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300B1 -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00B1
KR102052300B1 KR1020190046737A KR20190046737A KR102052300B1 KR 102052300 B1 KR102052300 B1 KR 102052300B1 KR 1020190046737 A KR1020190046737 A KR 1020190046737A KR 20190046737 A KR20190046737 A KR 20190046737A KR 102052300 B1 KR102052300 B1 KR 10205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picture
information
subjec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덕영
Original Assignee
노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덕영 filed Critical 노덕영
Priority to KR102019004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은,
분석 대상자로부터 성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회원가입모듈;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검사 시트를 제공하는 시트제공모듈;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상기 검사 시트에 가족을 그린 분석대상그림을 입력받는 그림입력모듈;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개별분석모듈;
분석된 상기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분석모듈;
상기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한 성격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System of Analyzing of Character with Pictures}
본 발명은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석 대상자마다 나타내는 선호 그림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의 성격 및 기질을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성격을 유형으로 나누어 개인 간의 차이를 설명하려 했던 최초의 시도는 애니어그램(Enneagram)으로 인간의 근본적이고 심리적인 지향, 예를 들면 정서, 행동 그리고 이 세계와 관계를 맺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그 외에 고대 동양의 점성가들과 희랍의 학자들은 인간의 근본적인 차이를 공기, 물, 땅 그리고 불과 같은 원소로 설명하려 했다. 이러한 고전적인 시도 외에도 인간의 성격 특징을 유형화함으로써 보다 자세히 개인차를 설명해 보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특히 C. G. 융의 성격유형론은 인간의 성격 유형을 병리학적인 관점이 아닌 분석학적 관점으로 체계화 시킨 대표적인 학설로 손꼽힌다.
더불어 동적 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 : KFD)라 함은 번즈와 카우프만(Burns and Kaufman, 1970)에 의해 개발된 기법으로, 가족화에 움직임을 첨가한 투사화이다. 동적 가족화는 가족 내에서 자기 자신과 다른 가족 구성원에 대한 지각을 파악하고,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역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적 가족화를 이용한 심리진단에서는 내담자에게 운동성이 부여된 가족 구성원의 그림을 그리도록 하고, 얻어진 그림을 인물상의 행위, 양식, 상징, 역동성 및 인물상의 특성 등의 5개 진단영역으로 나누어 해석함으로써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개인의 행동이나 반응, 태도 및 감정 등이 어떻게 투사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동적 가족화는 이러한 과정에 의해 가족 간의 상호작용, 관계 및 역동성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가족관계를 사정할 수 있는 미술평가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동적 가족화 진단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067797호에 '동적 가족화 진단을 위한 객체 기반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동적 가족화 진단을 위한 객체 기반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에 관련한 것으로서, 이미지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영역에 의해 표현되는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진단대상 이미지 및 각각의 객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인덱스 생성부는 복수의 객체 각각의 식별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선택된 대표점을 기초로 각각의 객체의 위치, 크기 및 다른 객체와의 거리를 포함하는 수치정보를 산출하여 인덱스 형태로 저장한다. 이미지 검색부는 복수의 견본 이미지가 각각의 견본 이미지의 식별정보 및 수치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복수의 견본 이미지 중에서 진단대상 이미지와 유사한 식별정보 및 수치정보를 가지는 견본 이미지를 참고대상 이미지로 결정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식별정보 및 이미지 상에서 객체의 위치 및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치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견본 이미지로부터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키워드 기반 또는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방법에 비해 시각적으로 유사한 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분석 대상자의 그림 패턴 분석을 보다 진보화하여 보다 정확한 유형별 성격 및 기질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규하고 진보한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석 대상자마다 나타내는 선호 그림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의 성격 및 기질을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형성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그림을 기반으로 한 유형화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유형화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의 성격 및 기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설문을 도입하여 심리나 가족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설문 결과 및 분석 대상자가 작성한 그림을 기반으로 설문 대상자의 성격이나 기질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분석 대상자가 그린 그림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하고 분석해내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은, 분석 대상자로부터 성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회원가입모듈;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검사 시트를 제공하는 시트제공모듈;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상기 검사 시트에 가족을 그린 분석대상그림을 입력받는 그림입력모듈;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개별분석모듈; 분석된 상기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분석모듈; 상기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한 성격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저장하는 그림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는 그림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별분석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분석모듈은, 분석된 상기 그림정보를 상기 유형별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분석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그림분석모듈은,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에 나타난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개별분석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에 나타난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회원가입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가족구성원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그림분석모듈은,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으로부터 객체를 판별하는 객체판별부 및, 판별된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자의 가족구성원정보를 파악하여 1차분석정보를 생성하는 1차분석부 및, 각각의 상기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2차분석정보를 생성하는 2차분석부와, 상기 1차분석정보 및 상기 2차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는 통합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에 의하면,
