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466B1 -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466B1
KR102053466B1 KR1020140043996A KR20140043996A KR102053466B1 KR 102053466 B1 KR102053466 B1 KR 102053466B1 KR 1020140043996 A KR1020140043996 A KR 1020140043996A KR 20140043996 A KR20140043996 A KR 20140043996A KR 102053466 B1 KR102053466 B1 KR 10205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w
oil reservoir
reservoi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320A (ko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6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장치나 브레이크장치 등에 설치되어 오일 속의 이물질 제거는 물론 기포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오일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 면적 내에 유동 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는 역할의 가이드 트랙과 오일 유동과 기포 이동 경로를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판의 조합을 이용하여, 탱크 내의 기포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포 상승 방해 인자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입 기포 제거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기포 배출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탱크로 유입되는 오일의 수직방향 유동을 수평방향 유동으로 변경시켜서 오일 유동을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의 새로운 입구포트를 구현함으로써, 필터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기포의 미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Oil reservoir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장치나 브레이크장치 등에 설치되는 오일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 제거는 물론 기포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오일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 조향장치에는 파워 스티어링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장치는 작동 유체로 사용되는 파워 스티어링오일을 오일펌프로 가압하여 형성된 유압을 조향장치 중간의 배력장치에 전달하고, 이때의 유압으로 핸들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장치에는 오일 리저버 탱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오일 리저버 탱크는 최초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파이프 라인에 파워 스티어링오일을 주입하는 통로를 제공하고, 자동차 사용 중에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의 교환이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오일의 교환 및 보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오일 리저버 탱크는 파워 스티어링장치 작동 시 작동 유체로 사용되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 오일 파이프라인의 동력 실린더에서 소정의 압력을 가진 자동유체로 사용된 후에 오일펌프로 재순환되는 라인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며, 오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오일 리저버 탱크는 미국공개특허 2012/0091047호,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2229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리저버 탱크는 하우징(100)과 캡(110), 내부의 오일필터(120), 오일 유입측의 입구포트(130), 오일 흐름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트랙(14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0은 오일이 배출되는 출구포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오일은 탱크 중앙의 입구포트를 통해 들어와 법선 방향으로 오일필터를 통해 분산되고, 이렇게 분산된 오일은 가이드 트랙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출구포트를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이물질은 오일필터를 통해 걸러지게 되고, 기포의 경우 오일필터를 통과하여 오일의 유동에 따라 이동되며, 이러한 기포가 출구포트로 배출되지 않고 유면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탱크의 주요 기능이다.
보통 기포 유출량의 정의는 탱크 내에 들어온 기포가 다시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양으로 그 값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 오일 리저버 탱크의 유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도가 낮아(2RPM) 원심력에 의한 효과는 거의 없고, 기포는 부력에 의해 오일과 분리되면서 오일 최상면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따라 배출률이 상이하며, 가이드 트랙의 경우 이동거리를 늘려 분리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유동 해석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기포의 평균 이동 속도는 1m/s 이하로서, 오일탱크의 최외각 원주길이(600mm)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속도는 2RPM 미만이며, 일반적인 원심분리기의 회전수가 10,000RPM 이상인 것을 고려할 때 2RPM 정도의 회전력으로 밀도 차를 이용한 물질의 분리는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예측은 유동 해석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유동 경로 내의 기포는 회전 반경과 무관하게 균일하게 분포되며, 오일의 유동에 따라 이도안다.
