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986B1 -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 Google Patents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986B1
KR102047986B1 KR1020190100324A KR20190100324A KR102047986B1 KR 102047986 B1 KR102047986 B1 KR 102047986B1 KR 1020190100324 A KR1020190100324 A KR 1020190100324A KR 20190100324 A KR20190100324 A KR 20190100324A KR 102047986 B1 KR102047986 B1 KR 10204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rying
support
p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재
송영욱
이세영
Original Assignee
김성재
송영욱
이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송영욱, 이세영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9010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0Chain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with immobilising means, e.g. means for blocking the whe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05Accessories, e.g. line cleaning devices, line protectors, clothes-pin hol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2Clothes-l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4Supports, e.g. poles, props for clothes-l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 몸체와, 캐리어 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건조대부와, 캐리어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부와, 받침부에 결합되어 건조대부를 건조대로 사용시 건조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건조대부는 캐리어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납 케이스와, 평소에는 수납 케이스에 인입되어 보관되는 폴대를 구비하여, 폴대는 수납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건조대로 사용하게 되거나 수납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캐리어 몸체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하게 된다.

Description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CARRIER WITH DRYING RACKS}
본 발명은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몸체에 착탈가능한 건조대부를 결합하여 필요시에 건조대로 사용되거나 캐리어 몸체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할 수 있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자들은 각 개인 여행 가방을 이용하여 개인 물품들을 수납한 상태로 국내외로 여행하는 경우가 많고, 여행자들뿐만 아니라, 특정 모임 단체나 연수 목적을 위해 단체 인원을 구성한 개개인들도 개별 여행 가방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행자들이나 특정 모임의 개별 인원들은 여행 과정에서 특정 지역에 숙박해야 하는바, 이 경우 여행자들은 호텔, 콘도, 유스호텔 및 다양한 민박 등의 숙박시설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다양한 여행지의 숙소 중 호텔과 게스트 하우스의 대부분에는 룸 내의 건조시설이 없고, 세탁 서비스를 유료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드물게 공용 빨래 건조실이 비치된 호텔 또는 게스트 하우스가 존재하더라도, 개인 물품의 분실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여행 가방은 여행기간이 수일에 걸친 경우 사용되며, 이러한 여행 또는 특정 모임에서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문제가 된다.
또한, 여행 가방은 개개인의 개별 물품들만 수납하는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을 뿐, 여행자가 숙박시설에서 숙박할 경우에 여행자의 수건 및 의류를 포함하는 개별 물품들을 세탁하여 건조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은 불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편의 기능이 부가된 캐리어가 개발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 제2019-0033805호는 여행 가방을 포함한 가방에 손잡이 탈착식 건조대를 구성하여 봉을 결합할 수 있고, 봉에 세탁물을 걸어 건조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19-0033805호는 봉에 세탁물을 다량으로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옷걸이가 부가적으로 필요하여 부피가 증대되므로 캐리어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캐리어가 실제 사용됨에 있어서 위와 같이 발생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이 탑재되고, 본 목적에 반대되지 않도록 수납공간이 충분히 구비된 캐리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33805호 (명칭: 가방 손잡이 탈착식 건조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몸체에 착탈가능한 건조대부를 결합하여 필요시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대로 사용되거나 캐리어 몸체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할 수 있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대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그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건조대부를 지지하고 받치는 지지부와 받침부의 보관과 로킹을 용이하게 하는 건조대를 겸함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는, 캐리어 몸체와, 캐리어 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건조대부와, 캐리어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부와, 받침부에 결합되어 건조대부를 건조대로 사용시 건조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건조대부는 캐리어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납 케이스와, 평소에는 수납 케이스에 인입되어 보관되는 폴대를 구비하여, 폴대는 수납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건조대로 사용하게 되거나 수납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캐리어 몸체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하게 된다.
수납 케이스는 폴대를 수용하는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몸체에 힌지결합되고 개폐 가능하게 된 뚜껑을 포함한다.
