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711B1 -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711B1
KR102050711B1 KR1020130116440A KR20130116440A KR102050711B1 KR 102050711 B1 KR102050711 B1 KR 102050711B1 KR 1020130116440 A KR1020130116440 A KR 1020130116440A KR 20130116440 A KR20130116440 A KR 20130116440A KR 102050711 B1 KR102050711 B1 KR 10205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ransmission line
underground transmission
impedanc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136A (ko
Inventor
최종기
안용호
장병태
이남호
한정열
이유진
윤용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1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7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4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in circuits having distributed constants, e.g. having very long conductors or involving high frequ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1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oils without a magnetic core, e.g. Rogowski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16Measuring impedance of element or network through which a current is passing from another source, e.g. cable, power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ating Fault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시험전압 공급부,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와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검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LINE CONSTANT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단으로 귀환하는 지중송전선로의 모든 귀환전류를 측정하여 선로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연산함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따른 임피던스와의 비교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의 대칭요소 임피던스(이하 선로정수)는 전력계통 고장해석 및 이에 근거한 거리계전기 세팅에 기본 데이터로 활용된다. 따라서 선로정수를 정확하게 계산 또는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가공송전선로의 경우에 고장전류는 도체와 가공지선 및 대지를 따라 흐르게 되는데 반해, 전력케이블을 이용한 지중송전선로의 경우에 고장전류는 케이블 심선(Core), 케이블 시스(Sheath) 및 대지를 따라 흐른다.
따라서 지중송전선의 경우에는 케이블 시스에 유도되는 전압을 상쇄하기 위하여 일정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접속점의 시스 양단을 절연시키고 시스를 연가하는 크로스 본딩(Cross bonding)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장여건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절연 접속함을 크로스 본딩하지 않고 한쪽만 접지하거나 시스 양쪽 모두 접지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지중선로의 고장전류 귀로(임피던스)는 케이블 시스의 본딩 및 접지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가공선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해지게 된다.
도 1은 가공송전선로에서 지락발생시 고장전류의 귀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송전선로에서 지락이 발생하면 고장전류는 가공지선과 대지를 통해 전원단으로 귀환한다.
도 2는 크로스 본딩 접속함이 있는 지중송전선로의 중간에서 지락발생시 고장전류의 귀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심선에 지락이 발생하면 고장난 케이블 심선과 3상의 케이블 시스가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에 큰 유도전압이 발생하여 고장전류는 3상 케이블 시스 모두를 통해 전원단으로 귀환하게 되고 고장전류의 귀환경로는 가공송전선로에 비해서 매우 복잡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가공송전선로의 경우에는 전체 선로길이 대비 고장점 거리에 비례하도록 선로의 임피던스를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지중송전선로는 선로 중간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고장전류의 귀환경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선로의 임피던스가 전체 선로길이 대비 고장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측에 의한 선로의 임피던스가 전체 선로길이 대비 고장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가정하에 거리계전기를 설정하면 필연적으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904 호(2011.01.03.공고, 발명의 명칭 : 송전선로 선로정수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가 있다.
도 3은 종래에 편단접지된 지중송전선로의 영상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측정방식에서는 단일 포인트에서 시험전류를 일괄 측정하기 때문에 시험전류가 어떤 경로로 전원단으로 귀환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지중송전선로 임피던스 측정방식은 복잡한 고장전류 귀환 경로를 고려하지 않은 채, 가공송전선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때문에 편단접지나 크로스 본딩이 없는 절연접속함이 있는 지중송전선로에서는 선로정수 측정값에 기초하여 세팅한 거리계전기 동작이나 고장계산값은 실제 고장시와 차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원단으로 귀환하는 지중송전선로의 모든 귀환전류를 측정하여 선로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연산함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따른 임피던스와의 비교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는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시험전압 공급부; 상기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와 상기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검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제원, 회선수, 접속함 종류, 접속함 개수 또는 구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를 비교한 결과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인근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류 측정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에 장착된 변류기를 통해서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류기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i Coil) 변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방법은 제어부가 시험전압 공급부를 통해서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서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제원, 회선수, 접속함 종류, 접속함 개수 또는 구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하여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단으로 귀환하는 지중송전선로의 모든 귀환전류를 측정하여 선로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연산함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따른 임피던스와의 비교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의 지중송전선로와 근사하게 모델링함으로써 거리계전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가공송전선로에서 지락발생시 고장전류의 귀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크로스 본딩 접속함이 있는 지중송전선로의 중간에서 지락발생시 고장전류의 귀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에 편단접지된 지중송전선로의 영상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를 통해 편단접지된 지중송전선로의 영상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에서 정상임피던스와 영상임피던스를 연산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나타낸 회로이다.
