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22B1 -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22B1
KR102045822B1 KR1020190041137A KR20190041137A KR102045822B1 KR 102045822 B1 KR102045822 B1 KR 102045822B1 KR 1020190041137 A KR1020190041137 A KR 1020190041137A KR 20190041137 A KR20190041137 A KR 20190041137A KR 102045822 B1 KR102045822 B1 KR 10204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ans
flow
upper body
optical
optic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선
Original Assignee
이호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기술단(주) filed Critical 이호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19004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case (110) fixed onto a substrate; providing an optical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to the case (110); providing an optical switch configured to pass or block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and providing a coupler configured to distribute or couple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The case (110)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111)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econd mounting means (11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movable module (113) provi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to perform an operation for opening or clos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erefor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can be handled more efficiently such that management of internal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can be easy.

Description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본 발명은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통신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취급하여 광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or managing an internal component of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more efficiently by handl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more efficiently.

일반적인 광통신 모듈과 관련하여 광 스위치 및 커플러 불량으로 교체 시 포설한 광케이블을 일일이 해체하고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 후 다시 포설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광케이블의 복잡한 포설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통해 광통신 모듈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 중 일부는 어느 정도 개선효과를 도모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통신 모듈 자체의 내부 구성물을 육안 확인하고 이를 다시 관리하는 가장 기본적인 취급 과정에서는 여전히 취급의 불편함과 비효율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내부 구성물의 일부에 관한 취급 관리를 위해서 외부의 광통신 모듈의 케이스를 전체적으로 개폐하여 취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광통신 모듈의 규격이 커질수록 더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Regarding the general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technologies for solving the trouble of the complicated installation of the optical cable and the hassle of dismantling the optical cable installed when replacing the defective optical switch and the coupler and replacing with a new component a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some of the problem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have been improved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handling inconvenience and inefficiency still exist in the most basic handling process of visually check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itself and managing them again.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n and handle the case of the external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s a whole for handling and management of a part of the internal components. This problem has a problem that is more weighted as the standard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따라서, 내부 구성물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 보수가 가능한 광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provide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efficient maintenance, management, and repair of internal components.

한국등록특허 제10-144567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5675

본 발명은 광통신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취급하여 광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that is more easily handled by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to manage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10)에 광신호 전달용 광케이블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는,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1 장착수단(111)이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며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2 장착수단(112)이 구비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광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장착수단(111)과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의 길이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상호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를 수행하는 가동모듈(113)을 더 포함하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comprising: providing a case (110) fixed on a substrate; Providing an optical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in the case (110); providing an optical switch for passing or blocking an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And a coupler configured to distribute or couple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wherein the case 110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111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body and provided with a second mounting means 11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wherein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It is provided on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es a movable module 113 for perform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광통신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취급하여 광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광통신 어셈블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can be handled more efficient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that is easy to manage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a는 도 6에 따른 구성들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b는 도 6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9b는 도 6에 따른 구성들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6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A are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6, respectively.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FIG. 6.
9A to 9B are diagrams each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6.
10 to 14 illustrate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FIG. 6.
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광통신 모듈><Optical communica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광케이블(100')과, 상기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200')와, 상기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300') 및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부에 배치하고, 기판(20')상에 고정되는 케이스(40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cable 100 'disposed to transmit an optical signal by embedding an optical fiber, an optical switch 200' for passing or blocking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cable 100 ', and the A coupler 300 'for distributing or combining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cable 100' and the optical cable 100 ',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are disposed therein, and the substrate 20' It includes a case 400 'fixed on the).

광케이블(100')은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유입하여 광스위치(200'), 커플러(300') 등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100')은 광스위치(200'), 커플러(300')에 연결된 후, 각각의 자유단부는 케이스(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광신호를 입력받고 출력가능하도록 별도의 연결단자(110')를 마련하여 외부단자와 광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광스위치(200')는 상기 광케이블(100') 사이에 설치되어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여 스위칭한다. 상기 광스위치(200')는 Non-latching 광 스위치 및 Latching 광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Latching 광 스위치는 선택적으로 구성되며, Non-latching 광 스위치 및 Latching 광 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상호 광통신이 가능하도록 광케이블(100')로 연결된다. 커플러(300')는 상기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The optical cable 100 ′ is disposed to transmit an optical signal from the outside to the optical switch 200 ′, the coupler 300 ′, or the like by embedding an optical fiber. In this case, the optical cable 100 'is connected to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 and each fre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400' so that the optical signal can be input and output. The connection terminal 110 ′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o allow optical communication. The optical switch 200 ′ is installed between the optical cables 100 ′ so as to pass or block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cable 100 ′. The optical switch 200 ′ may be composed of a non-latching optical switch and a latching optical switch, wherein the latching optical switch is selectively configured, and when the non-latching optical switch and the latching optical switch are provided, mutual optica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t is connected to the optical cable 100 'to enable. The coupler 300 'is configured to distribute or couple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cable 100'.

커플러(300')는 대부분 광섬유를 분기하도록 구비되며, 광스위치(200')와 광통신이 가능하도록 광케이블(100')로 연결된다. 또한, 광스위치(200')가 Non-latching 광 스위치 및 Latching 광 스위치 2개로 구비될 경우 커플러(300') 또한 각각의 광스위치(200')에 연결하도록 2개 구비된다. 케이스(400')는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부에 배치하고, 기판(20')상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400')는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하나의 모듈로 고정해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광스위치(200') 및 커플러(300')를 내장하고, 상기 광스위치(200') 및 커플러(300')와 연결된 광케이블(100')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상기 케이스(400')의 형태 및 소재는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케이스(400') 소재의 경우, 스틸,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를 비롯하여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고무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00') 형상은 최대한 작고, 낮은 높이를 형성하여 각종 제품에 장착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며, 사각의 박스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비롯하여 내부에 광스위치(200') 및 커플러(300')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400')는 일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장하며, 기판상(20')에 고정되는 하부몸체(410')와, 상기 하부몸체(410')의 개구된 일면을 개방 또는 패쇄하는 상부커버(420')를 포함한다. 하부몸체(410')의 경우 기판상(20')에 고정되며, 대체적으로 상측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를 갖는다. The coupler 300 'is mostly provided to branch the optical fiber, and is connected to the optical switch 200' by an optical cable 100 'to enable optical communication. In addition, when the optical switch 200 'includes two non-latching optical switches and two latching optical switches, the coupler 300' is also provided to connect to each optical switch 200 '. The case 400 ′ includes the optical cable 100 ′, the optical switch 200 ′, and the coupler 300 ′ therein, and is fixed on the substrate 20 ′. The case 400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fix the optical cable 100', the optical switch 200 ', and the coupler 300' into one module. Accordingly, the case 400 is built in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and the optical cable 100 'connected to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shape and material of ') may occur in various embodiments. First, the case 400 'material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such as steel and aluminum, synthetic resin such as acrylic, and rubbe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ase 400 'is as small as possible, to form a low height so as not to occupy a lot of space when mounted on various products, including an optical switch 200' and coupler (inside the box shape or cylindrical shap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to accommodate the 300 ').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400 'is formed so that one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includes the optical cable 100', the optical switch 200 ', the coupler 300', and the substrate 20 The lower body 410 'is fixed to the'), and the upper cover 420 'for opening or closing the opened one surface of the lower body 410'. The lower body 410 'is fixed to the substrate 20', and generally has the form of a box with an upper side opened.

