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803B1 -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 Google Patents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803B1
KR102056803B1 KR1020180020656A KR20180020656A KR102056803B1 KR 102056803 B1 KR102056803 B1 KR 102056803B1 KR 1020180020656 A KR1020180020656 A KR 1020180020656A KR 20180020656 A KR20180020656 A KR 20180020656A KR 102056803 B1 KR102056803 B1 KR 10205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user
user mobile
mobile smar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0730A (en
Inventor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주)형지엘리트
주식회사 위싱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지엘리트, 주식회사 위싱라이브 filed Critical (주)형지엘리트
Priority to KR102018002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80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7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8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 회의 또는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한 화상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중계를 요청하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영상 중계 요청 대상이 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같은 인증 ID를 사용하며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가 운영하되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영상 화면 보다 대형의 영상 화면을 구현하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인증 ID를 대비하여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영상 중계 화면을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시 딜레이 저감을 통해 신속 데이터 처리의 전제하에서 싱크 연산 로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video conferencing or online lectures, comprising: a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for requesting video relay;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which are subject to a video relay request;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a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used, and the same user a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operated to implement a larger video screen than the video screen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providing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n preparation for authentication IDs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 image relay control server 400 for converting and providing an image relay screen to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t may include.
As a result, when providing a platform capable of interworking an image of a mobile smart device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sync operation logic under the premise of rapid data processing through delay reduction.

Description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본 발명은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회의 또는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한 화상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영상 통화를 자동으로 PC나 TV 등의 장치로 전환 연결하여 영상 중계 영상을 대형 화면으로 현장감 있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video conferencing or online lectures, and to automatically make a video call between a user mobile smart device such as a PC or a TV.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to a device so that a video relay image can be realistically heard on a large screen.

