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009B1 -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009B1
KR102058009B1 KR1020150045443A KR20150045443A KR102058009B1 KR 102058009 B1 KR102058009 B1 KR 102058009B1 KR 1020150045443 A KR1020150045443 A KR 1020150045443A KR 20150045443 A KR20150045443 A KR 20150045443A KR 102058009 B1 KR102058009 B1 KR 10205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remitter
terminal
serv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821A (ko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to KR102015004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0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은 수취인의 단말이 계좌 명함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고, 송금인의 단말이 상기 계좌 명함을 통해 금융사의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송금인에 의해 로그인 정보에 입력되면,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인을 인증하며,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금인이 계좌 명함 선택 시 자동으로 이체 정보가 설정되어 계좌 번호 및 이체 금액의 입력 오류를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ACCOUNT TRANSFER METHOD USING ACCOUNT CARD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뱅킹(banking) 산업의 발전으로 고객들은 은행에 방문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은행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개인간 계좌이체는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은행 서비스중의 하나로써, 현재는 실질적으로 송금인이 주체가 되어 수취인 정보를 입력하여 계좌 이체를 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송금인은 수취인 정보를 외우지 않고 있어 계좌 이체를 할 때 계좌 번호의 숫자를 잘못 입력하여 다른 수취인의 계좌에 입금되는 문제가 있으며 금액의 입력에 오류가 있을 시 잘못된 금액의 계좌 이체를 실행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6796호 (2012.02.27 공개)
본 발명은 송금인이 계좌 명함 선택 시 자동으로 이체 정보가 설정되어 계좌 번호 및 이체 금액의 입력 오류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금인이 계좌 명함의 코드를 인식하면 코드의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제공하며 인증 절차를 통해 인증되면 금융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절차 없이 자동으로 금융사 서버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계좌 이체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은 수취인의 단말이 계좌 명함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송금인의 단말이 상기 계좌 명함을 통해 금융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송금인에 의해 로그인 정보에 입력되면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인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수취인의 단말, 송금인의 단말 및 금융사의 서버를 포함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시스템은 계좌 명함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수취인의 단말, 상기 계좌 명함을 통해 금융사의 서버에 접속하여 송금을 실행하는 송금인의 단말 및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송금인에 의해 로그인 정보에 입력되면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인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금융사의 서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금인이 계좌 명함 선택 시 자동으로 이체 정보가 설정되어 계좌 번호 및 이체 금액의 입력 오류를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금인이 계좌 명함의 코드를 인식하면 코드의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제공하며 인증 절차를 통해 인증되면 금융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절차 없이 자동으로 금융사 서버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사의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금인의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시스템은 금융사의 서버(100), 수취인의 단말(200) 및 송금인의 단말(300)을 포함한다.
송금인의 단말(300)에 의해 계좌 명함의 코드가 인식되면, 금융사의 서버(100)는 계좌 명함의 코드의 암호화를 해독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증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증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금융사의 서버(100)는 입력된 인증번호와 기 결정된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인증번호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고, 인증번호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 계좌 명함의 정보를 수신하여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때, 계좌 명함에 포함된 이체 기한이 경과된 경우, 금융사의 서버(100)는 이체 금액에 수취인에 의해 기 결정된 연체 수수료가 합해진 금액이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한다.
수취인의 단말(200)은 계좌 이체로 소정의 금액을 이체 받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이동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laptop)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될 수 있다.