도 7은 매설지선 귀환전류를 측정점에 추가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인근 회선 선로의 시스귀환전류를 측정점에 추가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과정에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를 통해 편단접지된 지중송전선로의 영상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에서 정상임피던스와 영상임피던스를 연산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나타낸 회로이다.
도 7은 매설지선 귀환전류를 측정점에 추가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인근 회선 선로의 시스귀환전류를 측정점에 추가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는 입력부(100), 시험전압 공급부(200), 변류기(300), 전류 측정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하드웨어, 및 입력을 위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00)는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로서, 케이블 제원, 회선수, 접속함 종류, 접속함 개수 및 구간 길이와 같은 지중송전선로의 직접적인 구성정보와, 매설지선 및 병행지선과 같은 인근 회선 케이블 정보에 관한 간접적인 구성정보를 모두 입력받을 수 있다.
시험전압 공급부(200)는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고, 전류 측정부(400)는 상기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류 측정부(400)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300)를 통해서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되, 변류기(300)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i Coil) 변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고스키 코일은 전류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속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코일로서 지중송전선로의 시스마다 취부함으로써, 시스를 통한 귀환전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전류 측정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로에 포함된 모든 시스의 귀환전류 및 전원단과 직접 연결된 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선로의 임피던스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입력부(100)를 통해서 입력받은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와, 전류 측정부(400)를 통해서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지중송전선로가 실제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이론 임피던스와, 전원부로 귀환하는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실측한 실측 임피던스의 차이에 기초하여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음으로써, 실제와 근사한 형태의 지중송전선로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한 이론 임피던스는, 송전선로의 회로모델 임피던스를 여러 단계에 걸쳐 가공하여 도체간 커플링이 발생하지 않는, 즉 대각요소 외의 나머지는 0인 대각행렬 임피던스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해서 연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지중송전선을 상세히 모델링할 수 있는 EMTP를 통해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따른 이론 임피던스를 연산할 수 있다. EMTP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이론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귀환전류에 기초한 실측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과정의 전제조건은 실계통과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중성선과 시스는 접지되었더라도 접지저항은 0Ω이 아니므로 영전위가 아니며, 상도체나 시스도 완벽히 연가되어 있지 않는 등 실제 선로조건과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실측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쪽 변전소 상도체를 단락시켜 접지한 후 다른쪽 변전소에서 상도체간 또는 상도체와 접지간에 전원을 인가하면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송전선로에서 3상단락 및 1선지락시 겉보기 임피던스로부터 정상 임피던스와 영상 임피던스는 아래의 수학식 1, 2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1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2
(이 때,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3
는 3상단락전류, E는 전원전압,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4
은 정상 임피던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5
는 상도체 자기임피던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6
은 상도체간 상호임피던스를 나타냄)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7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8
(이 때,
Figure 112013088640756-pat00009
은 1선지락전류,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0
은 영상임피던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1
은 상도체-중성선 상호임피던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2
은 중성선 자기임피던스를 나타냄)
그리고 선로정수 측정회로를 통해서 정상 임피던스와 영상 임피던스에 기초한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는 아래의 수학식 3, 4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이 때, 선로정수 측정을 위한 등가회로는 도 6과 같다. 도 6의 (A)는 정상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등가회로이고, (B)는 영상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등가회로이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3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4
,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5
(이 때, V는 인가전압,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6
는 측정전류,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7
는 실측 임피던스를 나타냄)
도 6의 (A)로부터 수집한 루프방정식을 통해서 정상 임피던스와 실측 임피던스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8
(단,
Figure 112013088640756-pat00019
)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0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1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2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3
,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4
(이 때,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5
는 대지귀로전류,
Figure 112013088640756-pat00026
는 3상 도체를 단일도체로 환산했을 때의 자기임피던스를 나타냄)
도 6의 (B)로부터 수집한 루프방정식을 정리하면 영상 임피던스와 실측 임피던스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을 통해서 제어부(500)는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한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선로의 이론값과 실측값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인지 판단하는데, 기준 오차는 측정이나 연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용 가능한 수준의 실측값과 이론값의 차이를 나타내며, 지중송전선로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와 실측 임피던스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인지 또는 이론 귀환전류와 실측 귀환전류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와 실측 임피던스의 차 또는 이론 귀환전류와 실측 귀환전류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이면, 입력받은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이상이 없음을 의미하고 이것은 해당 지중송전선로에 영향을 미치는 인근 회선 케이블 등이 없음을 의미한다.