현재 대부분이 영상 통화와 같은 영상 중계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 간에서만 수행된다.Currently, video relaying such as video calls are mostly performed only between user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이러한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영상 통화를 PC나 TV 등의 장치로 전환 연결시 영상 중계 영상을 대형 화면으로 현장감 있게 청취할 수 있어 보다 큰 화면으로 현장감 있게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When the video call between the user's mobile smart device is switched to a device such as a PC or a TV, the video relay image can be listened to on a large screen in a realistic way, and thus a video call can be provided on a larger screen in a realistic sens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67022호 "다원 영상 중계 장치(APPARATUS FOR RELAYING MULTIPLE IMAGE)"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67022 "APPARATUS FOR RELAYING MULTIPLE IMAG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시 딜레이 저감을 통해 신속 데이터 처리의 전제하에서 싱크 연산 로직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ideo relay for providing the sync operation logic under the premise of fast data processing through delay reduction when providing a platform that can interlock the image of the mobile smart device with the external display device To provide a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그리고 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싱크 연산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ync operation platform for not only the display device linked to the mobile smart device, but also other user mobile smart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hereto. will b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은, 화상 회의 또는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한 화상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중계를 요청하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영상 중계 요청 대상이 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같은 인증 ID를 사용하며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가 운영하되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영상 화면 보다 대형의 영상 화면을 구현하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인증 ID를 대비하여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영상 중계 화면을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video conferencing or online lecture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for requesting video relay );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which are subject to a video relay request;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a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used, and the same user a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operated to implement a larger video screen than the video screen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providing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n preparation for authentication IDs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 image relay control server 400 for converting and providing an image relay screen to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t may include.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영상 송수신을 네트워크(300) 상에서 중계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영상 송수신 중계 중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n개로 이루어진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중 하나에 대한 변경 요청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출력이동모듈(422);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Afte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 receiver 410 to relay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mart devices 500-2 to 500-m on the network 300,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from the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 is performed. an output movement module 422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unit 410 to receive a change request for one of the n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s 200 through the network 3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이동모듈(422)은, ID 저장모듈(421)에 의해 사전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존재하거나, ID 추가모듈(424)에 의해 추가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동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인증 ID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뒤,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여 n개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에 따라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pre-registered by the ID storage module 421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200 existing or additionally registered by the ID adding module 424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3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D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ereafter, the transceiver 4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o receive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lection request for one of the n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s 200. It is desirable to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이동모듈(422)은,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중계 입력 상태"를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영상 중계 입력을 전달받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영상 중계 출력 상태"를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the "image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f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Controls the transceiver 410 to receive the relay input state from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and the " video relay "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receiving the video relay inpu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410 to receive the "output state" from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은, 신호조절모듈(423); 을 더 포함하며, 출력이동모듈(422)은, "영상 중계 입력 상태"와 "영상 출력 상태"에 해당하는 통신 상태를 신호조절모듈(423)로 제공하며, 신호조절모듈(423)은 타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g)를 구성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영상 송수신 중계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영상 중계 데이터에 영상 중계 입력 상태와 영상 출력 상태를 이동시키는 시간 범위에 발생된 딜레이 구간을 조정한 뒤,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간에 딜레이 구간이 조정된 영상 중계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conditioning module 423; It further includes, the output moving module 422, provides a commun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video relay input state" and "video output state" to the signal control module 423, the signal control module 423 is another user At least one of the second to m-th user smart devices 500-2 to 500-m constituting the mobile smart device 500g, which performs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and an image relay between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fter adjusting the delay period generated in the time range for moving the video relay input state and the image output state to the data, the second to m-th user smart device 500-2 to 500-m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ransmitter / receiver 410 such that video relay data having a delay period adjusted therebetwee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ID 추가모듈(424)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네트워크(300)를 통한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 추가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인증 ID를 식별항목으로 하여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 adding module 424, using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unit 410 to receive a request for adding a heterogeneous smart device through the user's network 300, the device of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us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a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s an identification item.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and register it in the database 43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은, 기존 또는 추가된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싱크 조절, 또는 기존 또는 추가된 타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싱크 조절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싱크조절모듈(425);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control for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or added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r existing or added other user smart mobile device A sync control module 425 which controls the transceiver unit 410 to perform sync control on the apparatu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시 딜레이 저감을 통해 신속 데이터 처리의 전제하에서 싱크 연산 로직을 제공할 수 있다.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form capable of interworking an image of a mobile smart device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d performs sync operation logic under fast data processing through delay reduction. Can provid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그리고 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싱크 연산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display device interoperating with a mobile smart device, but also a sync computing platform for other user mobile smart devices and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hereto. Can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중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중 싱크조절모듈(425)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i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mponents of the sync adjustment module 425 of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은 영상 통화 중의 디바이스를 연결함으로써, 화상 회의 또는 온라인 강의 수강시 디바이스 변경 및 사용자 추가가 가능하도록 한다. 1 is a view showing a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connects devices during a video call, thereby enabling device change and user addition during a video conference or online lecture.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네트워크(300),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그리고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m은 3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타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500g)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may include a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 network 300, a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and second to second agents. m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m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may comprise a mobile phone smart device set (500g).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net service including Internet data to a user through a wireless link, which is a comprehensive concept of portable devices. That is, mobile phone, wireless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DMA-2000 phone, Mobile Broad and System (MBS) phone, Portable Multimedia (PMP) Player, handheld computer, such as a multimedia phone and a multimedia player.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유선단말로 광범위한 개념으로, PC(Personal Computer), IP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등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들,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를 포함하는 서버 및 시스템과 음성 및 영상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s a wired terminal and has a broad concept.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ncludes a personal computer (PC),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 television, a 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rver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voice and video.

여기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같은 인증 ID를 사용하는 동일 사용자가 운영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과의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 전환을 상호 수행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 송수신은 화상 통화, 온라인 강의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re smart devices operated by the same user us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nd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second to second user. Image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connected to the network 300 with at least one of the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It can be formed to perform the conversion mutually. Here, the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a video call, an online lecture, or the like.

한편, 네트워크(300)는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그리고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m은 3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타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5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network 300 is 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high-spee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ong 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and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Here, when the network 3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exampl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cheme.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network 3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n IP network based on a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LTE network, 4G network, 5G, or other IP. The network 300 includes a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 image relay control server 400, and a second to m th user mobile smart device 500-2 to 500-. m, m is a natural mobile number set of three or more (500g), and serves to mutually transfer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other system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중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ID 저장모듈(421), 출력이동모듈(422), 신호조절모듈(423), ID 추가모듈(424) 그리고 싱크조절모듈(425)로 구분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in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may include a transceiver 410, a controller 420, and a database 430. The controller 420 may be divided into an ID storage module 421, an output movement module 422, a signal control module 423, an ID addition module 424, and a sink control module 425.

이하에서는 제어부(42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and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ler 420.

