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728B1 -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728B1
KR102043728B1 KR1020180091835A KR20180091835A KR102043728B1 KR 102043728 B1 KR102043728 B1 KR 102043728B1 KR 1020180091835 A KR1020180091835 A KR 1020180091835A KR 20180091835 A KR20180091835 A KR 20180091835A KR 102043728 B1 KR102043728 B1 KR 10204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temperature
linearization information
analog
analo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열
Original Assignee
(주)화진티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진티엔아이 filed Critical (주)화진티엔아이
Priority to KR102018009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8Testing or calibrating meteorological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1W1/06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giving a combined indication of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을 위해 설치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오차를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대해 정확한 선형화 정보를 얻고, 정확하게 교정한 기상 관측 결과를 얻으며, 더불어, 복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를 통해 얻는 검출값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정하며 운용할 수 있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실제 생성되는 기준신호를 현재 온도 및 온도계수에 따라 획득하여 교정을 위한 선형화 정보를 정확하게 얻고, 계측한 온도를 활용하여 다른 종류의 기상 상황 교정에 활용한다.

Description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WEATHER OBSERVATION APPARATUS HAVING AUTOMATIC CALIB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교정을 위한 기준신호 생성회로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선형화 정보에 근거하여 정확하게 교정한 기상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복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에서 얻는 검출값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정하며 운용할 수 있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상관측장치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기압, 일사, 풍향, 풍속, 강수, 적설, 일조 등의 기상 상황을 계측하여 취합한 후 원격 전송하는 장치이다.
기상관측장치에 설치하는 센서 중에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 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에 연결하여서, 기상 상황을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얻으므로, 온도 또는 열화에 따라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의 게인 오차 및 오프셋 오차를 줄이기 위한 교정(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교정 기능을 위해서, 등록특허 제10-0991001호는 센서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의 최대값 및 최대값의 3%에 해당되는 값을 교정용 신호로 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에 입력하고, 이때 얻는 검출값으로 교정하며, 교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최대값의 25%, 50% 및 70%에 해당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에 입력하여 검증한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9-0011396호는 교정용 신호를 둘 이상의 저항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게 구성하고, 센서 구동용 정전류원 및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1차 교정함은 물론이고 센서 자체의 오차를 2차 교정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등록특허 제10-0991001호 및 공개특허 제10-2009-0011396호에서는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에 의한 오차를 고려하고 있지 아니하여서, 교정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등록특허 제10-0991001호 및 공개특허 제10-2009-0011396호는 미리 정한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게 회로 구성하고, 그 교정용 신호의 크기를 변치 않는 기준값으로 저장 사용하므로,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의 특성이 온도 또는 열화에 따라 변동하면, 교정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91001호처럼 반복 교정하여 교정 과정의 오차를 줄이더라도,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의 자체 특성 변화를 고려하지 아니하여서, 정확하게 교정할 수 없다.
이에,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교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설치할 수는 있으나, 그만큼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그 별도의 수단에 대해서도 교정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즉,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자체적으로 교정하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
KR 10-0991001 B1 2010.10.25. KR 10-2009-0011396 A 2009.02.02.
