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908B1 -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908B1
KR102047908B1 KR1020180030485A KR20180030485A KR102047908B1 KR 102047908 B1 KR102047908 B1 KR 102047908B1 KR 1020180030485 A KR1020180030485 A KR 1020180030485A KR 20180030485 A KR20180030485 A KR 20180030485A KR 102047908 B1 KR102047908 B1 KR 10204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nable switch
switch
cas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874A (ko
Inventor
오극기
Original Assignee
(주)아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팩 filed Critical (주)아이팩
Priority to KR102018003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301Nc system has direct access to I-O of pic, p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작업자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수동 펄스발생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신호 전달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 및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발생에 의한 수동 펄스발생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신호 전달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작 불량 또는, 동작 불능 상황이나 오동작 상황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potable manual pulse gener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작 불량 또는, 동작 불능 상황이나 오동작 상황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나 수치제어장치 등의 조작반(operating panel)에는 공작물 원점좌표 설정 및 정밀한 이송을 위해서 각 축(axis)을 정확한 위치로 미세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지령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입력하도록 수동 펄스발생기(manual pulse generator)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동 펄스발생기의 조작에 의해 정확한 원점좌표의 설정이나 정밀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한 조작반의 수동 펄스발생기와는 별개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portable manual pulse generator control device)가 추가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에 의해 굳이 조작반에서 조작하지 않고 툴의 위치나 공작물의 위치를 가까이에서 보면서 원점좌표에 대한 설정이나 각 축의 정밀 이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수동 펄스발생기를 가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69335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0600호, 등록특허 제10-1013790호, 등록특허 제10-1183339호, 공개특허 제10-2016-006461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더욱이, 상기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양 측벽에는 이네이블 스위치가 각각 추가로 구비되어 이러한 두 이네이블 스위치를 동시에 가압한 상태에서만 수동 펄스발생기의 조작에 따른 신호 발생이 가능(등록특허 제10-1183339호 참조)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이네이블 스위치의 추가 제공을 통해 의도하지 않은 수동 펄스발생기의 조작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이네이블 스위치를 가압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스위치에 대한 정상 조작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동 펄스발생기의 정밀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사실상 그 정밀 조작이 진행되는 지에 대한 신뢰가 낮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전술된 종래의 기술은 이네이블 스위치의 조작시에만 해당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신호가 전달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네이블 스위치의 조작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여부나 상기 이네이블 스위치의 동작 불량에 대한 여부는 사실상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하지 못함에 따라 오조작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사실상 상당한 무게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속적인 휴대나 작동시 작업자의 피로도가 매우 높으나 상기한 이네이블 스위치는 가압이 이루어져야만 접점이 온(ON) 되는 가압식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가압으로 인한 작업 피로도가 급격히 증가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비상정지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도중 특이 상황의 발생시 비상 정지버튼의 조작으로써 기기를 비상 정지시키는 등의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 정지가 이루어졌을 경우 이를 주변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비상 정지가 이루어진 기기가 어떤 기기인지를 주변 작업자는 쉽게 알 수 없었고, 이로써 비상 정지를 해제하기 위한 행동은 모든 공작기계를 확인하거나 또는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확인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통상의 작업자는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지정된 위치에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쉽게 손닿는 곳에 얹어둠에 따라 쉽게 눈에 띄지 못하여 해당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찾는 시간으로 인한 작업 시간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등록특허 제10-069335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0600호 등록특허 제10-1013790호 등록특허 제10-1183339호 공개특허 제10-2016-006461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작 불량 또는, 동작 불능 상황이나 오동작 상황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에 따르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위한 이송량 및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동 펄스발생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작업자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신호 전달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발생에 의한 신호 전달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공작기계의 비상 정지를 위한 비상정지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상정지스위치의 조작 발생시 이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선택하여 발광시키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시와 