따라서 내부 공간에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장하여 바닥면에 고정하고, 상기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외부의 광케이블(100')과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상부커버(420')는 상기 하부몸체(410')의 개구된 일면을 개방 또는 패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410')에 내장된 광스위치(200'), 커플러(300'), 광케이블(100')을 점검 및 보수할 때, 상부커버(420')를 열고 작업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부커버(420')를 닫아 하부몸체(410')를 외부와 차단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420')와 하부몸체(410')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커버(420')는 양측에 측벽을 형성하고, 하부몸체(410')는 상기 측벽이 끼워지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410')와 상부커버(420')는 힌지 결합하여 상부커버(420')가 하부몸체(41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부커버(420')가 하부몸체(410')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양측 하단에 상기 광케이블(100')이 통과하도록 개방부(411')를 마련한다. 상기 개방부(411')는 광케이블(100')이 통과하도록 타공되어 통로로 작용하며,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는 빠져나오지 못하지만 광케이블(100')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411')는 광케이블(100')이 통과하지 않을 때 개방부(411')를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412')를 구비한다. Accordingly,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are built in the inner space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optical cable 100 '. Form the module. The upper cover 420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one open surface of the lower body 410' and includes an optical switch 200 ', a coupler 300', and an optical cable embedded in the lower body 410 '. When checking and repairing 100 '), the upper cover 420' is opened and worked,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upper cover 420 'is closed to block the lower body 410'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upper cover 420 'and the lower body 4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astening means, the upper cover 420 'forms side walls on both sides, the lower body 410' is A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side wall is fitted can be formed and joined. In addition, the lower body 410 'and the upper cover 420' is hinged so that the upper cover 42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lower body 410', and the upper cover 420 'is the lower body ( 410 ') may be combined in a form that surrounds all or a part of the pack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4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411' so that the optical cable 100 'passes through both lower ends. The opening portion 411 'is perforated to pass through the optical cable 100' and serves as a passage, and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do not escape but allow the optical cable 100 'to enter and exit. It is formed in various forms in the ran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portion 411 'includes a cover 412' to block the opening portion 411 'when the optical cable 100' does not pass.

상기 덮개(412')는 평소에는 개방부(411')는 폐쇄하고, 광케이블(100')이 설치되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413')가 마련된다. 상기 홀더(413')는 광케이블(100')이 끼워지도록 마련된 탄력지지방식의 홀더를 비롯하여 광스위치(200'), 커플러The cover 412 ′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part 411 ′ is normally closed and is opened when the optical cable 100 ′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410 'has a holder 413' for fixing the optical cable 100 ', optical switch 200', coupler 300 'on the inner bottom surface; Prepared. The holder 413 'includes an optical support 200' and a coupler, as well as a holder of an elastic support method in which the optical cable 100 'is fitted.

(300')를 감싸도록 마련된 밴드 형태의 홀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가 하부몸체(410')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413')는 광케이블(100')의 광 감쇄를 없애기 위하여 광케이블(100')의 곡률을 3cm 또는 8cm이상 유지하도록 포설된 광케이블(1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광스위치(200')와 커플러(300')는 광파장에 따라 850nm인 멀티모드와 1310nm인 싱글모드로 구분되는데 상기 두 종류의 모드는 광스위치(200')나 커플러(300')의 사이즈나 모양은 동일하기에 광통신 모듈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광케이블(100')의 포설 시 광 케이블(100')의 곡률에 따라 광 감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곡률이 작을수록 광 감쇄의 발생확률이 높다. 대략적으로 멀티모드는 약 지름 8cm이상의 곡률에서 가장 광감쇄가 적으며 싱글모드는 약 지름 3cm이상의 곡률에서 광 감쇄가 없다.It may include a holder in the form of a band provided to surround the 300 ', the optical cable 100', the optical switch 200 ', the coupler 300' can maintain the state disposed on the lower body (410 ') It may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fixing means in a range to 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413 'fixes the optical cable 100' installed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optical cable 100 'more than 3 cm or 8 cm in order to eliminate the optical attenuation of the optical cable 100'. Characterized in that. In general, the optical switch 200 'and the coupler 300' are classified into a multi-mode of 850 nm and a single mode of 1310 nm according to the optical wavelength. The two types of modes are the optical switch 200 'or the coupler 300'. Since the size and shape are the same, it can be used as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In the above case, when the optical cable 100 'is laid, the optical attenuation may occur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ptical cable 100'. Generally, the smaller the curvat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optical attenuation. In general, multimode has the least light attenuation at curvature of about 8 cm in diameter and single mode has no light attenuation at curvature of about 3 cm in diameter.

