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660B1 -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660B1
KR102056660B1 KR1020180101859A KR20180101859A KR102056660B1 KR 102056660 B1 KR102056660 B1 KR 102056660B1 KR 1020180101859 A KR1020180101859 A KR 1020180101859A KR 20180101859 A KR20180101859 A KR 20180101859A KR 102056660 B1 KR102056660 B1 KR 10205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anel
module
lens modu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미드
Priority to KR102018010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6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5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omprises: a lens module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light including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on a field of view of left and right sides of a user; a clip member to which the lens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and closely attaching the lens module (10) to the camera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topper member coupled to the clip member so as to be slidably moveable, and operating so that the lens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are positioned on the coaxial line when combin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while determining a posi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lip member and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의 영상을 포함하는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렌즈모듈을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보사 쉽고 간편하게 탈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3D 입체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함은 물론, 렌즈모듈의 고정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모듈과 휴대 단말기가 서로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 렌즈모듈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손실 없이 카메라 모듈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의 생성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lens module i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emitted including an ima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complemented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With easy and simple removal, 3D stereoscopic images can be taken by simple operation, as well as controll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lens module, and the lens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are kept horizontal to each other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ns module is lo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a high quality 3D stereoscopic image by being transmitted to a camera module withou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양안에 별도의 영상을 전달하기 위한 편광안경이나 셔터 기능이 있는 안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편광 안경에 맞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가 지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확산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셔터 기능이 있는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고 셔터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 장치가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단가가 비싸고 부피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watch a stereoscopic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 polarizing glasses or glasses having a shutter function for delivering a separate image to both eyes of the viewer should be provided. However, since the hardware of the mobile terminal must be supported in order to provide a video in accordance with polarized glasses, it is not easy to spread. In addition, even when using glasses with a shutter function, a separate power supply is required and a separate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hutter is required, which is difficult to apply to a portable terminal in that the unit price is expensive and the volume is increased.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4900호에는, 한 쌍의 볼록렌즈가 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축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상기 렌즈부 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거리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유지부는 상기 렌즈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렌즈부의 양 측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전면 노출되는 최대이격위치에서 상기 렌즈부의 양 끝단을 중심으로 축 회동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가 게재된 바 있다.Thu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44900, the lens unit is disposed a pair of convex lenses; And a distance maintaining part coupled to the lens part so as to be axially rotatable and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lens part, wherein the distance maintaining part reciprocates along both sides of the lens part to open and close the lens part. There has been published a stereoscopic image viewer for a mobile terminal which is slidable and pivotally rotates around both ends of the lens unit at the maximum distance from which the lens unit is fully exposed.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의 경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이미지를 3D로 확인이 가능하기만 할 뿐, 휴대 단말기에 구성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이미지 정보를 3D 입체 이미지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document, it is only possible to check the video image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3D, and it is not possible to implement image information that is taken through the camera module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a 3D stereoscopic image. There is this.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를 휴대 단말기의 후방에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초점계와 동축선상에 위치시키기 어려워 3D 입체 이미지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tereoscopic image viewer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be positioned on the coaxial line with the focusing system of the camera module, so that the quality of the 3D stereoscopic image is remarkably degra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490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44900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좌/우측의 영상을 포함하는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렌즈모듈을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보사 쉽고 간편하게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by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nd it is easy to see a lens module i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emitted including an ima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o be easily detached.