캐리어 몸체에서 캐리어 손잡이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캐리어 몸체에서 분리시킨 건조대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건조대 보관부가 구비된다.
받침부는 바퀴와 함께 캐리어 몸체 내로 슬라이딩하게 결합되고, 캐리어 몸체에는 받침부가 캐리어 몸체 내로 인입되었을 때 빠지지 않게 로킹하는 하 로킹부가 결합된다.
바퀴에는 받침부가 인출되어 지지부와 함께 건조대부를 지지하고 받칠 때 움직이지 않게 하는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건조대를 겸용한 캐리어에 의하면, 캐리어 몸체에 착탈가능한 건조대부를 결합하여 필요시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대로 사용되거나 캐리어 몸체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대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그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건조대부를 지지하고 받치는 지지부와 받침부의 보관과 로킹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 도구가 필요 없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수납 케이스를 캐리어 몸체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이 편리하고 탈부착이 용이하고, 탈착된 수납 케이스를 캐리어 손잡이의 남는 공간에 보관함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수납 케이스의 분실 위험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보조 걸이를 한 쌍의 폴대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잇는 형상으로 사다리 형태의 건조대로 사용될 수 있어 기능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대 및 보조대의 구성으로 함축시켜 보관이 가능하므로 수납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보조 걸이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보조 줄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폴대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고정고리로 인하여 한 쌍의 폴대부 사이에서 보조걸이의 보조줄이 수직하여 건조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흔들림이나 형상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단의 받침부를 조절하여 캐리어 몸체의 하부에서 폭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 로킹부로 받침대를 로킹하는 한편, 건조대부의 폴대로 캐리어 몸체의 전체 외측면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파손 및 도난의 위험성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상세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캐리어 몸체에 건조대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수납 케이스부에서 폴대를 분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보조대에서 프레임과 보조걸이를 늘리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보조대에서 보조걸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폴대 및 보조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보조대의 고정고리를 폴대 봉에 결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캐리어 몸체 하부에 받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받침부 전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지지부의 회전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지지부의 회전과정을 나타내는 상세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지지부를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늘려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받침부의 로킹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바퀴와 브레이크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건조대 보관부의 내부를 투영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건조대 보관부 내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를 실제 건조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폴대를 안전띠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서 폴대를 안전띠로 사용할 시에 잠그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내측"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는 수직 방향에서 위쪽을 의미하고, "하부"는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조대를 겸용한 캐리어는 캐리어 몸체(10)와, 건조대부(100)와, 받침부(200)와, 지지부(300)와, 하 로킹부(400) 및 건조대 보관부(500)를 포함한다.
캐리어 몸체(10)는 기본적으로 보통의 직육면체 형상을 하며 상황에 따라 정육면체, 원기둥형상 등 여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캐리어 몸체(10)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여닫히는 구조로, 제1 몸체(11)의 상부에는 캐리어 손잡이(13)가 캐리어의 수직방향으로 인입/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건조대부(100)의 후술하는 수납 케이스가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되는 레일홈(11a)이 캐리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캐리어 몸체(10)의 저면에는 바퀴(14)가 결합되며, 일측 2개의 바퀴(214: 도 11 a 및 도 11 b 참조)는 받침부(200)에 결합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캐리어 몸체에 건조대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수납 케이스부에서 폴대를 분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대부(100)는 캐리어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11a)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으로 되어 있으며, 수납 케이스(110)와, 고정핀(120)과, 폴대(130)와, 보조대(140)를 포함한다.
