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27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272B1
KR102047272B1 KR1020130019019A KR20130019019A KR102047272B1 KR 102047272 B1 KR102047272 B1 KR 102047272B1 KR 1020130019019 A KR1020130019019 A KR 1020130019019A KR 20130019019 A KR20130019019 A KR 20130019019A KR 102047272 B1 KR102047272 B1 KR 10204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arm
region
moving par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148A (ko
Inventor
성재현
이명엽
박상돈
강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7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힘을 가하여 휘어지도록 하는 밴딩 어셈블리; 상기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휘어져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기 위한 에너지(주로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계속 하여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단 원하는 곡률로 변형시킨 이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힘을 가하여 휘어지도록 하는 밴딩 어셈블리; 상기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토퍼 본체와,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 본체에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본체와 상기 암 사이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본체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에는 이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암 또는 스토퍼 본체에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는 통로인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상태일 때 이동부가 위치하는 플랫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곡률로 휘어진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이동 돌기가 위치하는 제1 스토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일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으로 진입한 상기 이동부가 이동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제1단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상기 제1단 영역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단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영역과 상기 제1단 영역이 접하는 지점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랫 영역과 상기 제1단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단 영역 내부에는 제2 스토핑 영역이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2단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스토핑 영역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단 영역과 상기 제1단 영역이 접하는 지점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핑 영역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토핑 영역으로 진입한 상기 이동부가 이동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스토퍼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스토퍼 본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과; 상기 암을 일방향으로 가압 가능한 암 가압부와; 상기 암에 결합되는 이동부와; 상기 스토퍼 본체 또는 상기 암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 돌기가 이동하는 경로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flat) 상태일 때 상기 이동부가 위치하는 플랫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일 때 상기 이동부가 위치하는 커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브 영역은 지그 재그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일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상기 암은 우측 암과 좌측 암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지면 상기 우측 암 및 좌측 암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우측 암과 상기 좌측 암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우측 암과 상기 좌측 암을 가압하고, 상기 커브 영역에는 좌우 연장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 제1 스토핑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커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소정 곡률 범위 내로 휘어진 상태일 때 이동부가 위치하는 제1단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단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플랫 영역은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커브 영역은 좌우 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상기 커브 영역의 좌우 방향 외측 끝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우측 암 또는 좌측 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우측 암 또는 좌측 암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암 또는 상기 스토퍼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암 또는 상기 스토퍼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플랫 영역은 좌우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커브 영역은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상기 커브 영역의 좌우 방향 내측 끝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본체에는 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좌측 암 및 우측 암과 결합되어 상기 좌측 암 및 상기 우측 암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본체의 하부에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단 원하는 곡률로 휘어진 이후에는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제품 기대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어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가이드부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a 내지 도9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가이드부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에서 일부 구성을 투명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를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7a 내지 도17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을 통해 도시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휘어지게 만드는 밴딩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밴딩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 원리를 먼저 설명한 후, 스토퍼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이 휘어진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곡면 형상은 사용자의 시청 위치(P)와 패널의 전면 사이의 거리들(d1, d2, d3)이 동일 또는 유사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곡률(R)이 정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상기 정해진 곡률(R)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이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곡면 형상에 의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성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이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 커버(12)가 휘어지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힘을 가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백 커버(12)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커브지게(curved) 휘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OLED 패널과 백 커버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OLED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한 패널로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기능성 박막 형태의 유기 발광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양극에서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풀컬러(Full Color)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독립 발광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 방식, 색변환 방식 등이 있다. 