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901B1 -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901B1
KR102044901B1 KR1020190063956A KR20190063956A KR102044901B1 KR 102044901 B1 KR102044901 B1 KR 102044901B1 KR 1020190063956 A KR1020190063956 A KR 1020190063956A KR 20190063956 A KR20190063956 A KR 20190063956A KR 102044901 B1 KR102044901 B1 KR 10204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garment
purchase
photograph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철
Original Assignee
패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패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은, 제1 의류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제1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제2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2 의류의 착용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의류의 착용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제1 가상 이미지 정보 및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후에, 제1 사용자의 제1 의류 또는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 또는 제2 사용자의 제1 의류 또는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하되, 제1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제2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제1 사용자의 구매 이력 또는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한다.

Description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SYSTEM FOR GENERATING IMAGE-BASED PURCHASE INFORMATION OF FITTING GOODS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효과적인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을 가능하게 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효과적인 크라우드 펀딩을 가능하게 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대중을 의미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 조달을 의미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로, 자금을 필요로 하는 사업주가 온라인 플랫폼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통해 개인 등의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 자금을 모으는 방식을 말한다. 초기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크라우드 펀딩을 위한 전문 플랫폼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크라우드 펀딩에 있어서 자금 수요자, 즉 사업주 입장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자금 조달과 마케팅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 진행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자금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인의 사업 아이템에 대한 시장 반응을 미리 살펴볼 수 있어 사업성을 실시간으로 검증받을 수 있고, 수요량을 미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물량만을 생산하여 불필요한 생산 비용, 초기 투입 비용, 보관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업주의 불필요한 초기 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는 제품의 가격에 반영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물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투자자, 즉 물건의 구매자 입장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할 수 있고, 이와 별개로 투자에 대한 보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직접 선택한 아이템에 대해 손쉽게 투자를 할 수 있고, 비교적 소규모의 자금으로 합리적인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의하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총 417개의 창업기업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약 755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음을 보고한 바 있을 정도로 크라우드 펀딩 산업은 꾸준하게 외형을 키워나가고 있다. 특히 2018년 4월 일반 투자자의 투자한도를 확장하는 '자본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확대 및 활성화가 기대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7577호(공개일자 2015.07.08.)
공익적인 측면에서도 크라우드 펀딩은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창업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합리적 투자를 유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크라우드 펀딩은 비교적 용이한 절차를 거쳐 투자가 이루어지는 만큼 투자자 보호에 미흡한 측면이 있다.
즉, 크라우드 펀딩은 순전히 업체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대중들에 의한 투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크라우드 펀딩 시장이 활성화된지 3년가량 지난 현 시점에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구매한 상품의 품질이 최초 기대에 못미치거나 업체 측에서 최초 설명한 제품과 상이한 상품을 제공받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구매자가 상품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것에서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라우드 펀딩에 활용될 수 있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크라우드 펀딩에 활용될 수 있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을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은, 제1 의류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의류의 착용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상기 제1 가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후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 및/또는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 및/또는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구매 이력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구매 이력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의 착용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가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가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비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촬영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메시지 및/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획득 및 취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획득 및 취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불특정 다수에 대해 제공하는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노출 순위를 소정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불특정 다수에 대해 제공하는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노출 순위를 소정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체 정보에 대한 유사율을 판별하는 신체 정보 판별 모델을 바탕으로, 상기 제3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유사율을 갖는 피팅자의 촬영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품의 구매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의류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의류의 소재에 관한 정보, 의류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 의류의 색상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피드백을 수집하여 상품의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3 사용자의 메시지에 대해 회신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3 사용자의 메시지에 대해 회신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 및/또는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3 사용자로부터 구매 이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매 이유 정보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 이유 정보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제4 사용자의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4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의류와 