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283B1 -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283B1
KR102055283B1 KR1020130037022A KR20130037022A KR102055283B1 KR 102055283 B1 KR102055283 B1 KR 102055283B1 KR 1020130037022 A KR1020130037022 A KR 1020130037022A KR 20130037022 A KR20130037022 A KR 20130037022A KR 102055283 B1 KR102055283 B1 KR 10205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ame period
view window
display pane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54A (ko
Inventor
김태욱
김혜진
김한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2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3D 모드에서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제어하는 광경로 조정수단, 및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 전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위치 검출부; 및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광경로 조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GLASSES-FRE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3D: Three Dimension) 영상과 영상 재생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영상 관련 미디어는 시각 정보의 수준을 한 차원 더 높여주는 새로운 개념의 실감 영상 미디어로서 차세대 영상장치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2차원 영상 시스템은 평면 영상을 제공하지만 3차원 영상 시스템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실제 이미지 정보를 관찰자에게 보여주는 관점에서 궁극적인 영상 구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3차원 입체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과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으로 나누어진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안경을 이용하여 양안 시차 영상을 구현하는 안경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최근 상용화되고 있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을 바꿔서 표시하고 편광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편광안경방식과 좌우 시차 영상을 시분할방식으로 표시하고 셔터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셔터안경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안경방식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여야만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무안경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은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및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등의 광학판을 사용하여 좌우 시차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줄이기 위해 광학판을 이용하여 n(n은 자연수) 개의 뷰 영상들을 포함하는 멀티뷰 영상을 n 개의 뷰 영역들에 분리함으로써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3D 크로스토크는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n 개의 뷰 영상들을 포함하는 멀티뷰 영상에 대한 콘텐츠가 거의 없으므로, 멀티뷰 영상으로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좌우 시차 영상을 멀티뷰 영상으로 변환하는 구성이 별도로 요구된다. 결국, 종래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좌우 시차 영상을 멀티뷰 영상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hardware) 추가로 인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뷰 영상이 아닌 좌우 시차 영상으로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3D 모드에서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제어하는 광경로 조정수단, 및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 전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위치 검출부; 및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광경로 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3D 모드에서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제어하는 광경로 조정수단, 및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 전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절 광학 필름의 위치에 따라 회절 간섭 무늬를 다르게 기록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광경로 조정수단을 조정하여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에 입사되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이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며,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좌안 뷰 윈도우를 형성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우안 뷰 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으로 입체영상을 구현함에도, 멀티뷰 영상이 아닌 좌우 시차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위치 검출부의 사용자 위치 검출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얼굴 마스크의 일 예와 이를 카메라로부터 얻은 이미지에 맵핑한 결과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4는 도 1의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백라이트 제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도 5의 광경로 제어부의 광경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7은 수직동기신호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8a 및 도 8b는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들 각각에서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
도 9a 및 도 9b는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들 각각에서 사용자가 중앙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
도 10a 및 도 10b는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들 각각에서 사용자가 중앙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백라이트 유닛(30), 액정표시패널 구동부, 백라이트 구동부(130), 액정표시패널 제어부(140), 백라이트 제어부(150), 호스트 시스템(160),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 카메라(180) 등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두 장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기판상에는 데이터 라인(D)들과 게이트 라인(G)들(또는 스캔 라인들)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D)들과 게이트 라인(G)들에 의해 정의된 셀 영역들에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칭함) 어레이가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기판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기판에는 상부 편광판이 부착되고, 하부기판에는 하부 편광판이 부착된다. 상부 편광판의 광투과축과 하부 편광판의 광투과축은 직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는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 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기판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 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 전극과 함께 하부기판상에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 모드는 전술한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0)은 2D 모드에서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에서 좌우 시차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액정표시패널(10)은 3D 모드에서 기수(홀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짝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또는 좌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0)은 대표적으로 백라이트 유닛(30)으로부터의 빛을 변조하는 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표시패널(10) 아래에는 백라이트 유닛(30)이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30)은 광원, 광경로 조정수단, 뷰 윈도우 형성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의 광원은 백라이트 유닛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따라 점등하고, 광경로 조정수단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조정한다. 뷰 윈도우 형성수단은 광경로 조정부로부터 출사된 빛이 액정표시패널(1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백라이트 유닛(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백라이트 유닛 구동부(130)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을 점등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를 발생한다. 백라이트 유닛 구동부(130)는 백라이트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광원들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150)는 호스트 시스템(160)으로부터 입력되는 글로벌/로컬 디밍신호(DIM)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 조정값을 포함한 백라이트 제어 데이터(BCD)를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데이터 포맷으로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전송한다. 또한, 백라이트 제어부(150)는 호스트 시스템(16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사용자 위치 데이터(ULD)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30)의 광경로 조정수단을 제어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와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백라이트 유닛(30)으로 출력한다.
