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412B1 -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 Google Patents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412B1
KR102044412B1 KR1020180095230A KR20180095230A KR102044412B1 KR 102044412 B1 KR102044412 B1 KR 102044412B1 KR 1020180095230 A KR1020180095230 A KR 1020180095230A KR 20180095230 A KR20180095230 A KR 20180095230A KR 102044412 B1 KR102044412 B1 KR 10204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cb
terminal
winding module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범석
송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8009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CB contact terminal for an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In particular, a contact terminal having an elastic force in the narrow space of a winding module is provided to easily perform tolerance management while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during rotation. The PCB contact terminal includes a contact terminal part, a terminal combination plate and a scratch preventing part.

Description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용 피씨비 접촉단자{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PCB contact terminal for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본 발명은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용 피씨비 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모듈의 좁은 공간내에 탄성력을 갖는 접촉단자가 구비되도록 하여 공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회전시 접촉단자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CB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during rotation to facilitate the tolerance management by providing a contact terminal having an elastic force in a narrow space of the winding module. Would have been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때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어폰은 음향이 출력되는 이어폰 출력부, 이어폰 출력부와 기기를 연결하여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 출력을 이어폰 출력부에 공급하여 음향을 발생시켜는 이어폰 와이어로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when watching a video or listening to music using a portable media device, the earphones are connected to the device so as not to be in any place, and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output unit and the earphone output unit that output sound. It is provided as an earphone wire for generating a sound by supplying a signal output generated from the earphone output.

이어폰 와이어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길이에 여분을 갖도록 제조되어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여분의 길이로 인하여 이어폰 와이어가 엉키거나 꼬이게 됨으로써, 사용시 꼬인 상태로 있는 이어폰 와이어를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 earphone wire is manufactured to have extra length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inconvenience in using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not used, the earphone wire is tangled or twisted due to the extra length. There was discomfor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패 형태를 갖는 별도 보조구를 구비하여 이어폰 와이어를 감아 길이를 줄이거나, 보조구에 감긴 이어폰 와이어를 풀어 길이를 늘려 사용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auxiliary tool having a failure shape is provided to reduce the length by winding the earphone wire, or by unwinding the earphone wire wound on the auxiliary tool to increase the length.

보조구를 이용하여 이어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적당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조구에 이어폰 와이어를 여러 번 감아야 하고, 반대로 이어폰 와이어를 이용할 때에는 보조구에 감긴 이어폰 와이어를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arphone wire by using the assisting tool has to wind up the earphone wire several times on the auxiliary tool so that the proper length can be maintained. On the contrary, when using the earphone wire, the earphone wire wound on the assisting tool is inconvenient. There was thi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조구에 감겨진 이어폰 와이어를 원하는 길이만큼 당기면 이어폰 와이어가 원하는 길이만큼 보조구로부터 풀려 길이가 늘어나고, 스위치를 누르면 풀려진 이어폰 와이어가 보조구에 역으로 감길 수 있는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이 제안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if the earphone wire wound on the assisting tool is pulled to the desired length, the earphone wire is released from the assisting tool to the desired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earphone is released. An automatic winding winding modul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음성 와이어를 인출시키거나, 인출된 음성 와이어를 다시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의 내부로 감아 넣는 과정에서 톱니와 맞물리는 스위치가 부딪힘으로써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utomatic winding unit has a problem in that noise is generated by pulling a voice wire or hitting a switch engaged with the tooth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drawn voice wire back into the automatic winding unit.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471903호(2014.12.05)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넥밴드 리시버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바닥을 바라보고 있을 때만 중력에 의한 볼의 이동으로 와이어를 한번 당기면 멈추고, 한번 더 와이어를 당기면 풀려진 와이어가 되 감기도록 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 self-winding device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71903 (2014.12.05) has been proposed, but the neckband receiver is moved by the ball by gravity only when the neckband receiver is 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Pulling the wire once stops, and pulling the wire once more causes in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causing the unwound wire to rewind.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83604호(2017.09.26)의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이 제안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a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having a function of improving abrasion resistance of a rotating shaft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83604 (September 26, 2017) has been proposed to be used for a long time.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접촉단자가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접촉단자가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Figur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6 is a contact terminal coupling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a bottom view which shows the state joined to the plate.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은 미도시한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과 메인 베이스 상부 하우징의 내부로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300) 및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피씨비 접촉단자(320)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300 and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300 to the inside of the main base lower housing and the main base upper housing. 320 is provided.

