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49B1 - Nr1d1을 이용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Nr1d1을 이용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49B1
KR102050949B1 KR1020180018435A KR20180018435A KR102050949B1 KR 102050949 B1 KR102050949 B1 KR 102050949B1 KR 1020180018435 A KR1020180018435 A KR 1020180018435A KR 20180018435 A KR20180018435 A KR 20180018435A KR 102050949 B1 KR102050949 B1 KR 10205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r1d1
breast cancer
chemotherapy
patients
tr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497A (ko
Inventor
이미옥
신영기
나혜린
가나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9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5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br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R1D1 (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을 이용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 NR1D1의 발현이 높은 유방암 환자에서 chemotherapy 예후가 좋은 것을 확인한 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NR1D1의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NR1D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고, 그 발현 정도에 따라 항암제의 투여량을 조절함으로써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항암치료보다 높은 효과를 갖는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NR1D1을 이용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 방법 {Method for predicting the response and prognosis to chemotherapy in a patient with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using NR1D1}
본 발명은,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 화학 요법 후 NR1D1의 발현 수준과 전체 생존율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중-음성(triple-negative)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은 여성들에게서 가장 흔히 진단되는 암이며 전 세계적으로 암 관련 사망 원인 중 다섯 번째이다. 일반적으로 유방암 환자의 1 차 치료는 수술이며, 이후의 보조 항암 화학 요법은 잔류 암 세포를 근절시킴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료된다. 안트라 사이클린(예: 독소루비신 및 에피루비신), 알킬화제(예: 시클로 포스파미드) 및 탁산(예 : 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은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표준 항암 화학요법 양생법을 포함한다. 또한, 백금계 약물은 특히 3중 음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환자의 치료를 위해 병용 요법의 성분으로 고려되어 왔다.
에스트로겐 수용체α(ERα),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및 erb-b2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2(ERBB2, 인간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 2(HER2)로도 불림)는 유방암 아형-루미날A, 루미날B, ERBB2, 및 삼중 음성을 구별하는 대표적인 분자 바이오마커들이다[Perou et al.,2000]. ERα, PR, 및 ERBB2 발현이 없는 상기 삼중 음성 유방암(TNBC)은 고등 조직학적 등급과 나쁜 임상 결과를 가진 가장 공격적인 아형이다[Reis-Filho and Pusztai, 2011]. 그러한 전통적인 표적들의 결핍 때문에, 내분비 치료 및 TNBC를 위한 HER2 표적 치료와 같은 특정 전신 치료는 없다. 현재 항암 화학 요법과 방사선 치료는 TNBC치료의 기초이며, 이는 심각한 부작용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표적의 식별은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TNBC의 치료에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한편,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를 예측함으로써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 공개(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43898) 된 바 있으나, 특이적으로 3중 음성 유방암에서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에 관한 것은 공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었다.