또한, 본 발명은 렌즈모듈의 고정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모듈과 휴대 단말기가 서로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 렌즈모듈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손실 없이 카메라 모듈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xed position of the lens module, the lens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each other to be transmitted to the camera module without loss of the emitted light emitted from the lens module, thereby generating a high-quality 3D stereoscopic ima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is.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과, 상기 광의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 반사부재를 무초점 광학계로 설계하면서 렌즈의 배율 조절을 통해 화각의 다양한 조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and the light reflecting member for the refraction of the light with an out of focus optical system to achieve a variety of adjustment of the angle of view through the magnification of the le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3D stereoscopic image.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means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is of course included.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왼쪽 및 오른쪽의 시야에 대한 각각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렌즈모듈(10)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에 밀착시키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 단말기와 결합시 상기 렌즈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클립부재 간의 위치 결정 및 수평 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ens module is made of the incident and emitted light including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s field of view; A clip member to which the lens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and closely attaching the lens module 10 to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ens member and the camera module are coupled to the clip member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e lens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are positioned on the coaxial line when combin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광의 입사가 이루어지도록 좌 입사렌즈 및 우 입사렌즈로 구성된 제1렌즈군과, 상기 제1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을 반사하는 광 반사부재와, 상기 광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카메라 모듈로 출사하는 제2렌즈군과, 상기 제1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에 대한 화각을 조절하는 조절렌즈을 포함하는 렌즈부재; 상기 렌즈부재가 장착되어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하우징이 내장되며, 상기 클립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group including a left incident lens and a right incident lens so that the light is incident, and a light reflecting member reflecting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ens group. And a lens member including a second lens group for emit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reflecting member to the camera module, and an adjusting lens for adjusting an angle of view for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ens group; A lens housing to which the lens member is mounted and supports light incident and emitted; And a main body part in which the lens housing is embedd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lip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렌즈모듈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모듈 고정패널과, 상기 모듈 고정패널의 일측으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탄성력을 상기 모듈 고정패널로 전달하는 탄성 지지패널과, 상기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탄성리브가 구성된 탄성패널과, 상기 탄성패널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패널과, 상기 클립부재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접촉면을 가압하여 상기 클립부재와 휴대 단말기 간의 위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가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member, the module fixing panel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in close contact, and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to one side of the module fixing panel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 elastic panel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panel for transmitt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dule fixing panel, an elastic rib for improving the elastic force, an operation panel extending below the elastic panel, and controlling a sliding operation of the stopper member; And a pressing panel for press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lip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improve the position fixing force between the clip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패널은 전,후 방향, 또는 일측 및 타측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 지지패널은 상,하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nel is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the front, rear, or one side and the other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the up, down directio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패널은, 중앙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랙 하우징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작동홀과, 양측 내면으로 상기 랙 하우징이 선택적으로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 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anel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 operation hole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is inserted into the rack housing, and the rack housing is selectively bite coupled to both inner surface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xed rack gear m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클립부재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접촉을 이루면서 클립부재의 고정 위치 및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 하우징에 결합되어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와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opper member is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and the clip member, the stopper housing for maintaining a fixed position and a horizontal state of the clip member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stopper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ng member for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with the clip member by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하우징은, 상기 작동패널이 삽입되고, 상기 작동패널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을 지지하는 작동 가이드부와, 상기 클립부재와 휴대 단말기의 결합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밀착을 이루도록 위치 고정수단이 구성되는 위치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opper housing, the operating panel is inserted, the sliding portion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is mad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ng panel, and config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portion, the operating member Operation guide portion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fixing hole that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configured to make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clip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작동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작동 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작동 본체부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작동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패널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 랙기어와 선택적으로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이동 랙기어가 형성된 랙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operating member, a pair of operating body portion coupled to the sliding guide and the operation guide portion; An elastic body embedded in the pair of operation body parts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operation body part; And a rack hous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main body, the rack housing having a movable rack gear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xed rack gea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ration pane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측의 영상을 포함하는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렌즈모듈을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보사 쉽고 간편하게 탈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3D 입체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module that is made to enter and exit the light including the image of the left / right side to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PC, easy and simple detachment is made 3D with simpl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ot a three-dimensional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모듈의 고정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모듈과 휴대 단말기가 서로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 렌즈모듈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손실 없이 카메라 모듈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의 생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lens module, the lens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each other to be transmitted to the camera module without lo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ns module, 3D stereoscopic image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과, 상기 광의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 반사부재를 무초점 광학계로 설계하면서 렌즈의 배율 조절을 통해 화각의 다양한 조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and the light reflecting member for the refraction of the light is designed with an out of focus optical system while the various angles of view through the magnification of the lens is achiev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quality 3D stereoscopic images.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it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의 렌즈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의 클립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스토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에 렌즈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를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 lens module of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ip device of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member of the c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ns module is mounted on a cli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element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의 렌즈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에 렌즈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를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ens module in the cli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unted state, and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는 렌즈부재(100), 렌즈 하우징(200) 및 렌즈 본체부(300)를 포함하는 렌즈모듈(10)과, 클립부재(400) 및 스토퍼 부재(500)를 포함하는 클립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module 10 including a lens member 100, a lens housing 200, and a lens body part 300, and a clip member ( It comprises a clip device 20 including a 400 and a stopper member (500).

렌즈부재(100)는 복수의 오목렌즈로 이루어지는 제1렌즈군(110)과, 상기 제1렌즈군(110)을 투과한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광 반사부재(120)와, 상기 광 반사부재(12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출사하는 제2렌즈군(130)와, 상기 광 반사부재(120)의 내부에 구성되어 렌즈부재(100)의 화각 및 배율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조절렌즈(140)로 구성된다.The lens member 100 includes a first lens group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 plurality of light reflecting members 120 reflecting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lens group 110, and the light reflecting member. The second lens group 130 for emit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120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side of the light reflecting member 12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view and magnification of the lens member 100 Consists of the adjusting lens 140 is configured.

여기서, 제1렌즈군(110)은 사용자의 왼쪽 및 오른쪽의 시야에 대한 각각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광의 입사가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왼쪽 시야에 대한 광의 입사가 이루어지는 좌 입사렌즈(112)와, 오른쪽 시야에 대한 광의 입사가 이루어지는 우 입사렌즈(114)로 구성된다. Here, the first lens group 11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light including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s field of view is made, the left incident lens 112 in which light is incident on the left field of view, It consists of a right incident lens 114 in which light is incident on the right field of view.

또한, 광 반사부재(120)는 제1렌즈군(110)의 하부에 일정 각도 만큼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1렌즈군(110)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제2렌즈군(130)으로 전달하고, 제1렌즈군(110)과 제2렌즈군(130) 간의 배율을 조정하여 상기 입사광에 대한 화각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4광 반사부재(122, 124, 126, 128)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광 반사부재(122, 124)와 제3 및 제4광 반사부재(126, 128)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light reflection member 120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ens group 110 to reflect the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ens group 110 to transmit to the second lens group 130. And adjusting the magnification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110 and the second lens group 130 to adjust the angle of view for the incident light. The first to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124, 126,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4 and the thir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6 and 128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는 각각 제1렌즈군(110)의 좌 입사렌즈(112) 및 우 입사렌즈(114)를 통해 입사된 좌측 입사광 및 우측 입사광을 굴절시켜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는 전달된 좌측 입사광을 제2렌즈군(130)으로 전달한다.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refract the left incident light and the right incident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ft incident lens 112 and the right incident lens 114 of the first lens group 110, respectively.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and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transmit the left incident light to the second lens group 130.