독립 발광 방식은 R, G, B 각각의 발광 재료를 정교하게 패턴이 되어있는 메탈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열증착을 함으로써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컬러 필터 방식은 백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R, G, B 컬러 필터를 패터닝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색변환 방식은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청색을 녹색과 적색으로 변화하는 색변환층을 사용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백 커버(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결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판상의 부재로서, 얇은 두께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CFRP(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OLED 디스플레이 모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CD 모듈, PDP 모듈, FED 모듈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가 휘어지도록 하는 밴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밴딩 어셈블리(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지게 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커버(12)의 전면에 홈을 형성하고, 홈에 형상기억합금(20)을 결합시키는 경우, 형상기억합금(20) 및 형상기억합금(20)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가 밴딩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SMA, shape memory alloy)은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형상기억 및 초소성 성질을 이용하는 합금으로, 고온 상태인 오스테나이트에서 특정 형상을 기억시키면, 저온으로 냉각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되면서 조직에 잔류 응력이 형성되고, 이를 변형을 시킨 후, 다시 오스테나이트 온도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소정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된 형상기억합금(20)에 전류가 흐르게 하면, 형상기억합금(20)이 저항으로 작용하며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 상승에 따라 원래의 형상 및 크기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20)은 상승된 소정 온도에서 길이가 줄어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형상기억합금에 전류를 흘려, 형상기억합금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형상기억합금(20)의 길이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 양 단부가 전방쪽을 향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밴딩 어셈블리가, 형상기억함금(20)을 이용하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를 이용하거나, 바이 메탈을 이용하는 등, 여러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휘어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하여 전류를 흘려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이 오프(off) 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면,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대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설명하는 스토퍼 어셈블리는,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한번 휘어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스토퍼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5 내지 도7은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8은 가이드부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9a 내지 도9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100, 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토퍼 본체(100)와, 일단이 상기 스토퍼 본체(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는 암(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스토퍼 본체(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링크부(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미도시)와, 암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하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부에는 링크부(120)가 결합된다.
상기 링크부(120)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을 X자 형태로 교차하는 한 쌍의 내측 링크(121)와, 상기 내측 링크(121)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4개의 외측 링크(122a, 122b, 122c, 122d)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링크(121)는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교차되는 중앙 부분이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외측 링크(122a, 122b, 122c, 122d)는 프레임(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a, 122c)와, 프레임(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b, 122d)를 포함한다.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a, 122c)는 일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우측 전방에 구비되는 외측 링크(122a)의 후단과 우측 후방에 구비되는 외측 링크(122c)의 전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링크(122a, 122c)의 중앙 부분은 내측 링크(1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b, 122d)는,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a, 122c)와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좌측 전방에 구비되는 외측 링크(122b)의 후단과 좌측 후방에 구비되는 외측 링크(122d)의 전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링크(122b, 122d)의 중앙 부분은 내측 링크(1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a, 122c)의 서로 결합되지 않는 타단과,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링크(122b, 122d)의 서로 결합되지 않는 타단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외측 링크(122c)와,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외측 링크(122d)의 후단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링크(122a)와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링크(122b)의 전단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롤러(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는 상기 스토퍼 본체(100)가 전후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롤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놓여지는 바닥면과의 상을 슬라이딩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면 위에에 놓여지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 상을 슬라이딩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암 가압부(130)는 후술하는 암(200)에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며, 한쌍의 암(200)이 서로 멀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암 가압부(130)에 대한 상세 구성은 암(200)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이하, 암(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암(200)은 우측암(210)과 좌측암(220)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스토퍼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암(200)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브라켓(13, 도4 참조)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암의 좌우 방향 내측(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 쪽) 단부는 상기 스토퍼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사용자 쪽인 전방을 향해 휘어지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양단부 사이의 폭이 좁아 지며, 그에 따라 브라켓(13) 사이의 좌우 폭이 좁아지고, 그에 따라 상기 암(200)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가 좌우 방향 중앙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200)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 즉 우측 암(210)의 좌측 단부 및 좌측 암(220)의 우측 단부는 반대쪽 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쪽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스토퍼 본체(100)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20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에서는 회전이 발생하며, 상기 암(200)과 상기 스토퍼 본체(100) 사이에서도 회전이 발생한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스토퍼 어셈블리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측 암(210)에는 회전체가 수용되는 회전체 수용부와, 스프링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 수용부에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지는 회전체(2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체(230)는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31)를 구비한다.
스프링 수용부에는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23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 수용부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는 스프링(24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회전체가 상시 일정한 회전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체(230)가 일방으로 회전하여 돌출부(231)가 스프링(240)을 가압하면, 스프링(24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돌출부(231)를 원래 위치로 밀어 내고, 회전체(230)가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240)을 인장시키면, 스프링(24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돌출부(231)를 원래 위치로 잡아 당긴다.
