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52B1 -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 Google Patents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52B1
KR102052952B1 KR1020190051278A KR20190051278A KR102052952B1 KR 102052952 B1 KR102052952 B1 KR 102052952B1 KR 1020190051278 A KR1020190051278 A KR 1020190051278A KR 20190051278 A KR20190051278 A KR 20190051278A KR 102052952 B1 KR102052952 B1 KR 10205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opening
disposed
fil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riority to KR1020190051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respir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mergency escape respirator, which is worn to prevent a user from suffocating due to smoke or dust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or earthquake. The emergency escape respirator improves the convenience of wearing and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inhalation and exhalation, thereby maintain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a filter.

Description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Emergency escape respirator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지진 등과 같이 재해 발생시 사용자가 연기 또는 먼지 등에 질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들숨과 날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필터의 집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wear to prevent the user from suffocating the smoke or dust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earthquake, etc.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earing and according to inhalation and exhalation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for maintain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많은 오염지역, 각종 위급상황 또는 산업분야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재해 시 유해성 오염물이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독호흡기가 사용된다.In general, a gas respirator is used to prevent harmful pollutants from entering the human body in the case of a contaminated area with a lot of fine dust or harmful gases,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or an industrial field or a fire.

종래의 방독호흡기는 크게 눈과 호흡기를 포함하여 안면 전체를 보호하는 전면 형태와, 코와 입 등의 호흡기만을 보호하는 반면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Conventional gas respirators can be classified into a front shape that protects the entire face, including the eyes and the respirator, and protects only the respiratory organs such as the nose and mouth.

최근 방독호흡기는 유동인구가 많고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사고 위험이 많은 공공장소, 예컨대 지하철, 공연장, 회관 등에 수용인원 또는 이동인원에 따라 배치가 의무화되었으며, 이러한 공공장소에서는 별도의 보관함에 다수 개의 방독호흡기를 배치하고 있다.Recently, gas respirators have been mandated to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or mobiles in public places with many floating populations and high risk of accidents such as fire and gas leaks. A gas respirator is installed.

종래 방독호흡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97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119호 등이 있다.Techniques related to a conventional respirator include Korean Patent No. 10-0329707 and Korean Patent No. 10-0903119.

상기 종래기술은 밴드를 이용하여 코와 입의 호흡기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밴드는 보통 귀에 걸거나 머리에 두르는 헤어밴드 형태로 구성된다.The prior art is to use the b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piratory nose and mouth, the band is usually composed of a hair band to hang on the ear or around the hea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942호에서는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형태인 마우스피스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유해성 오염물을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집진하고, 이후 유해성 오염물이 제거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76942 is provided with a mouthpiece that the user bites into the mouth, the prior art dust collecting harmful pollutants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filter provided therein, and after the harmful pollutants The user is configured to inhale this removed ai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사용자가 내뱉는 날숨도 필터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짧아지고, 필터의 집진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life of the filter is shortened and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filter is lowered because the exhalation exhaled by the user is discharged to the filter side.

또한, 집진 효율이 낮아진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유해성 오염물을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집진된 유해성 오염물이 공기와 함께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using a filter having a low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ere is a harmful problem that the collected harmful pollutants are introduced into the respirator of the user together with the air rather than collecting the harmful polluta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970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297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11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031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94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769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날숨시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포집체로 전달하여 필터모듈의 집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to deliver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lation to the carbon dioxide collector to maintain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odule The aim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respirator.

또한, 화재 발생시 불꽃의 연소를 방해하는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이 충진된 충진부가 구비되어 초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respirator capable of extinguishing an initial fire by being provided with a filling part filled with a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powder that prevents combustion of a flame when a fire occurs.