1) 분석 대상자마다 나타내는 선호 그림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의 성격 및 기질을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고,
2) 기 형성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그림을 기반으로 한 유형화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유형화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의 성격 및 기질을 분석하였으며,
3) 분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설문을 도입하여 심리나 가족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설문 결과 및 분석 대상자가 작성한 그림을 기반으로 설문 대상자의 성격이나 기질을 분석함과 동시에,
4) 분석 대상자가 그린 그림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하고 분석해내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여 객체 분리의 정확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의 프로세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적가족화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1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동적 가족화를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의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자(1) 및 성격 분석 시스템(10)의 주체가 되는 메인서버(2)로 이루어진다.
분석 대상자(1)는 동적 가족화 검사, 즉 가족에 대한 지각 및 태도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써 검사를 수행하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석 대상자(1)는 아동인 것을 기본으로 하나 아동 이외에도 청소년, 혹은 더 나아가 성인 역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분석 대상자(1)는 아동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 분석 대상자(1)는 분석 대상자(1)의 가족을 나타낸 그림을 입력하고, 그를 기반으로 분석된 성격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제공받게 된다.
메인서버(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이 탑재되는 서버PC나 이의 집단과 같은 구성일 수 있으며, 시스템(10)을 구현 및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주체이다. 즉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받은 그림을 저장하고, 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함과 동시에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 때 그림에 대한 분석은 메인서버(2)를 관리하는 관리 주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버 자체에서 그림에 대한 자동 분석을 수행하여 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10)은 분석 대상자(1)가 그린 가족화, 즉 그림에 있어 분석 대상자(1)가 나타내는 선호 그림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1)의 성격 및 기질을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10)의 프로세스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동적가족화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회원가입모듈(100), 시트제공모듈(200), 그림입력모듈(300), 개별분석모듈(400), 결과분석모듈(500), 결과제공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추가적인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개별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원가입모듈(100)은 성격 분석의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자(1)로부터 성명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공지의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회원가입을 생각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성격 분석 시스템(10)은 가족에 대한 분석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개인정보로서 성명 뿐 아니라 해당 분석 대상자(1)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정보인 가족구성원정보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가족구성원정보라 함은 가족 구성원의 수나 세부 구성에 대한 의미이다. 즉 같이 살고 있는 동거 가족(아빠/엄마/여동생/남동생/형/누나/오빠/언니/그 외 친척) 에 대해 입력하고 개별 동거 가족의 나이 등을 입력받아 누구와 함께 동거하는지, 동거하는 가족의 개별 정보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 추가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시트제공모듈(200)은 회원가입을 수행한 분석 대상자(1)에게 검사 시트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이 때 검사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족을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검사 시트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상에서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검사 시트가 제공되는 경우 마우스나 타블렛과 같은 입력 수단, 바람직하게는 그림을 그리기 용이한 타블렛 등이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된 상태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빈 화면이 검사 시트의 형태로 분석 대상자(1)가 보고 있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어 해당 검사 시트 화면에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상에서 검사 시트가 제공되는 경우 일반적인 종이 혹은 스케치북과 같은 검사 시트가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석 대상자(1)가 태블릿PC 등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해당 태블릿PC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수행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되는 경우 태블릿PC를 통해 검사 시트를 분석 대상자(1)의 태블릿PC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그림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입력모듈(300)은 상기 분석 대상자(1)로부터 상기 검사 시트에 가족을 그린 분석대상그림(3)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분석 대상자(1)는 제공받은 검사 시트에 본인의 가족을 표현한 가족화를 그리게 된다. 해당 가족화는 분석대상그림(3)으로써 시스템(10)에 입력 처리 되는 것이며, 분석대상그림(3)은 다시 말해 검사 시트에 분석 대상자(1)가 본인의 가족을 그림으로써 표현한 것이다.