수취인의 단말(200)은 계좌 명함을 생성하여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계좌 명함은 수취인의 정보, 수취인과 연관된 계좌 정보, 금액 정보, 이체 속성 및 이체 기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은 계좌 명함을 이용하여 금융사의 서버(100)에 접속하여 수취인에 의해 요청된 금액을 계좌 이체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이동 단말,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은 수취인의 단말(200)로부터 금융사의 서버(100)의 무선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정의 계좌 명함(예컨대, 콜백(call-back) 메시지)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금인의 단말(300)은 스마트 폰의 문자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푸시(PUSH) 형태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계좌 명함을 수신할 수 있다. SNS 메신저 서비스는 카카오톡 또는 라인이 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에 의해 계좌 명함의 코드가 인식되어 송금인의 단말(300)이 금융사의 서버(100)에 접속되면, 금융사의 서버(100)는 계좌 명함의 코드의 암호화를 해독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증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금인의 단말(300)은 금융사의 서버(100)에 의한 인증 결과에 따라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사의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융사의 서버(100)는 정보 수신부(110), 접속 처리부(120), 인증 처리부(130), 이체 처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110)는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계좌 명함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계좌 명함은 수취인의 정보, 수취인과 연관된 계좌 정보, 금액 정보, 이체 속성 또는 이체 기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처리부(130)에 의해 송금인이 인증된 경우, 정보 수신부(110)는 이미지 코드의 암호화를 복호화하고 계좌 명함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접속 처리부(120)는 로그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금인에 의해 아이디/패스워드를 이용한 로그인이 요청되면, 접속 처리부(120)는 아이디/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송금인에 의해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로그인이 요청되면, 접속 처리부(120)는 공인인증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공인인증서가 선택되면, 접속 처리부(120)는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인증 처리부(130)는 접속 처리부(120)를 통해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정보와 기 결정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이체 처리부(14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 처리부(120)를 통해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아이디/패스워드가 수신되면, 인증 처리부(130)는 수신된 아이디/패스워드와 기 저장된 아이디/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이체 처리부(140)로 제공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접속 처리부(120)를 통해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인증 처리부(130)는 수신된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와 기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이체 처리부(14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인증 처리부(130)에 의한 인증 결과에 따라 송금인의 단말(300)에 수신된 계좌 명함의 정보의 암호화가 복호화되며 송금인의 단말(300)은 금융사의 서버(100)에 로그인될 수 있다.
따라서, 송금인에 의해 계좌 명함의 코드가 인식되면, 금융사의 서버(100)는 코드의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제공하며, 인증 절차를 통해 인증되면 금융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절차 없이 송금인의 단말(300)이 금융사 서버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인증번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이체 처리부(140)는 계좌 명함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체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체 처리부(140)는 정보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계좌 명함의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계좌 명함에 포함된 이체 기한이 경과된 경우, 이체 처리부(140)는 이체 금액에 상기 수취인에 의해 기 결정된 연체 수수료가 합해진 금액이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금융사의 서버(100)의 다른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여 계좌 이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금인의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금인의 단말(300)은 화면 출력부(310), 사운드 처리부(320), 키 입력부(330), 무선 처리부(340), 메모리부(350), 카메라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화면 출력부(310)는 화면 출력을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Driver)로서 제어부(370)(예컨대, LCD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키 입력부(33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송금인의 단말(3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정의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 패널)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면 출력부(310)는 화면출력장치(LCD)가 연동하여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운드 처리부(320)는 송금인의 단말(3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370)로 제공하거나, 사운드 처리부(320)에 구비되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를 이용하여 제어부(370)가 추출 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운드 처리부(32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를 입력 받고,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한다.
키 입력부(33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패드(Keypad)로부터 정보(또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또한, 제어부(370)에 의해 제어되는 송금인의 단말(300)의 특정 입력모드 또는 동작모드에서 키패드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키 입력부(330)는 입력된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키 이벤트를 제어부(370)로 제공한다.
제어부(370)는 송금인의 단말(300)의 현재 입력모드 또는 동작모드에서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무선 단말 입력모드 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또는 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한다.
키 입력부(3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키를 입력 받는다.
무선 처리부(340)는 제어부(370)(예컨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와 연계하여 위치등록 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또는 핸드오프(Hand-off) 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처리부(340)는 이동 통신망의 종단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F 처리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또는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한다.
특히, 무선 처리부(340)는 송금인의 단말(300)에서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송금인의 단말(300)은 무선 처리부(340)를 통해 소정의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소정의 무선구간을 연결하고, 기지국을 포함하는 소정의 유선구간을 통해 이동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과 연동하는 소정의 통신망 상에 구비된 금융사의 서버(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메모리부(350)는 송금인의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부(350)는 금융사의 서버(110)와 연동하여 수취인의 단말(200)을 이용한 계좌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또는 프로그램 코드)을 저장한다.
카메라부(360)는 소정의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로 이루어진 카메라로부터 래스터(Raster) 기반의 CCD 화상정보를 비트맵 방식으로 독출하고, 화상정보를 제어부(370)로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송금인의 단말(300)은 카메라부(360)를 통해 계좌 명함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하드웨어적으로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송금인의 단말(3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소자 또는 칩셋으로부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송금인의 단말(300)을 기반으로 수취인의 단말(200)을 이용한 계좌이체를 위해 무선 단말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제어부(37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제어부(370)에 의해 이에 의해 무선 단말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송금인의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한다.
특히, 송금인의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부(37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송금인의 단말(3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소정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수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취인의 단말(200)은 계좌 명함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410). 여기에서, 계좌 명함은 수취인의 정보, 수취인과 연관된 계좌 정보, 금액 정보, 이체 속성 정보 및 이체 기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은 계좌 명함을 통해 금융사의 서버(100)에 접속한다(단계 S420).