ID 저장모듈(421)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네트워크(3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동일한 인증 ID를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ID storage module 421 transmits and receives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o register the same authentication ID in the database 430 according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300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410 may be controlled.

여기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n개가 2 이상의 경우 상술한 공통의 인증 ID의 하부 목록으로 복수개로 각각의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may be formed of n pieces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and when n pieces are 2 or more, each of the heterogeneous smart devices may be a plurality of sub-lists of the common authentication IDs described above. It is divided by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20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430 by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이에 따라, 인증 ID, 그리고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는 같은 인증 ID를 사용하는 동일 사용자가 운영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과의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 전환을 상호 수행하기 위해 활용된다. Accordingly, the authentication ID 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are smart devices operated by the same user us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nd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is used to perform video data conversion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in the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connected to the network 300 with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출력이동모듈(422)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영상 송수신을 네트워크(300) 상에서 중계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transmits / receives images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based on a reques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Control the transceiver unit 410 to relay on.

이후, 출력이동모듈(422)은 영상 송수신 중계 중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n개로 이루어진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중 하나에 대한 변경 요청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 Thereafter, 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receives a change request for one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s 200 consisting of n pieces from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during the image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 through the network 300. Control the transceiver 410.

출력이동모듈(422)은 ID 저장모듈(421)에 의해 사전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존재하거나, 후술하는 ID 추가모듈(424)에 의해 추가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동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인증 ID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뒤,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여 n개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에 따라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has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pre-registered by the ID storage module 421 or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additionally registered by the ID adding module 424 described later.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200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3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D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transceiver 41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lection request for one of the n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s 200.

출력이동모듈(422)은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중계 입력 상태"를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영상 중계 입력을 전달받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영상 중계 출력 상태"를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is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via the network 300 the "image relay input state" of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to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Controls the transceiver 410 and receives the "video relay output state"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which has received the video relay input from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Control the transceiver 410.

이에 따라, 출력이동모듈(422)은 "영상 중계 입력 상태"와 "영상 출력 상태"에 해당하는 통신 상태를 신호조절모듈(423)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may provide a commun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lay input state" and the "image output state" to the signal adjustment module 423.

신호조절모듈(423)은 타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g)를 구성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영상 송수신 중계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영상 중계 데이터에 영상 중계 입력 상태와 영상 출력 상태를 이동시키는 시간 범위에 발생된 딜레이 구간을 조정한 뒤,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간에 딜레이 구간이 조정된 영상 중계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ignal control module 423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 operations among the second to m-th user smart devices 500-2 to 500-m constituting the other user mobile smart device 500g, and the first user. The second to m-th user smart device 500-2 to 500-m after adjusting a delay period generated in a time range for moving the video relay input state and the image output state to the video relay data between the mobile smart devices 100. )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 receive video relay data having a delay period adjusted between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D 추가모듈(424)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네트워크(300)를 통한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 추가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인증 ID를 식별항목으로 하여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할 수 있다. The ID adding module 424 may transmit / receiv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0 to receive a request for adding a heterogeneous smart device through the network 300 of the user using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fter the control, a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may be generated and registered in the database 430 us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s an identification i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ID 추가모듈(424)은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각각의 타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는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의 추가 요청을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각 타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 동일한 인증 ID를 식별항목으로 하여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 adding module 424 may request a second request for adding a heterogeneous smart device operated by another user of each of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unit 410 to receive from each of the m-th user mobile device, and generates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us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e identification item of each other user mobile smart device database 430 You can register 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ID 추가모듈(424)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네트워크(300)를 통한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외의 다른 타 사용자에 대한 영상 중계 추가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추가된 타 사용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 adding module 424 may include the second to mth through the user's network 300 using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 receiver 410 to receive a video relay addition request for other users other than the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added mobile smart device of another user is received. It may be generated and registered in the database 430.

이에 따라, 싱크조절모듈(425)은 기존 또는 추가된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싱크 조절, 또는 기존 또는 추가된 타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싱크 조절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ink adjustment module 425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sink adjustment for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or added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r a sink adjustment for the existing or added other user smart mobile device. 410 may be controll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중 싱크조절모듈(425)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싱크조절모듈(425)은 사용자 관리 모듈(425a), 넷 스튜디오 모듈(425b), SW/HW 복합 지원 모듈(425c)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mponents of the sync adjustment module 425 of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sync adjustment module 425 may further include a user management module 425a, a net studio module 425b, and a SW / HW composite support module 425c.

