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63B1 -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63B1
KR102043463B1 KR1020180021178A KR20180021178A KR102043463B1 KR 102043463 B1 KR102043463 B1 KR 102043463B1 KR 1020180021178 A KR1020180021178 A KR 1020180021178A KR 20180021178 A KR20180021178 A KR 20180021178A KR 102043463 B1 KR102043463 B1 KR 10204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water pipe
heat transfer
transfer mediu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1166A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6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냉각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은 열전달 매개체를 수용하는 탱크,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로 냉기를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탱크의 내벽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되는 냉매 파이프 및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로부터 냉기를 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매 파이프보다 작은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되,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가변하는 냉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The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nk for accommodating a heat transfer medium, for discharging cold air to the heat transfer medium while the refrigerant flows therein, and a refrigerant pipe extending in a coil shape extend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water while flowing. In order to receive the cold air from the heat transfer medium, it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extending in a coil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refrigerant pipe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nt pipe, the coil radius is variable.

Description

정수기용 냉각 모듈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각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용 냉각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정수기용 냉각 모듈은 흔히 증발기와 냉수 파이프가 열전달 매개체에 함께 침지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열전달 매개체가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고, 그 냉기에 의해 냉수 파이프의 물이 냉각되어 냉수로 된다. 또한 열전달 매개체를 교반하기 위해 임펠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냉수 파이프의 체적, 냉수 파이프의 단면적, 임펠러의 크기, 각 구성요소의 간격 등은 정수기용 냉각 모듈의 전반적인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이다.Cooling modules for water purifiers often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vaporator and cold water pipes are immersed together in a heat transfer medium. As a result, the heat transfer medium is cooled by the evaporator, and the water in the cold water pipe is cooled by the cold air into cold water. In addition, an impeller may be further installed to agitate the heat transfer medium. At this time, the volume of the cold water pip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d water pipe, the size of the impeller and the spacing of each component are factors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cooling module for the water purifier.

한편 최근 들어 제품의 경량화/소형화가 그 제품의 경쟁력에 있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해진 크기 내에서 상기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성능과 경량화 및 소형화가 동시에 만족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weight reduction /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s has recently been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s. Therefore, by considering the above factors in a predetermined size, there is a need for a design that can simultaneously satisfy performance, light weight, and small size.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해진 크기 내에서 성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수기용 냉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that can further improve performance within a predetermined size.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은 열전달 매개체를 수용하는 탱크,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로 냉기를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탱크의 내벽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되는 냉매 파이프 및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로부터 냉기를 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매 파이프보다 작은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되,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가변하는 냉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nk for accommodating a heat transfer medium, for discharging cold air to the heat transfer medium while the refrigerant flows therein, while a refrigerant pipe extending in a coil shape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water flows. In order to receive the cold air from the heat transfer medium, it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extending in a coil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refrigerant pipe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nt pipe, the coil radius is variable.

또한 상기 냉수 파이프는 하부가 상부보다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The cold water pipe may also have a relatively larger radius of rotation of its coiled shape than its upper portion.

또한 상기 냉수 파이프는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가면서 제1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일부 연장되다가 그보다 작은 제2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may extend partially from the bottom to a coil shape having a first radius of rotation and further to a coil shape having a smaller second radius of rotation.

또한 상기 냉수 파이프는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점차 작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may be gradually reduced in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coil ty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또한 상기 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냉수 파이프의 내측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날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날개는 상기 냉수 파이프의 하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further comprises a rotary shaft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pipe and the blade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ry shaft, the wing may be locat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pipe.

또한 상기 회전축 주변을 둘러싸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열전달 매개체가 상기 필터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게 작동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filter surrounding the axis of rotation, wherein the wing is operable to allow the heat transfer medium to flow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또한 상기 냉수 파이프 중 그 코일형의 길이 방향에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홀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wo adjacent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il.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은 냉매 파이프가 탱크의 내벽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되고 냉수 파이프는 냉매 파이프보다 작은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되어 냉매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되, 냉수 파이프에서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가변함으로써 냉수 파이프 중 상하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틈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틈 사이로 열교환 매체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게 보장함으로써 열전달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The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a coil shape in which the refrigerant pipe is wrapp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the cold water pipe extends in a coil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refrigerant pipe and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nt pipe. By varying the coil-shaped rotation radius,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gap between two adjacent portions of the cold water pi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ect by ensuring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circulates smoothly between the gaps.