기포가 분리되는 것은 기포 자체의 부력에 의한 효과가 가장 크며, 따라서 부력에 영향을 주는 기포의 크기 및 오일의 점도에 영향을 받는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나선형의 가이드 트랙은 동일 공간 내에서 유동의 이동거리를 증가시켜 탱크 내에 기포가 머무르는 시간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기포가 부력에 의해 상부 유면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효과가 있지만, 오일 속의 기포를 충분히 제거하는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동일 면적 내에 유동 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는 역할의 가이드 트랙과 오일 유동과 기포 이동 경로를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판의 조합을 이용하여, 탱크 내의 기포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포 상승 방해 인자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입 기포 제거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기포 배출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로 유입되는 오일의 수직방향 유동을 수평방향 유동으로 변경시켜서 오일 유동을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의 새로운 입구포트를 구현함으로써, 필터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기포의 미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오일 리저버 탱크는 오일의 하우징 내 유입을 위한 입구포트와 오일의 유동 회전을 위한 나선형의 가이드 트랙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랙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하우징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어 오일의 유동과 기포의 이동 경로를 분리하는 역할의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오일 리저버 탱크는 탱크 내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포가 오일 유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은 하우징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범위, 예를 들면 90°∼120°의 범위에 걸쳐 수평 배치되는 호(弧) 형상의 띠 모양을 하고 있는 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트랙의 경우 나선형이 시작되는 내측 단부에 하우징 중심을 향해 꺽인 형태의 차단벽이 구비되어, 내측부에서의 오일 유동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 가이드 트랙의 나선형이 시작되는 내측 일정구간의 트랙 높이는 다른 트랙 구간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어서, 오일이 낮은 벽체 구간을 넘어 윗쪽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리저버 탱크는 오일의 배출을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오일이 이동되는 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있는 오일 유입구를 가지는 출구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포트는 상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관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 열의 오일 배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각 열에는 다수 개의 오일 배출구는 관 둘레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입구포트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각 열의 오일 배출구는 관 원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나선형 가이드 트랙에 차단벽을 적용하여 이동 경로 증대에 따른 탱크 내 기포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분리판을 적용하여 기포의 상승을 방해하는 인자를 제거함으로써 기포가 오일유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면으로 상승되도록 할 수 있는 등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입구포트에 경사형 관 구조 및 반구형 마개를 적용함으로써, 유동을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작을 단순화하고 필터 표면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유동 집중부를 최소화하는 등 필터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포의 미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의 가이드 트랙과 분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에서 오일유동과 기포상승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에서 기포분리 효과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의 입구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오일 리저버 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오일 리어버 탱크에서 오일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사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오일 리저버 탱크는 원심력을 이용한 기포 분리 방식으로서, 그 효과가 미미한 것을 해석 및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기포가 분리되는 가장 중요한 힘은 기포의 부력이며, 이에 가장 큰 인자는 기포의 크기인데, 기포의 크기는 부품을 통해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부력에 의해 기포가 상승되는 것을 방해하는 인자를 제거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고 있다.
기포의 상승을 방해하는 요인은 오일 유동에 의해 기포를 하강시키는 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포의 상승과 오일의 유동을 분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를 위해 탱크 출구부의 형상과 출구부 상부에 격벽(차단판)을 적용하여 상승된 기포를 끌어당기는 힘을 상쇄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의 가이드 트랙과 분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리저버 탱크는 기본적으로 하우징(도 5의 도면부호 10)과 캡(미도시),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오일의 하우징 내 유입을 위한 입구포트(13) 및 상기 입구포트(13)의 바깥둘레에 배치되는 오일필터(도 5의 도면부호 12), 상기 오일필터(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오일의 유동 회전을 위한 나선형의 가이드 트랙(1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캡, 입구포트, 가이드 트랙의 배치구조나 결합구조는 종래의 오일 리저버 탱크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트랙(14)는 하우징 바닥(11)에 일정높이로 세워지는 벽체로서, 하우징 중심의 내측에서부터 시작하여 하우징 외곽의 외측까지 이어져서 끝나는 나선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트랙(14)의 중심부 내측으로 들어온 오일은 가이드 트랙(14)을 따라 유도되어 나선형의 흐름을 보이면서 외측으로 보내지게 되고, 후술하는 출구포트(15)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트랙(14)은 오일이 처음 도입되는 내측부에서의 오일 유동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차단벽(17)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단벽(17)은 트랙의 나선형이 시작되는 내측 단부에서 하우징 중심을 향해 급격히 꺽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오일필터를 빠져나와서 가이드 트랙(14)의 중심부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은 곧바로 트랙 외측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차단벽(17)에 의해 방향이 유도되면서 내측에서의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되며, 결국 오일 이동 경로 증대에 따른 체류시간을 좀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트랙(14)의 내측부에서의 오일 유동 거리를 좀더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가이드 트랙(14)의 나선형이 시작되는 내측 일정구간(나선형 시작점부터 차단벽이 꺽이는 지점까지의 구간)의 트랙 높이는 다른 트랙 구간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트랙(14)의 중심부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은 아래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낮은 벽체 구간을 타고 넘어 윗쪽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오일 체류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일의 유동과 기포의 이동 경로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리판(16)이 마련된다.
