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694B1 - Self Cleaning Screen Device - Google Patents

Self Cleaning Scree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694B1
KR102046694B1 KR1020170105902A KR20170105902A KR102046694B1 KR 102046694 B1 KR102046694 B1 KR 102046694B1 KR 1020170105902 A KR1020170105902 A KR 1020170105902A KR 20170105902 A KR20170105902 A KR 20170105902A KR 102046694 B1 KR102046694 B1 KR 10204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pipe
wash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0943A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인
Priority to KR102017010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694B1/en
Publication of KR2019002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동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 유체가 유입되어 이차로 여과를 실시한 후에 상기 배관으로 유출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유입되는 부분과 유출되는 부분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에 따라 세척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세척제어부;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동 유체를 공급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불순물을 브러싱하면서 흡입하여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leaning screen device, the screen device is connected to the pipe to which the flow fluid is moved to filter to remove impurities, and is arranged in connection with the pipe, the flow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filtration A screen unit flowing out to the pipe afterwards; A washing control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ortion and the outflow portion of the screen unit to control the was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 rotation driving unit disposed in one direction of the screen unit in an inward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upply the flow flui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 washing unit disposed inside the screen unit and connected to the rotary driving unit to suck and wash impurities while rotating by rotating; And a discharge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art and connected to the washing part and the outsid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suction pressure.

Description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Self Cleaning Screen Device}Self Cleaning Screen Device {Self Cleaning Screen Device}

본 발명은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장치의 공급되는 유동 유체의 공급력을 이용하여 운전 정지 없이 이물질이 기준보다 많은 경우에만 자동으로 스크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leaning scree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upply force of the supplied flow fluid of the screen devic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ow fluid, the screen is automatically screened only when there are more foreign matters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It relates to a self-cleaning screen device for suctioning and remov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일반적으로 우수, 중수처리장, 오폐수 처리장, 취수장 등의 액상의 유동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불순물, 슬러지,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거름망 형태의 필터(filter)나 스크린(screen)을 사용한다.Generally, a filter or screen in the form of a sieve is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mpurity, sludge, contaminants, etc.) contained in the liquid flow fluid such as rainwater, heavy water treatment plant,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intake plant.

이런, 통상적으로 스크린 장치는 유동 유체가 여과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유출관을 포함하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에 거름망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이물질을 스크린에 걸러지면서 여과하도록 구비된다.Such, typically, the screen device includes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connected to a position where the flow fluid is filtered, and is provided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by filtering the screen by installing a screen in the form of a strainer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상술된 스크린 장치에 설치된 거름망 형태의 스크린에 부착된 이물질이 포화상태가 되면 스크린 장치의 여과 작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교체나 세척 또는 역류를 이용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When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creen of the sieve type installed in the screen device described above is saturated,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using replacement, washing, or backflow while stopping the filtration operation of the screen device is used.

이에 최근에는, 내부에 난류를 발생시키면서 불순물을 흡입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5698에 '개선된 자체 세척식 필터'가 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05698 that sucks impurities while generating turbulence therein.

이런, 종래기술의 세척식 필터는 부착된 이물질의 흡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난류발생기(400)를 부착하여 필터내에 난류 발생을 촉진하고 탄성수단(316)과 흡입관부(315)를 포함하는 노즐(310)을 개시하고 있다.This, the prior art cleaning filter is attached to the turbulence generator 400 to increas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promote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 the filter and the nozzle 310 including the elastic means 316 and the suction pipe 315 ).

상기의 종래 기술은 난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회전해야 가능한데,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물질은 스크린 필터에서 분리되기보다는 더욱더 부착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고속회전으로 인해 이물질의 흡입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또한 노즐에 탄성수단을 가지게 있어 노즐과 스크린 필터가 접촉하게 되어 서로 손상을 생기고 이는 흡입효율을 떨어뜨린다.The prior art is capable of rotating at high speed to form turbulent flow, when rotating at high speed, the centrifugal force acts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more attached than separated from the screen filter, and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is high due to the high speed rotation. Will fall. In addition, since the nozzle has elastic means, the nozzle and the screen filt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causes damage to each other, which reduces suction efficiency.

또한, 종래기술은 전력의 공급으로 회전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있어 전력이 공급되는 장치와 연결되어야 하고,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들이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장치가 복잡하고,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ncludes a rotating motor that is rotated by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which must be connected to the device to which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and the device is complicated as the component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otor must be installed, and th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here was a problem that should be.

(특허문헌 1) KR10-0905698 B1 (Patent Document 1) KR10-0905698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장치의 공급되는 유동 유체의 공급력을 이용하여 운전 정지 없이 이물질이 기준보다 많은 경우에만 자동으로 스크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only when there is more foreign matter than the standard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by using the supply force of the flow fluid supplied to the screen devic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cleaning screen device that automatically suck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cree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는 유동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 유체가 유입되어 이차로 여과를 실시한 후에 상기 배관으로 유출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유입되는 부분과 유출되는 부분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에 따라 세척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세척제어부;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동 유체를 공급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불순물을 브러싱하면서 흡입하여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ipe to which the flow fluid is moved, the screen device for filtering to remove impurities, is arranged in connection with the pipe, the flow A screen portion flowing out of the pipe after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ary filter; A washing control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ortion and the outflow portion of the screen unit to control the was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 rotation driving unit disposed in one direction of the screen unit in an inward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upply the flow flui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 washing unit disposed inside the screen unit and connected to the rotary driving unit to suck and wash impurities while rotating by rotating; And a discharge part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art and connected to the washing part and the outsid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suction pressure.

