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308B1 -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308B1
KR102050308B1 KR1020160110262A KR20160110262A KR102050308B1 KR 102050308 B1 KR102050308 B1 KR 102050308B1 KR 1020160110262 A KR1020160110262 A KR 1020160110262A KR 20160110262 A KR20160110262 A KR 20160110262A KR 102050308 B1 KR102050308 B1 KR 10205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nformation
main
state chang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311A (ko
Inventor
남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11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3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5B37/02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기 등록된 메인 가입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장치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STATE OF A DEVICE IN SYNCHRONIZATION WITH A STATE OF OTH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정의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스타, 연예인 등과 같이 대중의 관심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그 사람들을 좋아하고 지지하는 팬들이 존재한다.
특히 젊은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갖고, 그 대상과 많은 것들을 함께 하고 싶어 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스타의 팬들은 그 스포츠 스타의 출전 경기들을 고려하여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고, 가수의 팬들은 그 가수가 공연하거나 참여하는 콘서트 장을 방문하기도 한다.
매스미디어의 보급과 대중문화가 발달과 더불어 팬들의 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고, 이러한 팬들은 팬클럽 형태로 특정 그룹을 만들어서 활발히 활동하기도 하고, 특히 팬덤(fandom) 현상이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로 그들의 영향력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팬심을 이용한 다양한 마케팅 및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도 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과 가능한 한 많은 것을 공유하고 싶어 하는 그 마음을 말끔히 해소시켜주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07-00768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팬들이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와 일상생활에서의 보다 많은 것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정보를 등록 저장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기 등록된 메인 가입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그룹 설정부와;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상태 변화 감지부와; 상기 상태 변화 감지부에서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원 정보 추출부와; 상기 구성원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장치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기 등록된 메인 가입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장치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들이 보유한 장치(즉, 메인 장치)의 상태와 해당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들의 팬이 보유한 장치(즉, 서브 장치)의 상태가 서로 동기화됨으로써,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들과 함께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보다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에 행복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메인 장치와 서브 장치는 양방향 소통 장치가 아니라, 일종의 주종 관계를 형성하는 장치이고, 메인 장치에서의 상태 변화가 서브 장치에 영향을 줄 뿐 서브 장치의 상태 변화가 메인 장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들과 이들의 팬들 간의 관계 형성에 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 시스템에 저장되는 매칭 테이블의 일 예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메인 장치(200),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치(310,320,330 : 300)와, 제어 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장치(200)는 메인 가입자가 보유하거나 이용하는 단말기 또는 장치를 의미하고, 서브 장치(300)는 서브 가입자가 보유하거나 이용하는 단말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메인 가입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 그룹을 대표하는 가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포츠 스타 또는 연예인 등에 해당할 수 있고, 서브 가입자는 메인 가입자가 대표로 있는 그룹에 속하는 나머지 구성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의 팬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는 외부와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제어 시스템(100)과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모두 일명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장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특히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전환, 밝기 변환, 색상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조명의 온/오프 전환, 밝기 변환, 색상 변환은 공급 전류량 제어 또는 스위칭 제어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조명 제어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는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모두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1, 311, 312, 313)를 경유하여 제어 시스템(100)과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는 메인 가입자의 조작에 따라 메인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 무선 통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가입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메인 가입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메인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인 장치(2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조명 장치인 경우 메인 가입자는 스마트폰 앱을 조작하여 해당 메인 장치(200) 조명의 온/오프(점멸 포함) 상태, 조명 밝기, 조명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는 메인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메인 장치(200)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별다른 설명이 없다면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는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메인 장치(200)를 제어한다고 가정한다.
