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654B1 -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654B1
KR102047654B1 KR1020180073856A KR20180073856A KR102047654B1 KR 102047654 B1 KR102047654 B1 KR 102047654B1 KR 1020180073856 A KR1020180073856 A KR 1020180073856A KR 20180073856 A KR20180073856 A KR 20180073856A KR 102047654 B1 KR102047654 B1 KR 10204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astening
upper tank
semi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택
Original Assignee
정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택 filed Critical 정영택
Priority to KR102018007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which can be stably and semi-permanently used without separate power supply in underdeveloped countries or the like. To this end,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omprises: an upper tank accommodating the contaminated water therein and having a penetrated receiv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a filter module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tank and purifying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tank based on gravity; and a lower tank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filter module and collect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module.

Description

반영구 정수기 {Semi-permanent water purifier}Semi-permanent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없이 간단하게 오염수를 정수하여 마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반영구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진흙 등 부유물이 다수 포함된 오염수를 정수기 내 제공되는 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하며, 사용에 의해 오명된 필터를 다시 씻어 사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력 기반의 반영구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that supports drinking water by simply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and more specifically, purifies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a large number of suspended solids such as mud by using a filter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 gravity-based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re-washing the filter stigmatized by.

최근 저개발국가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 분야(Appropriate Technology, AT)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고도 정수가 아닌, 흙탕물 등을 간단하게 정수하여 마실 수 있는 간단한 정수기 등이 발명되고 있다. 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Appropriate Technology (AT) field that can be utilized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 simple water purifier, etc., which is capable of simply purifying muddy water and the like, is not invented.

그러나, 국내 또는 해외에서 제안되고 있는 기술이나 제품의 경우, 움용수의 수질이 나쁘고 전력 공급이 좋지 않은 저개발국가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고가이며, 전원 공급 등의 필요성으로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하기에도 제약이 있는 상황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echnology or products proposed in Korea or abroad, it is expensive to use in low-developed countries, such as poor water quality and poor power supply,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using it continuously due to the need for power supply. It was.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저개발국가의 주민 등이 안전하고, 손쉽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가 내에 내장되는 정수기 필터를 손쉽게 씻어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중력을 기반으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안정적으로 오염수를 정수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정수기가 필요하였다.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easily wash and reuse the water purifier filter inside the water purifier so that residents of less developed countries can use it safely and semi-permanently and stably pollute water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upply based on gravity. There was a need for a portable water purifier capable of water purification.

국제공개 특허 제WO 2012/14624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12/146243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1474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14744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117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174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력을 기반으로 별도의 전원 사용 없이도 안정적으로 오염수를 정수할 수 있는 반영구 정수기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that can stably purify contaminated water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based on gravity.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 내에 별도의 설정된 내부 구조물에 안착된 필터를 통해 흙탕물 등 고도 정수(高度 淨水)가 요구되지 않는 흙탕물 등의 오염수를 간단하게 정수할 수 있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 따라 정수 기능이 약화되었을 경우, 필터만을 다시 씻어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정수기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반영구 정수기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urify contaminated water, such as muddy water, such as muddy water, which does not require high water purification, such as muddy water, through a filter seated in a separate internal structure in the water purifier,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f this weakened, there is also a purpose to provide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that supports the reuse of the water purifier easily by washing only the filter again.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 내 필터 수를 변경함으로써, 정수 속도, 정수되는 물의 양 및 오염수의 정수 품질 등을 정수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반영구 정수기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that can support the user of the water purifier by changing the number of filters in the water purifier, so that the water purification speed, the amount of water to be purified, and the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오염수를 수용하고, 하부면에는 관통된 수용홈이 형성된 상부 탱크; 상기 상부 탱크와 하부와 체결되고, 상기 상부 탱크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를 중력을 기반으로 정수하는 필터 모듈; 및 상기 필터 모듈과 상부가 체결되고, 상기 필터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집수하는 하부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상부 탱크에서 상기 필터 모듈로 유입되는 상기 오염수를 정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 상기 하부 탱크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체결단, 상기 체결단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벽체부 및 상기 체결단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 탱크로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돌기 모양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과 상기 벽체부를 통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 수용부; 및 상기 상부 탱크의 하부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수용부와 체결되어 상기 필터 모듈을 고정하는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의 제공을 통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n upper tank accommodating contaminated water therein, and a lower receiving surface formed with a penetrating groove; A filter module coupled to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part and purifying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tank based on gravity; And a lower tank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filter module and collecting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module, wherein the filter module may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module from the upper tank. One or more filters; A fastening end forming a bottom surface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lower tank, a cylindrical wall portion formed to have a height se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and one end attached to the fastening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upper tank. A filter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fastening protrusion of a protrusion shape which can be inserted through and accommodating the filter in an inner space partitioned through the fastening end and the wall part;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rough the provision of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and includes a fastening support for fastening with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to secure the filter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필터는, 상면에 복수개의 미세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미세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미세수용구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미세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오염수 내부의 불순물이 상기 미세수용구에 포집되어 정수되며, 상기 필터는, 재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 형성되어, 물로 씻거나 말려 터는 방식을 통해 상기 미세수용구에 포집된 불순물을 손쉽게 제거하여,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micro-receptors formed along the plurality of micro-channels are formed, the filter flows into the filter And impurities in the contaminated water moving along the micro channel are collected and purified by the micro water port, and the filter is integrally formed of a reusable plastic material and washed or dried with wat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mpurities in the form of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urities collected in the receiving port can be easily removed and semi-permanently reused.

