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010B1 -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 Google Patents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010B1
KR102053010B1 KR1020190053004A KR20190053004A KR102053010B1 KR 102053010 B1 KR102053010 B1 KR 102053010B1 KR 1020190053004 A KR1020190053004 A KR 1020190053004A KR 20190053004 A KR20190053004 A KR 20190053004A KR 102053010 B1 KR102053010 B1 KR 10205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mple
diffusing lens
optical axis
light dif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호경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Priority to KR102019005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ight diffusion lens. The light diffusion len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surface of an oval shape, an incident surface formed concavely from one region (incident port) of the lower surface to the inside, and an exit surface on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is emitted; and at least two arranged first dimples are formed on the exit surface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optical axi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inimizing a dark part formed in the light diffused through the lens by using the dimples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or the exit surface.

Description

광 확산렌즈{LENS FOR WIDE DIFFUSION LIGHT}Light Diffusion Lens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본 발명은 광 확산렌즈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diffusing lens.

근래 들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소형 및 경량화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된 평판 표시장치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which are smaller and lighter, and whose performance has been improved, is increasing explosively around the rapidly developing semiconductor technology.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한 다수의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e spotlight in recent years in such a flat pane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LCD) because it has advantages such as small size,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screen, the conventional cathode-ray tube;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athode ray tube CRT) gradual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means to take in and is now in use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that require a display unit.

액정 표시장치에서의 액정 표시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소자이기 때문에, 액정 표시패널 하부에서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 도광판, 반사 시트 및 광학 시트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es a backlight unit for provid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nd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backlight unit may include a lamp, a light guide plate, a reflective sheet, an optical sheet, and the like.

상기 램프는 비교적 발열량이 적으며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발생시키고 수명이 긴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나 색 재현성이 좋고 저전력이 소비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고 한다)를 이용한 LED 방식 램프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냉음극선관 방식의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LED 방식 램프가 색 재현성이 좋으며, 소비전력도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LED 방식 램프 제품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The lamp is relatively heat value is less was luminescence generated close to white light to natural light and good long-life cold cathode fluorescent tube that way the lamp or the color reproducibility low power consumption LED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ED') an LED system using use the lamp. Conventionally, although a cold cathode ray tube type lamp was used, LED type lamp products have started to be used because LED type lamps have good color reproducibil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LED가 발하는 빛은 직진성이 강해 LED 정면 방향으로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빛이 액정 표시 패널의 전체로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LED의 정면 부분이 더 밝고 정면에서 멀어질수록 어두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ED의 빛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The light emitted by the LED is straight and tends to concentrate toward the front of the LED. Therefore, light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to solve the problems not being evenly distributed to the whole that is the front portion of the LED brighter be more dark, away from the fron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light of the LED effectively and techniques to evenly spread have.

특히, LED의 고휘도 및 고효율로 인하여 사이즈가 증대되고, LED가 단면 발광이 아닌 4면 또는 5면 발광을 현실에서 LED의 빛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In particular, the size is increased due to the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of the LED, and the demand for a technology for effectively and uniformly spreading the light of the LED in the realization of the four- or five-sided light emission, rather than the single-sided light emission is increasing.

따라서, LED가 면조사를 구현하도록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과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렌즈에 의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암부를 최소화하여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기술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 lens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uniformity of light by designing the incident surface where light is incident and the exit surface where the light is emitted so that the LED implements the surface irradiation, and minimizes the dark part locally generated by the lens based on this. Further requirements for a situation where the ri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이용하여 렌즈를 통해 확산되는 광에 형성되는 암부를 최소화하는 광 확산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light diffusion lens that minimizes a dark portion formed in light diffused through a lens by using dimples formed at an entrance surface or an emission surf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이용하여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는 광 확산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optical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by using a dimple formed on the entrance surface or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to ens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It is to provide a diffusion len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의 형상 또는 위치, 출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의 형상 또는 위치, 및 입사면에 형성되는 딤플과 출사면에 형성되는 딤플과의 관계를 설계적 측면에서 제시함으로써 확산되는 광에 형성될 수 있는 암부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광 확산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r position of the dimpl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the shape or position of the dimple formed on the exit surface, the dimpl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dimple formed on the exit surface By presen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esign aspect to provide a light diffusing lens that prevents or minimizes the dark portion that can be formed in the light to be diffus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에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적어도 두개 배치되는 제1딤플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light diffusion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An entrance surface concave inwardly from one region (incident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And an emission surface at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is emitted, and at least two first dimples may be formed on the emission surface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딤플은, 광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딤플의 중심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는 약 36 내지 40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mple is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the angl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dimple with the optical axis may be about 36 to 40 degre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딤플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mple may have an elliptic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딤플의 장축의 길이는 단축의 길이의 실질적으로 6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first dimple may be substantially six times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면은 타원 형상이고, 상기 하부면의 장축은 상기 제1딤플의 단축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is an elliptic shape, the long axis of the lower surface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hort axis of the first dimple.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에 광축으로부터 소정 제1반경의 위치에 타원 형상의 제1딤플이 형성되고, 상기 출사면에, 상기 제1반경보다 작은 제2반경의 위치에 타원 형상의 적어도 두개의 제2딤플이 형성되고, 상기 출사면에, 상기 제2반경보다 작은 제3반경의 위치에 타원 형상의 제3딤플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light diffusion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An entrance surface concave inwardly from one region (incident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And an emission surface on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is emitted, an elliptic first dimple is formed at a position of a first radius from an optical axis on the emission surface, and the first radius on the emission surface. At least two second dimples of an elliptic shape are formed at a smaller second radius, and an elliptic third dimple is formed at a third radius smaller than the second radius on the emission surf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딤플의 단축이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axis of the first and third dimples may be arranged corresponding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딤플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제1딤플의 장축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3딤플의 장축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second dimple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first dimple and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third dimp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딤플은, 광축을 기준으로 소정 발산각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발산각은 50도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dimples ar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based on the optical axis, and the divergence angle may be 50 degrees or le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이용하여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dimple formed on the entrance surface or the exit surface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by changing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입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이용하여 배광에 따른 암부를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광 균일도를 향상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출사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이용하여 암부 또는 휘부를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광 균일도를 향상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impl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to remove or minimize the dark portion due to light distribution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by using a dimple formed on the exit surface to remove or minimize the dark portion or the bent portion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광원과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제1딤플에 의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있어서 제1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배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입사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B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7은 광원과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제2딤플에 의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있어서 제2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배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D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6은 광원과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제1딤플과 제2딤플에 의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0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2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E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6은 광원과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있어서 제3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배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0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1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2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3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4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F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6은 광원과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있어서 제3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배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9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0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1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2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3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4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53의 G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6은 광원과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A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path by the first dimpl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light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first dimple in the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12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1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B of FIG. 15.
1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8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second dimpl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9 is a view showing light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second dimple in the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21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2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3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2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D of FIG. 24.
FIG. 2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7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path by first and second dimple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29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30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31 is a front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3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ng axis direction based on an exit surface of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rt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E of FIG. 33.
3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7 shows light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hird dimple in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39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0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ng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rt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4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F of FIG. 43.
4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47 is a view showing light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hird dimple in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4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49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5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5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5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5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ng axis direction based on an exit surface of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5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rt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5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G of FIG. 53.
Fig. 5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stitu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of the components is larger than the actual drawings, and the ratio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term may onl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Can be. In addi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7은 광원과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5는 도 1의 A1-A1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R 방향은 반경 방향이고, z 방향은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rea A of FIG.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A1-A1 in FIG. 1. In FIG.4 and FIG.5, R direction is a radial direction and z direction shows an axial direction or an optical axis direction.

한편, 광축(C)이라 함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중심이며, 상기 광 확산렌즈(1)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axis (C) is the center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는 액정 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광원(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확산렌즈(1)는 상기 광원(10)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확산렌즈(1)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에 형성된 딤플을 이용하여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include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 mounted on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light diffusion lens 1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light source 10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n this case, the light-diffusing lens (1) is capable of diffusing light by using the dimples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00 of an aspherical shape, and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는 하부면(100),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00), 상기 입사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 및 상기 입사면(200)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1딤플(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은 상부면(310)과 측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면(310)은 상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측'과 '하부측'은 상대적인 표현으로서 이하에서 별다른 정의가 없다면, 하부면(100)에서 상부면(310)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부측(위쪽)으로 정하고, 이와 반대로 상부면(310)에서 하부면(100)으로 향하는 방향을 하부측(아래쪽)으로 정한다. 1 to 7, the light diffusion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lower surface 100, an incident surface 200 to which light is incident,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 first dimple 400 formed convexly on the exit surface 200. In this case,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 and a side surface 320.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convexly toward the upper side. Here, 'upper side' and 'lower side' are relative expressions,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below,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100 to the upper surface 310 is determined as the upper side (upper side), and conversely, the upper surface ( The direction from 310 to the lower surface 100 is determined as the lower side (lower side).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과 출사면(300) 및 입사면(200)에 형성된 제1딤플(400)을 이용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diffusing lens 1 uses the aspherical incidence surface 200, the emission surface 300, and the first dimple 400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00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Can spread.

즉, 상기 광 확산렌즈(1)에 있어서,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제1딤플(400)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제1딤플(400)의 배치, 형상 및 사이즈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That is, in the light diffusion lens 1, since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emission surface 300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re changed by the first dimple 400, the aspherical surface shape is changed.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emission surface 300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size of the first dimple 400 serve as the largest elements of the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ath of light.

상기 광 확산렌즈(1)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굴절율은 1.58이고, 상기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의 굴절률은 1.49이다. The light diffusing lens 1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of polycarbonate or polymethmethylacrylate. He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carbonate is 1.58,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 methyl acrylate is 1.49.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면(100)은 중앙에 입사구(210)가 배치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3, the lower surface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ich is joined to the central opening (210) disposed.

그리고, 하부면(100)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10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or a planar shape in a downward direction.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하부면(100)은 상부면(310)의 중심 부분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일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100 of the convex 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

하부면(100)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하부면(100)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까지는 평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평면이 끝나는 지점부터 중심측으로 하부볼록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면(100)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동안 곡률이 0이지만, 상기 일정 길이 이상부터 상기 중심까지는 곡률이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The lower surface 100, but that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of a convex shape in a downward direction. Exampl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100 may have a plane formed at a constant length from the edge to the center direction, and a lower convex surface may be formed from the point where the plane ends to the center side. That is, the lower surface 100 has a curvature of 0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dge to the center direction, but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increases from the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to the center and then decreases again.

