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821B1 -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 Google Patents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821B1
KR102049821B1 KR1020170176049A KR20170176049A KR102049821B1 KR 102049821 B1 KR102049821 B1 KR 102049821B1 KR 1020170176049 A KR1020170176049 A KR 1020170176049A KR 20170176049 A KR20170176049 A KR 20170176049A KR 102049821 B1 KR102049821 B1 KR 10204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nes
net
equipment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580A (en
Inventor
김봉규
정상근
김석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8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7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는, 개구부 상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로의 작업자 추락 방지를 위해 상기 개구부의 개구 영역을 가변시키는 안전 그물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ll safety device. The fall prevention safety equipment, the process equipment is moved along the movement path set on the opening; And a safety net portion for varying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to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as the process equipment moves.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설비{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Fall Safety Equipment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 근방에서 공정 설비의 운용을 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작업자가 추락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in the opening in the state of operating the process equipment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의 산업 현장에는 산업용수를 사용하는 저수조와, 사용한 용수를 재생 또는 폐수 처리하는 침전조 및, 일정한 고정위치에서 이동하는 설비장치등 설비주위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추락의 위험을 수반하는 개구부들이 존재한다In general, industrial sites in the modern society carry a lot of dangers of falling around facilities such as a reservoir using industrial water, a sedimentation tank for regenerating or treating wastewater, and equipment moving at a fixed location. There are openings

특히, 제철소는 작업 특성상 타 산업에 비해 고위험 작업이 많이 존재한다.In particular, steel mills have a lot of high-risk work than other industries.

예컨대, 작업 특성상 초고온 작업이나 유해가스의 위험성이 높은 작업이 많으며, 각종 중장비 등이 즐비하여 작은 사고도 커다란 인명 피해로 이어질수 있어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For example, due to the nature of work, there is a lot of high temperature work or a high risk of harmful gases, and a lot of heavy equipment, such as a small accident can lead to a great loss of life, it is important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특히, 제철소 내에서 각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 공간에는 다수의 단위 공정이 수행되는 단위 설비들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운용된다.In particular, in the steel mill, unit facilities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processes are performed are arranged and operated in a set space where each process is performed.

또한, 상기의 각 단위 설비는 일정의 운용 구간 내에서 이동되는 설비들이 다수를 이루며, 이들 사이에는 일정 깊이의 개구부가 형성되기도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above-mentioned unit facilities are made up of a number of facilities that are moved within a certain operating period, there is also formed an opening of a certain depth between them.

그리고, 이러한 개구부들 사이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통로가 마련되며, 이는 철판 등을 사용하여 설치되기도 한다.In addition, a moving passage for guiding a worker's movement is provided between the openings, which may be installed using an iron plate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가 이동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도중에 중심을 잃어 발을 헛딛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개구부로 낙하 또는 추락하여 인명피해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 working environment, if a worker loses his or her foot while moving through a moving passage, and loses his foot, the worker falls or falls into an opening, caus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human injury.

또한, 종래에는 통상 상기와 같은 개구부를 안전난간이나 덮개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openings as described abov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y using a safety railing or a cover.

그러나, 이는, 설비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지 않은 독랍된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적용이 가능하며, 개구부 상에서 설비가 이동되는 상태에서는 개구부를 항상 덮개로 커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can be applied to an opening formed in an isolated position that is not located on the path where the equipment is mov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ning cannot always be covered by a cover in the state where the equipment is moved on the opening.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설비가 이동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안전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구부로 추락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when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equipment is mov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is likely to fall into the opening because no separate safety device is used.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자가 개구부로 추락하게 되면, 소중한 인명이 상해를 당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설비가동을 중지하거나 추락한 작업자의 구조를 위한 구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르는 생산 손실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when a worker falls into an opening, a safety accident in which a precious life is injured occurs, and production loss is increased due to a rescue operation for the rescue of a worker who has stopped operation or has fallen.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83524호(공개일자: 2009년 08월 0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안전그물 개폐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83524 (published date: August 04, 2009), th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fety net.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설비가 개구부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에 작업자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ll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operator in the opening even when the work equipment is moved on the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작업자의 개구부로의 추락을 방지하여, 공정의 생산성의 하락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ll prevention safety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fall of the productivity of the process 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worker to the opening while maintaining the work process as it i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ll safety device.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는, 개구부 상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정 설비에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개구부의 주변 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공정 설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로의 작업자 추락 방지를 위해 상기 개구부의 개구 영역에 대한 커버 영역을 가변시키는 안전 그물부를 포함한다.The fall safety device, the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to the process equipment is moved along the movement path set on the opening; And a safety net portion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opening and varying a cover region of the opening region of the opening to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as the process equipment moves.

