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761B1 -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761B1
KR102044761B1 KR1020130104925A KR20130104925A KR102044761B1 KR 102044761 B1 KR102044761 B1 KR 102044761B1 KR 1020130104925 A KR1020130104925 A KR 1020130104925A KR 20130104925 A KR20130104925 A KR 20130104925A KR 102044761 B1 KR102044761 B1 KR 10204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measurement
based ser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286A (ko
Inventor
소경숙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7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확인한 후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가 있으면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위치정보를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제공함으로써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제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며,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요구 조건 중 측정 정확도나 측정 환경이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면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조건에 맞는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빈번한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중복적인 위치 측정을 최대한 없애도록 하여 사용자 장치에서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현재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적합한 위치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면 위치 측정을 재수행하지 않고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즉시 제공함으로써 위치정보의 제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사용자 장치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Wifi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측위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측위 기술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으며, 위치 기반 서비스는 측위 기술을 통해 파악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길 찾기, 주변의 음식점 위치, 대중 교통 검색과 같은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사용자 장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장치에 설치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점차 많아지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현재 위치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개별적으로 사용자 장치에 현재 위치의 측정을 요구하도록 되어 있어, 서비스로부터의 빈번한 위치정보 요청으로 인해 사용자 장치의 자원이 과다 소모되며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종래에는 개별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 시마다 사용자 장치의 GPS, Wifi와 같은 위치 측정 구성을 개별 제어하며 위치정보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위치 측정 구성의 오류 발생 가능성이 커지며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각 서비스들이 개별적으로 획득한 위치정보를 서비스 간에 서로 공유할 수 없어 위치정보 제공이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7395호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확인한 후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가 있으면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제공함으로써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제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 중 측정 정확도나 측정 환경이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면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빈번한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중복적인 위치 측정을 최대한 없애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에 대한 각각의 측정요건에 따른 위치 측정 지시를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서 적합한 위치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가 위치정보를 요청하면서 제시한 측정요건을 저장하는 측정요건 저장부;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요청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측정요건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및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측정요건이 포함된 위치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측정요건을 만족하는 기 저장된 측정요건이 측정요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측정요건에 연계되어 있는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부는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또는 위치정보 요청의 시간 간격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부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 중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는 측정 환경이 위치정보 저장 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측정 환경과 일치하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측정 환경이 일치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 중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는 측정 환경이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측정 환경과 일치하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측정 환경이 일치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 또는 위치 측정에 필요한 사용 자원량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에 따라 위치 측정을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주기적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측정요건 저장부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저장하며, 위치정보 제공부는 위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저장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와이파이(Wifi)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기지국의 셀(Cell)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위성(Satellite)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는 위도, 경도 및 측정 정확도, 측정 수단, 측정 환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은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가 위치정보를 요청하면서 제시한 측정 요건을 저장하는 측정요건 저장 단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가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요청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측정요건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 단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 단계; 및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측정요건이 포함된 위치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가 요청된 측정요건을 만족하는 기 저장된 측정요건이 측정요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측정요건에 연계되어 있는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단계는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또는 위치정보 요청의 시간 간격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단계는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 중 측정 정확도가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측정 정확도와 일치하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측정 정확도가 일치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에 따라 위치 측정을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주기적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측정요건 저장 단계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저장하며, 위치정보 제공 단계는 위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측정요건을 확인한 후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요구 조건에 맞는 위치정보가 있으면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제공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사용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 및 가용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요구 조건 중 측정 정확도나 측정 환경이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조건에 맞는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빈번한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중복적인 위치 측정을 최대한 없애도록 하여 사용자 장치에서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에 대한 각각의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요구 조건에 따른 위치 측정을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주기적으로 지시하고 그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서 적합한 위치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 시 빠른 응답 속도로 인한 사용자 