제2렌즈군(130)은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렌즈군(110)과 함께 무초점 광학계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광 반사부재(120)로부터 전달된 좌측 및 우측 입사광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로 출사하여 3D 입체 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좌 출사렌즈(132) 및 우 출사렌즈(134)로 구성된다.The second lens group 130 is formed of a convex lens, and is configured to form a focal point-free optical system together with the first lens group 110, and transmits left and right incident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reflecting member 120 to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The left exit lens 132 and the right exit lens 134 are configured to emit 3D stereoscopic images by outputting the module.

조절렌즈(140)는 제1렌즈군(110)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에 대한 화각을 20°~180°범위로 조절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광 반사부재(122, 124)와 제3 및 제4광 반사부재(126, 128)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렌즈부재(100)의 화각 및 배율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adjusting lens 140 adjusts an angle of view for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ens group 110 in a range of 20 ° to 180 °, and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4 and the third and third lenses. Each of the four light reflecting members 126 and 128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view and magnification of the lens member 100.

이러한 조절렌즈(140)는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와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 중 어느 광 반사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는지에 따라 렌즈부재(100)의 화각 및 배율의 조절이 가능하고, 화각의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광 반사부재(120)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는 결국 렌즈부재(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형 카메라 모듈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The adjusting lens 140 may be formed of a lens member (depending on which of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and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light reflec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view and magnification of 100, free design of the angle of view, as well as to reduce the distance of the light reflecting member 120, which in turn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lens member 100 It will be possible to connect with a small camera modul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렌즈부재(100)에는 광 반사부재(120)의 내면으로 고굴절 프리즘(150)을 더 구성함으로써, 제1렌즈군(110)에 의해 입사된 입사광의 반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광의 이동 과정 중에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함에 따라 보다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ens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maximizes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incident light incident by the first lens group 110 by further configuring a high refractive prism 15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ng member 120. Minimizing the light loss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incident and exiting light may provide a higher quality 3D stereoscopic image.

특히, 본 발명의 렌즈부재(100)는 제1렌즈군(110), 광 반사부재(120), 조절렌즈(140) 및 제2렌즈군(130)으로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렌즈군(110)과 제2렌즈군(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어 3D 입체 이미지 광학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lens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by the first lens group 110, the light reflecting member 120, the adjustmen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group 130, the first lens group The distance between the 110 and the second lens group 130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r, thereby minimizing the size of the 3D stereoscopic image optical device.

즉, 종래 기술에 따른 3D 입체 이미지 광학장치의 경우,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반사경 만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렌즈들 간의 거리로 인해 전체 모듈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제1 및 제2렌즈군(110, 13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모듈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3D stereoscopic imag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ly the reflector is arranged between the lens and the lens so that the size of the entire module is inevitably increas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i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emitte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ns groups 110 and 130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minimize the overall size of the module.

한편, 본 발명의 렌즈모듈(10)을 이루는 렌즈 하우징(200)은 상기 렌즈부재(100)가 장착되어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렌즈군(110)이 장착되는 입사 지지부(210)와, 렌즈 하우징(200)에 광 반사부재(12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채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반사 지지부(220)와, 광 반사부재(120)의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를 렌즈 하우징(200)에 결합하는 제2반사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ns housing 200 constituting the lens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lens member 100 is mounted so that the incident and output of light is made, the first lens group 110 is mounted The first reflection support part 220 and the second reflection part of the light reflection member 12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incident support part 210, the light reflection member 120 is coupled to the lens housing 20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reflection support part 230 coupling the fourth light reflection members 124 and 128 to the lens housing 200.

입사 지지부(210)에는 제1렌즈군(110)의 장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렌즈군(110)을 투과하는 입사광이 광 반사부재(120)측으로 전달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입사광 투과홀(216)이 형성된다. The first lens group 110 is mounted on the incident support 210, and the incident light transmitting hole 216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cident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group 110 to the light reflecting member 120. Is formed.

또한, 제1반사 지지부(220)는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의 상부면에 대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상부 반사 고정돌기(222)와,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의 후방부에 밀착 구성되어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의 경사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중앙 반사 지지돌기(224)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reflection support 220 may include an upper reflection fixing protrusion 222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fixing force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and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units. I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members (122, 126) is composed of a central reflective support projection 224 to maintain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126).

또한, 제2반사 지지부(230)는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 각각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일정 각도 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부 받침판(232)과, 상기 하부 받침판(232)에 관통 형성되어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제2렌즈군(130)으로 전달하는 반사광 투과홀(236)과, 상기 하부 받침판(232)에 밀착된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부 받침판(232)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부 고정플랜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reflection support 230 may include a lower support plate 232 and a lower support plate 232 to maintain the inclined s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A reflective light transmitting hole 236 formed through the 232 to transmi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to the second lens group 130 and the lower support plate 232. And an upper fixing flange 234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to be fixed to the lower support plate 232.

아울러, 본 발명의 제2반사 지지부(230)는 하부 받침판(232)의 하측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작동시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 및 제4광 반사부재(124, 128)에 대한 기울기를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랜지(238)가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ront support portion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plate 232,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128 at the same tim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is rotated at the same angle By performing the operation, the lower support flange 238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and fourth light reflecting members 124 and 128 at the same angle at the same time.

