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59B1 -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59B1
KR102045459B1 KR1020130024662A KR20130024662A KR102045459B1 KR 102045459 B1 KR102045459 B1 KR 102045459B1 KR 1020130024662 A KR1020130024662 A KR 1020130024662A KR 20130024662 A KR20130024662 A KR 20130024662A KR 102045459 B1 KR102045459 B1 KR 102045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ckrest
base frame
assistance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0402A (en
Inventor
윤상호
박재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59B1/en
Publication of KR2014011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d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에 설치되는 센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 제어 장치는, 소정 면적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movement assistance system to assist movement of a user. The sensor control device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 backrest portion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lean on the back, and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portion to sens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portion or a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user.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by using a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Description

센서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by intuitively grasping the user's operation intention.

최근 전세계는 평균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급속하게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이미 고령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한국과 미국도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따라, 뇌졸중, 신체마비 그리고 장애인 또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근력이 부족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world is rapidly entering an aging society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s the life expectancy is extended. Many countries in Europe, including Japan, have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ging rapidly. With the age of aging, strokes, paralysis and disability are also on the rise, and the elderly who are incapacitated due to lack of muscle strength are increasing rapidly.

이에 따라,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걷기, 앉기, 서기 등의 일상 생활을 지원하고, 이들의 근력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시스템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동 보조 시스템은 바퀴, 구동부, 핸들부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핸들부를 잡고 밀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걸어가는 형태로 동작한다.Accordingly, a mobility assistance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support the daily lives of the elderly, disabled, and the like, such as walking, sitting and standing, and to support their muscle strength. The general movement assistance system includes a wheel, a driving unit, a handle unit, and the like, and the user operates by walking in a desired direction while holding and pushing the handle unit.

여기서 진일보한 이동 보조 시스템으로는, 전동 모터 등에 의해 구동 및 조향이 이뤄지는 모바일 로봇 형태로 구성된 이동 보조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 보조 시스템을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보조 시스템에 일정한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동 보조 시스템을 조작하려는 의지, 즉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 의지에 순응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동 보조 시스템의 특성상, 사용자의 세밀한 조작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A further advanced movement assistance system is a movement assistance system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obile robot driven and steered by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user has a constant operation with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n order to mov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n a desired direction and speed. Therefore, the mobility assistance system must grasp the user's willingness to operate the mobility assistance system, that is, the user's willingness to operate. In addition, the mobility assistance system should be configured to drive in compliance with the user's willingness to oper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assistance system, a system capable of intuitively grasp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user is required.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apparatus that intuitively grasps the user's operation intention and efficiently controls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본 발명은 이동 보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that can intuitively grasp the user's operation int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사용자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에 설치되는 센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센서 제어 장치는, 소정 면적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the sensor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sens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has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user can lean on the back The movement aid using a backrest configured to be configured, a sensor unit installed to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or a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unit and the user, and a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 drive configured to operate the system.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의 일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의 결합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part includes a body coupled to and supported by a part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and a cover mounted to the body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user leans back.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이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버의 탄성 변형시 상기 바디에 지지되어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가압시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is,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body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ver is pressed, and configured to sense a pressure at the time of pressing.

또한, 상기 커버의 배면에는 상대적으로 움푹 들어간 센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 수용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cover may be formed with a relatively recessed sensor receiving portion,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be mounted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의 가압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formed to generate different dr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또는, 상기 커버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의 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는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nd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be at least one dispo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이와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커버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고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구비한다.As another example of this,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over, and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re formed to sense a distance between the cover and the user using infrared light. It is provided.

아울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바퀴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바퀴부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 및/또는 상기 제1 및 제2바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보조 시스템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having a first wheel portion, an upp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place the user's arm, and rotates on the base frame A lower frame having a second wheel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ground frame and coupled to the ground with the first whee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upper frame, respectively, and an angle of rotation of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first driving unit formed to adjust the second, and a seco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change a rotation angle of the lower frame relative to the base fram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relative to the ground. Mounted on the drive unit and the base frame and the user can lean on the back. And a sensor unit installed to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unit and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and / or the first unit. The first and second wheel units propose a movement assistance system that is configured to be drive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의 결합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part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supported, and a cover mounted to the body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user leans back.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이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고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구비한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is,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over, and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and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cover and the user using infrared light. Equipped.