상기 평면만으로 구성된 하부면과 비교해 볼 때, 상기 하부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부면(100)의 경우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 중에서 하부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부측으로 더 많이 전반사 시킬 수 있다. Compared with the lower surface consisting of only the plane, the lower surface 100 having the lower convex surface can be more totally refl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ght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여기서, 상기 하부볼록면에 의해 우선적으로 상기 광이 전반사되도록 상기 평면은 상기 하부볼록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lane is preferably disposed outside the lower convex surface such that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by the lower convex surface.

또한, 평면 형상의 하부면(100)은 측부면(320)의 하부측 단부에서 광축(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평면 형상의 하부면(100)은 측부면(320)의 하부측 단부를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평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면(100)은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 중에서 하부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부측으로 더 많이 전반사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100 of the planar shap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ptical axis (C)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320). Referring to FIG. 4, the planar bottom surface 100 may be a plan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bottom end of the side surface 320.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100 may totally reflect mor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입사면(200)은 입사구(210)에 위치하는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광 확산렌즈(1)의 내부로 입사되는 표면 부분이다. The incident surface 200 is a surface portion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positioned at the incident hole 210 is incident into the light diffusion lens 1.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은 하부면(100)의 중앙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면(100)의 중앙에는 입사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5, the aspherical incidence surface 20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 Accordingly, the entrance hole 21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

입사면(200)의 수직 단면은 반타원구 형상, 반럭비(rugby)공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사면(200)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사면(200)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면(100)에서 소정의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in a semi-elliptic sphere shape, a rugby hole shape, or a parabolic shape. Accordingly,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as an aspherical surface. In this case,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1 on the lower surface 100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사면(200)의 수평 단면은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원형일 수 있다. 이때, 입사면(200)의 수직 단면은 반타원구 형상, 반럭비(rugby)공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입사면(200)의 수평 단면의 반경은 상부측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사면(200)은 최대 반경(R1)을 구비할 수 있다. 1, 3, and 5,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circula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In this case,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re formed in half tawongu shape, half rugby (rugby) ball-shaped or parabolic-shaped, the radius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 can be reduced gradually toward the top. Accordingly,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have a maximum radius R1.

입사구(210)는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사구(210)는 입사면(200)의 하부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입사구(210)에서 입사면(200)은 최대 반경(R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사면(200)의 최대 반경(R1)은 제1반경이라 불릴 수 있다. The entrance hole 2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In this case, since the entrance hole 2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entrance surface 200, the entrance surface 200 may be formed to have a maximum radius R1 at the entrance hole 210. Here, the maximum radius R1 of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radius.

그리고, 입사구(210)의 중심은 광축(C)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입사구(210)의 중앙에는 광원(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10)과 입사면(200) 사이에는 공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에서 상기 공기층으로 출사되는 광의 경우 굴절율이 다른 상기 광 확산렌즈(1)의 입사면(200)에서 굴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entrance hole 210 may be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C, and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entrance hole 210. Accordingly, an air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1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o the air layer may be refracted by the incident surface 200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출사면(300)은 입사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상기 광 확산렌즈(1)의 표면으로서, 광축(C)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rotational symmetry)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축 방향에서 출사면(300)을 바라볼 때, 출사면(300)은 소정의 반경(R2)을 갖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의 반경(R2)은 제2반경이라 불릴 수 있다. The emission surface 300 is a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is emitted, and may be formed to be rotation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emission surface 300 is view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R2. Here, the radius R2 of the exit surface 30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radius.

그리고, 출사면(300)의 높이(H2)는 출사면(300)의 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Then, the height (H2) of the light exit surface 300 can be smaller than the radius (R2) of the exit surface (300).

도 4를 참조하면, 출사면(300)은 볼록 형상의 상부면(310) 및 상기 상부면(310)과 하부면(100)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부면은 광축(C)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사면(200)을 통해 상기 광 확산렌즈(1)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상부면(310)을 통해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된다.Referring to FIG. 4,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 convex upper surface 310 and a side surface 320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310 and the lower surface 100.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C). In addition, some of the light incident into the light diffusing lens 1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are refrac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310 and emitted to the outside.

상부면(310)은 반구면 형상 또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부면(310)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convexly in a hemispherical shape or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convex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direction).

이때, 상부면(310)은 광축(C)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부면(310)은 광축(C)을 기준으로 대칭적 광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relative to the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virtual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310 may implement a symmetrical optical pa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상부면(310)은 최상단 중심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부면(310)의 최상단 중심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보다 평탄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center portion to the edge portion. Alternatively, the uppermost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latter than the edge portion.

제1딤플(400)은 광축(C)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딤플(400)은 제1돌출부 또는 제1돌기라 불릴 수 있다. The first dimple 400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first dimple 400 may be called a first protrusion or first protrusion.

상기 입사면(200)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딤플(4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딤플(400) 각각의 합은 상기 입사면(200)의 전체 면적의 30%이하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dimples 400 may b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sum of each of the first dimples 400 may be 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

즉, 복수 개의 제1딤플(400)은 입사면(200)의 전체 면적의 30%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만일, 제1딤플(400)이 입사면(200)의 전체 면적의 30%를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광 확산렌즈(1)의 전체적인 화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데, 제1딤플(400)의 전체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반사 및 재귀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제1딤플(400)이 적용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딤플(400)의 면적의 합은 입사면(200)의 전체 면적의 30%이하이어야 한다.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dimples 400 should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 If the first dimple 400 has an area exceeding 30%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 the first dimple 400 affects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For example, when the total area of the first dimple 400 increases, the path of the reflected and recurrent light is changed.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first dimples 400 are applie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first dimples 400 is applied. Should be 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

도 7을 참조하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θ)을 형성하며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딤플(400)은 상기 발산각(θ) 내에 배치되어 출사면(300) 중 상부면(310)으로 광을 굴절시켜 출사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는 제1딤플(400)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발산각(θ)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이하일 수 있다. 즉, 제1딤플(400)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배치되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7, since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with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θ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e first dimple 400 may emit the divergence. The light is refracted to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emission surface 300 to be emitted by being disposed within the angle θ.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 may change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first dimple 400 to ens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θ may be 50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at is, the first dimple 400 should be disposed within a range of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딤플(400)은 수직 단면상 소정의 곡률을 갖는 제1곡면(4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곡면(410)은 입사면(200)에서 광축(C)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the first dimple 400 may be formed as a first curved surface 410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 vertical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curved surface 410 may be convexly formed toward the optical axis C at the incident surface 200.

그리고, 제1곡면(410)의 중심(C1)은 상기 광 확산렌즈(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곡면(410)의 중심(C1)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입사면(200)의 높이(H1)의 중심(C2)을 수평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L)은 상기 측부면(320)보다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C1 of the first curved surface 410 may be disposed in the light diffusion lens 1. In this case, the center C1 of the first curved surface 410 may be disposed on an imaginary line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C2 of the height H1 of the incident surfac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be. In this case, the line L may be disposed above the side surface 320.

도 5를 참조하면, 제1딤플(400)은 수직 단면상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는 반경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딤플(400)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고려하여 한 개 또는 두 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반경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짝수로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wo first dimples 4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on a vertical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 can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in the radial direction. Herein, one or more first dimples 400 may b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may further include two or more even optical axes in consideration of light uniformity in the radial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C).

한편, 제1딤플(400)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사면(2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딤플(40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dimple 40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protrude from the incident surface 200. 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dimple 4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딤플(400)과 상기 입사면(200)이 만나는 모서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딤플(400)과 상기 입사면(200)이 만나는 모서리는 제1모서리라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dge where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mee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ere, the corner where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rner.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는 소정의 직경(D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경(D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입사면(200)까지의 최대 반경인 제1반경(R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us, the corner, as illustrated in Figure 5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D1). The diameter D1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R1, which is the maximum radius from the optical axis C to the incident surface 200.

그리고, 상기 모서리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의 일점(P1)과 상단의 일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의 일점(P1)은 제1점으로 불릴 수 있고, 상단의 일점(P2)은 제2점이라 불릴 수 있다. The corner may include one point P1 at the lower end and one point P2 at the upper end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Here, one point P1 at the bottom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oint, and one point P2 at the top may be called a second point.

도 6을 참조하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딤플(400)은 소정의 가용 범위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반경 방향에 대한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 사이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가용범위는 제1딤플(400)이 광축(C)에서 반경 방향으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요소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dimple 400 should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available range based on a radial direction. Here, the available range is the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relative to the radial direction to one point (P2) of the upper end of the edge on the distance (R3) and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of the lower end of the corner It can represent the range between (R4). That is, the available range may be an element indicating how far the first dimple 400 is from the optical axis C in the radi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1딤플(400)이 상기 가용 범위 외에 배치되게 되면, 상기 광 확산렌즈(1)의 내부 반사로 인해 화질상 암부 및 휘부를 발생시켜 광 균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부라 함은 광 확산렌즈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광 중 주변보다 어두운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휘부라 함은 광 확산렌즈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광 중 주변보다 밝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dimple 400 is disposed outside the available range, the light uniformity may be reduced by generating a dark portion and a bright portion due to the internal refl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Here, the dark portion may mean a region darker than the periphery of the light formed by using the light diffusion lens. 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may mean a region brighter than the surroundings of the light formed by using the light diffusion lens.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는 상기 제1딤플(400)을 상기 가용 범위 내에 위치시켜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 may secure the light uniformity by placing the first dimple 400 within the available rang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는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는 상기 최대 반경인 제1반경(R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distance R3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is the distance R4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2 at the top of the corner. ) than can be largely formed. The distance R3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R1 of the maximum radius.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는 제1반경(R1)을 기준으로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를 한정함으로써, 상기 제1딤플(400)의 배치 위치를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 has a distance R3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and one point P2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based on the first radius R1. By limiting the distance R4,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dimple 400 may be suggested.

여기서, 상기 제1반경(R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의 차(R3-R4)의 6.1~6.2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반경(R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의 차(R3-R4)의 6.12배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radius R1 is a distance R3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1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and a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2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It may be 6.1-6.2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R4). In detail, the first radius R1 is a distance R3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1 at the lower end of the corner and a point P2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at the optical axis C. It may be 6.12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the distance (R4).

또한, 상기 모서리의 직경(D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의 차(R3-R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distance of the diameter (D1) of said edge is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2) of the upper end of the edge on the distance (R3) and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of the lower end of the corner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fference (R3-R4) of (R4).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는 상기 모서리의 직경(D1)을 기준으로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를 한정함으로써, 상기 제1딤플(400)의 사이즈를 제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diffusing lens 1 has a distance R3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1 of the lower end of the edge and a point P2 of the upper end of the edge based on the diameter D1 of the edge. By limiting the distance R4 to), the size of the first dimple 400 can be presented.

