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832B1 - 압력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압력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832B1
KR102047832B1 KR1020180146710A KR20180146710A KR102047832B1 KR 102047832 B1 KR102047832 B1 KR 102047832B1 KR 1020180146710 A KR1020180146710 A KR 1020180146710A KR 20180146710 A KR20180146710 A KR 20180146710A KR 102047832 B1 KR102047832 B1 KR 10204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plate
pressure release
release devi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희
Original Assignee
(주)대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기계 filed Critical (주)대영기계
Priority to KR102018014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압력해제장치를 기계장치에 고정시키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삽입되고, 제1 플랜지부의 중앙의 통공으로 돌출되는 파열판; 및 상기 파열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파열판의 일부분이 파열될 수 있도록 절개날이 형성된 절개판을 포함하는 압력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개방된 외측 통공을 커버하고, 기계장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 가능하여 파열판의 파열 시 외측으로 벌어지는 배출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구성은 단순화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압력해제장치의 과압 파열 시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해제장치{PRESSURE RELIEF DEVICE}
본 발명은 압력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압변압기와 같은 기계장치의 내압 상승 시 가스가 미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파손 및 손실 확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의 송배전·변전 시스템에서는, 고전압의 절연 매체로서 SF6 가스 또는 드라이 에어를 이용한다. 가스절연 개폐장치, 가스차단기, 가스단로기, 가스절연 변압기, 가스절연 송전관 등의 여러 가지 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기기에서는, SF6 가스를 고전압 절연 매체뿐만 아니라, 통전 시의 발열을 대류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 매체로서, 또한, 가스차단기, 가스단로기 등 전류 개폐를 수반하는 기기에서는, 개폐 동작 시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소멸시키는 소호 매체로서도 이용하고 있다.
초고압 차단기(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또는 초고압 가스절연개폐장치(High Voltage Gas Insulated Switch)는 옥내외 변전소에 설치되어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보호, 계측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용 조건 하에서 정상 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사고, 단락 등의 이상 상태에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계통을 적절히 보호하는 장치로서, 절연매체인 SF6 가스로 충진 밀폐된 철제용기 내에 단로기, 접지 개폐기, 차단기 등의 개폐설비와 모선을 내장시킨 개폐장치이다.
전력용 가스 절연 기기의 운용 시에는, 어떠한 문제점 등에 의해 밀폐 탱크 내에서의 아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내부 아크가 발생하면, 과대한 단락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그 고열에 의해 밀폐 탱크내의 해당 가스 구획의 압력은 급격히 상승한다. 이러한 압력으로 밀폐 탱크가 파열하면 주위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므로, 변압기 내의 압력이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 압력을 해제하는 압력해제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초고압차단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화가스가 스파크를 꺼주는 과정에서 스파크의 고열로 인해 소화가스가 팽창되어 내부에 충진된 소화가스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고압에 의해 초고압차단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제10-0308606호에서 경사진 칼날을 이용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해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압변조립체는 나이프가 중심으로 집중되어 방압변의 파열이 완전하게 일어나지 않고 일부 구간에서 파열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나이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제10-0957071호에서 디스크 나이프와 안내커버를 포함하는 초고압차단기용 압력해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압차단기용 압력해제장치는 외부의 안내 커버로 인해 미관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해져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렵고 파열 압력의 정확한 제어가 어렵고, 안내 커버가 과압력의 발생 및 상태를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안내 커버나 내부 파열디스크 조립체로부터 금속 파편이 고속으로 탈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과압력에서 신뢰성 있게 개방되고 파열판이 개방될 때 파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압력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장치의 구성은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며, 외부로 돌출된 안내 커버 등이 없어 외관이 깔끔한 압력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압력해제장치를 기계장치에 고정시키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삽입되고, 제1 플랜지부의 중앙의 통공으로 돌출되는 파열판; 상기 파열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파열판을 파열시키는 절개날을 갖는 절개판을 포함하는 압력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개방된 외측 통공을 커버하고, 기계장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 가능하여 파열판의 파열 시 외측으로 벌어지는 배출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플랜지부는 기밀부재를 수용하는 기밀부재 수용홈과 파열판이 안착되는 파열판 지지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부재 수용홈에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플랜지부는 외주연부에 압력해제장치는 압력해체장치를 기계장치의 외측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들과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외주연부에 제1 플랜지부의 관통공의 수와 체결공의 수를 합한 수에 대응되는 수의 압력해체장치를 기계장치의 외측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들을 구비하고, 제2 플랜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배출평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부의 통공과 동심원상을 이루고, 상기 절개판의 외경과 접하여 형성되는 환형의 방압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에서 상기 배출평판은 일측에 배출평판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갖는다.