미도시한 메인 베이스 권선 하우징과 같이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3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피씨비 접촉단자(320)에 유동이 발생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피씨비 패턴에 피씨비 접촉단자(320)가 접촉되지 못함에 따라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main base winding housing is not shown, a flow was generated in the PCB contact terminal 320 while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300 was rotated, and due to this reason, the PCB contact contacted with the PCB pattern provided on the PCB substrate There wa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ccurs because the terminal 320 is not in contact.

또한,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된 피씨비 접촉단자(320)가 양측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간활용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전원만 통전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기능만 제공될 뿐 다양한 기능을 더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CB contact terminals 320 provided in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30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a simple function of allowing the power supp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lower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Only provid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features.

그리고 피씨비 접촉단자(320)의 형태가 일측은 넓게 형성되어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맞대어져 고정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와 조립 및 사용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거나, 변형으로 인하여 접촉이 불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the shape of the PCB contact terminal 320 is one side is formed to be wide and has a form that can be fixed against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300, the other side is bent in a form that branches to both sides in a stat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formation occurs during manufacture, assembly, and use, or there is a problem that contact is unstable due to deform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1783604호(2017.09.2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83604 (2017.09.26)

본 발명은 이어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겨지는 과정에서 항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공간활용율을 높이는 가운데 다양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간단한 나선형태를 갖도록 하여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contact is always made in the process of unwinding or winding the earphone wir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ccurs to further extend the life, and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additionally It is to be 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to have a simple spiral shap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and assembly can be made to prevent deformation from occurring.

본 발명은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M)에 내장된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된 접촉단자부(310)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단자부(310)는 상부가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맞대어져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 탄성력을 갖는 단자편(311)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uch that the contact terminal 310 provided in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is in contact with the pattern 210 of the PCB substrate 200 embedded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M, and the contact terminal 3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iece 311 having an elastic force provided so as to be energized against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또한, 상기 단자편(311)은 원형, 타원형 및 각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나선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piece 311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ross section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square, and is formed to have a spiral shape.

또한, 상기 단자편(311)은 나선 원뿔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piece 3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spiral cone shape.

또한, 상기 단자편(311)은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접촉되는 부분에 스크래치 방지부(3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piece 31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atch prevention portion 312 is form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attern 210 of the PCB substrate 200.

또한, 상기 스크래치 방지부(312)는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근접된 부분에 단자편(311)의 단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 포인트(3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atch prevention part 3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oint 313 is bent at an end of the terminal piece 31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portion close to the pattern 210 of the PCB 200. .

또한, 상기 스크래치 방지부(312)는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근접되는 부분으로 위치된 단자편(311)의 단부에 링형태 또는 구형태를 갖는 단부 포인트(3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atch prevention part 312 has an end point 314 having a ring shape or a spherical shap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iece 311 positioned as a portion proximate the pattern 210 of the PCB 200. It features.

그리고 상기 단자편(311)은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 갯수에 대응되도록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되어 회로적으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piece 311 is provided on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tterns 210 of the PCB 200, so that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the circuit.

본 발명은 권선모듈의 좁은 공간내에 탄성력을 갖는 접촉단자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공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terminal having an elastic force in a narrow space of the winding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lerance management can be made easily.

또한, 이를 통해 이어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겨지는 과정에서 접촉단자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unwinding or winding the earphone wire.

또한, 이를 통해 이어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earphone through this.

또한, 이를 통해 이어폰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명 연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to use the earphone for a long time.

또한, 이를 통해 공간 활용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is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또한, 이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in a narrow space.

그리고 이를 통해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effects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피씨비 접촉단자가 단자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피씨비 접촉단자가 결합된 단자결합 플레이트가 권선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피씨비 접촉단자가 단자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접촉단자가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접촉단자가 접촉단자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having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contact terminal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provided with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coupling plate coupled with a PCB contact terminal is inserted into a winding housing in a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having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contact terminal of another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provided with the PC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우선 본 발명은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용 피씨비 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되는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M)은 도1을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100), 피씨비 기판(200), 접촉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 미들 베이스 권선 하우징(400), 롤링 탄성부재(500), 캡(700), 메인 베이스 상부 하우징(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CB contact terminal for a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M) provided with a PCB contact terminal may include a main base lower housing (100), a PCB substrate (200), and a contact.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the middle base winding housing 400, the rolling elastic member 500, the cap 700, and the main base upper housing 9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상기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100)은 걸림 체결홈(111)을 갖는 고정축(110)이 일측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base lower housing 100 has a fixed shaft 110 having a locking fasten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one side.

