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693B1 -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693B1
KR102049693B1 KR1020190054652A KR20190054652A KR102049693B1 KR 102049693 B1 KR102049693 B1 KR 102049693B1 KR 1020190054652 A KR1020190054652 A KR 1020190054652A KR 20190054652 A KR20190054652 A KR 20190054652A KR 102049693 B1 KR102049693 B1 KR 10204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opening
blocking device
drain pl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이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진 filed Critical 이승진
Priority to KR102019005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구부(opening)가 형성된 플레이트, 각각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면 타측에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된 제2 개구부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배수판, 일측이 상기 제2 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배수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수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타측이 이동하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 및 일측이 상기 제2 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을 따라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에 따라 풀(pull) 상태 또는 푸시(push) 상태로 설정되는 토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ODOR OF SEWER GRAT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하수도는 다양한 장소(예: 집, 공장, 병원)에서 쓰고 버리는 오수, 및 빗물이 흘러가도록 만든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에는 상기 하수도로 통하는 하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수구의 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하수구 덮개로 덮일 수 있다.
하수구 덮개는 하수구의 입구에 배치되어 하수구와 도로를 구분 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수구 덮개의 아래에는 하수도로부터 발생된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악취 차단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악취 차단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양쪽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예컨대, 배수판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악취 차단 장치는 개구부를 통해 빗물이 반복적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배수판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가 급속히 노후화되거나 상기 배수판 및 상기 개구부의 연결 부위가 느슨해질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악취 차단 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만으로는 빗물의 유입에 대응하여 상기 배수판을 부드럽게 개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는, 하수구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구부(opening)가 형성된 플레이트, 각각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면 타측에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된 제2 개구부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배수판, 일측이 상기 제2 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배수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수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타측이 이동하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 및 일측이 상기 제2 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을 따라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에 따라 풀(pull) 상태 또는 푸시(push) 상태로 설정되는 토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빗물의 유입에 대응하여 배수판의 개폐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수판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제1 상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제2 상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플레이트(110), 하우징(120), 제1 배수판(130),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및 토우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10)는 제1 개구부(111)(예: opening)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111)는 x축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제1 개구부(111)의 둘레가 하수구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20)은 제1 면(121) 및 제2 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121)은 일측이 제1 개구부(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121)은 z축 방향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2 면(122)은 한 쌍의 제1 면(121) 타측에 설정된 각도(예: 30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면(122)은 z축 방향의 한쪽에 하나의 제1 면(121)이 대응되고, z축 방향의 다른 한쪽에 나머지 하나의 제1 면(121)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 면(122)은 제1 개구부(111)와 연결된 제2 개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123)는 x축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면(122)은 한 쌍의 제1 면(121)과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111)로 흘러드는 대상(예: 빗물, 하수 및 쓰레기)이 제2 면(1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미끄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배수판(130)은 제2 개구부(123)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수판(130)은 일측이 제2 면(12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수판(130)은 제1 개구부(111)로 흘러드는 대상(예: 빗물, 하수 및 쓰레기)에 의한 외력에 따라 제2 개구부(123)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는 일측이 제2 면(122)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 배수판(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는 제1 배수판(130)이 개폐되도록 제1 배수판(130)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는 제1 배수판(130)의 회전에 따라 제1 배수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타측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의 타측이 이동하는 방향은 제1 배수판(130)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토우 어셈블리(150)는 일측이 제2 면(122)의 일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우 어셈블리(150)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의 타측을 따라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토우 어셈블리(150)는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에 따라 풀(pull) 상태 또는 푸시(push)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풀 상태는 토우 어셈블리(150)의 타측이 제1 배수판(130)의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당겨지며 제1 배수판(130)이 닫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푸시 상태는 토우 어셈블리(150)의 타측이 제1 배수판(13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밀리며 제1 배수판(130)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및 토우 어셈블리(150) 각각에 다양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는 제1 고정부(141), 플렉서블부(142) 및 제2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부(141)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41)는 제2 면(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142)는 제1 고정부(14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부(142)는 제1 고정부(141) 및 제2 고정부(1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부(142)는 제2 고정부(143)로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휘어지며 