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197B1 -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97B1
KR102055197B1 KR1020180143438A KR20180143438A KR102055197B1 KR 102055197 B1 KR102055197 B1 KR 102055197B1 KR 1020180143438 A KR1020180143438 A KR 1020180143438A KR 20180143438 A KR20180143438 A KR 20180143438A KR 102055197 B1 KR102055197 B1 KR 102055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el pipe
nickel
pipe
fix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963A (ko
Inventor
강영성
Original Assignee
나노프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프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프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11/02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rst expanding and then shrinking or vice versa, e.g. by using pressure fluids; by making force fits
    • B23P11/025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rst expanding and then shrinking or vice versa, e.g. by using pressure fluids; by making force fits by using heat or c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엠보 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니켈도금으로 처리된 엠보를 갖는 니켈파이프, 열박음 방식에 의해 니켈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의 양 끝단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박음 방식에 의해 니켈파이프를 고온으로 가열 팽창시킨 상태로 중심부재의 외주면에 결합하고, 중심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니켈파이프의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니켈파이프가 수축되어 중심부재에 밀착 결합될 수 있어, 엠보 롤러의 이탈 및 헛도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NICKEL-PLATED EMBO ROLLER WHICH CAN BE US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본 발명은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엠보 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시트 표면에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 니켈도금방식으로 제작된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엠보 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시트나, 벽지, 피혁 등에 엠보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는 그 표면에 천연 가죽이나 나무 등의 천연 엠보나 조각 형성한 샘플로부터 그 엠보를 전사시키기 위해 샘플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이를 분리하여 얻은 평판상의 실리콘 표면에 다시 니켈도금을 실시하고, 이 니켈도금된 실리콘 평판의 표면에 전사액을 도포하고 그 엠보를 롤러에 전사한 후 부식(식각)시켜 엠보를 형성한다. 그후 이를 다시 대형 롤러에 전사하여 부식시켜 최종적으로 각종 시트 표면에 문양을 전사할 수 있는 엠보 롤러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엠보 롤러(100)는 도 1을 참조하면, 패턴 전사장치에 설치된 압착롤러(R)와 한 쌍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두 롤러 사이에 연속으로 시트(S)를 이송시키면서 시트의 표면에 엠보를 전사시켜 엠보가 전사된 시트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 표면에 수월하게 엠보를 전사하기 위해서는 엠보 롤러(100)가 길이가 길수록 대량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약 3000mm이상의 길이와 최소 1t이상의 엠보 롤러(100)를 제작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조립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엠보가 전사된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에 중심부재(110)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3000mm 이상의 길이를 갖는 니켈파이프(120)를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시킨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니켈파이프(120)보다 긴 길이의 중심부재(110)을 들어서 니켈파이프(120) 내측으로 삽입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엠보 롤러(1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최소 7000mm이상의 천장 높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한 방식에 따라 엠보 롤러(100)를 제작하기 위한 시설 및 설비를 구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엠보 롤러(100)는 길이가 길어지면 시트 표면에 엠보를 전사하는 작업 시 니켈파이프(120)가 중심부재(11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뒤틀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3-0016227호 (1993.08.26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엠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길고, 니켈도금이 두꺼워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표면에 엠보가 전사된 시트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엠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심부재에 결합된 니켈파이프가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는 엠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게가 