수납 케이스(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폴대(130)를 수용하는 케이스 몸체(111)와, 케이스 몸체(111)에 힌지결합되고 개폐 가능하게 된 뚜껑(112)을 포함하며, 케리어 몸체(10)의 제1 몸체(1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에는 폴대(130)가 접혀져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뚜껑(112)은 케이스 몸체(111)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형성된 개폐버튼(113)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작동되며, 상측으로 열리어(도4b 참조) 폴대(130)가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한다. 케이스 몸체(111)와 뚜껑(112)의 내면에는 폴대(130)가 끼워져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띠홈(111a, 112a)이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111)의 길이방향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대(130)를 안전띠로 사용할 때 양측의 케이스 몸체(111)를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구(114)가 구비되는 한편, 폴대(130)를 잠그는 잠금통(115)이 구비된다(도 20a 및 도 20b 참조). 케이스 몸체(111)의 저면에는 캐리어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11a)에 끼워져 케이스 몸체(111)가 슬라이딩하게 하는 돌출띠(116)가 형성된다.
고정핀(120)은 케이스 몸체(111)를 관통하여 레일홈(11a)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120)에 의해 케이스 몸체(111)는 캐리어 몸체(10)의 상면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핀(120)은 수납 케이스(110)를 탈부착할 때 별도의 결합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 쓰임이 간편하다.
폴대(130)는 평소에는 수납 케이스(110)에 인입되어 보관되며, 수납 케이스(110)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되어 건조대로 사용하게 되거나 수납 케이스(110)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캐리어 몸체(10)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하게 된다. 폴대(130)는 탄성밴드(132)를 내장한 다수의 봉(131)이 결합된 형태이고, 탄성밴드(122)를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관이 용이하고 수납 케이스(110)에서 빠져나와 길이를 연장시켜 하나의 봉으로 활용 가능하다(도 4c 참조). 이러한 연장된 봉(131)은 건조대부(100)의 양 측면 부분의 지지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보조대에서 프레임과 보조걸이를 늘리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보조대에서 보조걸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폴대 및 보조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보조대의 고정고리를 폴대 봉에 결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대(140)는 한 쌍의 건조대부(100)의 수납 케이스(110) 중의 하나의 케이스 몸체(111)의 일측에 결합되며, 보조대 통(141)과, 프레임(142)과, 보조걸이(143), 이탈방지구(144), 및 고정고리(145)를 포함한다.
보조대 통(141)은 케이스 몸체(111)에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레임(142)과 보조걸이(143) 및 고정고리(145)가 수납되는 통이다.
프레임(142)은 뽑아쓰는 안테나 형상과 같이 중공부를 지니는 봉 형상으로, 각각의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봉들이 마디형식으로 겹겹히 위치되어 보조대 통(141)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프레임(142)은 가장 내부에 위치한 봉부터 뽑아서 폭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게 위치되며 각각의 프레임(142)의 일단부에는 보조걸이(143)가 결합된다(도 5 참조). 여기서 보조걸이(143)가 결합되는 프레임(142)의 일단부는 프레임(142)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의 단부이다. 프레임(142)이 폭방향으로 연장된 경우에, 각각의 보조걸이(143)는 프레임(142)의 외측면에서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걸이(143)는 원판 형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프레임(142)의 각 일단부에 결합되며, 보조걸이(143)의 내부에는 보조줄(143a)과 갈고리(143b)가 결합된다(도 6 참조).