또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화재 시 전원이 차단됨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의 전방 및 주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respirator for checking the front and surroundings of the user in a situ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field of vision by the illumination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is cut off in case of f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단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A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모듈과;A filter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disposed inside the body;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와;A mouth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미사용시 상기 마우스피스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호커버와;A protectiv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o protect the mouthpiece from foreign matter when not in use;

상기 바디의 상단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사용시 상단 개구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와;A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and blocks outside air from enter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when not in use;

사용자의 코를 가압하여 호흡을 차단하기 위한 코막이를 포함하되,Including a stuffy nose to block breathing by pressing the user's nose,

상기 바디에는,In the body,

사용자의 호흡시 들숨과 날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부재가 더 구비되고,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ccording to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breathing,

상기 개폐부재는,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내부에 개폐공간이 형성된 개폐바디와,Opening and closing body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상기 개폐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과 수용공간측을 연통하는 탑홀과,A top hole formed in the open / clos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 / close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상기 개폐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마우스피스측과 연통되는 바텀홀과,A bottom hole formed in the open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space and the mouthpiece side;

상기 개폐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개폐바디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중계홀과,A relay hole formed in the open / close body and discharging air delivered from the mouthpiece side to the outside of the open / close body;

상기 개폐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상기 탑홀을 폐쇄하고, 들숨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박막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to close the top hole when the user exha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n film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inhaled.

또한, 상기 바디는,In addition, the body,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체류통을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stay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체류통은,The stay barrel,

내부에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체류하는 체류공간이 형성되고,A residence space in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opening stays is formed,

상기 체류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며,Communication holes for communicating the staying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상기 체류공간에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독성물질, 먼지 등을 집진하는 필터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dence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mber for collecting toxic substances, dus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상기 마우스피스가 배치되는 배치부가 형성되고,The disposition part is formed is disposed the mouthpiece,

상기 배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 등과 같은 소화용 조성물이 충진된 충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to surround the arrang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portion filled with the extinguishing composition such as a liquid or powder for extinguishing.

그리고, 상기 덮개에는,And, in the cover,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명수단과,Lighting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by an applied power source,

상기 조명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further provided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입으로 마우스피스를 문 상태에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Improv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breathe with the mouthpiece in the mouth,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 필터모듈을 통해 유해성 오염물을 집진하여 연기 또는 먼지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Hazardous pollutants are collected through a filter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disposed inside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moke or dust,

호흡 중 들숨과 날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함으로써 필터의 집진 효율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according to inhalation and exhalation during breathing, by separately collecting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lation can maintain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for a long time,

들숨시 유입된 공기를 분산하여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하여도 동시에 다수의 필터에서 이를 필터링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By inhaling the inhaled air can be filtered by dispersing a large amount of air, but at the same time a number of filters can be filtered and supplied to the user.

또한, 화재 등과 같이 전원이 차단된 상황에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원활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고,In addition, the lighting means for ensuring the user's view in the event of a power cut off, such as a fire can be provided to induce a smooth escape,

그리고,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이 구비되어 이를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투척함으로써 초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n, the liquid or powder for extinguishing is provided to throw it at the location of the fire has an effect that can suppress the initial f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일부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박막을 도시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of the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n film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through a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1)는, 바디(10)와, 필터모듈(20)과, 마우스피스(30)와, 보호커버(40)와, 덮개(50) 및 코막이(60)을 포함한다.Emergency escape respi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 the filter module 20, the mouthpiece 30, the protective cover 40, the cover 50 and the nasal membrane 60 ).

상기 바디(1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body 10 is formed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 receiving space 11 is formed therein, both ends ar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outside.

이때, 상단에 형성된 상단 개구부(12)에는 상기 덮개(5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12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121)는 상단 개구부(1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a fastener 121 to which the cover 50 is detachably coupled is further formed at the upper opening 12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fastener 121 i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12. I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thread, but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상기 상단 개구부(12)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 개의 구멍이 천공된 상부통풍판(131)과, 상기 상부통풍판(131)의 외주연이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부통풍판(131)을 지지하는 하부소켓(132)과, 상기 상부통풍판(131)과 하부소켓(132) 사이에 형성된 제1배치공간(133)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upper opening 12 has an upper vent plate 131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vent plate 131. The lower socket 132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upport the upper vent plate 131, and a first arrangement space 133 formed between the upper vent plate 131 and the lower socket 132.

상기 상부통풍판(131)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로 천공된 복수 개의 구멍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상기 구멍의 직경에 비해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것이다.The upper ventilation plate 131 is formed in a disk shape, but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drill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foreign matter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s among the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re primarily To filter.

상기 하부소켓(132)은 상부통풍판(131)의 위치를 지지하며 동시에 상부통풍판(131)과의 사이에 상기 제1배치공간(133)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필터모듈(20) 중 제1필터(21)가 배치되는 것이다.The lower socket 132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upper vent plate 131 and at the same time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pace 133 between the upper vent plate 131 and the first of the filter modules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lter 21 is arranged.