상기 피씨비 기판(200)은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되며,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100)과 접촉되는 면의 타측면에 피씨비 패턴(210)이 형성되어 있다.The PCB 2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ase lower housing 100, and the center part is perforated to allow the fixed shaft 110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and to be coupled to the main base lower housing 100. The PCB pattern 2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상기 접촉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는 일측면에 본 발명의 피씨비 접촉단자(310)가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되게 형성되고, 결합시 상기 피씨비 접촉단자(310)가 상기 피씨비 기판(200)의 피씨비 패턴(210)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contact terminal coupling plate 300 is formed such that the PCB contact terminal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side to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coupling, the PCB contact terminal 310 is provided to contact the PCB pattern 210 of the PCB substrate 200.

상기 미들 베이스 권선 하우징(400)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덮개형으로 구비되는 서브 베이스 하부 하우징(410)과, 외주연에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의 권선보빈(420) 및 서브 베이스 하부 하우징(410)이 개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타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비된 서브 베이스 상부 하우징(430)이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middle base winding housing 400 has a sub-base lower housing 410 provided in a cylindrical cover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cylindrical winding bobbin 420 and a sub-base lower housing provided so that a wire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 sub base upper housing 430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other side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direction 410 is provided.

상기 롤링 탄성부재(500)는 서브 베이스 상부 하우징(430)의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미들 베이스 권선 하우징(400)에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rolling elastic member 500 is accommodated in the sub-base upper housing 430 and is provide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middle base winding housing 400.

상기 캡(700)은 일측이 서브 베이스 상부 하우징(430)의 개구부를 덮으며, 서브 베이스 상부 하우징(430)과 결합 가능하도록 덮개형으로 구비되어 있다.One side of the cap 700 covers an opening of the sub base upper housing 430, and is provided in a lid shape to be coupled to the sub base upper housing 430.

상기메인 베이스 상부 하우징(900)은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100)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메인 베이스 하부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700)의 일측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main base upper housing 90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main base lower housing 100 so as to cover the whole of one side of the cap 700 in the process of being combined with the main base lower housing 100.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을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 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having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M)에 내장된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된 접촉단자부(310)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The contact terminal 310 provided in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is in contact with the pattern 210 of the PCB substrate 200 embedded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M,

상기 접촉단자부(310)는 상부가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맞대어져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 탄성력을 갖는 단자편(311)으로 구비된다.The contact terminal portion 31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iece 311 having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against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so as to enable electricity.

도2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2,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피씨비 접촉단자가 단자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contact terminal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provided with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자편(311)은 원형, 타원형 및 각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piece 311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elliptical, and rectangular cross sections.

이러한 상기 단자편(311)은 나선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piece 311 is formed to have a spiral shape.

이는 나선형태를 가짐에 따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일정한 탄성력이 항상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contact so that a constant elastic force can be always applied to the axially acting load as it has a spiral shape.

상기 단자편(311)은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접촉되는 부분에 스크래치 방지부(312)가 형성되어 회전 과정에서 패턴(210)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접촉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The terminal piece 311 has a scratch prevention portion 312 is formed in a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ttern 210 of the PCB substrate 200 to prevent the scratch to occur in the pattern 210 during the rotation process to extend the life The contact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ontact.

이러한 상기 스크래치 방지부(312)는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근접된 부분에 단자편(311)의 단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 포인트(3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곡 포인트(313)가 패턴(21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 scratch prevention part 312 has a bending point 313 formed by bending an end of the terminal piece 311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portion proximate to the pattern 210 of the PCB 200. The state in which 313 contacts the pattern 210 can be maintained.

도3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3,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피씨비 접촉단자가 결합된 단자결합 플레이트가 권선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coupling plate coupled with a PCB contact terminal is inserted into a winding housing in a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having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자편(311)은 나선 원뿔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piece 311 is formed to have a spiral cone shape.

이는 단자편(311)이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의하여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terminal piece 311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도4를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 4,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피씨비 접촉단자가 단자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contact terminal of another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late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having a PCB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스크래치 방지부(312)가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근접된 부분에 단자편(311)의 단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 포인트(313)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근접되는 부분으로 위치된 단자편(311)의 단부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형태 또는 구형태를 갖는 단부 포인트(31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tch prevention portion 312 is to be made of a bending point 313, the end of the terminal piece 311 is bent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portion close to the pattern 210 of the PCB 200, this In addition to the shape, an end point 314 having a ring shape or a 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4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iece 311 positioned as a portion adjacent to the pattern 210 of the PCB 200. Can be.