상기 제1 및 제2바퀴부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등받이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보행 중인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유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heel units may be drive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from the backrest by using a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ser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를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인가신호로 하여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and configured to driv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by an oper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using the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s an application signal.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및 상기 의자를 상기 등받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동하는 의자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의자 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구동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further includes a chai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it down, and a chair driver configured to retract the chair from the backrest, wherein the chair driver includes: It is formed to be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는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등받이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등받이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센서 제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의지가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동 보조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by u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ser. Through such a sensor control device,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can be grasped intuitively, and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can be controlled more efficiently based on this.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보조 시스템이 센서 제어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기초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오작동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보행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riven based on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detected by the sensor control device, malfunction of the user may be prevented and the walking safety of the user may be guaranteed.

본 발명의 센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자세 교정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동 보조 시스템뿐만 아니라 등받이를 구비하는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The senso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rrect a posture of a user,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ystems having a backrest as well as a movement assistan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보조 장치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이동 보조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보행 재활 및 탑승 이동시의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조작부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5a 및 5b는 도 1에 도시된 등받이의 구현 예들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인출 구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1의 발판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바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잠금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ement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form and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shown in FIG. 1. FIG.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walking rehabilitation and boarding movement of a user through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of FIG. 1, respectively.
4 is an enlarged view of an operation part of FIG. 1;
5A and 5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backrest shown in FIG.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akeout structure of the chair illustrated in FIG. 1.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caffolding portion of FIG. 1;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form and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safety bar shown in FIG. 1.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센서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nsor control device and a movement assistance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1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통한 사용자의 보행 재활 및 탑승 이동시의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form and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llustrated in FIG. 1, and FIGS. 3A and 3B.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walking rehabilitation and boarding movement of a user through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of FIG. 1, respectively.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보행 보조기 및 탑승 이동 장치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앉기/서기 재활 운동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제1구동부(140) 및 제2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 중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1 to 3,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s configured to safely and efficiently assist the sit / stand rehabilitation exercise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as a walking aid and a boarding movement devic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ncludes a base frame 110, an upper frame 120, a lower frame 130, a first driver 140, and a second driver 150. Of these configurations, the base frame 110, 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30 form a basic skeleton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베이스 프레임(110)은 내부에 사용자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은 사용자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바(bar)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바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10 is configured to form a user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s shown, the base frame 11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bars (bar)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each bar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베이스 프레임(110)은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바퀴부(111)를 구비한다. 제1바퀴부(111)는 모터와 일체화된 형태의 바퀴(In-Wheel Motor)로 구성되거나 일정 각도 내에서 전방향 구동 가능한 형태의 바퀴(Omni-Wheel)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바퀴부(111)는 후술할 제2바퀴부(131)와 함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ase frame 110 includes a first wheel part 111 formed to contact the ground. The first wheel 111 may be configured as a wheel integrated with a motor (In-Wheel Motor) or may be configured as a wheel (Omni-Wheel) of a form that can be driven in all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wheel part 111 is configured to mov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together with the second wheel part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도면에서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단 부분 및 중앙 부분에 각각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 각각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같이 한 쌍의 바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3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10, respectively. 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30 are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respectively. Each of 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3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bars just like the base frame 110.

상부 프레임(120)은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팔걸이(163)가 상부 프레임(120)에 상부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손으로 감싸 쥐었을 때 팔꿈치가 닿는 부분으로 팔걸이(163)를 이동시킴으로써, 팔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120 is configured to place the user's arm. 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the armrest 163 is provided to the upper frame 120 to sl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20.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so that the arm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by moving the armrest 163 to the part where the elbow touches when the user wraps the operation unit 160 by hand.

상부 프레임(120)에는 조작부(160)가 구비되어,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160)는 상기 기능에 더하여, 제1 및/또는 제2바퀴부(111, 131)를 조향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frame 12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160, and may be formed to apply an operation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s, the operation unit 160 may be formed to steer the first and / or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하부 프레임(130)은 제1바퀴부(111)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131)를 구비한다. 제2바퀴부(131)는 앞서 설명한 제1바퀴부(111)와 같이 In-Wheel Motor 또는 Omni-Whee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바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frame 130 includes a second wheel part 131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first wheel part 111. The second wheel part 131 may be configured of an in-wheel motor or an omni-wheel like the first wheel part 111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may have different shapes. It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wheels having.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30)은 지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우측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베이스 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하여 양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130)은 지면에 대하여 음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20)과 함께 전체로서 'ㅈ'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base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30 may b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this drawing,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the base frame 110 is disposed to have a positive slop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lower frame 130 is disposed to have a negative slop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upper frame 120 ) And as a whole is shown in the form of 'ㅈ'.