상기 파열판 및 상기 배출평판은 내부식성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평판은 상기 파열판에 비해 두께가 8배 내지 10배 두꺼운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파열판은 제1 플랜지부에서 기계장치 쪽으로 돌출되는 원추형 또는 돔형일 수 있다.
절개판의 절개날은 내측 원주 일부 구간에 톱니형 칼날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에 의하면 압력해제장치의 파열 시 과압력에 의해 압력해제장치나 커버가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람이나 물건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이 깔끔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정확한 파열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력해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해제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배출평판이 분리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배출평판을 분리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파열판, 절개판 및 제2 플랜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제1 플랜지부의 다른 각도에서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의 압력해제장치는 초고압차단기 등에서 발생하는 팽창된 소화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초고압차단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압력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해제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배출평판이 분리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배출평판을 분리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파열판, 절개판 및 제2 플랜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제1 플랜지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는 변압기의 배출구에 인입되어 차단기 내부의 소화가스가 팽창하여 적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에 파열되어 배출함으로써 변압기 전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 파열판(140) 및 절개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해제장치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압력해제장치는 각각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압력해제장치를 기계장치에 고정시키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120);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삽입되고, 제1 플랜지부의 중앙의 통공으로 돌출되는 파열판(140); 상기 파열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파열판을 파열시키는 절개날을 갖는 절개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110)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1 경사면(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120)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제2 경사면(123)이 형성되고,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는 상기 제2 플랜지부(120)의 개방된 통공을 커버하고, 기계장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 가능하여, 파열판(140)의 파열 시 외측으로 벌어지는 배출평판(160)을 포함한다.
배출평판(160)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출평판(160)의 직경은 제2 플랜지부(120)의 개구부(130)의 직경보다 약간 커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평판(160)은 평상시에는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변압기 내부에 이상 고압력이 발생할 경우, 배출평판(160)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외부로 분출되는 소화가스의 경로를 일부 차단하여 비산 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배출평판(160)은 이와 같이 압력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소화가스에 의해 주변의 사람이나 시설물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배출평판(160)은 제2 플랜지부(110)의 외측에 고정된다. 배출평판(160)은 제2 플랜지부(110)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161)와, 상기 돌기부(161) 내에 형성되는 체결홀(162)을 포함한다.
파열판(140) 및 배출평판(160)은 내부식성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평판(160)은 상기 파열판(140)에 비해 두께가 8배 내지 10배 두껍게 제조된다. 상기 제1 플랜지(110) 및 제2 플랜지(1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평판(16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평판(160)을 제2 플랜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161)가 형성되고, 돌기부에 체결홀(162)이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구(163)는 이러한 체결홀(162)을 지나 제2 플랜지부의 배출평판 고정용 나사홈(125)에 고정되어 배출평판(160)을 제2 플랜지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120)는 일반적으로 링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는 통공(101, 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들은 압력해제장치를 초고압변압기에 고정시켜 배출구를 밀폐하는 것으로,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변압기에 결합되어 상기 압력해제장치를 압착고정한다. 상기 압력해제장치의 제1 플랜지부(110)의 통공(101)과 제2 플랜지부(120)의 통공(102)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제1 플랜지부(110)의 통공(101)의 직경(r1)이 제2 플랜지부(120)의 통공(102)의 직경(r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r1
Figure 112018117347714-pat00001
r2).