무겁고, 길이가 긴 엠보 롤러를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제작할 수 있는 엠보 롤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엠보 롤러는 표면에 엠보를 갖는 니켈파이프, 니켈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의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의 양 끝단에서 상기 니켈파이프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켈파이프는 내측으로 갈수록 니켈도금의 경도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은 봉 형상의 중심부재, 내측이 빈 니켈파이프 및 열전도봉을 일직선 상으로 나열되도록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니켈파이프의 내측으로 열전도봉을 삽입하여 상기 니켈파이프를 가열 팽창시키는 니켈파이프 가열 단계, 상기 가열 팽창된 니켈파이프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중심부재를 니켈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중심부재 삽입 단계, 상기 니켈파이프의 온도가 강하에 따른 수축에 의해 상기 중심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니켈파이프의 내주면이 결합하는 결합 단계 및 상기 중심부재의 양 끝단에 고정링을 삽입하여 니켈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켈파이프를 고온으로 가열 팽창시킨 상태로 중심부재를 삽입하고, 중심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니켈파이프의 온도가 강하함에 따라 니켈파이프가 수축되어 중심부재에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켈파이프와 중심부재가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어 시트 표면에 엠보 전사 시, 니켈파이프가 이탈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켈파이프의 양 끝단에 고정링이 삽입되어 중심부재로부터 니켈파이프가 이탈하거나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니켈파이프의 경도가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므로 온도에 따른 순간 팽창 및 순간 수축의 시간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의 엠보 롤러 조립으로 높이가 낮은 시설에서도 용이하게 엠보 롤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식 도르래에 의해 엠보 롤러 조립 시, 4t이상의 무게도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조 가죽 등의 인조 시트 표면에 천연 시트 표면과 동일한 엠보를 전사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표면에 엠보가 전사된 시트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속도의 향상으로 제품의 대량생산에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좁은 설비공간에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비용면에서 큰 효과가 있고, 적은 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소비자가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의 엠보 롤러에 의해 시트 표면에 엠보를 전사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심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시트 표면형성용 엠보 롤러(100)는 중심부재(110), 니켈파이프(120) 및 고정링(130)을 포함한다. 중심부재(110)는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심부재(110)의 외직경은 니켈파이프(120)의 내직경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부재(110)의 양 끝단에는 고정링(130)이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파이프(120)는 외주면에 니켈도금으로 처리된 엠보를 구비한다. 또한, 니켈파이프(120) 상의 니켈은 내측으로 갈수록 경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130)은 중심부재(110)에 니켈파이프(120)가 결합된 후, 니켈파이프(120)의 양 끝단에 접하도록 중심부재(110)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엠보 롤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엠보 롤러(100)는 중심부재(110)가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니켈파이프(120)의 양 끝단에 접하도록 고정링(130)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니켈파이프(120)는 표면에 엠보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엠보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 표면에 전사하고자 하는 엠보를 갖는 천연 가죽의 표면 엠보를 실리콘을 이용하여 복사한다. 엠보가 복사된 실리콘들을 서로 연결하여, 실리콘 튜브를 형성한다. 형성된 실리콘 튜브의 상면에 은을 코팅하여 전기가 통하도록 제조한다. 이후, 니켈 도금 탱크안에 은이 코팅된 실리콘 튜브를 담그고, 티타늄으로 만든 바스켓을 넣은 후, 내부에 니켈원료를 넣어 양극의 전기(+)를 연결한다. 은이 코팅된 실리콘 연결 부위에는 음극의 전기(-)를 연결한다. 전류를 흘려 도금을 시작하며, 니켈 도금의 두께가 일정 두께가 될 때까지 바스켓에 계속해서 니켈원료를 보충해 주며, 도금액의 온도와 PH를 적절하도록 수시로 확인한다. 여기서, 니켈 도금의 일정 두께는 4~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니켈원료는 니켈의 두께에 따라 경도가 다른 니켈을 넣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 도금이 일정 두께가 되면, 니켈 도금 탱크에서 꺼내어 니켈 도금 튜브를 감싸고 있는 실리콘 튜브를 분리한다. 이후, 니켈 도금 튜브에 붙어있는 은은 약품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물로 세척하여 니켈 도금 튜브만 남도록 한다. 다음으로, 니켈 도금 튜브위에 떨림 방지를 위한 지지대를 설치한 후, 니켈 도금 튜브의 내부를 일정하게 호닝하여 내직경이 균일하도록 처리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최종 완성된 니켈 도금 튜브가 니켈파이프(120)이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 니켈파이프(120)가 형성되면, 니켈파이프(120)의 외주면에는 시트 표면에 전사하고자 하는 엠보가 형성될 수 있다.