비접촉시 발광되는 색상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부위 중 일부는 절개되거나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혹은, 비접촉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 중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가 위치되는 측의 표면 중 상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이네이블 스위치를 기계식 스위치가 아닌 터치형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자가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조작하는데 소요되는 피로감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에 대한 터치 발생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여부를 표시부를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작업자에 의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정밀 조작시 오조작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표시부가 쉽게 눈이 띄는 곳에 위치되도록 하면서도 제품의 로고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발광부의 추가 제공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터치 위치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조작 도중 순간적인 터치 위치의 이탈로 인한 수동 펄스발생기로의 신호 전달이 해제되는 현상 및 이로 인한 동작 불량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걸이홈이 후면에 숨겨진 상태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에 따른 심미감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크게 케이스(100)와 조작부와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동작 상태 및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작업자 혹은, 주변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100)는 내부에 각종 회로기판이나 회로부품 등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는 수동 펄스발생기(210)와, 축선택스위치(220)와, 배율선택스위치(230) 및 비상정지스위치(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는 공작기계의 작동을 위한 이송량 및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기로써,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변화되는 위상차 및 회전 방향을 판별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동 펄스발생기(210)는 포토인터럽터(212) 및 라인 드라이브 IC(214)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인터럽터(212)에서 휠(211)의 회전에 따른 광신호가 센싱되면 이를 라인 드라이브 IC(214)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는 공작기계의 NC(1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공작기계의 NC(11)로 펄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에는 마이컴(213)이 구비되며, 이러한 마이컴(213)은 터치 신호를 제어함과 더불어 발광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축선택스위치(220)는 툴(tool)의 이송하고자 하는 축(X방향 축, Y방향 축, Z방향 축)을 선택하는 스위치이고, 배율선택스위치(230)는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에 대한 배율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즉, 상기 축선택스위치(220)로 이송 축을 선택한 다음 배율선택스위치(230)로 선택한 배율 및 수동 펄스발생기(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축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40)는 비상 상황의 발생시 공작기계를 강제 정지시키는 스위치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중 상단측 중앙 부위에 위치되어 작업자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40)는 상기 NC(11)와 내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 PLC(1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발생 신호를 상기 PLC(12)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는 원치않는 조작 발생에 의한 공작기계의 동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용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면서 작업자가 접촉할 경우에만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의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가 공작기계의 PLC(12)로부터 입력받는 DC 24V의 전원을 DC 5V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310)와, 작업자의 접촉시 정전용량이 변화되도록 제공되는 터치센서(320)와, 상기 터치센서(320)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의 마이컴(213)으로 제공하는 터치 IC(330)와, DC 5V를 DC 24V 신호로 변환하여 PLC(12)로 출력하는 시그널 컨버터(signal convert)용 포터커플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네이블 스위치가 종래 기술과 같은 일반적인 가압식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식의 스위치로 구성함으로써 해당 이네이블 스위치를 가압함에 따라 야기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는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와는 달리 PLC(12)의 전원을 제공받아 변환한 후 사용되도록 하면서 상기 PLC(12)와 각종 감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표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조작 발생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표시부(400)는 둘 이상 복수의 색상을 발광시키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접촉시와 비접촉시 발광되는 색상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즉,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접촉시에는 청색이 발광되고,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비접촉시에는 초록색이 발광됨으로써 이러한 표시부(400)의 제공에 의해 작업자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조작 여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를 정확히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로 수동 펄스발생기(210)를 조작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의 정밀 조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 상단에는 걸이홈(110)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 하단에는 자석부재(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구조는 보관시 그 걸림 부위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자석부재(120)에 의해 보관을 위한 정위치가 아니더라도 임시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400)는 케이스(100)의 표면 중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가 