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987B1 -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 Google Patents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987B1
KR102043987B1 KR1020190045609A KR20190045609A KR102043987B1 KR 102043987 B1 KR102043987 B1 KR 102043987B1 KR 1020190045609 A KR1020190045609 A KR 1020190045609A KR 20190045609 A KR20190045609 A KR 20190045609A KR 102043987 B1 KR102043987 B1 KR 10204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ne
lines
virtu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2539A (en
Inventor
양준모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9004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98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패턴은 가상의 제1 기준선과 가상의 제2 기준선이 겹쳐진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반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센서라인의 접점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지 않게 분포됨으로써 이물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이물감 발생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include a sensor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wherein the sensor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in which a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and a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overlap. As it is formed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the occurrence of moiré phenomenon is prevented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sensor line is not concentrated in any area, there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s, and thus the visibility of the foreign matters is generated. The fall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using the same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패턴이 비정형으로 형성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and a touch screen panel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in which a pattern for forming the touch sensor is irregularly shaped and a touch screen panel using the same.

터치스크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표시장치 위에 부가되거나 표시장치 내에 내장 설계되는 입력장치로서,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근래 휴대전화(Mobile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많이 장착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내비게이션 장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터치입력 지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테스크탑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V), 최첨단 전투기, 탱크, 장갑차 등 많은 산업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is an input device added to or embedded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or the like. As an object, when an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touch pe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creen, the device recognizes it as an input signal. Such touch screen panels are recently installed i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smart phones. In addition, navigation devices, netbooks, laptops, and digital information devices (DIDs) are used. It is used in many industries such as desktop computers using touch input operating systems, IPTV (Internet Protocol TV), high-tech fighters, tanks and armored vehicles.

터치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정전용량식, 압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저항막식,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적외선이 차단되는지 여부로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감지식 등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정전용량식이고, 본 발명도 이러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touch screen panel senses capacitance change to detect the input signal, capacitive type detects the change in resistance value by pressure, resistive type recognizes the input signal, and infrared rays are blocked by using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receiving device. There is an infrared sensing type for recognizing an input signal, and the most commonly used type is a capacitive type, 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such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ensor config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은 2장의 터치 센서가 합지되거나 1장의 기판 양면에 터치 센서가 형성됨으로써 구성되고,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선 패턴으로 형성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오는 빛을 투과시켜야 하므로, 도선 패턴은 그물망과 같은 메쉬 패턴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메쉬 패턴은 일정한 간격으로 얇은 도선이 반복 형성된 형태이므로, 2장의 터치 센서가 겹쳐졌을 때 모아레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is composed of two touch sensors laminated or a touch sensor formed on both sides of a substrate, and the touch sensor is formed in a conductive pattern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Since light must be transmitted, the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into a mesh pattern like a mesh. However, since the mesh pattern is a form in which thin conductors are repeated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moiré phenomenon occurs when two touch sensors overlap.

위와 같은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에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moire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a touch screen panel having a conventional atypical sensor patter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a touch screen panel having a conventional atypical sensor pattern in FIG. 1.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비정형 센서 패턴(1)에 의해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과도한 비정형성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한 곳(a영역)에서는 센서 패턴이 밀집되고, 어느 한 곳(a`영역)에서는 센서 패턴이 밀집되지 않는다. A touch screen panel having a conventional atypical sensor pattern may prevent moiré phenomena by the atypical sensor pattern 1 as shown in FIG. The sensor pattern is dense in the a region), and the sensor pattern is not dense in any one region (a 'region).

이로 인해 센서 패턴이 밀집된 a영역에서 이물감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센서 패턴이 밀집되지 않은 a`영역에 의해 이물감이 더욱 증대된다. 이로써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s a result, a foreign matter is generated in a region where the sensor pattern is dense, and the foreign matter is further increased by a a region where the sensor pattern is not relatively dense.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visibility is lowered.

