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52B1 -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52B1
KR102052652B1 KR1020170165889A KR20170165889A KR102052652B1 KR 102052652 B1 KR102052652 B1 KR 102052652B1 KR 1020170165889 A KR1020170165889 A KR 1020170165889A KR 20170165889 A KR20170165889 A KR 20170165889A KR 102052652 B1 KR102052652 B1 KR 10205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overlay
control center
function
servi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293A (ko
Inventor
김종원
한정수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6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52B1/ko
Priority to US16/210,629 priority patent/US10985985B2/en
Publication of KR2019006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06F11/203Failover techniques using mig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6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distributed or central networked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 virtual computing platform, e.g. logically partition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4Using snapshots, i.e. a logical point-in-time copy of th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인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관제를 총괄하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 오버레이 클라우드가 구성되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사업자 및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와 클라우드 사업자를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직접 연결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A cloud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IT 비용을 절감하고, IT 자원 운영의 민첩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채택되고, 또한 이들에 대한 통합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양측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나아가 기존 방식의 온프레미스(Onpremise) IT 자원까지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접근 방법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 관점에서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간소화된 클라우드 선택 과정을 제공하고,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벤더 클라우드 자원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시간과 비용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 또한 요구되고 있다.
현재 여러 클라우드 인프라를 합쳐서 통합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술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관리 기술은 서로 다른 인프라를 엮는데만 집중하고 있지만, 이는 다양한 SaaS 응용들이 동적으로 인프라/플랫폼 통합 인프라 상에서 구성되어야하는 환경에서는 기술적으로 제한점이 많다. 또한 새로운 클라우드 컴퓨팅의 트랜드인 Serverless의 성장 가속화에 따라 인프라의 상황을 배제하는 Application 중심의 개발 방법론이 점차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Application을 인프라의 제한조건 없이 동적으로 돌릴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워크플로우 기반의 개발자용 클라우드 (OverCloud) 동적 구성 및 관리 기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생성 (Instantiation), 관리 (Maintenance), 이동 (Migration), 소멸 (Clean-up)에 있어서, 빠르고 동적으로 개발자용 클라우드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인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관제를 총괄하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 오버레이 클라우드가 구성되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사업자 및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와 클라우드 사업자를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직접 연결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워크플로우 기반의 개발자용 클라우드 (OverCloud) 동적 구성 및 관리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생성 (Instantiation), 관리 (Maintenance), 이동 (Migration), 소멸 (Clean-up)에 있어서, 빠르고 동적으로 개발자용 클라우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구성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클라우드 사업자(4)와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간 사전 준비 과정(prearrangement)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중심부의 진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유지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소멸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첨부 도면은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미소한 부분은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을 수도 있고, 미소한 부분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체적인 구조는 구체적으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설치 위치 등 구체적인 부분이 다르더라도 그 작용이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이 복수 개가 있을 때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우선 정리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overcloud): 각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환경을 논리적인 클러스터 단위로 묶어서 제공해주는 영역
언더클라우드(undercloud): 융합형 박스 중심의 실제 ICT 자원들로부터 구축/운영되는 하이브리드/멀티사이트 클라우드 인프라/플랫폼을 통합해서 바라보는 영역
SaaS(software as a service): "on-demand software"로도 불리며, 소프트웨어 및 관련데이터는 중앙에 호스팅되고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하는 형태의 소프트웨어 전달 모델
SaaS 오버레이 클라우드: 하이브리드/멀티사이트 클라우드 상에서 개발자에게 논리적인 클러스터 형태로 제공되는 오버레이 기반의 클라우드를 말하며, DevTower, Logical Cluster, DataLake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DevOps Tower: 각 개발자들에게 overcloud를 제공해주고 관리하는 총괄타워
SmartX automation Framework: 개발자들의 요구사항을 받아서 SaaS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함
DevTower: 각 DevTower는 개발자들을 전담하며, SaaS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프로비저닝, 가시성, 오케스트레이션 등 관리 전반을 자동화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DataStore에서 관리함
DataLake: SaaS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구축 및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운영 및 서비스(응용)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소
Logical cluster: 언더클라우드 상에서 제공하는 자원조각(가상/컨테이너/물리머신) 들을 부분적으로 선택하고 엮어진 단위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장치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장치를 운용하는 운용자(1)와, 자신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발업무 등에 사용하는 개발자(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포함한다)(2)와,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포함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언더 클라우드(5)가 서로 연동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실시예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장치는, 개발자(2)의 요청에 따라서, 운용자(1)는 언더 클라우드(5)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이 안정적 효율적 가시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용자(1)는, 자신의 정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자동화모듈(11)의 지원을 받고, 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운영자 데이터 저장소(1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자동화모듈(11)에는 상기 언더 클라우드를 통합(orchestration)하고 기획하는 언더 클라우드 통합부(111)와, 언더 클라우드를 배치시키는 언더 클라우드 공급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언더 클라우드(5)는, 종래에 운용되어 온 퍼블릭 클라우드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클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바람직하게 적용되기로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 클라우드를 관리하는 요소로서 언더 클라우드 관리부(7)가 포함되고, 전체 시스템의 운용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감시부(6)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개발자(2)가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고자, 즉, 자신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운용자(1) 측으로 요청을 한다. 운영자(1) 측에서는 자동화 모듈(11)를 동작시켜 언더 클라우드 관리부(7)를 통하여 언더 클라우드(5)의 자원을 활용하여 개발자(2)의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개발자(2)는 자신만의 개발센터(21)와 자신만의 개발자 데이터 저장소(22)가 포함되는 오버레이 클라우드(4)를 운용하게 된다.
