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02B1 -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402B1
KR102057402B1 KR1020180166751A KR20180166751A KR102057402B1 KR 102057402 B1 KR102057402 B1 KR 102057402B1 KR 1020180166751 A KR1020180166751 A KR 1020180166751A KR 20180166751 A KR20180166751 A KR 20180166751A KR 102057402 B1 KR102057402 B1 KR 10205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boundar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식
최현상
여욱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유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유엔이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공간정보 변환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방법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 변화방법은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 중 오프닝 객체 정보와 바닥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추출한 바닥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오프닝 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는 b) 단계,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생성한 오프닝의 바운더리와 상기 바닥 바운더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닝을 공유하는 연결 바닥객체들을 특정하여 연결 바닥객체들간의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space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간을 나타내는 소정의 공간정보를 타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공간의 위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소정 타입의 공간정보(예컨대, CityGML)를 위상정보가 존재하는 공간정보(예컨대, IndoorGML)로 변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포맷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컨대, CityGML로 알려져 있는 공간정보 타입의 경우는 광역의 도시를 표현하기 적합하도록 설계된 공간정보 타입이다. 또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포맷(예컨대, IFC 표준 포맷)은 건물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포맷의 일 예이다. 또한 IndoorGML은 공간에 포함된 건물 및 건물에 포함된 내부공간간의 연결관계를 간략히 표현하기 위한 공간정보 포맷일 수 있다.
각각의 공간정보 포맷 또는 타입별로 고유한 목적이 존재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맷의 정의 및 해당 포맷을 통해 표현하거나 설계할 수 있는 객체들은 각각 다양하다.
하지만 각각의 공간정보들 간은 서로 독립적이라서 호환되기가 힘들다.
예커대, CityGML의 경우에는 도시를 설계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간정보 타입이어서 인도어(Indoor) 뿐만 아니라 아웃도어의 다양한 객체(예컨대, 터널, 가로수 등)를 표현할 수 있을뿐 아니라, 공간의 내부 객체도 비교적 상세하게 설계 및/또는 표현하기 적합하다. 하지만 CityGML의 경우는 광대역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모두 객체로써 표현하고 있으며, 공간들간의 연결관계인 위상정보는 정의되지 않고 있다.
필요에 따라 이처럼 광대역의 공간이 아니라 건물의 내부에 대한 표현 및/또는 건물 내부 공간의 연결관계가 더 중요한 고려요소인 경우가 있다. 예컨대, 건물내부의 재난에 따른 구조나 안전요소 설계 등에는 건물 내부의 모든 요소를 개별적인 객체로 표현하는 것에 비해, 공간 간의 연결관계를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객체들을 정의하는 것보다는 공간이 차지하는 영역(volume)과 공간들간의 연결관계를 보다 중점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정보 타입(예컨대, IndoorGML)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정의되어 사용되는 공간정보 타입을 변환할 수 없어서, 어느 하나의 공간정보 타입(예컨대, CityGML)이 존재하하더라도 다른 공간정보 타입(예컨대, IndoorGML)이 필요한 경우 별도로 상기 다른 공간정보 타입(예컨대, IndoorGML)을 생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제1공간정보 타입(예컨대, 공간의 위상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객체 중심의 공간정보 타입, 예컨대, CityGML)로부터 자동으로 제2공간정보 타입(예컨대, 공간의 위상정보가 공간을 별도로 정의되어 있는 공간정보 타입, 예컨대, IndoorGML)로 변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인터넷 웹사이트1() 인터넷 웹사이트2(http://www.opengeospatial.org/standards/indoorgml)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써, 객체기반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 공간의 위상정보는 정의되지 않은 제1공간정보 타입(예컨대, CityGML)으로부터 공간의 위상정보를 정의할 수 있는 제2공간정보 타입(예컨대, IndoorGML)을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 중 오프닝 객체 정보와 바닥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추출한 바닥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오프닝 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는 b) 단계,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생성한 오프닝의 바운더리와 상기 바닥 바운더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닝을 공유하는 연결 바닥객체들을 특정하여 연결 바닥객체들간의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방법은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상기 바닥객체에 상응하는 내부공간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높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닥 바운더리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만큼 체적화한 삼차원의 영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바닥객체들 각각의 높이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로 바닥객체 및 오프닝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층별로 상기 b) c) 단계를 수행하여 층별 제2타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상기 바닥객체 또는 상기 오프닝 객체가 폴리곤(polygon)의 메시(mesh) 정보들로 구현된 경우, 삼각형의 메시정보들의 불리안(boolean) 연산을 통해 상기 바닥 바운더리 또는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연결 바닥객체들에 포함된 제1바닥객체 및 제2바닥객체 각각의 바닥 바운더리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되는 노드들을 상기 오프닝에 상응하는 오프닝 바운더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방법은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층별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추출되는 수직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수직연결 바닥객체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수직연결 바닥객체에 기초하여 수직공간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 중 오프닝 객체 정보와 바닥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바닥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오프닝 