한편, 상술한 조합치료의 성분의 알려진 효능에도 불구하고,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약제 내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여전히 암 치료에 있어서 주요한 장애물이다. 따라서, 저항률을 줄이는 동시에 항암 화학 요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존재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중-음성(triple-negative)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중-음성(triple-negative)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은, NR1D1의 발현이 높은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화학치료(chemotherapy) 예후가 좋은 것을 확인한 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NR1D1의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NR1D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고, 그 발현 정도에 따라 항암제의 투여량을 조절함으로써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항암치료보다 높은 효과를 갖는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높은 NR1D1 발현은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향상된 임상 결과와 상관 관계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실험결과이다.
도 2는, 유방암 조직 마이크로어레이에서 NR1D1의 면역 조직학적 염색의 대표적인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대표적인 종양 표본의 면역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NR1D1-Low 및 NR1D1-High 그룹은 방법에서 정의됨. 축척 막대(Scale bar), 100 μm).
도 3은,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한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들에게서 NR1D1 발현의 예후의 의의에 관한 것으로,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한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들에서 NR1D1 발현에 따른 OS 및 DFS에 대한 Kaplan-Meier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EV-ERBa라고도 불리는 핵 수용체 아과 1, 그룹 D, 멤버 1(NR1D1)는 리간드 조절 핵 수용체 및 특정 DNA 반응 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전사인자이며, 표적 유전자 전사를 억제한다. NR1D1은 생물학적 주기의 시계, 세포 분화, 신진 대사, 면역 반응 및 행동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한다. 최근 연구들은 NR1D1이 유방암에 현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NR1D1 유전자는 염색체 17q11-12에서 ERBB2 증폭 산물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방암에서 나쁜 임상 결과와 관련된 ERBB2 신호의 일부로 제안되었다. 한편, NR1D1의 약리학적 활성화는 유방암의 분자 아형에 상관없이 유방암 세포에서의 증식을 감소시켰다. 우리는 최근 DNA 손상 수선 경로에서 NR1D1의 새로운 기능을 조사했는데, 이는 TNBC에서 잠재적인 치료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유방암 세포에서 NR1D1는 DNA 손상 부위에 모집되며, 그 안에 폴리(ADP-리보오스) 중합효소 1(PARP1)과 상호작용하여, 그 결과 BRCA1을 포함하는 DNA 손상 반응 복합체의 동원을 억제한다. 게다가, NR1D1 발현 수준은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들의 임상 결과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NR1D1이 TNBC에서 DNA 수선 및 예후 인자의 조절 인자로서 기능 할 수 있지만, 유방암의 치료 표적으로서의 잠재력은 임상 결과에서 평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후향적 연구를 통해 유방암 환자에서 NR1D1 발현을 조사하고 NR1D1 발현의 잠재적 예후 가치를 평가했다. 4가지 공개 환자 데이터 세트 분석은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에서 NR1D1 발현이 임상 결과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우리 연구 결과는 NR1D1과 그 리간드가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 화학 요법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 옵션을 제공함을 나타낸다.