즉,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가 제어 시스템(100)에 메인 장치(200)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장치(200)에 특정 동작을 통해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서브 가입자 제어 단말기(400)는 서브 가입자의 조작에 따라 서브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 무선 통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가입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서브 가입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서브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브 장치(3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조명 장치인 경우 서브 가입자는 스마트폰 앱을 조작하여 해당 서브 장치(300) 조명의 온/오프(점멸 포함) 상태, 조명 밝기, 조명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서브 가입자 제어 단말기(400)는 서브 장치(300)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서브 장치(300)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별다른 설명이 없다면 서브 가입자 제어 단말기(400)는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서브 장치(300)를 제어한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 가입자 제어 단말기(400)가 제어 시스템(100)에 서브 장치(300)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 시스템(100)은 대응되는 서브 장치(300)에 특정 동작을 통해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장치(200)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치(300)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 후,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가 서브 장치(300)에 반영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의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00)은 저장부(110), 그룹 설정부(120), 상태 변화 감지부(130), 구성원 정보 추출부(140), 제어 신호 전송부(150), 인증 처리부(160), 요금제 등록부(170), 요금제 정보 제공부(180), 수신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110)는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설정 저장되는데, 각 그룹들에 대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각 그룹을 대표하는 메인 가입자에 대한 정보(즉, 메인 가입자 정보)와, 각 메인 가입자에 매칭되어 해당 그룹에 속하게 된 서브 가입자에 대한 정보(즉, 서브 가입자 정보)가 구별되어 포함된다.
여기서 메인 가입자 정보는 메인 장치(200)의 장치 정보(일 예로 맥 어드레스)와 네트워크상의 식별자(일 예로 아이피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서브 가입자 정보는 서브 장치(300)의 장치 정보와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메인 가입자 정보는 메인 가입자의 고객 정보(인적 사항 정보)이고, 서브 가입자 정보는 서브 가입자의 고객 정보일 수도 있다.
상술한 그룹, 메인 가입자 정보, 서브 가입자 정보의 매칭 테이블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살펴보면, A 그룹과 B 그룹이 있고, A 그룹과 B 그룹에 각각 하나의 메인 가입자 정보와, 복수 개의 서브 가입자 정보가 서로 구별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가입자 정보는 각 장치의 MAC 정보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각 장치들 즉, 메인 장치(200)과 서브 장치(300)의 각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 장치(300)의 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인 장치(200)의 상태 정보의 종류가 구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정보들과 이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수신부(190)는 메인 장치(200),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 또는 서브 장치(300)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특히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메인 장치(200) 상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서브 가입자 제어 단말기(400)로부터 서브 장치(300) 상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수신부(190)에 수신되는 각종 신호에 대한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한편 인증 처리부(160)는 소정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해당 통신 단말기의 USIM(User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칩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특히 인증 처리부(16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고객 정보를 기 등록되어 있던 고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각 고객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즉, 장치 정보를 기 등록되어 있던 고객 정보에 추가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브 가입자 정보에 서브 장치(300)에 대한 장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서브 가입자의 고객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인증 처리부(160)에 의한 인증 처리시 현재 해당 서브 가입자가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 즉, 서브 장치(300)의 장치 정보가 저장부(110)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장치(300)의 장치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해당 서브 장치(300)가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USIM 칩을 구비하여 인증될 수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서브 장치(300)의 장치 정보가 추가 등록됨으로써,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 간의 상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요금제 등록부(170)는 메인 가입자 정보에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요금제는 각 고객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선택하는 것으로서, 요금제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각 메인 가입자에 해당하는 연예인 별로 구분된 정보일 수 있는데, 특히 요금제 그 자체 또는 요금제에 부가적으로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요금제 정보 제공부(180)는 고객의 요금제 선택 요청시 상술한 요금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고객들은 요금제에 가입할 때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 또는 스포츠 스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금제 부가 정보를 선택하여 가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룹 설정부(120)는 저장부(110)에 기 등록된 메인 가입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설정된 매칭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설정부(120)는 고객이 요금제 선택시 특정 연예인 정보를 포함하는 요금제 부가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고객을 그 선택한 특정 연예인이 메인 가입자로 있는 그룹에 서브 가입자로 포함시킬 수 있고, 이때 메인 가입자 정보(즉, 특정 연예인 정보)와 서브 가입자 정보(새로 가입한 고객 정보)가 동일한 그룹으로 매칭되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것이다.