아울러, 본 발명의 렌즈모듈(10)을 이루는 렌즈 본체부(300)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이 장착되는 한편, 클립장치(20)에 의해 상기 렌즈모듈(10)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되어 렌즈부재(10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로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ens main body 300 constituting the lens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housing 200 is mounted, while the lens module 10 and the camera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clip device 20 Connected to be located on the coaxial line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lens member 100 to the camera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러한 렌즈 본체부(300)는 상부 본체부(310), 하부 본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ens main body 300 includes an upper main body 310 and a lower main body 320.

상부 본체부(310)는 상기 제1렌즈군(110)의 원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부면을 고정하여 렌즈 하우징(200)의 입사 지지부(210)와 함께 제1렌즈군(11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외부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광이 제1렌즈군(110)으로 입사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광 투과홀(316)이 형성된다. The upper main body 310 fixes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ens group 110 to fix the first lens group 110 together with the incident support 210 of the lens housing 200. The light transmitting hole 316 is formed to penetrate the light including external image information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ens group 110.

이때, 광 투과홀(316)에는 상기 제1렌즈군(110)으로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즈커버(3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transmission hole 316 may further include a lens cover 350 that prevents the first lens group 110 from being contaminated by an external foreign matter or damaged from an external impact.

하부 본체부(320)는 내부에 렌즈 하우징(200)이 장착되고, 렌즈모듈(10)을 클립부재(400)에 결합하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과 렌즈모듈에 구성된 제2렌즈군(130)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의 하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반사 고정돌기(324)가 형성된다. The lower main body 320 has a lens housing 200 mounted therein, and the second lens group 130 configured in the camera module and the lens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by coupling the lens module 10 to the clip member 400. Positioned on the coaxial line,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are inserted and fixed so as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constant. The lower reflective fixing protrusion 324 is formed.

또한, 상기 하부 반사 고정돌기(324)의 일측으로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와 조절렌즈(140)가 모두 하부 본체부(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광 반사부재(122, 126)와 조절렌즈(140)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렌즈 고정블럭(3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and the adjustment lens 140 are stably fixed to the lower main body 300 toward one side of the lower reflective fixing protrusion 324. A lens fixing block 34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ight reflecting members 122 and 126 and the adjustment lens 140.

또한, 하부 본체부(320)에는 후술할 클립부재(400)의 모듈 고정패널(4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부(32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main body 32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325 to whic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s fasten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fixing panel 410 of the clip memb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이때, 체결부(325)는 그 상단부가 제1반사 지지부(220)의 중앙측 후방부가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0)과 하부 본체부(32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part 32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seated at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side of the first reflection support part 220 so that a close coupling between the lens housing 200 and the lower main body part 320 may be achieved. will be.

한편, 하부 본체부(320)에는 내부에 렌즈 하우징(200)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부 중앙으로 제2렌즈군(130)이 구성되도록 출사 지지부(33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main body 320 is fixed to the lens housing 200 therein, the emission support 330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lens group 130 is configur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출사 지지부(330)는 하부 본체부(320)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고 제2렌즈군(130)이 장착되어 광 반사부재(120)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의 출사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고, 본 발명의 3D 입체 이미지 광학장치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에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렌즈군(130)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광이 동시에 카메라 모듈로 출사되도록 하는 출사 투광부(336)가 형성된다. The emission support part 3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main body part 320, and the second lens group 130 is mounted to support the emiss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reflection member 120. A light emitting unit 336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3D stereoscopic image optical device to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 emitting unit 336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lens group 130 to the camera module. Is formed.

또한, 출사 지지부(330)는 클립장치(20)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카메라 모듈에 구성되는 둘레면에 밀착되며, 상기 출사 투광부(336)와 카메라 모듈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출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는 모듈 밀착부(338)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support 330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clip device 2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so that the output light emitting unit 336 and the camera module are located on the coaxial line. At the same time, the module contact portion 338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event the loss of light emitted.

클립장치(20)는 상기 렌즈모듈(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모듈(10)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에 위치시키는 클립부재(400)와, 상기 클립부재(400)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 단말기와 결합시 상기 렌즈모듈(10)의 제2렌즈군(130)과 카메라 모듈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작동하는 스토퍼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lip device 20 is the lens module 10 is detachably coupled, the clip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to position the lens module 10 in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lip member ( 400 and a stopper member 500 coupled to the sliding terminal and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second lens group 130 of the lens module 10 and the camera module operative to be positioned on a coaxial line. .

클립부재(4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모듈(10)이 결합되는 모듈 고정패널(410)과, 상기 모듈 고정패널(410)의 일측으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패널(420)과, 상기 탄성패널(42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스토퍼 부재(500)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패널(430) 및 클립장치(20)가 휴대 단말기에 고정될 때,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접촉면을 가압하여 클립장치(20)와 휴대 단말기 간의 위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가압패널(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4 to 7, the clip member 400 includes a module fixing panel 410 to which the lens module 10 is coupled, and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to one side of the module fixing panel 410. An elastic panel 420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an operation panel 430 and a clip device 20 which are formed below the elastic panel 420 and control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topper member 500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fixed, it comprises a pressing panel 440 to pres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improve the position fixing force between the clip device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모듈 고정패널(410)은 렌즈모듈(10)의 하부 본체부(320)에 구성된 체결부(325)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모듈 체결공(412)이 형성된다. The module fixing panel 410 is provided with a module fastening hole 412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part 325 formed in the lower main body 320 of the lens module 10.