여기서, 상기 모서리의 직경(D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의 차(R3-R4)의 3.3~3.4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모서리의 직경(D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1)까지의 거리(R3)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2)까지의 거리(R4)의 차(R3-R4)의 3.37배일 수 있다. Here, the distance of the diameter (D1) of said edge is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2) of the upper end of the edge on the distance (R3) and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of the lower end of the corner It may be 3.3 to 3.4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R4). Specifically, the diameter (D1) of the edge is at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2) of the upper end of the edge on the distance (R3) and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1) of the lower end of the corner It may be 3.37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the distance (R4).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제1딤플에 의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9의 (a)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1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제1딤플이 적용된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light path by a first dimpl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9 is a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first dimple. FIG. 9A is a view show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on lens from which the first dimple is deleted in the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9B is a view showing the first dimple applied. A view show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1딤플(400)로 입사되는 광은 제1딤플(400)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광 확산렌즈(1)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1딤플(400)에 의해 제1딤플(400)로 입사되는 광은 모아져서 상기 상부면(310)으로 굴절될 수 있다. 예컨데, 제1딤플(400)은 수렴 렌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light incident on the first dimple 400 may be refracted by the first dimple 400 to improve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For example,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dimple 400 by the first dimple 400 may be collected and refracted to the upper surface 310. For example, the first dimple 400 may serve as a converging lens.

따라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1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의 경우 암부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딤플(400)이 적용된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의 경우 상기 암부가 제거되어 광 균일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A, in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ark portion is formed in the light diffusing lens. However, as shown in FIG. 9B, in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first dimple 400 is applied, the dark portion is removed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이때, 광원(10)으로는 5면 발광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딤플(400)을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하여,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ly, the first dimple 4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hereby improving light uniformity.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입사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입사면(20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10)은 상부발광면(11)과 네 개의 측부발광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원(10)은 5면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원(10)의 하면은 기판(20)의 상면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10)으로 5면 발광 LED가 사용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0, the light source 10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include an upper light emitting surface 11 and four side light emitting surfaces 12.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10 may implement five-sided light emission.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 Here,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is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광원(10)의 상부발광면(11)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조사되고, 측부발광면(12)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광 확산렌즈(1)의 반경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발광면(11)의 중심에는 광축정점(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축정점(11a)은 광축(C)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upper light emitting surface 11 of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may be irradi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In addition, an optical axis peak 11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light emitting surface 11.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peak 11a may be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C line.

그리고,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상기 광 확산렌즈(1)의 제1딤플(400)은 측부발광면(12)과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될 있다. The first dimple 400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as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한편, 상기 광원(10)에는 노란색(Yellow) 형광체가 도포될 수 있다. Meanwhile, a yellow phosphor may be applied to the light source 10.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7은 광원과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5는 도 11의 A2-A2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12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rea B of FIG. 15, 1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ere, FIG. 15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2-A2 line of FIG.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a)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light diffusing len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a)를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와 비교해 볼 때,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a)는 제1딤플(400)이 없다는 점 및 제2딤플(500)을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When the light diffusing len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len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first dimple 400. There is no difference and that the second dimple 500 is included.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a)는 하부면(100),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00), 상기 입사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 및 상기 출사면(300)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딤플(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은 상부면(310)과 측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11 to 17, the light diffusion len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lower surface 100, an incident surface 200 to which light is incident,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 second dimple 500 formed concave in the emission surface 300. In this case,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 and a side surface 320.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a)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과 출사면(300) 및 출사면(300)에 형성된 제2딤플(500)을 이용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a receives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using the aspherical incidence surface 200, the emission surface 300, and the second dimple 500 formed on the emission surface 300. Can spread.

즉, 상기 광 확산렌즈(1a)에 있어서,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제2딤플(500)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제2딤플(500)의 배치, 형상 및 사이즈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That is, in the light diffusing lens 1a, since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exit surface 300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re changed by the second dimple 500, the aspherical surface shape is changed.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emission surface 300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dimple 500 serve as the largest elements of the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ath of light.

제2딤플(500)은 광축(C)을 향해 오목하게 출사면(300)의 상부면(3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딤플(500)은 제1오목부 또는 제1홈이라 불릴 수 있다.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emission surface 300 concave toward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called a first recess or first groove.

도 17을 참조하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θ)을 형성하며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딤플(500)은 상기 발산각(θ) 내에 배치되어 광을 굴절시켜 출사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a)는 제2딤플(500)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발산각(θ)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이하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2딤플(500)의 장축(520)과 단축(530)이 만나는 중심(C3)은 광축(C)을 기준으로 34~40도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딤플(500)의 중심(C)은 광축(C)을 기준으로 37도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since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with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θ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e second dimple 500 may diverge. It is disposed within the angle θ so that the light is refracted and emitted.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a may change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the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dimple 500 to ens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θ may be 50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In detail, the center C3 where the long axis 520 and the short axis 530 of the second dimple 500 meet may be disposed at 34 to 40 degree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Preferably, the center C of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disposed at 37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도 15를 참조하면, 제2딤플(500)은 수직 단면상 곡면으로 형성된 제2곡면(5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곡면(510)은 출사면(300)에서 광축(C)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딤플(500)의 단면은 장축과 단축을 포함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second dimple 500 may include a second curved surface 510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 a vertical s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curved surface 510 may be formed concave toward the optical axis C on the emission surface 300.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clud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도 15를 참조하면, 제2딤플(500)은 수직 단면상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a)는 반경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딤플(500)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고려하여 한 개 또는 두 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반경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짝수로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wo second dimples 5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on a vertical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a may improve light uniformity in the radial direction. Here, one or more second dimples 500 may b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the second dimple 500 may have two or more even numbers of optical axes in consideration of light uniformity in a radial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C).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2딤플(500)과 상기 출사면(300)이 만나는 모서리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딤플(500)과 상기 출사면(300)이 만나는 모서리는 제2모서리라 불릴 수 있다. 11 and 13, the corner where the second dimple 500 and the exit surface 300 meet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Here, an edge where the second dimple 500 and the exit surface 300 mee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rner.

그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는 장축(520)과 단축(530)을 포함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the edge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cluding a long axis 520 and a short axis 530.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딤플(500)과 상기 출사면(300)이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의 일점(P3)과 상단의 일점(P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의 일점(P3)은 제3점으로 불릴 수 있고, 상단의 일점(P4)은 제4점이라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n edge where the second dimple 500 and the exit surface 300 meet each other may include one point P3 at the lower end and one point P4 at the upper end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Here, one point P3 at the bottom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point, and one point P4 at the top may be called a fourth point.

도 16을 참조하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딤플(500)은 소정의 가용 범위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반경 방향에 대한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3)까지의 거리(R5)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4)까지의 거리(R6) 사이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dimple 500 should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available range based on a radial direction. Here, the usable range is the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the radial point in the distance (R5) to one point (P3) at the bottom of the corner and the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4) at the top of the corner It can represent the range between (R6).

따라서, 상기 제2딤플(500)이 상기 가용 범위 외에 배치되게 되면, 상기 광 확산렌즈(1a)의 외부 굴절로 인해 화질상 암부 및 휘부를 발생시켜 광 균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dimple 500 is disposed outside the available range, the light uniformity may be reduced by generating dark portions and bright portions due to external refractio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a.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a)는 상기 제2딤플(500)을 상기 가용 범위 내에 위치시켜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a may secure the light uniformity by placing the second dimple 500 within the available rang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3)까지의 거리(R5)는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4)까지의 거리(R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4)까지의 거리(R6)는 상기 최대 반경인 제1반경(R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distance R5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3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is a distance R6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4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It can be formed larger than). In addition, the distance R6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4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radius R1 that is the maximum radius.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a)는 제1반경(R1)을 기준으로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3)까지의 거리(R5)와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4)까지의 거리(R6)를 한정함으로써, 상기 제2딤플(500)의 배치 위치를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a has a distance R5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3 at the lower end of the corner and the one point P4 at the upper end of the corner based on the first radius R1. By defining the distance R6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suggested.

여기서, 상기 제1반경(R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3)까지의 거리(R5)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4)까지의 거리(R6)의 차(R3-R4)의 4.4~4.5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반경(R1)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3)까지의 거리(R5)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4)까지의 거리(R6)의 차(R3-R4)의 4.47배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radius R1 is a distance R5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3 at the lower end of the corner and a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4 at the upper end of the corner. It may be 4.4 to 4.5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R6). In detail, the first radius R1 is a distance R5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3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and a point P4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at the optical axis C. It may be 4.47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the distance (R6).

또한, 상기 모서리의 장축(520)과 단축(530)의 비에 의해 상기 제2딤플(500)의 사이즈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축(520)의 길이(L1)는 상기 단축(530)의 길이(L2)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a)는 상기 제2딤플(500)의 장축 방향으로 광 확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presented by the ratio of the long axis 520 and the short axis 530 of the corner. In this case, the length L1 of the long axis 520 is greater than the length L2 of the short axis 530. Therefore, the light diffusion lens 1a ma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diffusion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second dimple 500.

여기서, 장축(520)의 길이(L1)는 상기 단축(530)의 길이(L2)의 5.5~6.5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장축(520)의 길이(L1)는 상기 단축(530)의 길이(L2)의 6배일 수 있다. Here, the length L1 of the long axis 520 may be 5.5 to 6.5 times the length L2 of the short axis 530. In detail, the length L1 of the long axis 520 may be six times the length L2 of the short axis 530.

그리고, 출사면(300)의 반경(R2)은 장축(520)의 길이(L1)의 3.5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dius R2 of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be 3.5 times the length L1 of the long axis 520.

도 18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제2딤플에 의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2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9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2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의 (b)는 제2딤플이 적용된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8 is a view showing a light path by a second dimpl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9 is a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second dimple. Here, FIG. 19A illustrates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on lens from which the second dimple is deleted in the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9B illustrates a second dimple applied. 2 is a view show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제2딤플(500)로 입사되는 광은 제2딤플(500)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광 확산렌즈(1a)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2딤플(500)에 의해 제2딤플(500)로 입사되는 광은 발산되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예컨데, 제2딤플(500)은 발산 렌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refracted by the second dimple 500 to improve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a. For exampl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dimple 500 by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emitted and emitt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econd dimple 500 may serve as a diverging lens.

따라서,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2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의 경우 암부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딤플(500)이 적용된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a)의 경우 상기 암부 및 상기 휘부를 개선되어 광 균일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9A, in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dark portion is formed. However, as shown in FIG. 19B, in the cas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second dimple 500 is applied, the dark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are improved to confirm that the light uniformity is improved. Can be.