멀티모드의 경우, 8cm미만의 곡률에서는 광 감쇄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고, 싱글모드의 경우, 3cm미만의 곡률에서 광 감쇄 현상이 감지되었다. 따라서, 멀티모드인 경우, 광케이블(100')의 포설 시 광 케이블(100')의 곡률이 8cm이상을 유지하도록 포설되어야 하며, 싱글모드인 경우, 광케이블(100')의 포설 시 광 케이블(100')의 곡률이 3cm이상을 유지하도록 포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광스위치(200')가 기판(2In the multi-mode, the light attenuation phenomenon occurred seriously at the curvature of less than 8 cm, and in the single mode, the light attenuation was detected at the curvature of less than 3 cm. Therefore, in the multi-mode, the curvature of the optical cable 100 'should be installed to maintain more than 8 cm when the optical cable 100' is laid, and in the single mode, the optical cable 100 when the optical cable 100 'is laid The curvature of ') shall be installed so as to maintain more than 3c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410 ′ has the optical switch 200 ′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2.

0')과 회로적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접속구(414')를 형성한다. 상기 접속구(414')를 통해 스위치(200')는 기판(20')과 접속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구(414')는 기판(20')의 접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타공의 방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광케이블(100')의 포설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415')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라인(415')은 광케이블(100')의 광 감쇄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광케이블(100') 포설 시 가이드가 될 수 있는 안내선을 표시하는 것이다. 0 ') and the connection port 414' is formed to be in circuit communication with. Since the switch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20'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14 ', the connection hole 414' is perfor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20 '. It is preferable to form.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410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guide line 415' for guiding the installation of the optical cable 100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he guide line 415 'indicates a guide line that can be a guide when the optical cable 1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410 'to prevent optical attenuation of the optical cable 100'.

<광통신 어셈블리><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도 6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4 illustrate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FIG. 6.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광통신 어셈블리에 있어서, 광신호를 전달용 광케이블;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 상기 광스위치, 커플러, 광케이블을 내부에 배치하고, 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110)을 포함한다.6 to 14,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comprising: an optical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An optical switch configured to pass or block an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A coupler for distributing or coupling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The optical switch, coupler, and the optical cable is disposed inside, and includes a case 110 fixed on the substrate.

상기 케이스(110)는,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1 장착수단(111)이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며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2 장착수단(112)이 구비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광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장착수단(111)과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의 길이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상호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를 수행하는 가동모듈(113)을 더 포함한다.The case 110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111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econd mounting means 11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nclud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the movable module is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for perform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with each other. (113) is further included.

상기 가동모듈(113)은, 상기 제1 장착수단(111)상에 구비되는 구동부(113a2, 113b2, 113c2)와, 상기 제2 장착수단(112)상에 구비되는 유동부(113a1, 113b1, 113c1)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장착수단(111)의 길이방향상에서 유동되며, 상기 유동부(113a1, 113b1, 113c1)는,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로부터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을 리프팅시킨다.The movable module 113 may include driving units 113a2, 113b2 and 113c2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flow units 113a1, 113b1 and 113c1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 Wherein the driving units 113a2, 113b2, and 113c2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fl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flow units 113a1, 113b1, and 113c1 include the driving unit ( Lifting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based on the flow from 113a2, 113b2, 113c2.

상기 유동부(113a1, 113b1, 113c1)는, 상기 제2 장착수단(112)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 장착수단(112)에 결속되며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에서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리프팅 시킨다. 상기 상부몸체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몸체(114)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몸체(115)와, 상기 제1 상부몸체(114)와 상기 제2 상부몸체(115)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상부몸체(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은, 상기 제1 상부몸체(114)에 대응하는 제2-1 장착수단(112a)과, 상기 제2 상부몸체(115)에 대응하는 제2-2 장착수단(112b)과, 상기 제3 상부몸체(116)에 대응하는 제2-3 장착수단(112c)을 포함한다.The flow part 113a1, 113b1, 113c1 flows towar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and flows upward from the driving parts 113a2, 113b2, 113c2. Lift the body from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4 provided on one side, the second upper body 115 provid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the second upper body 115 It includes a third upper body 116 is provide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may include the second-first mounting means 11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the second-second moun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body 115 ( 112b)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c corresponding to the third upper body 116.

상기 제1 장착수단(111)은,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에 대응하는 제1-1 장착수단(111a)과, 상기 제2-2 장착수단(112b)에 대응하는 제1-2 장착수단(111b)과,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대응하는 제1-3 장착수단(111c)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모듈(113)은,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에 구비되는 제1 구동부(113a2)와, 상기 제1 구동부(113a2)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과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유동부(113a1)를 포함하는 제1 가동모듈(113a)과, 상기 제1-2 장착수단(111b)에 구비되는 제2 구동부(113b2)와, 상기 제2 구동부(113b2)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2 장착수단(112b)과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유동부(113b1)를 포함하는 제2 가동모듈(113b)과,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에 구비되는 제3 구동부(113c2)와, 상기 제3 구동부(113c2)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과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3 유동부(113c1)를 포함하는 제3 가동모듈(113c)을 포함한다.The first mounting means 111 includes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corresponding to the second-first mounting means 112a and first-fir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second mounting means 112b. 2 mounting means (111b) and 1-3 mounting means (111c) corresponding to the 2-3 mounting means (112c), the movable module 113, the 1-1 mounting means ( A first moving part 113a2 provided in 111a) and a first flow part 113a1 operated in the first driving part 113a2 and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first mounting means 112a. 1 the movable module 113a, the second driving unit 113b2 provided in the 1-2 mounting means 111b,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13b2, and are operated by the second-2 mounting means 112b. The second movable module 113b including the second flow part 113b1 provided to be able to bind, the third driving part 113c2 provided in the 1-3 mounting means 111c, and the third driving part ( Operating in 113c2) and engaging with the 2-3 mounting means 112c. The third movable module 113c including the third flow part 113c1 provided to be possible is included.

상기 제1 가동모듈(113a)은, 상기 제1 상부몸체(114)를 리프팅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제2 가동모듈(113b)은, 상기 제2 상부몸체(115)를 리프팅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제3 가동모듈(113c)은, 상기 제3 상부몸체(116)를 리프팅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다.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선택적으로 자력 발생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발생되는 상기 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각기 결속되며,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은,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대한 접근 또는 터치 접촉을 감지하여 제1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제1 감지부(117)가 구비된다.The first movable module 113a is operable to lift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the second movable module 113b is operable to lift the second upper body 115. The third movable module 113c is operable to lift the third upper body 116. The first flow part 113a1 to the third flow part 113c1 are selectively provided to be capable of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nd are based on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first mounting means 112a to the second. Each of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a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c is coupled to the third mounting means 112c, respectively. A first sensing unit 117 is provided to sense first approach or touch contact with the mounting means 112c to generate first sensing information.