또한 냉수 파이프는 그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 형태로 연장되고, 임펠러의 날개가 냉수 파이프의 하부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냉수 파이프 중 하부의 내측 공간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임펠러의 날개가 비교적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어, 열전달 매개체의 순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강제함으로써 열전달 현상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The cold water pipe also extends in the form of a coil, the lower part of which has a relatively larg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upper part, and the wings of the impeller are locat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cold water pipe. In this case,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pipe is relatively wide, the impeller wing can be formed relatively larger, thereby further promoting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by forcing the circula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의 냉수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의 냉수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냉수 파이프가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잔 수에 따른 출수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water pipe of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water pipe of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exemplarily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ld water pipe extends in a coil shape having a constant radius of rota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water dischar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maining water.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 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cooling module (100, 2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의 냉수 파이프(130)의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ing module 100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water pipe 130 of the cooling module 1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은 탱크(110), 냉매 파이프(120), 냉수 파이프(130), 임펠러(140) 및 필터(150)를 포함한다.1 to 3, the cooling module 100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110, a refrigerant pipe 120, a cold water pipe 130, an impeller 140, and a filter 150. Include.

탱크(110)는 열전달 매개체, 예컨대 물을 수용하는 본체(111) 및 본체(111)에 결합되어 본체(111)를 밀봉하는 뚜껑(112)을 포함한다.The tank 110 includes a body 111 for receiving a heat transfer medium such as water and a lid 112 coupled to the body 111 to seal the body 111.

이러한 탱크(110)는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ank 110 may be made of a gener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cylindrical, or the like.

냉매 파이프(120)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또는 교축 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에서 증발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개체에 침지된다. 따라서 냉매가 냉매 파이프(120)를 유동하면서 본체(111)의 열전달 매개체로 냉기를 방출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pipe 120 corresponds to an evaporator in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 capillary tube (or an throttling valve), and an evaporator,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1 to be immersed in a heat transfer medium. Therefore, the coolant may discharge cool air to the heat transfer medium of the main body 111 while flowing through the coolant pipe 120.

이때 냉매 파이프(120)는 본체(111)의 내벽을 따라 두르는 코일 내지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만약 본체(111)가 직육면체로 이루어진다면 냉매 파이프(120)도 그에 상응하게 사각기둥의 둘레면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본체(111)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면 냉매 파이프(120)는 원기둥의 둘레면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매 파이프(120)의 단면적,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 피치, 회전수 등은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의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refrigerant pipe 120 extends in a spiral form from a coil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1. If the main body 111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refrigerant pipe 120 may also extend in a coil shape correspondingly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quare pillar, and if the main body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refrigerant pipe 120 may be It may extend in a coil form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pipe 120, its radius of rotation, pitch, number of rotations, etc.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esign conditions of the cooling module 100 for water purifier, and thus will not be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또한 냉매 파이프(120)는 본체(111)의 상부로 더 치우치게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냉매 파이프(120)가 열전달 매개체에 침지되어 있을 때 냉매 파이프(120)에서 그 코일형의 상단과 열전달 매개체의 수면 간의 거리가 냉매 파이프(120)에서 그 코일형의 하단과 본체(111)의 바닥 간의 거리보다 작게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열전달 매개체가 주로 위에서부터 냉각된다. 따라서 열전달 매개체 중 일부가 얼음으로 될 때 그 얼음도 주로 위에서부터 생성될 것이다. 이는 얼음이 임펠러(140)의 날개(142)에 충돌할 가능성을 방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refrigerant pipe 120 is disposed more bia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1. In other words, when the refrigerant pipe 120 is immersed in the heat transfer medium,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il type in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s the lower end of the coil type and the main body 111 in the refrigerant pipe 120. Is dispose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loors. According to this, the heat transfer medium is mainly cooled from above. Thus, when some of the heat transfer media becomes ice, the ice will also be produced primarily from above. This may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ice colliding with the wing 142 of the impell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냉수 파이프(130)도 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개체에 침지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물이 냉수 파이프(130)를 유동하면서 열전달 매개체로부터 냉매 파이프(120)의 냉기를 받아 냉각되어 냉수로 될 수 있다.Cold water pipe 130 is also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1 is immersed in the heat transfer medium. Accordingly,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user may be cooled by being cooled by receiving cold air from the refrigerant pipe 120 from the heat transfer medium while flowing the cold water pipe 130.