또한 상기 필터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미세유로와 복수개의 상기 미세수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관통 형성된 필터관통부가 형성된 필터형성부; 및 상기 필터형성부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필터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제1필터의 상기 필터체결부가 하부에 위치한 제2필터의 상기 필터형성부의 상기 필터관통부의 홈을 따라 안착되어, 복수개의 필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 filt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m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he microchannels and a plurality of the microreceptor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filter through portion formed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filter; And a filter fastening part integrally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lter forming part, wherein the filter fastening part of the first filter is seated along the groove of the filter through part of the filter forming part of the second filter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filters. It is also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can be stacke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체결 지지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1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홈을 통해 상기 상부 탱크에 수용된 오염수가 상기 체결 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상부 탱크의 하부면에서 위쪽으로 점진적으로 내경이 줄어드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설정된 일측에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홈을 통해 상기 제1홈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필터 수용부로 유입되며, 상기 체결단은, 상기 필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하부 탱크로 유출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3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ncluding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 contaminated water accommodated in the upper tank through the first groove is introduced into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the receiving groove And a protrus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t height of gradually decreasing an inner diameter up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and including a sec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wherein the first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groov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groove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and the fastening end may include one or more thirds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may flow out into the lower tank through the filter located inside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It is also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ove.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상부 탱크 방향으로 돌출 형성(상부 탱크 내부로 수용 가능한 방향)되는 상기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체결돌기가 내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의 폭에 대응되는 관통구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나사산에 체결 대응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 지지부를 체결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탱크와 상기 필터 모듈을 체결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체결 지지부와 상기 체결돌기의 체결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필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필터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필터 모듈에 사용되는 상기 필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s,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ther end is forme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tank (receivable in the upper tank),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the fastening projections so that the fastening projections can be screwed therein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that can correspond to the screw threa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by rotating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to fasten the fastening projection and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By doing so, the upper tank and the filter module can be fastened, and the fastening height of the fastening support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filters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number of the filter used in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even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영구 정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상부 탱크에 수용된 오염수가 하부 탱크로 중력에 따른 이동을 하면서 흙 등의 오염수 내 이물질이 걸러지고,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된 물이 하부 탱크로 수용됨으로써 정수 과정에 별도의 전원 공급이 없이 안정적으로 오염수를 정수할 수 있게 된다.As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tank moves to the lower tank by gravity,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minated water, such as soil, are filtered out, and purified water without foreign substances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tank, so that there is no power supply for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purified.

또한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필터 모듈 내 필터 수를 변경함으로써 정수 속도, 정수되는 물의 양이나 오염수의 정수 품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 의해 정수 속도나 정수되는 물의 양 등이 저하될 경우, 필터 모듈 내 필터를 간단히 씻거나, 터는 것만으로도 필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number of filters in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water purification speed, the amount of water to be purified or the water purification quality of the contaminated wa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water purifier semi-permanently by allowing the filter to be reused by simply washing or breaking the filter in the filter module.

또한, 저개발국가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이나 관리에 있어서도 모듈화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할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의 손상이나 분실의 경우에도 손쉽게 다른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for use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through modularization in use and management, and can be easily replaced with other parts even in case of damage or loss of some part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3a는 정면도를, 도 3b는 상부 사시도를, 도 3c는 하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의 오염수 정수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모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front view, Figure 3b is a top perspective view, Figure 3c is a view showing a lower perspective view.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process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referred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반영구 정수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탱크(100), 하부 탱크(200) 및 필터 모듈(300)을 포함한다.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upper tank 100, the lower tank 200 and the filter module 300.

상부 탱크(100)는 반영구 정수기(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염수 저장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 사용자가 오염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이를 덮을 수 있는 별도의 뚜껑(미도시)이나 오염수 주입구(미도시)가 상부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탱크(100)의 하부면에는 이하 후술한 필터 모듈(300)의 일부가 관통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부 등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부면은 막혀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홈(1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점진적으로 내경이 줄어드는 원통형 형상의 돌기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용홈(110)은, 이하 후술할, 체결 지지부(330)의 내부에 밀폐 수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부 탱크(100)의 설정된 일부 하부면에 형성된 수용홈(110)의 돌기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2홈(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홈(A)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가 다시 제3홈(C)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로 이용될 수 있다.The upper tank 100 is a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ned to cover the contaminated water. Separate lid (not shown) or contaminated water inlet (not shown) may be formed separately on the top or one side.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0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such as the center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filter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penetrated, the remaining lower surface is provided in a form that is blocked. Can b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rojection of a cylindrical shape gradually reducing the inner diameter upwards, in this case the receiving groove ( The 110 is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osed. In addition, one or more second grooves B may be formed in the projections of the accommodation grooves 110 formed on some lower surfaces of the upper tank 100, and contaminant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grooves A may be formed. The number may be used as a flow path that can move back to the third groove (C).

