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66B1 -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66B1
KR102049566B1 KR1020180085996A KR20180085996A KR102049566B1 KR 102049566 B1 KR102049566 B1 KR 102049566B1 KR 1020180085996 A KR1020180085996 A KR 1020180085996A KR 20180085996 A KR20180085996 A KR 20180085996A KR 102049566 B1 KR102049566 B1 KR 10204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rved
fragrance
petals
predetermined shape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람
Original Assignee
김해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람 filed Critical 김해람
Priority to KR102018008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6Dolls provided with electrical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ing method of a doll decorated with preserved floral leaves and having a long-lived internal fragran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oll decorated with preserved floral leaves and having a long-lived internal fragrance, and a producing method thereof. The produc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preserved floral materials by immersing floral materials in a first processing solution, immersing the floral materials in a second processing solution acquired by mixing a dehydration solution,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a cationic dye, and drying the floral materials; separating preserved floral leaves from the preserved floral materials and dividing the preserved floral leaves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a fragrance solution into gypsum, forming the gypsum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rying the gypsum; attaching eyes and a nose to a face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the preserved floral leaves around the 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ttaching the preserved floral leaves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cutting the attached preserved floral leaves into a predetermined shape.

Description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및 그 제조 방법{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본 발명은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ll decorated with preserved petals and having a long internal fragrance, and more specifically, after immersing a floral material in a first treatment liquid, and then again dehydrating liquid, water, oil, water and nutrients. Preparing a preserved flower material by immersing and drying the flower material in a second treatment liquid formed by mixing a cationic dye with the cationic dye; Separating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the fragrance solution into the gypsum and then drying it to a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Bonding the preserved petals around the 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ecorating with the preserved petals including a step of scissing the bonded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shape.

일반적으로 생화는 개화되지 않은 생태에서 수확되고 유통 단계에서는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최적의 보존 상태로 신속히 공급되지만, 길어도 일주일 정도면 시들어 버려 상품성을 잃게 된다. 또한 꽃의 종류에 따라 그 개화 시기나 수확 시기가 달라 계절에 상관없이 일년 내내 생화를 감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In general, fresh flowers are harvested from an unflowered ecology and are rapidly supplied in the optimal preservation state in order to minimize the evaporation of water at the distribution stage, but wither for a week or so, and lose their commerciality.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lowers, the flowering time or harvesting time is different, it is not easy to enjoy the flowers all year round regardless of the season.

이에 따라, 생화를 자연 건조하거나 실리카겔 등 건조제를 이용하여 인공 건조함으로써 관상용으로 만든 소위 드라이플라워(Dry Flower)가 제작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건조 과정에서 색상이나 상태가 잘 보존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Accordingly, so-called dry flowers made of ornamentals by natural drying or artificial drying using a desiccant such as silica gel have been produced, but in this case, it takes a long time to dry and preserves color or state well in the dry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such as not being.

최근에는 탈수, 탈색, 착색, 건조 등의 단계를 거쳐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프리저브드 플라워(preserved flower)가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아름답게 피어있는 상태의 생화에 인체에 무해한 오가닉과 염료를 흡수시켜, 외관으로는 마치 생화와 같은 신선함을 지니고 있으나, 물이 필요 없고 시들 염려도 없으므로 선명한 색상의 꽃을 오래도록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프리저브드 플라워(preserved flower)는 액자에 넣어 보관 및 실내의 장식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Recently, preserved flowers are known tha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through dehydration, decoloring, coloring, drying, etc., and such preserved flowers are organic and dyes that are harmless to humans in a beautifully blooming state. By absorbing the water, it looks like fresh flowers, but it does not need water and there is no worry of withering, so it is possible to enjoy vivid color flowers for a long time. The preserved flower as described above Put it in place to get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room.

그러나 이러한 인공 꽃 같은 싸구려 질감 밖에 실현할 수 없고, 실제 생화에서 나는 향기 조차 없어 외면을 받아오고 있는 실정이었다.However, only such cheap textures as artificial flowers can be realized, and there are no fragrances from real flowers, and they have been received outside.

그래서 종래 발명인 한국공개특허 제2017-0053869호는 생화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절화를 탈수탈색표백용액과 보존착색처리용액을 이용하여 시들지 않도록 보존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로서, 탈수탈색표백용액에 과산화수소 10-40%, 보존착색처리용액에 글리세린 5-10%를 혼합하여 탈수와 탈색 및 보존착색하고 건조기에 넣고 30℃-50℃에서 3시간 내지 6시간 건조하여 형성하고 있다.Thu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7-0053869, which is a conventional invention, is a preserved flower in which cut flowers obtained by cutting a flower to a predetermined size are treated with dehydration bleaching solution and preservation coloring treatment so as not to wither. 10-40% hydrogen peroxide and 5-10% glycerin are mixed with the preservation coloring treatment solution to form dehydration, decolorization and preservation coloring, which are placed in a drier and dried at 30 ° C.-50 ° C. for 3 to 6 hour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851211호는 절화의 형태와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보존처리 방법에 있어서 절화를 탈수/탈색시키기 전, 생화의 형태와 질감을 최적화 상태로 유지시키며 2차 및 3차 공정에서의 원활함을 돕는 알칼리이온, 구연산, 염소류, 증류수, 당분으로 이루어진 보존 용액에 절화를 꽂아주는 물 올리기 방식의 '1차 보존 단계' , 1차 보존 단계에서 보존된 절화를 저급1가 알코올류, 표백제, 아미노산류, 증류수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전시키는 '2차 탈수 탈색 단계' , 2차에서 탈수/탈색된 절화를 폴리올류,증류수,방부제,알코올류,염료액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전시키는 '3차 착색/보존 단계' , 3차에서 착색/보존 용액 처리를 마친 절화를 건조시키는 '4차 건조 단계' 로 각각 이루어진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0851211, in the preservation method for maintaining the shape and texture of cut flowers, prior to dehydration / bleaching cut flowers, maintains the shape and texture of the flowers in an optimized state and in the second and third processes. 'Primary preservation step' of water raising method that inserts cut flowers in a preservation solution consisting of alkali ions, citric acid, chlorine, distilled water, and sugars for smoothness. 'Secondary dehydration and decolorization step', which precipitates in a solution containing bleach, amino acids, and distilled water; Tertiary coloring / preservation step ', and the' fourth drying step 'for drying the cut flowers which have been treated in the third color / preservation solution.