상기 안전 그물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단 또는 타단과 상기 공정 설비를 연결하는 격자 형상의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ty nett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grid-shaped netting connecting one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and the process equipment.

상기 안전 그물부는, 제 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제 1그물라인과,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 2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제 2그물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net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esh lines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mesh lines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의 일단은, 상기 공정 설비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구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ocess equipmen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상기 다수의 제 2그물라인은,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second web lines a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at intervals along the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상기 안전 그물부는, 일단이 상기 공정 설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구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되어 제 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제 1그물라인과,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링과,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 2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링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그물라인과,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링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링의 간격을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 유지줄을 구비할 수 있다.The safety net portion has a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rocess equipmen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and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A plurality of rings formed in a plurality of rings, a plurality of second mesh lines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ings,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nes along the first direction. 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ings installed in each of the net line,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ing lines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rings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다수의 간격 유지줄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 각각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spacing lines is preferably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

상기 다수의 간격 유지줄 각각에는, 다수의 중량추가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중량추는, 상기 다수의 제 2그물라인 각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spacing lines, a plurality of weights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weights,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web line.

상기 공정 설비에서,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을 권취하는 권취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aid process equip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part which winds up the said several 1st net line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aid connection part is arrange | positioned.

여기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공정 설비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을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unit winds up the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process equipment.

본 발명은, 작업설비가 개구부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에 작업자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worker from falling in the opening even when the work equipment is moved on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작업자의 개구부로의 추락을 방지하여, 공정의 생산성의 하락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Moreover, this invention has the effect which can prevent fall of the operator to the opening part, maintaining a work process as it is, and can prevent the fall of productivity of a process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가 설치되는 작업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1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3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간격 유지줄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간격 유지줄들 각각에 중량추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ork space in which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pacer lin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weigh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pacer lin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any configuration is provided or dispos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or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that any configuration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Means that.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another structure between the said base material and any structure provided or arrange | positioned on (or under) the base material.

이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fall prevention safet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가 설치되는 작업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ork space in which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을 참조 하면, 제철소등의 작업 공간에는 개구부(1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opening 10 is formed in a work space such as a steel mill. The opening 1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상기 개구부(10)는 사각 형상으로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10 may be formed as a hole having a depth set in a square shape.

상기 개구부(10) 상에서는 설정된 이동 경로(a)를 따라 이동되는 공정 설비(1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경로(a)는 제 1방향(①)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On the opening 10, a process facility 100 that is moved along a set movement path a is disposed. Here, the movement path (a) may be reciproc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상기 개구부(10)의 양측부에는 상기 공정 설비(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들(110)이 설치될 수 있다.Rails 110 may b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1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rocess facility 100.

상기 공정 설비(100)는 리니어 모터(120)의 구동에 따라,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12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The process facility 100 is moved along the rail 1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near motor 120, and the linear motor 120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도 2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1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는 크게 상술한 공정 설비(100)에 설치되는 연결부(211)와, 안전 그물부(200)로 구성된다.2 and 3,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connection portion 211 is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equipment 100, and the safety net portion 200.

상기 공정 설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방향(①)을 따르는 설정된 이동 경로(a)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facility 100 may be reciprocated along the set movement path a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상기 안전 그물부(200)는, 격자 형상의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afety net 200 may be formed of a grid net.

