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074B1 -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 Google Patents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074B1
KR102049074B1 KR1020170049319A KR20170049319A KR102049074B1 KR 102049074 B1 KR102049074 B1 KR 102049074B1 KR 1020170049319 A KR1020170049319 A KR 1020170049319A KR 20170049319 A KR20170049319 A KR 20170049319A KR 102049074 B1 KR102049074 B1 KR 10204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ots
wire
orthodontic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6686A (en
Inventor
정중희
신기룡
Original Assignee
정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희 filed Critical 정중희
Priority to KR102017004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74B1/en
Publication of KR2018011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슬롯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을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브라켓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므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that is attached to the tooth to fix the orthodontic wire,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the body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teeth,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wire is bou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t is characterized by.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the bracket,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o that various orthodontic forces can be applied.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브라켓{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Orthodontic Brackets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nd an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orthodontic bracket that can apply a variety of orthodontic force and an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교정 치료가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교정 전에 수행하는 진단, 치료 계획 등이 중요하지만, 이와 더불어 브라켓의 정확한 부착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의사들은 치아를 복제하여 기공소에 의뢰해 치아 모델을 만들고, 치아 모델을 통해 브라켓을 부착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브라켓을 부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In general, in order to ensure correct orthodontic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before the correction, but in addition, the correct attachment of the bracket is also very important. Therefore, doctors make a tooth model by duplicating a tooth and requesting a laboratory, and it is expensive and time-consuming to attach the bracket by determin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bracket through the tooth model.

또한, 종래의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가 관통하는 구멍이 하나만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한정되었고, 평균적인 치아를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양한 치아에 부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의사가 브라켓을 한 번에 완벽하게 부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브라켓을 재부착하거나 와이어를 무리하게 변형시켜야 할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어 의사와 교정 환자 모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racket, since only one hole through which the orthodontic wire penetrates is formed, the position where the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is limited, and since it is uniformly manufactured based on the average tooth, most people are not suitable for various teeth. to be. In addition, since it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for a doctor to completely attach the bracket at one time, it is very frequently required to reattach the bracket or to excessively deform the wir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cost are required in this process, causing inconvenience to both doctors and orthodontic pati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694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1694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작으면서도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으로써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orthodontics using the sam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orthodontic forces by being able to variously deform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while being small in size. Its purpose is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슬롯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을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racket attached to the teeth to fix the orthodontic wire,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the inner sid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A body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teeth,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wire is bou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브라켓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므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is formed in the bracket,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hus, various correction forces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몸체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이때, 상기 몸체부에서 하층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슬롯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disposed in the lower layer in the body portion is preferably loca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몸체부에서 상층에 배치된 제2 슬롯은 상기 복수의 제1 슬롯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lot disposed in the upper layer i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여기서,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복수의 제1 슬롯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slot is prefer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또한, 상기 제2 슬롯은 복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lot may be plural.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슬롯은 상기 몸체부의 치아 접촉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may be recessed in the tooth contac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 또는 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both sides or one side from the body portion.

한편,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는 투명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강, 세라믹(지르코니아 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any one material of transparent plastic, stainless steel, ceramic (zirconia, etc.).

한편, 상기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고정부를 치아에 고정하는 단계;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복수의 슬롯의 일측 끝단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를 몸체부의 내측 공간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복수의 슬롯의 타측 끝단 중 어느 하나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orthodontics using the bracket, comprising the steps of: fixing the fixing portion to the teeth; Inserting an orthodontic wire into any one end of a plurality of slots; Passing the wire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drawing out the wire to any one of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lots,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varies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wire is bou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브라켓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므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the bracket is formed,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hus, various correction forces can be applied.

또한, 복수의 슬롯은 몸체부의 내측 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결속 위치가 간단하게 조절 가능하여 의사들이 더 신속하게 교정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환자들에게도 교정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lot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can be easily adjusted, allowing doctors to perform orthodontic treatment more quickly, and the time and cost of orthodontic treatment for patients Can be reduced.