액정표시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및 표시패널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표시패널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2D 영상 데이터(RGB2D) 또는 3D 영상 데이터(RGB3D)를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을 발생한다. 3D 영상 데이터(RGB3D)는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은 액정표시패널(10)의 데이터 라인(D)들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쉬프트 레지스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액정셀의 TFT 구동에 적합한 스윙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데이터전압들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들을 액정표시패널(10)의 게이트 라인(G)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표시패널 제어부(140)는 호스트 시스템(160)으로부터 2D 모드에서 2D 영상 데이터(RGB2D)를 입력받고, 3D 모드에서 3D 영상 데이터(RGB3D)를 입력받는다. 또한, 표시패널 제어부(140)는 호스트 시스템(160)으로부터 타이밍 신호들과 모드 신호(MODE)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신호들은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 제어부(140)는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소정의 프레임 주파수로 표시패널(10)을 구동시키고, 소정의 프레임 주파수를 기준으로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패널 제어부(140)는 2D 및 3D 모드에서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110)로 공급한다. 표시패널 제어부(140)는 2D 모드에서 2D 영상 데이터(RGB2D)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하고, 3D 모드에서 3D 영상 데이터(RGB3D)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표시패널 제어부(140)는 3D 모드에서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160)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2D 영상 데이터(RGB2D) 또는 3D 영상 데이터(RGB3D)를 표시패널 제어부(140)에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160)은 모드 신호(MODE)와 타이밍 신호들 등을 표시패널 제어부(140)에 공급한다. 모드 신호(MODE)는 2D 모드 또는 3D 모드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160)은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ULD)를 입력받는다. 호스트 시스템(160)은 수직동기신호(Vsync), 사용자 위치 데이터(ULD), 및 글로벌/로컬 디밍신호(DIM)를 백라이트 제어부(150)에 공급한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카메라(180)에 의해 촬영된 액정표시패널(10) 전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가 사용자 위치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뷰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트래킹(tracking)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뷰 윈도우는 액정표시패널(10)의 영상이 보여지는 영역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이용하여 액정표시패널(10)의 영상을 특정 영역으로 수렴시키기 때문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ULD)를 호스트 시스템(160)으로 출력한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의 사용자 위치 검출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위치 검출부의 사용자 위치 검출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얼굴 마스크의 일 예와 이를 카메라로부터 얻은 이미지에 맵핑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영한 표시패널(10)의 전면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S101) 그리고 나서,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한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도 3와 같이 눈, 코, 입의 윤곽 특징을 정의하는 형태로 미리 설정된 얼굴 마스크를 상기 이미지에 맵핑(mapping)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검출할 수 있다. (S102) 그리고 나서,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양안 사이의 중심점을 검출한다. (S103) 그리고 나서,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양안 사이의 중심점의 x 축 좌표를 산출한다. 산출된 x 축 좌표는 x 축 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를 지시한다. x 축은 표시패널(10)의 장축과 평행한 축일 수 있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사용자 위치 정보인 x 축 좌표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ULD)를 호스트 시스템(160)으로 출력한다. (S104)
도 4는 도 1의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상세히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10) 아래에는 백라이트 유닛(30)이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30)은 광원(LS), 광경로 조정수단(RF), 및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포함한다. 광원(LS)은 평행 직진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로 조정수단(RF)은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광의 경로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광경로 조정수단(RF)은 백라이트 제어부(150)의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입력받고,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에 따라 광경로 조정수단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조정된다. 광경로 조정수단(RF)은 반사경(reflector)로 구현될 수 있다.