이 때 온라인 상에서 검사 시트가 제공 된 경우 해당 검사 시트에 분석 대상자(1)가 본인의 가족을 그림으로써 표현하고 완료 버튼을 누르는 방식 등을 통해 분석대상그림(3)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오프라인 방식으로써 검사가 수행되는 경우 스케치북이나 일반 도화지 형태로 제공된 검사 시트에 분석 대상자(1)가 본인의 가족을 그리면, 분석 대상자(1)가 그림을 그린 검사 시트, 즉 분석대상그림(3)을 스캐너 등을 이용해 스캔하여 분석대상그림(3)을 입력 처리하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분석 대상자(1)에 의해 입력된 분석대상그림(3)은 본 시스템(10)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인 그림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별분석모듈(400)은 상기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된 분석대상그림(3)을 분석 처리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이 때 본 발명에서 분석대상그림(3)의 분석 처리라 함은 그림에 대한 내용적 분석보다는 형식적 분석을 기본으로 한다.
형식적 분석이라 함은 동적 가족화를 그리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누구부터 그렸느냐에 대한 순서, 검사 시트 위에서 어느 쪽에 그림을 그렸는가에 대한 위치(객체의 위치), 그림으로써 나타난 가족 구성원(객체)의 크기, 필압, 선의 농담, 불연속적인 선의 성질, 가족 구성원의 행위, 가족 구성원의 생략 등을 다루며 적어도 이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 대상자(1)의 심리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때 해당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공지의 모든 그림 분석 방법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된 분석대상그림(3)에 대한 분석 정보, 즉 그림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림정보는 기본적으로는 해당 분석대상그림(3)은 어떤 방향을 향해 그려졌는지, 그림에 나타난 선의 성질은 어떠한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분석대상그림(3)에 대한 분석 결과인 그림정보는 후술할 구성에서 이용되어 분석 대상자(1)에 대한 분석 자료로써 이용된다. 개별분석모듈(4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결과분석모듈(500)은 개별분석모듈(40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상기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분석 대상자(1)에 대한 분석 결과 정보인 대상자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대상자정보는 기본적으로 그림정보를 통해 판단된 분석 대상자(1)에 대한 분석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극적인 성향', '소극적인 성향', '호기심이 많음', '언어 구사력이 좋음'등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결과분석모듈(500)은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분석 대상자(1)를 분석하여 분석 대상자(1)의 성격이나 특성에 대한 정보인 대상자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그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그림데이터베이스(700)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분석대상그림(3)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그림의 특성, 즉 복수개의 그림정보를 유형화하고, 해당 그림정보마다의 성격이나 특성을 분석 처리하여 데이터화한 뒤 해당 데이터를 개별 분석 대상자(1)의 그림정보와 비교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성격 및 특징을 유형화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과제공모듈(600)은 상기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분석 대상자(1)에 대한 성격보고서를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성격보고서라 함은 분석 대상자(1)의 대상자정보를 보고서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본 분석 대상자(1)는 매사에 호기심이 많고 창의적 사고를 통한 활동적 에너지가 높은 감성형 아동입니다. 기발한 발상과 사물을 재창조해내는 능력이 탁월하여 어떤 상황이든 자신의 것으로 흡수하여 이를 어렵지 않게 감정으로 표출시키며 그 상황 자체를 즐기고 자신만의 세계로 몰입해 나가는 것이 감성형 아동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이 해당 분석 대상자(1)가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해당 유형의 특성 및 성격은 어떠한지에 대해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성격보고서는 오프라인 보고서 형식, 혹은 웹사이트 등을 통한 온라인의 형식 등에 제한 없이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형별 정보 생성을 위해 그림데이터베이스(700)에 기 입력된 복수개의 분석대상그림(3), 즉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빅데이터와 개별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받은 분석대상그림(3), 즉 개별 데이터를 빅데이터와 비교 처리하여 유형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700)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상기 