니켈파이프(120)의 양 끝단에 삽입되는 고정링(130)은 중심부재(110) 상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 보다 단단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방식으로 고정링(130)을 고정할 때, 고정링(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은 후, 구멍을 통해 용접을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링(130)에 의해 시트 표면에 엠보 전사 시, 니켈파이프(120)가 중심부재(110)로부터 이탈되거나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중심부재(110)와 니켈파이프(120)는 열박음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열박음 방식은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엠보 롤러(100)는 열박음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열박음 방식은 열박음 장치(200)에 의해 이루어지며, 준비 단계(S100), 니켈파이프 가열 단계(S200), 중심부재 삽입 단계(S300), 결합 단계(S400) 및 고정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박음 장치(200)는 도 6을 참조하면, 중심부재(110)을 지지하는 제 1 지지구(220), 중심부재(110)을 고정하는 제 1 클램프(210), 니켈파이프(120)를 지지하는 제 2 지지구(230), 니켈파이프를 고정하는 제 2 클램프(240), 엠보 롤러(100)를 지지하고 각 구성요소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식 도르래(250), 열박음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부(260), 니켈파이프(120)를 가열하는 열전도봉(300) 및 열전도봉을 냉각시키는 냉각수(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지지구(220) 및 제 1 클램프(210)는 중심부재(110)를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 2 지지구(230) 및 제 2 클램프(240)는 니켈파이프(120)를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2 지지구(230) 및 제 2 클램프(240)는 유압식 도르래(250)에 의해 레일부(260)를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유압식 도르래(250)는 최소 4t의 무게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봉(300) 또한 레일부(260)를 따라 유압식 도르래(250)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열된 열전도봉(30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일단에 냉각수(31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열박음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열박음 방식의 각 단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심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각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준비 단계(S100)는 봉 형상의 중심부재(110), 내측이 빈 관 형상의 니켈파이프(120) 및 열전도봉(300)을 일직선 상으로 나열되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준비 단계(S100)는 각각의 중심부재(110), 니켈파이프(120) 및 열전도봉(300)이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나열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중심부재(110)가 배치되는 단계 및 니켈파이프(120)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심부재(110)가 배치되는 단계는 중심부재(110)의 일단이 제 1 지지구(220)에 의해 지지되고, 중심부재(110)의 타단은 제 1 클램프(210)의 하단부재(211)에 의해 지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클램프(210)의 하단부재(211) 및 제 1 지지구(220)에 의해 지지된 중심부재(110)는 타단에 제 1 클램프의 하단부재(211)와 결합될 수 있는 제 1 클램프의 상단부재(212)에 의해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클램프의 하단부재(211) 및 제 1 클램프의 상단부재(212)는 핀고정, 가압고정, 힌지고정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1t 내지 4t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서 다중으로 복수개의 가압핀(213)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부재(110)가 지지되는 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 1 지지구(220)이외의 보조 지지구가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준비 단계(S100)는 중심부재(110)가 고정되고 난 후, 니켈파이프(120)가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니켈파이프(120)는 제 2 지지구(230) 및 제 2 클램프(240)에 의해 중심부재(110)와 일직선 상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 2 지지구(230) 및 제 2 클램프(240)는 레일부(260)를 따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지지구(230) 및 제 2 클램프(240)의 수평 이동에 의해 니켈파이프(120)가 수평 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할 수 있다.
준비 단계(S100)에서는 열전도봉(300) 또한, 일직선 상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부재(110), 니켈파이프(120) 및 열전도봉(300)은 순서대로 수평 방향 이동만으로 각각 서로의 내측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중심이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파이프 가열 단계(S200)는 중심부재(110), 니켈파이프(120) 및 열전도봉(300)을 일직선 상에 나열하는 준비 단계 이후,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열전도봉(300)을 삽입하여 니켈파이프(120)를 가열 팽창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d> 및 도 9를 참조하면, 열박음 장치(200)의 일단에 나열되어 있는 열전도봉(300)이 레일부(26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에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단계이다. 니켈파이프(120)는 열전도봉(300)에 의해 열이 전도되어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이 가열 팽창되게 되고, 니켈파이프(120)의 내직경이 순간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여기서, 열전도봉(300)의 길이는 니켈파이프(120)의 길이보다 길고, 열전도봉(300)의 외직경은 니켈파이프(120)의 내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봉(300)은 하나의 열선을 구비한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열선을 구비한 얇은 봉 형상이 복수개 원형으로 배열되어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열전도봉(300)은 열선 이외의 화력을 이용하여 니켈파이프(12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며, 니켈파이프 내측을 가열하여 팽창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다면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다.