상태 변화 감지부(130)는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는 것은 메인 장치(200)에서 새롭게 동작하는 상태 또는 기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 등에 대한 감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메인 장치(200)가 조명 장치의 경우, 그 메인 장치(200)에서 조명 온/오프 상태, 밝기 상태, 색상 상태 등에 변화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라는 용어가 반드시 정적인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메인(200) 장치의 특정 동적 기능 수행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태 변화 감지부(130)는 그 상태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메인 장치(200) 또는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변화 감지부(130)는 앞서 설명한 수신부(190)에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메인 장치(200)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신호 전송부(150)가 해당 메인 장치(2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태 변화 감지부(130)는 메인 장치(2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해당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따라 메인 장치(200)로부터 정상 처리 응답 신호가 수신부(190)에 수신된 경우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인 장치(200)의 정상 처리 응답 신호는 메인 장치(200)가 제어 시스템(100)의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 예를 들어 조명을 온/오프 시키거나, 조명 밝기를 조절하거나, 조명 색상을 변경한 경우에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구성원 정보 추출부(140)는 상태 변화 감지부(130)에서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그 메인 가입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저장부(110)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태 변화가 감지된 메인 장치(200)의 메인 가입자 정보가 A 그룹의 "64-E5-99-D4-4B-08"라고 한다면 구성원 정보 추출부(140)는 해당 A 그룹에 속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성원 정보 추출부(140)가 추출하는 서브 가입자 정보는 요금제 선택시 등록된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인증 처리부(160)에 의해 동적으로 가입자 정보에 추가 등록된 정보일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메인 장치(200) 또는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메인 장치(200)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메인 장치(2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서브 가입자 제어 단말기(400)로부터 서브 장치(300)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구성원 정보 추출부(140)가 소정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한 경우 그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서브 장치(300)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모두 조명 장치인 경우,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서브 장치(300)의 조명이 메인 장치(200)의 조명의 온/오프 상태, 조명의 밝기, 조명의 색상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의 종류를 참조하여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경에 따른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모두 조명 장치인 경우 메인 장치(200)의 조명 온/오프 상태 변경에 대해서는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메인 장치(200)의 조명 색상 변경에 대해서는 서브 장치(300)에 조면 색상 변경을 유도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부(190)에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메시지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서브 장치(300)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함에 있어서, 그 제어 주체에 따른 소정의 정보 즉, 제어 주체 구별 정보를 해당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서브 가입자의 제어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와 서브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다른 제어 주체를 구별하는 제어 주체 구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는 메인 가입자에 의한 제어를 의미하는 'main_control'이라는 구별자를 포함시키고, 서브 가입자의 직접 요청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는 해당 서브 장치(300)를 소유한 서브 가입자에 의한 제어를 의미하는 'user_control'이라는 구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서브 장치(300)는 제어 주체에 따라 특별한 구별음을 출력하거나 구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서브 장치(300)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누구의 제어에 의해, 또는 어떠한 원인으로 서브 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서브 가입자의 직접 요청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는 별도의 구별자를 포함시키지 않고,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는 '구별음' 재생을 위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도 있다. 이 경우 서브 장치(300)는 수신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구별음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만 해당 구별음을 출력함으로써 주변의 사람들에게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라 서브 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구별음은 단순한 비프음 뿐만 아니라 특정 노래에 해당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각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할지 여부를 해당 서브 장치(300)의 특정 상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모두 조명 장치인 경우, 서브 장치(300)가 온 상태 즉, 전구에 불이 켜진 경우에는 메인 장치(200)의 조명 색상 변화에 따른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해당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지만, 만일 서브 장치(300)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서브 장치(300)가 오프 상태 즉, 전구에 불이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메인 장치(200)의 조명 색상이 변하더라도 오프 상태인 서브 장치(300)에는 조명 색상 변경을 위한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서브 장치(300)의 특정 상태 정보(앞선 예에서 '전원 오프 상태')에 따라 해당 서브 장치(300)로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그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 변경 예약 정보를 해당 서브 장치에 매칭시켜 저장부(110)에 저장 등록하고, 이후 상태 변경 예약 정보가 매칭된 서브 장치(300)의 특정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예를 들어 '전원 온 상태'로 변경된 경우) 해당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예약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예를 들어 조명 색상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따른 각 서브 장치(300)의 상태 변경 결과를 메인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제어 신호 전송부(150)는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태가 변경된 서브 장치(300)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값을 상기 메인 장치(200)에 알릴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메인 가입자 정보와 서브 가입자 정보가 매칭 등록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은 메인 가입자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단계 S1) 해당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요금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단계 S3).