이러한 하부소켓(132)은 상부통풍판(131)이 배치되는 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필터(21)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배출구멍(132a)이 형성된다.The lower socket 132 is formed in an enclosure shape in which the side of the upper ventilation plate 131 is dispos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2a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21 can move are formed. .

상기 제1배치공간(133)은 제1필터(21)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상부통풍판(13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을 집진한다.The first placement space 133 is a space in which the first filter 21 is disposed to collect harmfu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ventilation plate 131.

한편, 상기 바디(10)의 수용공간(11)에는 흡입된 공기가 체류하는 체류통(14)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체류통(1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체류공간(143)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구되고 외주연에 다수 개의 연통공(14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lding cylinder 14 in which the sucked air stays, the holding cylinder 14 is made of a cylindrica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tention space therein) 143 is forme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41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상기 체류통(14)은 사용자가 호흡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순간적으로 다량이 유입됨으로서 상기 제1필터(21)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한 공기의 일부가 임시로 체류하고, 이후 상기 연통공(141)을 통해 체류통(14)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후술하는 필터모듈(20)의 제3필터(23) 및 제4필터(24)에 의해 필터링된 후 마우스피스(30)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staying cylinder 14 is a part of the air that is not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21 temporarily stays in a large amount of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when the user breathes, and then the communication hole 141 The fil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aying cylinder 14 through) and filtered by the third filter 23 and the fourth filter 24 of the filter module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n moved to the mouthpiece 30.

즉, 상기 체류통(14)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호흡할 때, 다량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1필터(21)가 유입된 공기 전체를 필터링하지 못하고 일부가 통과한 후 마우스피스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호흡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체류통(14)에 제1필터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한 공기가 체류한 후 상기 연통공(141)을 통해 체류통(14)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후 상기 체류통(14)을 감싸며 배치된 제3필터(23) 및 제4필터(24)에 의해 필터링된 후 마우스피스(30)측으로 이동한다.That is, when the user breathes in the door state by mouth of the mouthpiece 30, when a large amount of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e first filter 21 cannot filter the entire air that is introduced. After passing through the mouthpiece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user breathing, the air not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stays in the staying cylinder 14, the stay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41) ( 1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n filtered by the third filter 23 and the fourth filter 24 disposed surrounding the holding cylinder 14 and then moved to the mouthpiece (30).

또한, 상기 체류통(14)에 형성된 체류공간(143)에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142)가 더 구비되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retention space 143 formed in the retention cylinder 14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142 for filtering the harmfu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purifying the introduced air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한편,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되, 상기 체류통(14)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집진함체(15)가 더 구비된다.Meanwhile, the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body 15 which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is continuously disposed to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staying cylinder 14.

상기 집진함체(15)는 상기 체류통(14)의 체류공간(143) 및 체류통의 외측에 배치된 제3필터(23) 및 제4필터(24)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고, 합류된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이전에 최종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제2배치공간(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치공간(151)과 상기 체류공간(143) 및 제4필터(24)가 배치된 공간을 연통시키는 상부유입공(152)과, 상기 제2배치공간(151)과 마우스피스(30)측을 연통시키는 하부배출공(153)을 포함한다.The dust collecting body 15 is joined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filter 23 and the fourth filter 24 disposed outside the retention space 143 of the retention cylinder 14 and the retention cylinder. Finally, the harmfu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are filtered before being inhaled by the user. The interior of the air is formed into an empty enclosure shape, and a second placement space 151 is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placement space 151 and the residence Upper inlet hole 152 for communicating the space where the space 143 and the fourth filter 24 are disposed, and lower outlet hole 153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placement space 151 and the mouthpiece 30 side. It include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집진함체(15)는 제2배치공간(151)에 필터모듈(20)의 제2필터(22)가 배치되어 체류공간(143)과 제4필터(24)를 통과한 공기 중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을 필터링하여 마우스피스측으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호흡시 유해성 오염물을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In the dust collecting body 15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lter 22 of the filter module 2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rangement space 151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residence space 143 and the fourth filter 24. The harmful pollutants contained are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mouthpiece so that the user does not inhale the harmful pollutants when breathing.