관련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취합 및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2 의류와 관련된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취합 및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는, 제1 소품에 대한 촬영 이미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는, 제2 소품에 대한 촬영 이미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사용자의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4 사용자의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획득 및 취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와, 상기 제4 사용자의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교한 결과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이미지에 포함된 의류 및 소품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과 연계된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의류에 대한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촬영 이미지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신체 정보 유사도를 갖는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1 의류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신체 정보 유사도를 갖는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의류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구매의사를 확인하여 결제 수단을 획득하고, 사용자가 결제 완료시 구매 이력을 저장하여 상기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업로드하고, 불특정 다수가 상기 촬영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에 대해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를 지정하여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서버가 부여한 어드벤티지를 포인트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결제 수단을 제공받고, 상기 결제 수단은, 서버 외부의 인터넷 링크와 연계되어 타인의 계좌로부터 출금을 시도하는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링크는, SNS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메신저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및 전화번호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품을 구매한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색상, 사이즈, 교환가능지역 또는 교환가능시기를 포함하는 교환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교환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교환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교환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구매자 및 상기 제2 구매자에게 상기 교환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품의 구매자에게 보다 정확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자금 수요자 입장에서도 상품의 구매자들이 생성한 구매정보를 활용하여 더 나은 제품 생산을 위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이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및 불특정 다수 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촬영 이미지와 제2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루어지는 선호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제3 사용자에 의한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제3 사용자에 의한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이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4 사용자에 의한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은 통신망(100), 서버(200),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310) 및 제2 사용자의 단말 장치(320)를 포함하고, 제3 사용자의 단말 장치(330) 및 제4 사용자의 단말 장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 장치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태블릿 PC, 웹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PC, 또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전용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통신망(100)은 서버(200)와 제1 내지 제4 단말 장치(310, 320, 330, 340) 간에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인프라일 수 있다. 통신망(100)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 이더넷(Ethernet), 디지털가입자선(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 HFC), 광가입자망(Fiber To The Home, FTTH)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또는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제1 내지 제4 단말 장치(310, 320, 330, 34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관리자 내지는 운영자의 소유로서 본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내지 제4 단말 장치(310, 320, 330, 34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하거나, 수집하거나, 획득하거나, 취합하거나, 또는 재가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서버(200)는 제1 내지 제4 단말 장치(310, 320, 330, 340)로부터 수집되거나, 업로드된 정보, 또는 서버(200)에 의해 취합되거나 재가공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하드웨어의 내부에 설치 또는 임베디드 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외부의 별도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20),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30) 및 제4 사용자 단말 장치(340)는 각각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 소유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310, 320, 330, 340)는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등을 서버(200)에 업로드하거나, 또는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310, 320, 330, 340)는 각각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310, 320, 330, 340)는 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를 서버(200) 등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신체 정보를 서버(200) 등에 업로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은 우선 상품 판매자(또는 자금 수요자)가 피팅룸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룸은 의류 또는 소품 등의 상품을 시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피팅룸은 오프라인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 피팅룸은 지역적으로 이격된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구매 의향자(또는 상품 구매자, 또는 투자자)는 피팅룸을 직접 방문하여 상품을 시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의향자가 온라인 웹사이트에 표현된 것만으로는 상품의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구매 의향자가 오프라인 피팅룸을 직접 방문하여 상품을 살펴보고, 나아가 상품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상품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이 크라우드 펀딩과 연계될 경우, 구매 의향자, 즉 투자자는 상품을 직접 살펴봄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투자를 가능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매 의향자는 사용 내지는 착용한 의류 및/또는 소품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된 이미지는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 공개될 수 있다.