반면, 선로의 이론값과 실측값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제어부(500)는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지중송전선로의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인근 회선 케이블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선로의 이론값과 실측값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입력부(100)를 통해서 인근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의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음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수정한다.
즉, 지중송전선로의 인근에 또 다른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지중송전선로의 시스뿐만 아니라 인근 회선 케이블 등을 통해서 귀환하는 전류가 발생하므로, 제어부(500)는 초기에 입력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 이외에 이론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근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의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다.
도 7 및 도 8은 매설지선 귀환전류를 측정점에 추가한 경우와 인근 회선 선로의 시스 귀환전류를 측정점에 추가한 경우에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에서 영상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사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지선 또는 인근 회선 선로가 추가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선로마다 변류기(300)를 취부하고 전류 측정부(400)를 통해서 각 선로를 통한 귀환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500)는 새로 입력받은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반영하여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를 연산하고, 실측 임피던스와 다시 비교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500)는 실제와 최대한 정확히 일치하는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을 확정할 수 있고, EMTP 모델링을 통해서 지중송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변경하면서 영상 및 정상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고, 이 값을 이용해서 거리계전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과정에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0)는 시험전압 공급부(200)를 통해서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한다(S10).
이어서 제어부(500)는 전류 측정부(400)를 통해서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고(S20),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연산한다(S30).
그리고 제어부(500)는 입력부(100)를 통해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고(S40),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를 연산한다(S50).
도 10 내지 도 13을 통해서 지중송전선로의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예를 살펴보면, 도 10은 1회선의 지중송전선로의 구성 정보가 입력된 화면이고, 도 11은 2회선의 지중송전선로의 구성 정보가 입력된 화면이고, 도 12는 4회선의 지중송전선로의 구성 정보가 입력된 화면이고, 도 13은 케이블 배치를 입력받은 화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100)를 통해서 케이블 제원, 회선수, 접속함 종류, 접속함 개수 또는 구간 길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실측값과 이론값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인지 판단하는데(S60),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인지 또는 실측 귀환전류와 이론 귀환전류의 차가 기준 오차 이내인지 판단한다.
전술한 판단 결과 실측값과 이론값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제어부(500)는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40)로 회귀하여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측정한 임피던스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한 이론 임피던스와 차이가 있으면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성정보가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단으로 귀환하는 지중송전선로의 모든 귀환전류를 측정하여 선로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연산함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따른 임피던스와의 비교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제의 지중송전선로와 근사하게 모델링함으로써 거리계전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시험전압 공급부
300: 변류기
400: 전류 측정부
500: 제어부

Claims (8)

  1.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시험전압 공급부;
    상기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와 상기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검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를 비교한 결과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인근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제원, 회선수, 접속함 종류, 접속함 개수 또는 구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에 장착된 변류기를 통해서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i Coil) 변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6. 제어부가 시험전압 공급부를 통해서 지중송전선로로 시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시험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귀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귀환전류에 기초하여 선로의 실측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서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선로의 이론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측 임피던스와 이론 임피던스의 차가 기준 오차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하여 회선 케이블, 매설지선 또는 병행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제원, 회선수, 접속함 종류, 접속함 개수 또는 구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방법.