위치되는 측의 표면 중에서도 상측 테두리 부위에 부분적으로 투명이나 반투명 부위가 존재하도록 형성된 표시창(410) 및 이 표시창(410)의 후방인 케이스(10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표시창(410)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도시는 생략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표시창(410)은 제품명 혹은, 회사명을 표현하기 위한 로고로 형성함으로써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에 대한 제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표시부(400)는 비상정지스위치(240)의 조작 발생시 이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40)의 조작시 해당 비상정지스위치(240)는 조작(가압)된 상태로 락킹되면서 공작기계의 강제적인 동작 중단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한 이후에는 상기 비상정지스위치(240)를 다시금 락킹 해제를 시켜야만 하나, 상기 공작기계가 복수일 경우 어떠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비상정지스위치(240가 락킹되었는지를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려워 작업자가 모든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비상정지스위치(240)를 일일이 확인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고려할 때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표시부(400)가 비상정지스위치(240)의 조작시 최초의 색상(예컨대, 파란색)과는 다른 색상(예컨대, 적색)으로 발광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원거리에서 해당 표시부(400)에 대한 확인을 통해 비상 정지 여부가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접촉 부위 중 일부는 절개되거나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접촉 혹은, 비접촉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50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어두운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접촉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한 발광부(5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의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표시부(400)와는 별도의 발광 제어를 통해 작업자가 자신이 터치한 부위의 정상 터치 여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그의 비사용시 공작기계나 조작반에 걸어서 보관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이루는 케이스(100)의 걸이홈(110)을 공작기계나 조작반에 구비된 걸고리에 걸어서 보관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케이스(100) 후면의 자석부재(120)에 의한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공작기계나 조작반의 벽면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보관 상태에서는 표시부(400) 및 발광부(500)는 미리 설정된 색상(예컨대, 파란색)으로 발광된다.
그리고, 상기한 보관 상태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해당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느 한 손으로 케이스(100)를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구비된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를 터치한 상태로 수동 펄스발생기(210)를 조작하면 된다.
즉,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터치가 발생될 경우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로의 신호 전달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그 터치가 이루어진 측의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에 위치된 발광부(500)의 발광 색상이 변화됨과 더불어 표시부(400)의 발광 색상이 변화된다. 즉, 최초 파란색의 빛을 발광하던 발광부(500) 및 표시부(400)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터치시 초록색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이 터치한 측의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졌는지 또는, 그 터치가 얼마나 정확히 이루어졌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음과 더불어 수동 펄스발생기(210)로의 신호 전달이 이루어졌는지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를 터치한 상태로 수동 펄스발생기(210)의 조작에 따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의 펄스 신호가 공작기계의 NC(11)로 제공되어 이를 토대로 한 공작기계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한 펄스 제어를 수행하는 도중 작업자가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로부터 터치를 해제하는 순간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210)로의 신호 전달이 차단됨과 더불어 발광부(500) 및 표시부(400)의 발광 색상이 변화되며, 이로써 작업자는 해당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순간적인 공작기계의 동작 중지가 필요하여 비상정지스위치(240)가 조작되면 수동 펄스발생기(210)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인 NC 제어에 의한 공작기계의 동작 중단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표시부(400)의 표시 색상이 미리 설정된 비상 정지시의 표시 색상(예컨대, 적색)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주변의 여타 작업자는 비상정지스위치가 조작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이 해소된 이후에는 상기 표시부(400)의 발광 색상을 인지함으로써 해당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비상정지스위치에 대한 락킹 해제 조작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이네이블 스위치를 기계식 스위치가 아닌 터치형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자가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를 조작하는데 소요되는 피로감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에 대한 정확한 터치 여부 및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의 터치에 의한 수동 펄스발생기(210)로의 신호 전달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여부를 표시부(400)와 발광부(500)를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작업자에 의한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의 정밀 조작시 오조작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발광부(500)의 색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표시부(400)의 색상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 혹은, 표시부(400)의 색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발광부(500)의 색상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토대로 불량 원인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표시부(400)가 쉽게 눈이 띄는 곳에 위치되도록 하면서도 제품의 로고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300)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발광부(5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터치 위치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조작 도중 순간적인 터치 위치의 이탈로 인한 수동 펄스발생기(210)로의 신호 전달이 해제되는 현상 및 이로 인한 동작 불량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는 걸이홈(110)이 후면에 숨겨진 상태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에 따른 심미감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1. NC 12. PLC