제1구동부(14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에 각각 연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구동부(15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30)에 각각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하부 프레임(130)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respectively, and is form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frame 120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30, respectively, and the upper frame 120 relative to the ground by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frame 130 relative to the base frame 110 Is formed to adjust the heigh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may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동력에 의해 자체 길이를 조절하여 각 프레임 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구동부(140)를 이루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상부 프레임(120)과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2구동부(150)를 이루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may be configured as linear actuators. The linear actuator is formed to adjust its rotational angle between the frames by adjusting its length by power. In the drawing, the linear actuator constituting the first driving unit 1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frame 120 and the base frame 110, and the linear actuator constituting the second driving unit 150 is the base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Placed between 130, it is shown that the length is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도 2에서는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 (100)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3a 및 3b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크게 사용자의 보행 재활을 보조하는 제1상태(도 3a)와 사용자의 탑승 이동을 지원하는 제2상태(도 3b)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연속적인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서기/앉기 재활 훈련을 보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In FIG. 2,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s changed in various forms by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As can be seen in Figures 3a and 3b, the mobility assistance system 100 can be largely transformed into a first state (FIG. 3a) to assist the user's walking rehabilitation and a second state (FIG. 3b) to support the user's boarding movement. have. Such modifications naturally occur in continuous motion and can be used to assist the user in standing / sitting rehabilitation training.

이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주요 부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in part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1의 조작부(160)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peration unit 160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160)는 제1바디(161)와 제2바디(162)를 포함한다. 제1바디(161)는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에 따른 변형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 161a)를 구비한다. 제2바디(162)는 제1바디(161)에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120) 상에 노출되며, 조작에 의하여 스트레인 게이지(161a)에 변형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manipulation unit 160 includes a first body 161 and a second body 162. The first body 161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120, and has a strain gauge (161a) formed to measure th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The second body 162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161 and exposed on the upper frame 120, and is formed to cause deformation of the strain gauge 161a by manipulation.

제1 및/또는 제2구동부(140, 150)는 스트레인 게이지(161a)에서 측정된 변형값을 근거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바디(162)를 전방으로 미는 경우,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보행 재활을 보조하도록 제1상태(도 3a)로 변형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바디(162)를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탑승 이동을 지원하도록 제2상태(도 3b)로 변형될 수 있다.The first and / or second drivers 140 and 150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strain value measured by the strain gauge 161a. For example, if the user pushes the second body 162 forward, the mobility assistance system 100 may be modified to a first state (FIG. 3A) to assist the user in walking rehabilita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pulls the second body 162 backward,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may be modified to the second state (FIG. 3B) to support the boarding movement of the user.

제2바디(162)에는 제1 및/또는 제2바퀴부(111, 131)를 조향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틱(joystick, 162a)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원활한 조작을 위하여, 조이스틱(162a)은 제2바디(162)의 경사면(192b')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162a)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어느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econd joystick 162a formed to steer the first and / or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162.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user, the joystick 162a may be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192b 'of the second body 162. In addition, the joystick 162a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and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from one state to anothe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스트레인 게이지(161a) 및 조이스틱(162a) 중 어느 하나의 활성화시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상태(도 3a)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161a)가 활성화되고 조이스틱(162a)은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상태(도 3b)에서는 조이스틱(162a)이 활성화되고 스트레인 게이지(161a)는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Upon activation of one of strain gauge 161a and joystick 162a the other may be configured to be deactivated. For example, in the first state (FIG. 3A), the strain gauge 161a may be set to be activated and the joystick 162a may be set to be deactivated. In contrast, in the second state (FIG. 3B), the joystick 162a may be activated and the strain gauge ( 161a may be set to be inactive.