상기 회전체(230)에는 이동부(250)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250)는 일단이 회전체(230)를 통해 상기 우측 암(210) 또는 좌측 암(2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가이드부(260)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부(250)는 우측 암(210)에 결합된 회전체로부터 좌측 암(220)을 향해 연장되다가 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이동부(250)는 상기 회전체(230)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250)의 좌측 암(220) 쪽 단부는 하방으로 가압된다. 즉, 이동부(250)의 후술하는 가이드부(26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방을 향해 가압되는 것이다.
상기 좌측 암(220)에는 상기 이동부(250)가 이동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가이드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60)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2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플랫(flat) 상태일 때 이동부(250)가 위치하는 플랫(flat) 영역(261)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진 상태일 때 이동부(250)가 위치하는 커브 영역(262, 263)을 포함한다. 상기 커브 영역(262, 26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그 재그로 연장된다. 즉, 커브 영역(262, 263)은 연장되는 방향이 좌우로 바뀌며 전후로 연장된다. 그리고 커브 영역(262)은 제1단 영역(262)과 제2단 영역(263)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260)는, 좌우 방향 외측(좌측)에 위치하며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플랫 영역(261)과, 플랫 영역(261)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단 영역(262)과, 상기 제1단 영역(262)의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후단이 상기 플랫 영역의 후단과 연결되는 제2 단 영역(263)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영역(261), 제1단 영역(262) 및 제2 단 영역(263)은 하나의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상기 제1단 영역(262)과 상기 제2단 영역(263)은 대략 지그재그로 연장된다. 따라서, 이동부(250)는, 가이드부(260)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60)를 구성하는 각각의 영역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랫 영역(261)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플랫(flat) 상태일 때 이동부(250)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가이드부(260) 중에서 좌우 방향 외측(도5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1단 영역(262)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플랫(flat) 상태로부터 소정 곡률만큼 약간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250)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플랫 영역(261)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좌우 방향 외측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연장 방향을 바꾸어 좌우 방향 내측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 영역(262)은 좌우 방향 중앙 쪽, 즉 우측 암(210) 쪽을 향해 벌어진 대략 V자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V 자 형상의 중심, 즉 연장 방향이 바뀌는 부분이 제1 스토핑 영역(262a)이 된다. 이동부(250)가 제1단 영역(262)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250)는 상기 제1 스토핑 영역(262a)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곡률(예컨대, R5000)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한 작동 원리는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2단 영역(263)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더 많이 휘어졌을 때 상기 이동부(250)가 위치하는 영역이다. 상기 제2단 영역(263)은 상기 제1단 영역(262)의 후방 단부에서 시작하여 좌우 방향 외측(좌측)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다시 방향을 바꾸어 좌우 방향 중앙쪽(우측)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단 영역(263)은 제1단 영역(262)과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 중앙 쪽, 즉 우측을 향해 벌어진 대략 V 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2단 영역(263)의 후단은 상기 플랫 영역(261)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V 자 형상의 중심, 즉 연장 방향이 좌우로 바뀌는 부분이 제2 스토핑 영역(263a)이 된다. 이동부(250)가 제2단 영역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250)는 상기 제2 스토핑 영역(263a)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곡률(예컨대, R3500)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세한 작동 원리는 뒤에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1단 영역(262)은 상기 플랫 영역(261)에 비해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되며, 상기 제2단 영역(263)은 상기 제1단 영역(262)에 비해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 영역(261)은, 상기 제2단 영역(263)과 연결되는 후방 단부가 상기 제1단 영역(262)과 연결되는 전방 단부에 비해 더 낮은 높이를 갖게 되며, 후방 단부에서 전방 단부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단 영역(262)에서, 제1 스토핑 영역(262a)은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단 영역(263) 중에서도 제2 스토핑 영역(263a)은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된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50)는 플랫 영역(261)에서 제1단 영역(262)으로 진입할 때 단차진 부분을 하방으로 이동하며, 제1단 영역(262)에 진입한 다음 제1 스토핑 영역(262a)에 진입할 때 단차진 부분을 하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제2단 영역(263)에 진입할 때 단차진 부분을 하방으로 이동하며, 제2단 영역(263) 내에서 제2 스토핑 영역(263a)에 진입할 때, 다시 단차진 부분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암 가압부(1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100)에 각각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우측 암(110) 및 좌측 암(120)에는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31)가 구비되며, 상기 암 가압부(130)는 한 쌍의 고정부(131)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암 가압부(1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좌우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암 가압부(130)는 한 쌍의 암이 상시 좌우로 대략 일직선이 되도록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져, 스토퍼 본체(100)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하고, 좌측 암(220)과 우측 암(210) 사이의 전방을 향하는 각도가 180도로부터 점차 좁아 지면, 상기 암(200)의 후방에 구비되는 고정부(131)에 결합되는 암 가압부(130)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암 가압부(130)에는 좌우 방향으로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이 작용하며, 이 복원력은 상기 암 사이의 각도가 대략 180가 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암을 회전시키려 한다.