상기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운용을 감시하고 비정상운용 및 고장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감시부(6)가 이를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개발자(2)는 자신의 오버 클라우드(4)의 운용에 문제를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구성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구성 장치는 도 1에서 설명하였던 이종 하이브리드/멀티사이트 클라우드 인프라/플랫폼 환경에 독립적으로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설치와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구성 장치는 호환성 지원을 자동화된 실행환경을 통해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인프라/플랫폼/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아우르면서 이질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SaaS 오버레이 클라우드 프레임워크 상에서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 클라우드 사업자(4), 오버레이 클라우드(10)간에 상호 연동을 통해 동작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제어부(2) 및 언더클라우드 자원 관리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제어부(2)는 오버레이 클라우드(10)를 구성하고 제어한다. 언더클라우드 자원 관리부(3)는 언더클라우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분배한다.
클라우드 사업자(4)는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사업자로 구성된다. 클라우드 사업자(40)는 예를 들어, OpenStack, Amazon, Microsoft와 같이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할 수 있다. 클라우드 사업자(4)는 대화 인터페이스(13), 가시성 솔루션(14) 또는 인프라(15)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오버레이 클라우드(10)는 개발자용 클라우드로서,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에 의해 관리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10)는 가시성 확보부(9), 논리적 클러스터(8), 데이터 저장소(7), 및 제어 중심부(6)로 구성되며, 오버레이 클라우드(10)의 구성요소들은 동작의 효율성 및 유연성을 고려하여 템플릿 기반이 아닌 워크플로우 기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클라우드는 템플릿 기반의 자동화에서 부족한 병렬적 수행을 워크플로우를 통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동적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클라우드 동적 구성은 워크플로우 기반의 자동적인 오버레이 클라우드 동적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클라우드 사업자(4)와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간 사전 준비 과정(prearrangement)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프라는 일반적으로 제어가 불가능한 인프라로서, 이러한 제어 불능의 인프라를 상대로 종적으로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종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는 사전 준비과정이 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최종 사용자들의 다양한 SaaS를 수용하기 위해서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구성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대 필요한 상황들을 잘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사전준비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오버레이 클라우드 구성에 대한 관제를 총괄하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와 실제로 오버레이 클라우드가 구성되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사업자(4)간의 물리적인 직접 연결점이 필요하다. 여러 클라우드 사업자(40)들이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와 연결되기 위해 만나는 중간 합류 지점에서 고속의 전송 노드가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직접 연결점(12)이다.
또한, 클라우드 사업자(4)들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가 통신하기 위한 대화 인터페이스(13)가 제공된다. 이러한 대화 인터페이스(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사업자(4)들이 제공한다.
또한, 제어가 불가능한 인프라의 상태를 파악알 수 있어야 자유롭게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구성할 수 있는다, 클라우드 사업자(4)는 자신의 클라우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가시성 솔루션(14)를 제공한다.