구매 의향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구매 의향자를 추가로 유치할 수 있다. 추가로 유치된 구매 의향자는 피팅룸에 방문하여 상품을 더욱 살펴보거나, 또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투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자금 수요자가 준비한 이미지 및 자금 수요자가 홍보한 내용만을 기반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함에 그쳤다. 이 경우 자금 수요자가 상품의 단점은 공개하지 않거나, 심지어 의도적으로 상품의 가치를 부풀림으로서 투자자에게 거짓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품을 착용한 모델과 실제 구매 의향자 간의 체형 차이 등으로 인해, 예컨대 의류 등의 경우 정확한 의류 착용 핏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크라우드 펀딩에 따른 결과물이 투자자의 기대에 못미치거나 투자에 성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업화에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에 의할 경우, 자금 수요자가 아닌 구매 의향자가 직접 상품을 살펴보고 착용한 후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고, 상기 업로드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구매 의향자를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2 구매 의향자는 같은 투자자의 입장인 제1 구매 의향자가 작성한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합리적인 투자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구매 의향자들의 수요를 파악한 후, 상품의 판매자는 생산을 시작하거나, 확대할 수 있다. 본 단계는 크라우드 펀딩의 자금 조달 종료를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품을 먼저 생산하고 구매 의향자를 유치할 경우, 생각과 달리 충분한 수요가 확보되지 않거나, 또는 미리 생산한 상품의 보관 및 관리 등의 재고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용은 상품의 가격 상승을 야기하며, 결국 재고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반영된 상품 가격으로 인해 구매 의향자는 합리적인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구매 의향자로서는 상품을 오프라인 상에서 살펴보고 합리적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품 판매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최소화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원하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룸은 복수의 상품(711)과 환복 가능한 공간(712)이 구비된 제1 공간(710) 및 셀카를 찍기에 적합한 포토존이 형성된 제2 공간(720)을 포함할 수 있다. 피팅룸은 상품 판매자(또는 자금 수요자)에 의해 준비된 공간일 수 있다. 피팅룸의 운영자, 즉 서버(200)의 운영자 내지는 관리자는 피팅룸을 홍보하여 구매 의향자가 오프라인 공간에 마련된 피팅룸에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제1 공간(710)과 제2 공간(720)이 분리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공간(710)과 제2 공간(720)은 하나의 공간 내에 구획되지 않고 마련되거나, 또는 지리적으로 매우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간(710)은 상품(711)이 비치되고 구매 의향자(또는 상품 구매자, 또는 투자자)가 상품(711)을 시착할 수 있도록 준비된 공간일 수 있다. 구매 의향자는 원하는 상품을 선택한 후 환복 공간(712)에서 상품을 실제로 착용해볼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상품의 시착 공간(712)는 남녀 공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남자 탈의실과 여자 탈의실이 이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품(711)은 자켓, 셔츠 등의 상의, 바지, 치마 등의 하의, 및 상의와 하의가 일체화된 원피스 등을 포함하는 의류 제품일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피팅룸의 제1 공간(710)에는 모자, 팔찌, 목걸이, 가방, 신발 등의 소품이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구매 의향자는 복수의 의류들 중 하나 이상 및/또는 복수의 소품들 중 하나 이상 중 선호하는 의류 및 소품을 착용할 수 있다.
제2 공간(720)은 상품을 시착한 구매 의향자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준비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간(720)은 셀카를 찍기에 적합한 포토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공간(720)은 구매 의향자의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인테리어가 준비된 공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존은 하우스 컨셉으로 준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존은 커피숍 컨셉, 식당 컨셉, 공원 컨셉 등으로 꾸며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공간(720)은 커피, 음료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업 및 음식을 제공하는 서비스업 등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구매 의향자들은 제2 공간(720) 내에서 의류 및/또는 소품 등의 상품(711)을 착용한 상태로 셀카를 찍을 수 있다. 또는 복수 명의 구매 의향자들이 방문할 경우, 서로 간에 사진을 찍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구매 의향자들은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카메라 어플을 이용하거나,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카메라 어플을 이용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카메라 어플을 이용할 경우 구매 의향자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는 곧바로 서버(200)로 업로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공간(720) 내에는 전문 사진사가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자동 사진 촬영 기기가 구비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구매 의향자들은 의류 및/또는 소품 등의 상품(711)을 착용한 상태로 전문 사진사에게 사진 촬영을 의뢰하거나 자동 사진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문 사진사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 또는 자동 사진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는 서버(200)로 업로드될 수 있다.
구매 의향자들은 제1 공간(710)에서 상품(711)을 선택하고 제2 공간(720)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복수번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는 바꾸지 않은 채로 소품을 변경하며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소품은 바꾸지 않은 채로 의류를 변경하며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의류와 소품을 모두 변경하며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구매 의향자의 단말 장치(예컨대, 제1 단말 장치(3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구매 의향자가 촬영한 이미지들을 서로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매 의향자는 최선의 의류 및 소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구매 의향자 및 착용한 상품의 이미지는 변경하지 않고, 그 배경을 가상으로 합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피팅룸을 방문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예로 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이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제2 사용자의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의 소유주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를 통해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20)의 소유주일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20)를 통해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피팅룸에 방문하여 제1 의류를 착용하고 그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 제2 사용자는 피팅룸에 방문하여 상기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를 착용하고 그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제1 의류의 착용 이미지 및 포토존이 제공한 배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는 제2 사용자의 제2 의류의 착용 이미지 및 포토존이 제공한 배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저장 및 취합할 수 있다. 또, 서버는 제1 가상 이미지 정보와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의류의 착용을 가정한 가상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또,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는 제2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의류의 착용을 가정한 가상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그 다음 서버는 생성한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들은 오프라인 상에 구현된 피팅룸을 방문하여 상품을 시착해볼 수 있다. 