뷰 윈도우 형성수단은 회절 광학 필름(BSH), 콜리미네이션 렌즈(Collimination Lens, CL), 및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절 광학 필름(BSH)은 광원(LS)과 광경로 조정수단(RF) 상에 배치된다. 회절 광학 필름(BSH)은 BS-HOE 필름(Beam-Shaped Holographic Optical Element Flim)으로 구현될 수 있다. BS-HOE 필름은 참조 광과 물체 광의 회절 간섭 무늬를 기록한 필름일 수 있다. 특히, 회절 간섭 무늬는 참조 광이 BS-HOE 필름에 조사될 경우, 물체광이 특정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조사되는 회절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절 광학 필름(BSH)에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참조 광으로 입사되면, 회절 광학 필름(BSH)의 전면에 배치된 콜리미네이션 렌즈(CL)으로 확산되는 확산 광이 조사될 수 있다.
한편, 회절 광학 필름(BSH)은 위치에 따라 회절 간섭 무늬가 다르게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회절 광학 필름(BSH)의 A 지점과 B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다르게 기록되므로, 도 8a와 같이 광경로 조정수단(RF)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A 지점에 조사되는 경우 콜리미네이션 렌즈(CL)에 조사되는 확산 광의 방향은 도 8b와 같이 B 지점에 조사되는 경우 콜리미네이션 렌즈(CL)에 조사되는 확산 광의 방향과 다르다. 결국, 본 발명은 회절 광학 필름(BSH)의 위치에 따라 회절 간섭 무늬가 다르게 기록되며, 광경로 조정수단(RF)에 의해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에 입사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콜리미네이션 렌즈(CL)에 조사되는 확산 광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뷰 윈도우(VW)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콜리미네이션 렌즈(CL)는 회절 광학 필름(BSH)으로부터 입사되는 확산 광을 평행 직진 광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콜리미네이션 렌즈(CL)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로 구현될 수 있다.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는 콜리미네이션 렌즈(CL)로부터 입사되는 평행 직진 광을 수렴 광으로 출력한다.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은 참조 광과 물체 광의 회절 간섭 무늬를 기록한 필름일 수 있다. 회절 간섭 무늬는 참조 광이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에 조사될 경우, 물체광이 특정 영역으로 수렴되도록 조사되는 회절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에 콜리미네이션 렌즈(CL)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참조 광으로 입사되면, 수렴 광이 출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은 액정표시패널(1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view window, VW)를 형성할 수 있다.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해, 뷰 윈도우(VW)의 폭(Wv)은 사용자의 단안보다 크게 형성되나, 사용자의 양안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3D 크로스토크는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이 콜리미네이션 렌즈(CL)와 액정표시패널(10) 사이에 배치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콜리미네이션 렌즈(CL) 상에 액정표시패널(10)이 배치되고, 액정표시패널(10) 상에 뷰 윈도우 형성 필름(VWF)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백라이트 제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제어부(150)는 광경로 조정부(200)와 백라이트 제어 데이터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광경로 조정부(200)는 프레임 카운터(210),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 및 메모리(230)를 구비한다. 백라이트 제어 데이터 출력부(미도시)는 호스트 시스템(160)으로부터 입력되는 글로벌/로컬 디밍신호(DIM)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 조정값을 포함한 백라이트 제어 데이터(BCD)를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데이터 포맷으로 백라이트 구동부(130)에 전송한다.