또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배관에 여과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 유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면서 불순물을 여과하는 스크린공간을 가지는 스크린몸체; 상기 스크린몸체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공간의 일측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 유체를 상기 스크린몸체로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공간에 상기 유입관의 타측으로 상기 유입관 통해서 유입되는 상기 유동 유체를 일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거름망 형태의 격벽 형상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회전구동부가 통과되는 스크린통공을 가지는 제1 스크린;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상기 유동 유체를 이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거름망 형태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세척부가 설치되는 제2 스크린공간을 가지는 제2 스크린; 상기 스크린몸체의 타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의 타방향 측면으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을 통해서 이차로 여과된 상기 유동 유체가 상기 배관으로 유출되는 유출관;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스크린의 타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스크린공간을 분할하는 격벽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세척부가 삽입되는 지지통공을 가지는 지지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unit may include: a screen body disposed at one side to be filtered through the pipe and having a screen space for filtering impurities while the flow fluid supplied from the pipe pas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 inlet pip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creen body and connected to the pipe at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screen space to introduce the flow fluid into the screen body; It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and provided in the screen space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in the form of a sieve to filter the flow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to the other side of the inlet pipe primarily, the rotary drive unit passes through the center A first screen having a screen aperture; It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strainer to filter the flow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creen secondary, the washing unit is installed therein A second screen having a second screen space; An outflow pip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and connected to the pipe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creen, and the flow fluid secondaryly filtered through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flows out into the pipe; ; And a partition wall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and partitioning the screen space such that the discharge part is installed while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and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pipe.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ition wall having a support through which the additional insertion hole.

그리고, 상기 세척제어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에서 상기 스크린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입센서;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에서 여과된 상기 유동 유체가 상기 배관에 유출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출센서; 상기 유입센서와 상기 유출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센서에서 측정된 유입압력과 상기 유출센서의 측정된 유출압력과의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차측정기; 및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배출부의 작동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차측정기에서 측정된 압력차의 수치를 기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세척부와 상기 배출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시켜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체;를 포함하할 수 있다.The washing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nflow senso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creen unit and measuring pressure of the flow fluid flowing into the screen unit from the pipe; An outflow sensor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measure a pressure of the flow fluid which is flowed out of the pipe by the flow fluid filtered from the screen unit; A pressure difference me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flow sensor and the outflow sensor and measuring a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ressure measured by the inflow sensor and the measured outflow pressure of the outflow sens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perating part of the rotary driv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compares th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the pressure differential meter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determine whether the wash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re operated, It may include;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according to.

아울러,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기 배관의 상기 유동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로 상기 유동 유체가 공급되도록 설치된 구동공급관; 및 상기 구동공급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동공급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공급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al drive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por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rtion in which the flow fluid of the pipe flows in the screen portion, the other end is supplied with the flow fluid into the screen portion A drive supply pipe installed to be installed; And a supply valve disposed on the driving supply pipe and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he supply valve being installe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flow fluid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upply pipe.

더불어,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구동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 유체가 공급되어 유동되는 구동공간을 가지는 구동몸체; 상기 구동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유동되는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복수에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차 형태로 구비된 구동수차;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차의 중앙에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한쪽 끝이 상기 스크린부의 한쪽 끝 방향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세척부를 회전시키도록 연결 구비된 구동회전축; 및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에 상기 구동회전축의 한쪽 끝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된 구동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body is disposed in the screen portion, the drive body having a drive space connected to the drive supply pipe therein and the flow fluid is supplied to flow; A drive aberration disposed in the drive body, the drive aberratio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in a plurality of blades so as to convert energy flowing in the flow fluid supplied from the drive supply pipe into rotational energy in the drive space;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portion,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in the center of the drive aberration,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in one end direction of the screen portion,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o rotate the washing unit Drive rotary shaft; And a driving support disposed in the screen part and installed at a position at which one end of the driving rotary shaft is supported in the screen unit, the driving support being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ing rotary shaft.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이차로 여과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불순물을 흡입되도록 구비된 세척회전축;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세척회전축에서 공급된 흡입 압력으로 불순물을 흡입하는 노즐 형태로 구비된 흡입노즐; 및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스크린부의 원통형 여과부분에 불순물을 접촉 탈거하여 상기 흡입노즐로 흡입하도록 설치된 브러쉬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may include: a washing rotating shaft disposed inside the screen unit and provided to suck impurities while being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ing unit at a position filtered by the screen unit; A suction nozzle protruding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ry shaft and configured to form a nozzle to suck impurities at the suction pressure supplied from the washing rotary shaft; And a brush body protruding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ry shaft, and installed to suck the impurities into the cylindrical filtration portion of the screen unit when the washing rotary shaft is rotated and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

그리고, 상기 세척회전축은, 상기 스크린부의 이차로 여과되는 위치에 일측 끝이 상기 회전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구획된 타측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세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부의 작동으로 외기와 연통되면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압력이 작용되어 불순물이 흡입되는 공간인 흡입공간을 가지고, 타측 끝에 상기 배출부와 상기 흡입공간을 상호 연통시켜 흡입압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복수로 관통된 배출공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And, the washing rotating shaft, the one end is connected to rotate with the rotary drive portion at the second filtered position of the screen porti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partitione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ir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by the contro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has a suction space which is a space in which impurities are sucked by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suction space at the other end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uction pressure to discharge impurities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되도는 관 형태로 구비되어 불순물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입관;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기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브러쉬체와 연결되는 축형태로 구비된 브러쉬축; 및 상기 세척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구획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기 세척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 회전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ipe protruding in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ting shaft, the suction pip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spa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is a passage through which impurities are sucked; A brush shaft protruding a plurality of radially outward directions of the washing rotation shaft, the brush shaft being connected to the brush body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ction pip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rotating suppo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rotating shaft and provided to rotatably support the washing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a position partitioned so that the discharge part of the screen unit is installed.