상기 가동모듈(113)의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상기 제1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대하여 각기 자력 결속을 수행하며, 상기 가동모듈(113)의 상기 제1 구동부(113a2) 내지 상기 제3 구동부(113c2)는, 상기 제1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를 각기 상방으로 유동시키는 상방유동모드로 동작 시킨다.The first flow part 113a1 to the third flow part 113c1 of the movable module 113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first mounting means 112a to the second-3 based on the first detection information. Magnetic binding is respectively performed on the mounting means 112c, and the first driving unit 113a2 to the third driving unit 113c2 of the movable module 113 are configured based o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The eastern portion 113a1 to the third flow portion 113c1 are operated in an upward flow mode for respectively flowing upward.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 내지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은,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 내지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에 대한 접근 또는 터치 접촉을 감지하여 제2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제2 감지부(118)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모듈(113)의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는 상기 제2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동부(113a1, 113b1, 113c1)의 상방 유동 상태를 홀딩시킨다. 상기 상방유동모드는, 상기 제1 유동부(113a1)가 상기 제1 상부몸체(114)를 리프팅 하여 일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1 이동상태와, 상기 제2 유동부(113b1)가 상기 제2 상부몸체(115)를 리프팅 하여 타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 이동상태와, 상기 제3 유동부(113c1)가 상기 제3 상부몸체(116)를 리프팅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3 이동상태를 포함한다.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to the 1-3 mounting means 111c may approach or touch 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to the 1-3 mounting means 111c. And a second sensing unit 118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sensing information. The driving units 113a2, 113b2, and 113c2 of the movable module 113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Hold the upward flow state of 113a1, 113b1, 113c1). The upward flow mode includes a first moving state in which the first flow part 113a1 lifts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moves to one side, and the second flow part 113b1 is in the second upper part. A second movement state in which the body 115 is lifted and moved to the other side, and a third movement state in which the third flow part 113c1 lifts the third upper body 116 to mov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clude.

상기 제1 이동상태는, 상기 제1 구동부(113a2)에서 상기 제1 유동부(113a1)의 유동 및 상기 제1 구동부(113a2)의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에서의 길이방향 유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2 이동상태는, 상기 제2 구동부(113b2)에서 상기 제2 유동부(113b1)의 유동 및 상기 제2 구동부(113b2)의 상기 제1-2 장착수단(111b)에서의 길이방향 유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된다.The first moving state is one of the flow of the first flow part 113a1 in the first drive part 113a2 and the longitudinal flow of 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of the first drive part 113a2. The second moving state may be perform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moving parts of the second driving part 113b2 and the first-second mounting means of the second driving part 113b2.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flows at 111b.

상기 제3 이동상태는, 상기 제3 구동부(113c2)에서 상기 제3 유동부(113c1)의 유동 및 상기 제3 구동부(113c2)의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에서의 길이방향 유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상기 제1 상부몸체(114)의 일단에는 제1 상부자성체(UM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몸체(114)와 마주하는 상기 제3 상부몸체(116)의 일단에는 제2 상부자성체(U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몸체(115)의 일단에는 제3 상부자성체(UM3)가 구비된다.The third moving state is in the flow of the third flow portion 113c1 in the third drive portion 113c2 and in the longitudinal flow of the third mounting means 111c of the third drive portion 113c2. It is performed based on at least one. A first upper magnetic body UM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a second upper magnetic body UM2 at one end of the third upper body 116 facing the first upper body 114. ) Is provided, and a third upper magnetic body UM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115.

상기 제2 상부몸체(115)와 마주하는 상기 제3 상부몸체(116)의 타단에는 제4 상부자성체(UM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자성체(UM1)와 상기 제2 상부자성체(UM2)는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는 상호 간에 끌어당김 힘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상기 상방유동모드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반탄력을 발생 시키토록 동작되며, 상기 제3 상부자성체(UM3)와 상기 제4 상부자성체(UM4)는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는 상호 간에 끌어당김 힘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상기 상방유동모드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반탄력을 발생 시키토록 동작된다.A fourth upper magnetic body UM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upper body 116 facing the second upper body 115, and the first upper magnetic body UM1 and the second upper magnetic body UM2 are provided. Are operated to generate a mutual attraction force in a mutually adjacent state, and are operated to generate anti-elastic force between the third upper magnetic body (UM3) and the fourth upper portion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 the upward flow mode. The magnetic body UM4 is operated to generate a mutual attraction force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operated to generate anti-elasticity between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 the upward flow mode.