이때, 광원(10)으로는 5면 발광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딤플(500)을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광 확산렌즈(1a)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ly,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hereby improving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a.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20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2는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4는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D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6은 광원과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4는 도 20의 A3-A3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21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FIG. 22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23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rea D of FIG. FIG. 2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A3-A3 in FIG. 20.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b)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a)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light diffusing lens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ght diffusing len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will be described a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b)를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와 비교해 볼 때,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b)는 제2딤플(5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When the light diffusing lens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lens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uses the second dimple 500. The difference is that it includes more.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b)는 하부면(100),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00), 상기 입사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 상기 입사면(200)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1딤플(400) 및 상기 출사면(300)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딤플(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은 상부면(310)과 측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20 to 26, the light diffusion lens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lower surface 100, an incident surface 200 to which light is incident,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 first dimple 400 convex on the entrance surface 200 and a second dimple 500 concave on the emission surface 300. In this case,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 and a side surface 320.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과 출사면(300), 입사면(200)에 형성된 제1딤플(400) 및 출사면(300)에 형성된 제2딤플(500)을 이용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b may have an aspherical entrance surface 200, an exit surface 300, a first dimple 400 formed on the entrance surface 200 and a second dimple formed on the exit surface 30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ffused using the light source 500.

즉, 상기 광 확산렌즈(1b)에 있어서,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제2딤플(500)의 배치, 형상 및 사이즈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때, 제2딤플(500)은 제1딤플(400)에 의해 굴절되는 광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light diffusion lens 1b,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exit surface 300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by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second dimple 500 Since is changed,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 and the emission surface 300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dimple 500 formed as an aspherical surface acts as the largest factor of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ath of light. . In this case,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refracted by the first dimple 400.

제2딤플(500)은 광축(C)을 향해 오목하게 출사면(300)의 상부면(3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딤플(500)은 오목부라 불릴 수 있다.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emission surface 300 concave toward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called a recess.

도 26을 참조하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θ)을 형성하며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은 상기 발산각(θ) 내에 배치되어 광을 굴절시켜 출사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발산각(θ)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이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since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with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θ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second light may be irradiated. The dimple 500 is disposed within the divergence angle θ to refract the light to be emitted.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b may change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second dimple 500 to sec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To be able.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θ may be 50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이때, 광축(C)을 기준으로 제2딤플(500)이 배치되기 위해 적용되는 발산각은 제1딤플(400)을 적용하기 위한 발산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딤플(400)을 적용하기 위한 발산각을 기준으로 제2딤플(500)은 광축(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applied to arrange the second dimple 500 based on the optical axis C may be smaller than the divergence angle for applying the first dimple 400. That is, as shown in FIG. 26,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optical axis C based on the divergence angle for applying the first dimple 400.

도 24를 참조하면,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은 수직 단면상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반경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 각각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고려하여 한 개 또는 두 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반경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짝수로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two first dimples 400 and two second dimples 5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on a vertical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b may improve light uniformity in the radial direction. Here, each of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disposed in one or more than two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further improves the light uniformity in the radial direction. In consideration, two or more even number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이때,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은, 도 20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S. 20 and 24.

한편, 제1딤플(400)과 상기 입사면(200)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직경(D1)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딤플(500)과 상기 출사면(300)이 만나는 모서리는 장축(520)과 단축(530)을 포함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딤플(400)과 상기 입사면(200)이 만나는 모서리의 직경(D1)은 제2딤플(500)과 상기 출사면(300)이 만나는 모서리의 장축(520)의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딤플(400)과 상기 입사면(200)이 만나는 모서리의 직경(D1)은 제2딤플(500)과 상기 출사면(300)이 만나는 모서리의 단축(530)의 길이(L2)보다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rner where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D1). The edge where the second dimple 500 and the exit surface 300 meet may be formed in an elliptic shape including a long axis 520 and a short axis 530. In this case, the diameter D1 of the corner where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meet is the length L1 of the long axis 520 of the corner where the second dimple 500 and the exit surface 300 meet. Can be less than In this case, the diameter D1 of the corner where the first dimple 4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meet is the length L2 of the short axis 530 of the corner where the second dimple 500 and the exit surface 300 meet. Can be greater than

도 2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제2딤플에 의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7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second dimpl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7을 참조하면, 제1딤플(400)로 입사되는 광은 제1딤플(400)에 의해 집광되어 제2딤플(500)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딤플(500)로 입사된 광은 제2딤플(500)에 의해 확산되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light incident to the first dimple 400 may be collected by the first dimple 400 and incident to the second dimple 500.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dimple 500 may be diffused by the second dimple 500 and emitted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제1딤플(400)의 적용으로 인해 해소되지 않은 미세적인 암부 또는 휘부의 영역에 대해 제2딤플(500)을 적용하여 광 균일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diffusion lens 1b may further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by applying the second dimple 500 to a region of the minute dark portion or the curved portion that is not resolved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dimple 400.

한편, 광원(10)으로는 5면 발광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제1딤플(400)과 제2딤플(500)을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광 확산렌즈(1b)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dimples 400 and the second dimples 5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hereby improving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b. .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28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30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1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2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3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4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5는 도 33의 E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33은 도 28의 A4-A4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4는 도 28의 A5-A5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에 있어서 x 방향은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이고, y 방향은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이며, z 방향은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을 나타낸다.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 29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and FIG. 30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3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33 is the emiss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3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jor axis direction based on a plane, and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rt axis direction based on an exi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3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E of FIG. 33. Here, FIG. 33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4-A4 line of FIG. 28, and FIG. 34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5-A5 line of FIG. In FIG. 28, the x direction is a long axis direction based on the emission surface, the y direction is a short axis direction based on the emission surface, and the z direction represents an axial direction or an optical axis direction.

한편, 광축(C)이라 함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중심이며,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axis (C) is the center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c).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를 제1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와 비교해 볼 때,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는 하부면(100a), 입사구(210a), 출사면(300a) 및 제3딤플(600) 각각이 장축과 단축을 갖도록 형성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When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light diffusing len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a lower surface 100a and incident ligh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phere 210a, the exit surface 300a, and the third dimple 600 are each formed to have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도 28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는 하부면(100a), 하부면(100a)에 입사구(210a)를 형성하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200a), 상기 입사면(200a)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a) 및 상기 입사면(200a)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3딤플(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a)은 소정의 제1장축 길이(Dx1)를 갖는 제1장축(330)과 소정의 제1단축 길이(Dy1)를 갖는 제1단축(34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사면(200a) 또한 제1장축 길이(Dx1)와 제1단축 길이(Dy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사면(300a)은 상부면(310a)과 측부면(320a)을 포함할 수 있다. 28 to 33,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orms an entrance hole 210a on the lower surface 100a and the lower surface 100a and is formed with a concave surface formed inwardly. 200a), an emission surface 300a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a is emitted, and a third dimple 600 formed convexly on the incident surface 200a. Here, the emission surface 300a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long axis 330 having a predetermined first long axis length Dx1 and a first short axis 340 having a predetermined first short axis length Dy1. Accordingly, the incident surface 200a may also be formed to have the first long axis length Dx1 and the first short axis length Dy1. In addition, the emission surface 300a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a and a side surface 320a.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c)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 및 입사면(200a)에 형성된 제3딤플(600)을 이용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diffusing lens 1c uses the aspherical incidence surface 200a,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third dimple 600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00a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Can spread.

즉, 상기 광 확산렌즈(1c)에 있어서,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의 형상 및 제3딤플(600)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의 형상과 배치 및 제3딤플(600)의 배치, 형상 및 사이즈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That is, in the light diffusion lens 1c, since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re changed by the third dimple 600, the aspherical surface shape is change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size of the third dimple 600 serve as the largest elements of the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ath change of light.

도 29를 참조하면, 하부면(100a)은 중앙에 입사구(21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면(100a)은 출사면(300a)의 하부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장축 길이(Dx1)와 제1단축 길이(Dy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면(100a)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the entrance hole 210a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a. In addition, since the lower surface 100a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the lower surface 100a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long axis length Dx1 and a first short axis length Dy1.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100a may be formed in an elliptic shape.

그리고, 하부면(100a)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100a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or a planar shape in a downward direction.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하부면(100a)은 상부면(310a)의 중심 부분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일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100a of the convex 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a.

하부면(100a)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하부면(100a)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까지는 평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평면이 끝나는 지점부터 중심측으로 하부볼록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면(100a)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동안 곡률이 0이지만, 상기 일정 길이 이상부터 상기 중심까지는 곡률이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The lower surface 100a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vex shape in a downward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100a may have a plane formed at a constant length from the edge to the center direction, and a lower convex surface may be formed from the point where the plane ends to the center side. That is, the lower surface 100a has a curvature of 0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dge to the center direction, but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increases from the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to the center and then decreases again.

상기 평면만으로 구성된 하부면과 비교해 볼 때, 상기 하부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부면(100a)의 경우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 중에서 하부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부측으로 더 많이 전반사 시킬 수 있다. Compared with the lower surface consisting of only the plane, in the case of the lower surface 100a having the lower convex surfa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o the lower side can be more totally reflected to the upper side.

여기서, 상기 하부볼록면에 의해 우선적으로 상기 광이 전반사되도록 상기 평면은 상기 하부볼록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lane is preferably disposed outside the lower convex surface such that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by the lower convex surface.

또한, 평면 형상의 하부면(100a)은 측부면(320a)의 하부측 단부에서 광축(C)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평면 형상의 하부면(100a)은 측부면(320a)의 하부측 단부를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평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면(100a)은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 중에서 하부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부측으로 더 많이 전반사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ar lower surface 100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ptical axis C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320a. For example, the planar bottom surface 100a may be a plan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bottom end of the side surface 320a.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100a may totally reflect more of the light emitted to the lower side from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o the upper side.

입사면(200a)은 입사구(210a)에 위치하는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내부로 입사되는 표면 부분이다. The incident surface 200a is a surface portion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positioned at the incident hole 210a is incident into the light diffusion lens 1c.

도 28,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a)은 하부면(100a)의 중앙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면(100a)의 중앙에는 입사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8, 33, and 34, the aspherical incident surface 200a may be concave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a. Accordingly, the entrance hole 210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a.

입사면(200a)의 수직 단면은 반타원구 형상, 반럭비(rugby)공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사면(200a)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사면(200a)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면(100a)에서 소정의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may be formed in a semi-elliptic sphere shape, a rugby hole shape, or a parabolic shape. Accordingly, the incident surface 200a may be formed as an aspherical surface. In this case, the incident surface 200a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1 on the lower surface 100a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입사면(200a)은 입사구(210a)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입사면(200a의 수평 단면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입사면(200a)의 수직 단면은 반타원구 형상, 반럭비(rugby)공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입사면(200a)의 수평 단면은 상부측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28 and 29, since the incident surface 200a extends from the entrance hole 210a to the upper side,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may be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case the vertical plane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is vertical. Since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emi-elliptic sphere shape, a rugby ball shape or a parabolic shape,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can be reduced toward the upper side.

