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988B1 -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988B1
KR102045988B1 KR1020160033666A KR20160033666A KR102045988B1 KR 102045988 B1 KR102045988 B1 KR 102045988B1 KR 1020160033666 A KR1020160033666 A KR 1020160033666A KR 20160033666 A KR20160033666 A KR 20160033666A KR 102045988 B1 KR102045988 B1 KR 10204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agnetic field
sphere
rings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548A (ko
Inventor
최홍수
김상원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3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9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링이 비대칭적으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링 사이에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구체; 및 상기 구체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자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구체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자성층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일 방향으로 구름 이동한다.

Description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Mobile bio-scaffold controlled by magnetic fie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지지체에 자성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생체 전달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명공학 분야 중에서도 조직의 치료 및 재생을 위한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분야가 발달하고 있다.
조직공학은 생명과학과 공학의 기본 개념과 기술을 통합 응용하여 생체조직의 구조와 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나아가 생체조직의 대용품을 만들어 다시 체내에 이식함으로써 우리 몸의 기능을 유지, 향상 또는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응용학문이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의료공학 기술이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체장기나 조직의 손상은 빈번히 발생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장기이식 수술은 기술적인 어려움, 높은 비용, 기증자의 부족 및 면역 억제제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장기 이식의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조직 공학을 이용한 인공장기의 개발이나 조직의 재생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상기 조직 공학의 기본 원리는 환자의 몸에서 필요한 조직을 채취하고 그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세포를 지지체에 배양하여 세포-지지체 복합체를 제조한 후 세포-지지체 복합체를 다시 인체 내에 이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포-지지체는 생체 내 안전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먼저, 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의 활성에 도움을 주는 재료로 제조되어야 하고, 지지체 전체적으로 세포의 증식과 조직 재생이 원활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로 제조되어야 하며, 이러한 다공성 구조의 기공들 간에 상호 연결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생체지지체는 생체 적합성을 가져야 하며, 이식되는 세포와 조직의 일체화가 쉽도록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공극을 가지게 되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생분해 재료를 사용하여야 할 때도 있다.
현재 사용되는 생체 전달체는 뼈, 피부, 장기 등의 재생에 주로 사용되며, 생체 전달체에 이식되는 세포와 조직에 맞는 구조물의 형태와 공극의 크기가 결정된다. 구조체 상에 새로운 조직을 형성하는 것은 구조체의 다공성, 크기 및 3차원적 다공 간 연결구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적절한 다공 구조는 충분한 수의 세포를 운반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상호 연결된 다공 구조는 영양성분 확산을 위해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조직의 치료 및 재생에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생체 전달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 개발이 최근 들어 계속하여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10-2013-0120572(2013.11.05.(공개일))에서는 '세포가 포함된 다공성 3차원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지지체를 생체 내 삽입하여 이식 부위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적 방법 및 기계의 도움을 받아 직접 삽입하고 원하는 위치에 정착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삽입과정에서 감염 및 외상의 위험이 있고, 접근하기 힘든 국소부위나 혈관 및 뇌조직과 같은 외부에 노출되면 위험한 부분에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 목표지점까지 정밀하고 신속하게 위치이동될 수 있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지지체를 구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외부자기장에 의한 구름이동시 추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링이 비대칭적으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링 사이에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구체; 및 상기 구체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자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구체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자성층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일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체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층은 상기 구체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체는 생체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 개의 간극을 구비하는 구체는 내부공간에 배양된 세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링은 제 1링 및 상기 제 1링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제 2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링은 상기 제 1링과 상기 제 2링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제 3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링은 상기 제2링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제3링은 상기 제1링 및 상기 제2링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링의 수는 상기 제 2 링의 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링의 수는 상기 제 2 링의 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이 때, 제 1 링 내지 제 3 링은 각각의 링의 중심축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링은 반경 방향으로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링이 비대칭적으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링 사이에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체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자성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성축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체 내부를 일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상기 구체의 외부면에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자성층을 덮도록 생체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다수 개의 간극을 구비하는 구체 내에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체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 자기장에 의해 생체지지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방법 및 기계의 도움없이 국소부위나 혈관 및 뇌조직 등에 세포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XZ축 평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YZ축 평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에 세포배양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는 세 축을 말하며, X축은 도 1을 기준으로 제 1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고, Y축은 제 1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며, Z축은 제1링에 대하여 형성되는 평면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 자기장에 의해 생체 전달체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인체 내부조직이나 미세혈관과 같은 국소부위에 세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가능한 생체지지체(10)는 구체(100)와 자성층(200)을 포함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구체(100)는 세포(20)가 배양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표적지점까지 세포(20)를 운반하는 이송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1링(110)과 제2링 (120)및 제3링(130)이 교차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대략 구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XZ축 평면과 YZ축 평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XZ면상에서 제 1링(110)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고, 제 2링(120)은 제 1링(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 3링(130)은 제 1링(110)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 1링(110)과 상기 제 2링(120)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도 3을 참고하면, YZ면상에서 제 2링(120)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배치되고, 제 1링(110)은 