이러한 집진함체(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입공(152)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류공간(143)과 제4필터(24)를 통과한 공기가 제2필터(22)측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되나, 하부배출공(153)은 상기 집진함체(15)의 일면 중앙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개폐부재(16)의 박막(166)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공기의 흐름이 제어된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inlet hole 152 is form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sitions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tention space 143 and the fourth filter 24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22. Although configured to join to the side, the lower discharge hole 153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5 is opened or closed by the thin film 16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 to be described later, the flow of air is controlled.

즉, 종래 방독호흡기에서 다수개의 필터를 연속적으로 단순히 배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집진함체(15)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사용자의 호흡 형태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필터의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arranging a plurality of filters in a conventional gas respirator to filter harmfu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15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for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이를 상기 집진함체(15)의 하부배출공(153)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개폐부재(16)와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discharge hole 153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5.

먼저, 상기 개폐부재(16)는, Firs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

내부에 개폐공간(162)이 형성된 개폐바디(161)와,Opening and closing body 161,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is formed therein,

상기 개폐바디(161)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162)과 수용공간(11)측을 연통하는 탑홀(163)과,A top hole 163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and the receiving space 11 side;

상기 개폐바디(161)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162)과 상기 마우스피스(30)측과 연통되는 바텀홀(164)과,A bottom hole 164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and the mouthpiece 30 side;

상기 개폐바디(161)에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30)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개폐바디(161)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중계홀(165)과,A relay hole 165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61 and discharging air transmitted from the mouthpiece 30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61;

상기 개폐공간(162)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상기 탑홀(163)을 폐쇄하고, 들숨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박막(166)을 포함한다.The thin film 166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to close the top hole 163 when the user exhales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inhaling.

상기 개폐바디(161)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개폐공간(162)이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을 이룬다.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61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through which air moves, and form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상기 탑홀(163)은 상기 개폐바디(161)의 개폐공간(162)과 상기 수용공간(11)측을 연통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류통(14)의 체류공간(143) 및 제4필터(24)측과 연통되어 체류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The top hole 163 communicates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and the receiving space 11 side, and more precisely, the staying space 143 and the fourth filter of the staying cylinder 14. In communication with the (24) side, air flows in from the staying space.

즉, 상기 탑홀(163)은 사용자의 호흡 형태 중 숨을 들어마시는 형태인 들숨시 체류공간과 제4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That is, the top hole 163 is the inhaled breathing space of the user breathing form of the breathing form and the filtered air is intro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ourth filter.

상기 바텀홀(164)은 상기 탑홀(163)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공간(162)과 마우스피스(30)측을 연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들숨시 개폐공간(162)에 유입된 공기를 마우스피스(30)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The bottom hole 164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op hole 163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and the mouthpiece 3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when the user breathes in. To discharge to the mouthpiece (30) side.

상기 중계홀(165)은 상기 개폐공간(162)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날숨시 뱉어내는 공기를 개폐바디(161)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The relay hole 165 is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to guide the air that the user exhales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이를 위해 상기 중계홀(165)은 상기 탑홀(163)과 바텀홀(164)의 사이에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공기의 배출은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가 들숨 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소화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relay hole 165 is formed between the top hole 163 and the bottom hole 164 an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sitions, preferably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easy to discharge the air,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when the user inhales to minimize.

상기 박막(166)은 상기 개폐공간(162)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상기 탑홀(163)을 폐쇄하고 날숨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재,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개폐공간(162)의 내면에 고정된다.The thin film 166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to close the top hole 163 when the user exhales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exhaling, for this purpose,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silicone, rubber, urethane, etc. It is made of a material,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이때, 상기 박막(16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홀(163)을 폐쇄하는 중앙부는 탑홀(16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으로 구성되고, 개폐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는 양단부는 탑홀(163)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중앙은 탑홀(163)을 폐쇄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살대가 배치되어 각 살대가 개폐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thin film 166 has a central portion closing the top hole 163 in a disc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op hole 163, an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space. Both ends to be fixed are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 in width compared to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top hole 163 can m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enter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to close the top hole 163 and a plurality of rods are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portion so that each ro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그리고, 상기 박막(166)은 사용 중 탄성 변형되는 중앙과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가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맞닿는 부위 및 양단부와 개폐공간의 내면이 닿는 부위에 별도의 보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수단은 실리콘, 우레탄,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중앙부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손의 염려가 있는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n film 166 has a separate reinforcement mean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oth end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ally deformed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two ends is repeatedly damaged. It may be further provided. Such reinforcement means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synthetic resin, etc., and may be disposed in a form of wrapping a portion having a fear of damage so as to prevent breakage without disturb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entral por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개폐부재(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들숨시 박막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탑홀(163)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바텀홀(164)을 통해 마우스피스(30)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As shown in FIG. 6,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mouthpiece 30 through the bottom hole 164 after the air is introduced from the top hole 163 by keeping the thin film in a horizontal state. To the side)

