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804B1 -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804B1
KR102042804B1 KR1020140122448A KR20140122448A KR102042804B1 KR 102042804 B1 KR102042804 B1 KR 102042804B1 KR 1020140122448 A KR1020140122448 A KR 1020140122448A KR 20140122448 A KR20140122448 A KR 20140122448A KR 102042804 B1 KR102042804 B1 KR 10204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guide plate
light guide
surface lay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201A (ko
Inventor
김경화
조춘성
심상화
김용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86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41452A1/ko
Priority to TW103132118A priority patent/TWI540350B/zh
Publication of KR201500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5Bends, branchings or inters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고려된 기재층의 양면에 광학적 특성과 경도 특성이 고려된 표면층을 형성하고, 하부의 표면층을 관통하여 기재층의 일정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음각패턴을 포함하여, 가공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면서도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산업 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 및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서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의 경우, 액정과 반도체 기술이 복합된 기술 집약적 장치로서 얇고, 가벼우며 소비 전력이 낮은 장점으로 인해, 그 구조 및 제조 기술이 연구 개발되어 왔고,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는 액정 자체가 발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의 후면에 별도의 광원을 설치하여 색상 및 화면을 구현한다.
상기 발광 장치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여나가는 추세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던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대신 LED(Light Emitting Diode)의 사용이 급격한 증가를 이루고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수은을 사용하지 않으며, 색 재현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 전면에 LED 가 분포되어 있는 직하형에 비해 LED가 측면에 분포되어 있는 에지형 BLU는 소비 전력 및 제품 두께에서 장점을 갖고 있으며 적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다.
에지형 BLU에는 측면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전면으로 내보낼 수 있는 도광판이 사용된다. 광원에서 발생한 빛은 도광판 측면으로부터 도광판 내부로 입사되어 전면으로 출사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도광판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가 비교적 길어 광 손실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투과율이 높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계열의 원료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열의 원료는 화학구조상 수분에 취약하여 이러한 원료가 적용된 도광판은 고온 고습한 환경에서 휨 및 치수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관련한 기술의 일예로 국내특허공개 10-2012-0088944호(2012.08.09.공개)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도광판에 대해 기재하고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패턴이 형성되고 MMA 함량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패턴층과, MMA 함량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층이 합착되어 형성된 도광판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도광판은 레이저 또는 열 가공에 의한 황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레이저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외부 환경에 대한 치수 안정성, 레이저 가공의 용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면서도,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도광판을 적용하여 가공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광투과율이 적어도 90% 이상이고, 굴절율이 1.47~1.59이며, 수분흡수율이 0.30% 미만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 이상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부 표면층; 및 기재층의 나머지 일면에 형성되고,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부 표면층을 포함하고, 하부 표면층을 관통하여 기재층의 일정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일 구현예에 의한 다수의 음각 패턴은 기재층 총 두께의 0.1~10%에 해당되는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다수의 음각 패턴은 그 종단면의 입체형상이 반원, 삼각형, 사각형 및 부정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상부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하부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기재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60중량%이하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상부 표면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어도 70중량%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하부 표면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단독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어도 70중량%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도광판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로 구성된 기재층;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하부 표면층;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상부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환경에 대한 치수 안정성, 레이저 가공의 용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면서도,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광판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도광판을 적용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가공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휘도를 구현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광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광판에 포함된 다수의 음각 패턴이 기재층 두께(x)를 관통하여 하부 표면층 두께(y) 중 일부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을 갖도록 일정 높이(h)로 형성된 것임을 용이하게 보이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참조적으로 예시한 도광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은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광판의 일예를 도시하면 도 1과 같을 수 있으며, 이는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이고, 굴절율이 1.47~1.59이며, 수분흡수율이 0.30% 미만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10);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부 표면층(20); 및 기재층의 나머지 일면에 형성되고,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부 표면층(30)을 포함하고, 하부 표면층을 관통하여 기재층의 일정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음각 패턴(40)을 포함한다.
[기재층]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 있어서, 기재층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구체적으로는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이고, 굴절율이 적어도 1.47~1.59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수지 조성에서의 '주성분으로 하는'이라는 용어는, '도광판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층의 전체 수지 조성에 있어서 적어도 95중량%이상을 차지하는 양으로 포함되는 성분'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상기한 물성을 만족하는 수지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수지들로, 이의 일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외부환경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기재층은 수분흡수율이 0.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60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스티렌과의 공중합체(MS 수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MS 수지는 가볍고 저렴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며, 수분 흡수율이 낮다.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도광판의 치수안정성이 좋아질 수 있다.
MS 수지는 보통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에 따라 MS500, MS600 또는 MS750등으로 명명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MS수지 중 MS600 또는 MS5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장 좋기로는 기재층 전체 수지가 이러한 MS수지인 것일 수 있다.
한편, 기재층은 압출 시 안정적인 두께 형성과 디스플레이의 박막화를 고려할 때 그 두께가 0.5 ~ 4.5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부 표면층]
도광판에 있어서 하부 표면층은 광경로를 고려한 다양한 패턴이 형성되는 층으로, 일반적으로 패턴의 형성방법으로는 프린팅 기법이나 V-cut 기법 등이 적용되어 왔다.
패턴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가공은 대면적의 미세패턴 가공을 가능케하는 점, 다양한 형태의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점, 짧은 시간과 높은 출력으로 가공 시료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어 고품질의 초정밀 미세 가공기술이지만, 재료에 따라 가공이 용이하지 않거나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등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하부 표면층은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물성을 만족할 수 있는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들 수 있으며,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를 고려하여 상기한 물성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공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하부 표면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어도 70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거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이하, PMMA 수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예로, 기재층이 MS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 MS 수지와 대비하여 경도가 높은 PMMA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부 표면층은 내스크래치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다.
가장 좋기로는 하부 표면층은 하부 표면층 전체 수지가 PMMA 수지인 것일 수 있다.
하부 표면층은 두께 균일성과 패턴 형성을 고려할 때 두께가 0.1~200㎛인 것이 좋을 수 있다. 또한 하부 표면층은 후술하는 상부 표면층과 그 두께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광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상부 표면층이 더 얇은 것이 좋을 수 있다.
[음각 패턴]
한편, 본 발명의 도광판은 하부 표면층 면에 패턴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음각 패턴이 형성된다. 다수의 음각 패턴은 하부 표면층을 관통하여 기재층 두께의 일정 두께까지를 침투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음각 패턴의 높이(h)는 하부 표면층의 두께(x)와 기재층 두께(y)의 0.1 ~ 10%에 해당되는 두께와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식 1로 수식화할 수 있다.
<식 1>
x + (1/1000)y ≤ h ≤ x + (1/10)y
여기서, x는 하부 표면층의 두께이고, y는 기재층의 두께이며, h는 음각 패턴의 높이이다.
상기 식 1에서 음각 패턴의 높이(h)가 "x + (1/1000)y" 미만이면 음각 패턴 형성으로 인한 휘도 상승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고, "x + (1/10)y" 초과이면 레이져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며, 빛시인성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음각 패턴은 상술한 정도의 침투 형상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그 입체구조적인 제한은 없으며, 일예로 그 종단면의 형상이 반원, 삼각형, 사각형 및 부정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 패턴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각 패턴은 상술한 것과 같이 기재층 총 두께의 일정 범위까지 침투된 형태로 형성되어, 도광판의 일 측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이 다른 일 측면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표면층]
도광판에 있어서 상부 표면층은 도광판에 있어서 광의 출사 부분에 해당되는 면으로, 이는 다수의 광학시트류와의 조합 등을 고려하고 광학적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는 면이므로, 상기 하부 표면층과 같은 가공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부 표면층 또한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이상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물성을 만족할 수 있는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들 수 있으며,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를 고려하여 상기한 물성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공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특히 가공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상부 표면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어도 70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거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이하, PMMA 수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예로, 기재층이 MS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 MS 수지와 대비하여 경도가 높은 PMMA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부 표면층은 내스크래치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다.
가장 좋기로는 상부 표면층은 하부 표면층 전체 수지가 PMMA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상부 표면층은 두께 균일성과 패턴 형성을 고려할 때 두께가 0.1~200㎛인 것이 좋을 수 있다. 또한 상부 표면층은 상술한 하부 표면층과 그 두께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광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상부 표면층이 더 얇은 것이 좋을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도광판은,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기재층과 경도가 우수한 표면층, 및 기재층의 일부 두께까지 침투된 형태로 형성되는 음각패턴으로 인해, 내스크래치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휘도 저하를 최소화한 도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휘도 저하 방지, 내스크래치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S(Denka社, MS500,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중량%와 스티렌 50중량%와의 공중합체, 광투과율 91%, 굴절율 1.54, 연필경도(ASTM D3363) 1H, 수분흡수율 0.25%) 400kg/hr를 1축 스크류 직경 120mm인 압출기에 투입하여 230℃에서 압출하여 MS 3.0T 기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하부 표면층 및 상부 표면층으로서 PMMA(LGMMA社, HP202, 광투과율 94%, 굴절율 1.49, 연필경도(ASTM D3363) 2H) 4Kg/hr를 공압출하였다.
상기 하부 표면층에 레이저 패턴을 가공하여 높이가 50㎛이고, 그 종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도광판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수지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된 것이다.
(1) 광투과율 : ASTM D1003 방법, Nitto 사의 NDH-2000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2) 굴절율 : ASTM D1218에 의거, 아베 굴절계(Abbe 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굴절율을 측정하였다.
(3) 연필경도
ASTM D3363에 의거, 평가용 연필(미츠비시사제, uni)로 연필 경도 측정기(Heidon사제, 14FW)를 이용하여 500 kg/cm 의 하중, 0.5 mm/sec의 속도로 그은 후, 연필 경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4) 수분흡수율
ASTM D570 시험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60℃에서 24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23℃의 수분에 24시간 동안 함침한다. 건조 후 무게와 수분에 함침 후의 무게로부터 하기 식 1에 근거하여 수분 흡수율을 산출하였다.
<식 1>
수분흡수율(%) = (함침 후 무게-함침 전 무게) / 건조후 함침전 무게 * 100
실시예 2 내지 5
음각 패턴의 높이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
하부 표면층에 패턴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3의 (a)).
참고예 2
음각 패턴의 높이를 하부 표면층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3의 (b)).
참고예 3
하부 표면층 상에 양각 패턴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3의 (c)).
참고예 4 내지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을 제조하였으나, 음각패턴의 높이를 다음 표 1과 같이 각기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참고예에서 제조된 도광판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휘도 및 패턴시인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휘도 측정>
BLU(Backlight Unit, 27인치 LED 1vertical)에 확산필름(코오롱) , 도광판 (실시예 또는 비교예), 프리즘 필름(코오롱) 및 DBEF(3M)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휘도 측정장비(BM-7A, TOPCON社) 이용하여 13 지점을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참고예 1의 휘도를 기준(Ref., 100%)으로 하여, 상기 Ref.에 대한 상대 휘도값을 측정하였다.
<패턴시인성 측정>
육안으로 도광판을 관찰하여, 하부에 형성된 패턴이 보이는지 유무를 판단하였다.