제1 플랜지부(110)의 통공의 내측면에는 전기기계에 고정되는 내측에서 외측(제2 플랜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제1 경사면(115)이 형성된 벤츄리관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이유는 압력 해제 장치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소화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압력 해제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제1 플랜지부(110)의 통공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되면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게 되므로 소화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한편, 제2 플랜지부(120)의 통공의 내측면에는 내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2 경사면(123)이 형성된다. 변압기 내부의 이상 압력에 의한 압력해제장치의 폭발 시 소화가스가 정압으로 배출된 후의 압력해제장치에는 순간적인 부압 현상으로 외기가 다시 유입되어 소화가스가 변압기 쪽으로 향하는 역류가 발생하며, 이러한 역기류는 압력해제장치의 정상적인 소화가스 배출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소화가스의 배출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화가스가 다시 압력해제장치 쪽으로 역류하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어 변압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제2 플랜지부(120)의 통공의 내측면에는 내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제2 경사면(12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해제 장치는 제1 플랜지부(110)의 제1 경사면(115)과 제2 플랜지부(120)의 제2 경사면(123)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변압기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파괴되기 전에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가 파손되어 소화가스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광범위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야기하는 폭발사고나 화재 발생을 효과적으로 사전에 예방하고, 전력공급시설 등의 시설물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제1플랜지부(110)는 기밀부재 수용홈(111)과 파열판(140)이 안착되는 파열판 지지단턱(112)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부재 수용홈(111)에는 기밀부재(130)가 삽입된다. 기밀부재(130)는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 사이에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밀부재(130)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오링을 들 수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립된 압력해제장치는 제1 플랜지부(110)를 변압기(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해서 설치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120)에는 압력해제장치를 변압기 등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체결 볼트들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121, 114)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에는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들(113)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배출평판(160)은 돌기부(161)내의 체결홀(162)을 관통하는 체결구(163)에 의해서 제2플랜지 (120)의 외측에 결착된다. 한편, 제1 플랜지부(110)의 변압기와 당접하는 외측 가장자리에는 변압기 등의 배출구에 끼워맞춤되는 단턱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120)는 외주연부에 제1 플랜지부(110)의 관통공(114)의 수와 체결공(113)의 수를 합한 수에 대응되는 수의 압력해체장치를 기계장치의 외측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들(121)을 구비하고, 제2 플랜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배출평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부(110)는 제1 플랜지부의 통공과 동심원상을 이루고, 상기 절개판(150)의 외경과 접하여 형성되는 환형의 방압홈(127)을 포함한다.
파열판(140)은 제1 플랜지부(110)와 절개판(150) 사이에 삽입되고, 내부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 시 파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내부 가스를 일정 압력범위 내에서 기밀을 유지하고, 일정 압력 이상에서는 파열된다. 파열판(140)은 중앙부가 제1 플랜지부(110)의 통공(101)내에 돌출되도록 돔형 또는 원추형 등으로 구성된다. 파열판(140)은 얇은 금속 시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파열 용량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개판(15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재의 박판으로 형성되며, 내측 일부 구간에 톱니모양의 절개날(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판(140)은 팽창되는 소화가스의 압력으로 인하여 팽창되는 파열판(150)을 톱니형상의 절개날 (153)에 의해 파열시켜 소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10)는 초고압변압기에 이상전류 인가 시에 전압을 차단하는 초고압변압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해제장치의 동작 시에는 변압기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소화가스에 의해서 적정 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파열판(140)이 팽창하게 되며, 절개판(150)의 톱니형 절개날(153)에 의해 파열되어 고온고압의 가스와 소화가스는 빠른 속도로 외부로 분출되고, 소화가스가 배출되면 변압기 내부는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 변압기 자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제1 플랜지부
111: 기밀부재 수용홈 112: 파열판 지지단턱
113: 체결공 114: 관통공
115: 제1 경사면
120: 제2 플랜지부
121: 관통공 122: 체결구
123: 제2 경사면 125: 체결공
127: 방압홈
130: 기밀부재 140: 파열판
150: 절개판 153: 절개날
160: 배출평판
161: 돌기부 162: 체결홀
163: 체결구

Claims (9)

  1.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압력해제장치를 기계장치에 고정시키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삽입되고, 제1 플랜지부의 중앙의 통공으로 돌출되는 파열판; 및 상기 파열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파열판을 파열시키는 절개날을 갖는 절개판을 포함하는 압력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개방된 외측 통공을 커버하고, 기계장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 가능하여 파열판의 파열 시 외측으로 벌어지는 배출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플랜지부는 기밀부재를 수용하는 기밀부재 수용홈과 파열판이 안착되는 파열판 지지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부재 수용홈에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플랜지부는 외주연부에 압력해체장치를 기계장치의 외측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들과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외주연부에 제1 플랜지부의 관통공의 수와 체결공의 수를 합한 수에 대응되는 수의 압력해체장치를 기계장치의 외측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들을 구비하고, 제2 플랜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배출평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부의 통공과 동심원상을 이루고, 상기 절개판의 외경과 접하여 형성되는 환형의 방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평판은 일측에 배출평판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판 및 상기 배출평판은 내부식성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평판은 상기 파열판에 비해 두께가 8배 내지 10배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판은 원추형 또는 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날은 내측 원주 일부 구간에 톱니형 칼날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해제장치.