그러나 지리적 한계 등으로 인해 제1 사용자는 제2 의류를 착용하지 못하거나, 제2 사용자는 제1 의류를 착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에게 그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에게 그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의류 착용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는 서버(200)로부터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는 다른 구매 의향자가 제1 의류에 대해 촬영한 실제 촬영 이미지 및/또는 제2 의류에 대해 촬영한 실제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는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는 제1 의류에 대한 제1 촬영 이미지와 제2 의류에 대한 제1 가상 이미지를 비교하고, 제2 사용자는 제1 의류에 대한 제2 가상 이미지와 제2 의류에 대한 제2 촬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1 의류 및/또는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를 결정하고,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는 각각 제1 의류 또는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서버가 제1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10)에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에 의해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는 제1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가 제2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서버는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20)에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에 의해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는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제 수단은 서버 외부의 인터넷 링크와 연계되어 타인의 계좌로부터 출금을 시도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링크는, SNS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메신저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및 전화번호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1 사용자에 의해 구입된 제1 의류 및/또는 제2 의류에 대한 구매 이력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의해 구입된 제1 의류 및/또는 제2 의류에 대한 구매 이력 정보는 각각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될 수 있다. 상기 공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에 접근 권한을 갖는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중은 제1 의류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현황 및 제2 의류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추가적인 구매 의향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구매 전 단계 또는 구매 이후 단계 중 어느 과정에서,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를 각각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만일 제1 사용자가 제1 의류에 대한 착용 사진을 업로드함과 동시에 해당 사진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함께 업로드할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 또한 동시에 공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도 함께 공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가 제2 의류에 대한 착용 사진을 업로드함과 동시에 해당 사진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함께 업로드할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 또한 동시에 공개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도 함께 공개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 및 신체 정보는 불특정 다수에게 상품과 관련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중은 보다 적극적인 상품 구매 참여가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버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드벤티지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제1 의류 및 제2 의류에 대한 착용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텍스트 및 신체 정보를 공개한 것에 대한 대가성을 가지고 지급될 수 있다. 상기 어드벤티지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활용 가능한 포인트 형태, 또는 어플리케이션 외에서 활용 가능한 포인트 형태로 지급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금전과 같은 가치를 지니며, 추후 금전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어드벤티지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확인될 수 있다.
제1 의류 및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이력이 충분히 공개가 되고, 추가적인 구매 의향자 내지는 사용자들에 의해 제1 의류 또는 제2 의류에 대한 상품의 판매가 충분히 이루어질 경우, 다시 말해서 특정 상품(711)에 대한 구매의사 이력이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상품(711)의 크라우드 펀딩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711)에 대한 구매의사 이력이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상품(711)에 대한 정보를 모두 비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의류의 판매가 종료되면 제1 사용자의 제1 의류에 대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제1 의류에 대한 제2 가상 이미지 정보 등을 비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제2 의류의 판매가 종료되면 제2 사용자의 제2 의류에 대한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및 제2 의류에 대한 제1 가상 이미지 정보 등을 비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및 불특정 다수 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나아가 제1 사용자와 불특정 다수의 대중 및 제2 사용자와 불특정 다수의 대중 간에는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제1 의류를 직접 착용해보았지만 제2 의류에 대해서는 가상 이미지만을 제공받은 사용자일 수 있다. 또, 제2 사용자는 제2 의류를 직접 착용해보았지만 제1 의류에 대해서는 가상 이미지만을 제공받은 사용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는 가상의 이미지로 제공받은 제2 의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고, 이 때 제2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해 상품과 관련한 메시지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는 제1 의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고,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 대중은 오프라인 피팅룸에 직접 방문하지 못하고, 제1 의류 및 제2 의류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를 지정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1 의류에 대한 문의를 받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의류에 대한 문의를 받은 제2 사용자가 회신을 수행할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어드벤티지는 포인트 형태로 지급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촬영 이미지와 제2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루어지는 선호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촬영한 제1 촬영 이미지와 제2 사용자가 촬영한 제2 촬영 이미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는 제1 촬영 이미지 및 제1 촬영 이미지에 종속된 텍스트 정보 등에 대해 선호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 정보는 추천, 비추천, 공감, 비공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불특정 다수는 제2 촬영 이미지 및 제2 촬영 이미지에 종속된 텍스트 정보 등에 대해 선호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대중으로부터 획득한 제1 촬영 이미지와 제2 촬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취합 및 업데이트하고 이를 대중에게 다시 공개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제1 촬영 이미지 및 제2 촬영 이미지에 대한 누적 선호도 정보와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제1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2 촬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제2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촬영 이미지 및 제2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촬영 이미지와 제2 촬영 이미지의 노출 순위는 상기 선호도 정보와 연계될 수 있다. 만일 제1 촬영 이미지가 제2 촬영 이미지에 비해 더 높은 선호도 정보를 가지고, 나아가 기준 값 이상의 선호도 정보를 가질 경우, 제1 촬영 이미지를 제2 촬영 이미지 보다 상단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반면, 제2 촬영 이미지가 제1 촬영 이미지에 비해 더 높은 선호도 정보를 가지고, 기준 값 이상의 선호도 정보를 가질 경우, 제2 촬영 이미지를 제1 촬영 이미지 보다 상단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중에 대해 일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갖는 의류 및 그 이미지를 상단에 노출시킴으로써 대중의 니즈에 부합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8을 더 참조하여 피팅룸을 방문하지 않은 제3 사용자를 예로 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제3 사용자에 의한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제3 사용자에 의한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매 이후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3 사용자는 오프라인에 마련된 피팅룸을 방문하지 않고,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미도시)의 촬영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구매 의사를 가지고 있는 구매 의향자이다.
