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82B1 - 잡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잡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82B1
KR102045882B1 KR1020170176459A KR20170176459A KR102045882B1 KR 102045882 B1 KR102045882 B1 KR 102045882B1 KR 1020170176459 A KR1020170176459 A KR 1020170176459A KR 20170176459 A KR20170176459 A KR 20170176459A KR 102045882 B1 KR102045882 B1 KR 10204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plate
blade
left plate
r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196A (ko
Inventor
장익춘
Original Assignee
장두빈
김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두빈, 김영순 filed Critical 장두빈
Priority to KR102017017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8Attaching means for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잡초 제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철사 형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잡초 제거 장치{WEED REMOVAL DEVICE}
아래의 설명은 잡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는 생육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며, 작물이 차지할 공간을 점령하여, 작물에 공급되어야 할 양분 및/또는 수분을 빼앗는다. 잡초는 작물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통풍을 저해하여, 작물의 생장을 방해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잡초를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철사 형상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잡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서로 다른 유연성을 갖는 이중 구조를 통해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잡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잡초 제거 장치는, 철사 형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길이 방향 부재의 막대를 고정 가능한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 보다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상에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상기 블레이드를 통과시키는 통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 홀은,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는, 상기 블레이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 부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 및 베이스 부재가 이루는 각도는 조절 가능하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좌측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베이스 부재는,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철사 형상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강성한 재질의 베이스 부재와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을 갖는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는, 힘이 가해질 때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면서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 및 베이스 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초 제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잡초가 제거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가 잡초를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선 Ⅳ-Ⅳ를 따라 절개한 좌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블레이드 및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잡초를 제거하는 동안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가 구부러지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측면도이고, 연결 부재 및 베이스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블레이드 및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잡초 제거 장치(1)는 지지부(10) 및 블레이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블레이드(20)의 양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의 전방에는 잡초를 절단하는 블레이드(20)가 연결되고, 후방에는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길이 방향의 막대(R)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고, 양 측부에 블레이드(20)의 양 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잡초들은 지지부(10) 및 블레이드(20)로 둘러싸인 공간을 통과할 수 있고, 그 동안 블레이드(2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연결 부재(11), 베이스 부재(12), 좌측 플레이트(13), 우측 플레이트(14), 복수 개의 체결 부재(17a, 17b, 18a, 18b) 및 장력 조절 부재(19a, 19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부재는, 제 1 체결 부재(17a, 17b), 제 2 체결 부재(18a) 및 제 3 체결 부재(18b)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조절 부재는,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 및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는 길이 방향의 막대(R)를 고정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는 중공을 갖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1)는 원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막대(R)는 연결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막대(R)는 막대 고정부(미도시)에 의해 연결 부재(1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막대(R)는 연결 부재(11)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막대 고정부(미도시)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용이하게 막대(R)를 교체할 수 있다. 