상기 분리판(16)은 호(弧) 형상의 띠 모양을 하고 있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게 되고, 하우징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범위, 예를 들면 90°∼120°의 범위에 걸쳐 수평 배치된다.
이러한 분리판(16)은 가이드 트랙(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하우징 바닥(11)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어, 예를 들면 출구포트(15)의 상단부에 근접한 윗쪽에 위치되어 오일의 유동과 기포의 이동 경로를 분리하면서 기포의 다운포스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오일의 배출을 위한 수단으로 출구포트(15)가 마련되고, 이때의 출구포트(15)는 하우징 바닥(11)의 일측에서, 예를 들면 분리판(16)의 저부에서 하우징 바닥(11)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포트(15)에 있는 오일 유입구(18)는 오일이 이동되는 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있는 형성되며, 이에 따라 기포가 분리된 분리판 하부의 수평 유동 흐름을 보이는 오일이 오일 유입구(18)로 자연스럽게 들어와 하우징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에서 오일유동과 기포상승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분석을 통해 가이드 트랙(14)의 역할은 동일 면적 내에 유동 경로를 증대하여, 기포가 부력에 의해 유체 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트랙(14)의 역할을 원심력에 의한 기포 분리가 아닌, 이동 경로 증대에 따른 탱크 내 기포 체류시간을 증대하는 것으로 규정하며, 이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나선형 가이드 트랙(14)의 내측면에 차단벽(17)을 적용하여 필터를 통과한 유동이 바로 유출되지 않고 트랙 내측부 유로를 순환하도록 하였다.
또한, 입자가 큰 기포는 내측부 유로를 순환하면서 제거되며, 보다 작은 기포는 오일 유동을 따라 트랙 외측부를 순환한다.
이때, 내측부 유로를 통과하는 경로를 높이가 낮은 벽체 구조를 통해 상단에 마련한다.
이에 따라, 분리판(16)과 출구포트(15)의 형상에 의해 오일 유동은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기포의 크기에 따라 상승 속도는 다르나, 미세입자를 제외하고 기포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분리판(16)의 하부로 오일이 유동하기 시작하면, 분리판 상부의 기포는 오일 유동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상승 분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에서 기포분리 효과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사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출구포트(15)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리판(16)을 적용함으로써, 오일의 유동과 기포 이동 경로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포에 대한 오일 유동 영향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판(16)의 하부를 따라 흐르는 오일 유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기포가 윗쪽으로 원활히 상승하면서 유면으로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리저버 탱크의 입구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구포트(13)는 하우징 바닥(11)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우징 내부에 세워지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입구포트(13)의 주위에는 오일필터(12)가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은 입구포트(13)의 내부를 경유한 후에 오일필터(12)를 통과하여 가이드 트랙(14)의 내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입구포트(13)는 상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관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 열의 오일 배출구(19)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입구포트(13)의 전체 길이에 걸쳐 3열의 오일 배출구(19)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를 제공한다.
특히, 각각의 열에는 다수 개의 오일 배출구(19)는 관 둘레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또 서로 이웃하는 각 열의 오일 배출구(19)는 관 원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므로서, 입구포트(13)로 들어온 오일은 각 열에 있는 각각의 오일 배출구(19)를 통해 균일하게 분배되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구포트(13)의 상단부는 반구형의 마개(20)가 장착되며, 이러한 반구형의 마개(20)로 인해 오일 유동을 사방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입구포트(13)의 주요 기능은 오일필터 표면에 고르게 오일을 분포시켜 이물질 제거를 원활히 하는 것을 우선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입구포트(13)는 수직방향의 유동을 수평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 측면에 배출구멍을 뚫고 유동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상측부로 갈수록 축소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기존 입구포트의 경우 배출구멍의 개수와 면적이 부족하여 오일필터를 균일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유동 집중부가 생긴다.
이러한 특성으로 필터의 부분적인 마모가 발생하며 유입된 기포가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필터 표면에 충돌하여 기포가 미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미립화된 기포는 부력이 작아서 시스템 내부를 순환하게 되며, 부품 파손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형 관과 반구형 마개를 이용하여 유동을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로 입구포트를 개선하였다.