이때, 모듈 체결공(412)에는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module fastening hole 412 may be formed with a screw threa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모듈 고정패널(410)은 그 상부면이 평평한 판으로 구성되어 렌즈모듈(10)의 하부 본체부(320)가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하부면이 완전 밀착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에 클립장치(20)를 결합할 때 렌즈모듈(10)의 위치가 임의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dule fixing panel 410 is composed of a flat plate of the upper surface when the lower body portion 320 of the lens module 10 is coupled,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so as to make a complete contact with the clip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combining the 20 will be abl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lens module 10 is changed randomly.

탄성패널(420)은 모듈 고정패널(410)의 일측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와 결합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을 모듈 고정패널(410)측으로 제공하여 상기 모듈 고정패널(410)이 카메라 모듈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일면에 완전히 밀착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을 발생시켜 클립장치(20)와 휴대 단말기 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elastic panel 42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module fixing panel 410, and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and when coupled with the mobile terminal,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the module fixing panel 410 to provide the module. The fixed panel 410 is a component that makes a tight contact between the clip device 20 and the mobile terminal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by the elastic force while at the same tim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a camera module is configured.

이러한 탄성패널(420)은 그 상단부에 상기 모듈 고정패널(410)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고정패널(410)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탄성패널(420)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모듈 고정패널(410)로 전달하는 탄성 지지패널(422)이 더 구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panel 420 is connected to the module fixing panel 410 at an upper end thereof,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dule fixing panel 410, the elastic force generated in the elastic panel 420 is fixed to the module fixing panel 410. The elastic support panel 422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transfer to.

이때, 상기 탄성패널(420)과 탄성 지지패널(422)은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패널(420)은 전,후 방향, 또는 일측 및 타측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탄성 지지패널(422)은 상,하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astic panel 420 and the elastic support panel 422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elastic modulus, the elastic panel 420 provides an elastic force for the front, rear, or one side and the other direction. And, the elastic support panel 422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the up, down direction.

이와 같은 탄성패널(420)에는 상기 모듈 고정패널(410)측으로 제공하는 탄성력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내측 중앙부에 탄성리브(45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lastic panel 4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or more elastic ribs 4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n inner central portion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provided to the module fixing panel 410.

또한, 본 발명의 탄성패널(420)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수단으로는 작동패널(430) 및 스토퍼 부재(500)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elastic panel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the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liding of the operation panel 430 and the stopper member 500. The movement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길이 조절수단은, 탄성패널(320)을 상,하 분할되게 구성하고, 상부에 구성된 탄성패널(320)에 후술할 이동 랙기어(564)를 구성하고, 하부에 구성되는 탄성패널(320)에는 상기 이동 랙기어(564)와 이물림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 랙기어(434)가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length adjusting means, the elastic panel 320 is configured to be divided up and down, the elastic panel 320 config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rack gear 564 to be described later, the elastic panel 320 is configured at the bottom The fixed rack gear 434 which is coupled to the movable rack gear 564 in a two-membered manner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in length by an external force.

작동패널(430)은 탄성패널(3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스토퍼 부재(500)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The operating panel 43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anel 320 but is bent vertically, and the stopper member 500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coupled,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topper member 500 is performed. It plays a role of limiting.

이러한 작동패널(430)은 후술할 랙 하우징(56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작동홀(432)이 형성된다. The operation panel 430 is formed with the operation hole 432 is inserted into the rack housing 56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is made.

작동홀(432)은 작동패널(430)의 중앙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 내면으로 상기 랙 하우징(560)이 선택적으로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 랙기어(434)가 형성된다. The operation hole 432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430, and a fixed rack gear 43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ack housing 560 selectively engaging the coupling.

즉, 상기 랙 하우징(560)에 구성된 이동 랙기어(564)가 상기 고정 랙기어(434)에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인 경우, 스토퍼 부재(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하고, 이물림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만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ovable rack gear 564 configured in the rack housing 560 is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xed rack gear 434,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topper member 500 is blocked, and the engagement is The sliding movement is made only in the released state.

아울러, 상기 작동패널(430)의 타측 끝단부에는 클립장치(20)가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클립장치(20)의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가압패널(44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panel 430, when the clip device 20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pressing panel 440 is form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to maximize the clamping force of the clip device 20. do.

가압패널(440)은 작동패널(430)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되며, 클립장치(20)의 결합시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하는 가압 지지패널(444)과, 상기 가압 지지패널(444)의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호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의 접점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방부와 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가압 지지패널(444)을 통해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측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442)로 구성된다. The pressing panel 440 is formed upwardly bent from the operating panel 430, the pressing support panel 444 and the end portion of the pressing support panel 444 and the pressing support panel 444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when the clip device 20 is coupled to The pressing unit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rc,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arc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through the pressing support panel 444 ( 442).

이때, 상기 가압부(442)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접촉을 이룰 때, 상기 가압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PE, 또는 우레탄 재질의 시트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contact portion 442 may further comprise a sheet member made of PE or urethan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damaged by the pressing force when making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즉, 본 발명은 탄성패널(420) 및 모듈 고정패널(410)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후방부에 소정의 가압력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압패널(440)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부에 대한 고정력이 발생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후방부 모두와 상기 가압력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nel 420 and the module fixing panel 410 are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and the front pane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essed by the pressing panel 440. Fixing force is generated to be fixed by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ressing force.