상기 제1 유동부(113a1)는 상기 제1 구동부(113a2)에서 길이방향 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유동부(113b1)는 상기 제2 구동부(113b2)에서 길이방향 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상기 제3 구동부(113c2)에서 길이방향 유동 가능하다.The first flow part 113a1 may be longitudinally flowable in the first drive part 113a2, and the second flow part 113b1 may be longitudinally flowable in the second drive part 113b2, and the third fluid may flow in the third flow path. The eastern part 113c1 is longitudinally movable by the third drive part 113c2.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상기 제1 구동부(113a2) 내지 상기 제3 구동부에서 회전 및 직선 왕복 운동 등에 기반하여 다양하게 위치 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구동부(113a2) 내지 상기 제3 구동부(113c2)의 면적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외부 출몰 상태에서 바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이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에 기반하여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결속 위치에 결속되어 리프팅 등 기타 응용동작이 가능하다.The first flow part 113a1 to the third flow part 113c1 may be moved in various positions based on rotation and linear reciprocating motions in the first drive part 113a2 to the third drive part. To this end, the areas of the first driver 113a2 to the third driver 113c2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shown in FIG. 7, the first flow part 113a1 to the third flow part 113c1 may be bound as described above directly in an external appearance, and, in particular, may be rotated when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ased on this, it is bound to the binding position to widen the contact area, and other applications such as lifting are possible.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내장모듈(11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장모듈(119)은, 기판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0)이 거치되는 중앙의 거치부(119a)와, 상기 거치부상에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내장부(119b), 상기 거치부상에 폭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내장부(119c), 내주면에 일정한 함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상에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3 내장부(119d), 내주면에 일정한 함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상에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4 내장부(119e)를 포함한다.Further comprising a built-in module 119 is located below the case 110, the built-in module 119, the mounting portion 119a of the center where the substrate is provided and the case 110 is mounted, and The first built-in portion 119b provid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mounting portion, the second built-in portion 119c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mounting portion, and a predetermined recessed space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unting portion. The third interior portion 119d provided in the, a predetermined recessed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includes a fourth interior portion 119e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제1 내장부(119b) 내지 상기 제4 내장부(119e)는, 상기 거치부(119a)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이격모드와, 내측 방향으로 상호 인접되는 인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내장부(119b) 내지 상기 제4 내장부(119e)는, 상기 거치부(119a)에서 안착된 상태의 상기 케이스(110)을 내부에 두고 둘러싸 보호하도록 상기 인접모드로 동작되며, 안착된 상태의 상기 케이스(110)을 상기 거치부(119a)에서 승강시켜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이격모드로 동작된다.The first interior portion 119b to the fourth interior portion 119e are operated in a separation m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mounting portion 119a and in an adjacent mod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ward direction. The first interior portion 119b to the fourth interior portion 119e are operated in the adjacent mode to surround and protect the case 110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mounting portion 119a, and seated therein. The case 110 in a closed state is operated in the separation mode so as to be elevated by the mounting portion 119a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3 내장부(119d) 및 상기 제4 내장부(119e)는, 상기 길이방향 상으로 제1 피막처리모듈(120)이 구비되어,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케이스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한다. 상기 제1 피막처리모듈(120)은, 피막처리몸체(121)와, 상기 피막처리몸체(121)상에 구비되는 일측의 제1-1 분사체(123)와, 상기 피막처리몸체(121)상에 구비되는 타측의 제1-2 분사체(124)와, 상기 제1-1 분사체(123)와 타측의 제1-2 분사체(124) 사이에 구비되는 제1-3 분사체(125)가 구비되는 제1 분사체(122)와, 상기 제1-1 분사체(123)와 상기 제1-2 분사체(124) 사이에 구비되는 제2-1 분사체(127)와, 상기 제1-2 분사체(124)와 상기 제1-3 분사체(125) 사이에 구비되는 제2-2 분사체(128)가 구비되는 제2 분사체(126)를 포함한다.The third interior portion 119d and the fourth interior portion 119e are provided with a first film treatment modul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ject the fluid toward the case located inside. The first film treatment module 120 includes a film treatment body 121, a first-first injection body 123 provided on the film treatment body 121, and the film treatment body 121. The 1-2th injector 124 of the other side provided in the image, and the 1-3 injector provided between the said 1-1st injector 123 and the 1-2th injector 124 of the other side ( A first injector 122 having a 125, a second injector 127 provided between the first-first injector 123 and the second injector 124, and And a second injector 126 provided with the second injector 128 provided between the 1-2 injector 124 and the 1-3 injector 125.

상기 제1-1 분사체(123)와 상기 제1-2 분사체(124)는 상기 제1-3 분사체(125)를 기준으로 상기 피막처리몸체(121)상에서 서로 대칭형으로 이격 또는 인접하도록 길이방향 왕복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2-1 분사체(127) 및 상기 제2-2 분사체(128)는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제1-1 분사체(123) 및 상기 제1-3 분사체(125)의 상기 왕복유동에 기반하여 압입됨으로써 유체를 가속 분사한다. The first-first injector 123 and the first-second injector 124 are spaced apart or adjacent to each other symmetrically on the coating body 121 based on the first-third injector 125. Longitudinal reciprocating flow is possible, and the 2-1 injector 127 and the 2-2 injector 128 inject fluid, but the 1-1 injector 123 and the 1-3 Injected on the basis of the reciprocating flow of the injector 125 to accelerate the injection of the fluid.

상기 제2-1 분사체(127)는, 유체를 분사하는 제1 분사몸체(127a)와, 상기 제1 분사몸체(127a)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1 분사체(123) 및 상기 제1-3 분사체(125)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1 분사몸체(127a)가 유체를 가속 분사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1 압입체(127b)가 구비된다.The 2-1st injection body 12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jection body 127a for injecting fluid and the first injection body 127a, and the first-first injection body 123 and the A first press body 127b is provided by the first injection body 125 and allows the first injection body 127a to accelerate the injection of the fluid.

상기 제2-2 분사체(128)는, 유체를 분사하는 제2 분사몸체(128a)와, 상기 제2 분사몸체(128a)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2 분사체(124) 및 상기 제1-3 분사체(125)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2 분사몸체(128a)가 유체를 가속 분사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2 압입체(128b)가 구비된다. 상기 피막처리몸체(121)는, 상기 제1-1 분사체(123) 내지 상기 제1-3 분사체(125)가 위치되는 제1 피막처리몸체(121a)와, 상기 제1 피막처리몸체(121a)를 수용하여 상기 제1 피막처리몸체(121a)를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2 피막처리몸체(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분사체(123) 내지 상기 제1-3 분사체(125)는 상기 제1 피막처리몸체(121a)에서 내주면 방향과 외주면 방향 간의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2-1 분사체(127) 내지 상기 제2-2 분사체(128)는 상기 제1 피막처리몸체(121a)에서 내주면 방향과 외주면 방향 간의 전후방향으류 유동가능하다.The second-second injector 128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jection body 128a for injecting fluid and the second injection body 128a, and the first-second injector 124 and the The second press body 128b is pressurized by the 1-3 injection body 125 and allows the second injection body 128a to accelerate the injection of the fluid. The film treatment body 121 may include a first film treatment body 121a in which the first-first injector 123 to the third injection body 125 are located, and the first film treatment body ( And a second coating body 121b for accommodating 121a) to allow the first coating body 121a to fl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rst-first injector 123 to the first-third injector 125 may fl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irecti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irection of the first film-processing body 121a, and the second-1. The injectors 127 to the second-two injectors 128 may fl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irec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irection of the first coating body 121a.

