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38B1 -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38B1
KR102052838B1 KR1020180113615A KR20180113615A KR102052838B1 KR 102052838 B1 KR102052838 B1 KR 102052838B1 KR 1020180113615 A KR1020180113615 A KR 1020180113615A KR 20180113615 A KR20180113615 A KR 20180113615A KR 102052838 B1 KR102052838 B1 KR 10205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space
sli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철
양영권
박보랑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소통시키는 개방공간을 가지는 창호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창호용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 및 상기 개방공간과 유동공간을 소통시켜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개방공간 측으로 토출되게 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재; 상기 기류 유도부재의 유동공간에 공기를 강제 주입시켜 주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기류 유도부재의 유동공간과 상기 송풍팬을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Window type ventilation in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창호나 창문에 구조 변경 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환기를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며 환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 및 조절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환기 시스템은 자연 환기 방식과 기계 환기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자연 환기 방식은, 별도의 동력이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창호 개폐에 의한 온도, 중력 등의 작용으로 실내와 실외의 기류 혼합을 발생시킴으로써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자연 환기 방식은 친환경적이며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나 실내·외 온도차가 크지 않고 기류의 속도가 낮을 경우 원활한 환기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기계 환기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계 환기 방식을 이용한 종래의 환기 장치는, 실외와 실내를 소통시키는 공기 이동로에 설치되며 환기팬과 같은 장치를 구동시켜 실내와 실외의 기류 혼합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환기 장치는 별도의 장치들을 전용 설치공간에 설치해야 하며 기존의 창호용 프레임에 적용이 불가능해 높은 설치 비용을 발생시키고,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환기를 위해 높은 에너지 사용량이 소모되며 실외 공기를 효과적으로 실내에 유인하기 어려워 환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74865호 ‘다목적 환기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설비나 설치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구조변경이나 추가시공 없이 기존의 창호용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환기를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는, 실내와 실외를 소통시키는 개방공간을 가지는 창호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창호용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 및 상기 개방공간과 유동공간을 소통시켜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개방공간 측으로 토출되게 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재; 상기 기류 유도부재의 유동공간에 공기를 강제 주입시켜 주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기류 유도부재의 유동공간과 상기 송풍팬을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는, 창호형 프레임에 브라켓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각각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마주하는 부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슬릿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 중 실내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개방공간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유동공간 내에 유입된 공기가 확산되지 않고 상기 슬릿 주변에 머물러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슬릿을 한정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유동공간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확산방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는, 기류 유도부재가 창호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유동공간을 구비하며 그 유동공간과 개방공간을 소통시키는 슬릿을 구비하고, 송풍팬이 그 유동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되게 하고, 연결관이 기류 유도부재와 송풍팬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동공간으로 이동되게 하며, 슬릿을 통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며 실외공기의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실내 환기를 위한 별도의 설비나 설치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구조변경이나 추가시공 없이 기존의 창호용 프레임에 환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환기를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실내공기의 실내 유입을 극대화하여 환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기류 유도부재에 의한 실외공기 유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인 기류 유도부재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실내공기 순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기류 유도부재에 의한 실외공기 유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인 기류 유도부재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실내공기 순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창호용 프레임(W)에 착탈 가능하며, 착탈을 위해 그 기존 창호용 프레임의 구조 변경이나 추가 시공을 요구하지 않고 비전문가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류 유도부재(100), 송풍팬(200) 및 연결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는 실내와 실외를 소통시키는 개방공간(H)을 가지는 창호용 프레임(W)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창호용 프레임(W)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D)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150)과 슬릿(S)을 구비한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의 유동공간(150)은 연결관(300)과 소통되어 실내공기의 유입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의 슬릿(S)은, 개방공간(H)과 유동공간(150)을 소통시켜, 그 유동공간(150)에 유입된 공기를 개방공간 측으로 토출되게 함으로써,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유도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슬릿(S)은 창문(D)의 폭과 대응되는 기류 유도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릿(S)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는 창호용 프레임(W)에 회동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 창호용 프레임(W)에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려 할 경우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는, 상기 창호용 프레임(W)에서 펼쳐져 실내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슬릿(S)으로 토출되는 실내공기는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외공기의 실내 유입율이 증대되고 환기 효율을 높이게 된다.
반면, 실외공기의 실내 유입을 저하시키려 할 경우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는, 상기 창호용 프레임(W)에 접혀져서 그 창호용 프레임(W)과 각도를 형성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00)은, 창호용 프레임(W)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내 측에 배치되고 기류 유도부재(100)의 유동공간(150)에 공기를 강제 주입시켜 줌으로써, 상기 유동공간(150)에 실내공기가 유입 및 이동되게 하며 그 실내공기를 슬릿(S)으로 이동 및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관(300)은 송풍팬(200)과 기류 유도부재(100)를 서로 연결시켜 소통되게 하여, 상기 송풍팬(20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기류 유도부재(100)의 유동공간(150)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도 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는, 기류 유도부재(100)가 창호용 프레임(W)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유동공간(150)을 구비하며 그 유동공간(150)과 개방공간(H)을 소통시키는 슬릿(S)을 구비하고, 송풍팬(200)이 그 유동공간(150)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되게 하고, 연결관(300)이 기류 유도부재(100)와 송풍팬(200)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동공간(150)으로 이동되게 하며, 슬릿(S)을 통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며 실외공기의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실내 환기를 위한 별도의 설비나 설치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구조변경이나 추가시공 없이 기존의 창호용 프레임에 환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환기를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실내공기의 실내 유입을 극대화하여 환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기류 유도부재(100)는 지지부(110)와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10)는 창호형 프레임(W)에 브라켓(B)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가 실내를 향해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1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120)은, 각각 상기 지지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마주하는 부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슬릿(S)을 형성시킨다. 상기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120)은, 실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개방공간(H)을 향하는 저면이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개방공간(H)의 폭을 좁히고 공기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기류 유도부재(100)의 슬릿형성부들(120)은 가이드면(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면(130)은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120) 중 실내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개방공간(H)의 폭을 점점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슬릿(S)으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유인된 실외공기의 실내유입 시 유속을 증대시키고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게 하여 환기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진다(도 2 및 도 4 참조).
상기 가이드면(130)은 기류 유도부재(100)의 저면에 굴곡지게 형성되되, 슬릿(S)이 형성될 수 있게 길이방향(창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류 유도부재(100)의 슬릿형성부들(120) 중 어느 하나는 확산방지리브(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방지리브(140)는 유동공간(150)을 향하며 상기 슬릿(S)을 한정하는 단부(어느 하나의 슬릿형성부 단부)로부터 유동공간(150)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송풍팬(200)에 의해 유입되며 연결관(300)을 경유하여 유동공간(150) 내에 유입된 공기가 내부에서 확산되지 않고 슬릿(S) 주변에 일시적으로 머물러 있게 하여 슬릿(S)을 통해 효과적으로 토출되게 한다.
본 실시예는, 송풍팬(200)의 구동시 실외공기나 실내공기(공기) 중 어느 하나를 연결관(300)으로 강제유입시키고, 그 공기가 기류 유도부재(100)의 유동공간(150)으로 이동된 후 확산방지리브(140)에 의해 일시적으로 머물도록 하며, 슬릿(S)에 의해 상기 공기가 확산되지 않고 실내를 향해 토출되어 실외공기를 유인함으로써, 환기를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실내공기의 실내 유입을 극대화하여 환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개방공간(H)이 폐쇄된 경우 송풍팬(200)으로 실내공기를 유입시키고 그 실내공기를 기류 유도부재(100)로 이동시킨 후 다시 실내로 토출되게 함으로써, 우천 시 또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씨에 실내공기를 실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W: 창호용 프레임 D: 창문
H: 개방공간 B: 브라켓
100: 기류 유도부재 110: 지지부
120: 슬릿형성부들 130: 가이드면
140: 확산방지리브 150: 유동공간
S: 슬릿 200: 송풍팬
300: 연결관