따라서, 본 발명은 교정용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의 온도 및 열화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면서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교정할 수 있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온도계측센서를 포함한 복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별로 하나씩 연결된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로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데이터로거(50)로 디지털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고 통신모듈(60)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의 출력 범위의 최소치 및 최대치로 정한 아날로그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설계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와,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대신하여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게 하는 스위치(41)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온도에 따른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출력 변동을 나타내는 온도계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제어하여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하게 함에 따라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으로 정하고,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및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온도계수에 따라 제1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기준신호 크기를 보정하여 얻는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실제 입력된 신호 크기로 정하여서,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으로 이루어진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획득하고,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및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통해 계측한 디지털 데이터를 대응되는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제1,2 기준신호 크기와 제1,2 기준값을 임시 선형화 정보로 정한 후, 온도계측센서 및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통해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임시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근사 온도를 획득하고, 근사 온도 및 온도계수에 따라 제1,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얻어,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고,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한 온도를 획득 및 저장하며, 이후, 획득한 온도를 나머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의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에 더하여 제3 기준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제1,2,3 기준신호에 따라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2,3 기준값을 얻어, 제1,2,3 보정 기준신호의 입력과 제1,2,3 기준값의 출력에 가장 근접한 근사화 직선 그래프를 얻고,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2,3 기준신호 크기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온도계수를 수정하며, 근사화 직선 그래프 상에서 제1,2 기준값에 대응되는 입력을 선형화 정보의 제1,2 보정 기준신호 크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로거(50)는 미리 정한 온도 구간별로 선형화 정보를 기입하게 할 데이터테이블을 마련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에 따라 온도구간별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테이블에 기입함으로써, 데이터테이블을 완성해 가고, 기설정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테이블을 업데이트하며,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에 대응되는 데이터테이블 상의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통해 기설정 감시 주기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얻어, 기존 선형화 정보의 값과 기설정 오차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포함한 모든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새로 획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서로 다른 기준신호용으로 마련된 복수의 저항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정전류원에 의한 정전류를 흐르게 하여 나타나는 저항 양단의 전압신호를 출력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기준신호용으로 마련된 복수의 직렬연결 저항군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정전압원에 의한 정전압을 인가하여 직렬연결 저항군에 의해 분합되어 나타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교정을 위한 선형화 정보를 얻기 위해 장착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실제 출력되는 기준신호를 반영한 선형화 정보를 얻어서,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를 장착하더라도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계측한 온도에 따라 선형화 정보를 얻으므로, 정확한 선형화 정보를 얻기 위한 구성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출력 보정을 위해 사용할 온도계수도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열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교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교정을 위한 별도의 수단도 갖추지 아니하여,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도구간별로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온도에 맞춰 교정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고, 간헐적으로 교정하여도 되는 점을 반영하여 데이터테이블을 활용하므로,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간헐적 또는 필요할 때에만 가동시켜 열화를 최소화하고, 기준신호의 정확성도 높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도에 관련된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의 선형화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에 따라 갱신하게 하므로, 모든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의 선형화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전류원이나 아니면 정전압원을 저항에 연결하는 간소화된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사용하면서도, 정확한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상관측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회로도.
도 3은 교정부(51)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입출력을 선형화한 그래프.
도 5는 온도구간별 선형화 그래프.
도 6은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변형 회로도.
도 7은 도 6의 변형 회로도에 의해 생성한 기준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입출력을 선형화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기상관측장치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공지의 기능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및 기능을 이해할 정도로 설명하고, 구체적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상관측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상관측장치는 검출한 기상 상황을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복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별로 하나씩 마련되어 각각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에 하나씩 연결할 수 있게 한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하나씩 마련되어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하나씩 연결할 수 있게 한 복수의 기준신호 생성회로(40),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하나씩 마련되어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연결할 수 있게 한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와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스위치(41), 검출한 기상 상황을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복수의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 별로 하나씩 마련되어 각각의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에 하나씩 연결시킨 복수의 디지털 입력기(30),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서 신호처리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와 각각의 디지털 입력기(30)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취합하게 연결시킨 데이터로거(50), 데이터로거(50)를 통신망에 연결하여 취합한 디지털 데이터를 원격 서버(또는 기상청)에 전송할 수 있게 한 통신모듈(60) 및 기상관측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는 온도계측센서, 습도계측센서, 기압계측센서, 일사계측센서 등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기상관측장치에서 관측할 기상 상황에 맞게 선택한 것을 장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온도계측센서를 포함하여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온도 보정을 위해 필요한 온도를 얻게 한다.
상기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는 풍향계측센서, 풍속계측센서, 강우계측센서, 적설계측센서, 일조계측센서 등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 또한 기상관측장치에서 관측할 기상 상황에 맞게 선택한 것을 장착하면 된다.