즉,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정형화된 센서 패턴에 의해 발생하는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는 하나, 과도한 비정형화에 의해 센서 패턴이 밀집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이물감이 발생됨과 동시에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touch screen panel having the conventional atypical sensor pattern prevents moiré phenomenon caused by the atypical sensor pattern, but the sensor pattern is inevitably concentrated due to excessive atypical deformation, resulting in a sense of foreig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visibility is reduced.

KR 10-2015-0143987 A (2015.12.24.)KR 10-2015-0143987 A (2015.12.2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이물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oiré phenomenon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s touch sensor that can ensure good visibility and a touch screen using the same To provide a panel.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패턴은 가상의 제1 기준선과 가상의 제2 기준선이 겹쳐진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반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이 만나는 복수의 접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에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and the sensor patterns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in which the first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virtual reference line overlap each other. It is formed based on a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including a cell,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re atypical lines that change directions within a preset range with reference to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nes The sensor line is an atypical line that changes direction within a preset range with reference to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meet are the plurality of units. It provides a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distributedly arranged in the cell.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패턴은 가상의 제1 기준선과 가상의 제2 기준선이 겹쳐진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반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이 만나는 복수의 접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에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2장이 합지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ensor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the sensor pattern is a plurality of units overlapping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It is formed based on a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including a cell,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re atypical lines that change directions within a preset range with reference to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nes The sensor line is an atypical line that changes direction within a preset range with reference to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meet are the plurality of units. Provided is a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a panel in which two touch sensors are laminated in a cel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터치스크린 패널은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센서라인의 접점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지 않게 분포됨으로써 이물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이물감 발생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moiré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point of the sensor line is not concentrated in any one area can minimize th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s As a result, the visibilit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due to th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

도 1은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touch screen panel having a conventional atypical sensor patter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lan views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laminated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터치스크린 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i)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ii)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제1 센서라인과 복수의 접점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패턴을 이루는 채널을 복수 개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은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또는 임의의 경사 방향 등으로 된 특정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The touch sensor includes a mesh including (i)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ii)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a plurality of contacts. It includes a plurality of channels forming a pattern. Here,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may be set to a specific direction such as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or an arbitrary inclination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판(10),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채널(20), 채널(20)을 외부회로와 연결하는 배선 패턴(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채널(20)의 일단에 저항측정단자(40), 방전단자(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3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 a plurality of channels 20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wiring pattern 30 connecting the channels 20 to an external circuit, and includes one end of the channel 20. The resistance measuring terminal 40 and the discharge terminal 50 may be further formed.

기판(10)은 채널(20) 및 배선 패턴(30)이 형성되는 기재의 한 영역으로서,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 소재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판(10)은 투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투명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imede), 아크릴(Acry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글래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10 is a region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channel 20 and the wiring pattern 30 are formed,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of materials such as a transparent film, a glass substrate, and a plastic substrate. In particular, the substrate 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film. The transparent film may be formed using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imide (PI), acrylic (acryl),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glass (glass). Can be.

채널(20)은 기판(10)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채널(20)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22)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24)이 교차하는 형태로 메쉬 패턴을 이룬다. 이때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은 다수 개의 단위라인(22a, 24a)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비정형 라인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20)은 복수의 제1 센서라인(22)과 복수의 제2 센서라인(24)이 서로 교차함으로써 형성되고, 이로 인해 채널(20)에는 4개의 꼭짓점{이하에서 설명될 접점(25)과 동일하다}을 갖는 셀(26)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channels 2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 to sense a user's touch signal. As shown in FIG. 3, one channel 20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 mesh pattern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cross-section 2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2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are formed as an atypical line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lines 22a and 24a are continuously connected. The channe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22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24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thus four channels of the channel 20 will be described below. A cell 26 having the same contact point 25} is form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로서, 도 4에는 접점(25)과 접점(25) 사이의 센서라인이 직선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접점(25)과 접점(25) 사이의 센서라인이 곡선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4 and 5 are plan views of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nsor line between the contact 25 and the contact 25 is a straight line, and in FIG. 5, the contact 25 and the contact point are illustrated in FIG. 5. The case where the sensor line between 25 is curved is shown.