도 6은 도 5의 광경로 조정부의 광경로 조정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5와 도 6을 결부하여 광경로 조정부의 광경로 조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프레임 카운터(210)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입력받는다. 수직동기신호(Vsync)는 도 7과 같이 1 프레임 기간 동안 한 번의 펄스를 갖는다. 프레임 카운터(210)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산출할 수 있다. 프레임 카운터(210)는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10)로 출력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프레임 카운터(210)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이용하여 프레임 기간을 카운트하여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산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프레임 카운터(210)는 수직동기신호(Vsync) 이외에 다른 신호, 예를 들어 수평동기신호 또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프레임 기간을 카운트하여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산출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S201)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프레임 카운터(210)로부터 프레임 카운트 값(Vfc)를 입력받고,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분석하여 현재 프레임 기간이 기수 프레임 기간인지 우수 프레임 기간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이용하여 프레임 기간을 카운트하여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산출한 경우, 프레임 카운트 값(Vfc)을 2로 나누어 나머지가 있는 경우 현재 프레임 기간을 기수 프레임 기간으로 판단하고, 나머지가 없는 경우 우수 프레임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02)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ULD)를 입력받는다. 메모리(230)는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른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가 저장된 제1 룩-업 테이블과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른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가 저장된 제2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제1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와 제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는 제품을 사전 실험을 통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메모리(230)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에 포함될 수 있다.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 위치 정보를 입력 어드레스로 메모리(230)의 제1 룩-업 테이블에 입력시키고, 해당 입력 어드레스의 출력 값으로 저장된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제1 룩-업 테이블로부터 입력받는다.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백라이트 유닛(30)의 광경로 조정 수단(RF)으로 출력한다. 광경로 조정 수단(RF)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의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따라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제어한다.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 위치 정보를 입력 어드레스로 메모리(230)의 제2 룩-업 테이블에 입력시키고, 해당 입력 어드레스의 출력 값으로 저장된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제2 룩-업 테이블로부터 입력받는다.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220)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백라이트 유닛(30)의 광경로 조정 수단(RF)으로 출력한다. 광경로 조정 수단(RF)은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의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따라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제어한다. (S203, S204, S20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경로 조정부(200)를 이용하여 광경로 조정 수단(RF)을 조정함으로써,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를 결부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뷰 윈도우 형성 위치 변경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들 각각에서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8a에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형성된 좌안 뷰 윈도우(LVW)가 나타나 있고, 도 8b에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형성된 우안 뷰 윈도우(RVW)가 나타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10)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뷰 윈도우(VW)의 크기는 사용자의 양안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뷰 윈도우(VW)를 형성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뷰 윈도우(VW)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VW)를 좌안 뷰 윈도우(LVW)로 정의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VW)를 우안 뷰 윈도우(RVW)로 정의한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한 경우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광경로 조정부(200)는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출력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출력한다.
광경로 조정수단(RF)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의 A 지점으로 입사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회절 광학 필름(BSH)의 A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B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보다 오른쪽 방향(광 진행 방향 기준)으로 확산 광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좌안 뷰 윈도우(LVW)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광경로 조정수단(RF)은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의 B 지점으로 입사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회절 광학 필름(BSH)의 B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A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보다 왼쪽 방향(광 진행 방향 기준)으로 확산 광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우안 뷰 윈도우(RVW)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9a 및 도 9b는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들 각각에서 사용자가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9a에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형성된 좌안 뷰 윈도우(LVW)가 나타나 있고, 도 8b에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형성된 우안 뷰 윈도우(RVW)가 나타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10)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뷰 윈도우(VW)의 크기는 사용자의 양안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뷰 윈도우(VW)를 형성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뷰 윈도우(VW)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VW)를 좌안 뷰 윈도우(LVW)로 정의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VW)를 우안 뷰 윈도우(RVW)로 정의한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사용자가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광경로 조정부(200)는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출력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출력한다.
광경로 조정수단(RF)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의 C 지점으로 입사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회절 광학 필름(BSH)의 C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D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보다 오른쪽 방향(광 진행 방향 기준)으로 확산 광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좌안 뷰 윈도우(LVW)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광경로 조정수단(RF)은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의 D 지점으로 입사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회절 광학 필름(BSH)의 D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C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보다 왼쪽 방향(광 진행 방향 기준)으로 확산 광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우안 뷰 윈도우(RVW)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들 각각에서 사용자가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10a에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형성된 좌안 뷰 윈도우(LVW)가 나타나 있고, 도 10b에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형성된 우안 뷰 윈도우(RVW)가 나타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10)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뷰 윈도우(VW)의 크기는 사용자의 양안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뷰 윈도우(VW)를 형성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뷰 윈도우(VW)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VW)를 좌안 뷰 윈도우(LVW)로 정의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뷰 윈도우(VW)를 우안 뷰 윈도우(RVW)로 정의한다.
사용자 위치 검출부(170)는 사용자가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광경로 조정부(200)는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출력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경로 조정 데이터(PCD)를 출력한다.