더불어,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으로 구획된 공간의 한쪽 측면에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세척부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흡입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관 형태의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개방 시에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세척부의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흡입된 불순물을 외부로 상기 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space partition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to provide the suction pressure to the washing unit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creen portion and the outside A discharge pipe having a pipe sha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sucked impurities to the outside; And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and connected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so that the sucked impuriti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the suction pressure of the washing uni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discharge valve for controlling.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과 서로 대응되는 반대 방향인 다른쪽 측면에 상기 세척부에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불순물이 낙하되어 퇴적 시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관 형태의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퇴적된 불순물 제거 시에만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도록 설치된 드레인개폐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and the impurities discharged from the washing unit to the discharge pipe fall to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deposition A drain pipe in the form of a pipe to be connected; And a drain opening body disposed on the drain pipe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ipe and installed to be opened by a user's operation only when the accumulated impurities are rem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ovid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는 유동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유동 유체를 거름망 형태의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여과함에 있어, 압력차로 인해 세척 주기를 결정하고, 세척 시에 유동 유체의 공급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에 의해 세척하면서 외부와 연통하여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불순물을 배출함에 따라 장치를 단순화하고, 세척주기를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ipe to which the flow fluid is moved to filter the flow fluid while passing through the sieve-type screen, To determine the cleaning cycle, and to convert the supply force of the flow fluid to the rotational force at the time of washing, to simplify the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hile discharging impurities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washing cycl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y setting it automatically,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sh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는 여과를 위해서 유입되는 압력과 유출되는 압력의 차를 측정하여 압력이 높아져서 기준이 되는 압력보다 높아지면 거름망 형태의 스크린이 불순물로 막혀 세척할 주기가 된 것으로, 압력차를 측정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압력이 낮아지면 작동을 정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을 실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oming pressure and the outgoing pressure for filtration and when the press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the screen of the strainer type is clogged with impurities to clean the cycle In this case, the pressure difference is measured and the cleaning is performed. When the pressure is lowered, the clean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s the operation is stopp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는 여과되는 유동 유체의 공급되는 공급력으로 수차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변환하여 브러쉬와 흡입 수단의 회전으로 불순물을 탈거하고, 외부와의 연통에 의한 압력 차로 탈거된 불순물을 흡입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여타의 동력장치가 필요 없이 작동이 가능함에 따라 장치를 단순화하여 설비 비용을 줄이면서 고정을 최소화하며, 여과 중에서도 작동이 가능하여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aberration with the supplied supply force of the filtered fluid flow to remove the impurities by the rotation of the brush and the suction means, the pressure by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y removing the impurities removed by car by suc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the need of other power devices, simplifying the device, minimizing the fixing cost while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by operating during filtration.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주요 구성인 세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주요 구성인 회전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로 이차로 여과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세척부와 배출부를 작동시켜 회전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lf-cleaning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unit that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onal drive that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of FIG.
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is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screen portion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of FIG.
FIG.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of FIG. 1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removing impurities by rot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n opposite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주요 구성인 세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주요 구성인 회전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로 이차로 여과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의 세척부와 배출부를 작동시켜 회전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lf-cleaning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unit that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ry drive unit, which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and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filter is discharged to the screen unit of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of FIG. 1, and FIG. It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removing impurities by rotating by operating the clean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100)는 우수, 중수처리장, 오폐수처리장, 취수장 등의 액상의 유동 유체가 통과되는 배관(10)에 연결 설치되어 유동 유체 내의 불순물을 걸름 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스크린 장치(100)에 공급되는 유동 유체의 유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에 의해 스크린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1 to 5,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ipe 10 through which the flow fluid of the liquid, such as rainwater, heavy water treatment plant,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take station, etc. It is a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in the screen by the rotation by using the flow force of the flow fluid supplied to the screen device 100 to remove the impurities in the flow fluid by the filtering action.

이러한,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100)는 배관(10)에 연결되어 유동 유체를 여과하는 스크린부(110), 세척제어부(120), 회전구동부(130), 세척부(140), 및 배출부(150)를 포함한다.Such, the self-cleaning screen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pipe 10, the screen unit 110 for filtering the flow fluid, the washing control unit 120, the rotary drive unit 130, the washing unit 140, and the discharge unit ( 150).

스크린부(110)는 배관(10)과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유동 유체가 유입되어 이차로 여과를 실시한 후에 배관(10)으로 유출하도록 구비된다. The screen unit 110 is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10, and is provided to flow out of the pipe 10 after the flow fluid flows in and filters the secondary.

스크린부(110)는 배관(10)과 연결된 스크린몸체(111), 유입관(112), 제1 스크린(113), 제2 스크린(114), 유출관(115), 및 지지격벽(116)을 포함한다.The screen unit 110 includes a screen body 111, an inlet pipe 112, a first screen 113, a second screen 114, an outlet pipe 115, and a support partition wall 116 connected to the pipe 10. It includes.

스크린몸체(111)는 배관에 여과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동 유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면서 불순물을 여과하는 스크린공간(111a)을 가진다. 스크린몸체(111)는 배관(10)의 유동 유체를 여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배관(10)을 통과하는 유동 유체가 유입된 후에 내부에 형성된 스크린공간(111a)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여과하고, 여과후 배관(10)으로 유출되도록 구비된다.The screen body 111 is disposed on one side to be filtered in the pipe, and has a screen space 111a for filtering impurities while the flow fluid supplied from the pipe 10 pas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screen body 111 is installed at a position to filter the flow fluid of the pipe 10 is filtered after moving the screen space 111a formed therein after the flow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1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fter the filtration, the pipe 10 is provided to flow out.

유입관(112)은 스크린몸체(111)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린공간(111a)의 일측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배관과 연결되어 유동 유체를 스크린몸체(111)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The inflow pipe 112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creen body 111 and is connected to a pipe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screen space 111a so as to introduce a flow fluid into the screen body 111.

제1 스크린(113)은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린공간(111a)에 유입관(112)의 타측으로 유입관 통해서 유입되는 유동 유체를 일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거름망 형태의 격벽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first screen 113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has a diaphragm-shaped partition wall shape so as to primarily filter the flow fluid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to the other side of the inflow pipe 112 in the screen space 111a. It is provided with.

제1 스크린(113)의 중앙에는 세척부(14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130)가 삽입 통과되는 스크린통공(113a)을 형성한다. In the center of the first screen 113 is formed a screen through-hole (113a) through which the rotary drive unit 130 for rotating the washing unit 140 is inserted.

