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126B1 -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26B1
KR102058126B1 KR1020180039857A KR20180039857A KR102058126B1 KR 102058126 B1 KR102058126 B1 KR 102058126B1 KR 1020180039857 A KR1020180039857 A KR 1020180039857A KR 20180039857 A KR20180039857 A KR 20180039857A KR 102058126 B1 KR102058126 B1 KR 10205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data
unit
user
private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238A (ko
Inventor
고희애
윤석환
Original Assignee
유니웹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웹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웹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2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별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접근 권한 설정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접근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근 권한이 부여된 데이터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접근 권한 설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PRIVATE CLOUD APPARATUS HAVING A DATA ACCESS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만을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클라우드(구름 : Cloud)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구조, 인터넷을 뜻한다. 인터넷을 통해 서버 기반의 컴퓨팅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단말(예를 들면,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타블렛 등)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각 단말에 응용 프로그램을 별도 설치 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크게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와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 서비스는 ISP 사업자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 벤더에 의해 서비스 되는 것이고,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 서비스는 기업이나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형태로 서비스되는 것이다.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선행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9106호 (2015. 02. 2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의 접근 권한을 엄격하게 제한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또한, 방지재를 이용하여 기판 등을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또한, 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제거함으로써, 먼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의 발생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별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접근 권한 설정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접근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근 권한이 부여된 데이터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접근 권한 설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포함한다.
접근 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사용자별로 레벨을 부여하고 레벨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방지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차단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중공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 1 부착층 및 상기 제 1 부착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중공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 1 부착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 2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 1 부착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층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한다.
통신부, 저장부, 접근 권한 설정부, 제어부 및 기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방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는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설 클라우드 장치의 내부열을 식히는 팬(fan); 및 상기 팬(fan)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팬(fan)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을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져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과, 상기 제 1 충돌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과,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와 공기 정화부 간의 온도 차이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로 고온 또는 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르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중공부의 깊이는, 중공부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제 2 부착부는 중공형 볼 입자를 함유한다.
수용부의 폭은 중공부의 폭보다 큰 크기이고, 수용부의 높이는 중공부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이다.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의 접근 권한을 엄격하게 제한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지재를 이용하여 기판 등을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제거함으로써, 먼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의 발생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권한 설정부가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공기 정화부의 추가 충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접근 권한 설정부(130), 제어부(140), 팬(150) 및 공기 정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50) 및 유/무선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접근 가능한 데이터에 접근하여 편집 / 저장 / 복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와 단말기(50) 사이에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권한 설정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별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접근 권한 설정부(130)는 사용자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사용자별로 레벨을 부여하고 레벨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50)로부터 데이터 접근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5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판별하고, 판별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50)를 통해 접근 권한이 부여된 데이터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별된 사용자가 A 데이터, B 데이터 및 C 데이터 만을 접근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판별된 사용자가 A 데이터, B 데이터 및 C 데이터만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팬(FAN)(150)은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공기와 외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 정화부(160)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권한 설정부가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접근 권한 설정부(130)는 접근 권한 설정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별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 사람은 A 데이터, Y 사람은 B 데이터 등에만 접근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로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접근 권한 설정부(130)는 사용자별로 레벨을 부여하고, 레벨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 사람은 A 데이터, Y 사람은 B 데이터 및 Z 사람은 C 데이터 에만 접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레벨(대표, 부장, 과장, 사원 등)에 따라 접근할 수 이쓴 데이터의 범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10), 저장부(120), 접근 권한 설정부(130) 및, 제어부(140)는 기판(1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지재(2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접근 권한 설정부(130), 제어부(140) 및 기판(17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재(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방지재(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8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접근 권한 설정부(130), 제어부(140) 및 기판(17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방지재(200)는 하우징(180)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재(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8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지재(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방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단층(210)은 방지재(200)의 베이스를 이루는 구성이다. 차단층(210)은 제1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대체로 사각형의 영역일 수 있다.