상기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및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는 기상 상황을 센싱하여 출력하여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이냐 아니면 디지털 데이터이냐에 따라 구분되며, 기상관측장치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는 연결되는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기(21)로 증폭한 후 A/D 컨버터(22)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요소로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여 데이터로거(50)에 입력하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이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는 입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와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간의 선형 관계를 얻어 게인 및 오프셋을 교정할 대상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입력기(30)는 연결된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로거(50)에 입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및 디지털 입력기(30)는 상기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및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에서 각각 검출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로거(50)로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는 온도 또는 열화에 따라 출력 오차가 발생하므로, 상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입력측에 상기 스위치(41) 및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설치하여 교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서로 다른 아날로그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기준신호 크기는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의 출력 신호의 범위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면 되며, 제1 기준신호 크기는 그 범위의 최소값(또는 최소값에 가까운 값)으로 선정하고, 제2 기준신호 크기는 그 범위의 최대값(또는 최대값에 가끼운 값)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계측센서는 -40℃~60℃의 온도범위를 계측하기 위해서 -40℃에서 0V를 출력하고 60℃에서 1V를 출력하게 구성되면, 온도계측센서를 대신하여 기준신호를 입력하게 할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0V의 제1 기준신호와 1V의 제2 기준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게 회로 설계하여 구성하면 된다. 다른 종류의 아날로그 기상계측센서도 마찬가지로 기준신호를 입력하게 할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측정 범위에 따라 출력하는 전압 신호의 범위에 맞춰 제1,2 기준신호를 출력하게 회로 설계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회로도로서, 정전류원(I)을 이용한 회로(a)와, 정전압원(V)을 이용한 회로(b)가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정전류원(I)을 이용한 회로(a)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정전압원(V)을 이용한 회로(b)로 구성할 수 있다.
정전류원(I)을 이용한 회로(a)에 따르면,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2개 저항기(R1, R2)에 각각 정전류원(I)의 정전류를 흐르게 하고, 2개 저항기(R1, R2)의 양단 사이에 나타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하되, 2개 저항기(R1, R2) 별로 마련된 제1 스위치(S11, S12)를 통해 정전류원(I)의 정전류를 흐르게 하고, 2개 저항기(R1, R2) 별로 마련된 제2 스위치(S21, S22)를 통해 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하였다.
이에, 후술하는 데이터로거(50)가 제1 스위치(S11, S12) 및 제2 스위치(S21, S22)를 상호 연동시켜 단속함으로써, 2개 저항기(R1, R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정전류원에 의한 정전류를 흐르게 하여 나타나는 저항 양단의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저항기에 의한 출력 전압신호는 제1 기준신호가 되고, 다른 하나의 저항기에 의한 출력 전압신호는 제2 기준신호가 된다.
정전압원(V)을 이용한 회로(b)는 정전류원(I)을 이용한 회로(a)에서의 2개 저항기(R1, R2)를 각각 2개 저항기를 직렬 연결한 2개의 직렬연결 저항(R11-R12, R21-R22)으로 대체하고, 정전류원(I)을 정전압원(V)으로 대체하며, 제2 스위치(S21, S22)를 통해 출력할 전압 신호를 직렬연결 저항(R11-R12, R21-R22)을 구성하는 2개 저항기 사이의 전위 및 접지측 전위 사이 전압 신호로 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치(S11, S12) 및 제2 스위치(S21, S22)를 연동시켜 단속함으로써, 2개의 직렬연결 저항(R11-R12, R21-R22)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정전압원(V)의 정전압을 인가하여 직렬연결 저항에 의해 분합되어 나타나는 전압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물론, 2개의 직렬연결 저항(R11-R12, R21-R22)을 구성하는 저항기의 저항값은 제1 기준신호의 전압 신호 및 제2 기준신호의 전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정전류원이나 아니면 정전압원으로 구성된 전원을 저항기에 연결하여 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회로 설계됨으로써, 출력 전압 신호는 전원 또는 저항기의 온도계수에 따라 변동한다. 즉, 출력 전압 신호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회로 설계에 따른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때의 온도계수는 예를 들어 온도를 가변하며 출력 변동을 검출하여 얻을 수 있고, 데이터로거(50)에 저장하여 두며, 온도에 따른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실제 출력 전압의 크기를 얻는 데 활용된다.