기재층 상부 표면층 하부 표면층 음각 패턴
두께(㎛) 두께(㎛) 두께(㎛) 높이(㎛) 종단면형상
실시예 1 2000 40 40 50 반원형
실시예 2 2000 40 40 60 반원형
실시예 3 2000 40 40 80 반원형
실시예 4 2000 20 40 60 반원형
실시예 5 2000 20 40 100 반원형
참고예 1 2000 40 40 패턴 없음 패턴 없음
참고예 2 2000 40 40 40(음각패턴) 반원형
참고예 3 2000 40 40 40(양각패턴) 반원형
참고예 4 2000 40 40 200 반원형
참고예 5 2000 40 40 10 반원형
참고예 6 2000 0 40 50 반원형
휘도(%) 패턴시인성 연필 경도(ASTM D3363)
실시예 1 128 안보임 4H
실시예 2 135 안보임 4H
실시예 3 141 안보임 4H
실시예 4 137 안보임 4H
실시예 5 145 안보임 4H
참고예 1 100 안보임 4H
참고예 2 120 안보임 4H
참고예 3 105 안보임 1H
참고예 4 163 보임 4H
참고예 5 102 안보임 4H
참고예 6 131 안보임 2H
1: 도광판
10:기재층, 20:하부 표면층, 30:상부 표면층
40: 음각 패턴, 50: 양각 패턴