스토퍼 부재(500)는 작동패널(43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랙기어(434)와의 이물림 결합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휴대 단말기와 클립장치(20) 간의 위치 결정 및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topper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operation panel 430 so as to be slidable,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fixed rack gear 434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lip device 20. And to maintain the crystallization and leveling.

이러한 스토퍼 부재(500)는 상기 작동패널(430)에 결합되어 이 작동패널(43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며,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접촉을 이루면서 클립장치(20)의 고정 위치 및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 하우징(502)과, 상기 스토퍼 하우징(502)에 결합되어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 랙기어(434)와의 이물림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작동부재(5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opper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operation panel 430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430, and to mak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ixed position and the horizontal of the clip device 20. A stopper housing 502 for maintaining a state, and an actuating member 504 coupled to the stopper housing 502 to control a engagement state with the fixed rack gear 434 by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

스토퍼 하우징(502)은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작동패널(430)이 삽입 및 관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스토퍼 부재(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부(510)와, 상기 슬라이딩부(510)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504)의 작동을 지지하는 작동 가이드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opper housing 502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 operation panel 430 is configured to insert and penetrate the sliding portion 510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topper member 500, and the sliding portion 510 Is configured on the top of, and comprises an operation guide portion 520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504.

슬라이딩부(510)는 내면이 작동패널(430)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패널(43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홀(51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510)의 하측 선단부에는 슬라이딩홀(51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패널(430)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한편, 슬라이딩부(510)와 작동패널(43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가이드 돌기(514)로 구성된다. Sliding part 510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430 is formed with a sliding hole 512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430, the sliding portion 510 The lower front end of the)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of the sliding hole 512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panel 430 to support the sliding movement, while the sliding unit 510 and the operating panel 430 mutually It is composed of a moving guide protrusion 514 to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작동 가이드부(520)는 슬라이딩부(510)의 상부를 이루며, 상기 슬라이딩홀(512)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작동부재(504)의 작동 본체부(540)가 삽입되는 가이드공(524)과, 상기 가이드공(524)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 본체부(540)가 가이드공(52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5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guide part 520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part 510, and is formed through the sliding hole 51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ration body part 540 of the operation member 504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hole 524 and the release prevention jaw 522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hole 524 to prevent the operation body portion 5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524.

여기서, 가이드공(524)은 후방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 본체부(54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guide hole 524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the rear portion is open, it is configured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ration body portion 540.

또한, 이탈 방지턱(522)은 상기 작동 본체부(5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공(52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공(524)의 개방된 면의 상,하부에 각각 복수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lease prevention jaw 522 support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ration body 54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departure from the guide hole 524 by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the guide hole 524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pen surface of each.

아룰러, 본 발명의 작동 가이드부(520)에는 작동 본체부(540)의 슬라이딩 이동을 범위를 제한하도록 작동 본체부(540)의 스톱블럭(544)이 삽입되는 제어홀(5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홀(526)의 내벽면과 상기 스톱블럭(544)이 접촉시에 작동 본체부(54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peration guide part 5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ntrol hole 526 into which the stop block 544 of the operation body part 540 is inserted to limi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ration body part 540. . That is, wh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rol hole 526 and the stop block 544 contac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ration main body 540 is limited.

이와 같은 스토퍼 하우징(502)에는 클립장치(20)가 휴대 단말기에 결합될 때,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밀착을 이루도록 위치 고정수단이 구성되는 위치 고정홀(530)이 형성된다. In this stopper housing 502, when the clip device 20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fixing hole 530 is formed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위치 고정홀(530)은 스토퍼 하우징(502)의 전방부에 구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되, 이격되는 폭은 휴대 단말기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Here, the position fixing hole 530 is configur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topper housing 502,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width is spaced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때, 위치 고정수단은 위치 고정홀(503)에 수직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토퍼 하우징(502)과 휴대 단말기와의 접촉을 이룰 때 상기 위치 고정수단 역시 휴대 단말기와 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스토퍼 하우징(502)과 휴대 단말기 간의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osition fixing hole 503. This is to ensure a clos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housing 502 and the portable terminal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topper housing 502 makes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하우징(502)이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밀착을 이룰 때, 상기 위치 고정홀(530)의 상,하 폭 사이의 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치 고정홀(530)에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위치 고정수단이 휴대 단말기의 전,후방부 면과 모두 밀착되면, 상기 상기 위치 고정홀(530)의 상,하 폭 사이의 면과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stopper housing 50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make contact with the surface between the upper, lower width of the position fixing hole 530, the position When the rubber position fixing means coupled to the fixing hole 53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osition fixing hole 53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will be able to maintain a close state.

또한, 상기 스토퍼 하우징(502)과 휴대 단말기 간의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500)와 휴대 단말기 간의 수평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클립부재(400)의 모듈 고정패널(410)에 의해 수직하게 결합된 상태의 렌즈모듈(10) 역시 휴대 단말기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complete clos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housing 502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a horizontal state between the stopper member 500 and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vertical by the module fixing panel 410 of the clip member 400 The lens module 10 in a coupled state is also able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이에 따라 렌즈모듈(10)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는 제2렌즈군(130)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3D 입체 이미지의 촬영시 보다 고품질의 3D 입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group 130 and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are positioned on the coaxial line of the lens module 10 can be kept constant at all times, so that higher quality 3D stereoscopic images can be obtained when capturing 3D stereoscopic images. Will be available.