상기 스위치(41)는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및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제1,2 기준신호 중에 어느 한쪽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게 하는 3로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데이터로거(50)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 신호가 선택된다. 즉, 상기 스위치(41)를 제어함으로써,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대신하여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아날로그형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60)은 기상청(또는 기상 수집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중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70)는 전력계통의 상시전원 또는 태양전지시스템의 전기를 수전하여 기상관측장치 내에 공급하는 구성이면 된다.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교정을 위한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는 교정부(51), 검출값을 교정하며 데이터로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52),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둘 메모리(53)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53)는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별로 설계된 제1,2 기준신호 크기와,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별로 미리 얻어 저장하여 두는 온도계수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교정하는 데 사용할 선형화 정보를 기록할 교정용 데이터테이블과,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및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10') 별로 검출하여 획득한 기상 상황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온도계수는 온도에 따른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출력 변동(또는 오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제1,2 기준신호를 출력하게 회로 설계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출력 전압을 온도 가변하며 측정한 후, 제1,2 기준신호와 온도별 출력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또는,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구성요소인 저항기는 온도에 따른 저항 오차를 나타내는 온도계수를 제작사가 제공하므로, 이때의 온도계수를 활용할 수 있고,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구성요소인 전원(정전류원 또는 정전압원)도 온도에 따른 특성 변동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저항기 및 전원으로 구성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온도에 따른 출력 영향을 온도계수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어느 하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에 연결된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하나씩 마련된다.
온도 구간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40℃ ~ - 20℃
-20℃ ~ - 5℃
-5℃ ~ 10℃
10℃ ~ 25℃
25℃ ~ 40℃
40℃ ~ 60℃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서 온도 구간은 온도계측센서의 온도 측정 범위 -40℃ ~ 60℃를 소정 구간(6개 온도구간)으로 나눈 것이다.
즉,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 기록할 선형화 정보는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으로서, 미리 정한 온도구간별로 구분하여 기록하게 한다. 물론,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출력은 온도의 영향을 받으므로, 온도구간은 6 보다 많게 개수로 세밀하게 나누어도 좋다.
여기서,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는 제1 기준신호 크기에 현재 온도 및 온도계수를 적용하여 얻는 전압 크기로서, 제1 기준신호를 출력하도록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제어할 시에 실제 출력되는 전압 크기를 나타낸다.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는 제2 기준신호 크기에 현재 온도 및 온도계수를 적용하여 얻는 전압 크기로서, 제2 기준신호를 출력하도록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제어할 시에 실제 출력되는 전압 크기를 나타낸다.
제1 기준값은 제1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도록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제어할 시에,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이다.
제2 기준값은 제2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도록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제어할 시에,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이다.
도 3은 상기 교정부(51)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 교정부(51)는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와,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를 하나의 함수로 활용하여 동작하는 초기화부(51b), 테이블 완성부(51c), 주기적 업데이트부(51d) 및 감시 동작부(51e)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는 스위치(41) 및 기준신호 생성회로(40)를 제어하여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게 하고, 생성한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순차적으로 입력시키며, 이때,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서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의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 순서에 따라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으로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는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및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온도계수에 따라 제1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기준신호크기를 보정한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실제 입력되는 신호, 즉,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실제 출력되는 신호로 선정한다.
도 4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입출력을 선형화한 그래프로서, 아날로그 입력전압과 디지털 출력 검출값 사이의 특성을 나타내는 직선 그래프를 보여준다.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제1 기준신호(V1) 및 제2 기준신호(V2)를 생성하게 하더라도, 실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온도의 영향을 받게 되어서, 실제로는 온도 보상한 제1 보정 기준신호(V1') 및 제2 보정 기준신호(V2')가 생성된다. 이에, 설계에 따라 정한 입력과 실제 입력 사이의 차이(△V1, △V2)만큼 온도 및 온도계수에 따라 보상하여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V1')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V2')와 검출값인 제1 기준값(D1) 및 제2 기준값(D2)에 따라 얻는 그래프(Lr)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제1 기준신호(V1) 크기 및 제2 기준신호(V2) 크기와 검출값인 제1 기준값(D1) 및 제2 기준값(D2)에 따라 얻는 그래프(Ls)는 등록특허 제10-0991001호 및 공개특허 제10-2009-0011396호에서 사용한 선형화 정보로서, 입력 신호에 대해 온도 보정하여 얻는 그래프(Lr)와는 차이가 있다.