사용자가 날숨시 박막(166)의 중앙부위가 날숨에 의한 압력을 통해 탑홀(163)을 폐쇄하도록 변형되어 이를 폐쇄하면, 상기 중계홀(165)을 통해 사용자가 뱉은 공기가 개폐바디(16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When the user exhal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n film 166 is deformed to close the top hole 163 through the pressure due to exhalation and closes the air, and the air spits out by the user through the relay hole 165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후,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필터모듈(20)을 구성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체(25)에 의해 포집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뱉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필터모듈(20)의 집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discharged air is collected by the carbon dioxide collector 25 constituting the filter module 20, through which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odule 20 is reduced by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spit by the user. It can be prevented.

상기 필터모듈(20)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다수 개가 배치되어 유입된 공기 중 포함된 유해성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것으로, 상기 제1배치공간(133)에 배치되는 제1필터(21)와, 상기 제2배치공간(151)에 배치되는 제2필터(22)와, 상기 체류통(14)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제3필터(23)와, 상기 제3필터(23)의 수직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4필터(24) 및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1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포집체(25)를 포함한다.The filter module 20 is to filter the harmfu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by a plurality of arranged inside the body 10, the first filter 21 is disposed in the first batch space 133 And a second filter 22 disposed in the second placement space 151, a third filter 23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ying cylinder 14, and a vertical direction of the third filter 23. And a fourth filter 24 continuously disposed on a line and a carbon dioxide collector 25 dispos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제1필터(21) 내지 제4필터(24)는 각각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활성탄, 헤파(hepa) 등 유해성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의 종류 및 효과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first filter 21 to the fourth filter 24 is composed of a filter for filtering harmful contaminants, such as activated carbon, hepa (hep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disposed, and the type and effect of such a filter is known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체(25)는, 아민(amine)를 이용한, 즉 탄소 스크러빙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것으로, 알칼리 및 알칼리 토류 수산화물로 가성화, 탄산화, 그리고 다공성 흡착제로 지지된 아민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폐바디(161)의 중계홀(165)로부터 배출된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한다.The carbon dioxide collector 25 collects carbon dioxide by using amine, that is, by carbon scrubbing, and is composed of amine supported by causticization, carbonation, and porous adsorbent with alkali and alkaline earth hydroxides.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spouted by the user discharged from the relay hole 165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61 is collected.

또한, 다공성 MOF(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이산화탄소 포집체(25)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ous MOF (porous metal-organic framework) may be configured as a carbon dioxide collector 25 to captur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ir spit by the user.

이러한 이산화탄소 포집체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의 사용 시간이 5~10분(min) 이내일 경우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함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이 뱉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재흡입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높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Such a carbon dioxide collector collects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spouted by the user separately based on the case where the use of the emergency escape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5 to 10 minutes (min). Minimizing resorption of the included carbon dioxide has solved the problem caus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상기 마우스피스(30)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입으로 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모듈(20)을 통과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하고,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가 반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The mouthpiece 3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bite by mouth, and the user sucks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odule 20 disposed inside the body 10. And, the air spouted by the user is configured to flow in reverse.

이러한 마우스피스(30)은 착용자의 연령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마우스피스(30)의 구성 및 형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The mouthpiece 30 may be modified in size and shap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wear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mouthpiece 30.

상기 보호커버(40)은 미사용시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된 마우스피스(30)을 외부의 이물질 및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내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protective cover 40 is to protect the mouthpiece 3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from external foreign matters and moisture when not in use,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e side of which is opened, preferably the outside of the inside It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you can check with the naked eye.