제2바디(162)에는 인체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극(162b)이 설치될 수 있다. 전극(16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60)를 감싸 쥐었을 때 손가락이 놓이는 부분에 배치되거나, 손바닥이 놓이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162b)은 인체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며, 측정된 결과는 체성분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극(162b)에 전기가 통할 때에만 스트레인 게이지(161a) 및/또는 조이스틱(162a)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아닌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body 162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de 162b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s illustrated, the electrode 162b may be disposed at a place where a finger is placed when the user grips the operation unit 160, or may be disposed at a place where a palm is placed. The electrode 162b is formed to measure resistance of the human body, and the measured result may be used for body composi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strain gauge 161a and / or the joystick 162a may be configured to be activated only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electrode 162b, and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 malfunction, not a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또한, 제2바디(162)에는 발광부(162c)가 구비되어,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162c)는 조작부(160)의 구동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빨간색을 표시하고, 조작부(160)가 활성화되면 파란색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162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162c, it may be formed to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and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 (140, 150). It can be configured to.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62c may be formed to display red when the driving of the operation unit 160 is inactivated, and to display blue when the operation unit 160 is activated.

도 5a 및 5b는 도 1에 도시된 등받이(171)의 구현 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5A and 5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backrest 171 illustrated in FIG. 1.

앞선 도면들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170)가 구비된다. 지지부(170)는 등받이(171) 및 의자(172)를 포함한다. 등받이(171)와 의자(172)는 제2상태(도 3b)에서 사용자가 편하게 앉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본연의 기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에 더하여, 등받이(171)를 이용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다.Referring to the previous drawings, the bas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unit 170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body. The support 170 includes a backrest 171 and a chair 172. The backrest 171 and the chair 172 have an inherent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sit comfortably in the second state (FIG. 3B).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using the backrest 171.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등받이(171)는 베이스 프레임(110)을 이루는 한 쌍의 바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171)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디(171a) 및 바디(171a)에 장착되는 커버(171b)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5A, the backrest 171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a pair of bars forming the base frame 110. The backrest 171 includes a body 171a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base frame 110 and a cover 171b mounted to the body 171a.

커버(171b)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171b)는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171a)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rigid)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고강도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71b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user leans back. For example, the cover 171b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silicone, or polyurethane. In this case, the body 171a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for example, a high strength plastic such as stainless steel or polycarbonate so as to support the user's back.

바디(171a)와 커버(171b)의 결합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는 등받이(171)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등받이(171)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174)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 및/또는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센서(174)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태(도 3a)에서 사용자가 등받이(171)를 가압하게 되면, 센서(174)가 이를 감지하고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이를 이용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제2상태(도 3b)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172)는 등받이(171)로부터 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An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171a and the cover 171b is provided with a sensor 174 which is formed to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171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171 and the user.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and / or the first and second wheel units 111 and 131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174.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backrest 171 in the first state (FIG. 3A), the sensor 174 senses thi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use the movement assist system (see FIG. 3A). 100) can be transformed into the second state (FIG. 3B). At this time, the chair 172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from the backrest 171 so that the user can sit.

센서(174)가 등받이(171)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커버(171b)의 배면에는 상대적으로 움푹 들어간 센서 수용부(171c)가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커버(171b)의 배면에 가로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센서 수용부(171c)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 수용부(171c)는 등받이(171)의 세로 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거나, 센서(174)를 각각 수용하는 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nsor 174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171 in more detail, a relatively recessed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171c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71b. Although the drawing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long rectangular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171c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71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171c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shape of the backrest 171, or may be formed in a cell shape accommodating the sensor 174, respectively.

센서(174)는 센서 수용부(171c)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장착된다. 본 도면에서는, 센서(174)가 커버(171b)의 탄성 변형시 바디(171a)에 지지되어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가압시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센서로 구현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sensor 174 is mounted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171c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figure, the sensor 174 is shown to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at ar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body 171a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ver 171b is pressed and formed to sense the pressure at the time of pressing.