아래에서는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이 생성되는 패턴의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기준선과 복수의 제2 기준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점선)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 센서라인(22, 24)의 기준선으로서, 본 발명의 직접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은 다수 개의 단위 셀들로 이루어지는데, 단위 셀은 직사각형(直四角形) 형태로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직사각형은 네 각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을 의미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위 셀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500㎛으로 이루어지는 정사각형을 기준으로 한다. Hereinafter, a condition of a pattern in which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are generated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s (dotted lines)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reference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reference lines are formed, which are first and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baseline of the sensor lines 22, 24, it is not a direc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wherein the unit cells have a rectangular shape. For reference, a rectangle means a rectangle in which all four corners are right angles. And the unit cell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based on a square consisting of 500㎛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respectively.

예컨대, 제1 기준선은 가로 기준선이 될 수 있고, 제2 기준선은 세로 기준선이 될 수 있다.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은 상호 수직할 수 있고, 제1 기준선 및 제2 기준선이 교차하는 사잇각은 예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제1 기준선 또는 제2 기준선은 기 설정된 경사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line may be a horizontal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may be a vertical reference line.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ng angl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may be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The first reference line or the second reference line may be set in a preset tilt direc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채널(20)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과 중첩할 경우, 제1 센서라인(22)은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제1 기준선(H)을 중심으로 ±30% 이하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다. 제2 센서라인(24) 역시 마찬가지로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제2 기준선(A)을 중심으로 ±30% 이하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위 셀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500㎛인 점을 감안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센서라인(22)은 가로 기준선(H)을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1-1 기준선 또는 제1 가로 기준선(H1)과 아래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1-2 기준선 또는 제2 가로 기준선(H2) 사이에서 가변된다. 같은 원리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2 센서라인(24)은 세로 기준선(A)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2-1 기준선 또는 제1 세로 기준선(A1)과 오른쪽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2-2 기준선 또는 제2 세로 기준선(A2) 사이에서 가변된다. 결국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이 가변될 수 있는 폭은 총 60%이다. First, in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nel 20 overlaps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the first sensor line 22 is ± 30% around the first reference line H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It varies within the range of the following width. Similarly,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varied within a range of ± 30% or less about the second reference line A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that the length of the unit cell has a length of 500 μm, as shown in FIG. 4, the first sensor line 22 is based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The first reference line or the first horizontal reference line H1 moved 150 μm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reference line or the second horizontal reference line H2 moved 150 μm in the downward direction are varied. In the same principle, as illustrated in FIG. 4, one second sensor line 24 may correspond to the 2-1 reference line or the first vertical reference line A1 which is moved 150 μm in the left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reference line A. It is variable between the 2-2nd reference line or the 2nd vertical reference line A2 which moved 150 micrometers to the right direction. As a result, the width in which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are variable is 60% in total.