이러한 경우, 별도로 절곡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it in the state which does not bend separately.

본 발명에서 상기 단자편(311)은 4개를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 갯수에 대응되도록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terminal pieces 311 are taken as an example, but in addition to such a shape, the terminal pieces 311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tterns 210 of the PCB 200.

이러한 경우 회로적으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도록 구비하여 공간활용율을 높이는 가운데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various functions can be added to the circuit to increase efficiency while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200:피씨비 기판
210:패턴
300:단자 결합 플레이트
310:접촉단자부
311:단자편
312:스크래치 방지부
313:절곡 포인트
200: PC board
210: Pattern
300: terminal coupling plate
310: contact terminal part
311: Terminal
312: scratch prevention part
313: bending point

Claims (4)

피씨비 접촉단자가 구비된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M)에 있어서,
내장된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된 접촉단자부(310)가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단자부(310)는 상부가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맞대어져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에 근접된 부분에 단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 포인트(313)를 형성하여 회전 과정에서 패턴(210)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크래치 방지부(312)를 형성하고,
탄성력을 갖는 나선 원뿔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단자편(311)이 피씨비 기판(200)의 패턴(210) 갯수에 대응되도록 단자 결합 플레이트(300)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용 피씨비 접촉단자.





In the wire automatic winding module (M) provided with a PCB contact terminal,
The contact terminal 310 provided in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is in contact with the pattern 210 of the embedded PCB 200,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310 is configured to be energized by the upper portion against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Scratch prevention to prevent the scratches generated in the pattern 210 in the rotation process by forming a bending point 313, the end of which is ben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pattern 210 of the PCB 200 Forming a portion 312,
A terminal piece 311 formed to have a spiral cone shape having elastic force is provided on the terminal coupling plate 3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tterns 210 of the PCB 20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95230A 2018-08-16 2018-08-16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KR102044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30A KR102044412B1 (en) 2018-08-16 2018-08-16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30A KR102044412B1 (en) 2018-08-16 2018-08-16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412B1 true KR102044412B1 (en) 2019-11-14

Family

ID=6857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30A KR102044412B1 (en) 2018-08-16 2018-08-16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41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1893A (en) * 2015-11-13 2017-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ressure contact connector
KR101744166B1 (en) * 2016-02-22 2017-06-08 (주)썬텔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for a line
KR101783604B1 (en) 2016-08-31 2017-10-10 주식회사 블루콤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using in Electrical Applian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1893A (en) * 2015-11-13 2017-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ressure contact connector
KR101744166B1 (en) * 2016-02-22 2017-06-08 (주)썬텔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for a line
KR101783604B1 (en) 2016-08-31 2017-10-10 주식회사 블루콤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using in Electrical Appli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138B2 (en)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JP3097567U (en) USB cable with cable winding mechanism
US6416355B1 (en) Wire-winding box having multiple transmission function
US6937725B2 (en) Short wire length wire-winding box
US6439491B1 (en) Wire winding box
US6199674B1 (en) Structure of a wire winding box
KR101752771B1 (en) Automatic winding earphone wire
US9060225B2 (en) Wireless earphone
US6848802B2 (en) Computer light with extensible electric conductive wire
US10899577B2 (en) Automatic winding device
KR101748174B1 (en) Automatic winding device
US6497378B1 (en) Wire-winding mechanism having dual wire outlets
KR101321008B1 (en) Earphone built-in portable terminal case
KR101744166B1 (en)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for a line
KR102044412B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tact terminal for automatic wire winding module
US6415898B1 (en) Winding box with an auxiliary receptacle
US6374970B1 (en) Communication wire device having a wire-winding mechanism
US8059854B2 (en) Earphone
US20020170999A1 (en) Wire-winding box capable of unidirectionally winding wire
KR101783604B1 (en)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using in Electrical Appliances
KR200423708Y1 (en) Winding Device of Microphone
KR101783626B1 (en) Button Type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using in Electrical Appliances
US6452821B1 (en) Voltage-transforming device having a wire-winding mechanism
KR102139479B1 (en) Automatic winding device
JP2005080423A (en) Small motor to which lead wire is bon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