작동부재(504)는 작동 가이드부(520)와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 랙기어(434)와의 이물림 결합 상태 유지 및 이물림 결합 상태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actuating member 504 is configured to be slid by the actuating guide 520 and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and maintains the bite engagement state with the fixed rack gear 434 and the bite engagement state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Configured to be released.

이러한 작동부재(504)는 상기 작동 가이드부(520)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 본체부(540)와, 상기 한 쌍의 작동 본체부(540)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작동 본체부(540)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550) 및 상기 작동 본체부(54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패널(430)의 작동홀(432)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 랙기어(434)와 선택적으로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랙 하우징(5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ctuating member 504 is built in a pair of actuating main body 540 and the pair of actuating main body 540 coupled with the actuating guide 520 to make sliding movement. The fixed rack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body 550 and the operating body 540 to provide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operating body 540, and is accommodated in the operating hole 432 of the operating panel 430. And a rack housing 560 in which the gear 434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gear 434.

작동 본체부(5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550)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탄성체(550)를 압축시키면서 랙 하우징(560)이 고정 랙기어(434)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The operation body 540 is composed of a pair,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the elastic body 550, the rack housing 560 is fixed rack gear 434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 body 550 on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이러한 작동 본체부(540)는 상기 탄성체(550)가 수용되는 수용홈(542)이 형성되고, 상단부로 상기 제어홀(526)에 삽입되는 스톱블럭(544)이 구성된다. The operation body 540 has a receiving groove 542 in which the elastic body 550 is accommodated, and a stop block 544 inserted into the control hole 526 as an upper end thereof.

랙 하우징(560)은 작동 본체부(540)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작동패널(430)의 작동홀(432)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랙기어(434)와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동 랙기어(564)가 구성되어 상기 작동 본체부(54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고정 랙기어(434)와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e rack housing 560 is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body 54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hole 432 of the operation panel 430, and the movable rack gear in which the fixed rack gear 434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564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xed rack gear 43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ody 540 is configured.

즉, 상기 작동 본체부(54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550)가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 랙기어(434)와 이동 랙기어(564)가 서로 분리되고, 스토퍼 부재(500)가 작동패널(4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완전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밀착이 이루어지면 상기 작동 본체부(540)로 가해지는 외력을 중단하여 상기 탄성체(5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작동 본체부(540)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 랙기어(434)와 이동 랙기어(564)가 서로 이물림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모듈(10)의 제2렌즈군(130)과 카메라 모듈의 위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body 540, the fixed rack gear 434 and the movable rack gear 56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elastic body 550 is compressed, and the stopper member 500 is operated on the panel. Sliding movement is made along the (430) to enable full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clos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to stop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ody portion 540 to the elastic body 550 The fixed rack gear 434 and the movable rack gear 564 are fixed by the mutual engagement coupl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54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the position state of the second lens group 130 and the camera module of the lens module 10 is kept constant.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과 렌즈모듈(1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상기 스토퍼 부재(500)의 위치는 최초 휴대 단말기와 밀착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는 결국, 한번의 위치 정렬 과정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재차 렌즈모듈(10)과 카메라 모듈 간의 위치 상태에 대한 정렬을 할 필요 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5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even after the alignment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lens module 10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fter the position alignment process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use the fixed state again without having to align the position state between the lens module 10 and the camera module again.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o be understood generally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Has the same meaning as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렌즈모듈 20: 클립장치
100; 렌즈부재 110: 제1렌즈군
120: 광 반사부재 130: 제2렌즈군
140: 조절렌즈 150: 고굴절 프리즘
200: 렌즈 하우징 210: 입사 지지부
220: 제1반사 지지부 230: 제2반사 지지부
300: 본체부 310: 상부 본체부
320: 하부 본체부 330: 출사 지지부
340: 렌즈 고정블럭 350: 렌즈커버
400: 클립부재 410: 모듈 고정패널
420: 탄성패널 430: 작동패널
440: 가압패널 450: 탄성리브
500: 스토퍼 부재 502: 스토퍼 하우징
504: 작동부재 510: 슬라이딩부
520: 작동 가이드부 530: 위치 고정홀
540: 작동 본체부 550; 탄성체
560: 랙 하우징
10: lens module 20: clip device
100; Lens member 110: first lens group
120: light reflection member 130: second lens group
140: adjusting lens 150: high refractive prism
200: lens housing 210: incident support
220: first reflection support 230: second reflection support
300: main body 310: upper main body
320: lower main body 330: exit support
340: lens fixing block 350: lens cover
400: clip member 410: module fixing panel
420: elastic panel 430: operating panel
440: pressure panel 450: elastic rib
500: stopper member 502: stopper housing
504: operating member 510: sliding part
520: operation guide portion 530: position fixing hole
540: operating body 550; Elastomer
560: rack housing

Claims (8)