입사구(210a)는 제2장축 길이(Dy2)로 형성된 제2장축(211)과 제2단축 길이(Dx2)로 형성된 제2단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축 방향에서 출사면(300a)을 바라볼 때, 입사구(210a)의 제2단축(212)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단축(212)의 제2단축 길이(Dx2)는 제1장축(330)의 제1장축 길이(Dx1)보다 작다.The entrance hole 210a may include a second long axis 211 formed as the second long axis length Dy2 and a second short axis 212 formed as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Here, when looking at the emission surface 300a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econd short axis 212 of the entrance hole 210a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At this time,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of the second short axis 212 is smaller than the first long axis length Dx1 of the first long axis 330.

그리고, 입사구(210a)의 중심(C4)은 광축(C)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입사구(210a)의 중앙에는 광원(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10)과 입사면(200a) 사이에는 공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에서 상기 공기층으로 출사되는 광의 경우 굴절율이 다른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입사면(200a)에서 굴절될 수 있다.The center C4 of the entrance hole 210a may be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C, and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entrance hole 210a. Accordingly, an air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1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a.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o the air layer may be refracted by the incident surface 200a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c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출사면(300a)은 입사면(200a)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표면으로서, 광축(C)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rotational symmetry)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출사면(300a)은 소정의 제1장축 길이(Dx1)를 갖는 제1장축(330)과 소정의 제1단축 길이(Dy1)를 갖는 제1단축(34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출사면(300a0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mission surface 300a is a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c from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a is emitted, and may be formed to be rotation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0, 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emission surface 300a has a first long axis 330 having a first long axis length Dx1 and a first first axis length ( It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short axis 340 having a Dy1). For example, the emission surface 300a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 shape.

그리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출사면(300a)의 높이(H2)는 입사면(200a)의 높이(H1)보다 크다. The height H2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is greater than the height H1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출사면(300a)은 볼록 형상의 상부면(310a) 및 상기 상부면(310a)과 하부면(100a)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면(3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부면은 광축(C)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사면(200a)을 통해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상부면(310a)을 통해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된다.Referring to FIGS. 31 and 32, the emission surface 300a may include a convex upper surface 310a and a side surface 320a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310a and the lower surface 100a. .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C). In addition, some of the light incident into the light diffusion lens 1c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a are refrac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310a and emitted to the outside.

상부면(310a)은 비반구면 형상 또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부면(310a)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310a may be convexly formed in a non-semi-spherical shape or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310a may be convex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direction).

이때, 상부면(310a)은 광축(C)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부면(310a)은 광축(C)을 기준으로 제1장축(330) 또는 제2단축(340)에 대해 대칭적 광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310a may be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optical axis C.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310a may implement a symmetrical optical path with respect to the first long axis 330 or the second short axis 340 based on the optical axis C.

상부면(310a)은 최상단 중심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부면(310a)의 최상단 중심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보다 평탄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310a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center portion to the edge portion. Alternatively, the uppermost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a may be flatter than the edge portion.

한편, 상기 광 확산렌즈(1c)는 출사면(300a) 중 상부측에 높이차가 발생하도록 자유 곡선을 형성하는 측부면(320a)을 이용하여 광 확산성과 광 화질을 개선하면서도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diffusing lens (1c) to implement the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while improving the light diffusing and light quality by using the side surface (320a) to form a free curve so that the height difference occurs in the upper side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Can be.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면(320a)의 상부측이 곡선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측부면(320a)은 제1높이(H1)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1측부(321) 및 제2높이(H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2측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측부(321)와 한 쌍의 제2측부(322) 각각은 광축(C)을 기준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면(100a) 또는 측부면(320a)의 하부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1높이(H3)는 상기 제2높이(H4)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높이(H3)는 측부면(320a)의 최대 높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높이(H4)는 측부면(320a)의 최소 높이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8, as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320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side surface 320a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321 including a first height H1 and 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 322 including a second height (H2). Here, each of the pair of first side portions 321 and the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32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height H3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H4 based on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urface 100a or the side surface 320a. Accordingly, the first height H3 may be the maximum height of the side surface 320a, and the second height H4 may be the minimum height of the side surface 320a.

도 30,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입사구(210a)의 단축 방향에는 상기 제1측부(321)가 배치되며, 입사구(210a)의 장축 방향에는 상기 제2측부(3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에는 상기 제1측부(321)가 배치되며, 출사면(300a)의 단축 방향에는 상기 제2측부(322)가 배치될 수 있다.30, 33, and 34, the first side portion 321 is disposed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210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22 is dispos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210a. Can be. Alternatively, the first side part 321 may be dispos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xit surface 300a, and the second side part 322 may be disposed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exit surface 300a.

이때, 무라의 형성을 방지하여 상기 광 확산렌즈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키도록, 제1측부(321)의 제1높이(H1)와 제2측부(322)의 제2높이(H2)의 비율(Hr)은 입사구(210a)의 제2장축(211)에 대한 제2단축의 비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side portion 321 and the second height H2 of the second side portion 322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ura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 Hr)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second short axis to the second long axis 211 of the inlet 210a.

한편, 상부면(310a)과 측부면(320a) 만나는 영역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선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면(320a)의 상부측은 제1측부(321)에서 제2측부(322)로 갈수록 상기 측부면(320a)의 높이가 감소하는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area where the upper surface 310a and the side surface 320a meet may be formed in a curve. Here, the curve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FIG. 28,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320a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320a decreases from the first side portion 321 to the second side portion 322. have.

제3딤플(600)은 광축(C)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딤플(600)은 제2돌출부 또는 제2돌기라 불릴 수 있다. The third dimple 600 may be formed convexly toward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third dimple 600 may be called a second protrusion or second protrusion.

상기 입사면(200a)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3딤플(6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딤플(600) 각각의 합은 상기 입사면(200a)의 전체 면적의 30%이하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third dimples 600 may b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sum of each of the third dimples 600 may be 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즉, 복수 개의 제3딤플(600)은 입사면(200a)의 전체 면적의 30%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만일, 제3딤플(600)이 입사면(200a)의 전체 면적의 30%를 초과하는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전체적인 화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데, 제3딤플(600)의 전체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반사 및 재귀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제3딤플(600)이 적용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3딤플(600)의 면적의 합은 입사면(200a)의 전체 면적의 30%이하이어야 한다. That is, the plurality of third dimples 600 should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If the third dimple 600 has an area exceeding 30%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the third dimple 600 affects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c. For example, when the total area of the third dimple 600 increases, the path of the reflected and recursive light is changed.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third dimples 600 are applie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third dimples 600 is applied. Should be 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도 36은 광원과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36을 참조하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θ)을 형성하며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3딤플(600)은 상기 발산각(θ) 내에 배치되어 출사면(300a) 중 상부면(310a)으로 광을 굴절시켜 출사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c)는 제3딤플(600)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발산각(θ)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이하일 수 있다. 즉, 제3딤플(600)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배치되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36, since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with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θ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e third dimple 600 may emit the divergence. The light is refracted to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to be emitted by being disposed within the angle θ.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c may change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the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third dimple 600 to ens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θ may be 50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at is, the third dimple 600 should be disposed within a range of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도 33 및 도 35를 참조하면, 제3딤플(600)은 수직 단면상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3곡면(6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곡면(610)은 입사면(200a)에서 광축(C)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33 and 35, the third dimple 600 may be formed as a third curved surface 610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 a vertical section. Accordingly, the third curved surface 610 may be convexly formed toward the optical axis C at the incident surface 200a.

도 33을 참조하면, 제3딤플(600)은 수직 단면상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c)는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딤플(600)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고려하여 한 개 또는 두 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고려하여 두 개가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two third dimples 6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on a vertical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c may improve light uniformity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Here, one or more third dimples 600 may b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two third dimples 600 may b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light uniformity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The optical axes C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한편, 제3딤플(600)은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사면(200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딤플(600)은 소정의 제3장축 길이(Dy3)를 갖는 제3장축(620)과 제3단축 길이(Dx3)를 갖는 제3단축(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a)을 바라볼 때, 제3딤플(600)의 제3단축(630)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단축(212)의 제2단축 길이(Dx2)는 제3단축(630)의 제3단축 길이(Dx3)보다 크다. 그리고, 제3장축(620)과 제3단축(630)이 만나는 제3딤플(600)의 중심(C5)은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hird dimple 60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protrude from the incident surface 200a. Accordingly, the third dimple 600 may include a third long axis 620 having a predetermined third long axis length Dy3 and a third short axis 630 having a third short axis length Dx3. Here, when looking at the exit surface 300a, the third short axis 630 of the third dimple 600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xit surface 300a. At this time,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of the second short axis 212 is greater than the third short axis length Dx3 of the third short axis 630. In addition, the center C5 of the third dimple 600 where the third long axis 620 and the third short axis 630 meet may be disposed o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제3딤플(600)과 상기 입사면(200a)이 만나는 모서리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딤플(600)과 상기 입사면(200a)이 만나는 모서리는 제3모서리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제3딤플(600)의 단면 면적은 광축(C)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에서 상기 제3딤플(600)은 최대 단면적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모서리에서 제3장축(620)의 제3장축 길이(Dy3)와 제3단축(630)의 제3단축 길이(Dx3)는 최대가 된다. Referring to FIG. 28, an edge where the third dimple 6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a meet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ere, an edge where the third dimple 60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a meet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corner.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dimple 600 may decrease toward the optical axis C. Therefore, since the third dimple 600 includes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at the corner, the third long axis length Dy3 of the third long axis 620 and the third short axis length of the third short axis 630 are formed at the corner. (Dx3) becomes the maximum.

그리고, 상기 모서리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의 일점(P5)과 상단의 일점(P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의 일점(P5)은 제5점으로 불릴 수 있고, 상단의 일점(P6)은 제6점이라 불릴 수 있다. The edge may include one point P5 at the bottom and one point P6 at the top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Here, one point P5 at the bottom may be referred to as a fifth point, and one point P6 at the top may be called a sixth point.

도 33 및 도 35를 참조하면,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딤플(600)은 소정의 가용 범위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반경 방향에 대한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5)까지의 거리(R7)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6)까지의 거리(R8) 사이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가용범위는 제3딤플(600)이 광축(C)에서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요소일 수 있다. 33 and 35, the third dimple 600 should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available range based o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Here, the available range is the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the radial point in the lower point of the corner (P5) to the point (R7) and the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6) of the top of the corner It can represent the range between (R8). That is, the available range may be an element indicating how far the third dimple 600 is from the optical axis C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따라서, 상기 제3딤플(600)이 상기 가용 범위 외에 배치되게 되면,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내부 반사로 인해 화질상 암부 및 휘부를 발생시켜 광 균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third dimple 600 is disposed outside the available range, the light uniformity may be reduced by generating a dark portion and a bright portion due to the internal refl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c.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c)는 상기 제3딤플(600)을 상기 가용 범위 내에 위치시켜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c may secure the light uniformity by placing the third dimple 600 within the available range.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5)까지의 거리(R7)는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6)까지의 거리(R8)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5)까지의 거리(R7)는 입사구(210a)의 제2단축 길이(Dx2)의 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5, the distance R7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5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is the distance R8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6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It can be formed larger than). In addition, the distance R7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5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may be smaller than half of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of the entrance hole 210a.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c)는 입사구(210a)의 제2단축 길이(Dx2)의 반을 기준으로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5)까지의 거리(R7)와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6)까지의 거리(R8)를 한정함으로써, 상기 제3딤플(600)의 배치 위치를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c has a distance R7 from the optical axis C to one point P5 of the lower end of the corner with respect to half of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of the entrance hole 210a. By defining the distance R8 to the one point P6 of the upper end of the corne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hird dimple 600 may be presented.