분석대상그림(3)을 분석하여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는 그림분석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림분석모듈(800)은 그림데이터베이스(70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분석대상그림(3), 즉 복수개의 분석대상그림(3)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유형화한 유형별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유형별정보라 함은 분석대상그림(3)에서 나타나는 객체, 즉 가족 구성원을 표현한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3)을 분석한 정보로서, 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별로 어떠한 경향성이 나타나는지를 유형별정보로써 생성 및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그림분석모듈(800)은 객체판별부(810), 1차분석부(820), 2차분석부(830), 통합분석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객체판별부(810)는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된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3)으로부터 객체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분석대상그림(3) 각각으로부터 그림으로써 나타난 가족구성원을 객체로써 판별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객체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1차분석부(820)는 판별된 상기 객체로부터 가족표현정보를 파악하여 1차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가족표현정보라 함은 해당 객체가 본인, 아빠, 엄마, 여자 형제, 남자 형제, 기타 친척을 나타내는 지에 대한 정보이며, 일반적으로 분석 대상자(1)는 아동이므로 큰 크기의 남성 객체는 아빠, 큰 크기의 여성 객체는 엄마, 작은 크기의 남성 개체는 남자 형제 또는 본인, 작은 크기의 여성 객체는 여자 형제 또는 본인을 의미하며, 아빠/엄마가 나타나 있음에도 또 다른 성인 객체가 등장한다면 해당 객체는 기타 친척으로 표현된다. 즉 객체로써 어떠한 가족 구성원이 표현되어 있는지가 가족표현정보이며, 파악된 가족표현정보가 1차분석정보로써 생성된다.
2차분석부(830)는 각각의 상기 객체의 위치, 객체를 표현한 크기, 객체를 나타낸 선의 필압, 선의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3)을 분석하여 2차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2차분석부(830)가 그림분석모듈(800)의 가장 기본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개별분석모듈(400)의 기본 구성과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합분석부(840)는 상기 1차분석정보 및 상기 2차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1차분석정보와 2차분석정보를 통합 처리하고 통합 처리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분석대상그림(3), 즉 빅데이터를 유형화한 유형별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 경우 상기 결과분석모듈(500)은 분석된 상기 그림정보를 상기 유형별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분석 대상자(1)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구성은 분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빅데이터 분석이 이미 완료되어 있는 경우 개별 데이터의 유형화에 있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아 분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및 특징 분석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식적 분석을 기본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이 때 분석대상그림(3)의 표현 양식 분석과 더불어 분석 대상자(1)가 갖는 행동성에 대한 유형 분류 및 그에 따른 성향 분석을 위해 설문을 함께 수행하여 결과 도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설문수행모듈(900)을 더 포함하여 복수개의 설문이 포함된 검사지를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한 뒤, 해당 검사지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설문수행모듈(900)은 설문제공부(910) 및 설문답안부(9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설문제공부(910)는 상기 분석 대상자(1)에게 성격을 물어보는 복수개의 설문이 포함된 검사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설문의 경우 성격을 물어볼 수 있는 질문이되, 바람직하게는 외부 자극에 대한 해당 분석 대상자(1)의 반응 태도 및 성향을 물어볼 수 있는 설문으로 구성된다. 