그러나 이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도 외관상 생화와 유사한 모습을 가질 뿐이지 실제로 향을 발산하지 못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preserved flowers are similar to fresh flowers in appearance, and do not actually emit scents and thus do no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또한 단순히 꽃모양을 가진 가공화로서 역할밖에 못해 다양한 응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various applications are difficult because it merely serves as a flower processing proces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458969호는 생화를 약품 처리하여 물이 필요 없는 상태로 보존된 프리저브드 플라워(111)가 일체로 고정된 제1 부재(110); 상기 제1 부재(110)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제2 부재(120); 및 상기 제2 부재(120)가 홈질(running stitch)의 바느질 재봉을 통해 고정되는 의상(130)을 포함하며, 상기 의상(130)은 상기 제2 부재(120)가 홈질의 바느질 재봉을 통해 의상(130)에 복수로 부착 배치되고, 상기 의상(130)에 복수로 부착 배치된 상기 제2 부재(120)에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111)가 일체로 고정된 제1 부재(110)들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의상(130)의 다양한 디자인과 패션 연출이 구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 부재(110)는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111)를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프리저브드 플라워(111)의 수용 배치된 하단 부위가 보호될 수 있도록 커버하는 커버 보호 캡(112)과, 상기 커버 보호 캡(112)의 일단에 고정된 천 부재(113)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탈부착 부재(11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Korean Patent No. 1458969 is the first member 110 is fixed to the preserved flower 111, which is preserved in a state of not needing water by chemical treatment; A second member 120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garment 130 in which the second member 120 is fixed by sewing sewing of a running stitch, and the garment 130 includes the garment of the second member 120 through sewing sewing of a grooved stitch.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110 attached to the 130 and the preserved flower 111 are integrally fixed to the second member 120 disposed to the plurality of clothes 130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clothes 130. It is attached to configure a variety of designs and fashion production of the garment 130, the first member 110 is fixed to the preserved flower 111 integrally, of the preserved flower 111 The cover protection cap 112 to cover the lower end portion accommodated and protected, and the first removable member 114 integrally formed on the cloth member 113 fixed to one end of the cover protection cap 112 It is an inven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configuration.

그러나 단순히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줄기만 제거한 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플라워 특유의 세련된 외관을 전혀 살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mply using the preserved flower is removed without the stem,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preserve the sophisticated appearance peculiar to the flower at al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2018-0074101호는 본 발명의 고휘도 LED 발열에 의한 향기 발산 꽃(1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꽃대(12) 일측 단부에 결합된 꽃받침(11) 상에 다수개의 꽃잎(13)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배치된 LED광원(14)이 구비되고, 상기 LED광원(14)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꽃대(12) 일측으로 부터 전원선에 의해 연결된 전원부(16)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16)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광원(14)의 발열에 의해 향이 발산되도록 LED광원(14) 하부에 구비된 향기 발산부(15)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74101 discloses that the fragrance emanating flower 10 by the high-brightness LED hea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 the calyx 11 coupled to one end of the stalk 12 having a certain length. An LED light source 14 disposed in a form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petals 13 is provided, and a power supply unit 16 connected by a power line from one side of the flower stand 12 to supply power to the LED light source 14 side. Is provided, the fragrance emitting unit 15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D light source 14 so that the fragrance is emit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LED light source 14 for emitting light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6. .

상기 향기 발산부(15)는 판체 형태로 형성되며 판체 중앙 부분에 두개가 관통되어 LED광원(14) 측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결합공(1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15a)의 둘레를 감싸며 일정한 깊이를 갖고 내부에 향 발산체가 수용되는 향체홈(1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향체홈(15b)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 형태로 연장되는 발산홈(15c)이 형성되어 있다.The fragrance diverging unit 1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body, and two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plate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5a) through which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LED light source 14 side, the coupling hole (15a) The fragrance groove 15b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and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fragrance divergent body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diverging groove 15c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fragrance groove 15b is formed.

상기 종래의 향기 발산부(15)는 상기 LED광원(14)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4a)과 밀착되어 LED광원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이를 통해 향 발산체를 가열하여 응고된 상태의 향 발산체가 녹아 발산홈(15c)을 통해 향이 방출되게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꽃으로부터 꽃 향이 방출되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fragrance emitting unit 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frame 14a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ED light source 14 receives heat genera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and solidifies by heating the fragrance emitter through it. The fragrance emitter is melted to emit the fragrance through the diverging groove (15c) is to have the effect that the floral fragrance is released from the flowers through this.

따라서 꽃잎 또는 꽃다발 등에서 꽃과 근접한 형태의 색을 구현하면서도 꽃에서 발산할 수 있는 향을 추가로 발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꽃의 감상과 더불어 꽃으로부터 발산되는 향에 의해 꽃의 정취를 추구할 수 있고 발산되는 향의 종류를 사용자 기호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되는 조건에 다양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발광하는 광원의 색에 따라 향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다양한 발산 소자와 인형과 같은 응용예가 아쉽고 특히 스마트폰에 의한 향기 발산량의 조절과 인조화 사용으로 생화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pursue the mood of the flower by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lower as well as the appreciation of the flower by allowing the flower or petal t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color close to the flower, while additionally emitting a scent that can be emitted from the flower. It is possible to choose various kinds of incense in accordance with user's taste and can cope variously with the conditions used,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the kind of incense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he same application is unfortunat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give a feeling such as fresh flowers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ragrance emitted by the smartphone and using artificial flowers.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가 나는 실제 꽃을 이용해 동물 형태로 만들 수 있으나, 그 지속 기간이 매우 짧고 특정 꽃의 형상에 맞추다 보니 다양한 동물 형태를 만들기 어려우며 표현할 수 있는 색깔도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it can be made into an animal form using a real flower with a scent, but the duration is very short,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 variety of animal forms and match the shape of a particular flower, there is also a limit to the color that can be expressed. .

또한 종래에는 생화를 건조시켜 드라이 플라워를 만들 때, 천연향 또는 인공향, 물 및 글리세린, 알코올, 유화제를 사용하여, 향기를 가진 드라이 플라워(한국공개특허 제2004-0101613호)를 만드는 방법도 제시되었지만 향기가 오래가지 못하고, 감촉과 느낌이 내츄럴하지 못해 실제 생화와 같은 느낌을 주지 못하며,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drying flowers to make a dry flower, using a natural or artificial flavor, water and glycerin, alcohol, emulsifiers, presenting a method for making a dry flower having a fragranc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101613) However, the fragrance did not last long, the texture and feeling is not natural, does not give a feeling like a real flower, there was a problem that is easily broken.

한편 최근 모바일 디지털 디바이스의 발달과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사물 인터넷 이른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Meanwhile,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digital devi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oT 기술이란, 사물끼리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사물끼리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넘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보다 유익한 선택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이터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활이 보다 윤택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IoT technology means that objects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Internet. But beyond simply sending data between objects, it helps users' lives to be more enriched through data that provides users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or helps them to make more informed choices.