보조줄(143a)은 와이어 등의 단단한 재질을 포함하는 줄 형태로 구현되며 끊어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걸이(143)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을 가진 줄이다. 또한 보조줄(143a)은 보조걸이(143) 내부에서 감겼을 때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고, 원래의 상태로 풀리려는 힘을 가지는 태엽 스프링의 종류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걸이(143)의 내부에서 보조줄(143a)의 결합은 태엽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 자동으로 내부를 향하여 감길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줄(143a)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걸이(143) 내부에 감겨 자동적으로 보관되므로, 부식을 최소화하여 수명 증대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갈고리(143b)는 보조줄(143a)의 단부에 결합되며, 끝이 'ㄱ'자 형태로 굽어 있는 일반적인 갈고리 형상을 포함하고, 갈고리(143b)의 끝단이 폴대(130)에 걸려 고정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은 형상의 보조걸이(143)는 내부에서 보조줄(143a)를 잡아당겨 외부로 노출시킨 뒤에, 갈고리(143b)를 다른 하나하의 폴대(130)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구(144)는 프레임(142)의 끝단에서 보조걸이(14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복수 개의 프레임(142)이 폭방향으로 연장시킬 경우에 가장 단부에 위치되는 프레임(142)의 단부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보조걸이(14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고리(145)는 이탈방지구(144)에 핀으로 결합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 판형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된 고정고리(145)는 평행하게 되어 있는 가까운 하나의 폴대(130)에 걸리게 된다. 고정고리(145)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의 외측면의 일지점에서 내부를 향하여 타원형상으로 파여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여 폴대(130)의 봉(13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고정고리(145)를 통해 폴대(130)와 보조대(140)가 평행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가까운 폴대(130)의 일부에 걸리는 고정고리(145)로 인해 한 쌍의 폴대(130) 사이에서 보조걸이(143)가 수직하여 건조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흔들림이나 형상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건조대부(100)는 캐리어 몸체(10)의 상면에서 한 쌍으로 사용되어지고, 동일한 형상으로 중복 설명을 피하여 하나의 건조대부(100)만을 설명하였다.
다시 말해, 보조대(140)는 한 쌍의 수납 케이스(1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납 케이스(110)의 일측에만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수납 케이스(110)에서 인출된 폴대(130)에 수직되게 걸려 사용되어 진다(도 7 참조).
건조대부(100)의 사용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리어 몸체(10)의 상면에서 한 쌍의 건조대부(100)를 레일 홈(11a)에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각각의 건조대부(100)의 수납 케이스(110) 내부에서 폴대(130)를 분리하여 폭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킨다.
다음, 보조대(140)의 보조대 통(141) 내부에서 프레임(142)을 폭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켜 폴대(130)와 평행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보조대(140)는 한 쌍의 수납 케이스(1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납 케이스(110)에만 구비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프레임(142)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보조걸이(143)는 프레임(142)의 외측면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일정하게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보조걸이(143)의 갈고리(143b)를 잡아당겨 보조걸이(14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줄(143a)을 외부로 노출시킨 뒤, 한 쌍의 폴대(130)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폴대(130)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복수 개의 보조줄(143a)은 한 쌍의 폴대(130)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사다리 형태(수평으로 누워 있는 형태)의 건조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된 각각의 보조줄(143a)에 세탁물 등을 올려놓고 건조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캐리어는 옷을 한정하여 수용하므로, 타지에서 여행 또는 활동 시에 옷 또는 수건 등을 세탁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
즉,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서 세탁 및 건조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되고, 공공의 건조시설이 있다고 하더라도 도난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건조대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건조대부(100)를 구비하여 세탁물을 건조시켜 캐리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130) 및 보조대(140)의 형상으로 구성을 함축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수납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프레임(142)의 길이를 연장시켰을 때, 폭 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이 이격되는 복수 개의 보조걸이(143)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보조걸이(143)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꺼운 세탁물의 경우에는, 복수 개의 보조줄(143a) 중 징검다리와 같은 형상으로 몇 개의 보조줄(143a)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세탁물이 많을 경우에는 모든 보조줄(143a)을 선택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캐리어 몸체 하부에 받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받침부 전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200)는 건조대부(100)와 동일하게 캐리어 몸체(100)의 하부에 한 쌍(210, 220)으로 구비되고, 바퀴(214)와 함께 캐리어 몸체(10) 내로 x, y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결합되고, 캐리어 몸체(10)에는 받침부(200)가 캐리어 몸체(10) 내로 인입되었을 때 빠지지 않게 로킹하는 하 로킹부(400)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2개의 받침부 중의 하나의 받침부(210)만을 설명한다. 받침부(210)는 제1 받침대(211), 제2 받침대(212), 제3 받침대(213), 바퀴(214), 로킹기구(215), 및 브레이크기구(216)를 구비한다.