설문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10개 이하로 구성되며, 주관식 또는 객관식 답안이 가능한 설문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설문답안부(920)는 상기 분석 대상자(1)로부터 검사지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입력된 답안정보는 분석대상그림(3)과 함께 성격 및 특성 분석에 대한 분석 자료로써 이용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 검사지 제공 및 답안정보 입력은 분석대상그림(3) 입력 전에 이루어지므로, 시트제공모듈(200)의 경우 설문을 완료한 분석 대상자(1), 즉 상기 답안정보를 입력한 상기 분석 대상자(1)에게 검사 시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개별분석모듈(400)은 분석대상그림(3) 뿐 아니라 검사지의 답안정보에 대한 분석을 함께 수행해야 되는 바, 그림분석부(410), 설문결과산출부(420)로 구성되어 분석대상그림(3) 및 답안정보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림분석부(410)는 상기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3)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개별분석모듈(400)의 기본 기능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설문결과산출부(420)는 상기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설문결과정보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서버 관리자에 의해 답안정보가 수동 분석되거나, 혹은 시스템(10) 상에서 분석 대상자(1)가 검사지에 대해 입력한 답안정보를 자동 분석하여 답안정보를 토대로 외부 자극에 대한 해당 분석 대상자(1)의 반응 태도 및 성향을 분석 처리한 설문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결과분석모듈(500)은 상기 설문결과정보 및 상기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정보를 산출해내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그림정보 뿐 아니라 설문결과정보를 통합 처리한 대상자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분석대상그림(3)의 표현 양식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닌 설문을 통한 보다 구체적 자료 수집 및 그에 대한 통합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때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 다른 개별분석모듈(400)에 대한 실시예로서, 회원가입모듈(100)은 분석 대상자(1)의 개인정보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개별분석모듈(400)을 통한 분석대상그림(3) 분석 시 분석대상그림(3)에 나타난 객체로부터 가족구성원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분석대상그림(3)의 형식적 분석에 있어 작업소요시간, 즉 분석 대상자(1)가 해당 분석대상그림(3)을 그리는데 걸린 소요시간을 분석의 팩터로써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분석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성으로서 개별분석모듈(400)은 소요시간파악부(430), 객체분리부(440), 가족분석부(450), 구도분석부(460), 그림정보생성부(470)의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요시간파악부(430)는 상기 분석 대상자(1)에게 상기 검사 시트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분석대상그림(3)이 입력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인 작업소요시간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검사 시트가 오전 9시에 제공되고, 분석대상그림(3) 입력 완료 시점이 오전 9시 15분인 경우 작업소요시간은 15분으로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소요시간파악부(430)는 어느 시점에 검사 시트가 분석 대상자(1)에게 제공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어느 시점에 분석대상그림(3)이 입력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분석 대상자(1)가 분석대상그림(3)을 그리기까지 소요된 시간인 작업소요시간을 파악한다.
객체분리부(440)는 상기 분석 대상자(1)가 입력한 상기 분석대상그림(3)으로부터 객체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객체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신규한 객체 판별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가족분석부(450)는 객체분리부(440)를 통해 판별된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자(1)의 가족구성원정보를 파악하여 가족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된 가족구성원정보를 판별된 객체와 대조하여 가족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가족구성원정보로서 엄마 / 아빠 / 본인의 세 명만이 입력된 경우 판별된 객체 중 크기가 큰 남성으로 보이는 객체는 아빠, 크기가 큰 여성으로 보이는 객체는 엄마, 크기가 작은 객체는 본인이 된다. 형제관계가 입력된 경우를 가정하면, 분석 대상자(1)는 여성 아동이며 가족구성원정보로써 엄마/아빠/본인/여동생이 입력되었다 하자. 판별된 객체 중 크기가 큰 남성으로 보이는 객체는 아빠, 크기가 큰 여성으로 보이는 객체는 엄마, 크기가 작은 객체는 본인이 되며, 크기가 가장 작은 객체는 여동생이 된다. 이와 같이 분석 대상자(1)로부터 입력된 가족구성원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판별된 복수개의 객체가 어떤 가족구성원정보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구도분석부(460)는 판별된 각각의 상기 객체의 위치, 객체의 크기, 객체를 나타내는 선의 필압, 선의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1)가 입력한 상기 분석대상그림(3)을 분석하여 구도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개별분석모듈(400)의 가장 기본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면 되어 생략하도록 한다.