여기서, 사용자 관리 모듈(425a)은 ID 인식 수단(425a-1), UI 동기화 수단(425a-2), 딜레이 유입 수단(425a-3)으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user management module 425a may be divided into an ID recognition means 425a-1, a UI synchronization means 425a-2, and a delay inflow means 425a-3.

ID 인식 수단(425a-1)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액세스(access)를 수행하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인증 ID를 갖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영상 중계 대상이 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 검색을 통해 연동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The ID recognizing means 425a-1 is a first user hav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performing access via the network 300.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search for the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which are the video relay targets with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transceiver unit 410 is controlled to perform interworking.

UI 동기화 수단(425a-2)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대한 동일한 영상, 자막(수업 내용 또는 질의 내용)을 로딩하기 위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동된 각 시스템 장치로 싱크 개시 시간을 메타 데이터로 하여 동일한 영상, 자막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의한 동일한 영상, 자막에 따른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기준 데이터,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의한 제 1 동기화 데이터,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의한 제 2 동기화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The UI synchronization means 425a-2 is connected to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at are interworked with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n order to load the same image and caption (class contents or query contents),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410 transmits the same image and caption information to each of the system devices interworked through the network 300 with the sync start time as metadata.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the same image and caption by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Reference data by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first synchronization data by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Request to provide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by the network devices 500-2 to 500-m.

본 발명에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운영하는 장치이고,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학생이 운영하는 대화면의 PC, 스마트 TV, 등의 장치이고,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하나가 온라인 강의를 수행하는 온라인 강사가 운영하는 장치인 경우, 현재까지 불가능 했던 이격된 거리에 있는 온라인 강사로부터 동시에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 대화면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분할된 화면으로 각 온라인 강사의 협업으로 강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술한 동일한 영상, 자막은 온라인 강의를 위한 시나리오 자막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a device operated by a student taking an online lecture,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s a device of a large screen PC, a smart TV, and the like, which the student operates. If one of the second to m-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is a device operated by an online instructor who conducts an online lecture, the lecture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an online instructor at a distance from which it has not been possible until now. In the case of taking the lecture, the divided screen may be provided by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n the large screen, and the lectur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each online instructor.

한편,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온라인 강사가 운영하는 장치이고,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온라인 강사를 보조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장치이고,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가 온라인 강의에서 제 2 동기화 데이터 또는 보조 영상 데이터를 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장치인 경우, 상술한 동일한 영상, 자막은 온라인 강의 진행을 위한 시나리오 정보일 수 있으며, 다른 목적 대상 디바이스로 기준 데이터(주 강의 데이터), 제 1 동기화 데이터(온라인 강의를 위한 보조자의 데이터로 예컨대, 전자 칠판 데이터), 제 2 동기화 데이터(음향 데이터)를 믹싱한 데이터를 목적 대상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a device operated by an online instruct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s a device operated by a person assisting the online instructor, and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When the device 500-2 to 500-m is a device operated by a person who performs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or the auxiliary image data in the online lecture, the same image and the subtitle may be scenario information for the online lecture. The target device includes data that mixes reference data (main lecture data), first synchronization data (for example, copyboard data), and second synchronization data (acoustic data) with another target device. It may be provided as a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UI 동기화 수단(425a-2)은 후술하는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에 의한 판단에 따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의한 딜레이 발생시 각 연동된 시스템 장치 별로 딜레이 타임을 인입하여 50ms 이하의 오차범위 내에서 동기화 시켜서 동일한 영상 또는 자막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동일한 영상 또는 자막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I synchronizing means 425a-2 may be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the second interworking with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by 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425b-1 described later. m When the delay occurs by the user mobile smart device 500-2 to 500-m, the delay time is input for each interlocked system device and synchronized within the error range of 50 ms or less to output the same video or subtitle UI screen. The transceiver 4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caption data.

딜레이 유입 수단(425a-3)은 넷 스튜디오 모듈(425b)에 의해 믹싱되는 데이터에 상호 연동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하나에 의한 사전 딜레이 유입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으로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한 딜레이 유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elay inflow means 425a-3 includes a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a second to mth user interworked with data mixed by the net studio module 425b. When receiving a pre-delay inflow request by one of the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delay inflow information for the video or audio may be provided to the data mixing means 425b-3.