이를 통해, 제작을 단순화할 수 있고 필터 표면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유동 집중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입구포트를 적용함에 따라 필터의 수명을 증대할 수 있고, 기포의 미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입 기포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분리판 구조 등을 적용한 오일 리저버 탱크를 구현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기포의 거동에 대해 오일 유동의 영향을 분리할 수 있는 등 기존 기술 대비 평균 60% 정도의 기포 배출을 개선할 수 있는 한편, 입구포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서 유입 유량의 균일한 분배 및 필터 표면의 고른 활용, 그리고 필터 교환주기를 개선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바닥
12 : 오일필터
13 : 입구포트
14 : 가이드 트랙
15 : 출구포트
16 : 분리판
17 : 차단벽
18 : 오일 유입구
19 : 오일 배출구
20 : 마개

Claims (7)

  1.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에 있어서,
    오일의 하우징 내 유입을 위한 입구포트(13)와 오일의 유동 회전을 위한 나선형의 가이드 트랙(14)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랙(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하우징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어 오일의 유동과 기포의 이동 경로를 분리하는 역할의 분리판(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6)은 하우징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 배치되는 호(弧) 형상의 띠 모양을 하고 있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14)에는 나선형이 시작되는 내측 단부에 하우징 중심을 향해 꺽인 형태의 차단벽(17)이 형성되어, 내측부에서의 오일 유동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14)의 나선형이 시작되는 내측 일정구간의 트랙 높이는 다른 트랙 구간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어서, 오일이 낮은 벽체 구간을 넘어 윗쪽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일의 배출을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오일이 이동되는 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향해 있는 오일 유입구(18)를 가지는 출구포트(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13)는 상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관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 열의 오일 배출구(19)가 형성됨과 더불어 각 열에는 다수 개의 오일 배출구(19)는 관 둘레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13)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각 열의 오일 배출구(19)는 관 원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KR1020140043996A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KR10205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96A KR102053466B1 (ko)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96A KR102053466B1 (ko)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20A KR20150118320A (ko) 2015-10-22
KR102053466B1 true KR102053466B1 (ko) 2020-01-08

Family

ID=5442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996A KR102053466B1 (ko) 2014-04-14 2014-04-14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7894A (zh) * 2021-05-28 2021-09-21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1047A1 (en) 2007-11-15 2012-04-19 Robert Bosch Gmbh Oil reservoir comprising an oil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08Y1 (ko) * 2009-08-28 2012-09-10 주식회사 세원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탱크의 와류방지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1047A1 (en) 2007-11-15 2012-04-19 Robert Bosch Gmbh Oil reservoir comprising an oil 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7894A (zh) * 2021-05-28 2021-09-21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20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2327B2 (en) Unvented, back-pressure-controlled, laminar-annular-velocity-distribution,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CN101678247B (zh) 用于液体分离的系统和方法
DE3925355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eiden der Einzelkomponenten eines Materialstromes
KR101679496B1 (ko) 원심 분리기
US11180980B2 (en) Downhole oil, gas, water and sand separation method and separator
KR102053466B1 (ko) 자동차의 오일 리저버 탱크
US5683342A (en) Oil cleaning assemblies for engines
DE102006051770B4 (de) Aktives Luftabscheidungssystem für Kraftfahrzeugkühlsysteme
US3362136A (en) Apparatus for degassing fluids
US4122016A (en) Settling tank
RU2612741C1 (ru) Жидкостно-газовый сепаратор
JP6317249B2 (ja) 沈砂分離装置
KR101435017B1 (ko)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EA006932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атия дисперсной системы при жидкостной экстракции
HU183275B (en) Device for deaerating and degassing circulating fluid particularly for cooling fluid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440486A (zh) 油井井下流体分离用的设备和方法
JP2009167812A (ja) 遠心分離式オイルフィルタ
CN105745024A (zh) 混合型离心分离机
RU263054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отработанной воды
KR102367543B1 (ko)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가 적용된 여과지
KR102104128B1 (ko) 압축공기용 응축수 제거장치
RU2604378C1 (ru) Центрифуга для очистки технических масел
US10662081B2 (en) Skim tank for treating production fluids
KR101809980B1 (ko) 이중분산구조를 포함하는 이동상 상향류식 모래여과기
CN102220184B (zh) 一种基于超重力技术的液压油在线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