우리는 NR1D1이 더 개인 맞춤화된 치료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방암에 대한 새로운 예측 바이오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NR1D1 유전자 발현 수준 및 DDR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에서의 변화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석은 DNA 손상 유도 항암 화학 요법으로 결과 예측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TNBC를 가진 환자들은 BRCA1의 침묵 또는 p53과 같은 다른 DNA 수선 관련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포함하여, BRCA1 관련 유방암에서 생식세포계열 BRCA1 돌연변이 및 다양한 표현형 특징을 보유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TNBC는 더 개인맞춤화된 치료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방암 항암 화학 요법을 위한 예측 바이오마커로서 NR1D1의 가상적인 사용을 테스트하기 위한 주요 표적이 될 수 있다.
높은 NR1D1 발현은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더 나은 임상 결과와 관련이 있다.
우리는 병리학 적 완전 반응(pCR), 무병 생존(DFS) 및 무재발 생존 (RFS)과 같은 임상 결과 정보를 포함한 공개 데이터 세트로부터 얻어진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분석했다. pCR은 고형 종양에서 향상된 화학 민감성의 중요한 지표이며 유리한 DFS 및 전체 생존과 관련이 있다. 두 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세트, GSE4056 및 GSE34138에서 높은 NR1D1 발현 수준을 가진 환자의 하위 그룹은 pCR 비율이 더 높았다. 예측 변수의 영향을 나타내는 오즈비(odds ratio)는 GSE4056의 경우 3.75, GSE34138의 경우 2.11 이었으므로, NR1D1 발현 수준과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더 나은 임상 결과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표 1). 이 결과와 일치하여, NR1D1 발현 수준은 달성된 pCR 그룹의 환자들에게서, 이들 데이터 세트에서 통계적 또는 한계적 유의성을 가진 비달성된 pCR 그룹의 환자에서보다 높았다. 또한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여 GSE1456 및 NKI의 두 가지 독립적인 데이터 세트에서 로그 순위 테스트를 통해 생존율을 분석했다. 높은 NR1D1 발현 그룹에서 RFS 또는 DFS가 향상되어 높은 NR1D1 발현 수준을 갖는 환자들에게서 재발에 대한 항암 화학 요법의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도 1). 도 1은 GSE1456과 NKI 데이터 세트는 NCBI GEO 사이트와 Dr. Bernards와 그의 동료가 제공 한 웹 사이트에서 각각 얻었다. 환자들은 낮은 NR1D1 발현(낮은 사분위수) 그룹과 높은 NR1D1 발현(상위 사분위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DFS 또는 RFS 비율(%)을 각 그룹에 대해 나타내었다.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Log-rank (Mantel-Cox) 테스트가 수행 되었다.
최근 많은 연구들이 항암 화학 요법의 결과를 밝히기 위해 유용한 표지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높은 NR1D1 발현 수준을 가진 유방암 환자들이 클리닉에서 항암 화학 요법 후에 더 나은 임상 결과를 얻었다는 것을 알아냈다(표 1 및 도 1). 이러한 관찰은 NR1D1이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pCR의 성공적인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주요 항암 화학 요법으로 pCR을 달성하는 것은 유방암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최상의 치료 옵션을 식별하기 위해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우리는 NR1D1이 보다 개인맞춤화된 치료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방암에 대한 새로운 예측 바이오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공개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한 유방암 환자 집단 분석(높은 NR1D1 발현은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더 나은 임상 결과와 관련있음 )
공개 데이터 세트인 GSE4056, GSE34138, 및 GSE1456은 NCBI Gene Expression Omnibus (GEO, http://www.ncbi.nlm.nih.gov/geo/)에서 다운로드 했으며 NKI 데이터 세트는 Bernards 박사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제공된 웹 사이트로부터 얻었다(http://ccb.nki.nl/data/). GSE4056 데이터 세트에는 100 명의 환자 집단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중 밸리데이션 세트에서 44 명의 환자는 기본적인 표준 항암 화학 요법으로 젬시타빈, 에피루비신, 및 도세탁셀을 투여 받았다. GSE34138 데이터 세트는 단일 용량-농도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 미드 항암 화학 요법으로 처리된 178 명의 환자 집단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포함 하였다. GSE1456은 보조 항암 화학 요법으로 주로 시클로포스파미드, 메토트렉세이트, 및 5-플루오로우라실을 정맥 주사 받아온 159명의 환자 집단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포함하였다. NKI 데이터 세트 (NKI 주석이 달린 탐침을 포함하는 Agilent chip)는 295 명의 환자 집단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그 중 분석을 위해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110명의 환자들이 선정되었다. 