여기서, 상기 입사구(210a)의 제2단축 길이(Dx2)의 반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5)까지의 거리(R7)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6)까지의 거리(R8)의 차(R7-R8)의 9.9~10.0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입사구(210a)의 제2단축 길이(Dx2)의 반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하단의 일점(P5)까지의 거리(R7)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6)까지의 거리(R8)의 차(R3-R4)의 9.95배일 수 있다. Here, half of the length of the second short axis Dx2 of the entrance hole 210a is the distance R7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5 at the lower end of the corner and the edge of the corner at the optical axis C. It may be 9.9 to 10.0 times the difference (R7-R8) of the distance (R8) to one point (P6) of the upper end. In detail, half of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of the entrance hole 210a is a distance R7 from the optical axis C to a point P5 at the lower end of the corner and the edge at the optical axis C. It may be 9.95 times the difference (R3-R4) of the distance (R8) to one point (P6) of the upper end of.

한편, 상기 모서리의 상단의 일점(P6)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입사면(200a)의 높이(H1)의 중심(C2)을 수평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L)보다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L)은 상기 측부면(320a)보다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point (P6) of the upper end of the corner may be disposed above the imaginary line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C2) of the height (H1)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have. In this case, the line (L)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an the side surface (320a).

도 37은 제3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7의 (a)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3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7의 (b)는 제3딤플이 적용된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7 is a diagram illustrat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hird dimple. FIG. 37A is a view show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on lens from which the third dimple is deleted in the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37B is a view showing the third dimple applied. 4 is a diagram show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3딤플(600)로 입사되는 광은 제3딤플(600)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광 확산렌즈(1c)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3딤플(600)에 의해 제3딤플(600)로 입사되는 광은 모아져서 상기 상부면(310a)으로 굴절될 수 있다. 예컨데, 제3딤플(600)은 수렴 렌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ight incident on the third dimple 600 may be refracted by the third dimple 600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c. For example, the light incident on the third dimple 600 by the third dimple 600 may be collected and refracted to the upper surface 310a. For example, the third dimple 600 may serve as a converging lens.

따라서, 도 3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3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의 경우 암부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딤플(600)이 적용된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의 경우 상기 암부가 제거 또는 최소화되어 광 균일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37A, in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 dark portion is formed in the light diffusing lens. However, as shown in (b) of FIG. 37, in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o which the third dimple 600 is applied, the dark portion is removed or minimized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have.

이때, 광원(10)으로는 5면 발광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딤플(600)을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하여,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ly, the third dimple 6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hereby improving light uniformity.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38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9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0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1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2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3은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4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5는 도 43의 F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6은 광원과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3은 도 38의 A6-A6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4는 도 38의 A7-A7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3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39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nd FIG. 4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4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nd FIG. 43 is the emiss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4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jor axis direction based on a plane, FIG. 4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rt axis direction based on an exi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4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F of FIG. 43, 4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ere, FIG. 43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6-A6 line of FIG. 38, and FIG. 44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7-A7 line of FIG.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d)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light diffusing len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d)를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와 비교해 볼 때,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d)는 제3딤플(600)이 없다는 점 및 복수 개의 제4딤플(700)을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When the light diffusing len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len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s a third dimple 60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re is no and a plurality of fourth dimple (700).

도 38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d)는 하부면(100a), 하부면(100a)에 입사구(210a)를 형성하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200a), 상기 입사면(200a)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a) 및 상기 출사면(300a)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딤플(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a)은 상부면(310a)과 측부면(320a)을 포함할 수 있다.38 to 45, the light diffusing len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orms an entrance hole 210a in the lower surface 100a and the lower surface 100a and is formed with a concave surface formed inwardly. 200a), an emission surface 300a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a is emitted, and a fourth dimple 700 formed concave in the emission surface 300a may be included. Here, the emission surface 300a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a and a side surface 320a.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d)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 및 출사면(300a)에 형성된 제4딤플(700)을 이용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diffusing lens 1d uses the aspherical incidence surface 200a,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fourth dimple 700 formed on the emission surface 300a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Can spread.

즉, 상기 광 확산렌즈(1d)에 있어서,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의 형상 및 제4딤플(700)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의 형상 및 제4딤플(700)의 배치, 형상 및 사이즈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That is, in the light diffusion lens 1d,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re changed by the fourth dimple 700, so that the aspherical surface shape is changed.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size of the fourth dimple 700 serve as the largest elements of the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ath change of the light.

제4딤플(700)은 광축(C)을 향해 오목하게 출사면(300a)의 상부면(31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딤플(700)은 제2오목부 또는 제2홈이라 불릴 수 있다. A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to concave toward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called a second recess or second groove.

도 4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4딤플(700) 각각은 수직 단면상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그에 따라, 제4딤플(700) 각각은 출사면(300a)에서 광축(C)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딤플(700)의 단면은 장축과 단축을 포함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5, each of the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 a vertical cross section. For example, accordingly, each of the fourth dimples 700 may be formed concave toward the optical axis C at the emission surface 300a.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clud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도 4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4딤플(700)은 광축(C)에서 소정의 반경(R9)에 형성된 제4-1 딤플(710), 상기 광축(C)에서 소정의 반경(R10)으로 형성된 제4-2 딤플(720) 및 상기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R11)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의 제4-3 딤플(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1 딤플(710)과 상기 제4-2 딤플(720)은 상기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동일한 반경 방향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3 딤플(730)의 반경(R11)은 상기 제4-1 딤플(710)의 반경(R9)보다 작고, 상기 제4-2 딤플(720)의 반경(R10)보다 크다.Referring to FIG. 40, the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may have a fourth-first dimple 710 formed at a predetermined radius R9 at the optical axis C and a predetermined radius R10 at the optical axis C. 4-4 dimples 720 and at least two 4-3 dimples 730 disposed on a predetermined radius R11 based on the optical axis C. Here, the 4-1 dimple 710 and the 4-2 dimple 7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as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The radius R11 of the fourth-3 dimple 730 is smaller than the radius R9 of the 4-1 dimple 710 and is larger than the radius R10 of the 4-2 dimple 720.

제4-1 딤플(710)은 소정의 제4-1 장축 길이(Dy4-1)를 갖는 제4-1 장축(711)과 소정의 제4-1 단축 길이(Dx4-1)를 갖는 제4-1 단축(7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1 장축 길이(Dy4-1)는 제4-1 딤플(710)의 장축 길이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4-1 단축 길이(Dx4-1)는 제4-1 딤플(710)의 단축 길이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1 장축 길이(Dy4-1)는 상기 제4-1 단축 길이(Dx4-1)보다 크다. The 4-1 dimple 710 has a 4-1 long axis 711 having a predetermined 4-1 long axis length Dy4-1 and a fourth having a predetermined 4-1 short axis length Dx4-1. -1 may include an abbreviation 712. Here, the 4-1 long axis length Dy4-1 may be referred to as a long axis length of the 4-1 dimple 710, and the 4-1 short axis length Dx4-1 may correspond to a 4-1 dimple ( 710). At this time, the 4-1 long axis length Dy4-1 is greater than the 4-1 short axis length Dx4-1.

그리고, 제4-1 장축(711)과 제4-1 단축(712)이 만나는 교차점에는 제4-1 딤플(710)의 중심(C6)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1 딤플(710)의 반경(R9)은 상기 광축(C)에서 제4-1 딤플(710)의 중심(C6)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may b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4-1 long axis 711 and the 4-1 short axis 712 meet. Accordingly, the radius R9 of the 4-1 dimple 710 may be a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그리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출사면(300a)을 바라볼 때, 제4-1 딤플(710)의 제4-1 단축(712)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looking at the emission surface 300a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4-1st short axis 712 of the 4-1 dimple 710 overlaps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Can be.

제4-2 딤플(720)은 소정의 제4-2 장축 길이(Dy4-2)를 갖는 제4-2 장축(721)과 소정의 제4-2 단축 길이(Dx4-2)를 갖는 제4-2 단축(7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2 장축 길이(Dy4-2)는 제4-2 딤플(720)의 장축 길이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4-2 단축 길이(Dx4-2)는 제4-2 딤플(720)의 단축 길이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2 장축 길이(Dy4-2)는 상기 제4-2 단축 길이(Dx4-2)보다 크다. The 4-2 dimple 720 has a 4-2 long axis 721 having a predetermined 4-2 long axis length Dy4-2 and a fourth having a predetermined 4-2 short axis length Dx4-2. -2 shortening 722 may be included. Here, the 4-2 long axis length Dy4-2 may be referred to as a long axis length of the 4-2 dimple 720, and the 4-2 short axis length Dx4-2 is a 4-2 dimple ( 720 may be referred to as a shortened length. At this time, the 4-2 long axis length (Dy4-2) is larger than the 4-2 short axis length (Dx4-2).

그리고, 제4-2 장축(721)과 제4-2 단축(722)이 만나는 교차점에는 제4-2 딤플(720)의 중심(C7)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2 딤플(720)의 반경(R10)은 상기 광축(C)에서 제4-2 딤플(720)의 중심(C7)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The center C7 of the 4-2 dimple 720 may b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4-2 long axis 721 and the 4-2 short axis 722 meet each other. Accordingly, the radius R10 of the 4-2 dimple 720 may be a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the center C7 of the 4-2 dimple 720.

그리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출사면(300a)을 바라볼 때, 제4-2 딤플(720)의 제4-2 단축(722)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exit surface 300a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4-2 short axis 722 of the 4-2 dimple 72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xit surface 300a. Can be.