또한, 브라켓이 잘못 부착될 경우, 브라켓을 재부착하지 않더라도 와이어의 결속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치열 교정시 필요한 치아의 위치 이동, 각도 조절, 회전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racket is incorrectly attached, by changing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even if the bracket is not reattached,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position movement, angle adjustment, rotation, etc. of the teeth required for orthodontics.

최종적으로, 브라켓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복수의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을 때의 이물감이 줄어들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Finally, by forming a plurality of slots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bracket, foreign body feeling when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에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치축 경사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회전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전치부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협설 위치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bound to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bound to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tooth inclination of the tee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tee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nterior teeth of the tee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narrowing position of the too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n orthodontic bracket is attached to a toot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치아(10)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를 고정하는 브라켓(100)으로서,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to fix the orthodontic wire 30,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fix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몸체부(110)는 와이어(30)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다. 복수의 슬롯은 와이어(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의 하층은 복수의 제1 슬롯(1a,1b)이 배치되고, 몸체부(110)의 상층은 제2 슬롯(2a)이 배치될 수 있다.Body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 30 passes. The plurality of slots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30. Her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layer of the body part 110, and a second slot 2a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ody part 110.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슬롯(1a,1b)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돌기부(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111)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내측 공간(112)의 일부를 구획한다. 즉, 복수의 제1 슬롯(1a,1b)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 양단 위치에서 돌기부(111)에 의해 구획되지만, 돌기부(111)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구획되지 않고 내측 공간(112)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와이어(30)가 복수의 제1 슬롯(1a,1b) 중 어느 하나(1a)에 삽입되면, 와이어(30)는 내측 공간(112)을 통해 삽입된 제1 슬롯(1a)이 아닌 인접한 다른 제1 슬롯(1b)으로도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0)은 복수의 제1 슬롯(1a,1b)이 돌기부(111)에 의해 일부 위치에서만 구획되고 내측 공간(11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와이어(30)의 삽입 위치 및 인출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슬롯에만 와이어(30)를 결속시킬 수 있는 종래의 브라켓 보다 더 다양한 방법으로 와이어(30)를 결속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the protrusions 111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Here, the protrusion 111 partitions a part of the inner space 112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are partitioned by the protrusions 111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re not part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s 111 are not formed, and the inner space 112.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if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1a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1b, the wire 30 is not the first slot 1a inserted through the inner space 112. It may also be drawn out to another adjacent first slot 1b. As such,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partitioned only at some positions by the protrusions 111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space 112. The insertion position and the extraction posi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Therefore, the wire 30 can be bound in more various ways than the conventional bracket which can bind the wire 30 to only one slot.

이와 더불어, 복수의 제1 슬롯(1a,1b)과 층을 달리하는 제2 슬롯(2a) 또한 복수의 제1 슬롯(1a,1b)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층에 배치된 제2 슬롯(2a)과 하층에 배치된 제1 슬롯(1a) 사이에는 연결홀(113)이 형성되어 구획되지 않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와이어(30)가 제1 슬롯(1a)에 삽입되면, 와이어(30)는 층을 달리하는 제2 슬롯(2a)으로도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lot 2a having a different layer from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may also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That is, a connection hole 113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lot 2a disposed in the upper layer and the first slot 1a disposed in the lower layer,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partitioned. Thus, if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1a, the wire 30 can also be drawn out to the second slot 2a with different layers.

이와 같이, 와이어(30)가 복수의 제1 슬롯(1a,1b) 및 제2 슬롯(2a)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끝단에 삽입된 후 내측 공간(112)을 통과하면, 삽입된 슬롯의 타측 끝단 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에 있는 슬롯의 타측 끝단으로도 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와이어(30)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다양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10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As such, when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and the second slot 2a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112, the other end of the inserted slot In addition, it can be drawn to the other end of the slot in the other position. That is,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bound to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wire 3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and is applied to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binding position. The direction of the losing force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한편, 제2 슬롯(2a)은 복수의 제1 슬롯(1a,1b)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슬롯(1a,1b) 및 제2 슬롯(2a)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슬롯으로 삽입된 와이어(30)가 위치를 이동하여 다른 슬롯으로 인출될 때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고 인출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lot 2a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and the second slots 2a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n the wire 30 inserted into one of the slots is moved out of position and drawn out to the other slot, Since it can be withdrawn without being excessively deformed, damage to the wire can be prevented.

