP2005232928A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in wooden building
JP3540058B2 (en) Segment joining structure
CN212972070U (en) Glue-free combined comb
JP4160537B2 (en) Connector
JPS5835713Y2 (en) Branch rod for utility poles
KR200489624Y1 (en) Block structure for revetment
KR102119947B1 (en) Frame Connect Prefabricated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