커버(171b)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의 곡면부(171b', 17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센서는 복수의 곡면부(171b', 171b")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각각의 곡면부(171b', 171b")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7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171b 'and 171b ″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171b' and 171b ″. It may be arranged to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curved portion (171b ', 171b ").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커버(171b)의 가압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상태(도 3b 참조)에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이동(moving) 중, 커버(171b)의 좌측이 가압되면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이동 보조 시스템(100)이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형성되고, 반대로 우측이 가압되면 우측으로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 커버(171b)에 대한 가압이 감지되지 않으면[즉, 사용자가 등받이(171)에서 등을 떼게 되면],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이동 보조 시스템(100)이 멈추도록 그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되거나,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을 멈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등받이(171)에 등을 기대서 커버(171b)의 중앙 부분이 가압되면,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이동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may be formed to generate different dr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171b. For example, when the left side of the cover 171b is press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n the second state (see FIG. 3B), 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may assist the movement. The system 100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rotation so that it can move to the left, and conversely,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rotation to the right when the right side is pressed. In addition, if the pressure on the cover 171b is not detected during the movement (that is, when the user releases his back from the backrest 171), 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may move. 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stop, or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rot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Again, when the user leans back against the backrest 171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171b is pressed, the first and second wheel portions 111 and 131 may be rotated to mov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 또한 커버(171b)의 가압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곡면부(171b', 171b")가 등받이(171)의 상하에 각각 배치될 때,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혀 등받이(171) 상부의 곡면부(171b')가 가압되면[사용자가 단순히 등받이(171)에 등을 기대면 등받이(171) 하부의 곡면부(171b")만 가압되도록 구성됨],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제1상태(도 3a 참조)에서 제2상태(도 3b참조) 또는 제2상태(도 3b참조)에서 제1상태(도 3a 참조)로 전환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may also be formed to generate different dr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171b.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171b 'and 171b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backrest 171, when the user leans back and the curved portion 171b' above the backrest 171 is pressed [ Is configured to pressurize only the curved portion 171b "under the backrest 171 when the user simply leans back on the backrest 171,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arts 140 and 150 remov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It can be driven to switch from the first state (see FIG. 3A) to the second state (see FIG. 3B) or from the second state (see FIG. 3B) to the first state (see FIG. 3A).

또한,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센서(174)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인가신호로 하여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등받이(171)에 등을 기대서 센서(174)에 압력이 감지될 때에만 조작부(160)가 유효하게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탑승 또는 조작 의지와는 상관없이 조작부(160)가 조작되어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may be driven by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60 using the sensin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174 as an application signal. That is, the manipulation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effectively driv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only when the user leans against the back 171 and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nsor 174. According to this, irrespective of the user's intention to ride or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160 may be operated to prevent malfunction.

도 5b는 등받이(271)의 다른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앞서 설명한 등받이(171)의 구조 및 이에 설치되는 센서(174)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이하 설명되는 예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5B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backrest 271. The structure of the backrest 171 described above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ensor 174 installed therein may be equally or similarly applied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도면에서는 센서(274)가 등받이(271)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271b)에는 복수의 홀(271d)이 형성된다. 복수의 홀(271d)은 센서 수용부(271c)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274)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커버(271b)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로 구현되어, 복수의 홀(271d)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sensor 274 is configured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271 and the user. Specifically, a plurality of holes 271d are formed in the cover 271b. The plurality of holes 271d may be disposed in the sensor accommodating part 271c. The sensor 274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formed to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cover 271b and the user using infrared rays, and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271d, respectively.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복수의 적외선센서에서 측정된 등받이(271)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보행 중인 사용자가 등받이(271)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유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상태(도 3a 참조)에서 사용자가 보행 재활 중인 경우,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가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맞게 그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밀지 않고도 보행 재활을 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may be drive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from the backrest 271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271 and the user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Can be. According to this, when the user is walking and rehabilitation in the first state (see FIG. 3A), 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are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speed, thereby moving the user. Walking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pushing the auxiliary system 100.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자(172)의 인출 구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thdrawal structure of the chair 172 illustrated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70)는 의자(172)의 이동을 제어하는 의자 구동부(1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의자(172)는 의자 구동부(173)의 구동에 의하여 등받이(17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upport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chair driving unit 173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hair 172. The chair 172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of the backrest 171 by the driving of the chair driving unit 173.

의자 구동부(173)는 랙(rack, 173a) 및 이동부재(173b)를 포함한다. 랙(173a)은 의자(172)의 적어도 일측에 의자(17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73b)는 의자(172)와 결합되고, 랙(173a)과 맞물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를 구비한다.The chair driving unit 173 includes a rack 173a and a moving member 173b. The rack 173a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ir 172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hair 172. The moving member 173b is coupled to the chair 172 and includes a pinion gear (not shown) that is engaged with the rack 173a and mov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의자(17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의자 구동부(173)는 랙(173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73c) 및 이동부재(173b)와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173c)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173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랙(173a)이 의자(172)의 일측에만 배치되는 경우, 의자(172)의 타측에는 가이드 부재(173d')가 직접 의자(172)와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173c')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smooth movement of the chair 172, the chair drive unit 173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73c and the moving member 173b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ack 173a and slidably mounted to the guide rail 173c.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173d. When the rack 173a is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chair 172, the guide member 173d 'is directly coupled to the chair 172 on the other side of the chair 172 so as to slide on the guide rail 173c'. Can be configured.