제2 고정부(143)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142)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고정부(143)는 플렉서블부(142)에 연결되어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부(143)는 제1 배수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플렉서블부(142)로 전달하여 플렉서블부(142)의 휘어짐을 유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2 고정부(143)는 토우 어셈블리(150)의 타측과 맞물리는 이동홈(14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홈(143a)은 토우 어셈블리(150)가 설정된 경로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그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토우 어셈블리(150)는 제3 고정부(151), 견인부(152), 이동부(153) 및 제1 스프링(S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고정부(151)는 토우 어셈블리(1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고정부(151)는 제2 면(12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면(122)의 일측에는 제3 고정부(151)가 배치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견인부(152)는 제3 고정부(15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견인부(152)는 회전축(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52a)은 이동부(153)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이동부(153)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153)는 일측이 회전축(15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우 어셈블리(15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53)는 타측이 이동홈(143a)에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153)는 회전부재(153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153a)는 이동홈(143a)에 대응되도록 이동부(15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부재(153a)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153)는 무게추(15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153b)는 이동부(153)의 타측에 배치되되, 회전부재(153a)가 이동홈(143a)에 맞물리는 쪽과 반대되는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무게추(153b)는 이동부(153)가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이동부(153)의 무게중심이 변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스프링(S1)은 일측이 제3 고정부(151) 및 견인부(152)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이 이동부(15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링(S1)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S1)은 토우 어셈블리(150)의 풀(pull) 상태에 따라 제1 배수판(13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동부(153)를 끌어당길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1 스프링(S1)은 토우 어셈블리(150)의 푸시(push) 상태에 따라 제1 배수판(130)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 후 다시 닫힘 상태로 전환될 경우, 이동부(153)를 끌어당길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프링(S1)은 이동부(153)를 제3 고정부(151)가 위치한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플레이트(110),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20)), 제1 배수판(130),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및 토우 어셈블리(150)뿐만 아니라 제2 배수판(160) 및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배수판(160)은 제3 개구부(124)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수판(160)은 일측이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배수판(160)은 제1 개구부(예: 도 1의 제1 개구부(111)로 흘러드는 대상(예: 빗물, 하수 및 쓰레기)에 의한 외력에 따라 제3 개구부(124)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개구부(124)는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플레이트(110) 및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의 타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배수판(160)은 플레이트(110)에 수직한 방향(예: 도 1의 x축 방향)으로 장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홀(161)은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홀(161)은 제2 배수판(160)이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에 따른 제2 배수판(160)의 기울기가 변화되더라도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홀(161)은 제2 배수판(160)이 닫힘 상태인 경우, 일측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에 맞닿으며, 제2 배수판(160)이 열림 상태인 경우, 타측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에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2 배수판(16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적어도 일부가 장홀(161)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가 플레이트(110) 및 제1 면(12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일측이 플레이트(110) 및/또는 제1 면(12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2 배수판(160)이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2 배수판(160)이 개방되는 경우, 일측의 압력이 감소되되, 타측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2 배수판(160)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일측의 압력이 증가되되, 타측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1 지지대(171), 가이드부(172) 및 제2 지지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대(171)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대(171)는 플레이트(110) 및/또는 제1 면(121)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대(171)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일측에 발생되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부(172)는 제1 지지대(17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2)는 제2 배수판(160)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72)는 장홀(16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부(172)는 제2 스프링(S2) 및 제3 스프링(S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프링(S2)은 가이드부(172)의 일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3 스프링(S3)은 가이드부(172)의 타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링(S2) 및 제3 스프링(S3)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부(172)는 제2 스프링(S2) 및 제3 스프링(S3)이 제2 배수판(1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독립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72)는 제2 스프링(S2)을 이용하여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일측에 압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가이드부(172)는 제3 스프링(S3)을 이용하여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타측에 압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부(172)는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이 기울어진 각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72)는 제2 배수판(160)이 제1 배수판(13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지지대(173)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대(173)는 플레이트(110) 및/또는 제1 면(121)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지지대(173)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의 타측에 발생되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토우 어셈블리(150)의 타측(예: 이동부(153)) 및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끼인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끼인각은 예각에 대응됨으로써, 이동부(153)가 제2 고정부(143)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제1 