이하, 도9a 내지 도9f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토퍼 어셈블리(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밴딩 어셈블리가 작동하기 전, 스토퍼 어셈블리는 도9(a)와 같은 상태로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좌측 암(220)과 우측 암(210)은 대략 좌우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좌측 암(220)과 우측 암(210)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180도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가 작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지면, 암(200)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가 좌우 방향 중앙쪽으로 이동하며, 좌우 방향 단부 사이의 폭이 좁혀 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암(220) 및 우측 암(210)의 좌우 방향 중앙쪽 단부가 후방으로 상대 이동하며, 그 과정에서 스토퍼 본체(100)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우측 암(210) 및 좌측 암(22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상대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스토퍼 본체(100)에 대해서도 상대 회전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우측 암(210) 및 좌측 암(220)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는 브라켓(13, 도4 참조)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암(210) 및 좌측 암(220)의 좌우 방향 중앙 쪽 단부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우측 암(210) 및 좌측 암(220)이 이루는 전방을 향한 각도가 180도로부터 점차 좁아진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부(250)는 플랫 영역(261)을 벗어나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 영역(262)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을 정지시켜, 밴딩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이동부(250)는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핑 영역(262a)으로 이동하며 정지한다. 즉, 이동부(250)가 제1단 영역(262)의 어딘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이동부(250)는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핑 영역(262a)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이동부(250)가 도9b의 상태에서 도9c의 상태로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우선 암 가압부(130)가 좌측 암(220)과 우측 암(210)을 중앙 쪽으로 잡아 당겨 우측 암(210)에 결합된 이동부(250)가 좌측 암(220) 쪽으로 가압된다. 그런데, 제1 단차 영역(262)은 플랫 영역(261)에 비해 하방으로 단차져 있으며, 회전부(340)가 스프링(24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므로, 상기 이동부(250)의 하방 단부가 제1 스토핑 영역(262a)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스토핑 영역(262a)은 제1단 영역(262)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250)가 제1 스토핑 영역(262a)에 위치할 때, 우측 암(210)과 좌측 암(220) 사이의 거리는 더 이상 좁혀 지지 않게 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1 곡률(예컨대 R5000)로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50)가 제1 스토핑 영역(262a)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더 큰 곡률로 휘어지면, 우측 암(210)과 좌측 암(220)이 이루는 전방을 향한 각도는 더 좁아지며, 스토퍼 본체(210)는 브라켓(13)에 대해 더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부(250)는 제1단 영역(262)을 벗어나,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 영역(263)으로 진입한다. 참고로, 제1 스토핑 영역(262)은 제1단 영역(262)이 시작되는 일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되므로, 제1 스토핑 영역(262a)에 위치한 이동부(250)는 제2단 영역(263) 쪽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며, 그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50)가 제2단 영역(263)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이 정지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250)는 도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토핑 영역(263a)으로 이동한다. 제2단 영역(263)은 제1단 영역(262)에 비해 하방으로 단차져 있어, 제2단 영역(263)이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이동부(250)는 제1단 영역(262) 쪽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그리고, 제2 스토핑 영역(263a) 쪽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9(e)와 같이 이동부(250)가 제2 단차 영역(263)에 진입하면, 암 가압부(130)는 상시 좌측 암(220)과 우측 암(210)을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 즉 중앙쪽으로 잡아 당기며, 상기 제2 스토핑 영역(263a)은 제2단 영역(263)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250)가 제2 스토핑 영역(263a)에 위치할 때, 우측 암(210)과 좌측 암(220) 사이의 거리는 더 이상 좁혀 지지 않게 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2 곡률(예컨대 R3500)로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9(e)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더 큰 곡률로 휘어지면, 이동부(250)는 도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flat) 영역으로 진입하며, 이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이 정지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다시 플랫(flat) 상태로 펼쳐지며, 좌측 암(220)과 우측 암(210)은 서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대략 일직선 상으로 정렬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밴딩 