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96B1 -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 Google Patents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96B1
KR102054996B1 KR1020190090993A KR20190090993A KR102054996B1 KR 102054996 B1 KR102054996 B1 KR 102054996B1 KR 1020190090993 A KR1020190090993 A KR 1020190090993A KR 20190090993 A KR20190090993 A KR 20190090993A KR 102054996 B1 KR102054996 B1 KR 10205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guide
conveyor belt
bel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에이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가연성폐기물 중 폐비닐이 유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벨트; 지지판;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상기 폐비닐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상기 폐비닐을 지지하는 가이드벨트; 상기 가이드벨트의 내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가압판; 및 둘레부에 고정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벨트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가이드벨트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을 세절하는 한 쌍의 세절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판 및 가압판을 통해 폐비닐의 일부분이 가압되어 컨베이어벨트 및 가이드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폐비닐이 한 쌍의 세절드럼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될 수 있으며, 폐비닐이 세절드럼에 적체되지 않으므로, 세절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세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Cutting machine for intermediate treatment of waste vinyl}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중 폐비닐을 폐기 또는 재활용하기 용이하도록 찢을 수 있으며, 세절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은 콘크리트덩어리, 벽돌, 철근 등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폐기물과, 목재, 비닐 등 불에 타는 가연성폐기물로 분류된다.
상기한 건설폐기물의 가연성폐기물 중 폐비닐은 폐기 또는 재활용하기 용이하도록 별도로 수거된다.
수거된 폐비닐은 부피를 줄여 폐기하거나, 재활용을 위해 폐비닐에 포함된 이물질을 씻어내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세절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세절작업에 사용된 종래의 폐비닐 세절기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227호의 "폐비닐 파쇄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폐비닐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칼날에 세절되어, 폐비닐이 칼날에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폐비닐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절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폐비닐이 칼날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되고, 세절된 폐비닐이 칼날에 적체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폐비닐 세절기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폐비닐이 칼날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되고, 세절된 폐비닐이 칼날에 적체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어, 세절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가연성폐기물 중 폐비닐이 유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유입된 폐비닐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상기 폐비닐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상기 폐비닐을 지지하는 가이드벨트; 상기 가이드벨트의 내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과 함께 상기 폐비닐을 가압하여 상기 폐비닐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판; 및 둘레부에 고정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벨트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가이드벨트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을 세절하는 한 쌍의 세절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칼날의 단부에는 회전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판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지판 및 가압판을 통해 폐비닐의 일부분이 가압되어 컨베이어벨트 및 가이드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폐비닐이 한 쌍의 세절드럼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될 수 있으며, 세절된 폐비닐이 컨베이어벨트 및 가이드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어, 폐비닐이 세절드럼에 적체되지 않으므로, 세절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세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의 호퍼, 컨베이어벨트, 가이드벨트, 지지판, 가압판 및 세절드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의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 및 가압판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의 호퍼, 컨베이어벨트, 가이드벨트, 지지판, 가압판, 세절드럼 및 절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10)는 프레임(100), 호퍼(H), 컨베이어벨트(200), 지지판(300), 가이드벨트(400), 가압판(500) 및 세절드럼(6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내부에 컨베이어벨트(200), 지지판(300), 가이드벨트(400), 가압판(500) 및 세절드럼(6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100s)이 형성되어 있다.
호퍼(H)는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가연성폐기물 중 폐비닐(V)이 유입된다.
컨베이어벨트(200)는 전단부가 호퍼(H)의 하측에 배치되고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호퍼(H)를 통해 유입된 폐비닐(V)을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컨베이어벨트(200)는 고무벨트와, 고무벨트의 내측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롤러로 구성되며, 롤러에 모터(M1)의 축이 연결되어 모터(M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여기서, 고무벨트에는 폐비닐(V)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일자형이 홈이나 V자형의 홈 또는 돌출턱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300)은 컨베이어벨트(200)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며 컨베이어벨트(200)를 지지함으로써, 세절드럼(600)가 컨베이어벨트(200) 상의 폐비닐(V)을 세절할 때, 컨베이어벨트(200)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벨트(400)는 컨베이어벨트(200)의 상측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폐비닐(V)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폐비닐(V)을 지지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한 쌍의 가이드벨트(400)는 컨베이어벨트(200)의 상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한 쌍의 가이드벨트(400) 사이에는 세절드럼(600)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가압판(500)은 가이드벨트(400)의 내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지지판(300)과 함께 폐비닐(V)을 가압하여 폐비닐(V)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판(300)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310)가 마련되고, 가압판(500)에는 복수개의 가압롤러(510)가 마련되어, 복수개의 지지롤러(310)는 컨베이어벨트(200)와 지지판(30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컨베이어벨트(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압롤러(510)는 가이드벨트(400)와 가압판(50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가이드벨트(4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절드럼(60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둘레부에 고정칼날(610)이 구비되어 가이드벨트(400)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컨베이어벨트(200)를 통해 이송되면서 가이드벨트(400)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V)을 세절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절드럼(600)에는 회전축이 각각 연결되고, 회전축은 지지대(J)를 통해 프레임(100)에 연결되며, 회전축은 연결밴드(B1, B2)를 통해 모터(M2, M3)와 연결되어 모터(M2, M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세절드럼(600)는 회전되어 폐비닐(V)을 세절한다.
정리하면, 컨베이어벨트(200)를 통해 이송되는 폐비닐(V)은 양측부가 컨베이어벨트(200)와 가이드벨트(400) 사이에서 가압판(500)과 지지판(300)에 의해 눌러진 채로 세절드럼(600)에 의해 세절되며 컨베이어벨트(200)의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세절된 폐비닐(V)이 컨베이어벨트(200) 및 가이드벨트(400)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으므로, 폐비닐(V)이 세절드럼(600)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세절드럼(6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폐비닐(V)을 용이하게 세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칼날(610)의 단부에는 회전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620)이 부착되며, 돌출칼날(620)은 컨베이어벨트(200) 상의 폐비닐(V)이 고정칼날(610) 측으로 들려 고정칼날(610)에 의해 세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절드럼(600)의 고정칼날(610)은 복수개의 열로 마련되어 폐비닐(V)을 세절할 수 있고,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절드럼(600)의 고정칼날(610)은 단일 열로 마련되어 폐비닐(V)을 세절할 수 도 있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1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가이드벨트(400)에 연결되어 가이드벨트(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700); 및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가압판(500)에 연결되어 가압판(5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판 높이조절부(80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700)는 측부에 복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바(710)와, 가이드벨트(400)에 연결되며 한 쌍의 높이조절바(71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조절이 이루어진 후 볼트(B)를 통해 한 쌍의 높이조절바(71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벨트(400)는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700)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어 컨베이어벨트(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판 높이조절부(800)는 측부에 복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봉(810)과, 가압판(500)에 연결되며 한 쌍의 높이조절봉(81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조절이 이루어진 후 볼트(B)를 통해 한 쌍의 높이조절바(810)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8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압판(500)은 가압판 높이조절부(800)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어 가이드벨트(4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10)는 한 쌍의 가이드벨트(400)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컨베이어벨트(200)와 함께 폐비닐(V)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보조벨트(900)를 더 포함한다.
보조벨트(900)는 크기가 작은 폐비닐(V)이 가이드벨트(400)에 가압되지 않은 채로 세절드럼(60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비닐(V)의 세절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컨베이어벨트(200)의 후방에는 세절드럼(600)를 통해 세절된 폐비닐(V)을 더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1000)가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10)는 지지판(300) 및 가압판(500)을 통해 폐비닐(V)의 일부분이 가압되어 컨베이어벨트(200) 및 가이드벨트(400)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폐비닐(V)이 한 쌍의 세절드럼(600)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될 수 있으며, 세절된 폐비닐(V)이 컨베이어벨트(200) 및 가이드벨트(400)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어, 폐비닐(V)이 세절드럼(600)에 적체되지 않으므로, 세절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세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100 : 프레임 H : 호퍼 200 : 컨베이어벨트 300 : 지지판 400 : 가이드벨트
500 : 가압판 600 : 세절드럼 610 : 롤러 620 : 고정칼날 630 : 돌출칼날
700 :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 800 : 가압판 높이조절부