제3 사용자는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30)의 소유주일 수 있다. 제3 사용자는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30)를 통해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피팅룸에 방문하여 제1 의류를 착용하고 그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반면, 제3 사용자는 실제 피팅을 수행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를 진행하려는 사람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서버는 신체 정보 판별 모델을 구비할 수 있다. 신체 정보 판별 모델은 서버가 획득한 사용자들의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유사한 신체 정보를 가진 사용자를 계산하거나, 추출하거나, 추천하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는 계산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와 몸무게 차이가 기준 값 이하이고, 특정 사용자와 신장 차이가 기준 값 이하인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제3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가상 이미지 정보는 제1 의류를 착용한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 정보를 갖는 제3 사용자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의류의 착용을 가정한 가상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그 다음 서버는 생성한 제3 가상 이미지 정보를 제3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피팅룸에 방문하지 못한 제3 사용자도 실제 상품을 착용해본 것과 같이 착용 핏을 확인한 후에 상품의 구매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사용자는 제1 사용자를 지정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상기 메시지 전송은 서버를 경유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 제3 사용자는 가상의 이미지로 제공받은 제1 의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고, 이 때 제1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해 상품과 관련한 메시지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3 사용자는 제1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를 결정하고, 구매의사 정보를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가 제3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서버는 제3 사용자의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30)에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제3 사용자에 의해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는 제3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사용자에 의해 구입된 제1 의류에 대한 구매 이력 정보는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중은 제1 의류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의류에 대한 문의를 받은 제1 사용자가 제3 사용자가 보낸 메시지에 회신을 수행하고, 나아가 제3 사용자에 의해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어드벤티지는 포인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3 사용자에게 구매 이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가 제1 의류를 구입하는 이유가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문의하고, 제3 사용자는 이에 대해 회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3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유 정보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촬영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드벤티지는 포인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1 사용자와 제3 사용자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전술한 제2 의류를 착용한 제2 사용자 또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모두와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버는 상품의 구매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피팅룸을 방문하여 제1 의류 및 제2 의류를 착용해본 후 구매를 수행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실제로 피팅룸을 방문하지 않았으나 제1 의류를 구매한 제3 사용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의류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의류의 소재에 관한 정보, 의류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 의류의 색상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피드백 정보의 개수 등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피드백을 수집하여 서버는 해당 정보를 운영자 내지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운영자 내지 관리자는 새로운 크라우드 펀딩을 시작하거나, 또는 개선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제품을 구매하여 착용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되기 어렵거나, 생산자가 소비자의 요구를 수집하거나 반영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이를 집계하기도 어려웠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의류 제품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소매의 길이나 전체적인 기장, 품, 색상, 소재의 변경 등에 대해 제품을 변경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러한 피드백 정보가 특정 기준 값 이상으로 넘을 경우 다수의 소비자들이 제품을 특정 방향으로 변경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고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운영자 내지는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반영하여 즉각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제품을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류 제품 등에 대한 것은 실제 착용하는 사용자의 니즈가 반영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사용자의 니즈를 빠르게 반영하여 구매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실제로 생산자는 이를 쉽게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고, 예를 들어 댓글, 구매평 등만으로 집계가 어렵거나 제품의 어떤 부분을 어떻게 변경하여야 할 것인가라는 판단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품의 변경 가능한 항목 부분을 소비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피드백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기준 값 이상으로 넘으면 다수의 소비자가 기존의 제품에 비해 특정한 어떠한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많이 요구하고 이러한 요구가 매출 증대에 영향을 줄 것이라 수치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소비자의 니즈가 생산자에게 반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드백 정보가 특정 기준 값 이상으로 넘어 해당 피드백을 수집하여 서버가 해당 정보를 운영자 내지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경우, 상기 서버는 추가적으로 특정 피드백 정보에 대해 변경되는 판매 단가와 상기 판매 단가에 대한 수용의사를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수용의사가 특정 기준값 이상으로 될 경우 이를 운영자 내지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들의 제품변경에 대한 요구, 제품변경에 따른 판매가의 변동 등 양 방향으로의 구매요인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생산자가 제품 변경에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백 정보는 의류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의류의 소재에 관한 정보, 의류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 의류의 색상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각 항목들에 대한 정형화된 정보를 구매자 입장에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더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및 제4 사용자를 예로 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제4 사용자에 의한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제4 사용자는 제4 사용자 단말 장치(340)의 소유주일 수 있다. 