제2 스크린(114)은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스크린(113)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1 스크린(113)을 통과한 상기 유동 유체를 이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거름망 형태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세척부(140)가 설치되는 스크린공간(111a)을 가진다. The second screen 114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reen 113 to have a filter net shape to secondaryly filter the flow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creen 113.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screen space 111a in which the washing part 140 is installed.

유출관(115)은 스크린몸체(111)의 타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스크린(114)의 타방향 측면으로 배관과 연결되어 제1 스크린(113)과 제2 스크린(114)을 통해서 이차로 여과된 유동 유체가 배관(10)으로 유출되도록 구비된다. Outflow pipe 115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111, and is connected to the pipe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114 to the secondary through the first screen 113 and the second screen 114. The filtered flow fluid is provided to flow into the pipe (10).

지지격벽(116)은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출관(115)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 스크린(114)의 타측면을 지지하면서 배출부(150)가 설치되도록 스크린공간(111a)을 분할하는 격벽형태로 구비된다. 지지격벽(116)은 유출관(115)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2 스크린(114)에서 여과된 유동 유체가 유출관(115)으로 유출되는 것을 유도함과 동시에 제2 스크린(114)의 타측면을 지지하면서 제2 스크린공간(111a)에서 배출부(150)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The support partition wall 116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pipe 115 so a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114 while allowing the discharge unit 150 to be installed.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which divides 111a. The support partition wall 116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pipe 115 to induce the flow fluid filtered out of the second screen 114 to the outlet pipe 115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114. While supporting, it is installed to partition the space in which the discharge part 1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screen space 111a.

이런, 지지격벽(116)의 중앙에는 스크린공간(111a)이 구획되어 배출부(150)가 설치되는 위치에 세척부(140)의 세척 시 발생되는 불순물 배출되는 부분이 삽입되도록 지지통공(116a)이 형성된다. Such, the support partition hole 116a so that the screen space 111a is partition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ition wall 116 so that the impurity discharge portion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of the cleaning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unit 150 is installed. Is formed.

세척제어부(120)는 유입관(112)과 유출관(115)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에 따라 세척 작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The washing control unit 120 measure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ipe 112 and the outflow pipe 115 to control whether the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이런, 세척제어부(120)는 유입관(112)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입센서(121), 유출센서(122), 압력차측정기(123), 및 작동제어체(124)를 포함한다.Such, the washing control unit 120 includes an inlet sensor 121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inlet pipe 112, an outlet sensor 122, a pressure difference measurer 123, and the operation control body 124.

유입센서(121)는 유입관(1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관(10)에서 유입관(112)으로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차측정기(123)로 전송하도록 설치된다.The inflow sensor 12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flow pipe 112 and is installed to measure the pressure flowing into the inflow pipe 112 from the pipe 10 and transmit the pressure to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r 123.

유출센서(122)는 유출관(11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린몸체(111)에서 이차로 여과한 후에 배관(10)으로 유출관(115)을 통해서 유출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차측정기(123)로 전송하도록 설치된다.The outflow sensor 12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flow pipe 115, and after the secondary filtration at the screen body 111 to measure the pressure flowing through the outflow pipe 115 to the pipe 10 to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meter 123 is installed to transmit.

압력차측정기(123)는 유입센서(121)와 유출센서(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입센서(121)에서 측정된 유입압력과 유출센서(122)의 측정된 유출압력과의 차이를 측정하여 작동제어체(124)로 전송하도록 설치된다.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r 1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flow sensor 121 and the outflow sensor 122 and measu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ressure measured by the inflow sensor 121 and the measured outflow pressure of the outflow sensor 122. It is installed to measure and transmit to the operation control body (124).

작동제어체(124)는 회전구동부(130)와 배출부(150)의 작동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압력차측정기(123)에서 측정된 압력차의 수치를 기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세척부(140)와 배출부(15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시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The operation control body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s of the rotary drive unit 130 and the discharge unit 150, and the washing unit by comparing th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ing instrument 123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It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140 and the discharge unit 150, and generates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작동제어체(124)는 압력차측정기(123)에서 측정된 압력차가 기설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제2 스크린(114)에 불순물이 많이 누적되어 흐름이 방해되면서 여과효율이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세척을 실시하기 위해서 회전구동부(130)와 배출부(150)를 작동시키면 회전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세척부(140)가 회전되면서 배출부(150)의 작동에 의해 세척부(140)로 흡입압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동을 제어한다.When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r 123 is higher than the preset pressure, the operation controller 124 performs washing as the impurities are accumulated in the second screen 114 and the flow is hindered,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In order to operate the rotary drive unit 130 and the discharge unit 150 in order to rotate the cleaning unit 140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e unit 130, the suction pressure to the washing unit 140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5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removing impurities.

이렇게, 세척부(140)의 작동으로 제2 스크린(114)의 불순물을 회전에 의해 탈거한 후에 흡입에 의해 제거하여 흐름이 원활해 지면 압력이 저하되고, 저하되는 압력이 압력차측정기(123)에서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면 회전구동부(130)와 배출부(150)의 작동을 중지하여 세척을 마친다. In this way, by removing the impurities of the second screen 114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140, and then removed by suction to reduce the pressure when the flow is smooth, the pressure is reduced pressure gauge 123 When measured by the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stops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e unit 130 and the discharge unit 150 to finish the cleaning.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을 실시하게 되면 세척 도중에도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여과를 실시할 수 있고, 압력차에 따라 세척으로 실시함으로써, 자동으로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If the washing as described above can be carried out without interruption even during the washing, by wash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ashing automatically.

회전구동부(130)는 스크린몸체(111)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제어체(1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동 유체를 공급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The rotary drive unit 13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body 111 and is provided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by supplying a flow flui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ler 124.