이러한, IoT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서 이른바 IFTTT가 될 수 있다. IFTTT란,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미리 설정된 다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습도계가 측정한 실내 습도가 80%가 넘었을 때, 제습기가 가동되는 것이다. 이때, 습도계는 자신의 센서로 측정한 실내 습도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제습기는 제습이라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예처럼, 단순히 2개의 IoT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수의 IoT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IoT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One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be widely used in such an IoT environment may be so-called IFTTT. The IFTTT is to perform the next preset operation when the predetermined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when the indoor humidity measured by the hygrometer exceeds 80%, the dehumidifier is started. In this case, the hygrometer transmits indoor humidity-related data measured by its sensor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dehumidifier receiving the data performs an operation called dehumidification. As in the above example, in addition to simp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wo IoT device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data to and receive data from an IoT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nag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한국등록실용 제0327101호Korean Registered Room # 0327101 한국등록특허 제082969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05690 한국등록특허 제1458969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1458969 한국공개특허 제2015-003446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3446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꽃이 시들기 전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친환경 특수처리 가공하여 제조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응용하는 데 있어, 인형 특히 동물에 응용하여 선명한 색상의 털 모양을 재현할 수 있도록 특정 형태로 절단된 프리저브드 꽃잎으로 외관을 장식한 인형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lication of preserved flowers produced by specially processed eco-friendly processing so that flowers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before withering, it is clear to apply to dolls, especially animal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ll decorated with appearance of preserved petals cut in a specific shape so as to reproduce a hair color of a color.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다양한 색상은 가지고 있지만 향기가 나지 않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는 마이크로 캡슐을 장착하여 실제 꽃처럼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ll manufacturing method that has a long lasting fragrance like a real flower by mounting a microcapsule to solve the disadvantage that the existing preserved flower has a variety of colors but does not smel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lower material is immersed in the primary treatment solution, and then the material is immersed in the secondary treatment solution, which is a mixture of dehydration solution,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cationic dye, and dried. Manufacturing the de flower material; Separating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the fragrance solution into the gypsum and then drying it to a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Bonding the preserved petals around the 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And scissoring the bonded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form.

상기 제1차 처리액은 알코올, 물, 글리세린, 아미노산, 및 양이온 색소의 중량비는 7.4 : 0.5 : 1 : 1 : 0.1이다.The weight ratio of the alcohol, water, glycerin, amino acids, and cationic pigments of the primary treatment liquid is 7.4: 0.5: 1: 1: 1: 0.1.

상기 제2차 처리액은 폴리올류, 증류수, 방부제, 알코올류, 및 염료액의 중량비는 4 : 2 : 1 : 2 : 1이다.The weight ratio of polyols, distilled water, preservatives, alcohols, and dye liquids in the secondary treatment solution is 4: 2: 1: 1: 1.

본 발명은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며,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고,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며,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고,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며,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하여 완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mersed in the first treatment liquid and then immersed in the second treatment liquid made by mixing the dehydrating liquid,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cationic dye, and dried to preserved flower material To prepare, separate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e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fragrance liquid into the plaster and then mad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ried,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face portion,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and adhering the bonded preserved petals to a predetermined shape. Finish by scissoring.

상기 일정 형상의 표면에는 버튼 등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일정 형상의 내부에는 버튼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와, 압력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센서부의 압력 감지 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분산부와, 상기 일정 형상의 외면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향기분산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발산홀을 포함한다.A button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ssure sensor unit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button and the pressure sensor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hape to emit fragrance upon sens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unit. And a scent dispersing unit and a diverging hol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shape to dissipate the scent emitted from the scent dispersing unit to the outside.

상기 향기분산부의 향기 분사는 진동소자를 이용한다.The fragrance injection of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uses a vibration device.

상기 향기분산부는 IFTTT부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스마트폰과 연동되면 일정 관리 앱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 양상에 따라 특정 향을 분사한다.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supports a protocol of the IFTTT unit and sprays a specific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app when linked with the smartphone.

본 발명은 전원선 단부에 LED광원의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향기 분산부 상면과 밀착되게 결합하여 몸통 일정 부분에 LED광원과 향기 분산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전원 공급에 따른 LED광원의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향기 분산부가 가열되어 향이 발산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terminal of the LED light source to the power line en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by placing the LED light source and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 a portion of the body by heat generated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The fragrance dispersion is heated to give off the scent.

본 발명은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꽃 자재에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석고 내부에 마이크로향 캡슐을 포함하는 향기분산부를 삽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준비 단계와, 상기 건조한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 코, 및 입을 부착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mmersing and drying the flower material in the secondary treatment liquid made by mixing the dehydration liquid,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cationic dyes again after immersing the floral material in the primary treatment liquid; Separating the petals from the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inserting a fragrance dispersion unit including a micro-flavored capsule into the gypsum, and then drying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dry shape. Scissoring the bonded petals in a predetermined form; Or attaching eyes, nose, and mouth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It includes; execution step of executing one or more of the steps.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의 제조 단계는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제작단계, 향오일을 미립화하고 표면에 수지를 감싸게 하여 마이크로향 캡슐을 제조하는 마이크로향 캡슐 제조단계, 소량의 경화제를 투여하여 혼합하는 교반단계, 상기 교반단계에서 혼합된 혼합액을 상기 금형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금형에 부어서 원하는 형상의 조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부은 혼합액이 응고되면 상기 금형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micro-flavor capsule is a mold manufacturing step for producing a mold, micro-flavor capsule manufacturing step for producing a micro-flavor capsule by atomizing the fragrance oil and wrap the resin on the surface, agitation step of mixing by administering a small amount of a curing agent, A molding step of pouring the mixed liquid mixed in the stirring step to the mold produced in the mold manufacturing step to form a molded object of a desired shape, and a demolding step of demolding the mold when the mixed liquid poured in the molding step is solidified.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들에 벽재물질을 혼합하고 교반할 경우, 상기 벽재물질은 적정한 마이크로향 캡슐 강도와 일정한 방향지속성을 위하여 분자량이 70,000~9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다.When the wall material is mixed and agitated with the micro-flavored capsules, the wall material consists of polycaprolact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70,000 to 90,000 for proper micro-flavor capsule strength and constant directional persistenc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몸통 등에 털 모양의 프리저브드 플라워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형 또는 소품의 모습이 화려하고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 무쌍하게 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hair-shaped preserved flower is attached to the torso and the like, the figure of the doll or the prop may be changed colorfully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또한 본 발명은 향기가 장식과 가공화를 인형 또는 소품의 표면에 부착한 경우 입체감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어 색다른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three-dimensional product when the scen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oll or accessory decorated and processed shoes can enjoy a different beauty.

또한 본 발명은 가공화를 사용하면 진짜 꽃 특유의 색채, 형태로 장식이 가능하며, 동일한 형태의 것이므로 개성이 풍부한 제품이 만들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corated in the form, color, shape unique to the real flower using the processing, and can be made a product rich in personality because it is the same form.

또한 본 발명은 석고의 향과 캡슐이 장시간 동안 은은한 향기가 지속적으로 발산되게 하므로 그 상품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ragrance and gypsum of the gypsum is continuously emanating a soft fragrance for a long time, thereby increasing its commerciality.

또한 본 발명은 프리저브드 플라워이지만 발생된 향에 의해 생화와 같은 느낌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점 더 현실감 있는 생화로서 감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erved flow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eeling such as flowers by the generated scent so that the user can appreciate it as a more realistic flowers.

또한 본 발명은 좀 더 길거나 넓게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cut)하여 인형을 제조할 수도 있으나 미리 형태에 맞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구하여 일정 형태로 접착만으로도 인형을 완성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인위적으로 깍은 모습 보다 더 자연스러운 모습을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 doll by scissoring the longer or wider preserved petals in a certain form, but can obtain the preserved petals that fit the shape in advance to complete the doll only by adhering to a certain form. The work is convenient and can appeal to consumers more naturally than artificially mowed.