의자(172)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의자 구동부(173)는 랙(173a)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모터(173e), 그리고 이동부재(173b) 또는 가이드 부재(173d)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173e)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리미트 스위치(173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모터(173e)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전달장치(173g)를 통하여 연결된 랙(173a)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chair drive unit 173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otor 173e and the movable member 173b or the guide member 173d to rotate the rack 173a so that the chair 172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imit switch 173f form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173e. In this figure, as the motor 173e rotates, the rack 173a connected through the drive transmission device 173g is configured to rotate.

의자 구동부(173)는 센서(174)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 구동부(173)는 복수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커버(171a)의 가압 부위에 따른 압력 분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의자(172)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chair driver 173 may be formed to be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174. For example, the chair driving unit 173 may move the chair 172 to take a more comfortable posture by using a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171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도 7은 도 1의 발판(180)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ootrest 180 of FIG. 1.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발판(18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판(180)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이 제2상태(도 3b)에 놓였을 때 사용자가 발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판(180)은 제1상태(도 3a)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발판 수용부(110a)에 수용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caffold 18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10. The footrest 18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rest on the foot when the mobility assisting system 100 is placed in the second state (FIG. 3B). In the first state (FIG. 3A), the scaffold 18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caffold receiving portion 110a of the base frame 110 to form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10.

제2구동부(150)와 연동되어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부 프레임(13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되면, 모터(181)의 구동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용되어 있던 발판(180)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Specifically, when the lower frame 1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120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lowered, the footrest accommodated in the base frame 110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81. 180 may be drawn to the outsid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바(190)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잠금 장치(192)의 상세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form and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safety bar 190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192 of FIG. 8.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20)에는 안전바(19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행 중 전방으로 지나치게 이동했을 때 안전바(190)에 의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바(190)에는 디스플레이부(191a)를 구비하는 단말기(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91)는 디스플레이부(191a)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제어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afety bar 190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20 to promote safety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excessively moved forward while walking, it is configured to rely on the safety bar 190,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walking. The safety bar 190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191 having a display unit 191a. The terminal 191 may be configured to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s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191a and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ontrol system.

안전바(190)는 상부 프레임(120)을 이루는 한 쌍의 바(121, 122) 중 어느 하나의 바(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바(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안전바(190)를 여닫고 이동 보조 시스템(100)에 출입할 수 있다.Safety bar 190 is rotatably coupled to any one bar 121 of the pair of bars (121, 122)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bar (122). Can b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safety bar 190 and enter and exit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안전바(190)는 잠금 장치(192)에 의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걸이부(192a), 후크부(192b), 잠금해제부(192c) 및 탄성가압부(192d)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192)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The safety bar 19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other bar 122 by the locking device 192. 9 shows an example of a locking device 192 including a hook portion 192a, a hook portion 192b, an unlocking portion 192c, and an elastic pressing portion 192d.

안전바(190)에는 걸이부(192a)가 구비된다. 걸이부(19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190)에 고리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고, 안전바(190)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afety bar 190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192a. The hook portion 192a may be mounted in the form of a ring on the safety bar 190 as show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in the safety bar 190.

후크부(192b)는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장착되고, 걸이부(192a)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구성된다. 후크부(192b)에는 안전바(190)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를 향하여 이동될 때 걸이부(192a)가 후크부(192b)를 밀어내고 걸림될 수 있도록, 걸이부(192a)와 접촉하는 경사면(192b')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 192b is mounted to the other bar 122 a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and released by the hook portion 192a. The hook portion 192b includes a hook portion 192a so that the hook portion 192a can be pushed out of the hook portion 192b when the safety bar 190 is moved toward the other bar 122. An inclined surface 192b 'may be formed in contact.