도 4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Instantiation)은 준비된 환경으로부터 오버레이 클라우드(10)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은 상대적으로 작은 기능만 제공하는 제어 중심부(6)로 시작해서 완전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중심부로 변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 중심부(6)의 각 기능들은 서로 의존적이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며, 각 제어 중심부(6)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오버레이 클라우드(10)를 구성하는 작업을 파이프라인 형태로 병렬적으로 진행(12)함으로 동적이면서 빠르게 오버레이 클라우드(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중심부(DevTower)가 데이터 스토어, 프로비저닝, 가시성 및 조율의 각각에 대하여 생성되며, 이러한 제어 중심부들이 각각 병렬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저장소에 관한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가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중심부(19)를 클라우드 사업자(4)로 전송한다(S11). 클라우드 사업자(4)는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중심부(19)를 생성한다(S12).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중심부(19)는 결과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한다(S13).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는 데이터레이크(데이터 저장소) 생성을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로 요청한다(S14).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는 클라우드 사업자(4)로 데이터레이크 생성을 요청한다(S15). 클라우드 사업자(4)는 데이터레이크(7)를 생성한다(S16). 데이터레이크(7)는 결과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한다(S17).
두번째로 논리적 클러스터에 관한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가 클라우드 사업자(4)에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를 전송한다(S21). 클라우드 사업자(4)는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를 생성한다(S22).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는 결과를 리턴한다(S23).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는 논리적 클러스트 할당을 요청한다(S24). 요청을 받은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는 클라우드 사업자(4)에게 논리적 클러스터 할당을 요청한다(S25). 클라우드 사업자(4)는 논리적 클로스터를 할당한다(S26). 논리적 클러스터(8) 결과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한다(S27).
세번째로 가시성 확보부에 관한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가 클라우드 사업자(4)에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를 전송한다(S31). 클라우드 사업자(4)는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를 생성한다(S32).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는 결과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한다(S33).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는 가시성 확보부 생성에 관한 요청을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로 전송한다(S34).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는 가시성 확보부 생성에 관한 요청을 클라우드 사업자(4)로 전송한다(S35). 클라우드 사업자는 가시성 확보부(9)를 생성한다(S36). 가시성 확보부(9)는 결과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한다(S37).
네번째로 조율(orchestration)에 관한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가 클라우드 사업자(4)에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를 전송한다(S41). 클라우드 사업자(4)는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를 생성한다(S42).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는 결과를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한다(S4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중심부의 진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중심부(6)는 단계적으로 진화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 중심부는 내부 기능들을 컨테이너 형태로 빠르게 생성 및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중심부를 단계적으로 진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전송하는 작업과,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구성요소들을 프로비저닝하는 작업을 파이프라인 형태로 병렬적으로 진행한다.
도 5에 도시된 제어 중심부의 진화는 일 예로서, 데이터스토어 기능만이 생성된 제어 중심부(6-1)가 프로비저님 기능을 포함하도록 진화하고(6-2), 가시성 기능을 확보하도록 진화하고(6-3), 조율 기능까지 확보하도록 진화할 수 있다(6-4).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중심부를 구성함으로써, 유연하게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유지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유지란, 동적으로 생성된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유지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클라우드 유지는 예방 유지(Preventive Maintenance)와 고장 유지(Breakdown Maintenance)를 병렬적으로 진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클라우드 유지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 제어 중심부(6), 데이터 저장소(7), 논리적 클러스터(8), 가시성 확보부(9)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된다.
전체적으로, 생성된 오버레이 클라우드(10)의 가시성 확보부(9)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파악하고, 가시성 확보부(9)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물리적 장애나 다양한 문제를 인식하거나, 혹은 수집된 데이터들을 통해 이상현상을 탐지하고, 이러한 장애나 이상현상 발생 판단 시, 오버레이 클라우드 이동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소(7)의 접근하는 데이터의 양을 파악하면서, 데이터가 발생되는 논리적 클러스터(8)와 밀접성을 판단해, 데이터 저장소(7)의 이동 유무를 판단한다.
먼저, 데이터 수집 및 인터그레이션을 살펴본다.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가 가시성 확보부(9)로 데이터 수집을 요청한다(S111).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는 가시성 확보부(9)로부터 오버레이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한다(S112).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는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로 데이터 인터그레이션을 요청한다(S113). 데이터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는 데이터를 처리한다(S114).