또한 본 발명은 프리저브드 꽃잎의 지속 기간이 매우 길고 다양한 동물 형태를 만들기 쉬우며 표현할 수 있는 색의 한계가 없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long in duration of the preserved petals, easy to make a variety of animal forms, there is no limit of the color that can be expressed,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various expressions.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플라워 장식 또는 플라워 도그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압력 센서와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향기 분사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석고 인형 뼈대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LED광원의 열에 의해 향이 발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에 따른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제품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이다.
1 to 3 is a view showing a flower decoration or a flower do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spraying fragrance using a pressure sensor and a vibr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og gypsum dol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agrance is emitted by the heat of the LED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ll decorated with preserved pet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agrance of which lasts long.
8 to 12 is a photographic view showing a product actu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은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며,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고,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며,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고,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며,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하여 완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mersed in the first treatment liquid and then immersed in the second treatment liquid made by mixing the dehydrating liquid,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cationic dye, and dried to preserved flower material To prepare, separate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e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fragrance liquid into the plaster and then mad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ried,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face portion,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and adhering the bonded preserved petals to a predetermined shape. Finish by scissor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몸통은 석고로만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와이어로 머리와 팔과 몸통, 다리의 기본틀을 구성하고, 와이어의 면에는 찰흙 또는 석고를 부착하여 만들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be made of only gypsum, but in addition to the wire, the main frame of the head, arms, torso and legs may be formed, and the surface of the wire may be made of clay or plaster.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형상(10)의 표면에는 버튼(11) 등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일정 형상(10)의 내부에는 버튼(11)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와(12), 압력 센서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센서부(12)의 압력 감지 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분산부(13)와, 상기 몸통의 외면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향기분산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발산홀(미도시)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A, a button 11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shape 10, and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a pressure of the button 11 inside the predetermined shape 10. Is connected to the unit 12, the pressure sensor unit 12 and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3 for emitting a scent when sens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unit 12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diverging hole (not shown) which radiates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to the outside.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분산부(13)의 향기 분사는 진동소자(14)를 이용할 수도 있다. 향기 분산을 위한 캔들의 심지나 오일 디퓨저의 막대 리드와 달리 진동소자(14)는 방향 차단부터 농도 조절까지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방향 차단부터 농도 조절을 진동소자(14)의 기울어진 각도와 진동 주파수에 따라 달라진다.As shown in FIG. 4B, the fragrance injection of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3 may use a vibrating element 14. Unlike the wick of the candle for the fragrance dispersion or the rod lead of the oil diffuser, the vibrating element 14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direction from concentration to concentration control. From this direction blocking, the concentration control depends on the inclination angle and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element 14.

왜냐하면 진동소자(14)의 진동 수위에 따라 향기분산부(13) 내의 향기 오일의 기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vaporization of the fragrance oil in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3 varies depending on the vibration level of the vibrating element 1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분산부(33)는 IFTTT부(If This, Then That module; 32)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스마트폰과 연동되면 일정 관리 앱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 양상에 따라 특정 향을 분사하도록 하는 조건을 명령할 수 있다.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protocol of the IFTTT unit (If This, Then That module; 32), and when linked with a smartphone, the specific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through a schedule management app. Can be commanded to condition the injection.

또는 상술한 압력 센서부(12)의 압력 정도 또는 버튼(11)의 누르는 시간차 또는 진동소자(14)에 공급되는 전력 세기에 따라 특정 향을 일정 농도로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pecific fragrance may be injected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degree of the pressure sensor unit 12 o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ing of the button 11 or the power intensity supplied to the vibrating element 14.

또는 상기 IFTTT부(32)를 통해 조건을 일정 시간에 향기가 나는 것으로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내부의 향이 발산하도록 하는 알람시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IFTTT unit 32 may provide an alarm clock function that allows the fragrance of the interior to eman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dition is scented at a predetermined time.

예를 들어 아침에 일어 날 때는 취향에 따라 빵굽는 향을 발산할 수 있고, 저녁에는 피로를 풀 수 있게 하는 아로마 향을 발산할 수 있게 한다.For example, when you wake up in the morning, depending on your taste, the bakery can give off the scent, and in the evening it can give off an aromatic scent that can help you relax.

상술한 각종 향은 따로 향기분산부(33)에 장착될 수 있다.The various scents described above may be separately mounted to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3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선 단부에 LED광원(21)의 단자를 연결하고 향기 분산부(22) 상면과 밀착되게 결합하여 몸통 일정 부분에 LED광원과 향기 분산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전원 공급에 따른 LED광원(21)의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향기 분산부(22)가 가열되어 향이 발산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terminals of the LED light source 21 to the power line en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22 so that the LED light source and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are positioned at a certain portion of the body.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22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light source 21 according to the supply so that the fragrance is emitted.

이와 같이 LED광원(21)의 열에 의해 향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향기 분산부(22)에 배치되는 향발산체를 꽃의 형태에 맞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프리저브드 플라워이지만 발생된 향에 의해 생화와 같은 느낌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점 더 현실감 있는 생화로서 감상할 수 있다.As the fragrance is emitted by the heat of the LED light source 21 as described above, the fragrance emitter disposed on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22 can be install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w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o that the user can appreciate it as a realistic picture.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인형이 다른 하나의 인형과 거리가 변경되거나 또는 시간 차에 의해 외부 터치 반응이 생길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인형에 푸들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여 제1인형과 제2인형과 제3인형들이 서로 상호 반응하도록 느끼는 형태를 향기의 발산 속도 등으로 표현 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referring to FIG. 10, when one doll is changed in distance from another doll or an external touch reaction occurs due to a time difference, for example, the sound of a poodle may be heard in one doll. By outputting, it is possible to express a form in which the first doll, the second doll, and the third doll reac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by the rate of emission of the fragrance.

구체적으로 상기 IFTTT부(32) 또는 상기 일정 형상(10)에 포함되는 제어부는 상기 제1인형, 제2인형에 설치되는 무선센서부와 무선으로 교신하고 무선센서부에서 송출하는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대 무선센서부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일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일정 종류에 해당하는 향기를 향기분산부가 발산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FTTT unit 32 or the predetermined shape 10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wireless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first doll and the second doll,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ensor unit. When the sensor detects the distance from the other wireless sensor unit and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or less, it controls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to emit a fragrance corresponding to a certain kin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향기분산부(33)를 덮는 커버에는 향오일이 원활히 발산되도록 그 표면에 액 발산 구멍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covering the fragrance dispersing portion 33 is formed with a liquid divergence hole on the surface so that the fragrance oil is smoothly divergent.

또한, 상기 향기분산부(33)에 포함되는 팩 수용 주머니에 내재된 향오일을 보충하기가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에는 체결수단에 의한 탈부착식 액 주입구 커버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liquid inlet cover by a fastening means so as to easily replenish the fragrance oil contained in the pack receiving bag included in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33.