마이크로어레이에서 발현 신호가 부족하거나 임상 정보 기록이 없는 데이터는 모든 분석으로부터 제외되었다. 정규화 절차를 포함하여 처리된 데이터는 해당 웹 사이트에서 얻었으며 추가 형질전환은 수행되지 않았다.
우리는 병리학적 완전 반응(pCR), 무병 생존 (DFS) 및 무재발 생존 (RFS)과 같은 임상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공개 데이터 세트로부터 얻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pCR은 고형 종양에서 향상된 화학 민감성의 중요한 지표이며 유리한 DFS 및 전체 생존과 관련이 있다. 두 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세트, GSE4056 및 GSE34138에서 높은 NR1D1 발현 수준을 가진 환자의 하위 그룹은 pCR 비율이 더 높았다. 예측 변수의 영향을 나타내는 오즈비(odds ratio)는 GSE4056의 경우 3.75, GSE34138의 경우 2.11 이었으므로, NR1D1 발현 수준과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더 나은 임상 결과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표 1). 이 결과와 일치하여, NR1D1 발현 수준은 달성된 pCR 그룹의 환자들에게서, 이들 데이터 세트에서 통계적 또는 한계적 유의성을 가진 비달성된 pCR 그룹의 환자에서보다 높았다. 또한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여 GSE1456 및 NKI의 두 가지 독립적인 데이터 세트에서 로그 순위 테스트를 통해 생존율을 분석했다. 높은 NR1D1 발현 그룹에서 RFS 또는 DFS가 향상되어 높은 NR1D1 발현 수준을 갖는 환자들에게서 재발에 대한 항암 화학 요법의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도 1).
실시예 2
조직 마이크로어레이에 기초한 유방암 환자 집단 분석
NR1D1 발현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특성
1995 년부터 2002 년까지 한국 서울 삼성 의료원에서 원발 유방암 샘플을 얻었다. 유방암 환자들 전체를 후향 조사 하였다. 이 유방암 집단은 '삼성 의료원 유방암 바이오마커 연구 (SMC-BCBS)'로 명명되었다. 나이, 종양 특징 (종양 크기, 림프절 침범, LN 전이, AJCC stage, 및 병리학 stage), 보조 항암 화학 요법 치료, 및 생존 데이터를 포함하는 임상 병리학적인 데이터를 의료 기록으로부터 얻었다 (표 2). 암 환자의 질병 진행 정도를 설명하는 AJCC stage는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기준에 따라 정의되었다. 사례는 유방암 아형, luminal A, luminal B, HER2 및 TNBC로 분류되었다. 이 진료기록은 삼성 의료원의 기관 심의 위원회 내 윤리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TMA 절편을 1 : 1000의 비율로 희석된 NR1D1 (H00009572-M02, Novus Biologicals LCC, CO, USA)에 대한 1 차 항체로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이어서, 조직 절편을 세척하고 HRP 표지된 중합체(K4001, DAKO, Denmark)와 접합 된 항-마우스 2차 항체와 반응시켰다. 그 다음, 상기 절편을 고감도 기질-색소원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시화 하였다(K3468, DAKO, Denmark). 대조염색은 Meyer의 해마톡실린으로 수행되었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은 염색의 강도 및 염색된 종양 세포의 퍼센트에 기초하여 병리학자에 의해 점수 매겨졌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 점수는 다음과 같다 : 점수 = 0, n = 33 (4.8 %); 점수 = 1, n = 63 (9.1 %); 점수 = 2, n = 112 (16.1 %); 점수 = 3, n = 42 (6.1 %); 점수 = 4, n = 123 (17.7 %); 점수 = 6, n = 182 (26.2 %); 점수 = 9, n = 139 (20.0 %).