두번째로 예방 유지를 살펴본다.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가 오버레이 클라우드에 관한 헬스 체크를 데이터 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로 요청한다(S121). 데이터 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는 결과를 리턴한다(S122). 데이터 스토어에 관한 제어 중심부(19)는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로 예방 액션을 요청한다(S123).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는 논리적 클러스터(8) 및 데이터 저장소(7)에 대하여 예방 액션을 요청하고 결과를 받는다(S124-S127).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를 받은 결과를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로 전송한다(S128).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는 가시성 확보부 생성 요청을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에 요청한다(S129). 가시성 확보부(9)가 생성되고(S130), 그 결과가 가시성 확보부(9)로부터 리턴된다(S131). 그리고 예방 액션의 결과가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리턴된다(S132).
세번째로 고장 유지를 살펴본다.
가시성 확보부(9)가 고장 발생을 감지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로 알린다(S141).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는 고장 액션을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로 요청하고(S142),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는 논리적 클러스터(8) 및 데이터 저장소(7)에 대하여 고장 액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리턴받는다(S143-S146). 그리고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가 프로비저닝에 관한 제어 중심부(20)로부터 액션 결과를 리턴받는다(S147).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는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에 가시성 확보부 생성을 요청한다(S148). 가시성에 관한 제어 중심부(21)는 가시성 확보부(9)를 생성하고(S149), 가시성 확보부(9)는 결과를 조율에 관한 제어 중심부(22)로 리턴하고(S150), 리턴된 결과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로 노티된다(S151).
도 7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에 관한 흐름도이다.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은 동적으로 생성된 오버레이 클라우드(10)를 이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오버레이 클라우드(10) 생성과 마찬가지로 파이프라인 기반의 오버레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이미지 스냅 샷 및 전송과 오버레이 클라우드(10) 구성을 병렬적으로 진행된다.
전체적인 마이그레이션 진행은 사용자의 명령 혹은 이상현상 발생이 감지되어, 오버레이 클라우드(10) 이동 작업이 진행되고, 제어 중심부(6) (데이터 스토어,프로비저닝, 가시성, 조율 순으로), 논리적 클러스터(8), 데이터 저장소(7) 순으로 병렬적으로 이미지 형태로 저장된다(파이프라인 형태의 병렬적인 이미지 저장 및 처리). 그리고, 이미지는 데이터 스토어에 저장되며 프로비저닝 → 가시성 → 조율 순으로 제어 중심부(6)의 기능들이 하나씩 제거 된다.
데이터스토어에 있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데이터스토어 → 프로비저닝 → 가시성 → 조율 순으로 타워를 재정비하면서, 데이터 저장소(7), 논리적 클러스터(8), 가시성 확보부(9)를 파이프라인 형태의 병렬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이그레이션 결과를 통보한다.
도 8은 오버레이 클라우드 소멸에 관한 흐름도이다.
오버레이 클라우드 소멸(Clean-up)은 동적으로 생성된 오버레이 클라우드(10)를 소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레이 클라우드 소멸은 제어 중심부(6), 데이터 저장소(7), 논리적 클러스터(8), 가시성 확보부(9)를 삭제한다.
전체적인 소멸 진행은, 가시성 확보부(9)의 데이터 수집 중단과 데이터 저장소(7) 자원 회수 및, 논리적 클러스터(8) 클라우드 자원 회수, 제어 중심부(6) 자원 회수 (프로비저닝(20) → 가시성(21) → 데이터 스토어(19) → 조율(22) 순서)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위의 두 단계의 스텝은 병렬적으로 진행하되면서, 완료가 되면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에게 오버레이 클라우드(10) 소멸이 통보된다. 그리고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1)에서 클라우드 사업자(4) 인프라 상황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인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관제를 총괄하는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
    오버레이 클라우드가 구성되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사업자; 및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관리부와 클라우드 사업자를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직접 연결점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는 워크플로우 기반으로 동적 구성되고 관리되고,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동적 구성 및 관리 방법은,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생성을 포함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상 현상이 감지되는 경우 수행되는 마이그레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는,
    제어 중심부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중심부가 완전한 기능을 제공할 때까지,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생성이 시작된 시점의 상기 제어 중심부에 비하여 상기 제어 중심부가 제공하는 기능이 증가하면서 생성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동적 구성 및 관리 방법은
    오버레이 클라우드의 유지, 및 소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는 가시성 확보부, 논리적 클러스터 및 데이터 저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성요소로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기능이 증가하는 상기 제어 중심부는,
    데이터스토어 기능만이 포함된 상태에서 프로비저닝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스토어 기능 및 상기 프로비저닝 기능이 포함된 상태에서 가시성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스토어 기능, 상기 프로비저닝 기능 및 상기 가시성 기능이 포함된 상태에서 조율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스토어 기능, 상기 프로비저닝 기능, 상기 가시성 기능 및 상기 조율 기능은 서로 의존적이지 않은 형태로 존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한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제어 중심부는,