어셈블리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휘어지게 한 다음, 밴딩 어셈블리의 작동을 정지시키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원하는 소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에에서는, 상기 회전체(230) 및 이동부(250)가 우측 암(21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260)는 좌측 암(220)에 구비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회전체(230) 및 이동부(250)가 좌측 암(220)에 결합되고, 가이드부(260)가 우측 암(2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스토퍼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300,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토퍼 본체(300)와, 일단이 상기 스토퍼 본체(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결합되는 암(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암(400)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어서 상기 암(400)과 결합되는 스토퍼 본체(300)의 구성을 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암(400)은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암(400)은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다. 즉, 우측암(410)과 좌측암(420)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암(410)과 좌측암(420)은 일단이 상기 스토퍼 본체(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암(400)의 좌우 방향 중앙 쪽 단부는 스토퍼 본체(300)에 결합되고, 상기 암(400)의 좌우 방향 외측의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본체(300)에 결합되는 상기 암의 일단부에는 이동부(440)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440)는 상기 암(40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440)는 상기 암(400)을 상하로 관통하며, 상기 이동부(440)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부(44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이동부 가압부(450)가 구비된다. 이때 이동부 가압부(45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440)가 상기 암(400)을 상하로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부(440)의 암(40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 외측에는 코일 스프링(450)이 끼워지며, 상기 암(400)의 하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450)보다 큰 직경을 가져 상기 코일 스프링(45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450)의 상단은 후술하는 링크부(340)의 내측 링크(34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450)은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440)의 하단을 상시 하방으로 가압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는 암(400)의 타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에는 브라켓(13)이 부착되며, 상기 암(400)의 타단부는 상기 브라켓(13)에 대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지면서, 상기 브라켓(13) 사이의 좌우 방향 거리가 좁아지면, 상기 암(400)은 상기 브라켓(13)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좌우 방향 중앙쪽 단부가 스토퍼 본체(300)를 후방으로 밀며 이동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짐에 따른 암(400) 및 스토퍼 본체(300)의 이동에 대하여는 뒤에서 도17(a) 내지 도17(f)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브라켓(13)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방 또는 상방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암(400)의 하부에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암(410)과 좌측암(420) 사이를 연결하는 암 가압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암 가압부(430)는 암(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431)에 양단이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우측암(410) 및 좌측암(420) 각각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부(431)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431)에는 상기 암 가압부(430)의 양단이 결합된다. 상기 암 가압부(430)는 상기 우측암(410)과 좌측암(4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우측암(410)과 좌측암(420) 사이의 거리를 원래대로 좁히는 방향으로, 각각의 암에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암(4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본체(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 본체(30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350)와,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링크부(340)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310)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부 프레임(311)과 하부 프레임(31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312)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막힌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311)은 상기 하부 프레임(312)의 상부를 덮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310)의 좌우측 일부는 절개되어 암 통과부(320)를 형성한다. 