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기 위한 바운더리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와 상기 바닥 바운더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연결 바닥객체들을 특정하여 연결 바닥객체들간의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바닥객체에 상응하는 내부공간의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닥 바운더리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만큼 체적화한 삼차원의 영역정보를 생성하는 영역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모듈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바닥객체들 각각의 높이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로 바닥객체 및 공유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은 층별로 상기 바닥 바운더리 및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층별 바운더리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 위상정보를 생성하여 층별 제2타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의 상기 바닥객체 또는 상기 오프닝 객체가 폴리곤(polygon)의 메시(mesh) 정보들로 구현된 경우, 상기 메시정보들의 불리안(boolean) 연산을 통해 상기 바닥 바운더리 또는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층별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추출되는 수직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수직연결 바닥객체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수직연결 바닥객체에 기초하여 수직공간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객체기반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 공간의 위상정보는 정의되지 않은 제1공간정보 타입(예컨대, CityGML)으로부터 공간의 위상정보를 정의할 수 있는 제2공간정보 타입(예컨대, IndoorGML)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어서, 공간의 위상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로 객체기반의 공간정보를 분석/해석하여 위상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제2공간정보 타입이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제2공간정보 타입을 생성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공간정보 타입으로부터 자동으로 제2공간정보 타입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위상정보가 중요한 서비스의 경우에 즉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공간정보 타입은 제1공간정보 타입에 비해 보다 가벼운 용량을 가질 수 있어서, 자동으로 생성한 제2공간정보 타입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간정보를 필요한 주체(예컨대, 재난시의 요구조자 또는 구조자 등)와 공유하여 효과적이고 즉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와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표현되는 건물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건물정보 포맷이 재난상황에서 안전을 위해 정의되는 파일 포맷인 경우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재난상황에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건물정보 포맷이 사용될 필요는 없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와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a를 참조하면, 도 1a의 좌측은 소정의 공간(예컨대, 건물)을 제1타입의 공간정보(예컨대, CityGML)로 정의하고 이를 모델링한 일 예이고, 우측은 상기 공간을 제2타입의 공간정보(예컨대, IndoorGML)로 정의한 경우 이를 모델링한 일 예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제1타입의 공간정보(예컨대, CityGML)는 공간을 구성하거나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각각 개별적인 객체정보로써 정의할 수 있되,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공간들(예컨대, 방, 복도 등)간의 위상정보 즉, 공간들의 연결관계는 자체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공간정보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제2타입의 공간정보(예컨대, IndoorGML)은 건물 내부의 공간들 간의 위상정보를 내부적으로 정의하고 있고 공간의 위치와 영역(체적, Volume)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정보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타입의 공간정보는 CityGML이고,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IndoorGML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공간정보 타입들의 조건을 만족하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면 반드시 제1타입의 공간정보 및 제2타입의 공간정보가 CityGML, IndoorGML로 국한될 필요가 없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는 건물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타 객체(예컨대, 도 1a에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의자, 소파 등)들도 정의될 수 있지만,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건물의 내부 공간들의 영역(위치 및 체적)과 이들간으 연결관계를 중점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공간정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타입의 공간정보에는 내부 공간 안에 존재하는 타 객체들은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건물 내부가 정의될 경우, 제1타입의 공간정보는 각각의 내부공간(예컨대, 10, 30)을 구성하는 객체들을 개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타입의 공간정보는 도 1b의 공간을 이들을 구성하는 객체들로 정의한다. 예컨대, 제1내부공간(10)을 구성하는 벽들(예컨대, W1, W2, W3) 및 바닥(예컨대, F1)을 개별적인 객체로 표현하며, 제2내부공간(30) 역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내부공간(30)을 구성하는 벽들과 바닥 각각의 개별적인 객체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문(20) 역시 별개의 객체로써 정의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객체들의 위치, 각각의 객체들의 바운더리 또는 표면(surface)가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타입의 공간정보는 각각의 객체들 및 각각의 객체들의 연결관계는 정의될 수 있다. 제1타입의 공간정보만으로는 제1내부공간(10) 및 제2내부공간(30)인 연결될 수 있는 내부공간인지 즉, 내부공간들간의 위상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물론, 공간의 위상정보는 미리 정의된 기준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문을 통해 연결된 경우에만 공간이 연결된다고 정의될 수도 있고, 공간들간에 창문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간이 연결되어 있다고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준은 예컨대, 사람을 기준으로 하는 위상정보인지 공기를 기준으로 하는 위상정보인지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즉, 어떤 오프닝(openings)을 기준으로 공간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할지는 실시 예에 따라 또는 공간정보를 활용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간의 위상정보가 문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을 공간들의 영역 및 공간의 연결관계를 중심으로 정의하는 공간정보 타입일 수 있다.