우리는 면역 조직 화학에 의해 일차 침습성 유방암 조직 샘플에서 NR1D1 발현을 확인했다. 유익한 면역 조직 화학 결과를 가진 총 694가지 사례가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NR1D1에 대해 염색된 대표 조직 마이크로어레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NR1D1의 신호는 종양 세포의 핵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거의 모든 샘플에서 기질의 염색은 관찰되지 않았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 점수를 평가하고 NR1D1-Low 및 NR1D1-High 그룹으로 분류 하였다. 전체에서, 높은 NR1D1 발현 그룹(점수 = 9, n = 139 (20.0 %)), 또는 낮은 NR1D1 발현 그룹(점수 <9, n = 555 (80.0 %)). 연구 집단에서 환자의 임상 병리학적 특징을 표 2에 요약 하였다. 대부분의 환자 (87.5 %)는 보조 화학 요법으로 치료 받았다. 우리는 NR1D1 발현과 임상 병리학적 인자와의 상관 관계를 추정 하였다. NR1D1 발현은 조직학적 등급(P=0.011)과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상태(P=0.021)에 대한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보조 항암 화학 요법을 포함하는 다른 파라미터의 분포에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표 2).
생존 분석
NR1D1 발현과 임상 병리학적 특성 사이의 상관 관계는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생존 (OS)은 일차 수술 날짜부터 사망일 또는 마지막 추적조사일까지의 시간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무병 생존(DFS)은 일차 수술 일로부터 국소 재발 및 원격전이, 또는 어떤 원인으로 인한 사망을 의미하는 재발일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된다.
전체 생존(OS)과 무병 생존(DFS)을 위한 평균 추적조사 시간은 각각 10.3년 (0.1에서19.5 년까지의 범위), 9.4년(0.1에서 15.5 년까지의 범위)이었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환자의 28.6%(692명 중 198명)는 재발 및/또는 전이되었고, 환자 중 23.9%(691명 중 165명)가 사망했다. NR1D1 발현과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을 조사하기 위해, 생존 분석을 log-rank test로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 하였다. 유방암의 분자형 아형에 따라 하위 그룹 분석을 실시했을 때, 높은 NR1D1 발현은 TNBC 환자에서 현저하게 향상된 OS (P = 0.008) 및 DFS (P = 0.023)를 보여주었다. 또한, 항암 화학 요법으로 치료한 TNBC 환자에서 OS (P = 0.002) 및 DFS (P = 0.007)에 대한 높은 NR1D1 발현의 유의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도 3). 이러한 결과는 높은 NR1D1 발현이 TNBC 환자에서 OS 및 DFS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했다.
예후 인자 분석
생존 분석을 위해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와 생존 사이의 연관을 추정하기 위해 log-rank test를 사용 하였다.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임상 병리학적 인자와 NR1D1 발현의 연관성을 추정 하였다. 다변수 Cox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임상 병리학적 인자와 NR1D1 발현 사이의 유의한 예후 인자를 확인 하였다. 0.05 미만의 P valu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통계 분석은 통계 계산 및 그래픽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R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http://r-project.org).
우리는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TNBC 환자의 생존과 NR1D1 발현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단변량 분석에서, 높은 NR1D1가 발현된 TNBC 환자는 항암 화학 요법 후에 낮은 NR1D1이 발현된 TNBC 환자보다 OS 및 DFS가 향상될 확률을 보였다. 단변량 분석에 기초한 낮은 OS 및 DFS를 예측한 인자는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한 TNBC 환자에서도 더 큰 종양 크기, 림프절 침범 존재, LN 전이 존재, 및 고차적 AJCC stage였다 (표 3). 더 깊이 들어가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판명된 일부 인자에 대해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사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수행했다. 중요한 것은,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TNBC 환자에서 NR1D1 발현은 다변량 분석에서 OS와 DFS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우리의 결과는 높은 NR1D1 발현이 항암 화학 요법의 이점과 관련이 있으며 TNBC 환자에서 독립적인 예후 인자일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표 4).
Figure 112018016326012-pat00001
*높은 NR1D1 발현 a 가진 유방암 환자에서 증가된 치료상의 반응
a치료상의 반응 정보를 가진 GSE4056 및 GSE34138 데이터 세트는 NCBI GEO 사이트로부터 얻었다.
b환자들을 낮은(평균 이하) NR1D1 발현 그룹과 높은(평균 이상) NR1D1 발현 그룹으로 분류 하였다.
cFisher의 정확한 확률 테스트는 웹 기반 프로그램 (http://vassarstats.net/)에 의한 유의성 확인을 위해 수행되었다. CI, 신뢰 구간.