제 2링(1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 3링(130)은 제 2링(120)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 1링(110)과 상기 제 2링(120)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링 및 제 3 링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복수개의 링, 예를 들어, 3개의 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링은 하나의 링으로 이루어져, 구체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링 및 제 3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 2 링보다 많은 수의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구체가 전체적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3의 제 1 링은 서로 나란하게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제 3 링은 서로 나란하게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링 내지 제 3 링은 각각의 링의 중심축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링은 반경 방향으로 대략적으로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장 제어가능한 생체지지체(10)는 XYZ 좌표 상에서, XY, YZ 및 XZ면에 의하여 잘린 단면 중 어느 한 면이 원형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링 내지 제 3링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원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링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원형링과 타원링이 서로 조합된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체(100)의 외부면에는 자성층(200) 및 보호층(3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체(100)는 통상의 생체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 및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고분자, 세라믹, 나노섬유와 같은 수지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재료, 생분해성 자성재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체(100)는 생체 내 이동이 용이한 마이크로 크기로 형성하기 위하여 광경화폴리머를 이용한 리소그래피(lithography)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광경화폴리머는 빛을 조사하면 경화하는 폴리머로써, 리소그래피법을 통해 3차원의 생체 전달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SU-8 폴리머, KMPR, IP-L 또는 IP-G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SU-8폴리머 일 수 있다.
상기 구체(100)의 외부면에 형성된 자성층(200)은 구체가 비대칭 자성 구조를 갖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체가 비대칭의 격자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기 구체에 덮혀진 자성층 또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자성층의 비대칭성에 기인하여 상기 구체(100)의 중심에는 자성축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자성축이 형성된 구체(100)는 외부 자기장, 즉 회전 자기장이 인가될 경우 회전하여 구름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체 전달체(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방법 및 기계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이식 부위에 생체 전달체(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성층(200)은 일정 세기의 자성을 띠고, 부식성(반응성)이 크지 않은 금속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니켈(Ni), 철(Fe), 코발트(Co) 또는 네오디뮴(Nd)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니켈(Ni)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1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자성층(200)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일방향으로 구름 이동하여 표적지점으로 세포(20)를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층(200)은 상기 구체(100)의 외부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의 내, 외부면, 제 1링(110) 내지 제 3링(130) 중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링과 링 사이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등 구체(100)의 외부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에 세포배양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 구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링(110) 내지 제 3링(1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구체(10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을 통해 구체(100)의 내부공간에는 뼈, 피부, 장기 등의 재생에 사용되기 위한 특수용도의 세포(20)가 배양됨으로써 상기 생체지지체(10)는 세포-지지체 복합체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체(100)의 내부공간에는 약물이 저장되어 표적지점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간극의 크기는 생체 전달체(10)에 이식되는 세포와 조직에 따라 제 1링(110) 내지 제3링(130)을 교차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체 전달체(10)는 간극 또는 생체 전달체의 내부공간에 이식할 조직의 세포(20)를 배양함으로써 세포-지지체 복합체의 형태로 미 도시된 내시경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인체 내에 이식되는 것으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구체(100)는 생체 내에서 부작용이 없도록 외부면 전체를 덮는 보호층(300)을 구비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층(200)의 외부면 전체를 덮도록 보호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300)은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타늄(Ti), 의료용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나(Al2O3) 또는 금(Au)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이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기장 제어 가능한 생체지지체는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구체의 외부면에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세포(20)가 배양되는 본체인 동시에 세포(20)를 운반할 수 있는 구체(10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 1링(110)과, 상기 제 1링(110)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제 2링(120) 및 상기 제 1링(110)과 상기 제 2링(120)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제 3링(130)을 구비하여 제 1링(110) 내지 제 3링(130)의 사이에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구체(100)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체의 제조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생체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인 입자침출법(particulate leaching), 유화동결 건조법(emulsion freeze-drying), 고압기체 팽창법(high pressure gas expansion) 및 상분리법(phase separation), 융착조형법(FDM: Fused Deposition Modelling) 또는 리소그래피법(Lithography)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기장 제어가능한 생체지지체는 광경화폴리머를 이용한 리소그래피(lithography)법으로 3차원의 생체 전달체(bio-scaffold)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체(100)의 외부면에 자성층(20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체(100)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구체(1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자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코팅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자빔증착법, 담금법, 전해도금,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방법으로 코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제어 가능한 생체지지체는 종래처럼 수술적 방법 및 기계의 도움을 받지 않고, 국소부위나 혈관 및 뇌조직과 같은 외부에 노출되면 위험한 부분에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 자기장 제어를 통해 표적지점으로 세포(20)를 운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층 형성단계 후, 생체 내에서의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자성층(200)의 외주면에 생체 적합성 금속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적합성 금속은 생체 내에서 안정적이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금속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이타늄(Ti), 의료용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나(Al2O3) 또는 금(Au)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타이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물질의 코팅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코팅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자빔증착법, 담금법, 전해도금,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방법으로 코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층 형성단계 후, 상기 다수 개의 간극과 구체의 내부공간에는 표적지점에 운반할 세포를 배양하거나 약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자기장 제어 가능한 생체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은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체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 자기장에 의해 생체지지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방법 및 기계의 도움없이 국소부위나 혈관 및 뇌조직 등에 세포를 직접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자기장 제어가능한 생체 전달체 20 : 세포
100 ; 구체 110 : 제1링
120 : 제2링 130 : 제3링
200 : 자성층 300 : 보호층