한편,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100)을 치아(10)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부(120)는 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는 관통공(121)에 주입되는 경화 물질(20)이 경화되면서 치아(10)에 부착될 수 있다. 관통공(121)에 주입되는 경화 물질(20)은 흐름성이 있으면서도 경화되는 물질로서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다른 물질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10, it is provided for fixing the bracket 100 to the tooth (10). Herein, the fixing part 120 may have a through hole 121 formed therein.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20 may be attached to the tooth 10 while the curing material 20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is cured. The cured material 20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may be used as a material that is curable while having flowability,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any other material harmless to a human body. It can be attached in various ways.

한편, 몸체부(110)에서 치아(10) 측에 위치한 치아 접촉면에 복수의 제1 슬롯(1a,1b)이 함몰 형성될 경우, 와이어(30)는 몸체부(110)와 치아(1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즉, 와이어(30)가 복수의 제1 슬롯(1a,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120)가 치아(10)에 부착되면, 브라켓(100)이 치아(10)에 부착됨과 동시에 와이어(30) 또한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30)를 결속할 위치 또는 치아(10)의 형태에 따라서 브라켓(100)을 치아(10)에 부착한 후에 와이어(30)를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여 결속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에서 양측 또는 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가 몸체부(110)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경우, 브라켓(100)이 치아(10)에 부착되는 면적이 좀 더 넓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1b) is formed in the tooth contact surface located on the tooth 10 side in the body portion 110, the wire 30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tooth 10 It can be sandwiched and fixed. That is, when the fixing part 12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while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At the same time, the wire 30 may also be bound to the bracket 100. In addition, after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ire 30 or the shape of the tooth 10, the wire 30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to bind the wire 100. . In addition, the fixing part 120 may extend from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part 120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10, the area where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may be wider.

한편,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는 투명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강, 세라믹(지르코니아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경우, 심미적으로 우수하여 거부감 없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ransparent plastic, stainless steel, ceramic (zirconia, etc.). At this time, when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fixing portion 1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can be used aesthetically excellent without rejection.

한편,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한 브라켓(100) 한 개의 크기는 폭이 약 3.8mm 내외, 길이가 약 2.5mm 내외로 형성되어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치아(10)에 부착될 경우 이물감이 적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ze of one bracket 100 including the body 110 and the fixing part 120 is about 3.8 mm in width and about 2.5 mm in length so that the size of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because the size is very small. If there is less foreign object,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4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will be omitted,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몸체부(210)의 상층에 배치된 제2 슬롯(2a,2b)이 복수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제2 슬롯(2a,2b)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일정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슬롯(2a,2b)이 복수일 경우, 와이어(30)가 브라켓(200)에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더 많아지기 때문에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 와이어(30)를 브라켓(200)에 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a plurality of second slots 2a and 2b disposed on an upper layer of the body portion 210 may be provided. The example formed by this is shown. The plurality of second slots 2a and 2b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slots 2a and 2b are plural,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can be bound to the bracket 200 becomes larger, so that the wires 30 may be bracketed in various shapes. It is possible to bind to.

이와 더불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층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슬롯(2a,2b)과 하층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슬롯(1a,1b) 사이에는 연결홀(213a,213b)이 형성되어 구획되지 않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와이어(30)가 복수의 제1 슬롯(1a,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와이어(30)는 층을 달리하는 복수의 제2 슬롯(2a,2b) 중 어느 하나로도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connection holes 213a and 213b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slots 2a and 2b disposed in the upper layer and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disposed in the lower layer. Can be connected to one another without being compartmentalized. Thus, if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1b, the wire 30 may be drawn out to any of the plurality of second slots 2a, 2b having different layers. Can be.