Claims (3)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가연성폐기물 중 폐비닐이 유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유입된 폐비닐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지지롤러가 마련된 지지판;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어 상기 폐비닐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상기 폐비닐을 지지하는 가이드벨트;
    상기 가이드벨트의 내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과 함께 상기 폐비닐을 가압하여 상기 폐비닐의 이탈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가압롤러가 마련된 가압판; 및
    둘레부에 고정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벨트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가이드벨트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을 세절하는 한 쌍의 세절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의 단부에는 회전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벨트 높이조절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판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KR1020190090993A 2019-07-26 2019-07-26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KR10205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93A KR102054996B1 (ko) 2019-07-26 2019-07-26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93A KR102054996B1 (ko) 2019-07-26 2019-07-26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996B1 true KR102054996B1 (ko) 2019-12-12

Family

ID=6900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93A KR102054996B1 (ko) 2019-07-26 2019-07-26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698A (ko) * 2008-12-18 2010-06-28 주식회사 월드리싸이클링 폐비닐 압축 절단 시스템
KR101688216B1 (ko) * 2016-06-09 2016-12-20 (주)이스턴에프티씨 발포폼 진공크러싱 장치 및 방법
KR101753105B1 (ko) * 2015-11-17 2017-07-04 정필성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698A (ko) * 2008-12-18 2010-06-28 주식회사 월드리싸이클링 폐비닐 압축 절단 시스템
KR101753105B1 (ko) * 2015-11-17 2017-07-04 정필성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KR101688216B1 (ko) * 2016-06-09 2016-12-20 (주)이스턴에프티씨 발포폼 진공크러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237B1 (ko) 폐태양광발전모듈 분해 처리장치
EP3705183B1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rushing materials
KR100973771B1 (ko) 파쇄기
CN111589542A (zh) 一种用于衬衫加工的废弃布料回收装置
CN104014405B (zh) 木塑模板制粉机
KR20110096926A (ko) 파쇄기
KR20100070698A (ko) 폐비닐 압축 절단 시스템
KR102054996B1 (ko) 폐비닐의 중간처리를 위한 세절기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20120014761A (ko) 폐 수지 파쇄장치
CN206189188U (zh) 一种废纸破碎装置
KR20160031197A (ko)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JP2000117138A (ja) 金属線で被覆あるいは補強された繊維断熱材廃材の分離処理方法および分離処理装置
CN206549776U (zh) 一种新型固体废物破碎机
KR20160079418A (ko) 분쇄기 장치의 투입롤러
CN205435953U (zh) 一种适用于开料后板材边料的自动碎料边料破碎系统
JP2004344776A (ja) ロールクラッシャーの補助破砕装置
KR20160020943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의 파쇄기 장치
CN218222580U (zh) 一种纸品生产高效废纸回收装置
CN219168533U (zh) 一种玻璃破碎机
CN220297600U (zh) 一种挤塑板生产的废板处理机
CN214394978U (zh) 带有厚薄组合刀的双轴机
KR100612527B1 (ko) 제지용 섬유를 함유하는 압축된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BR102013028264A2 (pt) Aparelho para quebra e transporte e método para quebra e transporte de resíduos
CN218139249U (zh) 一种具有过滤筛分功能的撕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