사용자의 왼쪽 및 오른쪽의 시야에 대한 각각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렌즈모듈(10)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에 밀착시키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 단말기와 결합시 상기 렌즈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클립부재 간의 위치 결정 및 수평 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렌즈모듈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모듈 고정패널과,
상기 모듈 고정패널의 일측으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탄성력을 상기 모듈 고정패널로 전달하는 탄성 지지패널과, 상기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탄성리브가 구성된 탄성패널과,
상기 탄성패널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패널과,
상기 클립부재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접촉면을 가압하여 상기 클립부재와 휴대 단말기 간의 위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가압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A lens module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light including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on the left and right views of the user;
A clip member to which the lens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and closely attaching the lens module 10 to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lip member is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so that the lens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is located on the coaxial line when coupl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itioning and maintenance of the horizontal stat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lip member A stopper member;
The clip member,
A module fixing panel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in close contact;
An elastic panel formed downwardly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odule fixing panel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 elastic supporting panel transferring the elastic force to the module fixing panel, and an elastic rib configured to improve the elastic force;
An operation panel extending below the elastic panel and controlling a sliding operation of the stopper member;
Pressing panel to pres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lip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improve the position fixing force between the clip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광의 입사가 이루어지도록 좌 입사렌즈 및 우 입사렌즈로 구성된 제1렌즈군과, 상기 제1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을 반사하는 광 반사부재와, 상기 광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카메라 모듈로 출사하는 제2렌즈군과, 상기 제1렌즈군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에 대한 화각을 조절하는 조절렌즈을 포함하는 렌즈부재;
상기 렌즈부재가 장착되어 광의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하우징이 내장되며, 상기 클립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s module,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group including a left incident lens and a right incident lens, a light reflecting member reflecting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ens group,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reflecting member so that the light is incident. A lens member including a second lens group exiting the control lens and an adjustment lens for adjusting an angle of view for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ens group;
A lens housing to which the lens member is mounted and supports light incident and emitted; And
A main body part in which the lens housing is embedd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lip member;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널은 전,후 방향, 또는 일측 및 타측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 지지패널은 상,하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panel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front, rear, or one and the other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panel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up, down direction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li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패널은,
중앙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랙 하우징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작동홀과, 양측 내면으로 상기 랙 하우징이 선택적으로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 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panel,
It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 rack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hole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is made, and the fixed rack ge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ck housing is selectively bite coupled to both inner surfaces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클립부재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접촉을 이루면서 클립부재의 고정 위치 및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 하우징에 결합되어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와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topper member,
A stopper housing coupled to the clip member so as to make a sliding movement, the stopper housing maintaining a fixed position and a horizontal state of the clip member while making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lip member coupled to the stopper housing by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ng member for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wi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하우징은,
상기 작동패널이 삽입되고, 상기 작동패널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을 지지하는 작동 가이드부와,
상기 클립부재와 휴대 단말기의 결합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와 밀착을 이루도록 위치 고정수단이 구성되는 위치 고정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topper housing,
A sliding part for inserting the operation panel and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An operation guide part configured on an upper part of the sliding part to support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Position fixing hole that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configured to make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clip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are coupled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작동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작동 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작동 본체부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작동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패널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 랙기어와 선택적으로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이동 랙기어가 형성된 랙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렌즈 모듈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A pair of operation body parts coupled to the operation guide part to make a sliding movement;
An elastic body embedded in the pair of operation body parts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operation body part; And
The rack housing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body portion, the movable rack gear is formed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xed rack gea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rating panel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R1020180101859A 2018-08-29 2018-08-29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2056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59A KR102056660B1 (en) 2018-08-29 2018-08-29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59A KR102056660B1 (en) 2018-08-29 2018-08-29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660B1 true KR102056660B1 (en) 2019-12-17

Family

ID=6905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59A KR102056660B1 (en) 2018-08-29 2018-08-29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66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7988B2 (en) * 2011-03-02 2015-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Stereo imaging device
CN207133497U (en) * 2016-12-16 2018-03-23 深圳市港德昌科技发展有限公司 Stereoscopic imaging l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7988B2 (en) * 2011-03-02 2015-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Stereo imaging device
CN207133497U (en) * 2016-12-16 2018-03-23 深圳市港德昌科技发展有限公司 Stereoscopic imaging l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455B2 (en) Combining P and S rays for bright stereoscopic projection
US20200192212A1 (en) Stereoscopic Light Recyc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P2846180A1 (en) Stereoscopic imaging device
US10989956B2 (en) Display device
WO201602753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CN104570349A (en) Virtual display zoom lens
JP4856634B2 (en) Ophthalmic display with focusing device
KR102056660B1 (en) 3D stereoscopic image lens module clip device for mobile terminal
JP2012189761A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system
US10324245B2 (en)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TW200606573A (en) Image projection device
CN210488151U (en) Highlight three-dimensional 3D equipment
KR102117846B1 (en) 3D stereoscopic image optics for mobile terminals
CN112379571B (en) Projection lens and laser projection device
CN112305700B (en) Projection lens and laser projection device
US9429765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7439764B2 (en) Video display device
KR102625680B1 (en) Lens Projector Rail System
US20220382058A1 (en) Display module capable of positioning imag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4032462A1 (en) Portable slit lamp device couplable to image capture device
KR101212452B1 (en) Stereo camera rig without degrading three-dimensional effect
US20120163790A1 (en) Stereo-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101369099B1 (en) Glassless mode 3-dimensional display using parallel ray of light emitting diode and wedge reflector sheet
US20100127080A1 (en) Scanning device having adjustable light p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