단계 S4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송금인의 단말(300)은 이메일 등으로 계좌 명함을 수신하면 계좌 명함에 할당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여 금융사의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및 수취인에 의해 기 결정된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푸시 메시지, 문자 메시지, SNS 중 어느 하나로 계좌 명함이 수신되면, 송금인의 단말(300)은 해당 메시지에 대한 클릭에 대응하여 금융사의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금융사의 서버(100)는 송금인의 단말(300)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제공한다(단계 S430).
송금인에 의해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단계 S440), 금융사의 서버(100)는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인을 인증한다(단계 S450).
금융사의 서버(100)는 인증 결과에 따라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460).
단계 S46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계좌 명함에 포함된 이체 기한이 경과된 경우, 금융사의 서버(100)는 이체 금액에 수취인에 의해 기 결정된 연체 수수료가 합해진 금액이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송금인의 단말(300)로부터 계좌 이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단계 S470), 금융사의 서버(100)는 계좌 이체를 실행한다(단계 S480).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융사의 서버(100)에 의해 송금인이 인증된 경우, 송금인의 단말(300)은 이미지 코드의 암호를 복호화하고 금융사의 서버(100)에 로그인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계좌 이체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에 있어서,
    수취인의 단말이 계좌 명함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송금인의 단말이 상기 계좌 명함을 통해 금융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계좌 명함에 할당된 이미지 코드가 인식되면, 금융사의 서버는 계좌 명함의 코드의 암호화를 해독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증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인증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금융사의 서버는 입력된 인증번호와 기 결정된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인증번호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번호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 계좌 명함의 정보를 수신하여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송금인에 의해 로그인 정보에 입력되면,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인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계좌 명함은 상기 수취인의 정보, 상기 수취인과 연관된 계좌 정보, 금액 정보, 이체 속성 정보 및 이체 기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및 상기 수취인에 의해 기 결정된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금인에 의해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송금인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사의 서버에 의해 상기 송금인이 인증된 경우, 상기 이미지 코드의 암호가 복호화되고 상기 금융사의 서버에 로그인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계좌 명함에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계좌 명함에 포함된 이체 기한이 경과된 경우, 상기 금융사의 서버가 이체 금액에 상기 수취인에 의해 기 결정된 연체 수수료가 합해진 금액이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상기 송금인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45443A 2015-03-31 2015-03-31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05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43A KR102058009B1 (ko) 2015-03-31 2015-03-31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43A KR102058009B1 (ko) 2015-03-31 2015-03-31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21A KR20160117821A (ko) 2016-10-11
KR102058009B1 true KR102058009B1 (ko) 2019-12-23

Family

ID=5716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443A KR102058009B1 (ko) 2015-03-31 2015-03-31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0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047A (ja) * 2005-04-28 2005-10-27 Bank Of Tokyo-Mitsubishi Ltd 決済方法、決済用端末、決済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047A (ja) * 2005-04-28 2005-10-27 Bank Of Tokyo-Mitsubishi Ltd 決済方法、決済用端末、決済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21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141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use thereof for electronic transactions
US10891599B2 (en) Use of state objects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ransactions
EP39051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near-field inform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590930A (zh) 使用短程收发器进行数据访问控制的系统和方法
CN110719252B (zh) 用于通过通信信道授权交易的方法、系统和介质
US11887106B2 (en) Provisioning of secure application
KR102058009B1 (ko) 계좌 명함을 이용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70005718A (ko) 계좌이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13320B1 (ko) 현금 카드를 이용한 소액 송금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198160B1 (ko) 인증서 관리 방법
JP2018036790A (ja) 認証装置、本人性確認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48662B1 (ko) 결제 정보 전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금융 무인자동화기기
KR101508230B1 (ko) 무선 인증서 이용 방법
KR101777743B1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거래 제공 방법
KR20100049530A (ko) 전표(또는 서식) 처리 시스템
KR20070018335A (ko) 전표(또는 서식) 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전표(또는 서식)처리장치와 무선 단말기와 기록매체
KR20180059734A (ko) 개인 간 거래 요청 전자문서 처리 방법
KR20090021993A (ko) 지역별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5341226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100000489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지로납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40105700A (ko) 무선 인증서 이용 방법
KR20150140456A (ko) 카드 접촉을 통한 계좌 이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00047211A (ko) 휴대폰
KR20150127021A (ko) 개인 간 거래 요청 전자문서 처리 방법
KR20060111090A (ko) 정보(또는 데이터) 인증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위한 무선 단말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