KR1020180146710A 2018-11-23 2018-11-23 압력해제장치 KR10204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10A KR102047832B1 (ko) 2018-11-23 2018-11-23 압력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10A KR102047832B1 (ko) 2018-11-23 2018-11-23 압력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832B1 true KR102047832B1 (ko) 2019-11-22

Family

ID=6873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710A KR102047832B1 (ko) 2018-11-23 2018-11-23 압력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092B1 (ko) 2022-07-21 2023-04-18 엔텍월드(주) 능동형 방압판 파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997A (ko) * 2003-11-13 2006-12-11 파이크 코포레이션 파편발생이 없는 압력 릴리프장치
KR100957071B1 (ko) * 2009-07-28 2010-05-13 (주)대영기계 초고압차단기용 방압장치
KR101180663B1 (ko) * 2012-07-16 2012-09-10 한라산업주식회사 안전 파열판 및 이를 갖는 가스절연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997A (ko) * 2003-11-13 2006-12-11 파이크 코포레이션 파편발생이 없는 압력 릴리프장치
KR100957071B1 (ko) * 2009-07-28 2010-05-13 (주)대영기계 초고압차단기용 방압장치
KR101180663B1 (ko) * 2012-07-16 2012-09-10 한라산업주식회사 안전 파열판 및 이를 갖는 가스절연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092B1 (ko) 2022-07-21 2023-04-18 엔텍월드(주) 능동형 방압판 파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9904B2 (en) Device for preventing explosions in electrical transformers
KR101278105B1 (ko) 전기 변압기의 폭발 방지 장치
JP5416133B2 (ja) Oltcを火災から防止及び保護し、かつ/または変成器を爆発から防止及び保護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57071B1 (ko) 초고압차단기용 방압장치
KR100779872B1 (ko) 변압기용 파열방지시스템
KR100754740B1 (ko) 변압기의 외함 파열 방지장치
KR102047832B1 (ko) 압력해제장치
US4235347A (en) Air-tight molded resin enclosure with a safety membrane for electric devices
US20120200961A1 (en) Electric transformer explosion prevention device provided with a liquid detector
KR200475876Y1 (ko) 주상변압기용 밀폐장치
KR200226399Y1 (ko) 지상변압기용순간압력저감장치
KR200296641Y1 (ko)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KR20150087013A (ko) 압력장치의 압력방출용 파열판
KR200280159Y1 (ko)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
JPH02781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ガス封入容器
KR100594610B1 (ko) 공동주택용 부하개폐기의 고압가스 방출장치
KR20120131266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방압변 커버
US2291360A (en) Pressure relief device
KR20200065642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방압판의 커버 어셈블리
US3936703A (en) Gas-insulated electric power apparatus including a surge arrester with hot gas relief means
KR20220001730A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CN211351465U (zh) 一种充气柜的泄压结构
CN218858676U (zh) 一种航空机轮用过压保护装置
KR101180661B1 (ko) 안전 파열판 및 이를 갖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90044204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