또한, 슬롯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치아(10)에 원하는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서 와이어(30)의 결속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더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이 잘못 부착되더라도 브라켓의 재부착 없이 치아의 위치 이동 및 각도 조절, 회전 등을 더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교정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슬롯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결속 위치를 더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지만, 브라켓의 크기가 커져서 이물감이 커질 수 있으므로 슬롯의 개수는 3개 또는 4개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slots increases,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30 may be more variously modified in a simple manner in order to apply a desired corrective force to the tooth 10. In addition, even if the bracket is incorrectly attache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djust the position movement, angle adjustment, rotation, etc. of the tooth without reattaching the bracket,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slots increases, the binding position may be more variously modified.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bracket may increase, the number of slots may increase, so the number of slots is preferably three or four.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치축 경사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회전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전치부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협설 위치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bound to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wire tied to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tooth tilt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tee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nterior teeth of the too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narrowing position of a tooth using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and 6 to 11, an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100)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은, 고정부(120)를 치아(10)에 고정하는 단계와,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를 복수의 슬롯의 일측 끝단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와, 와이어(30)를 몸체부(110)의 내측 공간(112)으로 통과시키는 단계와, 와이어(30)를 상기 복수의 슬롯의 타측 끝단 중 어느 하나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rthodontic method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120 to the tooth 10, and the orthodontic wire 30 of the plurality of slots Inserting into one of one end, passing the wire 30 into the inner space 112 of the body portion 110, and drawing the wire 30 to any one of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lots. It includ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고정부(120)는 치아(1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120)는 관통공(121)에 주입되는 경화 물질(20)이 경화됨으로써 치아(10)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xing part 120 of the bracket 100 is fixed to the tooth 10.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20 may be fixed to the tooth 10 by curing the curable material 20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고정부(120)가 치아(10)에 고정된 후,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는 복수의 일측 끝단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된다. 와이어(30)가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후, 와이어(30)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내측 공간(112)을 통과한다.After the fixing part 120 is fixed to the tooth 10, the orthodontic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a plurality of one ends. After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the wire 30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112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슬롯(1a,1b)은 내측 공간(11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슬롯(1a,1b)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어 내측 공간(112)을 통과하는 와이어(30)는 몸체부(110)에서 같은 층에 배치된 다른 제1 슬롯(1a,1b)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다른 제1 슬롯(1a,1b)의 타측 끝단으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formed in the body part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space 112, at one end of the first slots 1a and 1b. The wire 30 inserted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112 is moved from the body portion 110 to the other first slots 1a and 1b disposed on the same layer so that the wires of the other first slots 1a and 1b are moved. It is possible to withdraw to the other end.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롯(2a)은 제1 슬롯(1a)과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므로, 제1 슬롯(1a)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어 내측 공간(112)을 통과하는 와이어(30)는 다른 층에 형성된 제2 슬롯(2a)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제2 슬롯(2a)의 타측 끝단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 즉, 설명의 편의상,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되는 위치를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슬롯 ~ 와이어(30)가 인출되는 슬롯'으로 표시할 때, 복수의 슬롯이 3개인 경우,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a~1a, 1b~1b, 2a~2a, 1a~1b, 1b~1a, 1a~2a, 2a~1a'로 총 7가지가 있으며, 복수의 슬롯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와이어(30)가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더 많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since the second slot 2a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lot 1a, the second slot 2a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rst slot 1a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112. The wire 30 may be drawn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lot 2a by moving its position to the second slot 2a formed in another layer. That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position where the wire 30 is bound to the bracket 100 is indicated as 'slot into which the wire 30 is inserted to a slot into which the wire 30 is drawn out,' three slots are provid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wire 30 can be bound to the bracket 100 is '1a-1a, 1b-1b, 2a-2a, 1a-1b, 1b-1a, 1a-2a, 2a-1a'. There are a total of seven types, and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may be bound may be greater depending on the shape, size, etc. of the plurality of slots.