특징
총 환자 NR1D1 -Low NR1D1 -High
P- value a
n=694 n=555 n=139
No. (%) No. (%) No. (%)
진단시 연령(years)
≤50
>50

420
274

60.5
39.5

343
212

61.8
38.2

77
62

55.4
44.6
0.199
종양 크기
T1
T2
T3 또는 T4

269
378
47

38.8
54.5
6.8

221
292
42

39.8
56.2
7.6

48
86
5

34.5
61.9
3.6
0.077
림프절 침범
N0
N1
N2
N3

354
180
85
75

51.0
25.9
12.2
10.8

288
142
67
58

51.9
25.6
12.1
10.5

66
38
18
17

47.5
27.3
12.9
12.2
0.813
LN 전이
음성
양성

354
340

51.0
49.0

288
267

51.9
48.1

66
73

47.5
52.5
0.404
AJCC stage



168
353
173

24.2
50.9
24.9

142
275
138

25.6
49.5
24.9

26
78
35

18.7
56.1
25.2
0.210
조직학적 등급
1
2
3
Unknown

76
246
323
49

11.0
35.4
46.5
7.1

69
201
246
39

12.4
36.2
44.3
7.0

7
45
77
10

5.0
32.4
55.4
0.0
0.011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
양성
Unknown

282
411
1

40.6
59.2
0.1

213
341
1

38.4
61.4
0.2

69
70
0

49.6
50.4
0.0
0.021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양성
Unknown

379
314
1

54.6
45.2
0.1

298
256
1

53.7
46.1
0.2

81
58
0

58.3
41.7
0.0
0.393
HER2 증폭
음성
양성

504
190

72.6
27.4

411
144

74.1
25.9

93
46

66.9
33.1
0.113
유방암 아형
Luminal A
Luminal B
HER2
TNBC
Undefined

334
97
92
170
1

48.1
14.0
13.3
24.5
0.1

281
74
69
130
1

50.6
13.3
12.4
23.4
0.2

53
23
23
40
0

38.1
16.5
16.5
28.8
0.0
0.067
보조 항암 화학요법
받지 않음
받음
Unknown

85
607
2

12.2
87.5
0.3

70
483
2

12.6
87.0
0.4

15
124
0

10.8
89.2
0.0
0.649
* NR1D1 발현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특성
a카이제곱검정, 0.05 미만의 P 값은 유의한 변화로 간주되어 굵은 글씨로 표시된다.

변수
OS DFS
No. HR 95% CI P -value HR 95% CI P -value
NR1D1 발현
낮음
높음

123
37

1.00
0.09


0.01-0.63


0.016

1.00
0.17


0.04-0.73


0.017
진단시 연령
≤50
>50

114
50

1.00
1.25


0.62-2.55


0.535

1.00
0.80


0.37-1.71


0.564
종양 크기
T1
T2
T3 또는 T4

56
93
11

1.00
2.16
7.63


0.87-5.36
2.46-23.70


0.096
<0.001

1.00
2.09
4.58


0.89-4.86
1.34-15.68


0.089
0.015
림프절 침범
N0
N1
N2
N3

94
36
17
13

1.00
1.03
3.01
15.26


0.36-2.94
1.13-8.04
6.46-36.05


0.950
0.028
<0.001

1.00
0.77
2.18
7.99


0.28-2.10
0.85-5.57
3.23-19.79


0.607
0.105
<0.001
LN 전이
음성
양성

94
66

1.00
2.79


1.37-5.66


0.005

1.00
1.77


0.90-3.46


0.099
AJCC stage



43
84
33

1.00
1.55
6.65


0.50-4.74
2.22-19.93


0.446
<0.001

1.00
1.64
4.49


0.60-4.48
1.60-12.63


0.333
0.004
조직학적등급
1
2
3
Unknown

3
31
100
26

-
1.00
1.86
-



0.64-5.39
-



0.251
-

-
1.00
1.57
-



0.60-4.14
-



0.358
-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TNBC 환자에서 OS 및 DFS의 단변량 분석
HR, 위험비율(hazard ratio): CI, 신뢰구간(confidential interval). 0.05 미만의 P-value는 유의한 변화로 간주되어 굵은 글씨로 표시된다.

