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578B1 -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578B1
KR102052578B1 KR1020170091316A KR20170091316A KR102052578B1 KR 102052578 B1 KR102052578 B1 KR 102052578B1 KR 1020170091316 A KR1020170091316 A KR 1020170091316A KR 20170091316 A KR20170091316 A KR 20170091316A KR 102052578 B1 KR102052578 B1 KR 10205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dron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504A (ko
Inventor
조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드론
조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드론, 조형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드론
Priority to KR102017009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switches or sensors on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one-hand) 원격 조종 장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면에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막대의 한 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드론의 수평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종부; 및 조종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드론의 수직 움직임을 제어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수평 움직임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포함하며, 수직 움직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이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승선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작하여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멀티콥터 드론은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으로 방송 등에서 촬영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드론(무인 비행체)가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은 카메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촬영을 하거나, 드론에 물건을 싣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하는 등의 레저 스포츠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종래보다 가볍고, 소형화되며,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기도 한다.
드론은 사람이 승선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 이므로, 보통 지상에 있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운용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드론은 사람의 조작이 필요한 수동운전에 의해 조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드론을 조작하는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Grab) 한 상태에서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는 조작의 난이성 때문에 드론을 조종하는데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판매되는 드론의 종류도 입문용, 중급용, 고급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드론 유저들은 드론의 능숙한 조종을 위해 드론 조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드론이 레저 스포츠 등으로까지 그 활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드론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이 향상된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one-hand) 원격 조종 장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면에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막대의 한 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드론의 수평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종부; 및 조종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드론의 수직 움직임을 제어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수평 움직임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포함하며, 수직 움직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이동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이 향상된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부의 상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부의 상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몸체부(10), 몸체부(10)의 상부면에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막대의 한 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드론의 수평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종부(20) 및 조종부(20)의 상부면(31)에 형성되되, 드론의 수직 움직임을 제어하는 버튼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수평 움직임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포함하며, 수직 움직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이동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드론의 수평 및 수직 움직임을 한 손으로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조종부(20)의 틸팅 방향에 따라 수평 이동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조종부(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자리 회전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버튼부(30)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위치에 따라 고도 변경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드론(2)으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조종부(20)의 틸팅 방향을 감지하고, 제자리 회전 방향을 감지하고, 버튼부(30)의 입력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41)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수평 이동 명령 신호, 제자리 회전 명령 신호, 고도 변경 명령 신호를 드론(2)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버튼부(30)가 구비된 조종부(20)의 상부면(31)은 특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종부(20)의 상부면(31)은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조종부(20)의 상부면(31)에 얹고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조종부(20)의 측면부를 감싸쥘 때, 엄지손가락이 얹혀지는 방향에 따르는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조종부(20)의 상부면(31)에 얹은 편안한 자세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다.
조종부(20)는 막대의 장변(長邊)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축으로 하고, 조종부(20)와 몸체부(10)가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조종부(20)와 몸체부(10) 사이에 형성되어, 조종부(20)가 틸팅 및 제자리 회전되면서 몸체부(10) 상에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보조부(50)를 더 포함한다.
보조부(50)는 조종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종부(20)를 중심축에 대하여 틸팅하거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며 몸체부(10)에 고정하는 보조부(40)의 구조는 다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부분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조종부(20)가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제어부(40)는 센서부(41)에 의해, 조종부(20)의 틸팅 방향을 감지한 후 전/후/좌/우 수평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무선 통신부(42)를 통해 드론(2)으로 수평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부(2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시계 방향) 또는 우측(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어부(40)는 센서부(41)에 의해, 조종부(20)의 제자리 회전 방향을 감지한 후 좌측/우측 제자리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무선 통신부(42)를 통해 드론(2)으로 제자리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조종부(20)를 좌측(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우측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제어부(40)는 우측 수평 이동 제어 명령 신호 및 좌측(시계 방향) 제자리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드론(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종부(20)를 통하여 한 손 만으로 드론(2)의 수평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포함하는 수평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종부(2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몸체부(10)에 수직하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종부(20)와 몸체부(10)가 접하는 부분에는 스프링,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종부(20)가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된 후에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조종부(20)는 몸체부(10)에 수직하는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다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조종부(20)는 제자리 회전할 경우, 센서부(41)에 접촉되는 요잉 입력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잉 입력 핀은 조종부(20)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중심축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41)는 요잉 입력 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좌측 접촉 센서 및 우측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부(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요잉 입력 핀은 좌측 접촉 센서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조종부(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요잉 입력 핀은 우측 접촉 센서에 접촉할 수 있다.
센서부(41)는 조종부(20)의 제자리 회전 시 요잉 입력 핀과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종부(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요잉 입력 핀이 좌측 접촉 센서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접촉 센서는 요잉 입력 핀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종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요잉 입력 핀이 우측 접촉 센서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우측 접촉 센서는 요잉 입력 핀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접촉 센서 및 우측 접촉 센서에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는 각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로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40)에서 드론(2)을 좌측 및 우측으로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종부(20)는 둘레면의 일 영역에 미끄럼 방지 밴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끄럼 방지 밴드(21)는 사용자의 손이 조종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버튼부(30)는 상부면(31) 내에서 높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30)의 영역(H)과 낮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30)의 영역(L)에 각각 형성되며, 물리적으로 독립된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31)의 중심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면(31) 내에서 높은 위치 영역(H) 및 낮은 위치 영역(L)에 각각의 버튼부(3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면(31)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버튼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면(31) 내에서 높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30)의 영역(H)은 사용자의 입력시 상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며, 상부면(31) 내에서 낮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30)의 영역(L)은 사용자의 입력시 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조종부(20)의 상부면(31)에 얹고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조종부(20)의 측면부를 감싸 쥔 상태에서, 높은 위치 영역(H)에 배치된 버튼부(30)를 누를 경우, 제어부(40)는 센서부(41)에 의해, 버튼부(30)의 입력 위치(H)를 감지한 후 상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무선 통신부(42)를 통해 드론(2)으로 상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위치 영역(L)에 배치된 버튼부(30)를 누를 경우, 제어부(40)는 센서부(41)에 의해, 버튼부(30)의 입력 위치(L)를 감지한 후 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무선 통신부(42)를 통해 드론(2)으로 상측 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종부(20)의 상부면(31)에 위치한 버튼부(30)를 통하여 한 손의 엄지손가락 만으로 드론(2)의 수직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조종부(20)의 상부면(31)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드론(2)에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조작 버튼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조작 버튼부(35)는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다양한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작 수단으로, 동영상, 사진 촬영, 줌 인(Zoom-In) 및 줌 아웃(Zoom-Out) 등 다양한 촬영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31)의 중심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면(31) 내에서 좌측 및 우측 영역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 조작 버튼부(35)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버튼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조종부(20)의 상부면(31)에 사용자의 한 손 중 엄지손가락을 얹고,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조종부(20)를 감싸 쥔 상태에서, 드론의 수평 및 수직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양손으로 조종하는 드론 조종기에 비해 누구나 쉽게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2: 드론
10: 몸체부
20: 조종부
21: 미끄럼 방지 밴드
30: 버튼부
31: 상부면
40: 제어부
41: 센서부
42: 무선 통신부
50: 보조부