상기 격자 형상의 그물망은,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과, 다수의 제 2그물라인(220)을 갖는다.The grid-shaped mesh has a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210 and a plurality of second web lines 220.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은, 설정된 길이를 갖고, 설정된 간격을 이루어 제 1방향(①)을 따라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210 have a set length and are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① at a set interval.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의 일단은, 공정 설비(1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되는 연결부(21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11)는 고리와 같은 걸이 부재들일 수 있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210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211 form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The connection portion 211 may be a hook member such as a ring.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의 타단은, 개구부(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된다. 이 역시, 연결의 방식은 개구부(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는 고리와 같은 걸이 부재(2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210 are connect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10. Again, the manner of connection may be connected via a hook member 212, such as a ring install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10.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은, 제 1방향(①)을 따라 좌우 간격을 이루어 공정 설비(100)를 기준으로 개구부(1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21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pening 10 based on the process facility 100 at left and right intervals along the first direction 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 2그물라인(220)은, 제 1방향(①)과 직교를 이루는 제 2방향(②)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제 2방향(②)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이루어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에 연결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plurality of second net lines 220 ar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②)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①), and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second direction (②). It can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 210.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 1,2그물라인(210, 220)은 교차되는 즉, 격자상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eb lines 210 and 220 may cross each other, ie, form a lattice.

물론, 상기 교차되는 다수의 부분에는, 제 1그물라인(210)과 제 2그물라인(220)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fixing members (not shown) for fixing the first web line 210 and the second web line 220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plurality of crossing portions.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공정 설비들(100) 경계로 양측부에는 개구부(10)를 커버하도록 격자상을 이루는 제 1,2그물라인들(210, 220)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web lines 210 and 220 forming a grid may 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to cover the opening 1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2그물라인들(210, 220)이 설정된 탄성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et lines 210 and 220 may be formed to achieve a set elasticity.

바람직하게, 공정 설비(100)의 이동 방향(a)과 일치되는 제 1그물라인들(210)의 탄성은, 제 2그물라인들(220)의 탄성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web lines 210 coinciding with the moving direction a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web lines 220.

이에, 공정 설비(100)가 제 1방향(①)을 따라 공정 진행시 이동되는 경우, 공정 설비(100)의 이동 위치에 관계 없이, 제 1그물라인들(210)은 신축 가능할 수 있다.Thus, when the process equipment 100 is moved during the process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regardless of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the first net lines 210 may be stretchable.

또한, 제 2그물라인들(220)이 제 1그물라인들(210)과 격자상을 이루며, 제 1그물라인들(210) 보다 탄성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격자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web lines 220 form a lattice shape with the first web lines 210 and have a smaller elasticity than the first web lines 210,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grid shape is provided. There is this.

이에 따라, 이동 설비(100)가 제 1방향(①)을 따라 이동되는 도중에 작업자가 개구부(10)로 추락하더라도, 공정 설비(100)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안전 그물부(200)가 격자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한 상기 연결부(211)와 상기 개구부(10)의 주변 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공정 설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10)로의 작업자 추락 방지를 위해 상기 개구부(10)의 개구 영역에 대한 커버 영역을 가변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구부로 추락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worker falls down to the opening portion 10 while the moving equipment 100 moves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the safety net 200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is lattice-shaped. To maintain a constant, and also connects the connecting portion 211 and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opening 10, the movement of the process equipment, to prevent the fall of the worker to the opening 1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ning 10 Since the cover area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rea is vari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도 4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 설비(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다수의 권취부(30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winding parts 300 are install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권취부(300)는, 상술한 연결부(211)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211)가 삭제되는 위치에 상기 권취부(30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Here, the wind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portion 211 is installed. That is, the wind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unit 211 is deleted.

상기 권취부(300)는 탈착 가능할 수도 있고, 공정 설비(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는 이동 레일(미도시)을 통해 좌우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어 설치 위치가 가변 될 수도 있다.The winding unit 300 may be detachable,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may be changed by moving the position along left and right through a moving rail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rocess facility 100.