차단층(210)은 주로 빛을 차단하거나 방수 특성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부착층(230)은 차단층(2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 1 부착층(230)은 차단층(210)의 제1 영역에 대응하여 그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제2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역시 제1 영역과 동일하게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부착층(230)은 차단층(210)과 밀착되며 내충격성 확보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
제 1 부착층(230)은 베이스(231)와, 중공부(235)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231)는 제 1 부착층(23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중공부(235)는 베이스(231)의 상면 측에서 오목 형성된 홈이다. 중공부(235)는 상기 제2 영역에서 복수 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캐비티(235)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매트릭스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중공부(235)는 형태적으로 베이스(231)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 상에 적층되는 것이다. 제 2 부착층(250)은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3 영역 역시 사각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2 영역에 맞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2 부착층(250)은 제1 부착층(230)의 중공부(235)를 외부에 대해 밀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중공부(235)를 가진 제 1 부착층(230)이 차단층(210)에 전사된 후에 60℃에서 12시간 정도 경화된 후에, 제 2 부착층(250)이 제 1 부착층(230) 상에 다시 전사되어 중공부(235)가 공기를 가진 채로 밀폐될 수 있다.
제 2 부착층(250)은 주로 피착 대상물과의 강한 접착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과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과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이나 구체적 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1 부착층(230)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특성을 가진다면, 제 2 부착층(250)은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특성을 갖게 된다. 제 2 부착층(250)은 소프트한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의 베이스(251)에 중공형 볼 입자(255)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볼 입자(255)는, 예를 들어 실리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지재(100)에 충격(I)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은 방지재(10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 보다 소프트하면서도, 내부에 볼 입자(255)를 함유하여, 방지재(100)의 충격(I)에 대한 1차적 흡수 능력이 강화되게 한다.
나아가, 제 1 부착층(230)은 베이스(131)의 충격 흡수력에 더하여 중공부(235)가 에어 트랩(Air Trap)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충격(I)에 따른 힘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공부(235)는 폭(W) 보다 깊이(D)가 몇 배 큰 구조를 가져서, 베이스(231) 중 중공부(235)와 중공부(135) 사이의 영역은 좌굴(buckling)에 의해 다소 변형되면서 위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차단층(210), 제 1 부착층(230), 및 제 2 부착층(250) 등에 의해, 방지재(100)는 방수 성능도 갖출 수 있게 된다.
돌출부(215)는 차단층(210)의 베이스(211)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돌출부(215)는 제 1 부착층(2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돌출부(215)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그들은 매트릭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15)는 형태상으로는 돔 형상의 모양일 수 있다.
수용부(237)는 돌출부(215)를 수용하도록 돌출부(215)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수용부(237)는 제 1 부착층(230)의 일 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있어서, 중공부(235)는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235)의 폭(W)은 수용부(237)의 폭(W')보다 좁고, 중공부(235)이 깊이(D)는 수용부(237)의 깊이(D')보다 깊은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차단층(210)의 다른 면에는 이상의 제 1 부착층(230), 제 2 부착층(250) 각각에 대응하는 부착층들(230')(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 2 부착층(250), 제 1 부착층(230)을 통해 1차적,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돌출부(215)와 수용부(237)에 의한 강화된 충격 흡수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 1 부착층(230)의 베이스(231)로 전달된 충격은 차단층(210)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돌출부(215) 및 수용부(237)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돌출부(215) 및 수용부(237)에 의한 충격 흡수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부(237)와 중공부(235)가 어긋나게 배치됨에 의해, 그들이 일치되게 배치되는 경우에서 제 1 부착층(230)의 종방향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수용부(237)는 그의 폭(W')이 깊이(D')보다는 큰 크기를 가져서 중공부(235)에 비해 좌굴에 강하게 견디면서, 돌출부(215)와의 대응 면적 확대에 의해 충격 흡수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팬(fan)(150)은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열을 식힐 수 있다.
공기 정화부(170)는 팬(fan)(150)의 후단에 연결되며, 팬(fan)(15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33)는, 팬(fan)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충돌판(33-1)와, 상기 제 1 충돌판(33-1)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충돌판(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와 상기 굴절각이 동일하여, 상기 제 2 충돌판(33-2)는 공기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충돌판(33-1, 33-2)는, 충돌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공기 정화부(33)는, 상기 제 1 충돌판(33-1)와 제 2 충돌판(33-2)의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33-3) 및 상기 제 1 상기 제 2 충돌판(33-1, 33-2)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원호 형상의 차단 충돌판에 의하여 먼지들이 포집되고, 이것들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먼지들은 별도의 관(미도시)을 통해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33)는, 팬(fan)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35-1); 상기 제 1 충돌판(35-1)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35-2); 상기 제 1 충돌판(35-1)와 제 2 충돌판(35-2)의 연결점에 형성된 파이프(36)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36)의 내부로 고온 또는 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를 수 있다. 이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100)의 내부 공기와 공기 정화부(33) 간의 온도 차이가 크게 나도록 하여, 먼지가 충돌판에 충돌할 경우 충돌판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먼지가 충돌판에 달라붙지 않고 중력 방향으로 잘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35-3)는, 상기 제 1 충돌판(35-1)와 제 2 충돌판의 연결점에 설치되어서 먼지가 이 추가 충돌판에 충돌되어서 중력에 의해 제거 된다.