상기 향오일(향기액)을 담는 팩은 몸통(10)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팩은 스폰지재와 이를 감싸는 비닐 종류나 연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일면에는 액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pack containing the fragrance oil (fragrance liqui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dy (10), the pack may be made of a sponge material and a vinyl type or soft rubber material surrounding it, the liquid injection hol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또한 그 주변으로는 향오일 발산을 위한 미세홀이 다수 형성되나 그 크기와 형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 holes for the fragrance oil is formed around the periphery, but the size and shap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팩 내부 공간은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쿠션재질로 알맞게 채우고, 향오일은 필요 시 마다 커버의 액 주입구를 열고 주입하여 사용한다. 향오일은 굵은 주사기나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주입할 수도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pack is appropriately filled with a porous cushion material such as a sponge, and the fragrance oil is used by opening and injecting the liquid inlet of the cover whenever necessary. Scented oil can also be injected with a thick syringe or watering can.

상기 팩의 모서리부나 끝 부분은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비닐 테이프나 본드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dge or end of the pack is preferably sealed using vinyl tape or bond so that the contents do not spill.

향오일의 원활한 발산을 위한 미세홀은 팩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크거나 작은 구멍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Microholes for smooth divergence of the fragrance oil may be formed as large or small hol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ack.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향오일을 담는 팩은 액을 흡수 저장할 수 있는 스폰지재와 같은 다공성 쿠션소재와 그 표면에 코팅되고 미세 홀이 형성되는 비닐 또는 고무 박막층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ack containing the fragrance oi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orous cushion material, such as a sponge material that can absorb and store the liquid and a vinyl or rubber thin film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fine holes are formed.

또한, 상기 향오일 팩의 일면에는 액 주입구가 별도로 마련된다.In addition, a liquid injection hole is separate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ragrance oil pack.

상기 팩의 향오일 주입구는 노출이 안 되도록 액 주입구 커버로 가리되, 그 일측에 양면 테이프, 벨크로, 절단용 실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벨크로를 열거나 실을 빼서 오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향기 발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fragrance oil inlet of the pack is covered by a liquid inlet cover so as not to be exposed, and on one side thereof, a conventional fastening means such as double-sided tape, velcro, cutting thread can be selectively used to open or remove the velcro. By framing, fragrance dissipation can be facilitated.

이 때 약간의 향오일이 발산하게끔 팩의 미세홀은 적당한 크기로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micro hole of the pack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a slight fragrance oil is emitted.

따라서 향오일 팩의 양면 테이프, 벨크로, 절단용 실을 잡아 당겨 노출되면 향오일이 적당량 발산하게 되며 평상시에는 전혀 발산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if you pull the double-sided tape, Velcro, cutting thread of the fragrance oil pack, the fragrance oil is emitted in an appropriate amount and is not normally released at all.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기분산부(33)에 포함되는 향 캡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lavor capsule contained in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33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향오일과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화시킨 다음, 멜라민 초기 축합물, 젤라틴, 우레탄, 에폭시 중 선택된 외벽형성 물질을 가하고 교반하여 향오일의 외부에 캡슐외벽을 형성시켜 마이크로향 캡슐을 제조한다.Emulsified by mixing, stirring and emulsifying water with fragrance oil, and then adding the outer wall forming material selected from melamine initial condensate, gelatin, urethane and epoxy and stirring to form capsule outer wall on the outside of the fragrance oil To prepare.

마이크로향 캡슐은 합성수지로 된 피막 내부에 오일향료가 내재된 것으로 수 마이크로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막은 이중피막의 구조를 갖는데, 이중피막으로 된 경우에는 마이크로향 캡슐이 단단해져 향이 발산되지 않게 된다.Micro-flavor capsules have an oil flavor inherent in a synthetic resin film and have a size of several micros. Preferably, the coating has a structure of a double coating, in the case of a double coating, the micro-flavor capsule is hardened so that the fragrance is not emitted.

따라서 마이크로향 캡슐을 포함하는 몸통 내부나 주변에서 열(LED 광원)이나 진동이 전해질 경우 향기분산부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도록 해야 한다.Therefore, when heat (LED light source) or vibration is transmitted in or around the body including the micro-flavored capsule, the fragrance must be emitted from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이러한 마이크로향 캡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오일향료 50~55중량부에 물 40~50중량부로 혼합하고, 이에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을 약 4~5 중량부 혼합하여 대략 50℃에서 100,000rpm 정도로 교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일향료가 폴리비닐알코올에 의해 캡슐화된다. 이어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추가로 혼합하고 교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아미노플라스트 수지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피막을 감싸면서 이중피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마이크로향 캡슐은 평균입경이 대략 3~ 4㎛인 것이 바람직하다.Such micro-flavor capsules ar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50 to 55 parts by weight of oil flavor is mixed with 40 to 5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about 4 to 5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polyvinylalcohol; PVA) is mixed and stirred at about 50 ° C. at about 100,000 rpm. In this way, the oil flavor is encapsulated with polyvinyl alcohol. The aminoplast resin is then further mixed and stirred. In this manner, a double film is formed while the aminoplast resin surrounds the polyvinyl alcohol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micro-flavor capsul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3 to 4 μm.

마이크로향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는 향오일을 미세하게 마이크로화로 분해하고 이를 캡슐로 코팅처리 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은 부벽재로 구분하여 미세하게 분해된 향오일을 1차로 감싸는 것을 말하며, 상기 부벽재로 1차 감싼 향오일을 2차로 감싼다. The step of preparing a micro-flavored capsule is to break down the fragrance oil into micron and to coat it with the capsule. The micro-flavored capsule refers to wrapping the fragrance oil finely decomposed into the primary wall material first, and the primary oil wrapped in the secondary wall material secondar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벽재를 사용하여 미세하게 분해된 향오일을 감싸는 것을 제1차캡슐성형단계라 하고, 상기 제1차캡슐 성형단계에서 1차 코팅된 향오일을 상기 부벽재를 이용하여 2차 코팅하는 것을 제2차캡슐성형단계라고 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grance oil, which is finely decomposed using the subwall material, is called a first capsule molding step, and the fragrance oil first coated in the first capsule molding step using the subwall material. The secondary coating is called the secondary capsule molding step.

향오일을 코팅처리하기 전에 향오일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마이크로화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미립화단계는 향기를 발산하는 향오일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기에 투입하고, 고속으로 교반기에서 교반시키면 향오일의 크기는 4~5/1000mm 정도로 미립화 된다.Before the fragrance oil is coated, the fragrance oil should be finely pulverized and micronized. This atomization step mixes the fragrance-releasing fragrance oil and water in a weight ratio of 1: 1 and inputs it into the stirrer, and stirs the stirrer at high speed When the size of the fragrance oil is 4 ~ 5 / 1000mm atomized.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은 푸들, 소파, 유모차, 고양이 등의 형태를 가진 인형 제조에 사용된다.As shown in Fig. 7 to 12,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oll decorated with preserved pet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a long internal fragrance is used for manufacturing a doll having a shape of a poodle, a sofa, a baby carriage, a cat, and the like.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mmersing a floral material in a first treatment liquid, the material is immersed in a second treatment liquid formed by mixing a dehydration liquid,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a cationic dye. Manufacturing a reserved flower material; Separating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the fragrance solution into the gypsum and then drying it to a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Bonding the preserved petals around the 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And scissoring the bonded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form.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꽃 자재에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석고 내부에 마이크로향 캡슐을 포함하는 향기분산부를 삽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준비 단계와,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merse and dry the flower material in the secondary treatment solution made by mixing the dehydration solution,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cationic dyes again after immersing the flower material in the primary treatment solution step; Separating the petals from the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inserting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cluding the micro-flavor capsule into the gypsum, and then drying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to a predetermined shape;

상기 건조한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 코, 및 입을 부착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한다.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dry shape; Scissoring the bonded petals in a predetermined form; Or attaching eyes, nose, and mouth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It includes; execution step of executing one or more of the steps.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먼저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한다(S101).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lower material is immersed in the first treatment liquid, and then the flower material is immersed in the second treatment liquid formed by mixing the dehydration solution with water, oil water, nutrients, and a cationic dye. (S101).