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슬롯이 4개인 경우,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a~1a, 1b~1b, 2a~2a, 2b~2b, 1a~1b, 1b~1a, 1a~2a, 2a~1a, 1b~2b, 2b~1b'로 총 10가지가 있으며, 복수의 슬롯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와이어(30)가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더 많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plurality of slots is four,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can be bound to the bracket 100 is' 1a to 1a, 1b to 1b, 2a to 2a, and 2b to 2b. , 1a to 1b, 1b to 1a, 1a to 2a, 2a to 1a, 1b to 2b, and 2b to 1b 'in total, and there are a total of 10 wires that can be boun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a plurality of slots. The number of cases can be hig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100)은 와이어(30)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다양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결속 위치에 따라 브라켓(100)에 가해지는 힘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아(10)의 상태에 따라 치아(10)에 원하는 교정력을 다양하게 가할 수 있다.As such,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bound to a plurality of slots in which the wire 3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and is applied to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binding position. The force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and accordingly, the desired correct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tooth 1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ooth 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 방법에서는 고정부(120)를 치아(10)에 고정하는 단계,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를 복수의 슬롯의 일측 끝단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와이어(30)가 브라켓(100)의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100)의 고정부(120)가 치아(1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30)를 치아(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이어(30)가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고정부(120)를 부착하여 브라켓(100)의 고정부(120)가 치아(10)에 부착됨과 동시에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thodontic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ixing the fixing part 120 to the tooth 10, the step of inserting the orthodontic wire 30 to any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lots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the sequentially performed as an example, the fixing part 120 of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of the bracket 100. The fixing part 120 of the bracket 100 may be fixed by attaching the fixing part 120 so that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while the wire 30 is positioned in the tooth 10. ) May be attached to the tooth 10 and the wire 30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100 at the same tim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치축 경사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의 치축과 비교했을 때 치아(10)의 치축이 우측 방향으로 많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치축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치축이 정상적인 위치에 놓이도록 교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의 치축은 경사진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상적인 위치로 교정될 수 있다.8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tilt of the tooth axis 10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10 in need of correction illustrated in FIG. 8 (a) is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 axis of the tooth 10 is inclined much in the right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tooth axis of the normal tooth 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apply the corrective force to move the tooth axis to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tooth axis is in the normal position.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easily apply the corrective force ac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the tooth 10 by binding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formed in the bracket (100). When such corrective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8 (b), the tooth axis of the tooth 10 may be corrected to a normal position by moving leftward from the inclined posi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회전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의 전면(순측면)과 비교했을 때 치아(10)의 전면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것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작용하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의 전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이동하여 정상적인 위치로 교정될 수 있다.9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tooth 10 by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10 in need of correction shown in FIG. 9 (a) is inclined as if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 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compared with the front surface (the forward side) of the normal tooth 10. .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apply the corrective force acting as if it rotates clockwise to the tooth 10 by binding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formed in the bracket 100. When such corrective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9 (b),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 10 may be rotated clockwis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i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전치부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와 비교했을 때 치아(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치아(10)의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인접한 전치부의 길이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교정될 수 있다.10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nterior part of the tooth 10 by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10 in need of correction shown in FIG. 10 (a) is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 10 is moved downward and the length of the tooth 10 is abnormally long compared with the normal tooth 10.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apply the corrective force for moving the tooth 10 upward by binding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formed in the bracket 100. When this corrective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10 (b), the tooth 10 may be corrected to move upward and become almost equal to the length of the adjacent anterior tooth.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협설 위치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의 전면과 비교했을 때 치아(10)의 전면이 순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를 설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치아(10)는 설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체적으로 정상적인 치아 배열로 교정될 수 있다.11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narrowing position of the tooth 10 by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10 in need of correction illustrated in FIG. 11A is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 10 protrudes in the forward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normal tooth 10.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apply the corrective force for moving the tooth 10 in the lingual direction by binding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formed in the bracket 100. When such corrective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11 (b), the individual teeth 10 may move in the lingual direction to be corrected to a generally normal tooth arrangemen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들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not by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치아 20: 경화 물질
30: 와이어 100,200: 브라켓
110,210: 몸체부 111,211: 돌기부
112,212: 내측 공간 113,213: 연결홀
120,220: 고정부 121,221: 관통공
1a,1b: 제1 슬롯 2a,2b: 제2 슬롯
10: tooth 20: cured material
30: wire 100,200: bracket
110,210: body 111,211: protrusion
112,212: inner space 113,213: connecting hole
120,220: fixed part 121,221: through hole
1a, 1b: first slot 2a, 2b: second slot