공간들의 영역은 공간의 바닥의 바운더리(boundary)와 바닥으로부터 해당 공간이 갖는 높이로 표현될 수 있는데, 도 1c에서는 예시적으로 바닥의 바운더리만을 도시하고 있는 일 예이다.
또한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공간들의 위상정보를 자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도 1b의 공간은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표현하면 제1내부공간(10) 및 제2내부공간(30) 각각의 바운더리(바닥 바운더리 또는 3차원 공간 상의 바운더리)와 이들 공간들의 연결관계인 위상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위상정보는 예컨대, 제1내부공간(10) 및 제2내부공간(10)의 중심을 각각 노드로 하며, 이들이 공유하고 있는 오프닝(예컨대, 문(door))을 통해 각각의 노드들이 연결됨을 표현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오프닝(예컨대, 문(door)) 역시 별개의 노드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상정보는 노드와 에지로 정의되는 그래프 데이터 스트럭쳐(data structure)로 정의될 수 있다.
결국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건물의 내부를 내부공간(예컨대, IndoorGML에서는 Cell)이 차지하는 영역과 이들의 위상정보를 중심으로 표현하기 위한 공간정보 타입이며 이러한 특징에 기반하여 공간의 연결관계가 필요한 서비스(예컨대, 재난시의 구조 또는 대피 등)에 활용되기 적합하다. 또한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객체(벽, 바닥, 오프닝 등) 및 내부공간 내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개별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고 내부공간 자체를 하나의 객체로 바라보기 때문에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비해 훨씬 적은 데이터 용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주체들에게 실시간으로 공간정보의 공유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주체들이 실시간으로 공간정보를 공유한 상황에서 공간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받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추출모듈(120), 및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영역생성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모듈(110), 추출모듈(120), 바운더리 생성모듈(130), 및/또는 영역생성모듈(14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 추출모듈(120), 바운더리 생성모듈(130), 및/또는 영역생성모듈(14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모듈(120)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미리 정해진 객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소정의 저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장치에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 저장된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억세스하도록 소정의 인터페이싱 수단(예컨대, USB 포트, 네트워크 장치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객체는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되는 내부공간의 바닥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IndoorGML에서는 내부공간별로 바닥(Floor)라는 객체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바닥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모듈(120)은 오프닝 객체를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오프닝 객체는 위상정보의 생성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오프닝(예컨대, 문(door), 창문, 엘리베이터, 계단 등) 들일 수 있다.
상기 추출모듈(120)은 미리 정해진 오프닝(예컨대, 문(door))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한 각각의 객체들의 정보로부터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평면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바닥객체 정보로부터 평면화된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오프닝 객체에 대한 정보로부터 평면화된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평면화된 바운더리라 함은, 높이를 고려하지 않고 평면상에서의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 즉, 바운더리를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닥 바운더리는 제1타입의 공간정보의 플로우 객체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플로우 객체가 평면의 바운더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플로우 객체가 폴리곤 메시(polygon mesh)들로 정의된 서피스(surface)로 표현된 경우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상기 플로우 객체에 포함된 바운더리 정보를 단순히 추출함으로써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이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후자일 경우는,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상기 폴리곤 메시들에 대한 불리안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의 바닥 객체가 폴리곤 메시들로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곤은 삼각형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이러한 폴리곤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로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해야 할 수 있다. 만약 바닥 객체가 평면이 아니라 수직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각각의 폴리곤을 평면상에 프로젝션(projection) 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각각의 폴리곤들에 대해 불리안(boolean)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바닥을 생성하여 바닥의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바닥 바운더리는 다른 객체(예컨대, 벽 등)와 겹치지 않는 내부공간(예컨대, 방) 만의 폐곡선을 의미할 수 있다.