이런, 회전구동부(130)는 스크린몸체(111)의 일측에 흡입관(144)과 분기 연결된 구동공급관(131), 공급밸브(132), 구동몸체(133), 구동수차(135), 구동회전축(136), 및 구동지지체(137)를 포함한다.Such, the rotary drive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44 on one side of the screen body 111, drive supply pipe 131, supply valve 132, drive body 133, drive aberration 135, drive rotary shaft ( 136, and a drive support 137.

구동공급관(131)은 스크린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유입관(112)에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스크린몸체(111)의 내부로 유동 유체가 공급되도록 설치된다.The drive supply pipe 13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reen body 111, one end is connected to branch to the inlet pipe 112, the other end is installed so that the flow fluid is supplied into the screen body 111 do.

공급밸브(132)는 구동공급관(13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제어체(124)의 작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구동공급관(131)을 통해서 공급되는 유동 유체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공급밸브(132)는 작동제어체(124)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면 유동 유체가 구동공급관(131)을 통해서 공급되고, 폐쇄되면 공급이 중단되도록 설치된다.The supply valve 132 is disposed on the driving supply pipe 131, and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body 124, and installe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flow fluid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upply pipe 131. do. When the supply valve 132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ler 124, the flow fluid is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upply pipe 131, and when the supply valve 132 is closed, the supply valve 132 is stopped.

구동몸체(133)는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구동공급관(131)과 연결되어 유동 유체가 공급되어 유동되는 구동공간(134)을 가진다. 구동몸체(133)는 구동공급관(131)을 통해서 공급되는 유동 유체가 구동공간(134)에 공급되면 내부를 유동하면서 유동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The driving body 133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has a driving space 134 connected to the driving supply pipe 131 and supplied with a flow fluid. The driving body 133 is provided so that a flow force is generated while flowing inside the flow fluid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upply pipe 131 to the driving space 134.

구동수차(135)는 구동몸체(13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공간(134)의 내부에서 구동공급관(131)에서 공급되는 유동 유체의 유동되는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복수에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차 형태로 구비된다.The driving aberration 135 is disposed inside the driving body 133, and a plurality of blades are provided to convert the energy of the flow fluid supplied from the driving supply pipe 131 into the rotational energy in the driving space 134. The branch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berrations.

즉, 구동수차(135)는 구동공급관(131)을 통해서 공급되는 유동 유체가 구동공간(134)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세척부(140)를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함에 따라 여타의 동력의 사용 없이 유입되는 유동 유체의 공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하고, 동력에 사용으로 인한 장치를 축소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aberration 135 is converted into a rotational force while the flow fluid supplied through the drive supply pipe 131 flows in the driving space 134 and used as a power for rotating the cleaning unit 140 of the other power of Th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by the supply of flow fluid flowing in without use, which simplifies the structure and reduces the device due to the use of power.

구동회전축(136)은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수차(135)의 중앙에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한쪽 끝이 스크린몸체(111)의 한쪽 끝 방향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이 세척부(14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구동회전축(136)은 구동수차(135)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회전축(136)으로 한쪽끝은 스크린몸체(1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은 세척부(14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다. The driving rotation shaft 136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in the center of the driving aberration 135 so that one end thereof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creen body 111 in one en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washing unit 140. The drive shaft 136 is a drive shaft 136 tha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 aberration 135,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the other end to rotate the washing unit 140 Connected.

구동지지체(137)는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린몸체(111)에 구동회전축(136)의 한쪽 끝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회전축(13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된다.The driving support 137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at which one end of the driving rotation shaft 136 is supported on the screen body 111 so that the driving rotation shaft 136 is rotatably supported. It is provided.

세척부(140)는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회전축(136)과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불순물을 브러싱하면서 흡입하여 세척하도록 구비된다.The cleaning unit 140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111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otation shaft 136 and provided to suck and wash the impurities while rotating the brush.

세척부(140)는 구동회전축(136)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흡입압력을 공급하는 세척회전축(141), 흡입관(144), 흡입노즐(145), 브러쉬축(146), 브러쉬체(147), 및 회전지지체(148)를 포함한다.The wash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drive rotary shaft 136 and rotates to supply a suction pressure while rotating shaft 141, suction pipe 144, suction nozzle 145, brush shaft 146, brush body 147, And a rotation support 148.

세척회전축(141)은 제2 스크린(114)의 내부인 제2 스크린공간(111a)을 가로질러 지지격벽(116)의 지지통공(116a)에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회전축(136)과 함께 회전되도록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통공(116a)을 통해서 삽입되어 지지격벽(116)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The washing rotating shaft 14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through hole 116a of the supporting partition wall 116 across the second screen space 111a that is inside the second screen 114,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ing rotating shaft 136. It is connected to one side as possible,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through hole 116a is provided to be locat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partition 116.

또한, 세척회전축(141)의 내부에는 작동제어체(124)의 제어에 의해 배출부(150)의 작동으로 외기와 연통되면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압력이 작용되어 불순물이 흡입되는 공간인 흡입공간(142)을 형성한다. In addition, when the inside of the washing rotary shaft 14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50 by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body 124,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cts to suck the impurities Phosphorus suction space 142 is formed.

그리고, 세척회전축(141)의 타측 끝에는 배출부(150)와 흡입공간(142)을 상호 연통시켜 흡입압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복수로 관통된 배출공(143)을 형성한다.At the other end of the washing shaft 141, the discharge part 150 and the suction space 14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uction pressure,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43 that are penetrated to discharge impurities to the outside.

즉, 세척회전축(141)은 구동회전축(136)과 연결되어 제2 스크린(114)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배출공(143)을 통해서 배출부(150)와 연통된 흡입공간(142)의 흡입력으로 불순물을 흡입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That is, the washing rotating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otating shaft 136 and rotates inside the second screen 114 to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space 14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rt 15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3. It is provided to suck out impurities.