막대 고정부(미도시)는 연결 부재(11)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12)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는 연결 부재(11)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의 중앙부(121, 122)는 연결 부재(11)에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2)의 좌측부(123) 및 우측부(124)는 중앙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란 연결 부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2)의 좌측부(123) 및 우측부(124)는 중앙부(121, 122)와 각도 90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2)는 연결 부재(11)는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 부재(12)를 연결 부재(11)로부터 분리하여, 어느 하나의 구성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베이스 부재(12) 및 연결 부재(11)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베이스 부재(12) 및 연결 부재(11) 사이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2) 및 연결 부재(11)는 제 1 체결 부재(17a, 17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체결 부재(17a, 17b)는 베이스 부재(12) 및 연결 부재(11)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 1 볼트(171a, 171b)와, 제 1 볼트(171a, 171b)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너트(172a, 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체결 부재(17a, 17b)가 느슨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2) 및 연결 부재(11) 사이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제 1 체결 부재(17a, 17b)를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얇은 판 형상, 예를 들어, 사각 판 형상일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각각 베이스 부재(12)의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좌측 플레이트(13)는 베이스 부재(12)의 좌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플레이트(13)는 베이스 부재(12)의 좌측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중 베이스 부재(12)에 오버랩되는 부분은 베이스 부재(12)에 고정되어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좌측 플레이트(13) 중 베이스 부재(12)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는 제 2 체결 부재(18a) 및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에 의해 베이스 부재(12)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는 지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부분이므로, 교체 또는 수리가 빈번하게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체결 부재(18a) 및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를 해체하여, 좌측 플레이트(13)를 베이스 부재(12)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는 블레이드(20)의 일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의 일 단부는 좌측 플레이트(13) 상에 배치된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체결 부재(18a)는 좌측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부재(12)를 체결할 수 있다. 제 2 체결 부재(18a)는, 예를 들어, 좌측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부재(12)의 일측을 관통하는 제 2 볼트(181a)와, 제 2 볼트(181a)에 체결되는 제 2 너트(182a)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는 좌측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부재(12)를 체결할 수 있다.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는 좌측 플레이트(1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블레이드(2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는, 좌측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부재(12)의 타측을 관통하는 제 1 장력 조절 볼트(191a)와, 제 1 장력 조절 볼트(191a)에 체결되는 제 1 장력 조절 너트(19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력 조절 볼트(191a)는 블레이드(20)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다. 제 1 장력 조절 볼트(191a)가 회전하는 길이만큼 블레이드(20)가 제 1 장력 조절 볼트(191a)에 감기는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가 제 1 장력 조절 볼트(191a)에 감기는 길이가 증가할 경우, 블레이드(20)의 장력은 증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잡초의 종류 및 크기, 토양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블레이드(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는 블레이드(20)를 통과시키는 제 1 통과 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0)는 제 1 통과 홀(131)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더라도, 좌측 플레이트(13)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통과 홀(131)은 좌측 플레이트(13)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의 하단부가 지면에 삽입되더라도, 블레이드(20)는 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지표면 하층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는 지면 아래를 이동하며, 잡초의 생장점을 절단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의 우측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 중 베이스 부재(12)에 오버랩되는 부분은 베이스 부재(12)에 고정되어 변형되지 않을 수 있고, 우측 플레이트(14) 중 베이스 부재(12)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는 제 3 체결 부재(18b) 및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에 의해 베이스 부재(12)에 고정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는 지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부분이므로, 교체 또는 수리가 빈번하게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3 체결 부재(18b) 및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를 해체하여, 우측 플레이트(14)를 베이스 부재(12)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는 블레이드(20)의 타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의 타 단부는 우측 플레이트(14) 상에 배치된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에 고정될 수 있다.
제 3 체결 부재(18b)는 우측 플레이트(14) 및 베이스 부재(12)를 체결할 수 있다. 제 3 체결 부재(18b)는, 예를 들어, 우측 플레이트(14) 및 베이스 부재(12)의 일측을 관통하는 제 3 볼트(181b)와, 제 3 볼트(181b)에 체결되는 제 3 너트(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는 우측 플레이트(14) 및 베이스 부재(12)를 체결할 수 있다.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는 우측 플레이트(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블레이드(2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는, 우측 플레이트(14) 및 베이스 부재(12)의 타측을 관통하는 제 2 장력 조절 볼트(191b)와, 제 2 장력 조절 볼트(191b)에 체결되는 제 2 장력 조절 너트(19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장력 조절 볼트(191b)는 블레이드(20)의 타단을 고정할 수 있다. 제 2 장력 조절 볼트(191b)가 회전하는 길이만큼 블레이드(20)가 제 2 장력 조절 볼트(191b)에 감기는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가 제 2 장력 조절 볼트(191b)에 감기는 길이가 증가할 경우, 블레이드(20)의 장력은 증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잡초의 종류 및 크기, 토양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블레이드(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는 블레이드(20)를 통과시키는 제 2 통과 홀(141)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0)는 제 2 통과 홀(141)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더라도, 우측 플레이트(14)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통과 홀(141)은 우측 플레이트(14)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20)는 철사 형상일 수 있다. 