도 4에서 그래프(Lc)는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얻고자 하는 입출력 간의 그래프로서, 기준신호를 온도 보상하기 전후 그래프에 따라 각각 교정하는 양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온도 보상한 제1 보정 기준신호(V1') 및 제2 보정 기준신호(V2')를 교정을 위한 선형화 정보로 사용하여 얻는 그래프(Lr)로 입출력 관계식을 얻는다.
이에, 실제로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포함하는 선형화 정보를 얻게 된다.
상기 초기화부(51b)는 각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교정을 위한 선형화 정보를 기상관측장치를 설치한 직후 현재 온도에 따라 최초 획득하는 구성으로서,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우선적으로 정확한 현재 온도를 계측하고, 이후 나머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현재 온도에 따라 획득하고, 교정용 데이터테이블 상의 현재 온도가 속한 온도구간에 기입한다.
즉, 모든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의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온도에 따라 정하므로,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마련된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특정하여 상기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를 가동함으로써, 그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교정하기 위한 선형화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의 선형화 정보는 현재 온도를 계측하기 이전이므로, 제1,2 기준신호 크기 및 제1,2 기준값으로 하는 임시 선형화 정보이며, 도 4를 참조하면, 설계값인 제1,2 기준신호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그래프(Ls)로 표현된다.
그리고, 온도계측센서 및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얻도록 스위치(41)를 제어하고, 이때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임시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현재의 근사 온도를 획득하고, 근사 온도 및 온도계수에 따라 제1,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얻는다. 이에 따라 제1,2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1,2 기준값으로 이루어지는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대응되는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획득한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한 온도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나머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대해서도 대응되는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순차적으로 특정하며 상기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를 가동시키되, 상기에서 얻은 교정한 온도를 적용하여서,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고,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 기입한다.
물론, 선형화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는 스위치(41)를 제어하여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연결시킨다.
상기 테이블 완성부(51c)는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온도구간별로 획득하여 각각의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을 완성해 가는 구성으로서, 초기화부(51b)의 동작 이후,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검출한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교정용 데이터테이블 상에 선형화 정보가 누락된 온도구간의 온도에 최초로 도달하면,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를 가동시켜 그때의 온도에 따른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고,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 기입한다.
물론,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먼저 획득하고, 이때 획득한 선형화 정보에 따라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며, 검출한 온도에 따라 나머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선형화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는 스위치(41)를 제어하여,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연결시킨다.
도 5는 어느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위해 마련한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의 선형화 정보를 온도구간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온도구간으로 나눴으므로, 6개의 온도구간별 선형화 정보에 따라 도 3의 그래프(Lr)처럼 6개 그래프를 얻게 되지만, 각각의 그래프는 대응되는 온도구간에만 적용하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온도구간만 취하여 6개 그래프(Lr-1, Lr-2, Lr-3, Lr-4, Lr-5, Lr-6)가 얻어진다. 즉,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는 온도에 따라 입출력 특성이 변동하므로, 비록, 동일한 제1 기준신호(V1) 및 제2 기준신호(V2)의 입력으로 온도구간별 선형화 정보를 얻었더라도, 실제 사용할 선형화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비연속적인 온도구간별 직선 그래프로 얻어진다.
상기 주기적 업데이트부(51d)는 기설정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구성이다. 즉,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 기록한 선형화 정보를 지우고, 새롭게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하여야 하므로, 상기 초기화부(51b) 및 테이블 완성부(51c)를 재가동시킨다.