상기 다수의 권취부(300)의 설치 간격은, 제 1그물라인들(210)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are made to be the same as the interval of the first net line (210).

상기 다수의 권취부(300)는 공정 설비(100)의 이동 속도 거리와 비례되도록 제 1그물라인들(210)을 권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may wind the first web lines 210 to be proportional to the moving speed distance of the process facility 100.

여기서, 상기 다수의 권취부(300)의 구동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됨과 아울러, 공정 설비(10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and the process equipment 100 is driven by the linear motor 120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Can be moved.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리니어 모터(120)의 구동을 통해 상기 공정 설비(100)를 이동시키되, 다수의 권취부(3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이동 속도 거리와 비례되도록 제 1그물라인들(210)을 권취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00 moves the process facility 100 through the driving of the linear motor 12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so as to be proportional to the moving speed distance. Field 210 may be woun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그물라인들(210)은 공정 설비(100)의 양측부에서, 권취부들(300)의 구동에 의해 풀리거나 감겨짐으로써, 공정 설비(100)의 이동 위치에 관계 없이 개구부(10)를 항상 일정하게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net line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nwound or wound by the driving of the winding units 300 at both sides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thereby relat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It is possible to always cover the opening 10 without a constant.

아울러, 제 1그물라인들(210)에 직교를 이루어 연결되는 제 2그물라인들(220)은 해당 위치에서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net lines 220 which are connected orthogonally to the first net lines 210 may achieve a state of maintaining a constant elasticit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의 제 3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간격 유지줄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fall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pacer lin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 그물부(200)는, 일단이 상기 공정 설비(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구부(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되어 제 1방향(①)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과,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링(400)과, 상기 제 1방향(①)과 직교를 이루는 제 2방향(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링(4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그물라인(220)과, 상기 제 1방향(①)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링(400)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링(400)의 간격을 상기 제 1방향(①)을 따라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 유지줄(500)로 구성된다.5 and 6, the safety n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rocess equipment 10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10 in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210 disposed along (①), a plurality of rings 400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210, the first direction (①) and A plurality of second net lines 220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②)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ings 400 and the plurality of first nets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ings 400 installed in each of the lines 2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pacing lines 500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rings 400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do.

여기서, 상기 다수의 간격 유지줄(500)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210) 각각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ing lines 50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 (210).

또한, 상기 간격 유지줄(500)의 직경은, 상기 제 1,2그물라인(210, 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른 무게가 더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spacer line 500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web lines 210 and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is formed accordingly.

이에 더하여, 상술한 공정 설비(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다수의 권취부(30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inding parts 300 are install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rocess equipment 100 described above.

상기 다수의 권취부(300)의 설치 간격은, 제 1그물라인들(210)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are made to be the same as the interval of the first net line (210).

상기 다수의 권취부(300)는 공정 설비(100)의 이동 속도 거리와 비례되도록 제 1그물라인들(210)을 권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may wind the first web lines 210 to be proportional to the moving speed distance of the process facility 100.

여기서, 상기 다수의 권취부(300)의 구동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됨과 아울러, 공정 설비(10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winding units 3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and the process equipment 100 is driven by the linear motor 120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Can be moved.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공정 설비(100)는 리니어 모터(1210)의 구동에 의해 이동 경로(a)를 따라 이동된다.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ocess facility 100 is moved along the movement path (a) by the driving of the linear motor 1210.

이와 동시에, 다수의 권취부(300)는 해당 권취부(300)에 연결된 제 1그물라인(210)을 풀거나 감는 동작을 실시한다.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windings 300 performs an operation of unwinding or winding the first net line 21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winding 300.

여기서, 상기 제 1그물라인(210)이 감기는 경우,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그물라인들(210)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링들(400)을 통해 연결되는 간격 유지줄들(500)은 그 길이가 제 1그물라인(21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그물라인(210)을 따라 배치되는 링들(400) 사이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도록 동작된다.Here, when the first net line 210 is wound, as shown in FIG. 6, the gap retaining lines connected through the rings 400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first net lines 210 ( 500 is operated so that its length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net line 210 so as to extend downward between the rings 400 disposed along the first net line 210.