상기 제1-1 분사체(123)의 일측에는 제1 자성모듈(M1)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분사체(123)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압입체(127b)의 일측에는 제2 자성모듈(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2 분사체(124)의 일측에는 제3 자성모듈(M3)이 구비되며, 상기 제1-2 분사체(124)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압입체(128b)의 일측에는 제4 자성모듈(M4)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유동 시 고속 이격 유동을 위하여, 상기 제1 자성체(M1)와 상기 제2 자성체(M2)는 상호 반탄력을 발생되도록 작동된다.One side of the first-first injector 123 is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module M1, and one side of the first indenter 127b facing the first-first injector 123 has a second magnetic property. A module M2 is provided, and a third magnetic module M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second injector 124 and the second indenter facing the first-second injector 124. One side of the 128b is provided with a fourth magnetic module M4, and the first magnetic body M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M2 are operated to generate mutual anti-elastic force for high-speed separation flow during the separation flow. .

상기 제3 자성체(M3)와 상기 제제4 자성체(M4)는 상호 반탄력을 발생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인접유동 시 고속 인접 유동을 위하여, 상기 제1 자성체(M1)와 상기 제2 자성체(M2)는 상호 인력이 발생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3 자성체(M3)와 상기 제제4 자성체(M4)는 상호 인력을 발생되도록 작동된다.The third magnetic material (M3) and the formulation 4 magnetic material (M4) is operated to generate a mutual anti-elasticity, for the high speed adjacent flow in the adjacent flow, the first magnetic material (M1) and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M2) It is operated to generate mutual attraction, and the third magnetic body M3 and the formulation 4 magnetic body (M4) is operated to generate mutual attraction.

상기 제1-3 분사체(125)의 일측에는 제5 자성모듈(M5)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분사체(125)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압입체(127b)의 타측에는 제6 자성모듈(M6)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분사체(125)의 타측에는 제7 자성모듈(M7)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분사체(125)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압입체(128b)의 타측에는 제8 자성모듈(M8)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유동 시 고속 이격 유동을 위하여, 상기 제제4 자성체(M4)와 상기 제5 자성체(M5)는 상호 반탄력을 발생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6 자성체(M6)와 상기 제7 자성체(M7)는 상호 반탄력을 발생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인접유동 시 고속 인접 유동을 위하여, 상기 제제4 자성체(M4)와 상기 제5 자성체(M5)는 상호 인력이 발생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6 자성체(M6)와 상기 제7 자성체(M7)는 상호 인력을 발생되도록 작동된다.A fifth magnetic module M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injectors 125, and a sixth to another side of the first indenter 127b facing the first to third injectors 125. The magnetic module M6 is provided,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1-3 injector 125, the seventh magnetic module M7 is provided, and the second pressure facing the 1-3 injector 125 is provided. The other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128b) is provided with an eighth magnetic module (M8), for the high-speed separation flow during the separation flow, the formulation 4 magnetic material (M4) and the fifth magnetic material (M5) is operated to generate a mutual anti-elastic force The sixth magnetic body M6 and the seventh magnetic body M7 are operated to generate mutual anti-elasticity, so that the formulation 4 magnetic body M4 and the fifth magnetic body M5 for high-speed adjacent flow during the adjacent flow. ) Is operated to generate mutual attraction, and the sixth magnetic body M6 and the seventh magnetic body M7 are operated to generate mutual attraction.

상기 내장모듈(119)은, 상기 수용모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에 대응하는 상부 영역을 덮어 상기 케이스(110) 및 내장모듈(119)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모듈(13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내장모듈(119)의 상부를 덮는 패널부(131)와, 상기 패널부(131)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내장모듈(119)의 유체를 흡입하되 상기 제1 상부몸체(114)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부(131)의 제1 영역에 구비되는 제1 흡입부(132)와, 상기 패널부(131)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내장모듈(119)의 유체를 흡입하되 상기 제2 상부몸체(115)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부(131)의 제2 영역에 구비되는 제2 흡입부(133)와, 상기 패널부(131)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내장모듈(119)의 유체를 흡입하되 상기 제3 상부몸체(116)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부(131)의 제3 영역에 구비되는 제3 흡입부(134)가 구비된다.The built-in module 119, in the receiving mode, the suction module 130 for sucking the fluid inside the case 110 and the built-in module 119 covering the upper area corresponding to the case 110 It is provided. The suction module 1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anel unit 13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t-in module 119, the panel unit 131 to suck the fluid of the built-in module 119, the first upper body The first suction unit 132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panel unit 131 corresponding to the 114 and the panel unit 13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uck the fluid of the internal module 119, The second suction part 133 provided in the second area of the panel part 131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115 and the panel part 13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uck the fluid of the internal module 119. The third suction part 134 is provided in the third area of the panel part 131 corresponding to the third upper body 116.

상기 내장모듈(119)은, 상기 내장모듈(119)의 상부를 덮어 유출되는 내부 유체를 흡입하기위한 제2 흡입모듈(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흡입모듈(140)은, 상기 패널부(13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장모듈(119)의 상부를 덮는 제2 패널부(131)와, 상기 제2 패널부(141)로부터 연통되어 유체를 흡입하 배출하는 제4 흡입부(142, 143)가 구비된다. The built-in module 119 is provided with a second suction module 140 for sucking the internal fluid flowing ou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t-in module 119, the second suction module 140, the panel unit The second panel portion 13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t-in module 119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131, and the fourth suction portion 14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panel portion 141 to suck and discharge fluid. , 143 is provided.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10)에 광신호 전달용 광케이블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6, a method of fabric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includes: providing a case 110 fixed to a substrate; Providing an optical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in the case (110); Providing an optical switch configured to pass or block an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And a coupler for distributing or coupling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상기 케이스(110)는,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1 장착수단(111)이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며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2 장착수단(112)이 구비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광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장착수단(111)과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의 길이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상호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를 수행하는 가동모듈(113)을 더 포함한다.The case 110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111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econd mounting means 11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nclud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the movable module 113 is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for perform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mutually. It includes more.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10)에 광신호 전달용 광케이블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6, a method of fabric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includes: providing a case 110 fixed to a substrate; Providing an optical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in the case (110); Providing an optical switch configured to pass or block an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And a coupler for distributing or coupling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상기 케이스(110)는,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1 장착수단(111)이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며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2 장착수단(112)이 구비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광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장착수단(111)과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의 길이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상호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를 수행하는 가동모듈(113)을 더 포함한다.The case 110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111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econd mounting means 11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nclud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the movable module 113 for perform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mutually. It includes mor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케이스
111 : 제1 장착수단
112 : 제2 장착수단
113 : 가동모듈
110: case
111: first mounting means
112: second mounting means
113: moving module