또한,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은 ±30% 기준 폭을 형성하는 선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기준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가령, 제1 센서라인(22)은 제1 가로 기준선(H1) 또는 제2 가로 기준선(H2)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되고, 제2 센서라인(24)은 제1 세로 기준선(A1) 또는 제2 세로 기준선(A2)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된다. 참고적으로 제1 센서라인(22) 또는 제2 센서라인(24)의 방향이 전환된다는 의미는, 각 센서라인(22, 24)이 대응되는 기준선(A, H)과 이루는 사잇각이 +에서 - 또는 -에서 +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사잇각의 +, - 기준은 정하기에 따라 다르다. 가령 제1 센서라인(22)의 경우 가로 기준선(H)과의 사잇각이 가로 기준선(H)의 위로 형성될 경우를 +로 정한다면, 가로 기준선(H)의 아래로 형성되는 경우는 -이다. 또한, 제1 센서라인(22)과 가로 기준선(H)이 만나지 않는 경우에는 임의적으로 제1 센서라인(22)을 연장하여 가로 기준선(H)과 만나도록 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meet a line forming a ± 30% reference width, the direction of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changed so as not to exceed the reference width.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line 22 meets the first horizontal reference line H1 or the second horizontal reference line H2, its direction is changed,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reference line A1 or When it encounters the second vertical reference line A2, its direction is switched. For refer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ensor line 22 or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switched means that the angle between each sensor line 22 and 24 wit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lines A and H is + to −. Or-from + to {means the +,-criterion of the angle depends on the sett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sensor line 22, if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is formed above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is determined as +, the case where the first sensor line 22 is formed below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is −. In addition, when the first sensor line 22 does not meet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the first sensor line 22 may be arbitrarily extended to meet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앞서 살펴본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과 같이 과도한 비정형 센서 패턴을 갖는 경우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의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물감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의 변동폭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중심으로 60%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의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접점(25)이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이물감 발생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having an excessive atypical sensor pattern, such as the conventional atypical sensor pattern described above, the contact 25 of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may be concentrated in one region, thereby causing a sense of foreign matter. May be induced. However, in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limited to 60% or less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are limited. The contact 25 of the two sensor lines 24 is not concentrated in any one region. Therefore, since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ntact 25 from being dense, the foreign matter can be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the visibility from being lowered due to the foreign matter.

그리고 채널(20)의 셀(26) 하나의 면적은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단위 셀 면적보다 ±20%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채널(20)의 셀(26) 하나의 면적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셀 하나의 면적에 대비하여 80~120%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셀의 80%보다 작은 면적의 셀(26)과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셀의 120%보다 큰 면적의 셀(26)이 인접하는 경우 이는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될 수 있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면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셀(26) 하나의 면적은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 내 인접하는 4개의 접점이 이루는 각형의 단위 기준 패턴의 면적을 기준으로 -20% 내지 20%의 변동폭을 갖음으로써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of one cell 26 of the channel 20 may be ± 20% higher than the unit cell area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That is, an area of one cell 26 of the channel 20 may have an area of 80 to 120% of the area of one cell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For example, if the cell 26 of an area smaller than 80% of the cells of the hypothetical reference mesh pattern and the cell 26 of an area larger than 120% of the cells of the hypothetical reference mesh pattern are adjacent, the contact 25 It can act as a motivation to be dense in either area. In this way, when the contact point 25 is concentrated in one area, a foreign object may occur. The area of one cell 26 is based on the area of the rectangular unit reference pattern formed by four adjacent points in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By having a fluctuation range of 20% to 20%, the contact 2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in any one region.