하부 탱크(200)는 반영구 정수기(10) 하부에 위치하는 정수된 식용수 저장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 사용자가 하부 탱크(200)에 수용된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도꼭지 등과 같은 선택적 밀폐수단(미도시) 등이 하단부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tank 200 is a purified drinking water storage unit positioned below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nd the user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rink purified water contained in the lower tank 200. Optional sealing means such as a separate faucet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r one side.

필터 모듈(300)은 중력에 의해 상부 탱크(100)에서 하부 탱크(200)로 이동하는 오염수를 정수할 수 있는 정수 필터 구조체를 지칭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300)은 필터 수용부(310), 체결 지지부(330) 및 필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300 refers to a water filter structure capable of purifying the contaminated water moving from the upper tank 100 to the lower tank 200 by gravity, and for this purpose,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00 may include a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a fastening support part 330, and a filter 350.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300)은, 중력에 의해 상부 탱크(100)에서 필터 모듈(300)로 유입되는 오염수를 정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350)를 포함하고, 하부 탱크(200)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체결단(311), 체결단(311)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벽체부(313) 및 체결단(311)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부 탱크(100)로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돌기 모양의 체결돌기(315)를 포함하고, 체결단(311)과 벽체부(313)를 통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필터(350)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 수용부(310) 및 상부 탱크(100)의 하부면 내측에 위치하고, 필터 수용부(310)와 체결되어 필터 모듈(300)을 고정하는 체결 지지부(330)를 포함한다.That is, the filter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filters 350 capable of purifying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module 300 from the upper tank 100 by gravity, In the fastening end 311 forming the bottom surface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tank 200,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313 and the fastening end 311 formed to have a set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311 One end is attached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rojection-like fastening protrusion 315 tha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upper tank 100, the filter in the internal space partitioned through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wall portion (313) It includes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0 that can accommodate the 3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330 is fastened to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0 to secure the filter module 300 do.

필터 수용부(310)는 하단부에 하부 탱크(200)와 안정적 체결 부착을 지원할 수 있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부로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체결단(311), 체결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350)를 수용하는 벽체부(313) 및 하단부는 체결단(311)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벽체부(3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돌기(315)를 포함한다.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end 311 which is protruded to a length set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o as to support a stable fastening attachment with the lower tank 200 at a lower end thereof, The wall part 313 and the lower end accommodating the one or more filters 35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upper end protrudes upwar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located inside the wall part 313. Include.

체결단(311)은 필터 수용부(310)의 하단부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아래에 위치할 하부 탱크(200)와 밀착 체결되며, 위쪽에는 벽체부(313) 및 체결돌기(315)가 각각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벽체부(313)는 체결단(311)의 원주면을 따라 일종의 원통형 벽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단(311)의 중앙에는 체결돌기(315)가 부착된다. 또한 체결단(311)은 하부에 하부 탱크(200)로 정수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3홈(C)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end 311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and is tightly fastened to the lower tank 200 to be positioned below, and the wall part 31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re respectively located on an upper side thereof. Is formed.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3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kind of cylindrical wall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311,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end 311 ) Is attached. In addition, the fastening end 311 may include one or more third grooves (C)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tank 200.

벽체부(313)는 체결단(311) 상면의 단부를 따라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벽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후술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3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필터의 단면과 대응될 수 있는 설정된 너비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wall portion 313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wall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long an end of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end 311, and may correspond to a cross section of the filter so as to accommodate one or more filters 35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set width.

체결돌기(315)는 체결단(311) 상면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 사용시 상부 탱크(100) 내부로 일부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된 돌기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체결돌기(315)는 벽체부(313)의 설정된 높이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어, 이후 후술할 체결 지지부(330)와 단부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돌기(315)는 체결 지지부(330)의 중앙을 중심으로 형성된 관통된 홀에 삽입되고, 끼워지거나 나사 결합되고,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나사산이나 체결 유지 돌기 등이 체결 지지부(3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 315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311, and refers to a protrusion that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tank 100 when using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t height of the wall portion 313, so that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end thereof may be fastened later. To this e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around the center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and is fitted with a screw thread or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such that a screw thread or a fastening holding protrusion can be maintained in a fastened state.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체결 지지부(330)는 상부 탱크(100)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 체결돌기(315)와 체결되어, 상부 탱크(100)와 필터 모듈(300)이 임의 탈락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체결 지지부(330)의 내부와 이와 대응되는 체결돌기(315)의 외부는 각각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와 수나사와 같은 나사홈이 형성되거나, 끼움 결합을 통해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지지부(330)는 상부 탱크(100)가 필터 모듈(300)과 임의 탈락하거나 체결해제 되지 않도록 상부 탱크(100)의 수용홈(110)보다 단면이 크게 형성되며, 체결돌기(315)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탱크(100)의 아래쪽에서 삽입되는 필터 모듈(300)의 체결돌기(315)가 상부 탱크(100) 내부로 삽입되고, 내부로 삽입되어 돌출된 체결돌기(315)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시 상부 탱크(100)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 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nserted into the upper tank 100 to refer to a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tank 100 and the filter module 300 so as not to drop off arbitrarily. To this end, the inside of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corresponding thereto are formed with a screw groove, such as a female screw and a male thread, which can be screwed, respectively, or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by fitting. 315 may be combined. In addition,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has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upper tank 100 so that the upper tank 100 is not dropped or released from the filter module 300 arbitrarily,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formed. It may be formed to a sufficient height to accommodate therein. Through this,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of the filter module 300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ank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tank 100, and a part or all of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tank 100. It will have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screw coupling or fitting coupling, etc.) and the fastening support 330 which is located inside the upper tank 100 again.