불리안 연산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형들이 존재할 경우, 이들을 통해 정의되는 전체 도형들의 영역을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정의하기 적합한 연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B라는 도형이 존재할 경우, AND, OR, NOT, XOR 등의 불리안 연산을 통해 A와 B 각각의 경계로 구분되는 영역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순하게 바닥이 폴리곤들이 차지하는 영역들의 결합으로 정의되는 경우에는 폴리곤들의 OR 연산으로 바닥 전체의 영역이 특정될 수 있고, 바닥 전체의 영역의 바운더리를 바운더리로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제1타입의 공간정보가 바닥을 표현하는 다양한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 불리안 연산을 통해 바닥 바운더리를 특정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오프닝 객체에 대한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오프닝 객체들 각각의 surface가 폴리곤 메시들로 표현된 경우에는 각각의 surface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곤 메시들의 불리안 연산을 통해 각각의 surface에 대한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는 오프닝 객체에 대한 정보에는 바닥 바운더리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오프닝 객체들의 평면화된 바운더리를 소정의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오프닝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좌측은 손잡이가 없거나 적어도 돌출되지 않은 오프닝(예컨대, 문(door))을 나타내고, 우측은 손잡이가 돌출된 오프닝(예컨대, 문(door))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오프닝(예컨대, 문(door)) 객체가 삼차원 공간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또는 삼차원의 외곽선을 수직으로 평면 상에 프로젝션한 결과를 오프닝 바운더리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모듈(120)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존재하는 모든 바닥 객체와 모든 오프닝(예컨대, 문(door))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에 대해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평면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바닥 바운더리와 오프닝(예컨대, 문(door))의 바운더리가 생성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생성한 바운더리에 기초하여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오프닝(예컨대, 문(door)) 객체를 공유하고 있는 바닥객체들을 연결 바닥객체로 특정할 수 있다. 즉, 오프닝(예컨대, 문(door))을 공유하고 있는 공간을 연결된 공간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특정 오프닝 바운더리와 겹치는 바운더리를 갖는 바닥객체를 모두 연결 바닥객체로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연결 바닥객체들을 서로 연결된 공간으로 특정하고, 이들간의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모듈(120)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동일한 층 즉, 지면으로부터 동일하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유사하다고 분류되는 높이에 존재하는 바닥객체 및 오프닝(예컨대, 문(door))를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모듈(120)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객체들의 높이레벨 정보(예컨대,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층별 바닥객체 및 오프닝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층별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객체들의 바닥 바운더리 및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층별로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130) 및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층별로 제2타입의 공간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모듈(120)은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수직 오프닝 객체(예컨대, 계단, 엘리베이터 등)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바닥객체들 중 동일한 수직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고 있는 수직연결 바닥객체들을 특정하여 수직연결 바닥객체들간의 수직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수평공간 즉, 층별로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생성하고, 수직 위상정보를 생성함으로서 제2타입의 공간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물론,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내부공간별로 삼차원의 영역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영역생성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생성모듈(140)은 각각의 바닥객체들의 바운더리로부터 단순히 각각의 바닥객체에 해당하는 내부공간의 높이정보 만큼 바운더리를 수직으로 올려서 체적화하여 각각의 내부공간에 상응하는 체적을 갖는 영역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제2타입의 공간정보는 각각의 내부공간의 평면 바운더리와 이들간의 위상정보로 정의될 수도 있고, 각각의 내부공간을 삼차원 공간상에 체적화할 수도 있다. 이때는 각각의 내부공간의 높이정보를 제2타입의 공간정보에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삼차원으로 건물을 표시할 경우에는 체적을 갖는 내부공간들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일 예들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건물은 도 3의 상부에 표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내부공간(40)은 오각형의 바닥을 가지고 있고, 제4내부공간(50)은 사각형의 바닥을 가질 수 있으며, 제3내부공간(40) 및 제4내부공간(50)은 벽(w4)을 공유하고 있고, 벽(w4)에는 문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타입의 공간정보는 이러한 건물을 벽, 바닥, 문 각각의 개별적인 객체로 정의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추출모듈(120)은 이 건물에서 바닥객체들(F3, F4)을 모두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오프닝 객체(즉, 문)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닥객체들(F3, F4)의 바운더리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내부공간(40) 및 제4내부공간(50)의 바닥바운더리가 특정될 수 있다. 