이에 따라, 제 2방향(②)을 따라 각 링들(400)에 연결되는 세로줄인 제 2그물라인들(220)은 제 1그물라인(210)을 따라 배치되는 링들(400) 사이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는 간격 유지줄들(500)에 의해 일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net lines 220, which are vertical lin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ings 400 along the second direction ②, extend downwardly between the rings 400 arranged along the first net line 210. Losing spacing lines 500 may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이에 따라, 가로줄인 제 1그물라인들(210)이 감기는 경우에도, 제 1,2그물들(210, 220)은 격자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구부(10)로 낙하되는 경우에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irst web lines 210 which are horizontal lines are wound, the first and second webs 210 and 220 maintain the lattice shape, even when the worker falls into the opening 10. Make sure workers are saf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간격 유지줄들 각각에 중량추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weigh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pacer lin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 하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간격 유지줄들(500) 각각에는 중량추(510)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weight weights 51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space maintaining line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중량추들(510) 각각은 제 1방향(①)을 따르고, 제 2방향(②)을 따라 배치되는 제 2그물라인들(2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간격 유지줄들(500)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Each of the weights 510 is installed in the spacing lines 50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net lines 220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a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②. It is good to be.

이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그물라인(210)이 권취부(300)의 구동에 의해 감기는 경우, 제 1그물라인들(210)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링들(400)을 통해 연결되는 간격 유지줄들(500)은 그 길이가 제 1그물라인(21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그물라인(210)을 따라 배치되는 링들(400) 사이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도록 동작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net line 210 is wound by the driving of the winding unit 300, the interval connected through the rings 400 are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first net lines 210 The retaining strings 500 are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net line 210 so as to extend downward between the rings 400 disposed along the first net line 210.

이와 동시에,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중량추들(510)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하방으로 늘어지기 때문에, 제 1그물라인들(210) 각각을 따라 배치되는 링들(400)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아울러, 링들(400) 각각에 연결되는 제 2그물라인들(220) 역시 제 1방향(①)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7, because the weights of the corresponding weights 510 are stretched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weights 510 themselves, the interval of the rings 400 disposed along each of the first net lines 210 is constant. In addition, the second net lines 220 connected to each of the rings 400 may als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이에 따라, 제 2방향(②)을 따라 각 링들(400)에 연결되는 세로줄인 제 2그물라인들(220)은 제 1그물라인(210)이 권취되는 과정에서도 제 1방향(①)을 따라 일정의 간격을 더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net lines 220 which are vertical lin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ings 400 along the second direction ② are along the first direction ① even when the first net line 210 is wou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more efficiently.

따라서, 가로줄인 제 1그물라인들(210)이 감기는 경우에도, 제 1,2그물라인들(210, 220)은 격자 형상을 더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구부(10)로 낙하되는 경우에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web lines 210 which are horizontal lines are wound, the first and second web lines 210 and 220 can maintain the grid shape more efficiently, so that the worker falls into the opening 10. Ensure that workers are protected even if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산업용수를 이용하는 저수조, 사용한 용수를 재생 또는 폐수처리하는 침전조, 그리고 일정한 고정위치에서 이동하는 설비장치등 설비주위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추락의 위험을 수반하는 개구부와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개구부에서 작업자가 추락을 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명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인명사고로 인해 설비정지나 전체 공정을 정지하는 등의 생산손실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the abov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ll tank that exists a lot around the equipment, such as a storage tank using industrial water, a sedimentation tank for regenerating or treating waste water, and equipment moving at a fixed fixed position. Prevention of human accidents by preventing workers from falling down in openings that carry risks and openings containing hazardous chemicals, as well as production loss, such as stopping facilities or stopping the entire process due to human accid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설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Example regarding the fall prevention safety apparatus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t is clear that various implementation deformation is possible without the deviating from the range of this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other words,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개구부
100 : 공정 설비
110 : 레일
120 : 리니어 모터
200 : 안전 그물부
210 : 제 1그물라인
220 : 제 2그물라인
300 : 권취부
400 : 링
500 : 간격 유지줄
510 : 중량추
600 : 제어부
10: opening
100: process equipment
110: rail
120: linear motor
200: safety net
210: first net line
220: second net line
300: winding part
400: ring
500: spacing
510: weight
600: control unit