이때, 상기 보호커버(40)은 마우스피스(30)이 배치되는 배치부(41)와, 상기 배치부(41)를 감싸며 배치되되 내부에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이 충진된 충진부(42)가 포함된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cover 4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placement portion 41 and the placement portion 41 is disposed, the filling portion 42 filled with the extinguishing liquid or powder is disposed therein Included.

상기 충진부(42)는 화재 발생 시 바디(10)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부위에 투척하여 내부에 충진된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을 통해 불꽃을 일부 연소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filling part 42 i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 when a fire occurs, and is configured to throw a part of the flame through the extinguishing liquid or powder filled in the inside by throwing the fire in the separated state.

이를 통해 초기 화재 발생시 발견자가 보호커버(40)을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투척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initial fire occurs, the detector throws the protective cover 40 at the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s to minimize the spread of the fire.

또한, 상기 충진부(42)는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 이외에도 형광성 물질이 충진되어 화재 발생시 전원이 차단된 상황에서 시야 확보를 위해 바닥, 벽면, 천정 등에 보호커버를 투척하여 충진된 형광성 물질이 도포되어 탈출 경로를 확인하거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lling unit 42 is fill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in addition to the extinguishing liquid or powder, the fluorescent material filled by throwing a protective cover to the floor, wall, ceiling, etc. to secure the visibility in the situation that the power is cut off in the event of a fire is applied You can check the escape route or mark your location.

상기 덮개(50)은 상기 바디(10)의 상단 개구부(12)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미사용시 외부 공기가 바디(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The cover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12 of the body 10, and blocks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body 10 when not in use.

이러한 덮개(50)은 본 발명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조명수단(51)과, 상기 조명수단(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가 더 포함되어 시야 확보 또는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cover 50 further includes a lighting means 51 emitting light by the power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ttery 52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51 to be used to secure a field of view or to display a position. Can be.

즉, 상기 덮개(50)은 종래에는 미사용시 바디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다가 사용 시 이를 바디로부터 제거하여 폐기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덮개(50)의 일면에 조명수단(51)을 배치하고, 상기 조명수단(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를 덮개(50)의 내측에 구비함으로서 비상시 시야 확보 또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at is, the cover 50 is conventionally block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body when not in use, but removes it from the body when used to disca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means 5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50, By providing a battery 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51 on the inside of the cover 50 can be expected the effect of ensuring the visibility or position in the emergency.

여기서 상기 배터리(52)는 미사용시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고, 스위치(미도시됨)를 통해 조명수단(5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스위치 및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및 회로는 공지의 것이므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battery 52 is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cut off when not in use, and supplies power to the lighting means 51 through a switch (not shown).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덮개(5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걸림고리(53)가 더 형성되어 상기 조명수단(51)을 이용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실의 염려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over 50 is further formed with a hook 53 is inserted into the user's finger can reduce the risk of loss in the process of moving while using the lighting means (51).

상기 코막이(60)는 상기 보호커버(40)의 배치부(41)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관되며, 비상 시 사용자의 코를 외측에서 가압하여 코로 호흡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nasal membrane 60 is stored in a state disposed on the placement portion 41 of the protective cover 40, to prevent the user's nose to breathe in the nose by pressing the user's nose from the outside in an emergenc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10 : 바디
11 : 수용공간 12 : 상단 개구부
13 : 소켓 14 : 체류통
141 : 연통공 142 : 필터부재
143 : 체류공간
15 : 집진함체
151 : 제2배치공간 152 : 상부유입공
153 : 하부배출공
16 : 개폐부재
161 : 개폐바디 162 : 개폐공간
163 : 탑홀 164 : 바텀홀
165 : 중계홀 166 : 박막
20 : 필터모듈
21 : 제1필터 22 : 제2필터
23 : 제3필터 24 : 제4필터
25 : 이산화탄소 포집체
30 : 마우스피스
40 : 보호커버
41 : 배치부 42 : 충진부
50 : 덮개
51 : 조명수단 52 : 배터리
53 : 걸림고리
1: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10: body
11: receiving space 12: upper opening
13: Socket 14: Reservoir
141: communication hole 142: filter member
143: Staying space
15: dust collector
151: second batch space 152: upper inlet hole
153: lower discharge hole
16: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1: opening and closing body 162: opening and closing space
163: top hole 164: bottom hole
165: relay hole 166: thin film
20: filter module
21: first filter 22: second filter
23: third filter 24: fourth filter
25: carbon dioxide collector
30: mouthpiece
40: protective cover
41: disposition part 42: filling part
50: cover
51: lighting means 52: battery
53: hook