상기 암 통과부(320)는 상기 암(400)이 통과하는 부분으로, 암(400)이 회전이 제한을 받지 않도록 상기 암(4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암(400)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10)의 상부에는 가이드부(33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프레임(310)에는 상기 가이드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상기 암(400)의 이동부(440)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상기 상부 프레임(310)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가이드부(33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플랫(flat) 상태일 때 이동부(440)가 위치하는 플랫(flat) 영역(331)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진 상태일 때 이동부(440)가 위치하는 커브 영역(332, 333)을 포함한다. 상기 커브 영역(332, 33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그 재그로 연장된다. 즉, 커브 영역(332, 333)은 연장되는 방향이 좌우로 바뀌며 전후로 연장된다. 그리고 커브 영역(332, 333)은 제1단 영역(332)과 제2단 영역(33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30)는 폐루프를 형성한다. 즉, 어느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 오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30)의 일부는 지그재그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구부러진 부분에는 이동부(44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스토핑 영역이 구비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가이드부(3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330)는 좌우 방향의 중앙 쪽에서 원호형상으로 구비되는 플랫 영역(331)과, 상기 플랫 영역(331)의 전방 단부에서 좌우 방향 중앙 및 후방쪽을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다가 좌우 방향 외측 및 후방쪽을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단 영역(332)과, 상기 제1단 영역(332)의 단부에서 좌우 방향 내측및 후방쪽을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다가 좌우 방향 외측 및 후방쪽을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단 영역(33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플랫 영역(331)의 전단은 상기 제1단 영역(332)의 전단과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제2단 영역(333)의 후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단 영역(332)의 후단과 상기 제2단 영역(333)의 전단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 영역(332) 및 상기 제2단 영역(333)은 모두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대략 V자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플랫 영역(331)의 중앙 부분은 플랫 스토핑 영역이 된다. 또한, 상기 제1단 영역(332)의 중앙부분, 즉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꺽인 부분은 제1단 스토핑 영역(332a)이 되고, 상기 제2단 영역(333)의 중앙 부분, 즉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꺽인 부분은 제2단 스토핑 영역(333a)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 영역(332)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장 내측, 즉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1단 스토핑 영역(332a)이 되며, 상기 제2단 영역(333)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장 내측, 즉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2단 스토핑 영역(333a)이 된다.
한편, 상기 제1단 영역 영역(332)은 상기 플랫 영역(331)에 비해 낮게 단차지며, 상기 제2단 영역(333)은 상기 제1단 영역(332)에 비해 낮게 단차진다. 그리고 플랫 영역(331)은 상기 제2단 영역(333)과 접하는 후방 단부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고, 상기 제1단 영역(332)과 접하는 전방 단부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 영역(33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1단 스토핑 영역(332a)는 상기 제1단 영역(332)이 시작되는 전방쪽의 부분 보다 높이가 낮게 단차져 형성되며, 상기 제2단 스토핑 영역(333b)은 상기 제2단 영역(333)이 시작되는 전방쪽의 부분보다 높이가 낮게 단차져 형성된다.
밴딩 어셈블리가 작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지면, 상기 이동부(440)는 플랫 영역(331)에서 출발하여, 제1단 영역(332), 제2단 영역(333)을 차례로 이동하여, 다시 플랫 영역(331)으로 이동하는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휘어지는 각도와 가이드부(330) 내에서의 상기 이동부(440)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는 링크부(340)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340)는, 링크 가이드(343)와, 외측 링크(341)와, 내측 링크(342)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가이드(343)는 상기 프레임(300) 중 상부 프레임(310)의 아래쪽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링크 가이드(343)의 중앙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링크(341)는, 한쌍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외측 링크(341)의 후단은 힌지축(34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344)은 상기 링크 가이드(3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외측 링크(341)의 전방 단부는 상기 암(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참고로, 도14 및 도15에서는 아래쪽이 전방이며 위쪽이 후방이다.
상기 내측 링크(342)는 상하 좌우로 대칭되도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 링크(342)는 스토퍼 본체(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와, 스토퍼 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를 포함한다.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는 일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우측 전방에 구비되는 내측 링크의 후단과 우측 후방에 구비되는 내측 링크의 전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우측 전방에 구비되는 내측 링크의 후단과 우측 후방에 구비되는 내측 링크의 전단이 결합되는 부분은, 이동부(440)가 관통하며, 이동부(440)는 2개의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의 역할을 한다.