Claims (7)

개구부 상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정 설비에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개구부의 주변 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공정 설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로의 작업자 추락 방지를 위해 상기 개구부의 개구 영역에 대한 커버 영역을 가변시키는 안전 그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그물부는,
일단이 상기 공정 설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구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되어 제 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제 1그물라인과,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링과,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 2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링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그물라인과,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링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링의 간격을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 유지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
A connection part mounted to a process facility which is moved along a movement path set on the opening part; And
And a safety net portion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opening to vary the cover region of the opening region of the opening to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ocess equipment.
The safety net part,
A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rocess equipmen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and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ring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plurality of first web lines;
A plurality of second web lines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ings;
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ing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 along the first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spacing lines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rings along the first direction Fall safety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그물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단 또는 타단과 상기 공정 설비를 연결하는 격자 형상의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safety net part,
Fall safe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grid-shaped mesh connecting the one or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and the process equip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간격 유지줄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 각각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ing lines,
Fall safe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간격 유지줄 각각에는, 다수의 중량추가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중량추는,
상기 다수의 제 2그물라인 각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ing lines, a plurality of weights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weights,
Fall safe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net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설비에서,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을 권취하는 권취부가 설치되되,
상기 권취부는,
상기 공정 설비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다수의 제 1그물라인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설비.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ocess facility,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is arranged,
A winding unit for winding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s is installed,
The winding unit,
Fall prevention safe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of the plurality of first net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rocess equipment.
KR1020170176049A 2017-12-20 2017-12-20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KR102049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49A KR102049821B1 (en) 2017-12-20 2017-12-20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49A KR102049821B1 (en) 2017-12-20 2017-12-20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80A KR20190074580A (en) 2019-06-28
KR102049821B1 true KR102049821B1 (en) 2019-11-28

Family

ID=6706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49A KR102049821B1 (en) 2017-12-20 2017-12-20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821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153A (en) * 1999-12-28 2001-07-07 이계안 Safety device for over-head c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80A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3988B1 (en) Elevator systems
KR100619277B1 (en) Apparatus diagnosing safety movable of suspension bridge
JP6076031B2 (en) Unloading device for temporary structures
RU181881U1 (en) DEVICE FOR PREVENTING HUMAN FALLING WHEN LIFTING AND LIFTING
KR102049821B1 (en) A safety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
JP2013199225A (en) Safety fence
JP2010281072A (en) Lift for scaffolding work
US2645531A (en) Rolling scaffold
JP2017025560A (en) Net lifting device
CN213634933U (en) Rope rescue skill training frame
KR101188431B1 (en) Gang Form Comprising Safe Net
KR100967174B1 (en) The cage lift
JP7037106B2 (en) Inspection workbench for dust remover
CN204355900U (en) A kind of anti-falling safety device for building hoist
JP2005170655A (en) Anti-sway device of elevator rope
JP5911556B1 (en) Governor rope brac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CN206553007U (en) A kind of Elevator weight sensor protective cover
RU2506101C1 (en) Rescue vehicle for evacuation of people from high-rise buildings
KR101181453B1 (en) Apparatus for protection net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demounting protection net using the same
KR100545631B1 (en) Guide device for the fall prevention of the wire rope
KR101126770B1 (en) The Safety Ring for Climbing of Gang Form
CN218345122U (en) Maintenance device for anode roasting furnace
CN205187151U (en) Perpendicular weighted take -up unit
CN204348237U (en) Elevator actual training device
JP6276607B2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