또한, 넷 스튜디오 모듈(425b)은 딜레이 판단 수단(425b-1), 데이터 선택 수단(425b-2),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 studio module 425b may be divided into a delay determination unit 425b-1, a data selection unit 425b-2, and a data mixing unit 425b-3.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로부터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 제 1 동기화 데이터 또는 제 2 동기화 데이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한 상대적인 딜레이를 판단하여 딜레이 발생시 딜레이 시간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425b-1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relative delay of the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data, the first synchronization data, or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30 may be determined, and the delay time when the delay occurs may be measured and stored together in the database 4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은 기준 데이터, 제 1 동기화 데이터 또는 제 2 동기화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타입, 음성 타입의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에 따라 음성 인식 발생 시간을 정렬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우선 순위 중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기준으로 차순위 음성 데이터 간의 딜레이 시간을 타임 라인에서 구간을 설정한 뒤, 정량적 수치인 절대적 크기 정보 1로 설정하고, 차순위 음성 데이터와 차차순위 음성 데이터 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L차순위 음성 데이터 간의 딜레이 시간을 상대적 수치로 연산함으로써, 후술하는 데이터 선택 수단(425b-2)에 의한 딜레이 발생 데이터를 제거시, 제거 연산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ay determination unit 425b-1 samples the audio data among the image type and the audio type data constituting the reference data, the first synchronization data or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and the audio according to the sampling. The recognition time can be sort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received data, and the delay time between the next-order voice data is set in the timeline based on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priorities, and then the absolute value is quantitative. Delay generation data by the data selection means 425b-2 described later by setting the magnitude information to 1 and calculating the delay time between not only the next-order voice data and the next-order voice data, but also the subsequent L-order voice data. When removing, it can provide the speed of the remove operation.

여기서,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에 의한 음성 데이터의 샘플링은, 각 음성 데이터의 첫 번째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며, 각 음성 데이터의 발생 시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시 각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대한 질의 메시지 요청을 통해 첫 번째 패킷 데이터 압축지연 시간 및 첫 번째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을 인입하여 도달 우선 순위를 산정한다. 그리고,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은 첫 번째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에 대해서는 각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와의 RTT(round trip time) 측정 방식으로 사전에 획득할 수 있다. Here, sampling of the voice data by the delay determination unit 425b-1 extracts the first packet data of each voice data, and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generation time of each voice data. 100), the first packet data compression delay time and the first packet data through a query message request f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priority of arrival is calculated by inserting the transmission delay time. In addition, the delay determining unit 425b-1 may determine each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for the transmission delay time of the first packet data. It may be obtained in advance by a round trip time (RTT) measurement method with the devices 500-2 to 500-m.

데이터 선택 수단(425b-2)은 딜레이 발생 데이터를 제거한다. 즉 데이터 선택 수단(425b-2)은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에 의해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딜레이 시간에 대한 절대적 크기 정보 및 상대적 크기 정보를 활용하여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되는 기준 데이터,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수신되는 제 1 동기화 데이터, 음향 시스템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 2 동기화 데이터 각각에 대한 딜레이 시간만큼의 데이터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The data selecting means 425b-2 removes delay generation data. In other words, the data selecting means 425b-2 is measured by the delay determining means 425b-1 and utilizes the absolute size information and the relative size information of the delay time stored in the database 430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 Data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delay time for each of the referenc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ata, the first synchronization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ound system device may be removed.

이후,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은 딜레이 발생이 없는 현재의 데이터만 취합하여 싱크를 맞춘 뒤, 싱크가 맞춰진 데이터만을 목적 대상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data mixing means 425b-3 collects and synchronizes only the current data without delay and transmits the synchronized data only through the network 300 to the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which is the target device. The transmitter / receiver 410 may be controlled.

또한,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은 싱크가 맞춰진 데이터에 대해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그리고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대해서도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mixing means 425b-3 may include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nterworking with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with respect to the synchronized data. Alternatively, the transceiver 4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rough the network 300.