또한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는,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와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좌측 전방에 구비되는 내측 링크의 후단과 좌측 후방에 구비되는 내측 링크의 전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되는 부분을 상기 이동부(440)가 관통한다.
그리고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의 서로 결합되지 않는 타단과,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링크의 서로 결합되지 않는 타단은 힌지축(3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45)은 상기 링크 가이드(3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 링크와,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 링크의 후단은 힌지축(345)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 내측 링크와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내측 링크의 전단 역시 힌지축(345)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프레임(310)의 하부에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5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350)는 상기 스토퍼 본체(300)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부분이다. 상기 롤러(35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놓여지는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면 위에에 놓여지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와 상을 슬라이딩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도17a 내지 도17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어셈블리의 작동 원리 및 과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플랫(flat) 상태일 때,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은 도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대략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180도가 된다. 그리고 이동부(440)는 플랫 영역(331)의 중앙인 플랫 스토핑 영역에 위치한다. 도17a에 도시된 플랫(flat) 상태에서, 플랫 스토핑 영역(331a)은 하방으로 낮게 단차져 있으며, 이동부(440)는 이동부 가압부(45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지면, 브라켓(13, 도1 참조) 사이의 좌우방향 거리가 좁혀진다. 그리고,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이 브라켓(13)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한다. 상기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이 회전하면, 이동부는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영역(331)의 전방쪽으로 이동하여, 제1단 영역(332)으로 진입한다.
도17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도17a에 도시된 상태에 비해,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 사이의 거리가 약간 벌어지고, 암 가압부(430)는 늘어나게 된다.
상기 이동부(440)가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랫 영역(332)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계속 하여 더 휘어지면, 이동부는 도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핑 영역(332a)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부가 도17(b)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휘어지게 하는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이동부(440)는 제1 스토핑 영역(332a)으로 이동한다. 암 가압부(430)가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을 좌우 방향 중앙 부분으로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440)는 제1단 영역(332)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제1 스토핑 영역(332a)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은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 역시 소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밴딩 어셈블리(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소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동부(440)가 제1단 스토핑 영역(332a)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컨대 R5000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곡률 반경이 5000mm가 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이동부(440)가 도17c와 같이 제1 스토핑 영역(332a)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계속하여 휘어지면, 상기 좌측 암(420) 및 우측 암(410)은 브라켓(13)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하며, 그에 따라 이동부(440)는 도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 영역(443)으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계속 휘어지면, 이동부(440)는 도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토핑 영역(333a)으로 진입한다. 그러나, 이동부(440)가 제2단 영역(443)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휘어지게 하는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이동부(440)는 제2 스토핑 영역(333a)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스토핑 영역(333a)에 정지한 상태가 유지된다. 암 가압부(430)가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을 중앙 쪽으로 잡아 당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동부가 제2단 스토핑 영역(333a)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컨대 R3500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곡률 반경이 3500mm가 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이동부가 제2 스토핑 영역(333a)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00)이 더 큰 곡률(더 작은 곡률 반경)으로 휘어지면, 이동부(440)는 플랫 영역(331)에 진입하며,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휘어지게 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440)는 플랫 스토핑 영역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플랫(flat)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 예컨대 R5000으로 휘어져, 이동부(440)가 제1 스토핑 영역(332a)에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플랫 상태로 만들려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더 휘어지도록 하여, 이동부가 제2단 영역(333)을 지나 플랫 영역(331)에 진입하도록 한 다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R3500으로 휘어져, 이동부(440)가 제2 스토핑 영역(333a)에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플랫 상태로 만드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더 휘어지도록 하여, 이동부(440)가 플랫 영역(331)에 진입하도록 해야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440)가 플랫 영역(331), 제1단 영역(332), 및 제2단 영역(333)을 차례로 이동할 때,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 사이의 거리는 멀어졌다가 가까워 졌다를 반복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본체(300)에 대한 좌측 암(420)의 우측 단부 및 우측 암(430)의 좌측 단부의 위치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부(340)가 이들 암(400) 및 이동부(4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외측 링크(341)가 벌어지며, 제1 링크 결합부(344)가 전방(도14에서 아래쪽)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내측 링크(342)도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며, 한 쌍의 제2 링크 결합부(345)사이의 폭도 좁아지게 된다.