100. 케이스 110. 걸이홈
120. 자석부재 210. 수동 펄스발생기
211. 휠 212. 포토인터럽터
213. 마이컴 214. 라인 드라이브 IC
220. 축선택스위치 230. 배율선택스위치
240. 비상정지스위치 300.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
310. DC-DC컨버터 320. 터치센서
330. 터치 IC 340. 포토커플러
400. 표시부 410. 표시창
500.. 발광부

Claims (3)

  1. 공작기계의 작동을 위한 이송량 및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동 펄스발생기가 전면에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작업자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상기 수동 펄스발생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신호 전달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
    상기 케이스 전면의 상측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두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발생에 의한 신호 전달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하면서도 상기 두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혹은, 비접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면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접촉 부위는 일부가 절개되거나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터치형 이네이블 스위치의 조작을 위한 접촉 혹은, 비접촉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공작기계의 비상 정지를 위한 비상정지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상정지스위치의 조작 발생시 이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케이스 전면의 상측 테두리 부위에 부분적으로 투명이나 반투명 부위가 존재하면서 제품명 혹은, 회사명을 표현하기 위한 로고로 형성되는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의 후방인 케이스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표시창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KR1020180030485A 2018-03-15 2018-03-15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KR10204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5A KR102047908B1 (ko) 2018-03-15 2018-03-15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5A KR102047908B1 (ko) 2018-03-15 2018-03-15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74A KR20190108874A (ko) 2019-09-25
KR102047908B1 true KR102047908B1 (ko) 2019-11-22

Family

ID=6806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85A KR102047908B1 (ko) 2018-03-15 2018-03-15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339B1 (ko) * 2012-05-23 2012-09-14 김종욱 공작기계용 무선핸들러
KR101323129B1 (ko) * 2012-08-27 2013-10-30 손진환 전자석을 이용한 금형 탈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355B1 (ko) 2005-03-18 2007-03-09 정순원 공작기계용 무선수동펄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50600Y1 (ko) 2010-02-19 2010-10-18 이무상 공작기계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무선 핸들러
KR101013790B1 (ko) 2010-08-25 2011-02-14 구영진 공작기계 무선 제어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064610A (ko) 2014-11-28 2016-06-08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339B1 (ko) * 2012-05-23 2012-09-14 김종욱 공작기계용 무선핸들러
KR101323129B1 (ko) * 2012-08-27 2013-10-30 손진환 전자석을 이용한 금형 탈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74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9036B2 (en) Control stand for a crane, excavator, and the like
CN102150089B (zh) 用于输出或启用具有潜在危险的控制命令的可移动手动设备的操作方法及相应手动设备
EP2910332B1 (en) Machine tool
US11310887B2 (en) Device for securing a safety area around at least on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
US20050141681A1 (en) Mobile arithmetic unit and extension device for industrial machine control
US20030058623A1 (en) Modular safety switching device system
KR20070000199U (ko) 비접촉식 광스위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버튼
JP7036800B2 (ja) 工業制御システム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対応する制御システム
US10456880B2 (en) Processing machine and processing machine line
EP2610037B1 (en) Operating device and movable machine controlling system
US201400331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activating a user interface and device and installation using such a method and interface
JP5816723B1 (ja) 機械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遠隔操作装置および主操作装置
JP3526612B2 (ja) プレス装置
KR102047908B1 (ko) 터치 이네이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펄스 발생 이송 제어장치
EP1905573B1 (en) Two-hand switch device
CN104613592A (zh) 具有遥控器的家用电器
JP2022511663A (ja) 機械制御システムを駆動する方法及び機械制御システム
ITTV20120139A1 (it) Metodo per il controllo e l'attivazione di una interfaccia utente contestuale e dispositivo e impianto con tale metodo e interfaccia
KR101602930B1 (ko) 호이스트 제어장치
JP6214920B2 (ja) モータ駆動装置
RU130984U1 (ru) Пульт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одъемной машиной
CN105022349A (zh) 一种带触摸面板的总线式数控装置
TWI634458B (zh) 電腦輸入設備、指標輸入裝置及其設定方法
JP2022537020A (ja) 機械又はロボット用の安全スイッチ要素
JP6243140B2 (ja) モー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