중심부재 삽입 단계(S300)는 가열 팽창된 니켈파이프(120)를 수평 이동시켜, 중심부재(110)를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e>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열전도봉(300)에 의해 내측이 가열 팽창되어 내직경이 늘어난 니켈파이프(120)를 레일부(260)를 따라 수평 이동시켜 중심부재(110)가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니켈파이프(120)를 중심부재(110) 외측에 둘러싸도록 삽입한 후, 열전도봉(300)은 다시 수평 이동을 통해 처음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열전도봉(300)은 처음의 위치로 돌아간 후, 일단에 결합된 냉각수(310)에 의해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냉각수(310) 이외의 방열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결합 단계(S400)는 가열 팽창되어 중심부재(110)가 삽입된 니켈파이프(120)의 온도가 강하함에 따라 수축되어 중심부재(110)의 외주면과 니켈파이프(120)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결합하는 단계이다. 가열 팽창되어 순간적으로 내직경이 늘어난 니켈파이프(120)는 내측에 중심부재(110)가 삽입된 후 상온상에 유지 또는 별도의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됨에 따라 온도가 낮아져 내직경이 원상태로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니켈파이프(120)의 내주면과 중심부재(110)의 외주면이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결합 단계(S400)에 의해 중심부재(110) 및 니켈파이프(120)가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면, 니켈파이프(120)의 이탈이나 헛도는 현상 등을 방지하고, 시트표면에 엠보를 전사 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 단계(S500)는 중심부재(110)의 양 끝단에 고정링(130)을 삽입하여 니켈파이프(12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 중심부재(110)로부터 니켈파이프(120)가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부재(110)가 삽입된 니켈파이프(120)의 양 끝단에 고정링(13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고정링(130)은 중심부재(110)의 양 끝단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링(130)의 외직경은 니켈파이프(120)의 내직경보다는 크되 외직경보다는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링(130)의 내직경은 니켈파이프(120)의 내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130)은 중심부재(110)의 걸림턱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단단한 결속을 위해 접착제나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130)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니켈파이프(120)가 중심부재(110)로부터 이탈되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엠보 롤러 110: 중심부재
120: 니켈파이프 130: 고정링
200: 열박음 장치 210: 제 1 클램프(210)
220: 제 1 지지구 230: 제 2 지지구(230)
240: 제 2 클램프 250: 유압식 도르래
260: 레일부 300: 열전도봉
310: 냉각수
S100: 준비 단계 S200: 니켈파이프 가열 단계
S300: 중심부재 삽입 단계 S400: 결합 단계
S500: 고정 단계

Claims (2)

  1. 봉 형상의 중심부재(110), 내측이 빈 니켈파이프(120) 및 열전도봉(300)을 수평방향의 일직선 상으로 나열되도록 준비하되,
    중심부재(110)의 일단이 제 1 지지구(22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제 1 클램프(210)에 의해 복수개의 가압핀(213)으로 가압 고정되는 준비 단계;
    상기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열전도봉(300)을 유압식 도르래(250)에 의한 수평이동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니켈파이프(120)를 가열 팽창시키는 니켈파이프 가열 단계;
    상기 중심부재(110)가 니켈파이프(12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지지구(220)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가열 팽창된 니켈파이프(120)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중심부재(110)를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열전도봉(300)은 처음의 위치로 수평 이동 후, 온도가 낮아지는 중심부재 삽입 단계;
    상기 니켈파이프(120)의 온도가 강하에 따른 수축에 의해 상기 중심부재(110)의 외주면과 상기 니켈파이프(120)의 내주면이 결합하는 결합 단계; 및
    상기 중심부재(110)의 양 끝단에 고정링(130)을 삽입하여 니켈파이프(120)를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니켈파이프(120)는 표면에 엠보를 갖고, 내측으로 갈수록 경도가 낮아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니켈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열전도봉(300)을 수평이동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니켈파이프(120)를 가열 팽창시키는 니켈파이프 가열 단계에서, 온도에 따른 상기 니켈파이프(120) 내측의 순간 팽창 및 순간 수축의 시간이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롤러의 제조 방법.