잠금해제부(192c)는 걸이부(192a)에 대한 후크부(192b)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 안전바(190)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192c)를 누르게 되면, 후크부(192b)가 밀려나 걸이부(192a)에 대한 후크부(192b)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The unlocking part 192c is formed to be pushable on the other bar 122 to release the hook part 192b from the hook part 192a. When the safety bar 190 is pressed on the unlocking part 192c while being coupled to the other bar 122, the hook part 192b is pushed out and the hook part 192b with respect to the hook part 192a is caught. This can be released.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는 탄성가압부(192d)가 구비되어, 걸이부(192a)에 대한 후크부(192b)의 걸림시에는 안전바(190)를 가압하고 있다가, 걸림 해제시 안전바(190)를 밀어내어 안전바(190)가 일정 각도까지 열리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ther bar 12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ressing unit (192d), when the hook portion 192b to the hook portion 192a when pressing the safety bar 190, the latch is released, When the safety bar 190 is pushed out so that the safety bar 190 opens to an angle.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 재활, 탑승 이동 및 앉기/서기 재활이 하나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에서 구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재활 기기 여러 개를 사용 시에 필요로 하던 장소와 비용의 문제가 보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편의 장치 및 안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재활 치료나 이동 보조 시 필요로 하는 인력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lking rehabilitation, boarding movement, and sit / stand rehabilitation can be implemented in on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so that the problem of place and cost required when using multiple rehabilitation devices can be compensated. In addi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convenience devices and safety devices can reduce the manpower required for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or mobility assistance.

본 발명은 조작부(160)와 연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 그리고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160)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61a)와 조이스틱(162a)이 통합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asily adjusts the height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parts 111 and 131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unit 160. Or change modes. In addition, since the strain gauge 161a and the joystick 162a are integrated and applied to the operation unit 160, user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의 회전 각도 조절을 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재활 기기에서 사이즈 별로 기구물을 제작하는 데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pe with various body sizes of a user by adjusting rotation angles of 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30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Therefore, the time and cost for manufacturing the apparatus for each size in the existing rehabilitation equipment can be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상태 변경과 연동되어 구동되는 의자(172)와 발판(180)을 구비하며, 안전바(190), 전극(162b) 등의 안전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해나 부상을 당하지 않고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hair 172 and a footrest 180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state change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the user through a safety device such as a safety bar 190, the electrode 162b It is configured to prevent malfunction without injury or injury.

구동부[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와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센서(174, 274)를 통하여 감지되는 등받이(171)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등받이(271)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센서 제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의지가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40 and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units 111 and 131) is a pressure or backrest 271 applied to the backrest 171 sensed through the sensors 174 and 274.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hrough such a sensor control device,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can be grasped intuitively, and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can be controlled more efficiently based on this.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이 센서 제어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기초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오작동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보행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riven based on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detected by the sensor control device, malfunction of the user may be prevented and the walking safety of the user may be guaranteed.

본 발명의 센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자세 교정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동 보조 시스템(100)뿐만 아니라 등받이를 구비하는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The senso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rrect a posture of a user,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ystems including a backrest as well as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100.

이상에서 설명한 센서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방법과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The sensor control apparatus and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having the sam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method and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protected.

Claims (13)