블레이드(20)의 일 단부는 좌측 플레이트(13)의 제 1 통과 홀(131)을 통과하여, 좌측 장력 조절 부재(19a)에 고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20)의 타 단부는 우측 플레이트(14)의 제 2 통과 홀(141)을 통과하여, 우측 장력 조절 부재(19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가 잡초를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잡초 제거 장치(1)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잡초(W)를 제거할 수 있다. 잡초 제거 장치(1)의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 도 1 참조)는 지면(G)에 삽입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지면(G)에 삽입된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잡초(W)는 베이스 부재(12), 좌측 플레이트(13), 우측 플레이트(14) 및 블레이드(20)로 둘러싸인 공간을 통과할 수 있고, 블레이드(2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절개선 Ⅳ-Ⅳ를 따라 절개한 좌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플레이트(13)는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는 제 1 관통 홀(131) 및 첨단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첨단부(132)로 인해, 좌측 플레이트(13)는 지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우측 플레이트(14) 역시 좌측 플레이트(13)와 마찬가지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블레이드 및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잡초를 제거하는 동안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가 구부러지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0)는 잡초(W)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는 철사 형상일 수 있다. 블레이드(20)는 베이스 부재(12)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을 갖는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의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고, 블레이드(20)가 잡초(W)를 제거하는 동안, 베이스 부재(12)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0)가 잡초(W)를 제거하는 동안, 블레이드(20)에는 베이스 부재(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의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블레이드(20)에 가해지는 힘은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로 분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레이드(20)의 내구성은 증가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 보다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플레이트(13) 및 우측 플레이트(14)는 베이스 부재(12)와 같은 재질을 갖되, 상대적으로 얇은 폭을 갖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측면도이고, 연결 부재 및 베이스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가 이루는 각도는 조절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도 6은 연결 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가 이루는 각도가 제 1 각도(θ1)로부터 제 2 각도(θ2)까지 증가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연결 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가 이루는 각도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장이 클 경우, 연결 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가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사용자는 잡초 제거 장치를 편하게 다룰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초 제거 장치의 블레이드 및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잡초 제거 장치(7)는 지지부(70) 및 블레이드(8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70)는 연결 부재(71), 베이스 부재(72), 좌측 플레이트(73), 우측 플레이트(74), 복수 개의 체결 부재(75a, 75b, 78a, 78b), 장력 조절 부재(79a, 79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72)는,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 및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는 베이스 부재(72)의 중앙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는 연결 부재(71)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는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에 체결되기 위한 제 1 베이스 홀(7211)과,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에 체결되기 위한 제 2 베이스 홀(7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는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 및 좌측 플레이트(7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는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 홀(7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장착 홀(7221)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7221)은, 제 1 베이스 홀(7211)과 연통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 및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는, 제 4 체결 부재(75a)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 4 체결 부재(75a)는 제 4 볼트(751a) 및 제 4 너트(752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장착 홀(7221) 중 제 1 베이스 홀(7211)과 연통되는 장착 홀의 위치에 따라,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의 중심으로부터,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가 이격된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좌측 플레이트(73) 및 우측 플레이트(74)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는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 및 우측 플레이트(7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는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 홀(72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장착 홀(7231)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7231)은, 제 2 베이스 홀(7212)과 연통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 및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는, 제 5 체결 부재(75b)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 5 체결 부재(75b)는 제 5 볼트(751b) 및 제 5 너트(752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장착 홀(7231) 중 제 2 베이스 홀(7212)과 연통되는 장착 홀의 위치에 따라,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의 중심으로부터,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가 이격된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좌측 플레이트(73) 및 우측 플레이트(74)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앞서,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722) 및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723)가 복수 개의 장착 홀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721)가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 홀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좌측 플레이트(73) 및 우측 플레이트(7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잡초가 제거되는 라인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논의 구조에 맞게 좌측 플레이트(73) 및 우측 플레이트(74)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접한 2개의 이랑 사이의 간격에 맞게 좌측 플레이트(73) 및 우측 플레이트(74)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삭제