예를 들어 특정 연예인이 메인 가입자로 등록되는 경우 해당 특정 연예인이 보유한 IoT 장치 정보를 등록함과 아울러 해당 연예인과 관련된 특정 요금제를 생성 및 등록하는 것이다.
이후, 다른 고객이 요금제 가입을 위해 요금제 리스트를 요청하면(단계 S5), 통신 시스템은 기 등록되어 있는 요금제 리스트를 고객(예를 들어 고객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에 제공한다(단계 S7).
여기서 제어 시스템(100)이 전송하는 요금제 리스트에는 앞서 예를 든 바와 같이 특정 연예인에 대응되는 특정 요금제 정보도 포함된다.
고객이 그 메인 가입자 정보(즉, 특정 연예인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요금제를 선택하여(단계 S9) 가입 신청을 하면(단계 S11),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연예인의 IoT 장치 정보)를 해당 고객의 장치 정보(즉, 고객이 요금제에 가입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IoT 장치 정보 즉, 서브 가입자 정보에 해당)를 매칭시켜 등록한다(단계 S13).
도 4에서는 요금제 가입과 더불어 메인 가입자 정보와 서브 가입자 정보가 하나의 그룹으로 매칭 등록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제어에 따라 해당 메인 가입자가 보유한 메인 장치(200)와 그 메인 가입자의 그룹에 속한 서브 가입자가 조작하는 서브 장치(300)의 상태가 서로 동기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가 메인 장치(200)의 상태 변경을 위해 제어 시스템(100)에 메인 장치(200) 상태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단계 S21), 제어 시스템(100)은 우선 해당 요청에 대한 가입자 권한을 확인한다(단계 S23).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요청 신호에 포함된 고객 정보를 기초로 메인 장치(200) 제어를 위한 요금제에 가입하였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정상 인증된 경우 제어 시스템(100)은 해당 메인 가입자의 메인 장치(2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5).
이에 메인 장치(200)는 자신의 상태를 변경(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온/오프 상태 변경, 조명 밝기 변경, 조명 색상 변경 등)하고(단계 S27) 정상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제어 시스템(100)에 알린다(단계 S29).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에 제어 결과를 전송함(단계 S31)과 아울러, 메인 가입자 정보에 매칭된 서브 가입자 정보(일 예로 서브 장치(300)의 맥 주소 또는 아이피 주소)를 추출하고(단계 S33), 그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5).
여기서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는 앞서 메인 장치(200)에 전송한 상태 변경 제어 신호와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수신한 서브 장치(300)는 해당 신호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후(단계 S37), 정상 처리 응답 신호를 제어 시스템(100)에 전송한다(단계 S39).
제어 시스템(100)은 해당 제어 결과를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에 전송한다(단계 S41).
이에 따라 메인 가입자가 자신의 메인 장치(200)의 상태만을 변경 제어하더라도, 그 서브 장치(300)(예를 들어 팬들 각각이 보유한 장치)도 메인 장치(200)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모두 조명 장치인 경우, 연예인이 구비한 조명 장치에 불이 켜지면 팬이 구비한 조명 장치에도 불이 켜지고, 연예인이 구비한 조명 장치의 색상이 적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면 팬들의 조명 장치의 색상 역시 적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과 함께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보다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에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의 요청에 따라 특정 메시지가 서브 장치(3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로부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51) 제어 시스템(100)은 가입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단계 S53), 해당 메인 가입자 정보에 매칭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55).