SW/HW 복합 지원 모듈(425c)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연동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대상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생성 속도, 송수신 속도, 데이터 압축/해제 속도가 각 파라미터에 대해서 단계별로 구분되어 n(파라미터의 개수)×m(m은 각 파라미터 단계의 개수)(n, m은 서로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이며, m은 각 파라미터 별로 가변적)의 셀(cell)에 매칭되어 저장된 클라우드(cloud) 기반의 각 장치별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각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연동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목적 대상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의 하드웨어 특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교정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W / HW composite support module 425c include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interworking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to m 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generation speed,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 and data compression / decompression speed of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target smart device 600 are divided step by step for each parameter, where n (number of parameters) × m (m is each Number of parameter steps) (n, m are two or more natural numbers that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 is a cloud-based software module for each device that is matched and stored in a cell of each parameter, Each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interlocked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e second to m user mobile smart device (500-2 to 500-m), the target device A smart device (not shown) may provide a software calibration procedure that minimizes the hardware characteristics.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전 등록된 타 IT 디바이스(PC)의 등록번호 또는 인증 ID를 선택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IT 디바이스로 영상이 전송되어, 예를 들어, 폰으로 이동 중에도 공부하던 학생의 경우 집에 도착하면서 책상 앞에 있는 TV로 온라인 강의 모드를 전환하여 끊김없이보다 큰 화면으로 온라인 강의 참여가 가능해 지고, 이종 사용 환경(폰, TV, PC 등 복수의 사용자 환경)의 사람이 복수로 온라인 강의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해 지도록 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a registration number or an authentication ID of another pre-registered IT device (PC) is selected, an imag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IT device. For example, a student who is studying while traveling to the phone is at home. Upon arrival, the online lecture mode can be switched to the TV in front of the desk, allowing users to participate in the online lecture on a larger screen without interruption, and multiple people in different environments (phone, TV, PC, etc.) participate in the online lecture in multiple numbers. To make it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영상 송수신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중계한다(S1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relays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user mobile smart devices through the network 300 (S11).

단계(S12) 이후,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영상 송수신 중계 중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의 변경 요청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한다(S12).After operation S12,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receives a change request from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o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during the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 ( S12).

단계(S12) 이후,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ID 저장모듈(421)에 의해 사전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존재하거나, ID 추가모듈(424)에 의해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동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하여 선택 요청 전송을 수행한다(S13).After the step S12,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has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pre-registered by the ID storage module 421 or is registered by the ID adding module 424. The user mobile smart device 200 is provided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o transmit a selection request (S13).

단계(S13) 이후,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선택 정보를 저장한 뒤,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의 입력 상태 및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출력 상태에 해당하는 통신 상태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다(S14).After the step S13,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receives the selection information, stores the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30, and then transfers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to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 commun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an input state and an output state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S14). ).

단계(S14) 이후,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입력 상태와 출력 상태를 이동시키는 시간 범위에 발생된 딜레이 구간을 삭제한 뒤,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g)를 구성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영상 송수신 중계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으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한다(S15).
After the step S14, the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deletes the delay period generated in the time range for moving the input state and the output state, and then the second to m-th user who configures the user mobile smart device 500g. At least one of th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mages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300 (S15).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200 :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
300 : 네트워크
400 : 영상 중계 제어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21 : ID 저장모듈
422 : 출력이동모듈
423 : 신호조절모듈
424 : ID 추가모듈
425 : 싱크조절모듈
425a : 사용자 관리 모듈
425a-1 : ID 인식 수단
425a-2 : UI 동기화 수단
425a-3 : 딜레이 유입 수단
425b : 넷 스튜디오 모듈
425b-1 : 딜레이 판단 수단
425b-2 : 데이터 선택 수단
425b-3 : 데이터 믹싱 수단
425c : SW/HW 복합 지원 모듈(425c)
430 : 데이터베이스
500g : 타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
500-2 내지 500-m :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100: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200: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300: network
400: video relay control server
410: transceiver
420: control unit
421: ID storage module
422 output move module
423: signal control module
424: ID addition module
425: sink control module
425a: user management module
425a-1: ID recognition means
425a-2: UI synchronization means
425a-3: delay inflow means
425b: Net Studio Module
425b-1: means for determining delay
425b-2: data selection means
425b-3: data mixing means
425c: SW / HW complex support module (425c)
430: Database
500g: Other mobile smart device set
500-2 to 500-m: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

Claims (7)