물론, 바닥객체 각각의 위치정보가 바닥 바운더리에 상응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내부공간(40) 및 제4내부공간(50)의 바닥바운더리 사이에는 벽(w4)의 바닥만큼의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운더리 생성모듈(130)은 오프닝(예컨대, 문(door)) 객체의 바운더리 역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특정된 바닥 바운더리와 오프닝 바운더리는 평면상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문은 두 바닥 객체가 공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공간들(40, 50)은 연결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즉, 내부공간들(40, 50) 각각에 상응하는 바닥객체들은 연결 바닥객체일 수 있고,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연결 바닥객체들에 포함된 제1바닥객체 및 제2바닥객체 각각의 바닥 바운더리 내의 소정의 위치(예컨대, 바닥의 중심점)에 설정되는 노드들을 상기 오프닝에 상응하는 오프닝 바운더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정보는 그래프로 생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일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6에서는 바닥객체들 즉, 내부공간에만 노드가 설정된 것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두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오프닝 객체에도 노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건물 내부의 모든 층별로 수평의 제2타입의 공간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층별로 생성된 제2타입의 공간정보 상에 수직 위상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7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추출모듈(120)에 의해 추출되는 수직 오프닝 객체(예컨대, 계단, 엘리베이터 등)들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수직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바닥객체들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수직 오프닝 객체와 삼차원 공간상에서 겹치는 영역이 존재하는 바닥객체들을 탐색하여 상기 수직 오프닝 객체에 연결된 수직연결 바닥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한 상기 수직연결 바닥객체들을 연결하는 수직공간 위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물 내부의 모든 바닥객체 및 오프닝 객체의 바운더리 및 수평 위상정보, 수직 위상정보가 특정되면 제2타입의 공간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바닥객체를 해당 내부공간의 높이정보만큼 체적화하여 삼차원 공간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타입의 공간정보를 통한 삼차원 공간 모델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라인이 해당 건물의 위상정보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변환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 중 오프닝 객체 정보와 바닥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추출한 바닥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오프닝 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는 b) 단계;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생성한 평면의 오프닝의 바운더리와 상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닝을 공유하는 연결 바닥객체들을 특정하여 연결 바닥객체들간의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오프닝 객체가 삼차원 공간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또는 삼차원의 외곽선을 수직으로 평면 상에 프로젝션하여 상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변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변환방법은,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상기 바닥객체에 상응하는 내부공간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높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닥 바운더리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만큼 체적화한 삼차원의 영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간정보 변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바닥객체들 각각의 높이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로 바닥객체 및 오프닝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층별로 상기 b), c) 단계를 수행하여 층별 제2타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정보 변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상기 바닥객체 또는 상기 오프닝 객체가 폴리곤(polygon)의 메시(mesh) 정보들로 구현된 경우, 삼각형의 메시정보들의 불리안(boolean) 연산을 통해 상기 바닥 바운더리 또는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변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연결 바닥객체들에 포함된 제1바닥객체 및 제2바닥객체 각각의 바닥 바운더리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되는 노드들을 상기 오프닝에 상응하는 오프닝 바운더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공간정보 변환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변환방법은,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상기 층별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추출되는 수직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수직연결 바닥객체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수직연결 바닥객체에 기초하여 수직공간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간정보 변환방법.