이어서 제어 시스템(100)은 수신된 메시지를 서브 장치(300)에 전송하고(단계 S57), 이에 서브 장치(300)는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한 후(단계 S59) 정상 처리 응답 신호를 제어 시스템(100)에 전송한다(단계 S61).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에 메시지 전달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린다(단계 S63).
여기서 서브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요한 점은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의 메시지 전달 요청에 대해, 메인 장치(200)는 제외하고 서브 장치(300)에만 메시지가 전송된다는 점이다.
즉, 비록 메인 가입자 장치 정보와 서브 가입자 장치 정보가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메인 가입자로부터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메인 가입자 장치는 제외하고 서브 가입자 장치에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메인 가입자에 해당하는 연예인 등은 자신이 팬들에게 전송한 메시지가 자신의 메인 장치(200)에도 출력되는 것을 별다른 설정 없이 막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210)에 의해 메인 장치(200)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메인 장치(200) 자체에 구비된 입력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에 따른 제어 과정은 도 7에 도시되었다.
메인 장치(2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단계 S71), 상태 변화 알림 신호를 제어 시스템(100)에 전송한다(단계 S73).
이에 제어 시스템(100)은 해당 메인 장치(200)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300)(즉,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75), 해당 서브 장치(300)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77).
이후의 처리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팬들은 자신이 선망하는 대상이 보유한 메인 장치(200)와 동일한 상태로 동작하는 서브 장치(300)를 보유하게 되어 그 대상과 다양한 교감을 느낄 수 있다.
즉,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는 양방향 소통 장치가 아니라 일종의 주종 관계를 형성하는 장치로서, 메인 장치에서의 상태 변화가 서브 장치에 영향을 줄 뿐 서브 장치의 상태 변화가 메인 장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설정되는 경우, 본원발명이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들과 이들의 팬들 간의 관계 형성에 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복수 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조명 장치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메인 장치(200)와 서브 장치(300)가 소정의 음악을 출력하는 장치인 경우,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장치(200)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출력하는 음악과 동일한 음악이 서브 장치(3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00)은 메인 장치(200)에서 소정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와 동일한 진동이 서브 장치(300)에서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제어 시스템 200 : 메인 장치
300 : 서브 장치 210 : 메인 가입자 제어 단말기
110 : 저장부 120 : 그룹 설정부
130 : 상태 변화 감지부 140 : 구성원 정보 추출부
150 : 제어 신호 전송부 160 : 인증 처리부
170 : 요금제 등록부 180 : 요금제 정보 제공부
190 : 수신부

Claims (26)

  1.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기 등록된 메인 가입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장치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고객의 요금제 선택 요청시 상기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고객이 상기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고객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와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는 상기 메인 장치의 장치 정보와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는 상기 서브 장치의 장치 정보와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는 메인 가입자의 고객 정보이고,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는 서브 가입자의 고객 정보이며,
    상기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시 각 고객이 이용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고객 정보에 추가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가입자로부터 메인 장치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메인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정상 처리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치와 상기 서브 장치는 모두 통신이 가능한 조명 장치이고,
    상기 (b) 단계의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는 조명의 온/오프 상태 변화, 조명의 밝기 변화, 조명의 색상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서브 장치의 조명이 상기 메인 장치의 조명의 온/오프 상태, 조명의 밝기, 조명의 색상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가입자로부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메시지를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가입자로부터 서브 장치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라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다른 제어 주체를 구별하는 제어 주체 구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서브 장치로의 상기 상태 변경 제어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서브 장치로 상기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그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 변경 예약 정보를 해당 서브 장치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변경 예약 정보가 매칭된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서브 장치에 상기 상태 변경 예약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태가 변경된 서브 장치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값을 상기 메인 장치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5.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정보를 등록 저장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기 등록된 메인 가입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가입자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그룹 설정부와;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상태 변화 감지부와;
    상기 상태 변화 감지부에서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서브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원 정보 추출부와;
    상기 구성원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장치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요금제 등록부와;