그리고 상기 꽃 자재에서 꽃잎을 분리한다(S102).And petals are separated from the flower material (S102).

계속하여 석고 내부에 마이크로향 캡슐을 포함하는 향기분산부를 삽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한다(S103, S104).Subsequently, after inserting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cluding the micro-flavor capsule into the gypsum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ried (S103, S104).

또한 얼굴 형상에 눈, 코를 부착하여 마무리한다(S105).In addition, eyes and nose are attached to the face shape to finish (S105).

또한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한다(S106).In addition, the petals are bon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S106).

마지막으로 상기 접착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한다(S107).Finally, the glued petals are scissored to a predetermined shape (S107).

또한 상기 제1차 처리액은 알코올, 물, 글리세린, 아미노산, 양이온 색소의 중량비는 7.4 : 0.5 : 1 : 1 : 0.1이다.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alcohol, water, glycerin, amino acid, and cationic pigment in the primary treatment liquid is 7.4: 0.5: 1: 1: 1: 0.1.

상기 제2차 처리액은 폴리올류, 증류수, 방부제, 알코올류, 염료액의 중량비는 4 : 2 : 1 : 2 : 1이다.The weight ratio of polyols, distilled water, preservatives, alcohols, and dye liquids in the secondary treatment solution is 4: 2: 1: 1: 1.

상기 제1차 처리액 중 알코올을 이용한 탈수처리효과는 6∼36시간 처리시 모두 탈수는 가능하여 보존액 처리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12시간이내 탈수처리의 경우는 화색의 탈색이 덜 이루어졌고 24∼36시간처리에서는 화색의 탈색이 완전히 이루어져 경제적인 탈수처리시간은 24시간이 적정시간이다.The dehydration effect using alcohol in the primary treatment solution is possible to dehydrate all 6 ~ 36 hours treatmen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preservation solution treatment, but less than 12 hours of dehydration treatment of the color of the decolorization was less than 24 ~ 36 In the time treatment, the decolorization of the color is completely completed, so the economical dehydration time is 24 hours.

또한 글리세린을 이용한 보존용액의 적정처리 농도와 처리시간에 대한 실험결과 12시간이 최적시간으로 나타났다. In addition, 12 hours was the optimal time for the optimal treatment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of glycerin preservation solu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강아지의 경우, 카네이션의 프리저브드 꽃잎의 중심부를 떼어내고, 암술과 수술을 나누어 일정 크기 순으로 정리한다(파트1, 파트2-> 파트3).As shown in FIG. 8, in the case of a pupp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preserved petals of the carnation is removed, and the pistil and the surgery are divided and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ize order (part 1, part 2-> part). 3).

상기 일정 크기 순으로 정리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몸통에 붙이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눈과 코를 먼저 붙이고 얼굴의 위쪽 가장자리를 접착함과 동시에 인접 프리저브드 꽃잎끼리 중합(오버랩)시켜 접착하여 1 단째의 프리저브드 꽃잎들을 몸통에 접착한다.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f attaching the preserved petal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ize order to the body, but for example, attaching the eyes and nose first and then bonding the upper edges of the face and polymerizing adjacent preserved petals (overlap) ) And adhere the first stage petals to the body.

이 때 상기 1 단째의 프리저브드 꽃잎 군에 크기가 동일하게 다른 프리저브드 꽃잎을 마련하여 배치하고 접착한 후 2 단째의 또 다른 크기의 프리저브드 꽃잎군을 준비하여 몸통에 접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pared preserved petals having the same size and arranged in the first stage of the preserved petal group can be adhered to the body after preparing and arranging the preserved petal groups of another size in the second stage. .

그 다음으로 3 단째의 프리저브드 꽃잎군은 2 단째의 프리저브드 꽃잎 군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위치시켜 원하는 여러 장의 프리저브드 꽃잎을 준비하고 분할하여 접착하는 것을 반복하여 도 9와 같은 완성품을 만든다.Next, the third stage of the preserved petal group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tage of the preserved petal group, and repeatedly prepares, divides and bonds several desired petals as shown in FIG. 9. Make a finished product.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강아지 이외의 다른 동물들도 특징이 되는 위치의 상방부 또는 하방부 측에 몸통틀에 일주회시켜 복수개의 프리저브드 꽃잎을 삼단 접착하면서 특정 동물의 특징을 이루는 외부 털을 프리저브드 꽃잎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유사하게 완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0 to 12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tages of the plurality of preserved petals by circumferentially round the body frame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position that is characterized by other animals than the dog While bonding, the outer hairs that characterize a particular animal can be similarly completed by successively arranging preserved petals.

이 때 몸통부에 원하는 복수의 색으로 복수개의 일정 크기 이상의 꽃 또는 일정 크기 이하의 프리저브드 꽃잎을 준비하고 복수의 색으로 복수의 단을 이뤄 접착한다. 이 때 특정 동물의 몸통의 어깨 부분에 접착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flower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or a preserved peta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are prepared in a plurality of colors desired in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lors are formed by gluing a plurality of stages. At this time, it may be attached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torso of a particular animal.

또한 다른 특정 동물도 프리저브드 꽃잎을 원하는 형태로 어레인지(arrange)하여 몸통에 접착하여 장착할 수 있다.Other particular animals can also arrange preserved petals in the desired shape and adhere them to the body.

한편, 본 발명은 우수한 방향지속성을 위해 마이크로향 캡슐로 제조하는 데 그 방법으로, 원하는 형상의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제작단계, 향오일을 미립화하고 표면에 수지(樹脂)를 감싸게 하여 마이크로향 캡슐을 제조하는 마이크로향 캡슐 제조단계, 소량의 경화제를 투여하여 혼합하는 교반단계, 상기 교반단계에서 혼합된 혼합액을 상기 금형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금형에 부어서 원하는 형상의 조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부은 혼합액이 응고되면 상기 금형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micro-flavor capsule for excellent direction persistence, in the method, a mold manufacturing step for producing a mold of the desired shape, micronized the fragrance oil and wrap the resin on the surface of the micro-flavor capsule Manufacturing micro-flavored capsule manufacturing step, agitation step of mixing by administering a small amount of curing agent, a molding step of forming a molded object of a desired shape by pouring the mixed solution mixed in the stirring step to the mold produced in the mold manufacturing step, the molding step When the mixed solution poured in coagulate comprises demolding step of demolding the mold.