흡입관(144)은 세척회전축(141)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흡입공간(142)과 연통되어 제2 스크린(114)의 내주연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불순물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The suction pipe 144 protrudes in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tion shaft 141, a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space 142 so as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creen 114 so that impurities are sucked in.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흡입노즐(145)은 흡입관(144) 돌출된 바깥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스크린(114)의 내주연에 근접되어 세척회전축(141)의 흡입공간(142)에서 공급된 흡입 압력으로 불순물을 흡입하는 노즐 형태로 구비된다.The suction nozzle 145 is disposed at the outer end protruding from the suction pipe 144 and is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creen 114 to remove impurities by the suction pressure supplied from the suction space 142 of the washing rotating shaft 141.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nozzle to suck.

브러쉬축(146)은 세척회전축(141)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흡입관(144)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기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축형태로 구비된다. The brush shaft 146 protrudes in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tion shaft 141, and protrude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ction pipe 144 and is provided in an axial form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브러쉬체(147)는 브러쉬축(146)의 돌출된 바깥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스크린(114)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세척회전축(141)의 회전 시 제2 스크린(114)에 불순물을 접촉 탈거하여 흡입노즐(145)로 흡입되도록 설치된다.The brush body 147 is disposed at the protruding outward end of the brush shaft 146 and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creen 114 to impurity in the second screen 114 when the washing shaft 141 rotates. The contact strip is installed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145.

즉, 압력차측정기(123)에서 측정된 압력차가 기설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작동제어체(124)로 구동회전축(136)과 배출부(150)를 작동시킨다. 이때, 구동회전축(136)이 회전되면 연결된 세척회전축(141)이 함께 회전되면서 브러쉬축(146)에 지지된 브러쉬체(147)가 거름망 형상의 제2 스크린(114)의 내주연에 접촉되면서 제2 스크린(114)에 걸림된 불순물을 탈거한다. 여기서, 구동회전축(136)과 회전과 동시에 작동제어체(124)로 배출부(150)를 작동시키면 외부와 연통되면서 내외부 압력차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 압력이 발생되고, 흡입 압력은 배출공(143)을 통해서 연통된 흡입공간(142)에 작용한다.That is,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r 123 is higher than the preset pressure, the driving rotary shaft 136 and the discharge unit 150 are operated by the operation controller 124. 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rotary shaft 136 is rotated, the connected washing rotary shaft 141 is rotated together, the brush body 147 supported on the brush shaft 146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creen 114 of the sieve shape 2 Remove impurities caught on the screen 114. Here, when the discharge unit 15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control body 124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and rotation of the drive rotary shaft 136, the suction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while the suction pressure is discharged ( It acts on the suction space 142 communicated through 143.

상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체(147)의 회전에 의해 탈거되는 불순물이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근접된 흡입노즐(145)과 흡입관(144)을 통해서 흡입공간(142)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불순물을 배출공(143)을 통해서 지지격벽(116)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투입되면 배출부(15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purities removed by the rotation of the brush body 147 are sucked into the suction space 142 through the suction nozzle 145 and the suction pipe 144 proximate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the sucked impurities When introduced into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partition 116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3 is provid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150.

이런, 브러쉬체(147)와 흡입노즐(145)은 불순물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브러쉬축(146)과 흡입관(144)의 돌출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로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In this way, the brush body 147 and the suction nozzle 145 should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moving impurities, which maintains the protruding angles of the brush shaft 146 and the suction pipe 144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rovided to.

회전지지체(148)는 세척회전축(141)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지지격벽(116)의 타측면에 고정되어 지지통공(116a)에 삽입된 세척회전축(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The rotating support 148 rotatably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rotating shaft 141, a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partition wall 116 to rotatably support the washing rotating shaft 141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through hole 116a. It is provided to.

배출부(150)는 스크린몸체(1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세척회전축(141)과 외부를 연통하여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Discharge part 15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111, and is provid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a suction press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rotary shaft 141 and the outside.

이런, 배출부(150)는 스크린몸체(111)의 타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출관(151), 배출밸브(152), 드레인관(153), 및 드레인개폐체(154)를 포함한다. Such, the discharge unit 150 includes a discharge pipe 151, a discharge valve 152, a drain pipe 153, and a drain opening and closing body 154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111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배출관(151)은 스크린몸체(1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린몸체(111)의 내부에 지지격벽(116)으로 구획된 타측 공간과 외부가 상호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스크린공간(111a)과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세척회전축(141)에 흡입 압력을 제공하면서 흡입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Discharge pipe 151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111, the other side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partition wall 116 in the interior of the screen body 111 and the outsid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creen space 111a and the outsid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sucked impurities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the suction pressure to the washing rotary shaft 141 by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배출밸브(152)는 배출관(15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의 작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개방 시에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세척회전축(141)의 흡입공간(142)으로 흡입 압력을 제공하면서 흡입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관(151)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Discharge valve 152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151,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to open the suction pressure to the suction space 142 of the washing shaft 14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t the time of opening. While providing the supplied impurities ar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1 to the outside.

드레인관(153)은 스크린몸체(111)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린공간(111a)의 지지격벽(116)으로 구획된 타측 공간의 하부에 퇴적되는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와 연결된 관 형태로 구비된다. The drain pipe 153 is dispos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111 and moves downward in order to discharge impurities deposited i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partition wall 116 of the screen space 111a to the outside. It protrudes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connected to the outside.