Claims (11)

  1. 광투과율이 적어도 90% 이상이고, 굴절율이 1.47~1.59이고, 수분흡수율이 0.30% 미만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부 표면층; 및
    기재층의 나머지 일면에 형성되고, 기재층의 주성분 수지와 대비하여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경도가 적어도 1H 높으며, 광투과율이 적어도 90%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부 표면층을 포함하고,
    하부 표면층을 관통하여 기재층의 일정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음각 패턴은 기재층 총 두께의 0.1~10%에 해당되는 두께까지 침투하는 형상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음각 패턴은 그 종단면의 입체형상이 반원, 삼각형, 사각형 및 부정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선택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60중량%이하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표면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어도 70중량%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표면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단독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어도 70중량%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도광판은 기재층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로 구성되고, 하부표면층과 상부 표면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40122448A 2013-09-17 2014-09-16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4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635 WO2015041452A1 (ko) 2013-09-17 2014-09-17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W103132118A TWI540350B (zh) 2013-09-17 2014-09-17 導光板及包含該導光板的背光單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595 2013-09-17
KR1020130111595 201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201A KR20150032201A (ko) 2015-03-25
KR102042804B1 true KR102042804B1 (ko) 2019-11-08

Family

ID=5302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448A KR102042804B1 (ko) 2013-09-17 2014-09-16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2804B1 (ko)
TW (1) TWI540350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940A (ja) * 2006-08-22 2008-03-06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導光板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90070828A (ko) * 2007-12-27 2009-07-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76808B1 (ko) * 2008-07-30 2010-08-20 주식회사 세코닉스 롤투롤 방식을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201A (ko) 2015-03-25
TW201516497A (zh) 2015-05-01
TWI540350B (zh)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140B1 (ko) 중합반응형 광조성물, 광시트 및 광시트의 제조방법
CN100434943C (zh) 用于tft-lcd的扩散板
JP2019536227A (ja) 微細構造を有する導光板、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KR100994909B1 (ko) 내열성이 향상된 다층구조 광확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2245B1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2042804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20090116219A1 (en) Prism sheet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TWI518385B (zh) 導光板及背光單元組件
KR101778961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00001582A (ko)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CN102563530A (zh) 光扩散膜和包括该光扩散膜的背光单元
KR101507298B1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기능성 반사시트
WO2015041452A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10083872A (ko) 세레이션 필름을 포함하는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10034926A (ko) 광확산 부재
KR101661774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20090129655A (ko)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확산 시트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2722B1 (ko) 양면 대전방지성 광학 프리즘 시트
KR20090045538A (ko)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46618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01199B1 (ko)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시트
WO2022034526A1 (en) Article for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082281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2520A (ko) 도광판 및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