그리고 복수의 접점(25) 중 연속하는 5개의 접점(25)을 잇는 복수의 제1 또는 제2 센서라인(22, 24)은 직선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의 접점(25)과 연결되는 3개의 제1 단위라인(22a) 또는 3개의 제2 단위라인(24a)까지만 연속적인 직선이 허용되고, 제1 센서라인(22)의 제1 단위라인(22a) 또는 제2 센서라인(24)의 제2 단위라인(24a)은 동일한 방향, 동일한 각도로 4회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만약 4개 이상의 제1 단위라인(22a) 또는 4개 이상의 제2 단위라인(24a)이 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모아레 현상을 유발하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or second sensor lines 22 and 24 connecting the five consecutive contacts 25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s 25 may not be a straight line. That is, continuous straight lines are allowed only up to three first unit lines 22a or three second unit lines 24a connected to the four contacts 25, and the first unit line of the first sensor line 22 is allowed. The second unit line 24a of the 22a or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not repeated four or more times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angle. If four or more first unit lines 22a or four or more second unit lines 24a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y may act as a motive for inducing moiré phenomen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널(20)은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의 선의 폭이 20㎛ 이하에서 형성(가공성 및 전기전도성을 고려하여 최소 1㎛ 이상)되고, 하나의 단위라인(22a, 24a)의 길이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한 셀을 이루는 단위 선분 길이(500㎛)의 1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단위라인(22a, 24a)이 최대 75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참고적으로 시인성에 최적화된 단위라인(22a, 24a)의 길이는 500㎛이다}. 이는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의 선폭이 20㎛를 초과하여 형성되거나 단위라인(22a, 24a)의 길이가 750㎛를 초과하여 형성된다면 접점(25)이 밀집되어 구성될 염려가 있고, 이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hanne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width of 20 μm or less (first at least 1 μm in consideration of processabil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lines of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The length of the unit lines 22a and 24a may be 15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unit line segment (500 μm) constituting one cell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unit line 22a, 24a is formed at a maximum of 750 μm or less (for reference, the length of the unit line 22a, 24a optimized for visibility is 500 μm). . This is to prevent visibility from falling, and the line width of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is formed to exceed 20 μm or the length of the unit lines 22a and 24a exceeds 750 μm. If formed, there is a fear that the contact 25 is configured to be dense, which may lower the visibility.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이 비정형의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단위라인(22a, 24a)의 각도는 30°이하로 형성된다. 즉, 제1 단위라인(22a)의 경우에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제1 기준선 또는 가로 기준선(H)에 대해 그 사잇각이 30°이하로 형성되고, 제2 단위라인(24a)의 경우에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제2 기준선 또는 세로 기준선(A)에 대해 그 사잇각이 30°이하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have an irregular linear shape, the angles of the unit lines 22a and 24a are formed to be 30 ° or less.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unit line 22a, the angl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or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is formed to be 30 ° or less,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unit line 24a,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line or the vertical reference line A of the reference mesh pattern of is less than 3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위에서 기재한 각 규칙들이 적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nsor line 22 and the second sensor line 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curve as shown in Figure 5, in this case, the rule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평면도로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터치 센서 2장을 합지시켜 하나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2장이 합지되면 수율 및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내성율이 향상되는데 아래 표를 통해 자세히 살펴본다.FIG. 6 is a plan view of the laminated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touch sensors as described above may be laminated to form a single touch screen panel. When the two touch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laminated, the yield and the ESD (Electro Static Discharge) resistance rate are improved.

Figure 112019040085405-pat00001
Figure 112019040085405-pat00001

Figure 112019040085405-pat00002
Figure 112019040085405-pat00002

표 1은 종래의 합지된 터치 센서와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수율을 비교한 것이고, 표 2는 종래의 합지된 터치 센서과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ESD 내성율을 비교한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수율이 89.0%에서 97.4%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 2를 참조하면 ESD 내성율이 36.0%에서 88.0%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종래보다 다수의 접점(25) 구간을 확보함으로써 단선 발생률이 감소되고 이로써 불량률이 감소함과 동시에 ESD에 대한 내성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Table 1 compares the yields of the conventional laminated touch sensor and the laminated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able 2 compares the ESD resistance rates of the conventional laminated touch sensor and the laminated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able 1, the yield was improved from 89.0% to 97.4%, and referring to Table 2, the ESD resistance was improved from 36.0% to 88.0%. This can be seen that the disconnection rate is reduced by 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 25 than in the related art, thereby decreasing the defective rate and increasing resistance to ESD.

배선 패턴(30)은 채널(20)로부터 감지된 터치 신호를 외부회로(미도시)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기판(10)에 형성된 채널(20)의 일단에 연결된다.The wiring pattern 30 is a component that transfers the touch signal sensed from the channel 20 to an external circuit (not shown)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hannel 20 formed on the substrate 10.

저항측정단자(40)는 센서 패턴(20)의 배선 패턴(30)과 연결되지 않는 측단, 즉 채널(20)의 양단 중 배선 패턴(30)과 연결된 단을 일단이라 할 때 그 타단에 형성되며, 전극의 단선 도는 저항 증감 여부 등의 검출에 사용된다.The resistance measurement terminal 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nsor terminal 2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30, that is,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30 among the both ends of the channel 20 is one end. The disconnection of the electrode is used to detect whether the resistance is increased or decreased.