이때, 체결 지지부(330)는 나사 결합과 같이, 체결돌기(315)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리는 횟수에 따라 체결돌기(315)와의 체결 깊이(체결돌기(315)가 체결 지지부(330)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끼움 체결 방식의 경우에도 체결 지지부(330)가 체결돌기(315)와 끼워지는 위치(또는 높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의 체결(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 높이 조절을 통해 필터 수용부(310)에 수용되는 필터(350)의 개수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 필터 수용부(310)에 하나의 필터(350)만이 수용된 경우에는,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의 체결 강도를 높게(나사 결합 시, 체결 지지부(330)를 일반적인 상황보다 많이 돌려 체결돌기(315)가 상부 탱크(100) 내부로 더 많이 노출되도록)하여 필터 수용부(310)의 내부 체적 공간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필터 수용부(310)에 많은 수의 필터(350)를 수용하게 될 경우에는, 반대로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의 체결 강도를 낮게(나사 결합 시, 체결 지지부(330)를 일반적인 상황보다 적게 돌려 체결돌기(315)가 상부 탱크(100) 내부로 덜 노출되도록)하여 필터(35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필터 수용부(310)의 내부 체적 공간도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support 330 is a fastening depth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fastening protrusion 315 is fastening support portion 3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rns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inserted therein, such as screwing. The position inserted into the inside) can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tting fastening method, the fastening support 330 may change the position (or height) 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fitted. Through this,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which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screw coupling or fitting coupling) to the number of filters 350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0 by height adjust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spond flexibly. That is, when only one filter 350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fastening strength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high (when screwing,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mor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tank 100 by turning more than a general situation, so that the internal volume sp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can be made small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filters 350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the contrary, the fastening strength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low (when screwing, The internal volume sp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that can accommodate the filter 350 therein by turning the support part 330 less than usual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les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tank 100 is also provided. It becomes possible to form more widely.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는 상부 탱크(100)의 수용홈(110)을 밀폐한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 결합된 체결돌기(315)에 의해, 상부 탱크(100) 내부의 오염수는, 이하 후술할, 제1홈(A), 제2홈(B) 및 제3홈(C)을 순차적으로 통해서만 하부 탱크(200)로 오염수가 이동하며 정수되는 방식을 가지게 된다.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minated water in the upper tank 100 by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coupled to the fastening support 330 sealing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upper tank 100. The contaminated water moves to the lower tank 200 only through the first groove A, the second groove B, and the third groove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urify the water.

이를 위해 체결 지지부(330)는 상부 탱크(100)에 수용된 오염수가 필터 모듈(300)로 중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 등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1홈(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A)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다시 체결 지지부(330) 내측에 위치하는 수용홈(110)의 일측에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2홈(B)으로 유입되며, 필터 수용부(310) 내부의 필터(350)에 의해 불순물 등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된 물은 다시 체결단(311)의 하측부 등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3홈(C)을 통해 하부 탱크(200)로 집수된다.To this end, one or more first grooves A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that the contaminated water accommodated in the upper tank 100 may move to the filter module 300 by gravity.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groove A is introduced into one or more second grooves B form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positioned inside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and the filter accommodation part 310. Purified water from which foreign matters such as impurities are removed by the filter 350 inside the lower tank 200 through one or more third grooves C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end 311. To be collec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3a는 정면도를, 도 3b는 상부 사시도를, 도 3c는 하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front view, Figure 3b is a top perspective view, Figure 3c is a view showing a lower perspective view.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350)는 벽체부(313)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가 직사각형의 필터형성부(350a), 하부는 사다리꼴 형태의 필터연결부(350b)로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체결돌기(315)가 관통할 수 있는 필터관통부(350c)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350)는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공되어, 이물질 등 불순물의 제거가 쉽고, 씻거나 털어 반영구적 재사용이 용이하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wall portion 313, and has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 rectangular filter forming portion 350a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trapezoidal filter connecting portion 350b. It is formed in, and has a filter through portion 350c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can pass. In addition, the filt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lastic material having a formed elasticity, and it is easy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foreign substances, and easy to semi-permanently reuse by washing or shaking.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350)는 자체적으로 오염수를 흡수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않으며, 오염수가 이동하면서 불순물 등이 걸릴 수 있는(거름 작용) 다수의 미세유로(351)와 이를 따라 형성되는 미세수용구(353)가 형성된다.That is, the filt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lay a role of absorbing contaminated water by itself, and is formed along with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351 through which contaminated water may take impurities (manure action). The microreceptor 353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는 제2홈(B)을 통해 필터 수용부(310)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는 필터형성부(350a)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유로(351)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게 되며, 미세유로(351)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미세수용구(353)에 오염수에 포함된 흙, 모래, 이물질 등의 불순물이 수용되고, 오염수는 지속적으로 미세유로(35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오염수가 정수되게 된다.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0 through the second groove (B) is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35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forming portion (350a) It moves slowly along, and the impurities, such as soil, s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are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micro-receptors 353 formed along the micro-channel 351, the contaminated water is a micro-channel 351 continuously As it moves along, the contaminated water becomes purified.