이때 마찬가지로 냉수 파이프(130)도 코일 내지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냉수 파이프(130)는 냉매 파이프(120)보다 작은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되어 냉매 파이프(120)의 내측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d water pipe 130 also extends in a coil or spiral form. 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130 may extend in a coil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may be disposed concentrically inside the refrigerant pipe 120.

특히 냉수 파이프(130)는 그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 형태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냉수 파이프(130)는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가면서 냉매 파이프(120)보다 작은 회전 반경(예컨대 제1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일정하게 일부 연장되다가 그보다 더 작은 회전 반경(예컨대 제2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일정하게 더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의 파이프의 상단에 제2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의 파이프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ld water pipe 130 extends in the form of a coil whose lower part has a relatively larg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upper part. For example, the cold water pipe 130 extends partially from the bottom to a coiled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rotation (eg, a first radius of rotation) than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is partially extended and smaller than that of the refrigerant pipe 120 (eg, a second rotation). Coil) having a radius), and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extend in a constant manner. In other words, the coiled pipe having the second turning radius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iled pipe having the first turning radius.

일반적으로 냉수 파이프(130)는 체적이 클수록 물(냉수)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체적이 클수록 출수가 연속적으로 반복될 때 그 초기에 냉수를 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general, the larger the volume of the cold water pipe 130 may have more water (cold water). Therefore, the larger the volume, the more effective it is to provide cold water at the beginning when the water is continuously repeated.

또한 냉수 파이프(130)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열전달 매개체로부터 냉기를 더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130 has an advantage that the larger the surface area can be more effectively receive cold air from the heat transfer medium.

이에 냉수 파이프(130)의 체적을 크게 만들고 표면적을 넓게 만들기 위해 냉수 파이프(130)의 단면적, 즉 파이프의 직경이나 그 코일형의 회전수를 늘리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본체(111)의 내부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이들을 마냥 늘릴 수는 없을 것이다.In this regard,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cold water pipe 130 and widen the surface area, a method of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d water pipe 130, that is, the diameter of the pipe or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coil type thereof, may be considered. Because of the limited interior space, you won't be able to increase them in reality.

또한 이들만 늘리다 보면 냉수 파이프(130) 중 상하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틈이 좁아지게 된다. 그러면 그 틈 사이로 열전달 매개체가 순환하기 어려워져 오히려 열전달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냉수 파이프(130) 중 상하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틈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only these are increased, the gap between the two neighboring parts of the cold water pipe 130, up and down is narrowed.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heat transfer medium to circulate between the gaps, so that the heat transfer effect may be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sign that can secure a gap between two adjacent portions of the cold water pipe 130 in the up and down neighborhood.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수 파이프(130)에서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가변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수 파이프(130) 중 상하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틈(G)이 더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틈(G) 사이로 열교환 매체가 보다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게 보장함으로써 열전달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coil type of the cold water pipe 130 is variable, as shown in FIG. 2, a gap G between two neighboring parts of the cold water pipe 130 is further up and down. Can be wide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ect by ensuring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can circulate more smoothly between the gap (G).

한편 이러한 냉매 파이프(120)와 냉수 파이프(130)는 적절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냉수 파이프(130)는 적절한 홀더 부재에 의해 상하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틈(G)이 변형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cold water pipe 130 may be integrally fixed to each other by an appropriate guide member. 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130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without deformation of the gap G between two adjacent portions up and down by a suitable holder member.

임펠러(140)는 회전축(141) 및 날개(142)를 포함한다.The impeller 140 includes a rotation shaft 141 and a wing 142.