구체적으로, 배선 패턴(30)에 전류를 인가하면서 저항측정단자(40)에서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선 패턴(30)에 연결된 센서 패턴(20) 또는 배선 패턴(30)의 단선 및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저항측정단자(40)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정상값보다 낮게 측정될 경우 채널(20)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측정된 전압이 정상값보다 높게 측정될 경우 채널(20)들 간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ther the sensor pattern 20 or the wiring pattern 30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30 is disconnected or short-circuited using the voltage measured by the resistance measuring terminal 40 while applying current to the wiring pattern 30. You can judge.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measured by the resistance measuring terminal 40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the preset normal value, the channel 20 may be determined to be disconnected. When the measured voltage is measured to be higher than the normal value, the channel 20 may be determin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has occurred.

방전단자(50)는 채널(20)의 배선 패턴(30)과 연결되지 않은 측단, 즉 채널(20)의 양단 중 배선 패턴(30)과 연결된 단을 일단이라 할 때 그 타단에 형성되어 채널(20)에 유도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discharge terminal 5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end,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30 of the channel 20, that is, the end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30 of both ends of the channel 20 is called one end. 20)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the static electricity induced in.

한편, 채널(20)은 기판(10) 내에 매립된 형태, 즉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각으로 채널(20)이 형성될 경우, 센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롤(roll)에 감고, 기판을 롤에서 풀어나가면서 음각에 전도성 물질을 채워 넣은 후 다시 롤(roll)에 감는 롤투롤(roll-to-roll) 방식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편리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Meanwhile, the channel 20 may be formed in a form embedded in the substrate 10, that is, intaglio. When the channel 20 is formed in an intaglio, the substrate on which the sensor pattern is formed is wound on a roll, the substrate is rolled off from the roll,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intaglio, and then rolled again on a roll. The process is convenient because of the to-roll method and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for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H: 가로 기준선 H1: 제1 가로 기준선
H2: 제2 가로 기준선 A: 세로 기준선
A1: 제1 세로 기준선 A2: 제2 세로 기준선
10: 기판 20: 채널
22: 제1 센서라인 22a: 제1 단위라인
24: 제2 센서 라인 24a: 제2 단위라인
25: 접점 26: 셀
30: 배선 패턴 40: 저항측정단자
50: 방전단자
H: horizontal reference line H1: first horizontal reference line
H2: second horizontal reference line A: vertical reference line
A1: first vertical reference line A2: second vertical reference line
10: substrate 20: channel
22: first sensor line 22a: first unit line
24: second sensor line 24a: second unit line
25: contact 26: cell
30: wiring pattern 40: resistance measurement terminal
50: discharge terminal