체감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에서 기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에서 위치 재측정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에서 백그라운드 실행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요청(1, 2, 3, 4)되는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가능한 사용자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는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로부터 제공받은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길 찾기, 주변의 음식점 위치, 대중 교통 검색과 같은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요청되는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측정을 지시(6, 7, 8, 9)하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각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 위치 측정을 지시하며, 지시받은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의 측정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가 측정하는 측정 수단(예를 들어, Wifi)을 지정한 후 지시(7)하여 해당 위치 측정부(130: Wifi 기반 위치 측정부)만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측정 정확도나 실내 또는 실외와 같은 측정 환경과 같은 측정요건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 측정부만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요건에서 측정 환경이 실내로 지정된 경우에는 Wifi 기반 위치 측정부(130)나 Cell 기반 위치 측정부(140)가 동작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7, 8)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현재 위치에서 측정 가능한 위치 측정부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면서 현재 위치의 측정 시 확인되는 측정 정확도 또는 측정 환경과 같은 측정요건을 위치정보와 함께 획득한 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에 위치정보를 제공(5)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가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측정을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 지시(6, 7, 8, 9)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위치 측정에 대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100)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이미 측정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측정요건과 연계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이후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측정 요청(1, 2, 3, 4)에 대해서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 후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최근 측정된 위치정보 중에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요청되는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위치 측정을 요청하지 않고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 제공함으로써 위치 측정의 중복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종래의 사용자 장치는 위치 측정 지시부가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을 직접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위치정보를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각각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의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들의 위치정보 요청마다 위치 측정 지시부가 반복적으로 개별 위치 측정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위치 측정을 수행한 후 요청한 서비스로만 측정된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의 사용자 장치는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가 위치 측정 지시부를 통하지 않고 각 위치 측정부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의 사용자 장치는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위치정보의 요청이 많아지거나 위치 측정부에 대한 직접 제어가 잦아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현재 위치가 지속적으로 중복 측정되며 위치 측정부의 동작 제어가 빈번해져 위치정보의 제공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없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이미 측정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관리하고 있다가 최근 측정된 위치정보 중에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요청되는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위치 측정을 요청하지 않고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 제공함으로써 위치 측정의 중복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에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를 통해서만 위치정보를 요청(1, 2, 3, 4)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가 직접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빈번한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의 동작 제어에 따른 위치 측정의 오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측정요건 저장부(162)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가 위치정보를 요청하면서 제시한 측정요건을 저장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측정요건 저장부(162)에는 측정 오차 범위와 같은 현재 위치 측정에 대한 측정 정확도나 GPS, Wifi와 같은 현재 위치의 측정 수단 또는 실내, 실외로 구분되는 측정 환경과 같은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측정요건이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식별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저장부(164)에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가 이미 요청한 위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가 측정한 위치정보를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되어 있다.
이때,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저장부(164)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요청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요청 시에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가 제시한 측정요건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후,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는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부(163)로 요청(1)한다.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 부(163)는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이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부(163)는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위치 측정 지시부(110)에 해당 측정요건을 포함하는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한다.
위치정보 제공부(163)로부터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받은 위치 측정부 지시부(110)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 위치 측정을 지시(6, 7)한 후, 측정을 수행한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로 전달(5)한다.
예를 들어, 위치 측정부 지시부(110)는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획득한 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로 전달(5)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치 측정부 지시부(110)는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부터 측정 오차 범위와 같은 현재 위치 측정에 대한 측정 정확도나 GPS, Wifi와 같은 현재 위치의 측정 수단 또는 실내, 실외와 같은 측정 환경 중 하나 이상을 측정요건으로서 더 포함하여 위치정보와 함께 획득한 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로 전달(5)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Location API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부(163)는 Location API를 이용하여 구성한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하고,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받은 위치 측정 지시부(110)가 해당 요청의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 측정부를 선별한 후 선별된 위치 측정부를 통해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Location API로 구성된 위치 측정 지시부(110)를 통해 복수의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가 측정한 측정정보들을 해당 요청의 측정요건에 적합하도록 조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제공 부(163)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 측정부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기반 위치 측정부(120), 와이파이(Wifi)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Wifi 기반 위치 측정부(130), 기지국의 셀(Cell)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Cell 기반 위치 측정부(140), 위성(Satellite)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성 정보 기반 위치 측정부 (150)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부(163)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부터 수신된 요청의 응답으로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부터 전달된 위치정보를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제공한다.