화상 회의 또는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한 화상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중계를 요청하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영상 중계 요청 대상이 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같은 인증 ID를 사용하며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가 운영하되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영상 화면 보다 대형의 영상 화면을 구현하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인증 ID를 대비하여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영상 중계 화면을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 를 포함하고,
기존 또는 추가된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싱크 조절, 또는 기존 또는 추가된 타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싱크 조절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싱크조절모듈(42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조절모듈(425)은 사용자 관리 모듈(425a), 및 넷 스튜디오 모듈(425b)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425a)은 ID 인식 수단(425a-1), UI 동기화 수단(425a-2), 및 딜레이 유입 수단(425a-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ID 인식 수단(425a-1)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액세스(access)를 수행하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인증 ID를 갖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영상 중계 대상이 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 검색을 통해 연동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고,
상기 UI 동기화 수단(425a-2)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대한 동일한 영상, 자막(수업 내용 또는 질의 내용)을 로딩하기 위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동된 각 시스템 장치로 싱크 개시 시간을 메타 데이터로 하여 동일한 영상, 자막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의한 동일한 영상, 자막에 따른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기준 데이터,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의한 제 1 동기화 데이터,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에 의한 제 2 동기화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딜레이 유입 수단(425a-3)은 넷 스튜디오 모듈(425b)에 의해 믹싱되는 데이터에 상호 연동된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하나에 의한 사전 딜레이 유입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으로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한 딜레이 유입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넷 스튜디오 모듈(425b)은 딜레이 판단 수단(425b-1), 데이터 선택 수단(425b-2), 및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을 포함하고,
상기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은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로부터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 제 1 동기화 데이터 또는 제 2 동기화 데이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한 상대적인 딜레이를 판단하여 딜레이 발생시 딜레이 시간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선택 수단(425b-2)은 딜레이 판단 수단(425b-1)에 의해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딜레이 시간에 대한 절대적 크기 정보 및 상대적 크기 정보를 활용하여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되는 기준 데이터,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수신되는 제 1 동기화 데이터, 음향 시스템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 2 동기화 데이터 각각에 대한 딜레이 시간만큼의 데이터 구간을 제거하며,
상기 데이터 믹싱 수단(425b-3)은 딜레이 발생이 없는 현재의 데이터만 취합하여 싱크를 맞춘 뒤, 싱크가 맞춰진 데이터만을 목적 대상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In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video conferencing or online lectures,
A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requesting video relay;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which are subject to a video relay request;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a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used, and the same user as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operated to implement a larger video screen than the video screen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re provided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n preparation for the authentication ID. An image relay control server 400 for converting and providing an image relay screen to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Including,
Sync control module 425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410 to perform the sync control for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or added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r the sync control for the existing or added other user smart mobile device ); More,
The sync adjustment module 425 includes a user management module 425a and a net studio module 425b.
The user management module 425a includes an ID recognizing means 425a-1, a UI synchronizing means 425a-2, and a delay inflow means 425a-3.
The ID recognizing means 425a-1 may include a first ID hav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a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performing access through the network 300.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search for the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which is the video relay target with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is performed. To contro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410 to perform the interworking,
The UI synchronizing means 425a-2 may include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a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 500-2 to 500-m interlocked with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10 to transmit the same image, subtitle information with the sync start time as metadata to each of the system devices linked through the network 300 to load the same image, subtitle (class content or query content) for the At the same time, the same image by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 (500-2 to 500-m), Reference data by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ubtitle, first synchronization data by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second to m-th user mobile Request to provide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by th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delay inflow means 425a-3 may include a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second to mth interworked with data mixed by the net studio module 425b. When receiving a pre-delay inflow request by one of the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the data mixing means (425b-3) provides the delay inflow information for the video or audio,
The net studio module 425b includes delay determination means 425b-1, data selection means 425b-2, and data mixing means 425b-3,
The delay determining unit 425b-1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to m 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Determine a relative delay with respect 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data, the first synchronization data, or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30, and measure the delay time when the delay occurs, and store the delay time together with the database 430.
The data selecting means 425b-2 is measured by the delay determining means 425b-1 and utilizes the absolute size information and the relative siz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delay time stored in the database 430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Removes data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delay time for each of the referenc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ata, the first synchronization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synchroniz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ound system device.
The data mixing means 425b-3 collects only current data without delay and adjusts the sync, and then transmits the synced data only through the network 300 to the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which is the target device.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unit 410.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영상 송수신을 네트워크(300) 상에서 중계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영상 송수신 중계 중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중 하나에 대한 변경 요청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출력이동모듈(4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lay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to m-th user mobile smart devices 500-2 to 500-m on the network 300. After controlling 410, a change request for one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s 200 consisting of n pieces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from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during a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ing process is performed. An output movement module 422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410 to receive through 300;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출력이동모듈(422)은,
ID 저장모듈(421)에 의해 사전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존재하거나, ID 추가모듈(424)에 의해 추가 등록된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인증 ID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뒤,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여 n개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에 따라 선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utput moving module 422,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pre-registered by the ID storage module 421 exists, or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dditionally registered by the ID adding module 424.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3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D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o the n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s ( And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410) to receive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lection request for one of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s.
청구항 3에 있어서, 출력이동모듈(422)은,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중계 입력 상태"를 제 1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영상 중계 입력을 전달받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영상 중계 출력 상태"를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put movement module 422,
Control the transceiver 410 to receive the "image relay input state" of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to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from the first user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In addition, the transceiver 410 is controlled to receive the "video relay output state" of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Video relay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청구항 4에 있어서,
신호조절모듈(423); 을 더 포함하며,
출력이동모듈(422)은, "영상 중계 입력 상태"와 "영상 출력 상태"에 해당하는 통신 상태를 신호조절모듈(423)로 제공하며,
신호조절모듈(423)은 타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500g)를 구성하는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 중 영상 송수신 중계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과,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영상 중계 데이터에 영상 중계 입력 상태와 영상 출력 상태를 이동시키는 시간 범위에 발생된 딜레이 구간을 조정한 뒤, 제 2 내지 제 m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500-2 내지 500-m)와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 간에 딜레이 구간이 조정된 영상 중계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Signal control module 423; More,
The output moving module 422 provides a commun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lay input state" and "image output state" to the signal control module 423,
The signal control module 423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video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 operations among the second to m-th user smart devices 500-2 to 500-m constituting the other user mobile smart device 500g, and the first user. The second to m-th user smart device 500-2 to 500-m after adjusting a delay period generated in a time range for moving the video relay input state and the image output state to the video relay data between the mobile smart devices 100.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0) to transmit / receive video relay data having a delay period adjusted between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and the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 중계 제어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 1 사용자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네트워크(300)를 통한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 추가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제 1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인증 ID를 식별항목으로 하여 추가 이종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하는 ID 추가모듈(4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ideo relay control server 4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410 to receive a request for adding a heterogeneous smart device through the network 300 of the user using the first user mobile smart device 100 or the first user heterogeneous smart device 200, the first user Video rel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D addition module 424 for generating a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of the additional heterogeneous smart device to register in the database 430 us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e identification item as the mobile smart device 100 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삭제delete
KR1020180020656A 2018-02-21 2018-02-21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KR102056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56A KR102056803B1 (en) 2018-02-21 2018-02-21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56A KR102056803B1 (en) 2018-02-21 2018-02-21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30A KR20190100730A (en) 2019-08-29
KR102056803B1 true KR102056803B1 (en) 2020-01-22