Claims (10)

치아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높이를 달리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슬롯은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슬롯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을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에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Bracket attached to the teeth to fix the orthodontic wire,
A plurality of slots through which the wires pass and ar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plurality of slots form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and a body part having an inner spac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teeth,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wire is bou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하층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슬롯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rackets for orthodon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disposed in the lower layer in the body portion are located parallel to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층에 배치된 제2 슬롯은 상기 복수의 제1 슬롯에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lot disposed in the upper layer in the body portion formed i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복수의 제1 슬롯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slot is an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slot is a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슬롯은 상기 몸체부의 치아 접촉면에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tooth contac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 또는 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both sides or on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는 투명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강, 세라믹(지르코니아 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any one of a transparent plastic, stainless steel, ceramic (zirconia, etc.).
삭제delete
KR1020170049319A 2017-04-17 2017-04-17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049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19A KR102049074B1 (en) 2017-04-17 2017-04-17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19A KR102049074B1 (en) 2017-04-17 2017-04-17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86A KR20180116686A (en) 2018-10-25
KR102049074B1 true KR102049074B1 (en) 2019-11-26

Family

ID=6413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319A KR102049074B1 (en) 2017-04-17 2017-04-17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71B1 (en) 2019-02-28 2020-04-10 박상필 Apparatus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oth
EP3962404A4 (en) * 2019-05-01 2023-01-04 Erskine Holdco Pty Ltd. Orthodontic methods and devices
KR102140421B1 (en) * 2020-02-27 2020-07-31 주식회사 뷰티스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orthodontic apparatus with the same
KR102178904B1 (en) * 2020-09-04 2020-11-13 김정석 Structure that increases adhesion of orthodontic maintenance device to artificial tooth surface using zirconia and protects tooth,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991A1 (en) 2000-05-03 2001-11-08 Veltri Nicola Orthodontic device for aligning and displacing teeth
US20110033812A1 (en) * 2009-08-05 2011-02-10 Six Month Smiles Inc. Orthodontic bracket system and method
US20110287378A1 (en) 2002-10-29 2011-11-24 Rmo,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encoded information formed in the base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479004B1 (en) 2014-06-02 2015-01-05 문승수 Orthodontic mini bracket and orthodontic s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345B2 (en) * 2002-03-25 2004-01-27 Tp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bracket
KR101316946B1 (en) 2013-03-15 2013-10-11 이향이 Ceramic compositions for orthodontics brackets, orthodontics bracket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991A1 (en) 2000-05-03 2001-11-08 Veltri Nicola Orthodontic device for aligning and displacing teeth
US20110287378A1 (en) 2002-10-29 2011-11-24 Rmo,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encoded information formed in the base
US20110033812A1 (en) * 2009-08-05 2011-02-10 Six Month Smiles Inc. Orthodontic bracket system and method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479004B1 (en) 2014-06-02 2015-01-05 문승수 Orthodontic mini bracket and orthodontic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86A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074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1975655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US11510758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894481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orthodontic device
KR102598366B1 (en) Orthodontic appliance
US11813127B2 (en) Tooth restoration system
JP5857041B2 (en) Personalized jig for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formed by the jig, base and bracket
US20100075268A1 (en) Prefabricated elements applicable in a system of ferrules for correcting orthodontic malocclusions
KR102140421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orthodontic apparatus with the same
KR102092592B1 (en)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KR101995372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102058983B1 (en) Orthodintic dual slot bracket assembly
KR102197877B1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method
KR102175693B1 (en) Orthodontic bracket
EP3656342B1 (en) Dental splint
KR101712967B1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KR102600768B1 (en) Gap filling member for orthodonic braces
KR102442217B1 (en) Abutments for tooth intervention in dental implants, especially in assisted surgery
DE102016121196B3 (en) Method for producing an orthodontic therapy device, use of a scan reference body and orthodontic therapy device
KR20190110824A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KR20240024170A (en) Invisalig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80338817A1 (en) Retainer for Aligning Teeth and a Method for Creating Same
KR20210000554A (en) Abutmetn for orthodontics
JP2021527492A (en) Pearl for orthodontic treatment
TWM469875U (en) Bon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