변수
OS DFS
No. HR 95% CI P -value HR 95% CI P -value
NR1D1 발현
낮음
높음

123
37

1.00
0.09


0.01-0.65


0.017

1.00
0.16


0.04-0.68


0.013
종양 크기
T1
T2
T3 또는 T4

56
93
11

1.00
0.76
1.05


0.14-4.13
0.15-7.37


0.753
0.963

1.00
0.73
0.76


0.14-3.79
0.10-5.65


0.705
0.793
LN 전이
음성
양성

94
66

1.00
0.97


0.27-3.57


0.967

1.00
0.64


0.19-2.19


0.474
AJCC stage



43
84
33

1.00
2.36
8.61


0.30-18.35
0.52-144.06


0.413
0.134

1.00
3.02
10.53


0.43-21.03
0.71-157.21


0.265
0.088
*화학 요법을 받은 TNBC 환자에서 OS 및 DFS의 다변량 분석
HR, 위험비율(hazard ratio): CI, 신뢰구간(confidential interval). 0.05 미만의 P-value는 유의한 변화로 간주되어 굵은 글씨로 표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중-음성(triple-negative)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5.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용 키트.


KR1020180018435A 2017-02-15 2018-02-14 Nr1d1을 이용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 방법 KR102050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0612 2017-02-15
KR1020170020612 2017-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497A KR20180094497A (ko) 2018-08-23
KR102050949B1 true KR102050949B1 (ko) 2019-12-03

Family

ID=6345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435A KR102050949B1 (ko) 2017-02-15 2018-02-14 Nr1d1을 이용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0570A (ja) * 2019-05-03 2022-06-29 ディーシージ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癌の予後予測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ta Gene, 4: 129-141 (2015.05.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497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colini et al. Prognostic and predictive biomarkers in breast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Iwamoto et al. Distinct gene expression profiles between primary breast cancers and brain metastases from pair-matched samples
Ong et al. Personalized medicine and pharmacogenetic biomarkers: progress in molecular oncology testing
Necela et al. Folate receptor-α (FOLR1) expression and function in triple negative tumors
Halle et al. HER2 expression patterns in paired primary and metastatic endometrial cancer lesions
Andre et al. HER2 expression and efficacy of preoperative paclitaxel/FAC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Gangadhar et al. Molecular markers to individualize adjuvant therapy for colon cancer
Fujii et al. Expression of HER2 and estrogen receptor α depends upon nuclear localization of Y-box binding protein-1 in human breast cancers
Koutras et al. Evaluation of the prognostic and predictive value of HER family mRNA expression in high-risk early breast cancer: a Hellenic Cooperative Oncology Group (HeCOG) study
Liedtke et al. PIK3CA-activating mutations and chemotherapy sensitivity in stage II–III breast cancer
Lee et al. Programmed cell death ligand‐1 protein expression and CD 274/PD‐L1 gene amplification in colorectal cancer: Implications for prognosis
Richardson et al. Microcephalin is a new novel prognostic indicator in breast cancer associated with BRCA1 inactivation
Sueta et al. An integrative analysis of PIK3CA mutation, PTEN, and INPP4B expression in terms of trastuzumab efficacy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Pfitzner et al. Clinical relevance and concordance of HER2 status in local and central testing—an analysis of 1581 HER2-positive breast carcinomas over 12 years
Shiu et al. Integrative molecular and functional profiling of ERBB2-amplified breast cancers identifies new genetic dependencies
Askeland et al. Stathmin expression associates with vascular and immune responses in aggressive breast cancer subgroups
Seo et al. PIK3CA mutations and neoadjuvant therapy outcome in patients with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positive breast cancer: a sequential analysis
De et al.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testing: where are we?
Babyshkina et al. Impact of estrogen receptor α on the tamoxifen response and prognosis in luminal-A-like and luminal-B-like breast cancer
Xuan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HER2 amplification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outcomes
Pearce et al. Tumour sampling method can significantly influence gene expression profiles derived from neoadjuvant window studies
Tibau et al. Chromosome 17 centromere duplication and responsiveness to anthracycline-based neoadjuvant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Yamashita et al. Multi-omics analyses identify HSD17B4 methylation-silencing as a predictive and response marker of HER2-positive breast cancer to HER2-directed therapy
Elsharawy et al. Nucleolar protein 10 (NOP10) predicts poor prognosis in invasive breast cancer
US20090035311A1 (en) Identification and use of prognostic and predictive markers in canc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