드레인개폐체(154)는 드레인관(153)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드레인관(15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퇴적된 불순물 제거 시에만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다.The drain opening and closing body 154 is disposed on the drain pipe 153 and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ipe 153 so that the drain opening and closing body 154 is intermittently opened by the user's operation only when the accumulated impurities are remov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린 장치 110 : 스크린부
111 : 스크린몸체 111a : 스크린공간
112 : 유입관 113 : 제1 스크린
113a : 스크린통공` 114 : 제2 스크린
114a : 제2 스크린공간 115 : 유출관
116 : 지지격벽 116a : 지지통공
120 : 세척제어부 121 : 유입센서
122 : 유출센서 123 : 압력차측정기
124 : 작동제어체 130 : 회전구동부
131 : 구동공급관 132 : 공급밸브
133 : 구동몸체 134 : 구동공간
135 : 구동수차 136 : 구동회전축
137 : 구동지지체 140 : 세척부
141 : 세척회전축 142 : 흡입공간
143 : 배출공 144 : 흡입관
145 : 흡입노즐 146 : 브러쉬축
147 : 브러쉬체 148 : 회전지지체
150 : 배출부 151 : 배출관
152 : 배출밸브 153 : 드레인관
154 : 드레인개폐체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screen device 110: screen unit
111: screen body 111a: screen space
112: inlet pipe 113: first screen
113a: screen through `114: second screen
114a: second screen space 115: outlet pipe
116: support bulkhead 116a: support through hole
120: washing control unit 121: inflow sensor
122: outflow sensor 123: pressure difference measuring instrument
124: operation control body 130: rotary drive unit
131: drive supply pipe 132: supply valve
133: driving body 134: driving space
135: drive aberration 136: drive rotation shaft
137: drive support 140: cleaning unit
141: washing rotating shaft 142: suction space
143: discharge hole 144: suction pipe
145: suction nozzle 146: brush shaft
147: brush body 148: rotation support
150: discharge part 151: discharge pipe
152: discharge valve 153: drain pipe
154: drain opening and closing body

Claims (10)

유동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 유체가 유입되어 이차로 여과를 실시한 후에 상기 배관으로 유출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유입되는 부분과 유출되는 부분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에 따라 세척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세척제어부;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동 유체를 공급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불순물을 브러싱하면서 흡입하여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으로 구획된 공간의 한쪽 측면에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세척부에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흡입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관 형태의 배출관;
상기 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개방 시에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세척부의 흡입압력을 제공하면서 흡입된 불순물을 외부로 상기 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배출밸브;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과 서로 대응되는 반대 방향인 다른쪽 측면에 상기 세척부에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불순물이 낙하되어 퇴적 시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관 형태의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퇴적된 불순물 제거 시에만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도록 설치된 드레인개폐체;를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A screening device for filtering impurities to remove impurities by being connected to a pipe to which a moving fluid is moved,
A screen unit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and flowing into the pipe after the flow fluid is introduced and filtered through the pipe;
A washing control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ortion and the outflow portion of the screen unit to control the was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 rotation driving unit disposed in one direction of the screen unit in an inward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upply the flow flui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 washing unit disposed inside the screen unit and connected to the rotary driving unit to suck and wash impurities while rotating by rotating;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th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a suction pressure by connecting the washing unit and the outside; including,
The discharge portion,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connected to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space partition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sucked impurities while providing the suction pressure to the washing unit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creen portion and the outside A discharge pipe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It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and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ischarged impuritie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outside while providing the suction pressure of the washing uni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t the time of opening. A discharge valve;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the drain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impurities discharged from the cleaning unit to the discharge pipe in the opposite si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discharge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upon deposition tube; And
It is disposed on the drain pipe,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ipe, the drain opening and closing body is installed to be opened by the user's operation only when the accumulated impurities are removed;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배관에 여과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 유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면서 불순물을 여과하는 스크린공간을 가지는 스크린몸체;
상기 스크린몸체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공간의 일측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 유체를 상기 스크린몸체로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공간에 상기 유입관의 타측으로 상기 유입관 통해서 유입되는 상기 유동 유체를 일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거름망 형태의 격벽 형상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회전구동부가 통과되는 스크린통공을 가지는 제1 스크린;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상기 유동 유체를 이차적으로 여과하도록 거름망 형태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세척부가 설치되는 제2 스크린공간을 가지는 제2 스크린;
상기 스크린몸체의 타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의 타방향 측면으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을 통해서 이차로 여과된 상기 유동 유체가 상기 배관으로 유출되는 유출관;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스크린의 타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스크린공간을 분할하는 격벽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세척부가 삽입되는 지지통공을 가지는 지지격벽;을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unit,
A screen body disposed at one side to be filtered in the pipe and having a screen space therein to filter impurities while the flow fluid supplied from the pipe pas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 inlet pip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creen body and connected to the pipe at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screen space to introduce the flow fluid into the screen body;
It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and provided in the screen space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in the form of a sieve to filter the flow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to the other side of the inlet pipe primarily, the rotary drive unit passes through the center A first screen having a screen aperture;
It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strainer to filter the flow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creen secondary, the washing unit is installed therein A second screen having a second screen space;
An outflow pip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body and connected to the pipe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creen, and the flow fluid secondaryly filtered through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flows out into the pipe; ; And
It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body, is located in the other side of the outflow pip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creen space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is installed while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the washing portion in the center Including a support bulkhead having a support through hole inserted therein;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어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에서 상기 스크린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입센서;
상기 스크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에서 여과된 상기 유동 유체가 상기 배관에 유출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출센서;
상기 유입센서와 상기 유출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센서에서 측정된 유입압력과 상기 유출센서의 측정된 유출압력과의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차측정기; 및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배출부의 작동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차측정기에서 측정된 압력차의 수치를 기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세척부와 상기 배출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시켜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체;를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shing control unit,
An inlet senso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measure a pressure of the flow fluid flowing into the screen unit from the pipe;
An outflow sensor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measure a pressure of the flow fluid which is flowed out of the pipe by the flow fluid filtered from the screen unit;
A pressure difference me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flow sensor and the outflow sensor and measuring a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pressure measured by the inflow sensor and the measured outflow pressure of the outflow sensor;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tary drive unit and the discharge portion, and compares th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meter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determine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Includ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to control operation;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기 배관의 상기 유동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로 상기 유동 유체가 공급되도록 설치된 구동공급관; 및
상기 구동공급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동공급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ry drive unit,
A driving supply pip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creen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ortion into which the flow fluid of the pipe portion flows,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supply tube being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creen portion; And
A supply valve disposed on the driving supply pipe and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he supply valve being installed to control whether the flow fluid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upply pipe is supplied.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구동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 유체가 공급되어 유동되는 구동공간을 가지는 구동몸체;
상기 구동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상기 유동 유체의 유동되는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복수에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차 형태로 구비된 구동수차;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차의 중앙에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한쪽 끝이 상기 스크린부의 한쪽 끝 방향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세척부를 회전시키도록 연결 구비된 구동회전축; 및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에 상기 구동회전축의 한쪽 끝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된 구동지지체;를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driving body disposed inside the screen unit and having a driving space connected to the driving supply pipe to supply the flow fluid;
A drive aberration disposed in the drive body, the drive aberratio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in a plurality of blades so as to convert energy flowing in the flow fluid supplied from the drive supply pipe into rotational energy in the drive space;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portion,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in the center of the drive aberration,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in one end direction of the screen portion,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o rotate the washing unit Drive rotary shaft; And
It is disposed in the screen portion, the drive unit is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drive rotation shaft is supported in the screen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drive rotation shaft rotatably; includes;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이차로 여과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불순물을 흡입되도록 구비된 세척회전축;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세척회전축에서 공급된 흡입 압력으로 불순물을 흡입하는 노즐 형태로 구비된 흡입노즐; 및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스크린부의 원통형 여과부분에 불순물을 접촉 탈거하여 상기 흡입노즐로 흡입하도록 설치된 브러쉬체;를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shing unit,
A washing rotating shaft disposed inside the screen unit and provided to suck impurities while being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ing unit at a second filtered position of the screen unit;
A suction nozzle protruding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ry shaft and configured to form a nozzle to suck impurities at the suction pressure supplied from the washing rotary shaft; And
A brush body protruding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ry shaft, the brush body installed to suck the impurities into the cylindrical filtration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when the washing rotary shaft is rotated and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회전축은,
상기 스크린부의 이차로 여과되는 위치에 일측 끝이 상기 회전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구획된 타측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세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부의 작동으로 외기와 연통되면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압력이 작용되어 불순물이 흡입되는 공간인 흡입공간을 가지고, 타측 끝에 상기 배출부와 상기 흡입공간을 상호 연통시켜 흡입압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복수로 관통된 배출공을 가지도록 구비된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washing rotating shaft,
One end of the screen unit is connected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driving unit at the second filtered position,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partitioned so that the discharge unit of the screen unit is installed,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washing control unit therein. When the discharge uni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suction space, and the suction space is a space where impurities are sucked, and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suction sp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other end to provide suction pressure. It is provided to hav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ed to discharge impurities to the outside
Self-cleaning scree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되도는 관 형태로 구비되어 불순물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입관;
상기 세척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기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브러쉬체와 연결되는 축형태로 구비된 브러쉬축; 및
상기 세척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상기 배출부가 설치되도록 구획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기 세척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 회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uction pipe which protrudes in a plurality of radial positions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washing rotation shaft,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impurities are sucked;
A brush shaft protruding a plurality of radially outward directions of the washing rotation shaft, the brush shaft being connected to the brush body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ction pip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shaft, the rotation support body is provid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washing shaft inserted in a position partitione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screen portion;
Self-cleaning scree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05902A 2017-08-22 2017-08-22 Self Cleaning Screen Device KR102046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02A KR102046694B1 (en) 2017-08-22 2017-08-22 Self Cleaning Scree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02A KR102046694B1 (en) 2017-08-22 2017-08-22 Self Cleaning Scree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43A KR20190020943A (en) 2019-03-05
KR102046694B1 true KR102046694B1 (en) 2019-11-19