상기 감시 동작부(51e)는 상기 업데이트 주기보다는 짧게 설정한 감시 주기에 맞춰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제어하여, 해당 신호처리기(20)를 통해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얻는다. 이때 얻는 값이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의 값과 기설정 오차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모든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새롭게 획득하여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을 수정한다. 물론,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에서, 계측한 온도가 속한 온도구간의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과 비교한다.
즉,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열화되어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온도구간의 기준신호를 입력하여 얻는 기준값이 변동하면 열화로 판단하여, 선형화 정보를 수정한다.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은 초기화부(51b) 및 테이블 완성부(51c)를 재가동시켜 수정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작성한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은 데이터 처리부(52)에서 교정한 기상관측 데이터를 얻는데 적용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52)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및 디지털 입력기(30)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취합하여 메모리(53)에 저장하고, 저장한 디지털데이터를 원격 서버(또는 기상청)와의 약속 시간에 맞춰 전송하는 통상적인 데이터로거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52)는 각각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디지털데이터에 대해서 대응되는 교정용 데이터테이블의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정확한 디지털데이터를 얻고, 또한, 적용할 선형화 정보는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교정한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구간의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기준신호 생성회로(40)가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에 더하여 제3 기준신호도 생성 및 출력하게 구성됨을 보여준다.
도 2와 비교하면, 정전류원(I)을 이용한 회로의 경우, 저항기(R3)가 하나 더 추가되고, 이 저항기(R3)를 통해 제3 기준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제1 스위치(S13) 및 제2 스위치(S23)도 하나씩 추가된다. 정전압원(V)을 이용한 회로의 경우, 2개 저항기를 직렬 연결한 직렬연결 저항(R31-R32)이 하나 추가된다.
즉,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각각 3개로 구성된 제1 스위치(S11, S12, S13) 및 제2 스위치(S21, S22, S23)을 제어하여 제1 기준신호, 제2 기준신호 및 제3 기준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부(51)를 가동할 시에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는 제1 기준신호 크기, 제2 기준신호 크기 및 제3 기준신호 크기를 온도 및 온도계수에 따라 온도 보상하여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3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얻고, 실제로 생성되는 제1 보정 기준신호, 제2 보정 기준신호 및 제3 보정 기준신호의 입력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얻는다.
도 7은 도 6의 변형 회로도에 의해 생성한 기준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입출력을 선형화한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에 따라 3 포인트(1, 2, 3)의 검출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기준신호 생성회로(40)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열화되어 출력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초기 설정한 온도계수 및 현재 온도에 따라 보정한 크기의 신호로 출력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에,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3 포인트(1, 2, 3)의 검출점은 직선 그래프 상에 놓이지 아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는 3 포인트(1, 2, 3)에 가장 근접한 근사화 직선 그래프(Lr')로부터 선형화 정보를 선정한다. 즉, 제1 기준값(D1)을 검출값으로 하는 근사화 직선 그래프(Lr') 상의 점을 찾아서, 해당 점에 대응되는 입력전압의 크기인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V1")를 찾는다. 또한, 제2 기준값(D2)을 검출값으로 하는 근사화 직선 그래프(Lr') 상의 점을 찾고, 해당 점에 대응되는 입력전압의 크기인 제2 보정 기준신호(V2")를 찾는다.
여기서 찾은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V1")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V2")를 선형화 정보의 값으로서 기록한다.
또한, 상기 선형화 정보 획득부(51a)는 상기 온도계수도 수정한다.