    데이터 스토어 기능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중심부, 프로비저닝 기능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중심부, 가시성 기능을 포함하는 제3 제어 중심부 및 조율 기능을 포함하는 제4 제어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중심부, 상기 제2 제어 중심부, 상기 제3 제어 중심부 및 상기 제4 제어 중심부는 병렬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작업은 파이프 라인 형태로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유지는 예방 유지와, 고장 유지가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이미지 스냅 샷 및 전송과 오버레이 클라우드 구성이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65889A 2017-12-05 2017-12-05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KR10205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89A KR102052652B1 (ko) 2017-12-05 2017-12-05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US16/210,629 US10985985B2 (en) 2017-12-05 2018-12-05 Cloud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89A KR102052652B1 (ko) 2017-12-05 2017-12-05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93A KR20190066293A (ko) 2019-06-13
KR102052652B1 true KR102052652B1 (ko) 2019-12-06

Family

ID=6665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889A KR102052652B1 (ko) 2017-12-05 2017-12-05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85985B2 (ko)
KR (1) KR1020526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5321A1 (en) * 2014-10-13 2016-04-14 Vmware, Inc. Cross-cloud policy management for hybrid cloud deploymen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089A2 (en) * 2010-10-21 2012-04-26 Net Power And Light Inc. Distributed processing pipeline and distributed layered application processing
US9072117B1 (en) * 2011-11-16 2015-06-30 Amazon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computing over a wireless ad hoc network
US20170093971A1 (en) * 2015-09-30 2017-03-30 Cloudendure Ltd. System and method for orchestrating replicated components in a replicated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JP5976230B2 (ja) * 2013-10-04 2016-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リソース管理方法
WO2015065353A1 (en) * 2013-10-30 2015-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the lifecycle of a cloud service modeled as topology decorated by a number of policies
KR101597035B1 (ko) * 2014-05-30 2016-02-23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기반 아이씨티 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등록처리방법
US20170289002A1 (en) * 2016-03-31 2017-10-05 Mrittika Ganguli Technologies for deploying dynamic underlay networks in cloud computing infrastructures
KR101987018B1 (ko) * 2016-05-19 2019-09-30 광주과학기술원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5321A1 (en) * 2014-10-13 2016-04-14 Vmware, Inc. Cross-cloud policy management for hybrid cloud deploy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73758A1 (en) 2019-06-06
US10985985B2 (en) 2021-04-20
KR20190066293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85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end to end lifecycle of a virtualization environment
US101713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rtably deploying applications on one or more cloud systems
US10412166B2 (en) Hybrid clou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P3149591B1 (en) Tracking application deployment errors via cloud logs
US9716746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software defined continuity (SDC) and application defined continuity (ADC) for achieving business continuity and application continuity on massively scalable entities like entire datacenters, entire clouds etc. in a computing system environment
US9858060B2 (en) Automated deployment of a private modular cloud-computing environment
US115506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izing a cloud desktop fabric
US11044175B2 (en) Hybrid cloud broker with static and dynamic capability matching
US10942790B2 (en) Automated-application-release-management subsystem that incorporates script tasks within application-release-management pipelines
US11757721B2 (en) Application topology visualization
US11265202B2 (en) Integrated automated application deployment
Fowley et al. A comparison framework and review of service brokerage solutions for cloud architectures
CN109561147A (zh) 一种异构云管理方法及系统、异构云管理系统构建方法
CN103238136A (zh) 对于异构迁移环境的虚拟机变化
US114493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end to end lifecycle of a cloud-hosted desktop virtualization environment
US20100122119A1 (en) Method to manage performance monitoring and problem determination in context of service
US11032145B2 (en) Methods and systems that provision applications across multiple computer systems
US7975038B2 (en) Application management program,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lication management apparatus
US8819234B1 (en) Supplying data storage services
KR102052652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CN110870275B (zh) 用于共享存储器文件传输的方法和装置
US100019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ly available storage management using storage providers
US9063799B1 (en) Method for encapsulating functions fo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in a cloud environment
US8191084B1 (en) Techniques for supporting application operation
Borges et al. A process for clouds services procurement based on model and q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