Claims (13)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패턴은 가상의 제1 기준선과 가상의 제2 기준선이 겹쳐진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반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이 만나는 복수의 접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셀에 분산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으로부터 기 설정된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제2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 라인이고, ,
상기 제1 센서라인은 다수 개의 제1 단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라인은 다수 개의 제2 단위라인을 포함하며, 연속하는 4개 이상의 상기 제1 단위라인 또는 연속하는 4개 이상의 상기 제2 단위라인은 적어도 한 번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에 대한 사잇각의 부호를 전환하지 않고 연속하는 3개의 제1 단위라인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에 대한 사잇각의 부호를 전환하지 않고 연속하는 3개의 제2 단위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폭에 대응하는 제1-1 기준선 또는 제1-2 기준선과 만났을 시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2 센서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폭에 대응하는 제2-1 기준선 또는 제2-2 기준선과 만났을 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A sensor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The sensor pattern is formed based on a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in which a first virtual reference line and a second virtual reference line overlap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re atypical lines that change directions within a preset range with reference to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are atypical lines that change directions within a preset range with reference to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The plurality of contact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lin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lines meet are distributed in the plurality of unit cells,
The first sensor line is an irregular line that is variably formed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sensor line is variable within a range of the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Is an irregular line formed by,
The first sensor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unit lines, and the second sensor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unit lines, and at least four consecutive first unit lines or at least four consecutive first units lines. 2 unit lines change direction at least once,
The first sensor line includes three consecutive first unit lines without changing the sign of the virtual angl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or the second sensor line represents the sign of the virtual angl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It includes three continuous second unit lines without switching,
The first sensor line is changed from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when the first sensor line meets the first-first reference line or the 1-2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width, and the second sensor line is the second virtual line. The touch sensor of claim 2,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touch sensor is changed when a reference is made to the 2-1 reference line or the 2-2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wid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폭의 범위는 ±30%의 폭으로 설정되고, 상기 ±30%의 폭은 상기 단위 셀의 한 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width range is set to a width of ± 30%, the width of ± 30% is based o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the touch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1 기준선에 대해 사잇각이 30°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라인은 상기 가상의 제2 기준선에 대해 사잇각이 30°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nit line has a touch angle of 30 ° or les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unit line has a touch angle of 30 ° or les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라인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연속하는 3개의 제1 단위라인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 센서라인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연속하는 3개의 제2 단위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line includes three consecutive first unit lines while maintaining the same angle or
The second sensor line includes three second unit lines that are continuous while maintaining the same ang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라인 및/또는 상기 제2 단위라인의 길이는 상기 단위 셀 한 변의 길이 대비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unit line and / or the second unit line is a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150% of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라인 또는 상기 제2 단위라인이 직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line or the second unit line is a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or cur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턴 내 인접하는 4개의 접점이 이루는 도형의 단위 패턴의 면적은, 상기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한 개의 단위 셀의 면적 대비 ±20%의 변동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unit pattern of the figure formed by the four adjacent contacts in the sensor pattern, the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tion range of ± 20% of the area of one unit cell of the virtual reference mesh patte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라인 및 상기 제2 센서라인의 선폭이 1~20㎛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uch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width of the first sensor line and the second sensor line is formed between 1 ~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터치 센서 2장이 합지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A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a panel in which two touch sensor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5 and 8 to 12 are laminated.
KR1020190045609A 2019-04-18 2019-04-18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KR102043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09A KR102043987B1 (en) 2019-04-18 2019-04-18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09A KR102043987B1 (en) 2019-04-18 2019-04-18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62A Division KR102541112B1 (en) 2016-04-05 2016-04-05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39A KR20190042539A (en) 2019-04-24
KR102043987B1 true KR102043987B1 (en) 2019-11-12

Family

ID=6628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09A KR102043987B1 (en) 2019-04-18 2019-04-18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98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3978A (en) * 2013-12-26 2015-08-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uch panel sensor, touch panel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459A (en) * 2012-08-29 2014-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Touch panel
KR102286730B1 (en) 2014-06-13 2021-08-09 미래나노텍(주)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and touchscreen pane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3978A (en) * 2013-12-26 2015-08-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uch panel sensor, touch panel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39A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919B2 (en) Capacitive touch screen and single layer wiring electrode array
US8780071B2 (en) Capacitive touch panel with multiple zones
EP3291071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90187843A1 (en) Flexible touch panel,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4615323A (en) Three-dimensional modul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of three-dimensional module
CN109388294B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9062442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20098760A1 (en) Touch sensitive electronic device
CN111665998A (en) Touch control display panel
KR102286730B1 (en)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and touchscreen panel using the same
KR20110091244A (en) Touch screen panel
CN103247366B (en) Capacitanc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126312B2 (en) Touch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294519B2 (en) Touch panel
JP6765499B2 (en) 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using it
KR102043987B1 (en) 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KR101527321B1 (en) Touch panel
CN113268176A (en) Self-contained touch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202275389U (en) Capacitive touch screen and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20210085958A (en) Screen apparatus
CN111176484A (en) Touch module and display panel
KR100967303B1 (en) Two layer -electr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CN113778268A (en) Touch control device
CN104965624A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50057018A (en)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