또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부(163)는 요청된 측정요건을 만족하는 기 저장된 측정요건이 측정요건 저장부(162)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위치정보 저장부(164)에서 측정요건에 연계되어 있는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검색한 후 해당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부(163)는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또는 위치정보 요청의 시간 간격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부(1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요청하지 않고 위치정보 저장 부(164)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요청한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종래 사용자 장치에서의 위치 측정 방식은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가 개별적으로 위치 측정을 위한 동작을 제어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사용자 장치에서는 각각의 개별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들이 자신의 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에 따라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가 필요하면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GPS 또는 WiFi 모뎀을 켠 후, 예를 들어 Location API와 같은 사용자 장치의 플랫폼(Platform)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GPS, WiFi, Cell 또는 센서(Sensor)를 통해 위도, 경도, 측정 정확도(Accuracy)와 같은 위치정보를 획득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용자 장치는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들이 서비스 제공시 필요한 위치정보 획득을 위해 개별적으로 위치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위치 측정부의 빈번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사용자 장치는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들이 위치 측정부를 중복적으로 제어하거나 액세스 (access)하는 과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오류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획득한 위치정보를 서로 공유하지 않아 위치정보의 제공이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를 통해서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에 대한 각 개별 서비스(10, 20, 30, 40)의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류 발생이 매우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위치 측정 빈도와 같은 측정요건 및 상기 측정요건과 연계된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위치 측정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위치 측정 지시부(110: Location API)를 통해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하여 측정된 위치정보를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에 제공하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의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가 있으면 해당 위치정보를 즉시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제공하기 때문에 위치정보 제공의 효율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확인한 후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가 있으면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위치정보를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제공함으로써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되어 사용자 장치의 배터리 사용 및 가용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에서 동작하는 고유 프로세스 ID 또는 프로세스 이름과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저장부(161)를 더 포함하여 각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용이하게 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에서 기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에서 위치 재측정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혹은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30)에서의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또는 위치정보 요청의 시간 간격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2),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하지 않고 위치정보 저장부(163)에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3)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에서의 위치정보 요청(1)에 따라 위치정보를 제공(4)한 직후 곧바로 C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에서 위치정보 요청이 수신(8)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에 C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5)하지 않고 직전에 A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에 제공(4)했던 위치정보를 제공(9)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위치 측정부(120, 140)를 통한 위치 측정을 지시(6, 8)하지 않는다.
이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 중 측정 정확도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측정 정확도와 일치하면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하지 않고 위치정보 저장 부(164)에 이미 저장된 측정 정확도가 일치하는 위치정보를 제공(3)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에서 요청한 위치정보의 측정요건을 검사한 후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 정확도가 일치하는 최근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면(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에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5)하지 않고 측정 정확도가 일치하는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4)한다. 따라서,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위치 측정부(120, 140)를 통한 위치 측정을 지시(6, 8)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들의 측정요건에 따라 측정된 위치정보들을 저장하며 이후 개별 서비스들이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위치 측정을 하지 않고 먼저 저장된 위치정보 중 해당 요청의 측정요건을 만족하는 위치정보가 있는지 판단한 후 만족하는 위치정보가 있으면 별도의 측위없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요청한 개별 서비스로 즉시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GPS 또는 Wifi와 같은 위치 측정의 자원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시에 매우 빠른 체감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 중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는 측정 환경이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측정 환경과 일치하면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하지 않고 위치정보 저장부(163)에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에서 직전 요청(1)된 위치정보의 측정 환경이 실내이었고 바로 직후 C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에서 요청(8)되는 위치정보의 측정 환경이 실내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에 위치 측정 지시(6, 8)를 요청(5)하지 않고 측정 정확도가 일치하는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9)한다. 따라서, 위치 측정 지시부(110)는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위치 측정부(120, 130)를 통한 위치 측정을 지시(6, 8)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사용자 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량 또는 위치 측정에 필요한 사용 자원량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면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하지 않고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요구 조건 중 측정 정확도나 측정 환경이 기 저장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 저장된 위치정보 중 조건에 맞는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빈번한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중복적인 위치 측정을 최대한 없앨 수 있어 사용자 장치에서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B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20)에서 수신한 위치정보 요청(1)에 대해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을 만족하는 위치정보가 없다고 판단(2)되면 재측정(3)을 위해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위치 측정 지시(5)를 요청(4)한 후 위치 측정부(140)를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를 위치 측정 지시부(110)를 통해 전달(6)받아 B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20)로 제공(7, 8)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에서 백그라운드 실행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들의 측정요건을 취합한 후 취합된 측정요건에 따라 백그라운드로 동작(1)하면서 주기적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2)하여 측정된 위치정보를 저장(6)하고, 임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 40)가 위치정보를 요청(7, 8)할 때마다 즉시 최신의 위치정보를 제공(9)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로 위치 측정을 지시하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에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측정요건에 따른 위치 측정 지시(4, 5)를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주기적으로 요청(3)하는 주기적 실행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가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마다 요구되는 위치정보의 측정 정확도, 측정 빈도 또는 실내, 실외와 같은 측정환경 등의 옵션(측정요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면서 백그라운드에서 현재 위치를 측정 및 저장하고 개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30, 40)의 요청시마다 즉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측정요건 저장부(162)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저장하며,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의 위치정보 제공부(163)는 위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각각의 측정요건에 따른 위치 측정 지시를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서 적합한 위치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사용시 빠른 응답 속도로 인한 사용자 체감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에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가 위치정보를 요청하면서 제시한 위치정보 측정에 대한 측정요건을 저장(S10)한다.