또한 보다 효과적인 오염수의 이동을 위해 필터형성부(350a)는 바깥쪽 또는 안쪽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완만하게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내려가는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에 따라 필터형성부(350a)의 바깥 측부터 유입되는 오염수가 필터형성부(350a) 표면의 경사를 기반으로 미세유로(351)를 따라 천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move the contaminated water,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may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or outward while moving to the outside or the inner center, an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the outside of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from the side may be allowed to slowly move along the micro channel 351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형성부(350a)가 바깥쪽으로 낮아지는 경사로 형성될 경우, 필터형성부(350a)의 바깥쪽 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홈(미도시)형성되고,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해 미세유로(351)를 통과한 물이 체결단(311)과 벽체부(313)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다시 제3홈(C)을 통해 하부 탱크(200)로 집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one or more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and the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micro channel 351 through the water is receiv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wall portion 313, and may be collected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third groove C agai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형성부(350a)가 안쪽으로 낮아지는 경사로 형성될 경우, 필터형성부(350a)의 안쪽 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홈(미도시)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해 미세유로(351)를 통과한 물이 체결단(311)과 벽체부(313)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다시 제3홈(C)을 통해 하부 탱크(200)로 집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ter forming part 35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one or more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filter forming part 350a, and the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micro channel 351 through the water is receiv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wall portion 313, and may be collected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third groove C again. .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는 필수 수용부(310)에 다수개의 필터(350)를 적층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ters 350 in the essential accommodating part 310.

이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필터(350, 제1필터)의 필터체결부(350b)가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필터(350, 제2필터)의 필터형성부(350a)에 수용 안착되고, 이러한 체결 방식을 통해 필터 수용부(310), 즉 체결단(311)과 벽체부(313)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필터(350)가 안정적으로 적층 가능하게 되며, 동일한 형태와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필터(350) 각각의 중심에 형성된 필터관통부(350c)를 통해 체결돌기(311)가 관통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filter fastening part 350b of the filter 350 (first filter) located at the upper part is accommodated and seated in the filter forming part 350a of the other filter 350 (second filter) located at the lower part, Through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that is, the plurality of filters 350 can be stably stack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wall portion 313, a plurality of filter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hape ( The fastening protrusions 311 may pass through the filter through portions 350c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portions 35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필터 수용부(310) 내부에 수용된 필터(350)의 개수에 따라 체결단(311)과 체결 지지부(330)의 체결 강도(체결 높이)를 조절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3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반영구 정수기(10) 사용자의 필요(오염수의 오염 정도, 정수 요구 시간이나 정수가 필요한 물의 양 등)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필터(3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fastening strength (fastening height) of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is accommodated therein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lters 350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Since the number of filters 350 can be adjusted, the number of filters 350 to be used freel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contamination degree of contaminated water, required time for purified water or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purified water, etc.). Will be.

즉, 본 발명에 따른 체결돌기(315)는, 상부 탱크(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일단부는 체결단(311)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체결 지지부(330)는, 체결돌기(315)가 내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315)의 폭에 대응되는 관통구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는 체결돌기(315)의 나사산에 체결 대응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 지지부(330)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돌기(315)와 체결 지지부(330)를 체결하여 상부 탱크(100)와 필터 모듈(300)을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할 수 있다.That is,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ther e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tank 100 (one e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311),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330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can be screwed therein,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may b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nd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by rotating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to fasten or release the upper tank 100 and the filter module 30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350)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미세유로(351)와 복수개의 미세수용구(353)가 형성되고, 필터(35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관통 형성된 필터관통부(350c)가 형성된 필터형성부(350a) 및 필터형성부(350a)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필터체결부(350b)를 포함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제1필터의 필터체결부(350b)가 하부에 위치하는 제2필터의 필터형성부(350a)의 필터관통부(350c)의 홈을 따라 안착되어, 복수개의 필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영구 정수기(10)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필터(350)의 수를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the filt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351 and a plurality of microreceptors 353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ilter through part formed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filter 350. The filter forming part 350a having the 350c formed therein and the filter fastening part 350b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forming part 350a may include the filter fastening part 350b of the first filter. It is seated along the groove of the filter through portion 350c of the filter forming portion 350a of the second filter located below, so that a plurality of filters can be stacked stably, an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upport to use the number of filters 350 elastically.