그림정보생성부(470)는 상기 작업소요시간, 상기 가족분석정보, 상기 구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1)에 대한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그림에 나타난 객체의 표현 방식 뿐 아니라 작업에 소요된 시간, 그리고 나타난 객체에 대한 가족구성원 파악이 가능하여 보다 통합적인 분석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분석의 정확도 및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객체분리부(440)에서 신규한 객체 판별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균질성을 기반으로 한 분리 방식이다. 이를 위해 객체분리부(440)는 상세 구성으로서 좌표화파트(441), 경사판단파트(442), 판별수행파트(443)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표화파트(441)는 상기 분석대상그림(3)의 각 픽셀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좌표화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좌표화를 통해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객체 분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경사판단파트(442)는 각각의 상기 좌표정보에 대해 검출된 선이나 점의 경사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경사도는 x방향 및 y방향 각각에 대해 판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경사도가 판단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객체가 나타난 영역인 객체영역은 직선과 곡선이 섞여 나타나는 바 배경을 나타낸 배경영역에 비해 경사도의 변화율이 높은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검사 시트는 아무 것도 없는 흰 종이의 형식인데, 검사 시트에 객체가 표현되어 분석대상그림(3)으로써 형성된다 해도 일반적으로 배경영역은 아무것도 나타나 있지 않는 흰 부분이며 객체영역은 그에 비해 직선과 곡선이 나타나는 영역이다. 따라서 경사도에 있어 객체영역은 배경영역에 비해 선이나 점이 나타나고, 나타난 선 역시 높은 경사도의 변화를 보이는 것이다.
판별수행파트(443)는 상기 경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대상그림(3)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영역은 배경영역에 비해 경사도의 변화율이 큰 특성을 지니므로, 경사도의 변화율이 큰 영역은 객체영역으로, 경사도의 변화율이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별하고 그 경계를 산출해내어 분석대상그림(3)으로부터 객체만을 분리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10)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분석 대상자 2 : 메인서버
3 : 분석대상그림 10 : 시스템
100 : 회원가입모듈 200 : 시트제공모듈
300 : 그림입력모듈 400 : 개별분석모듈
410 : 그림분석부 420 : 설문결과산출부
430 : 소요시간파악부 440 : 객체분리부
441 : 좌표화파트 442 : 경사판단파트
443 : 판별수행파트
450 : 가족분석부 460 : 구도분석부
470 : 그림정보생성부 500 : 결과분석모듈
600 : 결과제공모듈 700 : 그림데이터베이스
800 : 그림분석모듈 810 : 객체판별부
820 : 1차분석부 830 : 2차분석부
840 : 통합분석부 900 : 설문수행모듈
910 : 설문제공부 920 : 설문답안부

Claims (10)

  1.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으로서,
    분석 대상자로부터 성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가족구성원정보를 입력받는 회원가입모듈;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검사 시트를 제공하는 시트제공모듈;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상기 검사 시트에 가족을 그린 분석대상그림을 입력받는 그림입력모듈;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개별분석모듈;
    분석된 상기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분석모듈;
    상기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한 성격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개별분석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상기 검사 시트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분석대상그림이 입력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인 작업소요시간을 파악하는 소요시간파악부 및, 상기 분석 대상자가 입력한 상기 분석대상그림으로부터 객체를 판별하는 객체분리부와,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자의 가족구성원정보를 파악하여 가족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가족분석부 및, 판별된 각각의 상기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가 입력한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구도정보를 생성하는 구도분석부와, 상기 작업소요시간, 상기 가족분석정보, 상기 구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 대상자에 대한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그림정보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분리부는,
    상기 분석대상그림의 각 픽셀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좌표화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좌표화파트 및, 각각의 상기 좌표정보의 경사도를 판단하는 경사판단파트와, 상기 경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대상그림으로부터 상기 객체를 판별하는 판별수행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저장하는 그림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는 그림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별분석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분석모듈은,
    분석된 상기 그림정보를 상기 유형별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분석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분석모듈은,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에 나타난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개별분석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에 나타난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분석모듈은,
    상기 그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으로부터 객체를 판별하는 객체판별부 및,
    판별된 상기 객체로부터 가족표현정보를 파악하여 1차분석정보를 생성하는 1차분석부 및,
    각각의 상기 객체의 위치, 크기, 필압, 농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각각의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2차분석정보를 생성하는 2차분석부와,
    상기 1차분석정보 및 상기 2차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유형별정보를 생성하는 통합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성격을 물어보는 복수개의 설문이 포함된 검사지를 제공하는 설문제공부 및,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검사지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설문답안부를 포함하는 설문수행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트제공모듈은,
    상기 답안정보를 입력한 상기 분석 대상자에게 검사 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개별분석모듈은,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대상그림을 분석하여 그림정보를 생성하는 그림분석부 및,