상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하수구(G)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10)의 일측(예: 상부)에는 하수구 덮개(C)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토우 어셈블리(150)를 이용하여 제1 배수판(130)이 닫힘 상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우 어셈블리(150)는 이동부(153)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토우 어셈블리(150)는 제1 스프링(S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부(153)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예: 풀(pull)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방향을 향해 이동부(153)를 끌어당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를 이용하여 제2 배수판(160)이 닫힘 상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2 스프링(S2) 및 제3 스프링(S3)이 평형한 상태의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제2 배수판(160)이 닫힘 상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토우 어셈블리(150)가 풀 상태로 설정될 경우, 제1 배수판(130),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제2 배수판(160) 및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움직이지 않는 정적(staticall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제2 상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예: 도 5의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및 토우 어셈블리(150)를 이용하여 제1 배수판(130)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우 어셈블리(150)는 하수구 덮개(C)를 통해 흘러드는 대상(예: 빗물, 하수 및 쓰레기)에 의해 이동부(153)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토우 어셈블리(150)는 이동부(153)가 제2 고정부(143)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예: 푸시(push)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토우 어셈블리(150)는 제1 스프링(S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부(153)가 제2 방향을 향해 급속히 이동되지 않도록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부(153)를 끌어당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를 이용하여 제2 배수판(160)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제2 스프링(S2)의 압력이 감소되되, 제3 스프링(S3)의 압력이 증가됨으로써, 제2 배수판(160)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토우 어셈블리(150)가 풀 상태로 설정될 경우, 제1 배수판(130),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제2 배수판(160) 및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움직이는 동적(dynamic)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예: 도 1의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하수구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구부(예: 도 1의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된 플레이트(예: 도 1의 플레이트(110)), 각각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면(예: 도 1의 제1 면(121)) 및 상기 한 쌍의 제1 면 타측에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된 제2 개구부(예: 도 1의 제2 개구부(123))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20)),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배수판(예: 도 1의 제1 배수판(130)), 일측이 상기 제2 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배수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수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타측이 이동하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예: 도 1의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 및 일측이 상기 제2 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을 따라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에 따라 풀(pull) 상태 또는 푸시(push) 상태로 설정되는 토우 어셈블리(예: 도 1의 토우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예: 도 3의 제1 브래킷 어셈블리(140))는,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예: 도 3의 제1 고정부(141)),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는 플렉서블부(예: 도 3의 플렉서블부(142)), 및 상기 플렉서블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수판(예: 도 1의 제1 배수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부의 휘어짐을 유발하는 제2 고정부(예: 도 3의 제2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부(예: 도 3의 제2 고정부(143))는, 상기 토우 어셈블리(예: 도 3의 토우 어셈블리(150))의 타측과 맞물리는 이동홈(예: 도 3의 이동홈(143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우 어셈블리(예: 도 1의 토우 어셈블리(150))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이 제1 방향에 대응되면 상기 풀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우 어셈블리(예: 도 1의 토우 어셈블리(150))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이 제2 방향에 대응되면 상기 푸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우 어셈블리(예: 도 4의 토우 어셈블리(150))는,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타측 및 상기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끼인각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우 어셈블리(예: 도 3의 토우 어셈블리(150))는,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예: 도 3의 제3 고정부(151)), 상기 제3 고정부에 연결되고, 회전축(예: 도 3의 회전축(152a))이 형성되는 견인부(예: 도 3의 견인부(152)), 및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홈(예: 도 3의 이동홈(143a))에 맞물리는 이동부(예: 도 3의 이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예: 도 3의 이동부(153))는, 상기 이동홈(예: 도 3의 이동홈(143a))에 대응되도록 이동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예: 도 3의 회전부재(153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우 어셈블리(예: 도 3의 토우 어셈블리(150))는, 일측이 상기 제3 고정부(예: 도 3의 제3 고정부(151)) 및 상기 견인부(예: 도 3의 견인부(152))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예: 도 3의 이동부(153))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갖는 제1 스프링(예: 도 3의 제1 스프링(S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예: 도 4의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100))는, 상기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예: 도 4의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면의 타측 사이에 형성된 제3 개구부(예: 도 4의 제3 개구부(124))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3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2 배수판(예: 도 4의 제2 배수판(160)), 및 상기 제2 배수판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면(예: 도 4의 제1 면(12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예: 도 4의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배수판(예: 도 4의 제2 배수판(160))은, 상기 플레이트(예: 도 4의 플레이트(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홀(예: 도 4의 장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브래킷 어셈블리(예: 도 4의 제2 브래킷 어셈블리(170))는, 상기 제2 브래킷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예: 도 4의 제1 지지대(171)), 상기 제1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수판(예: 도 4의 제2 배수판(160))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예: 도 4의 가이드부(172)),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대(예: 도 4의 제2 지지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예: 도 4의 가이드부(172))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 둘레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예: 도 4의 제2 스프링(S2),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 둘레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제3 스프링(예: 도 4의 제3 스프링(S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예: 도 4의 가이드부(172))는, 상기 제2 면(예: 도 1의 제2 면(122))이 기울어진 각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 있어서,