제4 사용자는 제4 사용자 단말 장치(340)를 통해 신체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는 피팅룸에 방문하여 제1 의류를 착용하고 그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와 제4 사용자는 모두 서로 동일한 제1 의류를 착용한 점은 동일하나, 서로 상이한 소품을 착용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1 사용자는 제1 의류(예컨대, 원피스)와 제1 소품(예컨대, 모자)를 착용한 반면, 제4 사용자는 상기 제1 의류와 제2 소품(예컨대, 다른 모자)를 착용하고 이미지를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제1 의류의 착용 이미지, 제1 소품의 착용 이미지, 포토존이 제공한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제1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제4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는 제4 사용자의 제1 의류의 착용 이미지, 제2 소품의 착용 이미지, 포토존이 제공한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제4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제4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저장 및 취합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서버는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는 제2 사용자가 제1 의류를 착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생성된 제2 가상 이미지 정보 또한 공개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는 제1 촬영 이미지 및 제1 촬영 이미지에 종속된 텍스트 정보 등에 대해 선호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 정보는 추천, 비추천, 공감, 비공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불특정 다수는 제4 촬영 이미지 및 제4 촬영 이미지에 종속된 텍스트 정보 등에 대해 선호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불특정 다수는 상기 제2 가상 이미지 정보에 대해 선호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제4 촬영 이미지 및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는 모두 제1 의류에 관한 이미지이나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즉, 제1 촬영 이미지는 제1 사용자가 제1 의류 및 제1 소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이미지이고, 제4 촬영 이미지는 제4 사용자가 제1 의류 및 제2 소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이미지이다. 또 제2 가상 이미지는 제2 사용자가 제1 의류 및 제1 소품을 착용할 것을 가정하여 생성된 가상의 이미지이다.
서버는 대중으로부터 획득한 제1 촬영 이미지, 제4 촬영 이미지 및 제2 가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취합 및 업데이트하고 이를 대중에게 다시 공개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제1 촬영 이미지 및 제4 촬영 이미지에 대한 누적 선호도 정보와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선호도 정보는 제1 의류와 제1 소품에 대한 조합과, 제1 의류와 제2 소품에 대한 조합 중 대중의 선호도가 높은 아이템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1 의류와 제1 소품에 대한 조합, 즉 제1 촬영 이미지에 대한 대중의 선호도가, 제1 의류와 제2 소품에 대한 조합, 즉 제4 촬영 이미지에 대한 대중의 선호도 보다 높을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4 촬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제1 촬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보다 높을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아닌 제4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서버는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제4 촬영 이미지 정보의 선호도를 비교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것을 다시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과 연계된 단말장치를 제공하고,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과 연계된 단말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의류에 대한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촬영 이미지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신체 정보 유사도를 갖는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1 의류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신체 정보 유사도를 갖는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의류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구매의사를 확인하여 결제 수단을 획득하고, 사용자가 결제 완료시 구매 이력을 저장하여 상기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 자신이 원하는 제2 의류를 착용하여 보지 않더라도 신체 유사도를 갖는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에 기반하여 자신이 제2 의류를 착용한 가상 이미지를 통해 제품 구매 전 실제로 제2 의류를 입어본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또는 허리둘레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제1의류 또는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에서 상기 단계적으로 변경된 신체 정보에 따라 변경된 가상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변경된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가상으로 설정하고, 그에 맞는 자신의 의상 착용 이미지를 미리 확인하여 제품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다이어트를 통해 자신의 신체 사이즈가 변경될 것을 고려하여 제품을 구매하려 할 때, 위와 같은 신체 사이즈 변경에 따른 가상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미리 제품에 대한 사이즈 변경, 의류가 자신의 변경될 신체 사이즈에 대해 스타일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업로드하고, 불특정 다수가 상기 촬영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에 대해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지정하여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서버가 부여한 어드벤티지를 포인트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제품구매, 제품교환, 제품반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서버로부터 결제 수단을 제공받고, 상기 결제 수단은, 서버 외부의 인터넷 링크와 연계되어 타인의 계좌로부터 출금을 시도하는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링크는, SNS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메신저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및 전화번호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제 정보를 지인(부모님을 포함)에게 전달하여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지인이 결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미성년자인 학생들의 경우는 자신이 직접 원하는 제품을 고르고, 결제는 부모님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결제 정보를 부모님한테 보내 쉽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품을 구매한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색상, 사이즈, 교환가능지역 또는 교환가능시기를 포함하는 교환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교환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교환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교환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구매자 및 상기 제2 구매자에게 상기 교환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정보와 함께 교환 진행여부를 확인하는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서로 매칭된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가 직접교환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일정 어드벤티지를 부여할 수 있다.