또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에 위치 측정을 지시하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부터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가 측정한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저장(S20)한다.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부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S30)하면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의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S40, S50)한다.
이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위치 측정 지시부(110)에 측정요건에 해당하는 위치 측정 지시를 요청(S60)한다.
이후,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해당 요청의 응답으로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부터 전달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제공(S70, S80)한다.
또는,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되어 있으면 위치정보 저장부(164)에서 측정요건에 맞는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제공(S80)한다.
또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또는 위치정보 요청의 시간 간격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요청하지 않고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 제공(S80)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의 측정요건 중 측정 정확도가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측정 정확도와 일치하면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한 위치 측정 지시를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요청하지 않고 위치정보 저장부(164)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제공(S80)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위치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측정부(120, 130, 140, 150)에 위치 측정을 지시하는 위치 측정 지시부(110)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의 측정요건에 따른 위치 측정 지시를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16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 요청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요건을 저장한 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측정요건에 적합한 위치정보를 각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10, 20, 30, 40)로 각각 제공(S8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적합한 위치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면 위치 측정을 재수행하지 않고 저장된 위치정보를 요청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 즉시 제공함으로써 위치정보의 제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한 것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사용시 빠른 응답 속도로 인한 사용자 체감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위치 기반 서비스 분야, 위치 기반 정보 제공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20, 30, 40: 애플리케이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
100: 사용자 장치
110: 위치 측정 지시부 120: GPS 기반 위치 측정부
130: WiFi 기반 위치 측정부 140: Cell 기반 위치 측정부
150: 위성 정보 기반 위치 측정부 160: 위치정보 제공 관리장치
161: 서비스 정보 저장부 162: 측정요건 저장부
163: 위치정보 제공부 164: 위치정보 저장부
165: 주기적 실행부

Claims (13)

  1.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가 위치정보를 요청하면서 제시한 측정요건을 저장하는 측정요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의 요청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측정요건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측정요건이 포함된 위치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된 측정요건을 만족하는 기 저장된 측정요건이 상기 측정요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측정요건에 연계되어 있는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의 빈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의 시간 간격이 이미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 위치정보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04925A 2013-09-02 2013-09-02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4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25A KR102044761B1 (ko) 2013-09-02 2013-09-02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25A KR102044761B1 (ko) 2013-09-02 2013-09-02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86A KR20150026286A (ko) 2015-03-11
KR102044761B1 true KR102044761B1 (ko) 2019-11-14

Family

ID=5302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925A KR102044761B1 (ko) 2013-09-02 2013-09-02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167B1 (ko) * 2015-03-18 2021-09-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95B1 (ko) 2003-06-2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084478B1 (ko) * 2009-12-02 2011-11-21 주식회사 셀리지온 지피에스 이동 단말기의 연속 측위 기능을 이용한 음영지역에서의 네트워크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8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0121B (zh) 将具有服务质量的定位与无线设备事件相关联的装置和方法
EP31743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signal coverage mapping
US9332453B2 (en) WWAN almanac integrity monitoring system
US20150141037A1 (en) Improving scalability and reliability of hardware geo-fencing with failover support
CN103634900A (zh) 定位移动终端的方法和移动终端
JP6470247B2 (ja) セル識別子情報を利用して移動端末の設定を変更する位置基盤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10201358A1 (en) Determining application usage relative to a particular location
US9002348B2 (en) Utilizing devices nearby
US90205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uploading of location data for location based services
CN107771408B (zh) 移动终端及其定位方法
KR10246197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
US11412348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location coordinates obtained from mobile devices
KR101699972B1 (ko) 이동 단말기, 인터넷 제어서버 및 무선인터넷 존 안내 방법
KR102044761B1 (ko)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80288561A1 (en) Supporting an update of radio map data
JP2018066638A (ja) 位置情報特定装置
JP2016072887A (ja) 位置情報管理装置、位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66907A (ja) 端末装置、位置取得方法、及び、位置取得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1185891A (ja) 移動端末および移動端末の測位方法
US20210204095A1 (en) Managing sensor and/or actuator devices
US11399256B2 (en) Storage size based offloading of geofence processing
JP6181440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管理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088117A (ja) 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及び測位プログラム
JP2017175486A (ja) 位置情報通知機能を有する無線子機
JP2004254229A (ja) 位置特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