    하수구의 둘레에 배치되고, 제1 개구부(opening)가 형성된 플레이트;
    각각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면 타측에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된 제2 개구부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배수판;
    일측이 상기 제2 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배수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수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타측이 이동하는 제1 브래킷 어셈블리; 및
    일측이 상기 제2 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을 따라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에 따라 풀(pull) 상태 또는 푸시(push) 상태로 설정되는 토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는 플렉서블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수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부의 휘어짐을 유발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타측과 맞물리는 이동홈;을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토우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이 제1 방향에 대응되면 상기 풀 상태로 설정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토우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방향이 제2 방향에 대응되면 상기 푸시 상태로 설정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토우 어셈블리는,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타측 및 상기 제2 면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끼인각을 형성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7. 청구항 3에서,
    상기 토우 어셈블리는,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
    상기 제3 고정부에 연결되고, 회전축이 형성되는 견인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토우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홈에 맞물리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홈에 대응되도록 이동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9. 청구항 7에서,
    상기 토우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제3 고정부 및 상기 견인부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갖는 제1 스프링;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면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면의 타측 사이에 형성된 제3 개구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외력에 따라 상기 제3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는 제2 배수판; 및
    상기 장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배수판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0에서,
    상기 제2 브래킷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브래킷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장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배수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브래킷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 둘레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 둘레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제3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3 스프링은,
    상기 제2 배수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독립된 영역에 배치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14. 청구항 12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이 기울어진 각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0190054652A 2019-05-10 2019-05-10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04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52A KR102049693B1 (ko) 2019-05-10 2019-05-10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52A KR102049693B1 (ko) 2019-05-10 2019-05-10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693B1 true KR102049693B1 (ko) 2019-11-28

Family

ID=6873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652A KR102049693B1 (ko) 2019-05-10 2019-05-10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51B1 (ko) * 2022-03-04 2022-12-13 (주)도래샘 빗물 안내 돌기라인을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차단시스템
KR102476350B1 (ko) * 2021-11-26 2022-12-13 (주)도래샘 버터플라이 타입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차단시스템
EP4198217A4 (en) * 2020-08-12 2024-02-21 Nak Jun Lee DRAIN WASTE COLLEC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835Y1 (ko) * 2003-09-23 2004-01-16 김덕주 합류식 하수도 맨홀용 차폐장치
KR20150129489A (ko) * 2014-05-12 2015-11-20 조이환 배수구 덮개
KR200487316Y1 (ko) * 2018-04-05 2018-09-04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835Y1 (ko) * 2003-09-23 2004-01-16 김덕주 합류식 하수도 맨홀용 차폐장치
KR20150129489A (ko) * 2014-05-12 2015-11-20 조이환 배수구 덮개
KR200487316Y1 (ko) * 2018-04-05 2018-09-04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8217A4 (en) * 2020-08-12 2024-02-21 Nak Jun Lee DRAIN WASTE COLLECTION DEVICE
KR102476350B1 (ko) * 2021-11-26 2022-12-13 (주)도래샘 버터플라이 타입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차단시스템
KR102476351B1 (ko) * 2022-03-04 2022-12-13 (주)도래샘 빗물 안내 돌기라인을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차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693B1 (ko)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JP2010533092A5 (ko)
ATA502000A (de) Schliess- und/oder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SE0101498D0 (sv) Locking mechanism for chair and pushbutton control therefor
DK0761563T3 (da) Tabletdispenser
ATE402307T1 (de) Betätigungsvorrichtung
TR200804682T2 (tr) Negatif rijidite tertibatı ve bu tertibata sahip olan sismik yalıtım yapısı.
US4023388A (en) Lock cover device
DK0859090T3 (da) Glidestykke til bruservægstang
ATE426772T1 (de) Steckbarer und verrastbarer leitungsverbinder
KR20190077039A (ko) 조작 장치 및 그 조작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시프트 장치
US10311910B2 (en)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shutter mechanism
ATE354753T1 (de) Rückflussverhinderer
TW201741537A (zh) 傢俱鉸鏈及其阻尼裝置
DE602006005258D1 (de) Geformte schiebefensteranordnung
ATE484701T1 (de) Sanitäres umstellventil
ATE437447T1 (de) Schaltmodul
DE50312934D1 (de) Gehäuse für kraftfahrzeug-türschloss und kraftfahrzeug-türschloss
WO2007085732A3 (fr) Dispositif de detection et sie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20190100821A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0129842Y1 (ko) 수류 감지장치
ATE501896T1 (de) In einem fahrzeugsitz anbringbares unterhaltungssystem
ATE237764T1 (de) Absperrschieber
ATE366861T1 (de) Scharnier
SE0203460D0 (sv) Anordning vid spjä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