제4-3 딤플(730)은 소정의 제4-3 장축 길이(Dy4-3)를 갖는 제4-3 장축(731)과 소정의 제4-3 단축 길이(Dx4-3)를 갖는 제4-3 단축(7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3 장축 길이(Dy4-3)는 제4-3 딤플(730)의 장축 길이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4-3 단축 길이(Dx4-3)는 제4-3 딤플(730)의 단축 길이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3 장축 길이(Dy4-3)는 상기 제4-3 단축 길이(Dx4-3)보다 크다. The fourth-3 dimple 730 is a fourth-3 long axis 731 having a predetermined fourth-3 long axis length Dy4-3 and a fourth third short axis length Dx4-3. -3 shortening 732 may be included. Herein, the fourth-3 long axis length Dy4-3 may be referred to as a long axis length of the fourth-3 dimple 730, and the fourth-3 short axis length Dx4-3 is a fourth-3 dimple ( 730 may be referred to as a short axis length. In this case, the fourth-3 major axis length Dy4-3 is greater than the fourth-3 minor axis length Dx4-3.

그리고, 제4-3 장축(731)과 제4-3 단축(732)이 만나는 교차점에는 제4-3 딤플(730)의 중심(C8)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3 딤플(730)의 반경(R11)은 상기 광축(C)에서 제4-3 딤플(730)의 중심(C8)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er C8 of the fourth-3 dimple 730 may b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fourth-3 long axis 731 and the fourth-3 short axis 732 meet. Accordingly, the radius R11 of the fourth-3 dimples 730 may be a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C to the center C8 of the fourth-3 dimples 730.

그리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출사면(300a)을 바라볼 때, 제4-3 딤플(730)의 제4-3 단축(732)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되지 않는다. When looking at the emission surface 300a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ourth-3 short axis 732 of the fourth-3 dimple 730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It doesn't work.

여기서, 제4-3 딤플(730)의 제4-3 장축의 길이(Dy4-3)는 상기 제4-1 딤플(710)의 제4-1 장축의 길이(Dy1-3)보다 작고, 상기 제4-2 딤플(720)의 제4-2 장축의 길이(Dy4-2)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length Dy4-3 of the fourth long axis of the fourth dimple 730 is smaller than the length Dy1-3 of the fourth long axis of the fourth dimple 710. It may be larger than the length Dy4-2 of the fourth-2 long axis of the fourth-2 dimple 720.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광축(C)을 기준으로 상기 제4-1 딤플(710)의 중심(C6)과 상기 제4-2 딤플(720)의 중심(C7)의 중앙(C9)의 반경(R12)은 상기 제4-3 딤플의 반경(R11)보다 크다. Referring to FIG. 40, the radius C2 of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and the center C7 of the 4-2 dimple 720 are based on the optical axis C. Referring to FIG. R12 is larger than the radius R11 of the fourth-3 dimple.

도 40을 참조하면, 제4-1 딤플(710)의 중심(C6)과 두 개의 제4-3 딤플(730)의 중심(C8)은 가상의 제1면적을 포함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2 딤플(720)의 중심(C7)과 두 개의 제4-3 딤플(730)의 중심(C8)은 가상의 제2면적을 포함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상의 상기 제1면적은 가상의 상기 제2면적보다 크다.Referring to FIG. 40,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and the center C8 of the two 4-3 dimples 73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cluding a virtual first area. have. In addition, the center C7 of the 4-2 dimple 720 and the center C8 of the two 4-3 dimples 73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cluding a virtual second area. At this time, the virtual first area is larger than the virtual second area.

한편, 제4-1 딤플(710), 제4-2 딤플(720) 및 두 개의 제4-3 딤플(730)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확산렌즈(1d)는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두 개의 상기 그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그룹은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4-1 dimple 710, the 4-2 dimple 720, and the two 4-3 dimples 730 may form one group. As shown in FIG. 40, the light diffusion lens 1d may include two group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and the two groups may be based on the optical axis C. It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d)는 복수 개의 상기 제4딤플(700)이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d)는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4딤플(700)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고려하여 한 개 또는 두 개의 그룹을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광 균일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그룹이 짝수로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d may be formed in at least two groups in which the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d may improve light uniformity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Here, the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may be disposed in one or more than two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two or more groups may be even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uniformity. The optical axes C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도 46을 참조하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θ)을 형성하며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상기 제4딤플(700)은 상기 발산각(θ) 내에 배치되어 광을 굴절시켜 출사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d)는 제4딤플(700)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발산각(θ)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이하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4딤플(700)의 제4-1 딤플(710)은 광축(C)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되는바, 제4-1 딤플(710)의 중심(C6)은 광축(C)을 기준으로 34~40도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딤플(700)의 제4-1 딤플(710)의 중심(C6)은 광축(C)을 기준으로 37도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6, since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with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θ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e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may be irradiated. It is disposed within the divergence angle θ so that light is refracted and emitted.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d may change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the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fourth dimple 700 to ens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θ may be 50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In detail, the 4-1 dimple 710 of the fourth dimple 700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is the optical axis ( C) may be arranged at 34 ~ 40 degrees relative to. Preferably,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of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disposed at 37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도 38 및 도 4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4딤플(700)과 상기 출사면(300a)이 만나는 모서리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딤플(700)과 상기 출사면(300a)이 만나는 모서리는 제3모서리라 불릴 수 있다. 38 and 40, a corner where a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and the exit surface 300a meet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ere, an edge where the fourth dimple 700 and the exit surface 300a meet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corner.

도 43 및 도 45를 참조하면, 상기 제4딤플(700)과 상기 출사면(300a)이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의 일점과 상단의 일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딤플(700)의 하단의 일점은 제4-1 딤플(710)의 중심(C6)일 수 있으며, 상기 제4딤플(700)의 상단의 일점은 제4-2 딤플(720)의 중심(C7)일 수 있다. 43 and 45, the corner where the fourth dimple 700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meet and may include one point at the bottom and one point at the top of the optical axis direction. Here, one point of the lower end of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and one point of the upper end of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the 4-2 dimple 720. ) May be the center C7.

도 45를 참조하면,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딤플(700)은 소정의 가용 범위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장축 방향에 대한 광축(C)에서 상기 제4-1 딤플(710)의 중심(C6)까지의 반경(R9)과 상기 광축(C)에서 제4-2 딤플(720)의 중심(C7)까지의 반경(R10) 사이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5, the fourth dimple 700 should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available range based o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Here, the available range is a radius R9 from the optical axis C in the long axis direction to the center C6 of the 4-1 dimple 710 and the 4-2 dimple 720 in the optical axis C. It can represent the range between the radius (R10) to the center (C7) of.

따라서, 상기 제4딤플(700)이 상기 가용 범위 외에 배치되게 되면, 상기 광 확산렌즈(1d)의 외부 굴절로 인해 화질상 암부 및 휘부를 발생시켜 광 균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ourth dimple 700 is disposed outside the available range, the light uniformity may be reduced by generating dark portions and bright portions due to external refractio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d.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d)는 상기 제4딤플(700)을 상기 가용 범위 내에 위치시켜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d may secure the light uniformity by placing the fourth dimple 700 within the available range.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반경(R9)은 상기 광축(C)에서 상기 반경(R1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R10)은 상기 입사구(210a)의 제2단축 길이(Dx2)의 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5, the radius R9 of the optical axis C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R10 of the optical axis C. In addition, the radius R10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second short axis length Dx2 of the incident hole 210a.

도 47은 제4딤플의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7의 (a)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4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7의 (b)는 제4딤플이 적용된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7 is a diagram illustrat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fourth dimple. FIG. 47A is a view illustrat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on lens from which the fourth dimple is deleted in the light diffusion le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nd FIG. 47B is a view showing the fourth dimple applied. 4 is a diagram showing light formed by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4딤플(700)로 입사되는 광은 제4딤플(700)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광 확산렌즈(1d)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4딤플(700)에 의해 제4딤플(700)로 입사되는 광은 발산되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예컨데, 제4딤플(700)은 발산 렌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ight incident on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refracted by the fourth dimple 700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d. For example, the light incident on the fourth dimple 700 by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emitted and diffu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ourth dimple 700 may serve as a diverging lens.

따라서, 도 4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에서 제4딤플이 삭제된 광 확산렌즈의 경우 휘부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도 4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딤플(700)이 적용된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d)의 경우 상기 휘부가 개선되어 광 균일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7A, in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However, as shown in (b) of FIG. 47, in the cas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o which the fourth dimple 700 is applied, the curved portion is improved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이때, 광원(10)으로는 5면 발광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딤플(700)을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동일한 반경 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광 확산렌즈(1d)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ly,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hereby improving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d.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도 48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9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50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1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2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3은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장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4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출사면을 기준으로 단축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5는 도 53의 G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6은 광원과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53은 도 48의 A8-A8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4는 도 48의 A9-A9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FIG. 49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and FIG. 5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5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5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nd FIG. 53 is the emiss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5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jor axis direction based on a plane, FIG. 5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rt axis direction based on an exi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Fig. 5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light diffusing le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5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A8-A8 in FIG. 48, and FIG. 5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A9-A9 in FIG. 48.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e)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 및 제5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d)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light diffusing lens 1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light diffusing len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will be described a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e)를 제4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c)와 비교해 볼 때,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e)는 복수 개의 제4딤플(7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When the light diffusing lens 1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light diffusing len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lens 1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The difference is that it includes more).

도 48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렌즈(1e)는 하부면(100a), 하부면(100a)에 입사구(210a)를 형성하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200a), 상기 입사면(200a)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a), 상기 입사면(200a)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3딤플(600) 및 상기 출사면(300a)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딤플(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면(300a)은 상부면(310a)과 측부면(320a)을 포함할 수 있다.48 to 55, the light diffusing lens 1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orms an entrance hole 210a in the lower surface 100a and the lower surface 100a and is formed with a concave surface formed inwardly. 200a), an emission surface 300a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200a is emitted, a third dimple 600 formed convexly on the entrance surface 200a, and concavely formed on the emission surface 300a. It may include a fourth dimple 700. Here, the emission surface 300a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a and a side surface 320a.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 입사면(200a)에 형성된 제3딤플(600) 및 출사면(300a)에 형성된 제4딤플(700)을 이용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b may include an aspherical entrance surface 200a, an exit surface 300a, a third dimple 600 formed on the entrance surface 200a and a fourth dimple formed on the exit surface 300a.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ffused using the light source 700.

즉, 상기 광 확산렌즈(1b)에 있어서,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의 형상 및 제3딤플(600)과 제4딤플(700)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a)과 출사면(300a)의 형상 및 제4딤플(700)의 배치, 형상 및 사이즈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때, 제4딤플(700)은 제3딤플(600)에 의해 굴절되는 광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light diffusion lens 1b,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by the third and fourth dimples 600 and 700 are provided. Since is changed,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200a and the emission surface 300a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size of the fourth dimple 700, which are formed in an aspherical shape, serve as the largest factor of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ath of light. . In this case,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refracted by the third dimple 600.

제3딤플(600)은 광축(C)을 향해 입사면(200a)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4딤플(700)은 광축(C)을 향해 오목하게 출사면(300a)의 상부면(3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dimple 600 may be convexly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00a toward the optical axis C, and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concave toward the optical axis C and may be concav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310a).