    고객의 요금제 선택 요청시 상기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요금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룹 설정부는 고객이 상기 특정 요금제 부가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고객의 가입자 정보를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가입자 정보로써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는 상기 메인 장치의 장치 정보와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는 상기 서브 장치의 장치 정보와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는 메인 가입자의 고객 정보이고,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는 서브 가입자의 고객 정보이며,
    상기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시 각 고객이 이용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가입자 정보에 추가 등록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원 정보 추출부가 추출하는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는 상기 인증 처리부에 의해 추가 등록된 장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가입자로부터 메인 장치 상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수신부에 상기 메인 가입자로부터 메인 장치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메인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태 변화 감지부는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가 상기 메인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화 감지부는 상기 메인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정상 처리 응답 신호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치와 상기 서브 장치는 모두 통신이 가능한 조명 장치이고,
    상기 상태 변화 감지부가 감지하는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는 조명의 온/오프 상태 변화, 조명의 밝기 변화, 조명의 색상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서브 장치의 조명이 상기 메인 장치의 조명의 온/오프 상태, 조명의 밝기, 조명의 색상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인 가입자로부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메시지를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입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브 가입자로부터 서브 장치 상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수신부에 상기 서브 가입자로부터 서브 장치 상태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브 장치에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라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와 상기 서브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 장치에 전송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다른 제어 주체를 구별하는 제어 주체 구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서브 장치로의 상기 상태 변경 제어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서브 장치로 상기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그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 변경 예약 정보를 해당 서브 장치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 등록하고, 이후 상태 변경 예약 정보가 매칭된 서브 장치의 특정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서브 장치에 상기 상태 변경 예약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는 상기 상태 변경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하여 상태가 변경된 서브 장치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값을 상기 메인 장치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60110262A 2016-08-29 2016-08-29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5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62A KR102050308B1 (ko) 2016-08-29 2016-08-29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62A KR102050308B1 (ko) 2016-08-29 2016-08-29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11A KR20180024311A (ko) 2018-03-08
KR102050308B1 true KR102050308B1 (ko) 2019-11-29

Family

ID=6172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62A KR102050308B1 (ko) 2016-08-29 2016-08-29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3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79B1 (ko) 2006-01-20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간의 동기화 방법
WO2010097742A1 (en) * 2009-02-24 2010-09-0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KR101402286B1 (ko) * 2012-06-14 2014-06-02 (주)아이비즈소프트웨어 정보 동기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11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2848B2 (en) User location and identity awareness
US20120269361A1 (en) Network Addressible Loudspeaker and Audio Play
US20140047487A1 (en)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US10581941B2 (en) Time and content restrictions based on user-identification
US11122636B2 (en) Network-based user identification
US202103374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service set identifiers on a wireless access point
US9720856B2 (en) Sharing content using a dongle device
US10452350B2 (en) Interaction-based user identification
US9769863B2 (en) Music playlist application
WO2017067218A1 (zh) 多设备间会员权益同步的方法、设备、服务器及系统
JP6580132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に関連付けられた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4685854B (zh) 基于音乐信息提供社交服务的方法和系统
US9894703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566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unconnect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27806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ociating social media to wireless identifiers
US20150207824A1 (en) Framework for creating ad-hoc location constrained music channels
KR101423650B1 (ko) 다자접속 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그 미디어 재생방법
KR102050308B1 (ko) 복수 개의 장치의 상태를 연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74984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with wireless enabled devices
CN108141477A (zh) 用于向电子设备分配动态标识符的方法及其设备
CN106899921A (zh) 控制网络连接的方法、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