회전축(141)은 모터(M)에 연결되고, 모터(M)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41)이 본체(111)의 상부에서 냉수 파이프(130)의 내측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motor M, and the motor M may be coupled to the lid 112 as shown in FIG. 1. Therefore, the rotating shaft 141 may extend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pipe 13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1.

날개(142)는 회전축(141)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열전달 매개체의 순환을 강제하여 열전달 효과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날개(142)는 냉수 파이프(130) 중 제1 회전 반경으로 연장된 영역의 내측에 위치한다. 냉수 파이프(130) 중 제1 회전 반경으로 연장된 영역의 내측 공간이 제2 회전 반경으로 연장된 영역의 내측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기 때문에, 이에 의하면 날개(142)가 비교적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달 매개체의 순환을 더 효율적으로 강제함으로써 열전달 현상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날개(142)가 더 크게 형성된 만큼 RPM이 다소 느려지더라도 비슷한 수준의 교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모터(M)의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내구성을 개선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The wing 14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141 to rotate to force the circula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to serve to promote the heat transfer effect. In this case, the wing 142 is located inside the region extending in the first rotation radius of the cold water pipe 130.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region extending in the first radius of rotation of the cold water pipe 130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inner space of the region extending in the second radius of rotation, the wings 142 can thus be formed relatively larger.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mote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by forcing the circula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as the blade 142 is formed larger, even if the RPM is somewhat slow, a similar level of stirring effect can be obtained, thereby reducing the load of the motor M,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saving energy.

필터(150)는 냉수 파이프(130)와 임펠러(140) 사이에 배치되어 임펠러(140) 주변을 둘러싼다. 이러한 필터(150)는 열전달 매개체는 지나갈 수 있게 허용하되, 얼음이 생성될 경우 그 얼음은 임펠러(140) 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얼음이 임펠러(140)에 충돌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거나 임펠러(140)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cold water pipe 130 and the impeller 140 to surround the impeller 140. The filter 150 allows the heat transfer medium to pass through, but when ice is generated, the ice blocks the ice from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140. Therefore, ice may collide with the impeller 140 to prevent noise or damage to the impeller 140.

이러한 필터(150)는 임펠러(140)의 회전축(141)과 날개(142)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고, 회전축(141) 주변만 둘러쌀 수도 있다. 도 1에는 후자의 경우에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해당 부품을 경량화/소형화하거나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개(142) 근처의 유동 저항을 줄여 임펠러(140)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The filter 150 may surround the rotary shaft 141 and the wing 142 of the impeller 140 as a whole, or may surround only the rotary shaft 141. 1 is illustrated in the latter case. In this case, the components may be lighter / miniaturized or related costs may be reduced, and the load resistance of the impeller 140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near the wing 142.

특히 이 경우 날개(142)는 열전달 매개체가 그 날개(14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유동하게 작동할 수 있다. 즉 날개(142)가 작동함으로써 열전달 매개체가 탱크(110)의 상부 중심 측, 즉 필터(150)의 내측에서 탱크(110)의 하부 중심 측을 향해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로 인한 압력차에 의해 전체적으로 탱크(110)의 하부 중심 측으로부터 탱크(110)의 하부 벽면 측으로, 그리고 탱크(110)의 하부 벽면 측으로부터 탱크(110)의 상부 벽면 측을 향해 상방으로, 그리고 탱크(110) 상부 벽면 측으로부터 탱크(110)의 상부 중심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wing 142 may operate such that the heat transfer medium flows downwar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wing 142. That is, by operating the wing 142, the heat transfer medium flows downward toward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tank 110 from the upper center side of the tank 110, that is, inside the filter 150. The resulting pressure difference then causes the overall upward from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tank 110 to the lower wall side of the tank 110 and from the lower wall side of the tank 110 upwards towards the upper wall side of the tank 110, and A path may be formed that flows from the upper wall side of the tank 110 to the upper center side of the tank 11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냉매 파이프(120)가 본체(111)의 상부로 치우치게 배치되면 얼음이 주로 위에서부터 생성되어, 상기 경로를 따라 탱크(110)의 상부 중심 측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열전달 매개체만 필터(150)를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고 얼음은 필터(150)에 가로막혀 임펠러(140) 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임펠러(140)에 얼음이 충돌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거나 임펠러(140)가 손상되는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olant pipe 120 is dis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1, ice is mainly generated from above, and attempts to move to the upper center side of the tank 110 along the path, but only the heat transfer medium filters ( It can flow through the 150 and the ice is blocked by the filter 150 will not be able to move to the impeller 140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a problem of noise or damage to the impeller 140 due to ice collision with the impeller 14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20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200)의 냉수 파이프(230)의 사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water pipe 230 of the cooling module 2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200)은 앞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과 비교할 때, 냉수 파이프(230)의 형상에 차이점이 있다.The water purifier cool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cooling module 1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of the cold water pipe 230 There is a difference in shape.