  8. 삭제
KR1020130116440A 2013-09-30 2013-09-30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KR10205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40A KR102050711B1 (ko) 2013-09-30 2013-09-30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40A KR102050711B1 (ko) 2013-09-30 2013-09-30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36A KR20150037136A (ko) 2015-04-08
KR102050711B1 true KR102050711B1 (ko) 2019-12-03

Family

ID=5303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440A KR102050711B1 (ko) 2013-09-30 2013-09-30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7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996Y1 (ko) 2001-08-23 2001-11-23 주식회사 젤파워 전력계통의 고장분석 장치
JP2004537889A (ja) 2001-06-29 2004-12-16 アイディー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計測用途のための選択可能な短絡回路を提供する電気回路
JP2009257870A (ja) 2008-04-15 2009-11-05 Nakajima Denki Seisakusho:Kk 三相配電線の相電圧検出方法、零相電圧検出方法、線間電圧検出方法と、三相配電線の相電圧高調波検出方法、零相電圧高調波検出方法、線間電圧高調波検出方法、それら検出に使用される電圧検出装置
KR101171027B1 (ko) * 2011-09-20 2012-08-08 김일동 온라인 전기회로 정수 측정에 의한 전력설비 상태감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365A (ja) * 1981-09-04 1983-03-10 Nec Corp 加入者線路抵抗測定装置
KR100691728B1 (ko) * 2004-09-30 2007-03-12 이관우 지중송전케이블의 불완전 순환전류 측정방법
KR100965818B1 (ko) * 2008-05-13 2010-06-24 태화트랜스 주식회사 로고스키코일을 구비하는 분할클램프식 전류센서
KR101093770B1 (ko) * 2009-09-30 2011-1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로의 선로정수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889A (ja) 2001-06-29 2004-12-16 アイディー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計測用途のための選択可能な短絡回路を提供する電気回路
KR200253996Y1 (ko) 2001-08-23 2001-11-23 주식회사 젤파워 전력계통의 고장분석 장치
JP2009257870A (ja) 2008-04-15 2009-11-05 Nakajima Denki Seisakusho:Kk 三相配電線の相電圧検出方法、零相電圧検出方法、線間電圧検出方法と、三相配電線の相電圧高調波検出方法、零相電圧高調波検出方法、線間電圧高調波検出方法、それら検出に使用される電圧検出装置
KR101171027B1 (ko) * 2011-09-20 2012-08-08 김일동 온라인 전기회로 정수 측정에 의한 전력설비 상태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36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2984B2 (en) Fault loca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Sadeh et al. A new fault location algorithm for radial distribution systems using modal analysis
Filomena et al. Fault location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feeders: An extended impedance-based formulation with capacitive current compensation
US72331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phase-to-earth fault
US20210166869A1 (en) Self calibration by signal injection
US20190391191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fault in a mixed power transmission line
Santos et al. Dynamic simulation of induced voltages in high voltage cable sheaths: Steady state approach
Amberg et al. Validating transmission line impedances using known event data
CN103529356A (zh) 用于确定距相对地故障的距离的方法和设备
KR20010025613A (ko) 누설전류를 이용한 활선상태 송전철탑 및 배전전주의접지저항 측정방법 및 장치
Bretas et al. Incipient fault location method for distribution networks with underground shielded cables: A system identification approach
US9989576B2 (en) Two-wire resistance terminated ground check
US201300438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impedance values
KR100538563B1 (ko) 전력계통 모의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0711B1 (ko) 지중송전선로의 선로정수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KR100538018B1 (ko) 지중 전력케이블의 시스전류 측정장치
US9702918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Bak et al. Distance protection impedance measurement for inhomogeneous multiple-circuit 400/150 kV transmission lines with shared towers
Döring et al. Analytical calculation of the neutral point displacement voltage for high impedance earth faults in resonant earthed neutral systems
Tugushi et al. Increasing the accuracy of measuring the resistance of the grounding system with an electrodeless method
de Regt et al. Cross‐bonding cable and box model based on pulse reflection measurement
US202303496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line protection
Gutman et al. BOLD™: New Line Design Meets New Impedance Measurement Method
Pulz et al. Evaluation of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Symmetrical Ground Current in Substations: a Stud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ransmission Lines Guard Wire
Jie Investigation of Impedance-Based Fault Location Techniques in Power System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