Claims (4)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상단 개구부(12)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모듈(20)과;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30)와;
미사용시 상기 마우스피스(30)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호커버(40)와;
상기 바디의 상단 개구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사용시 상단 개구부(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50)와;
사용자의 코를 가압하여 호흡을 차단하기 위한 코막이(60)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10)에는,
사용자의 호흡시 들숨과 날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부재(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16)는,
내부에 개폐공간(162)이 형성된 개폐바디(161)와,
상기 개폐바디(161)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162)과 수용공간(11)측을 연통하는 탑홀(163)과,
상기 개폐바디(161)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162)과 상기 마우스피스(30)측과 연통되는 바텀홀(164)과,
상기 개폐바디(161)에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30)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개폐바디(161)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중계홀(165)과,
상기 개폐공간(162)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날숨시 상기 탑홀(163)을 폐쇄하고, 들숨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박막(166)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체류통(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류통(14)은,
내부에 상기 상단 개구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체류하는 체류공간(143)이 형성되고,
상기 체류공간(143)과 상기 수용공간(11)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체류공간(143)에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독성물질, 먼지 등을 집진하는 필터부재(142)가 배치되고,
상기 체류통(14)의 일단부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집진함체(15)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집진함체(15)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제2배치공간(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치공간(151)과 상기 체류공간(143)을 연통시키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상부유입공(152)과,
상기 제2배치공간(151)과 마우스피스(30)측을 연통시키는 하부배출공(153)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12)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 개의 구멍이 천공된 상부통풍판(131)과, 상기 상부통풍판(131)의 외주연이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부통풍판(131)을 지지하는 하부소켓(132)과, 상기 상부통풍판(131)과 하부소켓(132) 사이에 형성된 제1배치공간(133)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20)은,
상기 제1배치공간(133)에 배치되는 제1필터(21)와,
상기 제2배치공간(151)에 배치되는 제2필터(22)와,
상기 체류통(14)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제3필터(23)와,
상기 제3필터(23)의 수직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4필터(24) 및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1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개폐바디(161)의 중계홀(165)로부터 배출된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되 아민(amine)을 이용한 탄소 스크러빙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체(25)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40)는,
상기 마우스피스(30)이 배치되는 배치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배치부(4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소화용 액체 또는 분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같은 소화용 조성물이 충진된 충진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A body 1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11 formed therein and an upper opening 12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11;
A filter module 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disposed inside the body 10;
A mouthpiece 3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A protective cover 40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 to protect the mouthpiece 30 from foreign matter when not in use;
A cover 5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12 of the body and blocks outside air from enter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12 when not in use;
Including a nasal membrane 60 to block the breath by pressing the user's nose,
The body 10,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 is further provided to open or close according to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breath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
Opening and closing body 161,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is formed therein,
A top hole 163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and the receiving space 11 side;
A bottom hole 164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 closing space 162 and the mouthpiece 30 side;
A relay hole 165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and discharging air delivered from the mouthpiece 30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161;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162 includes a thin film 166 to close the top hole 163 when the user exhales,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inhaling,
The body 10,
Further comprising a stay barrel 14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e retention cylinder 14,
A residence space 143 in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opening 12 stays is formed,
A communication hole 141 communicating the staying space 143 and the receiving space 11 is formed,
In the residence space 143, a filter member 142 for collecting toxic substances, dus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is disposed,
Further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body 15 that is continuously disposed to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stay cylinder 14,
The dust collecting body 15,
The second batch space 151 is formed inside the empty enclosure shape,
An upper inlet hole 152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placement space 151 and the staying space 143 an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sitions;
A lower discharge hole 153 communicating the second placement space 151 and the mouthpiece 30 side;
In the opening 12,
The upper vent plate 13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vent plate 131 are disposed to abu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vent plate 131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 lower socket 132 supporting the 131 and a first arrangement space 133 formed between the upper ventilation plate 131 and the lower socket 132;
The filter module 20,
A first filter 21 disposed in the first batch space 133,
A second filter 22 disposed in the second batch space 151,
A third filter 23 dispose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ying cylinder 14;
A fourth filter 24 continuously disposed on a vertical line of the third filter 23 and
It is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body, and collects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spouted by the user discharged from the relay hole 165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61, but carbon scrubbing using amine (amine) It includes a carbon dioxide collector 25 for collecting carbon dioxide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40,
Arrangement portion 41 in which the mouthpiece 30 is disposed is forme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arrangement portion 41 and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portion 42 is filled with the same extinguishing composition made of any one of the extinguishing liquid or powder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50)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명수단(51)과,
상기 조명수단(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50,
Lighting means 51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by the applied power source,
Emergency escape gas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battery 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51).
KR1020190051278A 2019-05-02 2019-05-02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KR102052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78A KR102052952B1 (en) 2019-05-02 2019-05-02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78A KR102052952B1 (en) 2019-05-02 2019-05-02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952B1 true KR102052952B1 (en) 2020-01-08