그밖에 다른 사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차이점에 대응하여 당연히 변형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ther matter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even if there are some different par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only be expected to deform in response to the above difference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와 5를 참조하면 냉수 파이프(23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점차 작아진다. 다시 말해 냉수 파이프(230)는 사각뿔의 둘레면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된다. 물론 탱크(1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냉매 파이프(120)가 원기둥의 둘레면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된다면 냉수 파이프(230)는 원뿔의 둘레면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oil radius of the cold water pipe 230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reof. In other words, the cold water pipe 230 extends in a coil shape that surround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Of course, if the tank 11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frigerant pipe 120 extends in a coil shape that run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the cold water pipe 230 may extend in a coil shape that run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e.

아무튼 이에 의하면 마찬가지로 냉수 파이프(230) 중 상하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틈이 넓어져 열전달 매개체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게 보장함으로써 열전달 효과를 촉진할 수 있다.In any case, according to this, similarly, the gap between the two neighboring portions of the cold water pipe 230 may be widened to promote the heat transfer effect by smoothly circulating the heat transfer medium.

표 1은 냉수 파이프가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된 경우(도 6 참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의 냉수 파이프(130) 및 본 발명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200)의 냉수 파이프(230)의 경우 출수 온도를 비교한 실험 자료이다.Table 1 shows a case in which the cold water pipe extends in a coil shape having a constant rotation radius (see FIG. 6) and the cold water pipe 130 of the cooling module 1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cold water pipe 230 of the cooling module 2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xample is the experimental data comparing the discharge water temperature.

또한 도 7은 잔 수에 따른 출수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즉 출수가 한 잔, 두 잔, 세 잔 … 연속적으로 반복될 때 그 출수 온도를 기록한 것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water dischar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maining water. Water, one, two, three… The water exit temperature is recorded when it is repeated continuously.

냉수 파이프Cold water pipe 도 6의 경우6 case 일 실시예의 경우(130)In one embodiment 130 다른 실시예의 경우(230)For another embodiment 230 탱크 용량Tank capacity 1.48ℓ1.48ℓ 1.48ℓ1.48ℓ 1.48ℓ1.48ℓ 임펠러 RPMImpeller RPM 11501150 11501150 11501150 임펠러 크기Impeller size φ32-h24.6φ32-h24.6 φ32-h24.6φ32-h24.6 φ32-h24.6φ32-h24.6 입수 온도Inlet temperature 25.0℃25.0 ℃ 25.0℃25.0 ℃ 25.0℃25.0 ℃ 출수 온도Exit temperature 15.2℃15.2 ℃ 11.3℃11.3 ℃ 10.8℃10.8 ℃

(탱크 내부 온도: -2℃, 냉수 파이프 유속: 1ℓ/min, 정상 상태 해석)(Tank internal temperature: -2 ℃, cold water pipe flow rate: 1ℓ / min, steady state analysis)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의 냉수 파이프(130)의 경우, 도 6의 경우에 비해 출수 온도가 약 4℃ 가량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200)의 냉수 파이프(230)의 경우, 도 6의 경우에 비해 출수 온도가 약 4.5℃ 가량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the cold water pipe 130 of the cooling module 1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is about 4 ° C lower than in the case of FIG.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ld water pipe 230 of the cooling module 200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flow temperature is about 4.5 ℃ lower than in the case of FIG.