또한 제 2 추가 충돌판(35-4)가 상기 제 2 충돌판(35-2)의 종단부에 설치되어서 이 제 2 추가 충돌판(35-4)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공기 정화부의 추가 충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추가 충돌판을 위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35-3)은 관성 돌기(312a')를 포함할 수 있고, 관성 돌기(312a')는 일측이 개구부인 원형 굴곡부(31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형 굴곡부(312b')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인입되는 경우 내부 굴곡 구조를 따라 회전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사이클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와 관성 돌기(312a') 간의 충격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먼지제거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먼지 제거 효과를 보다 향상하기 위해, 공기가 인입되는 원형 굴곡부(312b')의 굴곡면을 따라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기부(31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원형 굴곡부(312b')에 이어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기부(312c')에서 한번 더 사이클론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먼지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접근 권한 설정부
140 : 제어부
150 : 팬
160 : 공기 정화부

Claims (8)

  1.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설 클라우드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별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접근 권한 설정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접근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근 권한이 부여된 데이터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접근 권한 설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
    상기 차단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차단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중공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 1 부착층; 및
    상기 제 1 부착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중공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 1 부착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 2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 1 부착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층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사용자별로 레벨을 부여하고 레벨별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접근 권한 설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설 클라우드 장치의 내부열을 식히는 팬(fan); 및
    상기 팬(fan)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팬(fan)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
    상기 제 1 충돌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포함하는,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39857A 2018-04-05 2018-04-05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KR10205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57A KR102058126B1 (ko) 2018-04-05 2018-04-05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57A KR102058126B1 (ko) 2018-04-05 2018-04-05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38A KR20190119238A (ko) 2019-10-22
KR102058126B1 true KR102058126B1 (ko) 2019-12-20

Family

ID=6842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857A KR102058126B1 (ko) 2018-04-05 2018-04-05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03B1 (ko) * 2012-10-30 2013-02-22 김은희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03B1 (ko) * 2012-10-30 2013-02-22 김은희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38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ang et al. A model for analyzing the effect of moving target defenses on enterprise networks
Liu et al. Protc: Protecting drone's peripherals through arm trustzone
Shafiee et al. Avoiding information leakage in the memory controller with fixed service policies
EP3468038B1 (en) Quantum random pulse gener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058126B1 (ko) 데이터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US87453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with multiple independent levels of security
Ferraiuolo et al. Lattice priority scheduling: Low-overhead timing-channel protection for a shared memory controller
US10489614B2 (en) Tamper detecting cases
Muzammal et al. A study on leverag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IoT security enhancement
KR101997106B1 (ko) 파일 읽기 속도 향상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Jangid Performance and optimal design of base‐isolated structures with clutching inerter damper
JP2014506729A (ja) 相変化物質を有する熱吸収デバイス
Iwashita et al. Simplifying urban network security games with cut-based graph contraction
KR101957767B1 (ko) 다중 버전 백업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US7551444B2 (en) Method and computer system with anti-tamper capability and thermal packaging structure for implementing enhanced heat removal from processor circuitry
CN109521965A (zh) 一种固态硬盘加密分区的方法
US8555768B1 (en) Shock wave barrier using multidimensional periodic structures
JP4492335B2 (ja) 電子機器
WO2023130175A1 (en) Portable blockchain min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Howard Cybersecurity First Principles: A Reboot of Strategy and Tactics
Grassberger Morphological transitions in supercritical generalized percolation and moving interfaces in media with frozen randomness
US20190236317A1 (en) Storage Compute Appliance with User Authentication and Memory Allocation Capabilities
KR200495232Y1 (ko) 전산장비를 장착하는 공간 분산형 보안박스
Ribes-González et al. A security model for randomization-based protected caches
TWI611317B (zh) 網路、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半導體裝置及半導體裝置的運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