제품을 구매한 후 사이즈, 색상의 문제에 의해 교환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생산자에게 제품을 발송하고, 생산자가 이를 확인하여 다시 구매자에게 제품을 발송하는 경우 시간도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비용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한번 구매한 제품이 포장제를 뜯거나, 발송 중 중고로 되는 경우가 많아 제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 사이즈 교환이나 색상 교환의 경우 구매자들간에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구매자들간에 서로 교환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제품의 가치하락, 오래걸리는 교환시간과 많은 불필요한 비용, 교환의 번거로움을 모두 자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매자가 XS -> S 교환하고 싶고, 자신의 지역정보와 교환가능기간 정보를 입력하고, 제2 구매자가 S -> XS 교환하고 싶고, 자신의 지역정보, 교환가능기간 정보를 입력하고 서로 매칭되면,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에게 교환정보를 주어 서로 구매자들간에 간단히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생산자는 교환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구매자도 교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자는 각각의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에게 일정 어드벤티지를 주어 구매자들간 교환이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도 교환비용을 줄이고, 구매자도 교환비용을 줄이면서 일정 어드벤티지가 쌓이므로, 자발적으로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 첨부된 도면의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어드레싱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특정된 논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구성요소가 제공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화된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제1 의류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제1 피팅룸에 방문하여 상기 제1 의류 및 제1 소품을 착용하고 제1 배경 이미지를 바탕으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경 이미지는 상기 제1 의류가 비치된 상기 제1 피팅룸에 구비된 포토존이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제2 피팅룸에 방문하여 상기 제2 의류를 착용하고 제2 배경 이미지를 바탕으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경 이미지는 상기 제2 의류가 비치되되 상기 제1 의류가 비치되지 않은 상기 제2 피팅룸에 구비된 포토존이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피팅룸의 포토존과 상기 제2 피팅룸의 포토존은 각각 하우스 컨셉, 커피숍 컨셉, 식당 컨셉 또는 공원 컨셉으로 구비된 포토존이고,
    피팅룸을 방문하지 않은 제3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신체 정보에 대한 유사율을 판별하는 신체 정보 판별 모델을 바탕으로, 상기 제3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유사율을 갖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제4 사용자의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4 사용자가 상기 제1 의류 및 제2 소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의 착용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상기 제1 가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후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 또는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 또는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구매 이력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며,
    상기 제1 의류와 관련된 정보들로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이미지 정보를 취합 및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의류와 상기 제1 소품의 조합, 및 상기 제1 의류와 상기 제2 소품의 조합에 대한 선호도 비교 정보로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와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2 의류와 관련된 정보들로서,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가상 이미지 정보를 취합 및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의류 및 상기 제2 의류는 각각 상의 또는 하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품 및 상기 제2 소품은 각각 모자, 팔찌, 목걸이, 가방 또는 신발을 포함하고,
    상품의 구매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의류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의류의 소재에 관한 정보, 의류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 의류의 색상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피드백을 수집하여 상품의 생산자에게 제공하고,
    상품을 구매한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색상, 사이즈, 교환가능지역 또는 교환가능시기를 포함하는 교환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교환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교환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교환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구매자 및 상기 제2 구매자에게 상기 교환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기재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해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가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의류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가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비공개로 전환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촬영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메시지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획득 및 취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획득 및 취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불특정 다수에 대해 제공하는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노출 순위를 소정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기준 값 이상으로 획득될 경우, 불특정 다수에 대해 제공하는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노출 순위를 소정만큼 증가시키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메시지는,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 상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교환 의사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3 사용자의 메시지에 대해 회신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3 사용자의 메시지에 대해 회신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상기 제1 의류 또는 상기 제2 의류에 대한 구매의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고,