마찬가지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100)의 냉수 파이프(130)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 모듈(200)의 냉수 파이프(230)가 도 6의 경우보다 출수 온도가 대체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Similarly referring to Figure 7, the cold water pipe 130 of the cooling module 1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ld water pipe 230 of the cooling module 200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flow temperature was found to be generally lower than in the case of FIG. 6.

이로써 냉수 파이프(130, 230)에서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이 가변하면 사용자에게 공급될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oil-shaped rotation radius of the cold water pipes 130 and 230 is variable,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user can be cooled more effectively.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do not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 described in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improve or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7)

열전달 매개체를 수용하는 탱크,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로 냉기를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탱크의 내벽을 따라 두르는 코일형으로 연장되는 냉매 파이프 및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로부터 냉기를 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매 파이프보다 작은 회전 반경을 갖는 코일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되, 그 코일형의 회전 반경은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냉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냉수 파이프의 내측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냉수 파이프의 하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날개 및
상기 냉수 파이프의 상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 주변을 둘러싸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열전달 매개체가 상기 필터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게 작동하는 정수기용 냉각 모듈.
Tank for receiving heat transfer medium,
Refrigerant pipes for discharging cold air to the heat transfer medium while the refrigerant flows, extending in a coil form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Water flows to receive cold air from the heat transfer medium, and extends in a coil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refrigerant pipe and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coil typ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bottom upward. Including cold water pipe which becomes small,
A rotating shaft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pipe at the top of the tank,
A wing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pipe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It further comprises a filter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ld water pipe surrounding the rotary shaft,
The vane is a cooling module for a water purifier that operates to enable the heat transfer medium to flow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파이프 중 그 코일형의 길이 방향에서 이웃한 두 부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홀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냉각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older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wo adjacent portions of the cold water pi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il.
KR1020180021178A 2018-02-22 2018-02-22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KR102043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8A KR102043463B1 (en) 2018-02-22 2018-02-22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8A KR102043463B1 (en) 2018-02-22 2018-02-22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66A KR20190101166A (en) 2019-08-30
KR102043463B1 true KR102043463B1 (en) 2019-11-11

Family

ID=6777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78A KR102043463B1 (en) 2018-02-22 2018-02-22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693A (en) * 2001-01-17 2002-07-31 Fuji Electric Co Ltd Sparkling liquid delivering apparatus
JP2003081392A (en) * 2001-09-14 2003-03-19 Hoshizaki Electric Co Ltd Beverage feeder
JP2015102300A (en) * 2013-11-26 2015-06-0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Beverage cool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GE20060076A1 (en) * 2006-07-28 2008-01-29 Asset S R L DEVICE FOR THE TREATMENT AND DISTRIBUTION OF BEVERAGES, IN PARTICULAR W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693A (en) * 2001-01-17 2002-07-31 Fuji Electric Co Ltd Sparkling liquid delivering apparatus
JP2003081392A (en) * 2001-09-14 2003-03-19 Hoshizaki Electric Co Ltd Beverage feeder
JP2015102300A (en) * 2013-11-26 2015-06-0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Beverage coo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66A (en)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1731A1 (en) Centrifugal fan
ES2574429T3 (en) Air conditioning and heat exchanger for this one
JP6423221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N102401526B (en) Refrigerator
RU2398171C2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ng device
KR20180054621A (en) Portable air conditioner
US11486588B2 (en) Air conditioner
US20080251238A1 (en) Cooling Device
KR102043463B1 (en)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KR102411657B1 (en) Heat Exchanger
KR102639200B1 (en) Cooling module for water purifier
KR102247219B1 (en) Cold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611011B1 (en) Turbo-fan in an air harmonizing system
CN109341147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with it
US20180094640A1 (en) Fins, tubes, and structures for fin array for use in a centrifugal fan
US11519671B2 (en) Evaporator for water heating device
US11414848B2 (en) Water purifier
US20160252259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N106662265A (en) Thermostat valve
KR102524858B1 (en) Heat Exchanger
WO2021221105A1 (en) Evaporator
CN112984895B (en) Circular refrigeration equipment
JP6905909B2 (en) Rotating machine, compressor system, and pump system
EP3974747A2 (en) Multi-compressor oil equalization
KR100549291B1 (en) cooling system of a CP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