그리고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화시킨 다음, 멜라민 초기 축합물, 젤라틴, 우레탄, 에폭시 중 선택된 외벽형성 물질을 가하고 교반하여 기능성 물질의 외부에 마이크로향 캡슐 외벽을 형성한다.Then, the water to which the surfactant is added is mixed, emulsified by stirring, and then, the outer wall forming material selected from melamine initial condensate, gelatin, urethane, and epoxy is added and stirred to form a micro-flavored capsule outer wall on the out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들에 벽재물질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우수한 방향지속성을 갖는 마이크로향 캡슐을 성형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flavor capsules may be formed by mixing and stirring the wall material in the micro-flavor capsules.

상기 벽재물질은 적정한 마이크로향 캡슐 강도와 우수한 방향지속성을 위하여 분자량이 70,000~90,000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벽재물질은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1.5~2.0 중량%로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벽재물질을 1.5 중량% 미만으로 용해시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향 캡슐의 벽이 얇아 적정한 캡슐 강도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 초과로 용해시켜 사용할 경우 벽재물질의 점도가 높아 캡슐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The wall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polycaprolact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70,000 to 90,000 for proper micro-flavor capsule strength and excellent fragrance sustainability. Further, the wall material is preferably used by dissolving 1.5 to 2.0% by weight in dichloromethane. When dissolving the wall material to less than 1.5% by weight, the wall of the micro-flavored capsule is thin so that an adequate capsule strength cannot be obtained, and when the wall material is dissolved to more than 2.0% by weight, the wall material has a high viscosity, so that the capsule is not smoothly formed. there is a problem.

또한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의 외부를 둘러싸는 벽재물질은 황토, 옥, 맥반석, 토르마린(전기석),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 일라이트, 운모류, 목화석, 거정석(페그마타이트), 근청석, 천기석(흑주석), 그리고 숯과 같은 천연물 분말이나 합성 원적외선 복사체 분말과 곤교린(소성굴패각 분말로부터 얻은 탄산칼슘), 나노 은, 나노 동, 은 또는 동 함유 이산화티타늄 등과 같은 항균성 세라믹스 분말을 단독으로 혹은 두 종류 이상을 배합기에서 서로 잘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배합한다.In addition, the wall materia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icro-flavored capsule is ocher, jade, elvan, tourmaline (tourmaline), silicon oxide, aluminum oxide, bentonite, illite, mica, cotton fossil, macrorite (pegmatite), cordierite, and celestial stone ( Black tin) and antimicrobial ceramic powders such as charcoal or natural far-infrared radiant powder and gonkyorin (calcium carbonate from calcined shell shell powder), nano silver, nano copper, silver or titanium dioxide containing copper More than one kind is mixed well with each other in the blender, and water is added to mix well.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현탁 매질 중 분산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플라스트(aminoplast) 코어-쉘 마이크로향 캡슐을 포함하는 캡슐화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capsulated flavor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aminoplast core-shell microflavored capsules dispersed in a suspension medium can be provided.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은 쉘 내에 캡슐화된 향료-함유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가교-결합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아미노플라스트 수지; 경화 촉매; 평균 분자량이 300 초과인 제1 폴리올; 평균 분자량이 300 이하인 제2 폴리올)를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중 75 내지 100 중량%가 5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 및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의 중합 안정화제를 포함한다.The micro-flavored capsule comprises a perfume-containing core encapsulated in a shell, the shell comprising a cross-linked aminoplast resin (aminoplast resin; curing catalyst; first polyol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greater than 300; average molecular weight Second polyol of 300 or less), wherein 75 to 100% by weight of the aminoplast resin is 50 to 90% by weight, preferably 60 to 85% by weight of ethylene propylene and 10 to 50% by weight, preferably 10 To 25% by weight of polymerization stabilizer.

상기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폴리비닐알코올, 톨루엔 및 자일렌(각 10:45:45 중량%)의 혼합 용매로 용해시키고, 여기에 분말 상태의 라벤더향의 마이크로향 캡슐 향료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얻어진 혼합물로 종이의 표면에 브러시로 칠하여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건조시켰다.The aminoplast resin was dissolved in a mixed solvent of polyvinyl alcohol, toluene, and xylene (10:45:45 wt% each), and mixed with a powdered lavender-flavored micro-flavored capsule fragrance. . The resulting mixture was brushed on the surface of the paper to form a thin film and dried.

10 : 몸통(내부), 일정 형상
11 : 버튼
12 : 압력 센서부
13, 22, 33 : 향기분산부
14 : 진동소자
21 : LED광원
32 : IFTTT부
10: body (inside), constant shape
11: button
12: pressure sensor
13, 22, 33: fragrance dispersion unit
14: vibrating element
21: LED light source
32: IFTTT part

Claims (11)