광경로 조정수단(RF)은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의 E 지점으로 입사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회절 광학 필름(BSH)의 E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F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보다 왼쪽 방향(광 진행 방향 기준)으로 확산 광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좌안 뷰 윈도우(LVW)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광경로 조정수단(RF)은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의 F 지점으로 입사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회절 광학 필름(BSH)의 F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는 F 지점의 회절 간섭 무늬보다 오른쪽 방향(광 진행 방향 기준)으로 확산 광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우안 뷰 윈도우(RVW)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를 결부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광경로 조정수단(RF)에 의해 회절 광학 필름(BSH)의 일측인 C 지점에 가깝게 입사될수록 확산 광은 오른쪽 방향으로 더 진행하게 되므로, 뷰 윈도우(VW)는 회절 광학 필름(BSH)의 타측인 F 지점에 인접한 액정표시패널(10)의 타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게 된다. 또한,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광경로 조정수단(RF)에 의해 회절 광학 필름(BSH)의 타측인 F 지점에 가깝게 입사될수록 확산 광은 왼쪽 방향으로 더 진행하게 되므로, 뷰 윈도우(VW)는 회절 광학 필름(BSH)의 일측인 C 지점에 인접한 액정표시패널(10)의 일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회절 광학 필름(BSH)의 위치에 따라 회절 간섭 무늬를 다르게 기록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광경로 조정수단(RF)을 조정하여 광원(LS)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이 회절 광학 필름(BSH)에 입사되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뷰 윈도우(VW)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이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며,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좌안 뷰 윈도우(LVW)를 형성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우안 뷰 윈도우(RVW)를 형성함으로써, 양안 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액정표시패널 30: 백라이트 유닛
110: 게이트 구동부 120: 데이터 구동부
130: 백라이트 구동부 140: 표시패널 제어부
150: 백라이트 제어부 160: 호스트 시스템
170: 사용자 위치 검출부 180: 카메라
200: 광경로 조정부 210: 프레임 카운터
220: 광경로 조정 데이터 출력부 LS: 광원
RF: 광경로 조정 수단 BSH: 회절 광학 필름
CL: 콜리미네이션 렌즈 VWF: 뷰 윈도우 형성 필름

Claims (8)

  1. 3D 모드에서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제어하는 광경로 조정수단, 및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 전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위치 검출부; 및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광경로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경로 조정부는,
    프레임 기간을 카운트하여 프레임 카운트 값을 출력하는 프레임 카운터; 및
    상기 프레임 카운트 값을 분석하여 상기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제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광경로 조정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뷰 윈도우 형성수단은,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광을 회절 간섭 무늬에 의해 확산 광으로 출력하는 회절 광학 필름;
    상기 회절 광학 필름으로부터의 확산 광을 평행 직진 광으로 출력하는 콜리미네이션 렌즈; 및
    상기 콜리미네이션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평행 직진 광을 수렴 광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뷰 윈도우를 형성하는 뷰 윈도우 형성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광이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에 의해 상기 회절 광학 필름의 일측에 가깝게 입사될수록 상기 뷰 윈도우는 상기 회절 광학 필름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타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은,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좌안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조정하고,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상기 좌안 뷰 윈도우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우안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6. 3D 모드에서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방향을 제어하는 광경로 조정수단, 및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뷰 윈도우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 전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광경로 조정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프레임 기간을 카운트하여 프레임 카운트 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카운트 값을 분석하여 상기 기수 및 우수 프레임 기간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따라 제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좌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좌안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조정하고, 상기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우안 광경로 조정 정보에 의해 상기 좌안 뷰 윈도우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우안 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평행 직진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30037022A 2013-04-04 2013-04-04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05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22A KR102055283B1 (ko) 2013-04-04 2013-04-04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22A KR102055283B1 (ko) 2013-04-04 2013-04-04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54A KR20140120754A (ko) 2014-10-14
KR102055283B1 true KR102055283B1 (ko) 2019-12-13

Family

ID=5199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22A KR102055283B1 (ko) 2013-04-04 2013-04-04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2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272B1 (ko) * 2010-11-01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준화된 지향성의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 홀로그래픽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30022900A (ko) * 2011-08-26 201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54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251B1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KR10129690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74311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TWI482999B (zh) 立體顯示裝置
KR102040653B1 (ko) 홀로그래피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20120274748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549172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84087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296902B1 (ko) 영상처리부와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942026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066069B2 (en) Method of removing jagging of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2529B1 (ko) 홀로그램 표시 시스템
KR20120069133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81163B1 (ko) 집적영상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KR102055283B1 (ko)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9877017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83875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98236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휘도 조절 방법
KR20160024283A (ko)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60021650A (ko)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166340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69647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8767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4318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29457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