    상기 제3 사용자로부터 구매 이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매 이유 정보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 이유 정보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제공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의류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의류가 비치된 제1 피팅룸에 방문하여 제1 배경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의류 및 제1 소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제1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 길이 및 다리 길이 중 하나 이상의 신체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신체 정보 유사도를 갖는 다른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2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의류와 상이한 제2 의류가 비치된 제2 피팅룸에 방문하여 제2 배경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의류를 착용하고 촬영한 제2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와 기준 값 이상의 신체 정보 유사도를 갖는 다른 제4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4 촬영 이미지로서, 상기 제4 사용자가 상기 제1 의류 및 제2 소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제4 촬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촬영 이미지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의류의 착용 가상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상기 제2 촬영 이미지, 상기 제4 촬영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구매의사를 확인하여 결제 수단을 획득하고,
    사용자가 결제 완료시 구매 이력을 저장하여 상기 구매 이력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되,
    상기 제1 의류 및 상기 제2 의류는 각각 상의 또는 하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품 및 상기 제2 소품은 각각 모자, 팔찌, 목걸이, 가방 또는 신발을 포함하고,
    상품의 구매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의류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의류의 소재에 관한 정보, 의류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 의류의 색상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피드백을 수집하여 상품의 생산자에게 제공하고,
    상품을 구매한 제1 구매자와 제2 구매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색상, 사이즈, 교환가능지역 또는 교환가능시기를 포함하는 교환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교환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구매자와 상기 제2 구매자의 교환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교환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구매자 및 상기 제2 구매자에게 상기 교환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과 연계된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촬영 이미지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업로드하고,
    불특정 다수가 상기 제1 촬영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에 대해 제공한 선호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과 연계된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를 지정하여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사용자에 대해 서버가 부여한 어드벤티지를 포인트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결제 수단을 제공받고,
    상기 결제 수단은, 서버 외부의 인터넷 링크와 연계되어 타인의 계좌로부터 출금을 시도하는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링크는, SNS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메신저 프로그램 아이디 정보 및 전화번호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과 연계된 단말 장치.
  15. 삭제
KR1020190063956A 2019-05-30 2019-05-30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204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56A KR102044901B1 (ko) 2019-05-30 2019-05-30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56A KR102044901B1 (ko) 2019-05-30 2019-05-30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901B1 true KR102044901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56A KR102044901B1 (ko) 2019-05-30 2019-05-30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92B1 (ko) * 2021-02-23 2021-10-28 안혜령 멀티 에이전트를 이용한 개인 코디네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484A (ko) * 2009-02-06 2010-08-16 문홍만 블로거 참여형 쇼핑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07181A (ko) * 2010-07-14 2012-01-20 김만기 회원간 의류 피팅정보 공유기반 의류구매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6809A (ko) * 2012-01-26 2013-08-05 (주) 키플 중고 물품 교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50077577A (ko) 2013-12-27 2015-07-08 한경철 의류 상품 관리 및 구매 시스템
KR20170060740A (ko)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484A (ko) * 2009-02-06 2010-08-16 문홍만 블로거 참여형 쇼핑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07181A (ko) * 2010-07-14 2012-01-20 김만기 회원간 의류 피팅정보 공유기반 의류구매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6809A (ko) * 2012-01-26 2013-08-05 (주) 키플 중고 물품 교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50077577A (ko) 2013-12-27 2015-07-08 한경철 의류 상품 관리 및 구매 시스템
KR20170060740A (ko)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92B1 (ko) * 2021-02-23 2021-10-28 안혜령 멀티 에이전트를 이용한 개인 코디네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KR101881939B1 (ko)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US20160042402A1 (en) Evaluating digital inventories
KR102223444B1 (ko) 개인 의류 코디 통합 서비스 시스템
US20140180873A1 (en) Shopping by virtual fitting
KR20200023970A (ko)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US20120246035A1 (en) Computer software program and fashion styling tool
US20130339191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cond-Hand Marketplace
JP7038880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KR20150052890A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US201900803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arel online shopping
KR100857178B1 (ko) 코디네이팅을 통한 상품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US10346901B1 (en) Computer generation of composite images
KR102044901B1 (ko) 피팅 상품에 대한 이미지 기반 구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US10600115B2 (en) Virtual store and social media integration
CA2942696C (en) Secondary market integration within existing data framework
KR20130038534A (ko)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시스템 및 그 판매방법
KR20190069353A (ko) 피팅룸과 연계한 구매자의 의류 피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시스템
KR101644172B1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102179916B1 (ko)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60195A (ko) 패션 아이템 콘텐츠 db구축을 통한 코디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디 기반의 scm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JP2021140312A (ja) リコメンドサポートシステム
KR20050114020A (ko) 가상착용서비스를 이용한 의류관련 상품 판매시스템 및 방법
US120086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20230260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nd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match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