사용자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에 설치되는 센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제어 장치는,
소정 면적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을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상태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의 상부 프레임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따라 바퀴부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사용자의 탑승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의 상부 프레임 높이가 상기 제1상태의 상부 프레임 보다 낮게 조절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의자가 인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In the sensor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sensor control device,
A backres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lean on the back;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backrest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or a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unit and the user;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by using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e driving unit,
Operating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n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state is,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s adjusted to assist the user walk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por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The second state is,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s adjust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frame of the first state to assist the user's boarding, the sens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r is pulled out from the backr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의 일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의 결합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rest part,
A body coupled to and supported by a portion of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And
A cover mounted to the body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user leans back;
The sensor unit is a sens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버의 탄성 변형시 상기 바디에 지지되어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가압시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the sens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body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ver and to detect the pressure at the time of pres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배면에는 상대적으로 움푹 들어간 센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 수용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back of the cover is formed with a relatively recessed sensor receiving portion,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sens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의 가압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different dr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의 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는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at least one sensor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고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over,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sense a distance between the cover and the user using infrared light.
사용자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바퀴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바퀴부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 및 상기 제1 및 제2바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구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을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상태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맞게 상기 제1 및 제2바퀴부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사용자의 탑승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높이가 상기 제1상태의 상부 프레임보다 낮게 조절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의자가 인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I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user,
A base frame having a first wheel portion;
An upp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place a user's arm on the base frame;
A low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having a second wheel portion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first wheel portion;
First driving part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upper frame, respectively,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second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adjust a height of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changing a rotation angle of the lower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backrest mounted to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lean on the back; And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backrest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or a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unit and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units are formed to be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
Operating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n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state is,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is adjusted to assist the user walk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 portion is adjusted to match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The second state is,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is adjust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frame of the first state so as to assist the user's boarding,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r is pulled out from the backres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의 결합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backrest part,
A body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base frame; And
A cover mounted to the body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user leans back;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movement assistance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고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over,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sense a distance between the cover and the user using infrared light.
사용자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바퀴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바퀴부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 또는 상기 제1 및 제2바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구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을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상태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맞게 상기 제1 및 제2바퀴부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사용자의 탑승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높이가 상기 제1상태의 상부 프레임 높이보다 낮게 조절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의자가 인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In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user,
A base frame having a first wheel portion;
An upp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place a user's arm on the base frame;
A low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having a second wheel portion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first wheel portion;
First driving part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upper frame,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second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adjust a height of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changing a rotation angle of the lower fram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backrest mounted to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lean on the back; And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backrest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or a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unit and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or the first and second wheel units are formed to be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
Operating the movement assistance system in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state is,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is adjusted to assist the user walk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 portion is adjusted to match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The second state is,
And the upper frame height is adjust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in the first state so as to assist the boarding of the user, and the chair is pulled out from the backrest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의 결합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ckrest part,
A body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base frame; And
A cover mounted to the body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user leans back;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movement assistance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고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over,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sense a distance between the cover and the user using infrared light.
KR1020130024662A 2013-03-07 2013-03-07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45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662A KR102045459B1 (en) 2013-03-07 2013-03-07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662A KR102045459B1 (en) 2013-03-07 2013-03-07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02A KR20140110402A (en) 2014-09-17
KR102045459B1 true KR102045459B1 (en) 2019-11-15

Family

ID=5175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662A KR102045459B1 (en) 2013-03-07 2013-03-07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4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091917U (en) * 2018-06-27 2019-07-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heelchair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288A (en) * 2003-07-18 2005-02-10 Kanto Auto Works Ltd Posture controlling electric wheelchair
JP2010125296A (en) * 2008-12-01 2010-06-10 Tokyo Metropolitan Univ Standing and moving action supporting device, standing and moving action supporting program, and standing and moving action supporting method
JP5025836B2 (en) * 2010-09-13 2012-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Boarding type mobile body and control method for boarding type mobile body
JP2012192901A (en) * 2011-03-18 2012-10-11 Panasonic Corp Device for adjusting posture, method and program for adjusting occupant posture in upright position boarding movable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288A (en) * 2003-07-18 2005-02-10 Kanto Auto Works Ltd Posture controlling electric wheelchair
JP2010125296A (en) * 2008-12-01 2010-06-10 Tokyo Metropolitan Univ Standing and moving action supporting device, standing and moving action supporting program, and standing and moving action supporting method
JP5025836B2 (en) * 2010-09-13 2012-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Boarding type mobile body and control method for boarding type mobile body
JP2012192901A (en) * 2011-03-18 2012-10-11 Panasonic Corp Device for adjusting posture, method and program for adjusting occupant posture in upright position boarding movab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02A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552B2 (en)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KR101227861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of arms
EP2085063B1 (en) Push handle with rotatable user interface
WO2010140560A1 (en) Transfer and mobility device
KR100807300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walking capable of controlling speed according force
US9227647B2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JP2014227065A (en) Manual propulsion vehicle
JP5412004B2 (en) Lifting device with a ring-shaped operation part
TWI589287B (en) Moving car
KR101748140B1 (en) automatic moving type walking traning device
KR101219305B1 (en) Auxiliary platform for walking
EP3072489A1 (en) Multifunctional transport and rehabilitation robot
KR101424109B1 (en)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KR20160104300A (en) Baby Carriage Brake System
KR102045459B1 (en) Control device using sensor and move assist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43149B1 (en) Move assist system
TWI549668B (en)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13758A1 (e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port vehicle
KR10159232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rollator
JP3185293U (en) Rehabilitation wheelchair
JP4280028B2 (en) Electric powered car
US11294415B2 (e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port vehicle
JP2013078445A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WO2022079745A1 (en) Static-dynamic stabiliser
KR101592320B1 (en) Intelligent rol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