Family

ID=6777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656A KR102056803B1 (en) 2018-02-21 2018-02-21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80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911B1 (en) * 2010-01-05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to other devic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759935B1 (en) * 2010-08-19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witching video call device and video call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30A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8205B (en) Live broadcast room video stream synthesis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US92198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ceiving and playing multiview images, and rel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700244B1 (en) Flow-control based switched group video chat and real-time interactive broadcast
CN106210754B (en) Method, server, mobile terminal,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live video
KR1014801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video conference and broadband mobile hotspot device
CN111225230B (en)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network live broadcast data
US20160205344A1 (en) Video telephone device and video telephone processing method
CN104010158A (en) Mobile terminal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multi-party video call
CN101073050A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or, method fro operating the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displaying information on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US20140075039A1 (en) Networking method, server device, client device, and network system
CN108063820A (en) A kind of throwing screen synchronous method of cloud meeting
CN105472309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1354881A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US20040201667A1 (en) Videophone terminal, a videophone system, and a screen display setting method therefor
KR20060088758A (en) Method for ptt visible commun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fid reader and system therefor
US20080167057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JP200913558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ignal relay method
EP1662790A1 (en) Reception device
US201901323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CN113810761B (en) Multi-terminal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1866720A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102056803B1 (en)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deo relay
GB2486457A (en) System with two linked display devices
CN107786686B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multimedia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