제1 받침대(211)는 캐리어 몸체(10)의 하면에 고정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받침대(212)는 제1 받침대(2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1 받침대(211)와 인접한 측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LM 가이드 등의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받침대(213)는 제2 받침대(2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2 받침대(212)와 인접한 측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LM 가이드 등의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받침대(211)는 고정되어 있고, 제2 받침대(212) 및 제3 받침대(213)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받침대(211) 내지 제3 받침대(213)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받침대(211) 내지 제3 받침대(213)는 캐리어 몸체(10) 하면의 절반 면적에서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다시 말해, 고정된 제1 받침대(211)를 기준으로 연장된 제2 받침대(212) 및 제3 받침대(213)를 '다리'라고 지칭한다면, 캐리어 몸체(10)의 하면에서 총 4개의 '다리'가 위치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10 참조).
바퀴(214)는 한 쌍의 제3 받침대(213) 중 캐리어 몸체(10)의 모서리와 인접한 하나의 제3 받침대(213)에 결합되어 건조대부(100)의 사용 시에 고정 및 지지력이 증대되게 한다. 이때, 제2 받침대(212)와 제3 받침대(213)는 로킹기구(215)로 고정된다(도 14 참조).
로킹기구(215)는 다양한 형태의 일반적인 기구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받침대(212)와 제3 받침대(213)는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길이 연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킹기구(215)를 사용하여 제2 받침대(212)와 제3 받침대(213)가 고정되도록 잠글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폭 방향의 길이에 따라 제2 받침대(212)와 제3받침대(213)를 모두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 받침대(211)에서 로킹기구(215)로 고정된 제2 받침대(212)와 제3 받침대(213)를 연장시켜 사용하여 폭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바퀴(214)에는 받침부(200)가 인출되어 지지부(300)와 함께 건조대부(100)를 지지하고 받칠 때 움직이지 않게 하는 브레이크 기구(216)가 구비된다(도 15a 및 도 15b 참조). 도 15a는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b는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브레이크 기구(216)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지지부의 회전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지지부의 회전과정을 나타내는 상세도면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지지부를 수직방향을 길이를 늘려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300)는 받침부(200)의 한 쌍의 제3 받침대(213)의 사이에 결합되며, 건조대부(100)를 건조대로 사용시 건조대부(100)를 지지한다.
지지부(300)는 한 쌍의 제3 받침대(213) 사이에서 제3 받침대(213)를 잇는 형상으로 위치되며, 가늘고 긴 막대를 핀 이음으로 연결하여 일정한 한정운동을 하도록 구현된 일반적인 링크 장치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3 받침대(213) 사이에서 도 13a와 같은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도 13b와 같은 형태로 건조대부(100)의 하측에서 건조대부(100)의 폴대(130)를 지지하도록 사용되어 진다. 즉, 지지부(300)는 한쌍의 제3 받침대(213) 사이에서 90도 회전한 이후, 받침부(200)가 캐리어의 x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건조대부(100)의 하측에서 건조대부(100)를 지지하도록 사용되어 진다. 이후 지지부(300)의 수직방향의 길이 변화를 막기 위해 각각의 받침부(200)를 고정하는 로킹기구를 이용해 받침부(200)가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잠금으로써 길이 변화를 막는다.
이에 따라, 세탁물이 놓여진 건조대부(100)를 하측에서 지지하여 건조대부(100)의 흔들림 및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수명이 증대되게 한다. 또한, 지지부(300)는 제3 받침대(213)의 내측면에서 힌지 결합되어,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캐리어 몸체(10) 하면에 함축시켜 보관이 용이하다.