Family

ID=6915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78A KR102052952B1 (en) 2019-05-02 2019-05-02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52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707B1 (en) 1999-12-20 2002-04-01 김종기 Mike assembly for antigas mask
KR200351791Y1 (en) * 2004-03-11 2004-05-28 김인환 Potable breath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funtion
KR100610884B1 (en) * 2005-03-28 2006-08-09 김희정 Gas mask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which has flash at the end of the filtering canister
KR100903119B1 (en) 2007-09-17 2009-06-1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Gas mask of filter exchange type
KR101176942B1 (en) 2011-12-22 2012-08-30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Mouthpiece equipped with mask
KR101305359B1 (en) * 2012-12-26 2013-09-06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Emergency escape for respirator respiratory
KR101401569B1 (en) * 2013-03-14 2014-06-03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For the separation of stickers with emergency escape respirator respiratory
KR101607577B1 (en) * 2014-10-07 2016-03-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extinguisher equipped gas mask
KR101915542B1 (en) * 2018-05-01 2018-11-06 장도익 Mask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707B1 (en) 1999-12-20 2002-04-01 김종기 Mike assembly for antigas mask
KR200351791Y1 (en) * 2004-03-11 2004-05-28 김인환 Potable breath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funtion
KR100610884B1 (en) * 2005-03-28 2006-08-09 김희정 Gas mask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which has flash at the end of the filtering canister
KR100903119B1 (en) 2007-09-17 2009-06-1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Gas mask of filter exchange type
KR101176942B1 (en) 2011-12-22 2012-08-30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Mouthpiece equipped with mask
KR101305359B1 (en) * 2012-12-26 2013-09-06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Emergency escape for respirator respiratory
KR101401569B1 (en) * 2013-03-14 2014-06-03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For the separation of stickers with emergency escape respirator respiratory
KR101607577B1 (en) * 2014-10-07 2016-03-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extinguisher equipped gas mask
KR101915542B1 (en) * 2018-05-01 2018-11-06 장도익 Ma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414B1 (en) Gas mask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US4549543A (en) Air filtering face mask
KR101242608B1 (en) Portable air filters
KR101865298B1 (en) Life mask
KR102173429B1 (en) Oxygen-Enhanced Fine Dust Removal Mask
KR102301192B1 (en) Wearable air purifier
KR101578506B1 (en) Mask
KR102333134B1 (en) A Mask for Preventing Contaminant Inhalation with Sensor
KR20200054942A (en) Anti-pollution face mask
CN203750046U (en) Fire protection filtering type self-saving breathing apparatus
CN103816621A (en) Rescue breathing device
KR102052952B1 (en) Emergency escape respiratory respirator
KR20120019069A (en) Protable oxygen respiratory respiratory apparatus
KR200431561Y1 (en) Hood for Oxygen inhaler
KR102459036B1 (en) Transparent mask equipped with oxygen supply
RU2463093C1 (en)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of person
EP1806164B1 (en) Protective hood
CN106215344A (en) A kind of fire self-help life-saving device
KR102358720B1 (en) Full face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0378223B1 (en) A portable nose cover with air filter
KR102365511B1 (en) nose mask
KR102398355B1 (en) Dust mask and gas mask with excellent filtration and ease of use
CN217661163U (en) Protective mask for fire emergency drilling
KR102562485B1 (en) Fire Escape Mask
US11491355B1 (en) Respiration flow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