Claims (16)

  1. 복수의 링이 비대칭적으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링 사이에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구체; 및
    상기 구체에 형성되는 자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구체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상기 자성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성축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일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수지소재,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재료 또는 생분해성 자성재료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구체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생체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간극을 구비하는 구체는 내부공간에 배양된 세포를 구비하거나 약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은
    제 1링; 및
    상기 제 1링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제 2링;을 포함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은
    상기 제 1링과 상기 제 2링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제 3링을 포함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링은 상기 제2링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이동식 생체 전달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제3링은 상기 제1링 및 상기 제2링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링의 수는 상기 제 2 링의 수 보다 많은,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링의 수는 상기 제 2 링의 수 보다 많은,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12. 제 7항에 있어서,
    제 1 링 내지 제 3 링은 각각의 링의 중심축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13. 제 7항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링은 반경 방향으로 볼 때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14. 복수의 링이 비대칭적으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링 사이에 다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체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자기장과 자성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성축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체 내부를 일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상기 구체의 외부면에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자성층을 덮도록 생체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다수 개의 간극을 구비하는 구체 내에 세포를 배양하거나 약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의 제조방법.
KR1020160033666A 2016-03-21 2016-03-21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66A KR102045988B1 (ko) 2016-03-21 2016-03-21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66A KR102045988B1 (ko) 2016-03-21 2016-03-21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49A Division KR101609387B1 (ko) 2014-06-10 2014-06-10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548A KR20160036548A (ko) 2016-04-04
KR102045988B1 true KR102045988B1 (ko) 2019-11-18

Family

ID=5579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666A KR102045988B1 (ko) 2016-03-21 2016-03-21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9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739B1 (ko) 2012-05-08 2014-09-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약물전달용 마이크로 로봇, 그의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 방법
KR101458938B1 (ko) 2014-05-16 2014-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장 구동형 마이크로 로봇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739B1 (ko) 2012-05-08 2014-09-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약물전달용 마이크로 로봇, 그의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 방법
KR101458938B1 (ko) 2014-05-16 2014-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장 구동형 마이크로 로봇 및 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UCHEBOUT, S. et al., J. Micro-Nano Mech.(2012) Vol.7, pp.97-113*
KIM, S. et al., Advanced Materials(2013) Vol.25, pp.5863-58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548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1280B2 (en) Implantable cellular and biotherapeutic agent delivery canister
US20210290364A1 (en) In vivo tissue engineering devices, methods and regenerative and cellular medicine employing scaffolds made of absorbable material
US9402903B2 (en) Magnetic field-controlled movable bio-scaffold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06267332A (zh) 一种多孔镁合金作为载体在医学上的应用
US20180237888A1 (en) Porous metal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903084A (zh) 一种具有抗菌功能涂层的3d打印多孔支架及其制备方法
US10792129B2 (en) Soft tissue in-growth of porous, three-dimensionally printed, transcutaneous implants of varying material and pore geometry
WO2017063412A1 (zh) 活体组织器官的制作方法
KR101554696B1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986B1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Kokorev et al. Evaluation of allogenic hepato-tissue engineered in porous TiNi-based scaffolds for liver regeneration in a CCl4-induced cirrhosis rat model
KR102045988B1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1009515A1 (en) Scaffold for bone ingrowth
KR101609387B1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전달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0000020A (ja) 細胞培養担体
KR20180000092A (ko) 마이크로 장기 및 마이크로로봇 기반 생체 모사 시스템
CN210124877U (zh) 含载药腔室的多孔金属假体
KR101880667B1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지지체
RU2689794C1 (ru) Порист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имплантатов
KR101574585B1 (ko) 자기장 제어 가능한 이동식 생체 지지체
US9629713B2 (en) Biomedical implant for use in fluid shear stress environments
US11857672B2 (en) Implantable cellular and biotherapeutic agent delivery canister
US11857673B2 (en) Implantable cellular and biotherapeutic agent delivery canister
US11857670B2 (en) Implantable cellular and biotherapeutic agent delivery canister
RU2785843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использования биомиметиче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обеспечивающих сообщение в живой тка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