도 56을 참조하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광축(C)을 기준으로 소정의 발산각(θ)을 형성하며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3딤플(600)과 제4딤플(700)은 상기 발산각(θ) 내에 배치되어 광을 굴절시켜 출사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제3딤플(600)과 제4딤플(700)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광 중 일부의 광 경로를 변경하여 광 확산성 및 광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발산각(θ)은 광축(C)을 기준으로 50도이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6, since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with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θ based on the optical axis C, the third dimple 600 and the fourth may be irradiated. The dimple 700 is disposed within the divergence angle θ to refract the light to be emitted.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b may change the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having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dimples 600 and 700 to secur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uniformity. To be able.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θ may be 50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optical axis C.

이때, 광축(C)을 기준으로 제4딤플(700)이 배치되기 위해 적용되는 발산각은 제3딤플(600)을 적용하기 위한 발산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딤플(600)을 적용하기 위한 발산각을 기준으로 제4딤플(700)은 광축(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vergence angle applied to arrange the fourth dimple 700 based on the optical axis C may be smaller than the divergence angle for applying the third dimple 600. That is, as shown in FIG. 56,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optical axis C based on the divergence angle for applying the third dimple 600.

도 53을 참조하면, 제3딤플(600)과 제4딤플(700)은 수직 단면상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 확산렌즈(1b)는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딤플(600)과 제4딤플(700) 각각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을 고려하여 한 개 또는 두 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출사면(300a)의 장축 방향에 대한 광 균일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제3딤플(600)은 두 개 및 제4딤플(700)은 두 개의 그룹이 광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3, the third dimple 600 and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on a vertical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1b may improve light uniformity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Here,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dimples 600 and 700 may b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or more than two, respectively,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In consideration of light uniformity, two third dimples 600 and four fourth dimples 700 may be disposed such that two groups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optical axis C. FIG.

출사면(300a)은 소정의 제1장축 길이(Dx1)를 갖는 제1장축(330)과 소정의 제1단축 길이(Dy1)를 갖는 제1단축(34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딤플(600)은 제1장축(330)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딤플(600)의 제3단축(630)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xit surface 300a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long axis 330 having a predetermined first long axis length Dx1 and a first short axis 340 having a predetermined first short axis length Dy1. The dimple 6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long axis 330. Accordingly, the third short axis 630 of the third dimple 60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또한, 복수 개의 제4딤플(700)은 제4-1 딤플(710), 상기 제4-2 딤플(720) 및 두 개의 제4-3 딤플(7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1 딤플(710)의 제4-1 단축(712) 및 제4-2 딤플(720)의 제4-2 단축(722)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ourth dimples 700 may include a 4-1 dimple 710, the 4-2 dimple 720, and two 4-3 dimples 730. The 4-1 short axis 712 of the dimple 710 and the 4-2 short axis 722 of the 4-2 dimple 72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xit surface 300a. have.

따라서, 상기 광축 방향에서 출사면(300a)을 바라볼 때, 제3단축(630), 제4-1 딤플(710)의 제4-1 단축(712) 및 제4-2 딤플(720)의 제4-2 단축(722)은 출사면(300a)의 제1장축(3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looking at the emission surface 300a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third short axis 630, the fourth short axis 712 of the fourth first dimple 710, and the second second dimple 720 of the fourth minor dimple 710 may be formed. The 4-2 short axis 722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long axis 330 of the emission surface 300a.

한편, 제3딤플(600)의 제3장축(620)의 제3장축 길이(Dy3)는 제4-1 딤플(710)의 제4-1 장축(711)의 제4-1 장축 길이(Dy4-1)보다 클 수 있다. Meanwhile, the third long axis length Dy3 of the third long axis 620 of the third dimple 600 is the fourth long axis length Dy4 of the fourth long axis 711 of the 4-1 dimple 710. May be greater than -1).

또한 제3딤플(600)로 입사되는 광은 제3딤플(600)에 의해 집광되어 제4딤플(700)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딤플(700)로 입사된 광은 제4딤플(700)에 의해 확산되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incident on the third dimple 600 may be collected by the third dimple 600 and may be incident to the fourth dimple 700. The light incident on the fourth dimple 700 may be diffused by the fourth dimple 700 and emitted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광 확산렌즈(1e)는 제3딤플(600)의 적용으로 인해 해소되지 않은 미세적인 암부 또는 휘부의 영역에 대해 제4딤플(700)을 적용하여 광 균일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ng lens 1e may further improve light uniformity by applying the fourth dimple 700 to a region of the minute dark portion or the curved portion that is not resolved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third dimple 600.

한편, 광원(10)으로는 5면 발광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제3딤플(600)과 제4딤플(700)을 측부발광면(12)에 대응되게 동일한 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광 확산렌즈(1b)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ve-side light emitting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third dimples 600 and the fourth dimples 70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thereby improving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b.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1a, 1b, 1c, 1d, 1e: 광 확산렌즈
100, 100a: 하부면
200, 200a: 입사면 210, 210a: 입사구
300, 300a: 출사면
310, 310a: 상부면 320, 320a: 측부면
400: 제1 딤플
500: 제2 딤플
600: 제3 딤플
700: 제4 딤플
C: 광축
1, 1a, 1b, 1c, 1d, 1e: light diffusing lens
100, 100a: bottom view
200, 200a: entrance face 210, 210a: entrance hole
300, 300a: exit surface
310, 310a: upper surface 320, 320a: side surface
400: first dimple
500: second dimple
600: third dimple
700: fourth dimple
C: optical axis

Claims (9)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에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적어도 두개 배치되며, 광축을 기준으로 소정 발산각 내에 배치되는 제1딤플이 형성된 광 확산렌즈.
Bottom surface;
An entrance surface concave inwardly from one region (incident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And
An emission surface on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is emitted,
At least two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emission surfac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having a first dimpl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의 중심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는 36 내지 40도의 범위인 광 확산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angle of the center of the first dimple and the optical axis is in the range of 36 to 4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은 타원 형상인 광 확산렌즈.
The light diffusing len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mple has an elliptic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의 장축의 길이는 단축의 길이의 실질적으로 6배인 광 확산렌즈.
4. The light diffusing lens of claim 3, wherein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first dimple is substantially six times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타원 형상이고, 상기 하부면의 장축은 상기 제1딤플의 단축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광 확산렌즈.
The light diffusing lens of claim 3, wherein the lower surface has an elliptic shape, and the major axis of the lower surface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hort axis of the first dimple.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에 광축으로부터 소정 제1반경의 위치에 타원 형상의 제1딤플이 형성되고,
상기 출사면에, 상기 제1반경보다 작은 제2반경의 위치에 타원 형상의 적어도 두개의 제2딤플이 형성되고,
상기 출사면에, 상기 제2반경보다 작은 제3반경의 위치에 타원 형상의 제3딤플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딤플은, 광축을 기준으로 소정 발산각 내에 배치되는 광 확산렌즈.
Bottom surface;
An entrance surface concave inwardly from one region (incident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And
An emission surface on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is emitted,
An elliptic first dimple is formed on the exit surface at a position of a first radius from the optical axis,
At least two second dimples having an elliptic shape ar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radius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on the emission surface.
On the exit surface, an elliptic third dimple is formed at a position of a third radius smaller than the second radius,
And the first to third dimples ar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ivergence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딤플의 단축이 대응하게 배치되는 광 확산렌즈.
The method of claim 6,
And a short axis of the first and third dimples correspondingly dispo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딤플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제1딤플의 장축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3딤플의 장축의 길이보다 큰 광 확산렌즈.
The light diffusing lens of claim 6, wherein a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second dimple is smaller than a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first dimple and larger than a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third dimp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각은 50도 이하인 광 확산렌즈.
The light diffusing lens of claim 6, wherein the divergence angle is 50 degrees or less.
KR1020190053004A 2019-05-07 2019-05-07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KR102053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004A KR102053010B1 (en) 2019-05-07 2019-05-07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004A KR102053010B1 (en) 2019-05-07 2019-05-07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515A Division KR102053008B1 (en) 2018-11-12 2018-11-12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10B1 true KR102053010B1 (en) 2019-12-06

Family

ID=6883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004A KR102053010B1 (en) 2019-05-07 2019-05-07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01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56Y1 (en) * 2020-03-09 2020-09-23 (주)지엘텍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DE102020122019A1 (en) 2020-08-24 2022-02-24 Oktalite Lichttechnik GmbH Luminaire with lens element
US20220268969A1 (en) * 2021-02-23 2022-08-25 Hl Optics Co., Ltd Light diffusing lens with square irradiation distribu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4316A (en) * 2013-03-08 2014-09-22 Ledlink Optics Inc Optical lens
US20150276170A1 (en) * 2014-03-28 2015-10-01 Asahi Rubber Inc Light distribution lens
KR20170096370A (en) * 2016-02-16 2017-08-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Optical lens,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unit hav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4316A (en) * 2013-03-08 2014-09-22 Ledlink Optics Inc Optical lens
US20150276170A1 (en) * 2014-03-28 2015-10-01 Asahi Rubber Inc Light distribution lens
KR20170096370A (en) * 2016-02-16 2017-08-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Optical lens,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unit having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56Y1 (en) * 2020-03-09 2020-09-23 (주)지엘텍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DE102020122019A1 (en) 2020-08-24 2022-02-24 Oktalite Lichttechnik GmbH Luminaire with lens element
DE102020122019B4 (en) 2020-08-24 2024-05-08 Oktalite Lichttechnik GmbH Lamp with lens element
US20220268969A1 (en) * 2021-02-23 2022-08-25 Hl Optics Co., Ltd Light diffusing lens with square irradiation distribu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10B1 (en)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KR101396658B1 (en) Light Cube and Flat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62670B2 (en) Illumination system, luminaire, collimator, and display device
US7097339B2 (en) Light source of back light module
JP4649553B2 (en)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091615A1 (en) Backlight module for LCD monitors and method of backlighting the same
KR102053008B1 (en)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JP2006222413A (en) Luminescent light source and luminescent light source array
KR101690740B1 (en) Asymmetric light diffusion lens
TW201025661A (en) Side view LE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TWM580691U (en) A direct type backlight device
WO2018214618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19031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TW201120486A (en)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nd backlight module
KR101697261B1 (en)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CN203258494U (en) Light-emitting device and relevant projection system
CN207034987U (en) A kind of light distribution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JP2020518869A (en) Diffusing lens and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US11242977B2 (en) Illumination device with element having annular coating
CN105842911B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improved brightness uniformity
KR102062782B1 (en) Lens for wide diffusion light
JP2008166234A (en) Surface lighting system
KR101355815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07064B1 (en) Optical lens
JP2011258362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