Claims (14)

  1.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one-hand) 원격 조종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막대의 한 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상기 드론의 수평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종부;
    상기 조종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드론의 수직 움직임을 제어하는 버튼부; 및
    상기 조종부의 틸팅 방향에 따라 수평 이동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종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자리 회전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버튼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위치에 따라 고도 변경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움직임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움직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이동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종부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종부는 상기 조종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중심축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 요잉 입력 핀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요잉 입력 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좌측 접촉 센서 및 우측 접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종부가 제자리 회전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요잉 입력 핀이 상기 좌측 접촉 센서에 접촉되거나 상기 우측 접촉 센서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종부와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해당하는 좌측 접촉 센서 및 우측 접촉 센서 간의 배치관계가 달라지게 되어 상이한 회전명령신호가 발생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구비된 조종부의 상부면은 특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상기 조종부의 상부면에 얹고 상기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상기 조종부의 측면부를 감싸쥘 때, 상기 엄지손가락이 얹혀지는 방향에 따르는 기울기로 형성된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내에서 높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시 상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며,
    상기 상부면 내에서 낮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시 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높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의 영역과 낮은 위치에 배치된 버튼부의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물리적으로 독립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의 상부면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조작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상기 막대의 장변(長邊)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축으로 하고, 상기 조종부와 상기 몸체부가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종부의 틸팅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자리 회전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 이동 명령 신호, 제자리 회전 명령 신호, 고도 변경 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하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둘레면의 일 영역에 미끄럼 방지 밴드를 포함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종부가 틸팅 및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몸체부 상에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조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KR1020170091316A 2017-07-19 2017-07-19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KR10205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16A KR102052578B1 (ko) 2017-07-19 2017-07-19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16A KR102052578B1 (ko) 2017-07-19 2017-07-19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04A KR20190009504A (ko) 2019-01-29
KR102052578B1 true KR102052578B1 (ko) 2019-12-06

Family

ID=6532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316A KR102052578B1 (ko) 2017-07-19 2017-07-19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023A (ko) 2019-02-26 2020-09-03 구건우 장갑형 웨어러블 드론조종장치를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46B1 (ko) * 2015-09-04 2016-09-01 홍유정 드론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46B1 (ko) * 2015-09-04 2016-09-01 홍유정 드론 컨트롤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로지텍 윙맨 익스트림 3D 프로 조이스틱(네이버 블로그, 2016.11.02. http://myeongho123.blog.me/2208518615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04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866B2 (en) Drone controller
CN108885452B (zh) 多轴控制器
US10635097B2 (en) Dial structure, remote controller employ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EP337309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supporting the same
US2020007950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ed to transformable remote controllers
US8843244B2 (en) Autonomous behaviors for a remove vehicle
US20180095492A1 (en) Dual-mode joystick
JP6767802B2 (ja) 無人飛行体及びその飛行制御方法
WO2015013979A1 (zh) 遥控方法及终端
US11327477B2 (en) Somatosensory remote controller, somatosensory remote control flight system and method, and head-less control method
KR102366311B1 (ko) 드론 컨트롤러
EP2070076A2 (en) Autonomous behaviors for a remote vehicle
CN110114125B (zh) 无人机操纵系统、操纵信号发射器组和无人机操纵方法
KR102052578B1 (ko)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KR101980601B1 (ko) 원격 조종 장치
KR102104309B1 (ko)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KR20210104012A (ko) 드론 컨트롤러
CN205563980U (zh) 体感遥控器
US20170308077A1 (en) Controll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JP7289152B2 (ja) 飛行制御システム
KR101941277B1 (ko) 드론 컨트롤러
KR102385079B1 (ko) 객체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