Claims (10)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10)에 광신호 전달용 광케이블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10)에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110)에 상기 광케이블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는,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1 장착수단(111)이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며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제2 장착수단(112)이 구비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광통신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장착수단(111)과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의 길이방향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상호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를 수행하는 가동모듈(113)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동모듈(113)은,
상기 제1 장착수단(111)상에 구비되는 구동부(113a2, 113b2, 113c2)와,
상기 제2 장착수단(112)상에 구비되는 유동부(113a1, 113b1, 113c1)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장착수단(111)의 길이방향상에서 유동되며,
상기 유동부(113a1, 113b1, 113c1)는,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로부터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을 리프팅시키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In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Providing a case (110) fixed on the substrate;
Providing an optical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in the case 110
Providing an optical switch to the case 110 to pass or block an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And
And providing a coupler to the case 110 to distribute or couple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cable.
The case 110,
A low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means 111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having a second mounting means 11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movable module 113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for opening or clos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e movable module 113,
Driving parts 113a2, 113b2, and 113c2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It includes a flow portion 113a1, 113b1, 113c1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The drive unit 113a2, 113b2, 113c2,
It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fl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The flow section 113a1, 113b1, 113c1,
An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are lifted based on flow from the drive (113a2, 113b2, 113c2).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113a1, 113b1, 113c1)는,
상기 제2 장착수단(112)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 장착수단(112)에 결속되며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에서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리프팅 시키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section 113a1, 113b1, 113c1,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that flows toward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and flows upward from the driving units 113a2, 113b2 and 113c2 to lift the upper body from the lower body.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몸체(114)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몸체(115)와,
상기 제1 상부몸체(114)와 상기 제2 상부몸체(115)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상부몸체(11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수단(112)은,
상기 제1 상부몸체(114)에 대응하는 제2-1 장착수단(112a)과,
상기 제2 상부몸체(115)에 대응하는 제2-2 장착수단(112b)과,
상기 제3 상부몸체(116)에 대응하는 제2-3 장착수단(112c)을 포함하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body,
The first upper body 114 provided on one side,
The second upper body 115 provided on the other side,
It includes a third upper body 116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the second upper body 115,
The second mounting means 112,
2-1 mounting means 11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body 114,
2-2 mounting means 112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body 115,
And a second mounting means (112c) corresponding to the third upper body (1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수단(111)은,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에 대응하는 제1-1 장착수단(111a)과,
상기 제2-2 장착수단(112b)에 대응하는 제1-2 장착수단(111b)과,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대응하는 제1-3 장착수단(111c)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모듈(113)은,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에 구비되는 제1 구동부(113a2)와, 상기 제1 구동부(113a2)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과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유동부(113a1)를 포함하는 제1 가동모듈(113a)과,
상기 제1-2 장착수단(111b)에 구비되는 제2 구동부(113b2)와, 상기 제2 구동부(113b2)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2 장착수단(112b)과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유동부(113b1)를 포함하는 제2 가동모듈(113b)과,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에 구비되는 제3 구동부(113c2)와, 상기 제3 구동부(113c2)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과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3 유동부(113c1)를 포함하는 제3 가동모듈(113c)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모듈(113a)은,
상기 제1 상부몸체(114)를 리프팅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제2 가동모듈(113b)은,
상기 제2 상부몸체(115)를 리프팅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제3 가동모듈(113c)은,
상기 제3 상부몸체(116)를 리프팅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mounting means 111,
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corresponding to the second-first mounting means 112a,
The first-second mounting means 111b corresponding to the second-second mounting means 112b,
It includes a 1-3 mounting means 111c corresponding to the 2-3 mounting means 112c,
The movable module 113,
The first driving unit 113a2 provided in 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and the first driving unit 113a2 operate in the first driving unit 113a2 and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first mounting means 112a. A first movable module 113a including an eastern portion 113a1,
The second driving unit 113b2 provided in the 1-2 mounting means 111b and the second oil supply unit 132 operate in the second driving unit 113b2 and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2 mounting means 112b. A second movable module 113b including an eastern portion 113b1,
The third drive unit 113c2 provided in the 1-3 mounting means 111c and the third oil supply unit 132 operate in the third driving unit 113c2 and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3 mounting means 112c. A third movable module 113c including the eastern portion 113c1,
The first movable module 113a,
Is operable to lift the first upper body 114,
The second movable module 113b,
Is operable to lift the second upper body 115,
The third movable module 113c,
10. A method of fabricating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operable to lift the third upper body (11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선택적으로 자력 발생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발생되는 상기 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각기 결속되며,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은,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대한 접근 또는 터치 접촉을 감지하여 제1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제1 감지부(117)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모듈(113)의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는,
상기 제1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1 장착수단(112a) 내지 상기 제2-3 장착수단(112c)에 대하여 각기 자력 결속을 수행하며,
상기 가동모듈(113)의 상기 제1 구동부(113a2) 내지 상기 제3 구동부(113c2)는,
상기 제1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유동부(113a1) 내지 상기 제3 유동부(113c1)를 각기 상방으로 유동시키는 상방유동모드로 동작 시키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flow portion (113a1) to the third flow portion (113c1),
It is selectively provided to be capable of generating a magnetic force, respectively bound to the 2-1 mounting means (112a) to the 2-3 mounting means (112c) based on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The 2-1 mounting means 112a to 2-3 mounting means 112c,
A first detecting unit 117 is provided to generate first sensing information by detecting an approach or a touch contact with the 2-1 mounting means 112a to the 2-3 mounting means 112c.
The first flow portion (113a1) to the third flow portion (113c1) of the movable module 113,
On the basis of the first detection information, the magnetic binding is performed on the 2-1 mounting means 112a to the 2-3 mounting means 112c, respectively.
The first driving unit 113a2 to the third driving unit 113c2 of the movable module 113,
And a first flow unit (113a1) to the third flow unit (113c1) based o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respectively,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to operate in an upward flow mode for flowing upwar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 내지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은,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 내지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에 대한 접근 또는 터치 접촉을 감지하여 제2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제2 감지부(118)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모듈(113)의 상기 구동부(113a2, 113b2, 113c2)는 상기 제2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동부(113a1, 113b1, 113c1)의 상방 유동 상태를 홀딩시키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to the 1-3 mounting means 111c are,
A second detection unit 118 is provided to detect the approach or touch contact to the first-first mounting means 111a to the 1-3 mounting means 111c to generate second detection information.
The driving unit (113a2, 113b2, 113c2) of the movable module (113) is an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or holding the upward flow state of the flow unit (113a1, 113b1, 113c1) based on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방유동모드는,
상기 제1 유동부(113a1)가 상기 제1 상부몸체(114)를 리프팅 하여 일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1 이동상태와,
상기 제2 유동부(113b1)가 상기 제2 상부몸체(115)를 리프팅 하여 타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 이동상태와,
상기 제3 유동부(113c1)가 상기 제3 상부몸체(116)를 리프팅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3 이동상태를 포함하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upward flow mode,
A first moving state in which the first flow part 113a1 lifts the first upper body 114 and moves to one side;
A second moving state in which the second flow part 113b1 lifts the second upper body 115 and moves to the other side;
And a third moving state in which the third flow part (113c1) lifts the third upper body (116) to mov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상태는,
상기 제1 구동부(113a2)에서 상기 제1 유동부(113a1)의 유동 및 상기 제1 구동부(113a2)의 상기 제1-1 장착수단(111a)에서의 길이방향 유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2 이동상태는,
상기 제2 구동부(113b2)에서 상기 제2 유동부(113b1)의 유동 및 상기 제2 구동부(113b2)의 상기 제1-2 장착수단(111b)에서의 길이방향 유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3 이동상태는,
상기 제3 구동부(113c2)에서 상기 제3 유동부(113c1)의 유동 및 상기 제3 구동부(113c2)의 상기 제1-3 장착수단(111c)에서의 길이방향 유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moving state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low of the first flow portion 113a1 in the first drive unit 113a2 and the longitudinal flow of the 1-1 mounting means 111a of the first drive unit 113a2. ,
The second moving state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low of the second flow portion 113b1 in the second drive portion 113b2 and the longitudinal flow of the 1-2 mounting means 111b of the second drive portion 113b2. ,
The third moving state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low of the third flow part 113c1 in the third drive part 113c2 and the longitudinal flow of the first mounting means 111c of the third drive part 113c2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몸체(114)의 일단에는 제1 상부자성체(UM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몸체(114)와 마주하는 상기 제3 상부몸체(116)의 일단에는 제2 상부자성체(U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몸체(115)의 일단에는 제3 상부자성체(UM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몸체(115)와 마주하는 상기 제3 상부몸체(116)의 타단에는 제4 상부자성체(UM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자성체(UM1)와 상기 제2 상부자성체(UM2)는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는 상호 간에 끌어당김 힘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상기 상방유동모드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반탄력을 발생시키토록 동작되며,
상기 제3 상부자성체(UM3)와 상기 제4 상부자성체(UM4)는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는 상호 간에 끌어당김 힘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상기 상방유동모드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반탄력을 발생시키토록 동작되는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ne end of the first upper body 114 is provided with a first upper magnetic body (UM1),
A second upper magnetic body UM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upper body 116 facing the first upper body 114,
One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115 is provided with a third upper magnetic body (UM3),
A fourth upper magnetic body UM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upper body 116 facing the second upper body 115,
The first upper magnetic body UM1 and the second upper magnetic body UM2 are
In the adjoining state, it is operated to generate a mutual attraction force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 the upward flow mode is operated to generate anti-elasticity between each other,
The third upper magnetic body UM3 and the fourth upper magnetic body UM4 are
In the state of adjoining each other, it is operated to generate a mutual attraction force.
The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which is operated to generate anti-elasticity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 the upward flow mode.
KR1020190041137A 2019-04-09 2019-04-09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KR1020458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37A KR102045822B1 (en) 2019-04-09 2019-04-09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37A KR102045822B1 (en) 2019-04-09 2019-04-09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822B1 true KR102045822B1 (en) 2019-11-18