즉, 제3 기준값(D3)에 대응되는 제3 보정 기준신호 크기(V3")도 근사화 직선 그래프(Lr')에 따라 찾은 후, 설계에 따라 정한 제1,2,3 기준신호 크기(V1, V2, V3)와 여기서 찾은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V1", V2", V3") 사이의 기준신호 차이(△V1', △V2', △V3')에 따라 온도계수를 수정 설정한다. 여기서, 수정한 온도계수는 다음번 선형화 정보를 얻는 데 사용된다. 물론, 온도계수는 설계값과 실제값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초기 설정치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
간단한 예를 들어,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출력신호인 기준신호가 온도에 비례하며 증가하여, 온도계수를 비례상수로 설정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신호 차이(△V1', △V2', △V3')에 따라 그 비례상수를 수정하는 것이다. 만약, 출력하는 기준신호가 예를 들어 정전류원(또는 정전압원)의 영향에 의해서 온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하여, 온도를 변수로 하고 온도계수를 포함하는 비선형식으로 설정한 경우, 기준신호 차이(△V1', △V2', △V3')를 잘 반영하도록 비선형식의 온도계수를 수정한다. 물론, 근사화 직선 그래프(Lr')에 따라 찾은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V1", V2", V3")와 기존 설정하여 둔 온도계수에 따라 정한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V1', V2', V3')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오차 이상인 경우에만 온도계수를 수정하게 한다.
이에, 기준신호 생성회로(40)에서 실제 출력되는 기준신호 크기를 온도계수에 근거하여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열화에 의해 변동하는 온도계수도 적응적으로 수정하여서, 실제 출력되는 기준신호 크기를 더욱 정확하게 얻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3가지 크기의 서로 다른 기준신호를 사용하였으나, 4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정확한 선형화 정보 및 온도계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0 :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 10' : 디지털형 기상관측센서
20 : 아날로그 신호처리기
21 : 증폭기 22 : A/D 컨버터
30 : 디지털 입력기
40 : 기준신호 생성회로
41 : 스위치
50 : 데이터로거
51 : 교정부
51a : 선형화 정보 획득부 51b : 초기화부
51c : 테이블 완성부 51d : 주기적 업데이트부
51e : 감시 동작부
52 : 데이터 처리부
53 : 메모리
60 : 통신모듈
70 : 전원장치

Claims (6)

  1. 적어도 온도계측센서를 포함한 복수의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별로 하나씩 연결된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로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데이터로거(50)로 디지털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고 통신모듈(60)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다른 기준신호용으로 마련된 3개의 저항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정전류원에 의한 정전류를 흐르게 하여 나타나는 저항 양단의 전압신호를 출력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기준신호용으로 마련된 3개의 직렬연결 저항군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정전압원에 의한 정전압을 인가하여 직렬연결 저항군에 의해 분합되어 나타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되어서,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의 출력 범위의 최소치 및 최대치로 정한 아날로그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에 더하여 제3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설계된 기준신호 생성회로(40)와,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대신하여 제1 기준신호, 제2 기준신호 및 제3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되게 하는 스위치(41)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온도에 따른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출력 변동을 나타내는 온도계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기준신호 생성회로(40) 및 스위치(41)를 제어하여 제1 기준신호 및 제2 기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입력하게 함에 따라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으로 정하고,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및 기준신호 생성회로(40)의 온도계수에 따라 제1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기준신호 크기를 보정하여 얻는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에 실제 입력된 신호 크기로 정하여서, 제1 보정 기준신호 크기 및 제2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으로 이루어진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되,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 별로 획득하고, 아날로그형 기상관측센서(10) 및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통해 계측한 디지털 데이터를 대응되는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되,
    제1,2,3 기준신호에 따라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2,3 기준값을 얻어,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2,3 기준값에 의한 3 포인트가 직선 그래프 상에 놓이지 아니하면, 가장 근접한 근사화 직선 그래프를 얻고, 근사화 직선 그래프 상에서 제1,2 기준값에 대응되는 입력을 선형화 정보의 제1,2 보정 기준신호 크기로 하며, 제1,2,3 기준값을 검출값으로 하는 근사화 직선 그래프 상의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기존 설정하여 둔 온도계수에 따라 정한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오차 이상인 경우에, 제1,2,3 기준값을 검출값으로 하는 근사화 직선 그래프 상의 제1,2,3 보정 기준신호 크기와 제1,2,3 기준신호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온도계수를 수정하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제1,2 기준신호 크기와 제1,2 기준값을 임시 선형화 정보로 정한 후, 온도계측센서 및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를 통해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임시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여 근사 온도를 획득하고, 근사 온도 및 온도계수에 따라 제1,2 보정 기준신호 크기를 얻어,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고,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한 온도를 획득 및 저장하며, 이후, 획득한 온도를 나머지 아날로그 신호처리기의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하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로거(50)는