삭제

Claims (14)

  1. 철사 형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길이 방향 부재의 막대를 고정 가능한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 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부 및 우측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좌측부의 좌측 바깥쪽에 오버랩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좌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폭을 갖고, 상기 블레이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1 통과 홀을 구비하는 좌측 플레이트;
    상기 우측부의 우측 바깥쪽에 오버랩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폭을 갖고, 상기 블레이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2 통과 홀을 구비하는 우측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연결 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1 체결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좌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 2 체결 부재;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제 2 체결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좌측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을 지지하는 좌측 장력 조절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우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 3 체결 부재;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 및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제 3 체결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우측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을 지지하는 우측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잡초 제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 보다 유연한 재질을 갖는 잡초 제거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상에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잡초 제거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과 홀 및 제 2 통과 홀은 각각,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잡초 제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및 베이스 부재가 이루는 각도는 조절 가능한 잡초 제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는,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잡초 제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한 잡초 제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좌측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우측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잡초 제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베이스 부재, 제 2 서브 베이스 부재 및 제 3 서브 베이스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베이스 부재는,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 홀을 포함하는 잡초 제거 장치.
KR1020170176459A 2017-12-20 2017-12-20 잡초 제거 장치 KR10204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459A KR102045882B1 (ko) 2017-12-20 2017-12-20 잡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459A KR102045882B1 (ko) 2017-12-20 2017-12-20 잡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196A KR20190075196A (ko) 2019-07-01
KR102045882B1 true KR102045882B1 (ko) 2019-11-19

Family

ID=6725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459A KR102045882B1 (ko) 2017-12-20 2017-12-20 잡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9062B1 (en) * 1999-12-16 2001-01-30 Wesley W. Firman Garden tool
KR101550850B1 (ko) * 2015-02-10 2015-09-07 조준래 입식 북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56Y1 (ko) * 1988-01-07 1990-04-10 김동섭 중경 제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9062B1 (en) * 1999-12-16 2001-01-30 Wesley W. Firman Garden tool
KR101550850B1 (ko) * 2015-02-10 2015-09-07 조준래 입식 북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196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504B2 (en) Sprayer apparatus and systems
US6199357B1 (en) Reel pickup tine
US11627693B2 (en) Hoeing device
US9137938B2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self-centering pivots
KR102045882B1 (ko) 잡초 제거 장치
US20170000004A1 (en) Adjustable clamp on head bracket
CA2995548C (en) Harvesting inter-seeded crops
EP3361855B1 (en) Header frame having an adjustably mounted tool bar bracketing assembly
US5063728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row unit for lateral movement
JP5274418B2 (ja) デバイダ
US20120117932A1 (en) Mower-Conditioner With Broad Spreader
JP3955607B2 (ja) トラクタと作業機の間に装着されるガイドライン溝切りマーカー装置
JP5614106B2 (ja) コンバイン
KR200448477Y1 (ko) 수목 지지구
US6094898A (en) Flexible finger inserts for cotton stripper fingers
KR20160067396A (ko) 콤바인의 릴
US9642308B2 (en) Crop lifter with angle and finger adjustment
US20110179760A1 (en) Offset guard bolt attachment system
US20160316629A1 (en) Windrow pickup header with unitary tine retention plate
KR20190009644A (ko) 제초기
KR20044364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예취기용 가이드
JP4161805B2 (ja) 作物引抜機
JPH0567225U (ja) 刈取収穫機の穀稈引起し部
JP2009201428A (ja) 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部
JPH04117210A (ja) コンバイン等の刈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