Family

ID=6872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137A KR102045822B1 (en) 2019-04-09 2019-04-09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878U (en) * 2010-02-02 2011-08-10 (주) 시스메이트 optical communications madule
KR101445675B1 (en) 2013-05-31 2014-11-04 (주)엠이엘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CN207234370U (en) * 2017-09-18 2018-04-13 四川赛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orientable cable intermediate joint protecting bo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878U (en) * 2010-02-02 2011-08-10 (주) 시스메이트 optical communications madule
KR101445675B1 (en) 2013-05-31 2014-11-04 (주)엠이엘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CN207234370U (en) * 2017-09-18 2018-04-13 四川赛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orientable cable intermediate joint protect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3484B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modul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A2630731C (en) Fiber optic closure methods and apparatus
CN1981221B (en) Reflector arrangement
US20150370017A1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connector
EP2381283B2 (en) Optical fiber tray assembly
US5780079A (en) Apparatus for molding a connector
CN108139549A (en) Optical ferrule with the untouchable space of waveguide
KR10204582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MX2015003561A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WO2001067151A3 (en) Splice tray for use in splicing fiber optic cables and housing therefor
KR102045819B1 (en) ptical telecommunication assembly
TW364953B (en) Cable closure having a holding device for cassettes for depositing and splicing optical fibres
US20050103512A1 (en) Horizontal arrangement type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CN211454045U (en) Light leakage display
CN101165520A (en) Glue dispenser for dispensing and dispensing method
FR2864073B1 (en) QUICK-IMPREGNATED ENSIMES GLASS YARNS FOR REINFORCING POLYMERIC MATERIALS
KR102018483B1 (en) Protecion Plate for Underground Cable
EP3267459B1 (en) Keyboard
EP0465674B1 (en) Optical switch
ATE512380T1 (en) CABLE CONNECTION HOUSING, ESPECIALLY FOR OPTICAL FIBER CABLES
US2022005032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Component,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Component
KR200456905Y1 (en) optical communications madule
JP2003128440A (en) Recoating apparatus for optical fiber
DE69509197D1 (en) Plate injection molding device with opening guide means with claw coupling
ATE298705T1 (en) CLOSED, ONE-PIECE PLASTIC BARREL WITH HANDLING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