Family

ID=6576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02A KR102046694B1 (en) 2017-08-22 2017-08-22 Self Cleaning Scree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6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2B1 (en) * 2021-03-22 2022-01-13 백용기 Purification and discharge system of sewage and wastewater geneated i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529B (en) * 2020-07-06 2024-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leaning method for fan coil, air conditioner and filter screen
KR102196512B1 (en) * 2020-07-22 2020-12-29 에이치씨테크(주) Self-cleaning filter
CN116531831A (en) * 2023-06-19 2023-08-04 青岛尚禹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Rural sewage treatment plant of energy saving and emission reduction
CN117643758B (en) * 2024-01-29 2024-04-09 德州华恒环保科技有限公司 Aquatic impurity filter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18Y1 (en) * 2004-09-30 2004-12-10 김성철 Self-Cleaning Filte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395A (en) * 2008-06-24 2010-01-06 용택 김 Auto screen washing type's filtering apparatus using fluis press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18Y1 (en) * 2004-09-30 2004-12-10 김성철 Self-Cleaning Filter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2B1 (en) * 2021-03-22 2022-01-13 백용기 Purification and discharge system of sewage and wastewater geneated i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43A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694B1 (en) Self Cleaning Screen Device
KR101110854B1 (en) Filtering apparatus
CN102407045A (en) Filter
JP2014534070A (en) Pressure backwashing filter device using filter drum
EP2771292B1 (en) Water filter
CN107970665A (en) A kind of Full-automatic self-cleaning filter
CN207091117U (en) Sullage anti-block machine
CN202740853U (en) Brush type self-cleaning filter
KR100328545B1 (en) A continuous washing system ofa filter that filtering liguid
KR100630372B1 (en) Filtering Device
KR20120114791A (en) Self cleaning strainer
KR101468655B1 (en) Filter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KR20100000395A (en) Auto screen washing type&#39;s filtering apparatus using fluis pressure
KR20100068558A (en) Apparatus for filter backwashing
CN208641943U (en) Backpulsing self-cleaning filter
CN208641942U (en) Backpulsing self-cleaning filter
KR100926078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 water
KR100730319B1 (en) Cleanning water apparatus
KR20080092612A (en) Apparatus for filtering wastewater
CN206121284U (en) Methanol -water filter equipment with cleaning function
KR100921785B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sewage
CN109224581A (en) Scraper type filter
KR20110091095A (en) Filter for water quality tele-monitoring system
KR20170127850A (en) Filtering apparatus of fluid
CN105879484A (en) Vertical gravel net type automatic integrated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