  2. 삭제
KR1020180143438A 2018-11-20 2018-11-20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KR10205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38A KR102055197B1 (ko) 2018-11-20 2018-11-20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38A KR102055197B1 (ko) 2018-11-20 2018-11-20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707 Division 2018-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63A KR20190083963A (ko) 2019-07-15
KR102055197B1 true KR102055197B1 (ko) 2019-12-12

Family

ID=6725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38A KR102055197B1 (ko) 2018-11-20 2018-11-20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57B1 (ko) * 2022-05-06 2022-09-02 한국에어로(주) 축 열박음을 위한 공기압축기 에어 앤드용 스크류 로터 가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89Y1 (ko) 2002-02-19 2002-05-24 김종진 엠보싱 로울러 및 엠보싱 로울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42074Y1 (ko) * 2008-05-28 2008-10-06 강영성 내열 및 내압성을 높인 시트 표면형성용 엠보 로울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56B1 (ko) * 2007-09-10 2009-06-17 한국기계연구원 피스톤로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피스톤로드
KR20090058254A (ko) * 2007-12-04 2009-06-09 이옥희 엠보싱 로울러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689Y1 (ko) 2002-02-19 2002-05-24 김종진 엠보싱 로울러 및 엠보싱 로울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42074Y1 (ko) * 2008-05-28 2008-10-06 강영성 내열 및 내압성을 높인 시트 표면형성용 엠보 로울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57B1 (ko) * 2022-05-06 2022-09-02 한국에어로(주) 축 열박음을 위한 공기압축기 에어 앤드용 스크류 로터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63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0931B1 (en) Heater uni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KR102055197B1 (ko) 고온 및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도금 엠보 롤러 제조방법
CN108735435A (zh) 电感器和电感器的制造方法
KR20070033020A (ko)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접촉 요소에 접속하는 접속 방법
EP0263814A1 (en) A kitchen utensil with a triple bottom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JP2008030097A (ja) 高加圧拡散接合装置
CN102744879A (zh) 一种氟塑料换热器的薄壁微管的焊接方法及装置
DE60037188T2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uszeptors für Halbleiterscheiben
CN103648675B (zh) 通电加热装置及方法
EP2599897A1 (en) Production method for a plate heat exchanger
IE50736B1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using at least one polymer film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process
TWI817005B (zh) 具備橫向中介層之多層金屬奈米線陣列之製造方法
TW201902294A (zh) 加熱套及製造加熱套的方法
CN205789902U (zh) 一种扩散舟
CN102008826A (zh) 组合式立体模型
JP2017175110A (ja) フレキシブル熱電素子及び製造方法
US20110155719A1 (en) Multi-Level and Vertical Assembling Type PTFE Heat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209627725U (zh) 一种涂料原料加热保温储存装置
US20060157472A1 (en) Metal heater
JP6704821B2 (ja) 保持装置
CN215845272U (zh) 合金结构钢整平装置
FR2895586B1 (f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armature,procede de fabrication d&#39;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machine pour former l&#39;armature
KR200442074Y1 (ko) 내열 및 내압성을 높인 시트 표면형성용 엠보 로울러
KR910015386A (ko) 연접식(璉接式)삽입부재를 구비한 머리 받침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위한 장치
KR101358348B1 (ko) 나사 조립식 단자대를 갖는 반도체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