  7.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1타입의 공간정보를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 중 오프닝 객체 정보와 바닥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바닥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오프닝 객체 정보로부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기 위한 바운더리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와 상기 평면의 바닥 바운더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연결 바닥객체들을 특정하여 연결 바닥객체들간의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은,
    오프닝 객체가 삼차원 공간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또는 삼차원의 외곽선을 수직으로 평면 상에 프로젝션하여 상기 평면의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는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변환시스템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바닥객체에 상응하는 내부공간의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닥 바운더리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만큼 체적화한 삼차원의 영역정보를 생성하는 영역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모듈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 포함된 바닥객체들 각각의 높이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로 바닥객체 및 공유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은,
    층별로 상기 바닥 바운더리 및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층별 바운더리 정보에 기초하여 층별 위상정보를 생성하여 층별 제2타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더리 생성모듈은,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의 상기 바닥객체 또는 상기 오프닝 객체가 폴리곤(polygon)의 메시(mesh) 정보들로 구현된 경우, 상기 메시정보들의 불리안(boolean) 연산을 통해 상기 바닥 바운더리 또는 상기 오프닝 바운더리를 생성하는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층별 제2타입의 공간정보로부터, 상기 제1타입의 공간정보에서 추출되는 수직 오프닝 객체를 공유하는 수직연결 바닥객체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수직연결 바닥객체에 기초하여 수직공간 위상정보를 생성하는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KR1020180166751A 2018-12-20 2018-12-20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51A KR102057402B1 (ko) 2018-12-20 2018-12-20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51A KR102057402B1 (ko) 2018-12-20 2018-12-20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402B1 true KR102057402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51A KR102057402B1 (ko) 2018-12-20 2018-12-20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4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6319A (zh) * 2021-07-01 2021-09-24 泰瑞数创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城市室内三维语义模型的异形排列矩阵构建方法及其系统
KR102312176B1 (ko) * 2020-10-06 2021-10-14 ㈜유엔이 공간정보 전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8067B1 (ko) * 2021-10-22 2022-03-25 (주)빌드스마트랩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79B1 (ko) * 2016-02-23 2016-09-27 (주)이지스 3차원 지리 공간 시스템에서의 3차원 도면 구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79B1 (ko) * 2016-02-23 2016-09-27 (주)이지스 3차원 지리 공간 시스템에서의 3차원 도면 구축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tyGML에서 유도된 IndoorGML의 생성 방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pp. 38-41), 2012년 10월* *
"THE EXTRACTION OF INDOOR BUILDING INFORMATION FROM BIM TO OGC INDOORGML",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pp. 167-170), July 2017* *
인터넷 웹사이트1()
인터넷 웹사이트2(http://www.opengeospatial.org/standards/indoorgm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76B1 (ko) * 2020-10-06 2021-10-14 ㈜유엔이 공간정보 전환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36319A (zh) * 2021-07-01 2021-09-24 泰瑞数创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城市室内三维语义模型的异形排列矩阵构建方法及其系统
CN113436319B (zh) * 2021-07-01 2022-03-18 泰瑞数创科技(北京)有限公司 城市室内三维语义模型的异形排列矩阵构建方法及其系统
KR102378067B1 (ko) * 2021-10-22 2022-03-25 (주)빌드스마트랩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02B1 (ko) 공간정보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Tran et al. Shape grammar approach to 3D modeling of indoor environments using point clouds
US10417352B2 (en) Generating a three dimensional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336013B1 (ko) Bim 데이터와 gis 데이터의 연동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737409B (zh) 一种三维虚拟室内设计方案的生成方法
Zlatanova et al. Space subdivision for indoor applications
JP7143924B2 (ja) 画像マッチング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1178892B1 (ko) 실내외 통합공간정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Xu et al. Indoor guided evacuation: TIN for graph generation and crowd evacuation
Xiong et al. Free multi-floor indoor space extraction from complex 3D building models
KR102152251B1 (ko) Bim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65223B1 (ko) 건물정보 포맷,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9591A (ko)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정보 설정 및 활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671223B1 (ko) 맵 생성 방법, 이를 이용한 로봇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7068A (ko) 피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1102980B (zh) 路径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00059193A (ko) 건물정보 포맷,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900333B2 (ja) ネットワークデータ生成装置、ネットワーク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37913B1 (en) Node placement planning
KR102095120B1 (ko) 지능형 실내 공간 서비스를 위한 공간의 기능 및 의미를 포함한 실내 공간 모델링 방법 및 장치
CN111177837B (zh) 基于三维建筑模型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30135544A (ko) 웹기반 디지털트윈 환경에서의 맵 토폴로지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640497B1 (ko) 경량화된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정보 설정 및 영상 관제 장치
CN114997537A (zh) 一种应急调度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3192181B (zh) 面向综合体导航应用的室内多层次语义拓扑索引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