알코올, 물, 글리세린, 아미노산, 및 양이온 색소의 중량비는 7.4 : 0.5 : 1 : 1 : 0.1인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
The weight ratio of alcohol, water, glycerin, amino acids, and cationic pigments is immersed in the primary treatment solution of 7.4: 0.5: 1: 1: 0.1, and then dehydrated, water, oil, nutrients and cationic dyes. Immersing and drying the flower material in a secondary treatment liquid formed by mixing to prepare a preserved flower material;
Separating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Injecting the fragrance solution into the gypsum and then drying it to a predetermined shape;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Bonding the preserved petals around the 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Scissing the bonded pre-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form; decorating using a pre-preserved petals including a doll manufacturing method that lasts a long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알코올, 물, 글리세린, 아미노산, 및 양이온 색소의 중량비는 7.4 : 0.5 : 1 : 1 : 0.1인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여 프리저브드 꽃 자재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저브드 꽃 자재에서 프리저브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사이즈를 갖는 파트로 분리하며, 석고 내부에 향기액를 주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고,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과 코를 부착하며, 상기 얼굴 부분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고, 상기 일정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며,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The weight ratio of alcohol, water, glycerin, amino acids, and cationic pigments is immersed in the primary treatment solution of 7.4: 0.5: 1: 1: 0.1, and then dehydrated, water, oil, nutrients and cationic dyes. Immerse and dry the flower material in the secondary treatment liquid formed by mixing to prepare a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e the preserved petals from the preserved flower material and separate them into par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and plaster After injecting the fragrance liquid into the insid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dried, attaching eyes and nose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adheres the preserved petals around the 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shape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decorating using the preserved petals, wherein the bonded preserved petals are scissored in a predetermined form. The doll with a long lasting scent in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형상(10)의 표면에는 버튼(11) 등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일정 형상(10)의 내부에는 버튼(11)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와(12), 압력 센서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센서부(12)의 압력 감지 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분산부(13)와, 상기 일정 형상(10)의 외면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향기분산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발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button 11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shape 10, and a pressure sensor part 12 for sensing a pressure of the button 11 and a pressure sensor part inside the predetermined shape 10.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3 and dissipates fragrance upon sens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unit 12,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shape (10) is emitted from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A doll that is decorated using preserved petal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diverging hole that emits fragrance to the outside, and the fragrance of the interior lasts lo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분산부(13)의 향기 분사는 진동소자(14)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The method of claim 5,
The fragrance spraying of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3 is decorated with preserved petals,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vibrating element (14) and the fragrance of the interior lasts a long ti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분산부(13)는 IFTTT부(32)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스마트폰과 연동되면 일정 관리 앱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 양상에 따라 특정 향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The method of claim 5,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3 supports the protocol of the IFTTT unit 32, and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phone using the preserved petals, characterized in that to spray a specific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app Decorate your doll with a long lasting fragrance.
제5항에 있어서,
전원선 단부에 LED광원(21)의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향기 분산부의 상면과 밀착되게 결합하여 몸통 일정 부분에 LED광원과 향기 분산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전원 공급에 따른 LED광원(21)의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향기 분산부가 가열되어 향이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향이 오래가는 인형.
The method of claim 5,
By connecting the terminals of the LED light source 21 to the power line en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by placing the LED light source and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 a portion of the body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light source 21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The doll is decorated with preserved pet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grance dispersion is heated by the generated heat, and the fragrance is emitted.
알코올, 물, 글리세린, 아미노산, 및 양이온 색소의 중량비는 7.4 : 0.5 : 1 : 1 : 0.1인 제1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시킨 후 다시 탈수 액과 물과 기름 물과 영양분과 양이온 염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2차 처리액에 꽃 자재를 침지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꽃 자재에서 꽃잎을 분리하고 복수개의 파트로 분리하는 단계; 및
석고 내부에 마이크로향 캡슐을 포함하는 향기분산부를 삽입한 후 일정 형상으로 만든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준비 단계와,
상기 건조한 형상 주위에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방향으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프리저브드 꽃잎을 일정 형태로 가위질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일정 형상의 얼굴 부분에 눈, 코, 및 입을 부착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마이크로 캡슐로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
The weight ratio of alcohol, water, glycerin, amino acids, and cationic pigments is immersed in the primary treatment solution of 7.4: 0.5: 1: 1: 0.1, and then dehydrated, water, oil, nutrients and cationic dyes. Dipping and drying the flower material in the secondary treatment liquid formed by mixing;
Separating the petals from the flower material and separating them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nd inserting the fragrance dispersion unit including the micro-flavor capsule into the gypsum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rying it;
Adhering the preserved pet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dry shape;
Scissoring the bonded petals in a predetermined form; or
Attaching eyes, nose, and mouth to the f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Execution step of executing one or more steps of the decoration method using the prepared petals including; and a fragrance for a long time in the microcapsule insid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향 캡슐들에 벽재물질을 혼합하고 교반할 경우, 상기 벽재물질은 적정한 마이크로향 캡슐 강도와 일정한 방향지속성을 위하여 분자량이 70,000~9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브드 꽃잎을 이용하여 장식하고 내부의 마이크로 캡슐로 향이 오래가는 인형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wall material is mixed and agitated with the micro-flavored capsules, the wall material comprises preserved petals comprising polycaprolact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70,000 to 90,000 for proper micro-flavor capsule strength and constant directional persistence. How to make a doll that decorates and lasts a long time with the micro capsule inside.
KR1020180085996A 2018-07-24 2018-07-24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KR102049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96A KR102049566B1 (en) 2018-07-24 2018-07-24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96A KR102049566B1 (en) 2018-07-24 2018-07-24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66B1 true KR102049566B1 (en) 2019-11-27

Family

ID=6872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96A KR102049566B1 (en) 2018-07-24 2018-07-24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66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01B1 (en) 1999-08-11 2002-03-18 김주환 An automatic teaching method in marking inspection process of a semiconductor packages
KR20060062871A (en) * 2004-12-06 2006-06-12 양원동 Nano silver and contain perfume a doll
KR100829690B1 (en) 2007-01-29 2008-05-28 김태엽 Method of making a solvent and process to preserve flowers such as real flower for a long time
KR100851211B1 (en) * 2007-03-16 2008-08-07 김태엽 The method and process to keep shape and quality of natural flower for a long time
JP2010168291A (en) * 2009-01-20 2010-08-05 Harue Sudo Method for producing preserved flower
KR101458969B1 (en) 2013-03-15 2014-11-05 심아름 Clothing using preserved flower
KR20150034461A (en) 2013-09-26 2015-04-03 최경숙 a Picture frame of preserved flower
JP2017108764A (en) * 2015-12-14 2017-06-22 榎本 弓利子 Preserved flower dol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01B1 (en) 1999-08-11 2002-03-18 김주환 An automatic teaching method in marking inspection process of a semiconductor packages
KR20060062871A (en) * 2004-12-06 2006-06-12 양원동 Nano silver and contain perfume a doll
KR100829690B1 (en) 2007-01-29 2008-05-28 김태엽 Method of making a solvent and process to preserve flowers such as real flower for a long time
KR100851211B1 (en) * 2007-03-16 2008-08-07 김태엽 The method and process to keep shape and quality of natural flower for a long time
JP2010168291A (en) * 2009-01-20 2010-08-05 Harue Sudo Method for producing preserved flower
KR101458969B1 (en) 2013-03-15 2014-11-05 심아름 Clothing using preserved flower
KR20150034461A (en) 2013-09-26 2015-04-03 최경숙 a Picture frame of preserved flower
JP2017108764A (en) * 2015-12-14 2017-06-22 榎本 弓利子 Preserved flower do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098B2 (en) Scent devices and methods
US6391398B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JPH08209422A (en) Artificial flower
KR102049566B1 (en) A method and product of making dolls that are decorated with preserved flower and long-lived flavor with micro capsules
US6800015B1 (en) Scented waxed plush toys
EP148396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carian and device for use in the same
US6566416B2 (en) Fragrant thermoplastic snow and method of manufacture
ITMI20010162A1 (en) LIGHT AND HANDLABLE SOLID COSMETIC PRODUCT
KR20220000166A (en) Fragrant flower bowl air freshener
KR200238695Y1 (en) Artificial flower set for emitting fragrance
KR102535057B1 (en) Prefabricated aromatic doll and aromatic receptac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11213A (en) Doll and method for making animal-shaped dolls comprising preserved flower petals
KR200165097Y1 (en) An imitation flower for smell of flower
JPH1136121A (en) Wet type flavoring agent
KR200339582Y1 (en) An interior decoration
JP2008063710A (en) Artificial flower and decorating method having perfume emitting mechanism on mounting device and decoration goods
WO2005063067A1 (en) Artificial plant
CN209409687U (en) A kind of champignon ornament
JP2000175997A (en) Artificial foliage plant
JP2018150647A (en) Preserved flower arrangement
KR200212040Y1 (en) Imitation flower which color and shape are changeable
JP3051024U (en) Decorative materials used for decorative moldings
JP3059412U (en) Aromatic figurines
JPH042976Y2 (en)
JP2009072561A (en) Vaporizing body and vaporizer equipp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