    상기 분석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설문결과정보를 산출하는 설문결과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분석모듈은,
    상기 설문결과정보 및 상기 그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46737A 2019-04-22 2019-04-22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KR10205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37A KR102052300B1 (ko) 2019-04-22 2019-04-22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37A KR102052300B1 (ko) 2019-04-22 2019-04-22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300B1 true KR102052300B1 (ko) 2019-12-04

Family

ID=6900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737A KR102052300B1 (ko) 2019-04-22 2019-04-22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074B1 (ko) * 2022-11-21 2023-06-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디지털 드로잉 툴을 이용한 그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24071677A1 (ko)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이미지분석을 통한 어린이 심리분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ko) *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7797B1 (ko) * 2009-07-03 2011-09-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가족화 진단을 위한 객체 기반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KR101554961B1 (ko) * 2013-04-18 2015-09-24 (주) 마이크로사이텍 피검사자의 심리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772987B1 (ko) * 2017-02-28 2017-08-31 (주)코뮤즈 스캔 이미지를 이용한 심리검사결과 제공 방법
KR101880159B1 (ko) *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ko) *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7797B1 (ko) * 2009-07-03 2011-09-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가족화 진단을 위한 객체 기반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KR101554961B1 (ko) * 2013-04-18 2015-09-24 (주) 마이크로사이텍 피검사자의 심리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772987B1 (ko) * 2017-02-28 2017-08-31 (주)코뮤즈 스캔 이미지를 이용한 심리검사결과 제공 방법
KR101880159B1 (ko) *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677A1 (ko)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이미지분석을 통한 어린이 심리분석 시스템
KR102548074B1 (ko) * 2022-11-21 2023-06-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디지털 드로잉 툴을 이용한 그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555580B1 (ko) * 2022-11-21 2023-07-17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각 제작 툴의 사용량 정보와 그림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
KR102555579B1 (ko) * 2022-11-21 2023-07-17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사용자가 디지털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제작한 그림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디지털 드로잉 툴을 이용한 그림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ldonado et al. Mouse tracking as a window into decision making
Stewart The Delphi technique and judgmental forecasting
US20140003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of eye and eye movement data
US20200251217A1 (en) Diagnosis Method Using Image Based Machine Learning Analysis of Handwriting
KR102052300B1 (ko) 그림을 이용한 유형별 성격 분석 시스템
Liapis et al. User experience evaluation: A validation study of a tool-based approach for automatic stress detec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JP2018032164A (ja) 面接システム
Hadadi et al. Prediction of cybersickness in virtual environments using topological 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Villegas-Ch et al. Identification of emotions from facial gestures in a teaching environment with the use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avares et al. Crowdsourcing facial expressions for affective-interaction
Walter et al. Evaluation and optimisation of crowd-based collection of trees from 3D point clouds
KR20180013777A (ko) 비정형데이터 분석기술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l Iskandarani et al. Does It MultiMatch? What Scanpath Comparison Tells us About Task Performance in Teams
Ulitzsch et al. A screen-time-based mixture model for identifying and monitoring careless and insufficient effort responding in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data.
Krishnamoorthy et al. StimulEye: An intelligent tool for feature extraction and event detection from raw eye gaze data
JP6802332B1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Dai et al. Kansei Engineering and Soft Computing: Theory and Practice: Theory and Practice
Dapogny et al. On Automatically Assessing Children's Facial Expressions Quality: A Study, Database, and Protocol
CN111694980A (zh) 一种鲁棒的家庭儿童学习状态视觉监督方法及装置
KR20210046991A (ko) 동작인식기능이 포함된 아동심리검사에 의한 맞춤형 아동놀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Earl et al. Identifying soft biometric features from a combination of keystroke and mouse dynamics
KR102327597B1 (ko)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
Rida et al. From motion to emotion prediction: A hidden biometrics approach
US20220261856A1 (en) Method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in an advertising widget
Divya Venkatesh et al. Studying Human Factors Aspects of Text Classification Task Using Eye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