또한,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체결 높이(체결된 깊이) 조절을 통해, 필터 수용부(310)에 수용된 필터(350)의 개수에 대응(즉, 필터(350) 개수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의 체결 깊이를 깊게, 반대로 많은 필터(350)가 필터 수용부(310)에 수용된 경우에는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의 체결 깊이를 얕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자유롭게 필터 모듈(300)에 사용되는 필터(3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fastening support pa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re fastened, the fastening height (fastened depth)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ilters 350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that is, the filter ( 350, if the number is not large, the fastening depth of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is deep,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filter 350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fastening depth of (315) to shallow), it can be advantageous to be able to freely adjust the number of filters 350 used in the filter module 30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복수개의 필터(350)가 적층된 경우에도, 하나의 필터(350)를 통해 정수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필터(350)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도 제2홈(B)을 통해 필터 수용부(3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는 필터(350)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필터형성부(350a)의 미세유로(351)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면서, 흙 등의 이물질이 미세수용구(353)에 수용되고, 물은 계속 미세유로(351)를 따라 흘러 최종적으로 제3홈(C)을 통해 하부 탱크(200)로 정수된 물이 집수될 수 있다. 또한 필터형성부(350a)가 각각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홈(B)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가 보다 안정적으로 미세유로(351)를 따라 흘러갈 수 있도록 하고, 각 필터(350)의 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미세유로(351)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제3홈(C)을 통해 하부 탱크(200)로 유입될 수도 있다.Even when the plurality of filters 350 are stacked,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groove B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s 35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 purification through one filter 350.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slowly moves along the micro-channel 351 of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formed on each of the filters 350,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are accommodated in the micro-receptor 353. Water continues to flow along the micro channel 351 to finally collect the purified water 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third groove (C). In addition,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is formed to have a gentle inclination toward the outside or the inside, respectively,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groove B can flow more stably along the micro-channel 351, One or more grooves (not shown) may be formed at an end of each filter 350 so that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icrochannel 351 may flow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third groove C. .

오염수의 반복 정수 등에 따라 미세유로(351)를 따라 형성된 미세수용구(353)에는 흙, 먼지, 모래 등의 불순물이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이에 따라 정수 효율이나 정수되는 물의 양, 정수 시간이 저하되게 된다. 이 경우 반영구 정수기(10) 사용자는 반영구 정수기(10)를 분해하여 필터 모듈(300) 내부에 수용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350)를 다시 물에 씻거나, 물기를 제거한 이후 필터(350)를 털어, 미세수용구(353)에 수용되고 있는 흙, 먼지, 모래 등을 제거하고 다시 필터 모듈(300)에 결합함으로써 반복적이고 안정적으로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350)가 플라스틱 소재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동시에 표면에 다양한 미세유로(351)와 미세수용구(353)가 형성됨에 따라 가지게 되는 특성, 즉 손쉬운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the micro water container 353 formed along the micro channel 351 according to the repeated purified water of contaminated water, impurities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dust, and sand accumulate, and thus, the efficiency of water purification,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the water purification time decrease. Will be.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disassembles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nd washes one or more filters 350 accommodated inside the filter module 300 in water or removes water and then shakes off the filter 350. By removing the soil, dust, sand and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micro-receptor 353, and combined with the filter module 300 again, it is possible to use the water purifier repeatedly and stably. This is because the filt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lastic restoring force as a plastic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microchannels 351 and microreceptors 353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hat is, it is easy to reus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미세수용구(353)에는 불순물 함유에 따른 오염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쾌한 냄새 제거를 위한 탈취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탈취제(미도시)는 천연 성분으로 베이킹 소다를 캡슐화하여 제공하거나, 베이킹 소다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과 같은 에센스 오일을 섞어 고형화된 형태로 미세수용구(353)의 안쪽이나 표면 등에 도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취제(미도시)의 안정적 체결을 위해 필터(350) 표면이나 미세유로(351) 및/또는 미세수용구(353)를 따라 가볍게 덮을 수 있는 얇은 천이나 부직포, 종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천 등에 고정 부착(도포 등)된 탈취제(미도시)를 통해 필터(350) 내부에 형성된 미세유로(35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수되는 오염수에 탈취제(미도시) 성분이 녹아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필터(350)를 통해 정수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도 탈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receptor 353 may include a deodorant (not shown) for removing an unpleasant odor that may occur in the contaminated water due to the impurity. The deodorant (not shown) may be provided by encapsulating baking soda as a natural ingredient or by mixing the baking soda with an essence oil such as eucalyptus oil and being applied to the inside or the surface of the microreceptor 353 in a solidified form. Can be. In addition, a thin cloth, a non-woven fabric, and a paper that may be lightly covered along the surface of the filter 350 or the microchannel 351 and / or the microreceptor 353 may be provided to stably fasten the deodorant (not shown). The deodorant (not shown) is prevented from dissolving in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moving along the micro channel 351 formed inside the filter 350 through a deodorant (not shown) fixedly attached to a cloth (not applied). In addition, the filter 350 may perform a function of deodorizing the unpleasant odor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purifi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를 경우 상기 탈취제(미도시)는 녹차, 감잎, 진피, 및 팔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캡슐형 탈취제로 미세수용구(353) 내부나 표면, 미세유로(351) 등을 따라 부착 제공 가능하며, 이와 별도로 제공되는 천이나 부직포, 종이 등에 코팅되거나 고정 부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odorant (not shown) is fine as a capsule deodorant provided by using a plant extract comprising an extract of one or more pla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een tea, persimmon leaf, dermis, and octagonal It can be attached and provided along the inside o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353, the micro-channel 351, etc., may be provided coated or fixedly attached to a cloth, non-woven fabric, paper, etc. provided separate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의 오염수 정수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process of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는 흙, 먼지, 모래 등 이물질이 포함되어 음용에 적합하지 않거나 음용이 어려운 물, 즉 고도 정수 처리가 필요로 하지 않는 오염수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treating contaminated water that contains foreign matter such as soil, dust, sand is not suitable for drinking or difficult to drink, that is, high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is not requir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정수기(10)는 상부 탱크(100)에 수용되는 오염수가 체결 지지부(330)의 일측면 등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1홈(A)을 통해 체결 지지부(330) 내부로 유입된다. To this end, the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ing support through the first groove (A) formed in one or more at a set position, such as one side of the fastening support 330, the contaminated water accommodated in the upper tank 100 330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이후 제1홈(A)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다시 체결 지지부(330)와 체결돌기(315)에 의해 밀폐된 상부 탱크(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용홈(110)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2홈(B)을 통해 필터 수용부(310) 내부로 유입된다. Sinc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groove (A) is one or more in the receiving groove 1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100 closed by the fastening support 33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gain. It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through the formed second groove (B).