Claims (4)

  1. 삭제
  2. 실내와 실외를 소통시키는 개방공간을 가지는 창호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창호용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 및 상기 개방공간과 유동공간을 소통시켜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개방공간 측으로 토출되게 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기류 유도부재; 상기 기류 유도부재의 유동공간에 공기를 강제 주입시켜 주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기류 유도부재의 유동공간과 상기 송풍팬을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어지고,
    상기 기류 유도부재는, 창호형 프레임에 브라켓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각각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마주하는 부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슬릿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 중 실내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개방공간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릿형성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유동공간 내에 유입된 공기가 확산되지 않고 상기 슬릿 주변에 머물러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슬릿을 한정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유동공간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확산방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KR1020180113615A 2018-09-21 2018-09-21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KR10205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15A KR102052838B1 (ko) 2018-09-21 2018-09-21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15A KR102052838B1 (ko) 2018-09-21 2018-09-21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38B1 true KR102052838B1 (ko) 2019-12-05

Family

ID=6900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15A KR102052838B1 (ko) 2018-09-21 2018-09-21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348A (ja) * 2003-06-12 2005-01-06 Lidartech Co Ltd 換気装置を備えたウィンドウ{windowhavingaventilation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348A (ja) * 2003-06-12 2005-01-06 Lidartech Co Ltd 換気装置を備えたウィンドウ{windowhavingaventilation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3504382T3 (en) Fixing profile allowing the air passage and assembly of ceiling comprising such a profile
KR101146332B1 (ko) 환기 및 열 회수기능을 갖는 창호
US9598895B2 (en) Door sealing system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CN109530382A (zh) 通风柜
CN207990883U (zh) 冷库风幕机
CN105830819B (zh) 一种湿帘风机正压通风循环降温系统及其分段降温方法
CN104019536A (zh) 吊顶式空调内机安装方法及吊顶式空调
CN103216906B (zh) 一种增强风幕阻隔功能的方法及风幕机
CN107123938A (zh) 一种预制舱及通风系统
CN203249357U (zh) 风幕机及风幕
KR102052838B1 (ko)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CN113803841A (zh) 风幕装置
CN103216905B (zh) 增强风幕阻隔功能的方法及风幕机
RU2349843C1 (ru) Способ ограничения передачи тепла сквозь проем в стене зда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создания воздушной завесы перед указанным проемом
KR101332486B1 (ko)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CN116290501A (zh) 一种节能保温的建筑幕墙结构及其施工方法
JP3082061B2 (ja) 暖房または暖冷房の空調方法
CN206611998U (zh) 均温通风鸡舍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US3706271A (en) Inlet control
CN115095942A (zh) 一种房间内设有卫生间的双向流全屋新风系统
KR1009773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열교환 시스템 장치
KR102030286B1 (ko) 창호형 환기 유도 장치
KR20130114967A (ko) 자연환기가 가능한 친환경 건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