하 로킹부(400)는 받침부(200) 및 지지부(300)가 캐리어 몸체(10) 내로 인입되었을 때 슬라이딩하거나 빠지지 않게 로킹하며, 받침부(200)와 지지부(300)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하 로킹부(400)는 충격을 보호하는 구부려진 판 형태로 캐리어 몸체(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되거나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킹하게 되어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건조대 보관부의 내부를 투영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건조대 보관부 내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대 보관부(500)는 캐리어 몸체(10)에서 캐리어 손잡이(13)가 결합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캐리어 몸체(10)에서 분리시킨 건조대부(100)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부분이며, 캐리어 몸체(10)에 형성된 수용공간(S)의 입구에 결합된 보관부 뚜껑(510)과, 수용공간(S)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홈(Sa)에 끼워진 스프링(520)을 구비한다. 도 16a은 보관부 뚜껑(510)이 닫혀 건조대부(100)가 눌려져 스프링(520)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b는 보관부 뚜껑(510)이 개방되어 스프링(520)에 의해 건조대부(100)가 튀어 오른 상태를 나타낸다. 건조대 보관부(500)에는 보관부 뚜껑(510)이 열리지 않게 하는 잠금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를 실제 건조대로 사용하여 세탁물 또는 건조물(D)을 건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의 폴대를 안전띠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서 폴대를 안전띠로 사용할 시에 잠그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대(130)는 다수의 봉(131)과 탄성밴드(132)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탄성밴드(132)에 의해 접을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대(130)로 캐리어 몸체(10)를 감싸서 안전띠로 사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폴대(130)는 탄성밴드(132)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캐리어(10)의 외측의 굴곡진 부분에 대응하여 밀착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폴대(130)의 끝단 봉(131)에는 안전띠 홈(131a)이 형성되고(도 20a 참조), 수납 케이스(110)의 잠금통(115)에는 안전띠 홈(131a)에 걸리는 걸림구(115a)가 구비된다(도 20b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는 캐리어에서 건조대의 형태를 구비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안전띠의 기능 또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수납 케이스(110)를 맞닿게 위치시켜 결합구(114)로 고정시킨 뒤, 한 쌍의 수납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각각의 폴대(130)를 분리하여 캐리어 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감싸 폴대(130)의 단부를 잠금통(115)에 삽입시켜 걸림구(115a)를 안전띠 홈(131a)에 걸어 잠근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캐리어는 이동 중에 도난 또는 옮겨지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에서 무방비로 노출되어있다. 이에 캐리어의 구매 요건 중 잠금 기능의 여부는 구매자들이 확인하는 요소 중 필수 요소로 자리 매김하였다. 하지만, 잠금 기능을 가지는 캐리어의 경우에도 비행기 또는 버스에서 짐칸으로 이동되어질 때, 던지며 이동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캐리어가 파손되는 일이 급증하고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는 캐리어의 파손이 되더라도 안전띠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캐리어가 개방되어도 캐리어의 외측면을 폴대(130)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물품의 분실과 도난의 위험성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작은 부피의 건조대부(100)의 형상으로,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며, 건조대 기능 및 안전 잠금 기능의 두가지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기능성이 증대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캐리어 몸체 11: 제1 몸체
12: 제1 몸체 13: 캐리어 손잡이
14: 바퀴
100: 건조대부 110: 수납 케이스
111: 케이스 몸체 112: 뚜껑
113: 개폐버튼 114: 결합구
115: 잠금통 116: 돌출띠
120: 고정핀 130: 폴대
131: 봉 132: 탄성밴드
140: 보조대 141: 보조대 통
142: 프레임 143: 보조걸이
144: 이탈방지구 145: 고정고리
200(210, 220): 받침부 211 ~ 213: 제1 내지 제3받침대
214: 바퀴 215: 로킹기구
216: 브레이크 기구 300: 지지부
400: 로킹부 500: 건조대 보관부

Claims (5)

  1. 캐리어 몸체와,
    상기 캐리어 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건조대부와,