필터 수용부(310)로 유입된 오염수는 체결단(311), 벽체부(313) 및 체결돌기(315)로 형성된 필터 수용부(310) 내부 공간에 별도로 제공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35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수된다. 즉 필터형성부(350a)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유로(351)를 따라 오염수가 이동하면서 미세유로(351)를 따라 형성된 미세수용구(353)에 오염수에 포함된 흙, 먼지, 모래 등의 불순물이 포집(즉, 미세수용구(353)에 불순물이 포집 수용되어 걸러짐)되고, 오염수는 계속 미세유로(35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불순물이 걸러 지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형성부(350a)는 바깥쪽 등으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고, 바깥쪽 단부에는 별도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미세유로(351)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체결단(311)의 단부 등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제3홈(C)을 통해 하부 탱크(200)로 정수된 물이 유입된다.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may include one or more filters 350 separately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10 formed of the fastening end 311, the wall part 31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315. Are integers moving along That is, impurities such as soil, dust, sand,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micro-receptor 353 formed along the micro-channel 351 while the contaminated water moves along the plurality of micro-channels 351 formed in the filter forming unit 350a. This collection (that is, impurities are collected and filtered in the microreceptor 353), and the contaminated water continuously filters along the microchannel 351 to continuously filter out the impurities.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filter forming part 350a forms a gentle inclination toward the outside and a separate groove is formed at the outer end thereof so that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icrochannel 35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311.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third groove C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an end portion of the lower tank 200.

이후 반영구 정수가(10) 사용자는 체결단(311)과 하부 탱크(200)를 분리하여 하부 탱크(200) 내에 집수된 정수된 물을 음용하거나 요리 등 물이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semi-permanent purified water 10 user can separate the fastening end 311 and the lower tank 200 to drink purified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tank 200 or use it where water is needed, such as cook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an be carried out.

10: 반영구 정수기
100: 상부 탱크
110: 수용홈
B: 제2홈
200: 하부 탱크
300: 필터 모듈
310: 필터 수용부
311: 체결단
C: 제3홈
313: 벽체부
315: 체결돌기
330: 체결 지지부
A: 제1홈
350: 필터
350a: 필터형성부
350b: 필터체결부
350c: 필터관통부
351: 미세유로
353: 미세수용구
10: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100: upper tank
110: receiving home
B: 2nd groove
200: lower tank
300: filter module
310: filter housing
311: fastening end
C: 3rd groove
313: wall part
315: fastening protrusion
330: fastening support
A: 1st groove
350: filter
350a: filter forming unit
350b: filter connection part
350c: filter through part
351 microfluidic
353: microreceptors

Claims (5)