한편, 좌측 암(420)과 우측 암(4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외측 링크(341)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며, 제1 링크 결합부(344)가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내측 링크(342)도 좌우 방향으로 오무려지며, 한 쌍의 제2 링크 결합부(345)사이의 폭이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원리를 가짐으로 인해, 밴딩 어셈블리에 계속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소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디스플레이 패널
12: 백 커버 20: 형상 기억 합금
100: 스토퍼 본체 110: 프레임
120: 링크 어셈블리 121: 내측 링크
122a,122b,122c,122d: 외측 링크 130: 암 가압부
131: 고정부 200: 암
210: 우측 암 220: 좌측 암
230: 회전체 231: 돌출부
240: 스프링 250: 이동부
260: 가이드부 261: 플랫 영역
262: 제1단 영역 262a 제1단 스토핑 영역
262: 제2단 영역 262a: 제2단 스토핑 영역
300: 스토퍼 본체 310: 프레임
311: 상부 프레임 312: 하부 프레임
320: 암 통과부 330: 가이드부
331: 플랫(flat) 영역 332: 제1단 영역
332a: 제1단 스토핑 영역 333: 제2단 영역
333a: 제2단 스토핑 영역 340: 링크부
341: 외측 링크 342: 내측 링크
343: 링크 가이드 344: 힌지축
345: 힌지축 350: 롤러
400: 암 410: 우측 암
420: 좌측 암 430: 암 가압부
440: 이동부 450: 이동부 가압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힘을 가하여 휘어지도록 하는 밴딩 어셈블리; 및
    상기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토퍼 본체; 및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 본체에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에는 이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암 또는 스토퍼 본체에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는 통로인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일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본체와 상기 암 사이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본체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상태일 때 이동부가 위치하는 플랫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곡률로 휘어진 상태에서 밴딩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이동 돌기가 위치하는 제1 스토핑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단차지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단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은 상기 제1단 영역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단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스토핑 영역으로 이동하여 정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영역과 상기 제1단 영역이 접하는 지점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랫 영역과 상기 제1단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단 영역 내부에는 제2 스토핑 영역이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2단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스토핑 영역으로 이동하여 정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 영역과 상기 제1단 영역이 접하는 지점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핑 영역은 단차지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30019019A 2013-02-22 2013-02-2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19A KR102047272B1 (ko) 2013-02-22 2013-02-22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19A KR102047272B1 (ko) 2013-02-22 2013-02-2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148A KR20140105148A (ko) 2014-09-01
KR102047272B1 true KR102047272B1 (ko) 2019-11-22

Family

ID=5175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19A KR102047272B1 (ko) 2013-02-22 2013-02-2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119B1 (ko) * 2021-12-23 2023-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6156B1 (ko) * 2021-12-23 2023-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4620A1 (en) * 2010-08-17 2012-02-23 Pantech Co., Ltd. Mobile device
US20130021762A1 (en) *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4620A1 (en) * 2010-08-17 2012-02-23 Pantech Co., Ltd. Mobile device
US20130021762A1 (en) *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148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2650B1 (en) Display device
KR201400958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947366B2 (ja) 可変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0472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08231B2 (en) Display apparatus
TWI259715B (en) Electronic device a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KR1019702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11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888587B2 (en) Curvature remotely adjustable curved-surface display device
JP6707184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9703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13784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04070897A3 (en) Apparatus for providing optical radiation
TW200916406A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etching of MEMS
CN101120295A (zh) 折叠式电子装置和柔性显示装置
TW200906139A (en) Sliding rotating apparatus
EP26672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osing electrical discharge on optical fiber
KR101002904B1 (ko)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US9073406B2 (en) Air conditioner controlling device for vehicle
KR102338062B1 (ko)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CN111003571A (zh) 一种自给式贴膜机构
KR201400942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66115A (ko) 미세 구조물을 추진하고 조종하기 위한 장치
JP6348735B2 (ja) 真空蒸着機
CN114783290B (zh) 柔性显示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