    상기 캐리어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건조대부를 건조대로 사용시 상기 건조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부는 상기 캐리어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납 케이스와, 평소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 인입되어 보관되는 폴대를 구비하여, 상기 폴대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건조대로 사용하게 되거나 상기 수납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연장되어 상기 캐리어 몸체가 개방되지 않게 안전하게 잠그는 안전띠로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폴대를 수용하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힌지결합되고 개폐 가능하게 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몸체에서 캐리어 손잡이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캐리어 몸체에서 분리시킨 상기 건조대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건조대 보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바퀴와 함께 상기 캐리어 몸체 내로 슬라이딩하게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 몸체에는 상기 받침부가 상기 캐리어 몸체 내로 인입되었을 때 빠지지 않게 로킹하는 하 로킹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에는 상기 받침부가 인출되어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건조대부를 지지하고 받칠 때 움직이지 않게 하는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KR1020190100324A 2019-08-16 2019-08-16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KR102047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24A KR102047986B1 (ko) 2019-08-16 2019-08-16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24A KR102047986B1 (ko) 2019-08-16 2019-08-16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986B1 true KR102047986B1 (ko) 2019-11-22

Family

ID=6873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324A KR102047986B1 (ko) 2019-08-16 2019-08-16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697A (ko) * 2004-11-01 2006-05-04 전치형 의류행거 겸용 여행가방
JP3961528B2 (ja) * 2002-05-24 2007-08-22 義昭 田村 折畳式椅子付きスーツケース
KR200480283Y1 (ko) * 2015-10-13 2016-05-04 이정현 여행용 캐리어
US20160143406A1 (en) * 2014-11-20 2016-05-26 Grit, Inc. Upright Garment Bag with an Interior and Exterior Hanging System
JP3216666U (ja) * 2018-04-03 2018-06-14 株式会社モダンリズム スーツケース
KR20190033805A (ko) 2017-09-22 2019-04-01 한석 가방 손잡이 탈착식 건조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1528B2 (ja) * 2002-05-24 2007-08-22 義昭 田村 折畳式椅子付きスーツケース
KR20060038697A (ko) * 2004-11-01 2006-05-04 전치형 의류행거 겸용 여행가방
US20160143406A1 (en) * 2014-11-20 2016-05-26 Grit, Inc. Upright Garment Bag with an Interior and Exterior Hanging System
KR200480283Y1 (ko) * 2015-10-13 2016-05-04 이정현 여행용 캐리어
KR20190033805A (ko) 2017-09-22 2019-04-01 한석 가방 손잡이 탈착식 건조대
JP3216666U (ja) * 2018-04-03 2018-06-14 株式会社モダンリズム スーツケ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499B1 (ko) 보조가방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가방
CA1216827A (en) Wheeled garment bag
US20100276241A1 (en) Hanging shelf system and travel organiz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suitcase
KR890005258B1 (ko) 의류백과 팩킹케이스가 결합된 여행가방
US6729519B2 (en) Laundry backpack bag
US20170071307A1 (en) Packing organizer
US3869034A (en) Wardrobe apparel case
DK162733B (da) Toejtaske
EP3764837B1 (en) Expandable luggage assemblies
JP6094001B2 (ja) 衣料品の格納及び取出用携帯装置
US6659273B1 (en) Laundry tote
KR102047986B1 (ko) 건조대를 겸한 캐리어
US6073738A (en) Article of luggage having divider for opposing sections
US6976566B1 (en) Nested wheeled luggage assembly
US20150053520A1 (en) Portable closet system
NL2000675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anbrengen van een dekbed, kussen of dergelijke in een bijbehorende dekbedovertrek, kussensloop of dergelijke, alsmede dekbedovertrek, kussen of dergelijke voor toepassing daarbij.
JPS63246200A (ja) 衣服乾燥装置
KR102113810B1 (ko) 다기능 여행용 캐리어
KR102107053B1 (ko) 건조대를 겸용한 캐리어
US5887407A (en) Clothing protection apparatus
KR20170071160A (ko) 여행용 확장형 캐리어
US10094064B2 (en) Portable drying rack
US1730058A (en) Wardrobe suitcase
US2254543A (en) Wardrobe tray
US2613769A (en) Dress separator for wardrobe trunks or suit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