내부에 오염수를 수용하고, 하부면에는 관통된 수용홈이 형성된 상부 탱크;
상기 상부 탱크와 하부와 체결되고, 상기 상부 탱크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를 중력을 기반으로 정수하는 필터 모듈; 및
상기 필터 모듈과 상부가 체결되고, 상기 필터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집수하는 하부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상부 탱크에서 상기 필터 모듈로 유입되는 상기 오염수를 정수하고, 상면에 복수개의 미세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미세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미세수용구가 형성되어, 하기 필터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미세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오염수 내부의 불순물이 상기 미세수용구에 포집되어 정수되며, 재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 형성되어, 물로 씻거나 말려 터는 방식을 통해 상기 미세수용구에 포집된 불순물을 손쉽게 제거하여,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
상기 하부 탱크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체결단, 상기 체결단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벽체부 및 상기 체결단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 탱크로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돌기 모양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과 상기 벽체부를 통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 수용부; 및
상기 상부 탱크의 하부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수용부와 체결되어 상기 필터 모듈을 고정하는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미세유로와 복수개의 상기 미세수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관통 형성된 필터관통부가 형성된 필터형성부; 및
상기 필터형성부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필터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제1필터의 상기 필터체결부가 하부에 위치한 제2필터의 상기 필터형성부의 상기 필터관통부의 홈을 따라 안착되어, 복수개의 필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
An upper tank accommodating the contaminated water therein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A filter module coupled to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part and purifying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tank based on gravity; And
An upper portion is fastened to the filter module and includes a lower tank for collect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module.
The filter module,
Purifying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module from the upper tank,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microreceptors formed along the plurality of microchannels are formed, Impurity in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microchannel and collected along the microchannel is collected and purified by the microcontainer, integrally formed with a reusable plastic material, and washed or dried with water. One or more filters that can be easily removed and semi-permanently reused in the impurities collected in the filter;
A fastening end forming a bottom surface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lower tank, a cylindrical wall portion formed to have a height se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and one end attached to the fastening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upper tank. A filter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fastening protrusion of a protrusion shape which can be inserted through and accommodating the filter in an inner space partitioned through the fastening end and the wall part; And
Is located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includes a fastening support for fastening with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to secure the filter module,
The filter,
A filter forming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microchannels and the plurality of the microreceptor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ilter through part formed through the filter center point; And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asten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forming portion,
A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fastening portion of the first filter is seated along the groove of the filter through portion of the filter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located below, to stably stack a plurality of filt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1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홈을 통해 상기 상부 탱크에 수용된 오염수가 상기 체결 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상부 탱크의 하부면에서 위쪽으로 점진적으로 내경이 줄어드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설정된 일측에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홈을 통해 상기 제1홈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필터 수용부로 유입되며,
상기 체결단은,
상기 필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이 상기 하부 탱크로 유출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3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ncluding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fastening support part through the first groove,
The receiving groove,
Including a second groov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t height of which th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nk, the set side of the projection,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groove through the second groove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The fastening end is,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third grooves through which the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located inside the filter containing portion can flow into the lower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상부 탱크 내부로 수용 가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체결돌기가 내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의 폭에 대응되는 관통구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나사산에 체결 대응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 지지부를 체결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탱크와 상기 필터 모듈을 체결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체결 지지부와 상기 체결돌기의 체결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필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필터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필터 모듈에 사용되는 상기 필터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rotrusion,
A thread is formed at the other end protruding in a direction that can be accommodated into the upper tank.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be screwed therein,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o correspond to the screw threa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By rotating the fastening support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astening support, thereby fastening the upper tank and the filter module,
By adjusting the fastening height of the fastening support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filter used in the filter modul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KR1020180073856A 2018-06-27 2018-06-27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KR102047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856A KR102047654B1 (en) 2018-06-27 2018-06-27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856A KR102047654B1 (en) 2018-06-27 2018-06-27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654B1 true KR102047654B1 (en) 2019-11-22

Family

ID=6873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856A KR102047654B1 (en) 2018-06-27 2018-06-27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458A (en) 2022-10-17 2024-04-24 황윤철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6243A1 (en) 2011-04-27 2012-11-01 Vestergaard Frandsen Sa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414744B1 (en) 2013-06-12 2014-07-04 (주)에이엠이엔지 The portable water purifier
KR20150011745A (en) 2012-06-22 2015-02-02 인디안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Single container gravity-fed storage water purifier
KR20160082353A (en) * 2014-12-30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A cartridge filter for nature filtering water purifier and 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using the filter
KR101801642B1 (en) * 2017-05-23 2017-11-27 김군수 Filter for wa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6243A1 (en) 2011-04-27 2012-11-01 Vestergaard Frandsen Sa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50011745A (en) 2012-06-22 2015-02-02 인디안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Single container gravity-fed storage water purifier
KR101414744B1 (en) 2013-06-12 2014-07-04 (주)에이엠이엔지 The portable water purifier
KR20160082353A (en) * 2014-12-30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A cartridge filter for nature filtering water purifier and 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using the filter
KR101801642B1 (en) * 2017-05-23 2017-11-27 김군수 Filter for 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458A (en) 2022-10-17 2024-04-24 황윤철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5552B1 (en) Filter cartridge for gravity-fed water treatment devices
US10011499B2 (en) Water filter cartridge
US6238552B1 (en) Universal insert for a water purifier
US20120061312A1 (en) Reusable filter cartridge
ES2856876T3 (en) Filtration device for fluids
KR102047654B1 (en) Semi-permanent water purifier
US2997178A (en) Water filter
WO2011159196A1 (en) Filter module and device for purifying a liquid
JP5910749B2 (en) Portable simple water purifier and its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US3797667A (en) Whirlpool separator device
WO2011016513A1 (en) Filtration device
EA026342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gravity-fed filter
US11872506B2 (en) Water filter cartridge having an air vent
KR101770652B1 (en)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KR101194028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ng polluted water by centrifugation with filters
CA2939432A1 (en) Fluid vessel with removable and reversible filtration unit
CN210993207U (en) Clamping type liquid filtering device
KR20190000115A (en) Non powered portable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WO2013106317A1 (en) Drinking water filtration and/or purification apparatus
JPH0215525Y2 (en)
US20240057566A1 (en) Fish Tank Filter
RU2055631C1 (en) Filter
RU2252062C2 (en) Tank and device for purifying liquid
KR20110006832U (en) Portable water purifier
US20240157275A1 (en) Filtration device and water filtration pitcher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