    미리 정한 온도 구간별로 선형화 정보를 기입하게 할 데이터테이블을 마련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에 따라 온도구간별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테이블에 기입함으로써, 데이터테이블을 완성해 가고, 기설정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선형화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테이블을 업데이트하며, 온도계측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에 대응되는 데이터테이블 상의 선형화 정보에 따라 교정하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로거(50)는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통해 기설정 감시 주기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얻어, 기존 선형화 정보의 값과 기설정 오차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온도계측센서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를 포함한 모든 아날로그 신호처리기(20)의 선형화 정보를 새로 획득하여 사용하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6. 삭제
KR1020180091835A 2018-08-07 2018-08-07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KR10204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35A KR102043728B1 (ko) 2018-08-07 2018-08-07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35A KR102043728B1 (ko) 2018-08-07 2018-08-07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728B1 true KR102043728B1 (ko) 2019-11-12

Family

ID=6857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35A KR102043728B1 (ko) 2018-08-07 2018-08-07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7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396A (ko) 2007-07-26 2009-02-02 박찬호 센서측정회로의 오차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991001B1 (ko) 2010-08-05 2010-10-29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센서의 보정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자동기상 관측장치
KR20120090264A (ko) * 2011-02-07 2012-08-17 한국전력공사 계측용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385093B1 (ko) * 2013-01-29 2014-04-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작업자의 mems ins 기반 3d위치 결정 시스템 및 3d위치 결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396A (ko) 2007-07-26 2009-02-02 박찬호 센서측정회로의 오차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991001B1 (ko) 2010-08-05 2010-10-29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센서의 보정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자동기상 관측장치
KR20120090264A (ko) * 2011-02-07 2012-08-17 한국전력공사 계측용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385093B1 (ko) * 2013-01-29 2014-04-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작업자의 mems ins 기반 3d위치 결정 시스템 및 3d위치 결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2618B (zh) 校准具有低分辨率数模转换器的高分辨率数据采集系统的系统和方法
EP1443335B1 (en) Sensor apparatus, measuring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on
CN103308178A (zh) 一种非制冷红外焦平面阵列的非均匀性校正方法
CN110927657B (zh) 电能表误差修正方法、装置和设备
US20140358317A1 (en) Output value correction method for physical quantity sensor apparatus, output correction method for physical quantity sensor, physical quantity sensor apparatus and output value correction apparatus for physical quantity sensor
US6996488B2 (en) Sensor signal conditioner
US10775210B2 (en) Interface devices for use with measurement probes with enhanced functionality
AU3728000A (en) Control, calibration, and operation of a microbolometer array at ambient temperature
CN112858749B (zh) 用于数字示波器的温漂补偿方法、电路和数字示波器
CN108334143A (zh) 一种温度自适应的SiPM增益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7813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C voltages in an HVAC system
EP0178368A2 (en)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rrecting its output signal
KR102043728B1 (ko)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기상관측장치
KR100909660B1 (ko) 센서측정회로의 오차보정장치 및 그 방법
CN104267262A (zh) 一种高精度的回路电阻智能化测试仪
US10797701B2 (en) Compensating for degradation of electronics due to radiation vulnerable components
JP2015200633A (ja) サーミスタの温度特性補正装置及びサーミスタの温度特性補正方法
CN110927594B (zh) 电池检测校准方法
CN110873607B (zh) 一种红外探测器焦面温度测量装置
JP2005147816A (ja) 温度測定装置
KR100618569B1 (ko) 온도 보정 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 계측 장치 및 방법
KR102013644B1 (ko) 계측기 자동교정장비의 오차저감 장치
CN112393814A (zh) 宽量程温度计算方法、系统、温度传感器及温度测量方法
JP2016217966A (ja) 気象水文観測装置の較正方法及び気象水文観測システム
KR20190047556A (ko) 센서 측정 장치의 자율 캘리브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6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17

Effective date: 201909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